KR920003041B1 - 광택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광택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041B1
KR920003041B1 KR1019890007086A KR890007086A KR920003041B1 KR 920003041 B1 KR920003041 B1 KR 920003041B1 KR 1019890007086 A KR1019890007086 A KR 1019890007086A KR 890007086 A KR890007086 A KR 890007086A KR 920003041 B1 KR920003041 B1 KR 920003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source
infrared light
measurement
measur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7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8655A (ko
Inventor
도시유끼 소우야
히로후미 하꾸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호리바세이사구쇼
오오우라 마사히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호리바세이사구쇼, 오오우라 마사히로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호리바세이사구쇼
Publication of KR900018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8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46Measurement of colour; Colour measuring devices, e.g. colori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55Specular reflectivity
    • G01N21/57Measuring glo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44Electric circuits
    • G01J2001/4413Type
    • G01J2001/4433Peak sen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44Electric circuits
    • G01J2001/4446Type of detector
    • G01J2001/446Photodiod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5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 G01N21/359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using near infrared l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06Illumination; Optics
    • G01N2201/062LE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광택 측정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광택 측정장치의 일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
제2도는 일반적인 광택 측정장치의 광학계부분을 도시한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광원(근적외광 LED) 4 : 검출기(포토다이오우드)
본 발명은, 마루표면등의 물체표면 광택을 측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광택 측정장치의 광학계는, 예를들면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원(투광기)(21)과 검출기(수광기)(22)를, 각각 중심선(21A), (22A)이 피측정면(23)에 대해서 연직인 방향(24)과 이루는 각도 α,β가 서로 같아지도록 배치하고, 광원(21)으로부터의 광을 광학렌즈(25)를 개재해서 피측정면(23)에 조사하고, 이 피측정면(23)에 있어서의 반사광을 광학렌즈(26) 및 슬릿(27)을 개재해서 검출기(22)에 입사시키도록하고 있다. 그리고, 종래의 광택 측정장치에 있어서는, 광원(21)으로서 텅스텐 램프를 사용하고, 이것을 연속 발광시키도록 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광원(21)으로서 텅스텐 램프를 사용하였을 경우, 다음과 같은 결점이 있다. 즉, ① 광원(21)이 발열함과 동시에, 열적으로 안정될때까지의 시간이 길고, 워엄업(warm-up)이 필요하기 때문에, 전원투입후 즉시 측정을 행할 수 없다. ② 텅스텐 램프의 연속발광에 의한 광은 가시광이므로, 측정시에 주위의 미광의 영향을 받기 쉽고, 주위의 밝기가 변하였을 경우, 그때마다 교정할 필요가 있다. ③ 텅스텐 램프를 연속 발광시키기 위해서, 광원(21)에 있어서의 소비전력이 크고, 전원으로서의 전지의 소모가 격심해서, 빈번하게 이것을 교환하거나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용량이 큰 전지를 사용하면, 장치 전체가 대형이고 또한 중량화된다고하는 불편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항에 유의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하는 바는, 조작성 및 휴대성을 개선한 유용한 광택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광택 측정장치는, 광원으로부터 근적외광(近赤外光)을 간헐적으로 발광시키도록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근적외광은 예를들면 근적외광 LED에 의해서 발할 수 있으므로, 광원에 있어서의 발열이 없음과 동시에, 워엄업이 불필요하므로, 전원투입후 즉시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피측정면에 근적외광을 조사하고 그 반사광을 검출하는 것이기 때문에, 측정시에 주위의 미광의 영향을 받는 일이 없다. 또, 근적외광을 간헐적으로 발광시킬 뿐이므로 광원에 있어서의 소비전력이 적고, 따라서, 소용량의 전지라도 장기에 걸쳐서 교체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상기 목적은 완전하게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광택 측정장치의 일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동도면에 있어서, (1)은 피측정면(도면외)에 대해서 광을 발하는 광원으로서의 예를들면 발광피이크파장 0.88μm의 근적외광을 발하는 근적외발광다이오우드(이하, 근적외광 LED라고 칭함)이다. (2)는 근적외광 LED(1)를 간헐적으로 발광시키기 위한 펄스발광 구동회로로, 발진회로(3)로부터의 펄스출력에 의거해서, 예를들면 듀우티 1/2(발광주기 1msec, 발광시간 50μsec)의 구동펄스를 출력한다.
(4)는 근적외광 LED(1)로부터 발하게 되고, 피측정면에 있어서 반사된 광을 검출하는 검출기로서의 예를들면 감도피이크파장 0.9μm의 포토다이오우드로, 근적외광 LED(1)에 대해서 소정의 위치에 배설되어 있다.
(5)는 프로다이오드(4)의 출력을 적당히 증폭하는 프리앰프, (6)은 고역통과 필터로서의 예를들면 직류분 커트콘덴서, (7)은 피이크호울드회로, (8)은 출력조정회로, (9)는 A/D콘버어터, (10)은 디스플레이로서의 예를들면 액정표시패널이다.
또한, 도시하지 않으나, 전원 온오프스위치, 표시치 호울드스위치, 제로점 조정·감도조정 볼륨등을 구비한 조작부가 착설되어 있으며, 상기 각부는 각각의 스위치등에 의해서 조정, 조작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하여, 상기 구성의 광택 측정장치에 있어서는, 피측정면을 조사하는 광원으로서 근적외광 LED(1)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광원에 있어서의 발열이 없음과 동시에, 워엄업이 불필요하므로, 전원투입후 즉시 측정할 수 있는 동시에, 피측정면에 근적외광을 조사하고 그 반사광을 검출하는 것이므로, 측정시에 주위의 미광의 영향을 받는 일이 없으며, 특히, 상기 실시예와 같이, 포토다이오우드(4)의 출력은 프리앰프(5)를 통과후, 콘덴서(6)에서 직류분이 커트되고, 또한, 피이크호울드회로(7)에서 피이크호울드되도록 하였을 경우, 주위의 밝기에 의한 영향을 완전히 없앨 수 있으며, 주위의 밝기가 변하여도 그때마다 교정할 필요가 없어지는 등 그 조작성이 현저하게 개선된다. 또, 근적외광을 간헐적으로 발광시킬 뿐이므로 광원에 있어서의 소비전력이 적고, 따라서, 소용량의 전지라도 장기에 걸쳐서 교체할 필요가 없는 동시에, 소형 및 경량화할 수 있는등 그 휴대성이 대폭적으로 개선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근적외광을 피극정면에 조사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피측정면의 색조에 영향받는 일없이, 소망의 광택측정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광원(1)으로 부터의 근적외광을 간헐적으로 발광시키는 것이면 되고, 따라서, 간헐적으로 발광시키는 주기도 상기 실시예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은 말할 것까지도 없다. 그리고, 광원(1)으로서는 근적외광을 발생하는 것이면 되므로, 반도체레이저를 사용하여도 된다. 또, 검출기(4)로서는 상기 근적외광에 감도를 나타내는 것이면 되고, 포토다이오우드 이외의 수광소자를 사용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검출기(4)의 출력을 처리하기 위하여 배설된 프리앰프(5), 피이크호울드회로(6), 출력조정회로(7)대신에, 정류회로를 배설하여도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10)로서, 형광표시관이나 LED를 사용하여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계되는 광택 측정장치는, 광원으로부터 근적외광을 간헐적으로 발광시키도록 하고 있으므로, 광원에 있어서의 발열이 없는 동시에, 워엄업이 불필요하므로, 전원투입후 즉시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측정시에 주위의 미광의 영향을 받는 일없이, 주위의 밝기가 변하여도 그때마다 교정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 광원에 있어서의 소비전력이 적고, 따라서, 소용량의 전지라도 장기에 걸쳐서 교체할 필요가 없어, 장치 전체적으로 소형 및 경량화하는 일이 가능해졌다.
본 발명에 의한 광택 측정장치는, 그 조작성 및 휴대성이 종래의 것과 비교해서 뛰어나 있으므로, 특히, 현장측정용으로서 극히 유용하다.

Claims (1)

  1. 광원으로부터 광을 피측정면에 대하여 조사하고, 그때의 반사광을 검출하도록한 광택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0.88μm의 근적외광을 간헐적으로 발광시키는 근적외 발광 다이오우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택 측정장치.
KR1019890007086A 1988-05-27 1989-05-26 광택 측정장치 KR9200030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129561 1988-05-27
JP88-129561 1988-05-27
JP12956188A JP2996300B2 (ja) 1988-05-27 1988-05-27 携帯用光沢測定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8655A KR900018655A (ko) 1990-12-22
KR920003041B1 true KR920003041B1 (ko) 1992-04-13

Family

ID=15012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7086A KR920003041B1 (ko) 1988-05-27 1989-05-26 광택 측정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996300B2 (ko)
KR (1) KR920003041B1 (ko)
DE (1) DE39161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0806A (ko) 1999-09-06 2002-04-25 유니버시떼 드 리에즈 광도계
DE10010839C2 (de) * 2000-03-09 2003-12-04 Fraunhofer Ges Forschun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rmitteln des Verschmutzungsgrades von zu prüfenden Oberflächen
JP2002032406A (ja) 2000-05-09 2002-01-31 Toshiba Corp サービス情報提供方法及びサービス情報提供装置とこのシステム
JP5652938B2 (ja) * 2010-06-30 2015-01-14 テルモ株式会社 血液成分分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0398B2 (ja) * 1976-04-30 1983-11-10 日立造船株式会社 検出信号処理回路
GB2004061B (en) * 1977-09-09 1982-03-10 Rank Organisation Ltd Optical sensing instrument
AT351295B (de) * 1977-12-09 1979-07-10 Vianova Kunstharz Ag Anordnung zur messung des glanzvermoegens von oberflaechen, insbesondere organischer ueberzuege
US4286327A (en) * 1979-09-10 1981-08-25 Trebor Industries, Inc. Apparatus for near infrared quantitative analysis
DD208670A1 (de) * 1982-06-29 1984-04-04 Pentacon Dresden Veb Vorrichtung zur schnellen messung des glanzes beliebiger oberflaechen
HU190892B (en) * 1983-04-13 1986-12-28 Mta Mueszaki Fizikai Kutato Intezete,Hu Aparatus for measuring reflection of the planar surfaces, in particular fluckering meter
DE3444104A1 (de) * 1984-12-04 1986-06-05 Alvaro Dr. 6380 Bad Homburg Affonso Vorrichtung zum messen/speichern/koppeln lichtenergie
JPS61145436A (ja) * 1984-12-19 1986-07-03 Nippon Paint Co Ltd 塗膜外観性状評価方法および装置
JPS62127033A (ja) * 1985-11-26 1987-06-09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生体計測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8655A (ko) 1990-12-22
JP2996300B2 (ja) 1999-12-27
DE3916184A1 (de) 1989-11-30
JPH01299442A (ja) 198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21112A (en) Optical measuring device with position indicator
US6271523B1 (en) Optical sensor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consumables
DE3687701D1 (de) Anzeigevorrichtung vom transmissiven typ.
JP2001092414A5 (ko)
US4118625A (en) Nephelometer having pulsed energy source
JPH0663973B2 (ja) 免疫反応測定に用いる蛍光検出装置
JP2604754B2 (ja) 分光光度計
US3807875A (en) Densitometry apparatus
KR920003041B1 (ko) 광택 측정장치
WO2019127548A1 (zh) 混光装置、紫外光源工作指示器及紫外光源系统
JPH09264845A (ja) 吸光光度計
US4906835A (en) Light sensing and emitting devices with a safelight
WO2006038060A1 (en) Method and sensor for infrared measurement of gas
JPS58153128A (ja) 光量測定器
CA2062550A1 (en) Optical distance measuring apparatus
JPH06138240A (ja) ガンマ線計測装置
JPH10267751A (ja) 蛍光発光強度測定方法及び測定装置
RU2038585C1 (ru) Фотоколориметрический газоанализатор
CN219533995U (zh) 一种微弱激光光斑显示屏装置
JP2003307448A (ja) 境界位置検出装置および境界位置検出方法
US3937576A (en) Illumination system for an atomic absorption spectral photometer
CN214309127U (zh) 一种标准光源装置
SU746257A1 (ru) Оптический влагомер
US3545869A (en) Device for the colorimetric analysis of liquids
JPS57108702A (en) Displacement me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15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