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2965B1 - 복수 통화회선 어댑터장치 - Google Patents

복수 통화회선 어댑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2965B1
KR920002965B1 KR1019840003334A KR840003334A KR920002965B1 KR 920002965 B1 KR920002965 B1 KR 920002965B1 KR 1019840003334 A KR1019840003334 A KR 1019840003334A KR 840003334 A KR840003334 A KR 840003334A KR 920002965 B1 KR920002965 B1 KR 920002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subscriber
signal
party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3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0162A (ko
Inventor
아르투로 미들톤 프란시스코
다스 산타노
하그레이브 프랭클린
Original Assignee
알카텔 엔. 브이.
게오르그 그라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카텔 엔. 브이., 게오르그 그라프 filed Critical 알카텔 엔. 브이.
Publication of KR850000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2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ocessing data by operating upon the order or content of the data handled
    • G06F7/02Comparing digital val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8Circuit arrangements for preventing eavesdropping
    • H04M1/70Lock-out or secrecy arrangements in party-lin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evices For Supply Of Signal Current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복수 통화회선 어댑터장치
제1도는 복수 통화회선 어댑터와 결합된 전화교환망의 간략한 블록 다이어그램.
제2도는 본 발명의 복수 통화회선 어댑터의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블록 다이어그램.
제3a, b도는 다같이 제2도에 표시한 복수 통화회선 어댑터의 양호한 1실시예의 간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화교환국 12 : 신호음 전송기
18, 24 : 복수 통화자 선로 어댑터 118 : 신호음 수신기
120 : 오프 후크 검출기 및 래치 500 : 제어부
본 발명은 일반적인 다수의 개별 전화가입자가 동일한 가입자 선로를 사용하는 전화 통화자 선로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특히 모든 통화에 있어 각 통화회선에 통신의 비밀을 보장하기 위한 개선된 전화 통화자 선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변두리나 전화사용 밀도가 적은 지역에서는 2개 이상의 전화가입자가 단일 가입자 선로를 공유하는 전화통화자 선로 시스템을 설치하는 것이 가장 경제적인 것이다. 그러나 종래 이러한 통화자 선로 구성은 통화자 선로를 공유하는 데에 따른 전화가입자 각자의 비밀보장이나 코우드화된 호출 또는 호출자가 오프 후크상태에 있음으로 해서 발생하는 링 트립을 방지하기 위해 다른 통화자를 호출하는 전환 호출에 대한 특수 호출 과정에 있어서의 많은 결점으로 곤란을 받고 있었다.
통상, 종래의 전화 통화자 선로 시스템은 피호출측을 확인하기 위해 지역 또는 중앙국에서 검출되고 접지로의 전류 통로를 설정해주는 지역 또는 중앙 전화교환국으로부터 오는 하나 또는 2개 선로위에서의 접지의존 발신과 극성에 기초하여 동작하고 있다. 종래 시스템에서와같이 하나의 통화자 선로를 공유하는 다수의 전화가입자 간의 비밀보장은 선로를 공유하는 어떠한 통화자가 통화를 시작하거나 종료하는가에 따라 전화교환대로부터 지시받는 직류 극성을 봉쇄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가입자 전화기인 링거는 전화선의 하나 또는 양쪽선과 접지 사이에 링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작동한다. 링과 팁 선로를 횡단하는 링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다른 구성은 피호출측을 식별하기 위해 복수의 주파수 선별 링거를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통화자 선로 시스템의 일례로써 미합중국 특허 제3,668,050호에 설명된 "전환 극성 질문 신호를 사용하는 전화기 식별 시스템"이 있는데, 여기서는 중앙국에 미리 선택된 식별신호를 발생사고 전송하기위해 중앙국에서의 배터리 전압의 전환에 반응하는 회로가 장치된 전화기를 기술하고 있다. 식별신호의 주파수는 저항-캐패시터 직렬회로나 통상 선택된 탭 스위치 양단의 폐쇄된 스위치를 연결시킴에 의해 결정된다. 미합중국 특허 제4,221,935호의 "전화가입자 스테이션을 위한 제어회로"에서는 자동숫자 식별, 통화자선호 비밀보장, 충분히 선택된 링호출, 원격 스페이션 확인 및 단선과 전환호출을 제공하기 위해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외부 로직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통화자 선로 가입자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회로"라는 제하의 미합중국 특허 제4,149,040호에서는 한쌍의 터미널을 가지고 이것이 접지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선로 어댑터를 가진 식별회로가 기술되어 있다. 또 "통화자 선로 전화회로"라는 제하의 미합중국 특허 제3,035,123호에서는 2개 통화자 선도 전화회로에 있어서 또한 캐패시터의 충전과 방전에 의존하는 보안시스템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또한, "링 제어, 로크아웃 및 반전 호출에 있어서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통화자 선로 회로라는 제하의 미합중국 특허 제3,530,253호에서 2개 통화자 스테이션에서의 통신 보안과 전화 호출을 위한 통화자 선로 시스템에 대해 기술한 바 있다. 또 미합중국 특허 제4,293,737호의 링잉 디코더회로에서는 복수 통화자 전화선로에서 자동적으로 단일 통화자를 링호출하기 위한 링잉 디코더회로를 기술하고 있다. 또한 "통화자 검출의 자동 숫자 식별"이란 제하의 미합중국 특허 제3,297,270호에는 자동 숫자 식별 시스템을 기술하고 있다.
전술한 종래 기술과 종래에 알려진 다른 통화자 선로 통신 시스템들은 통상 2개 이상의 가입자가 동일한 통화자 선로를 공유할때에 가입자간의 통신 비밀을 완전히 보장해 주지 못한다. 또한 종래 기술의 통화자선로 시스템의 단점은 전화 중앙국에서 특수하고 복잡한 회로의 부가적인 필요와 함께 피호출측의 식별을 위한 접지 신호음과 특수 설비의 설치가 요구되었다. 피호출 통화자의 식별을 위해 주파수 선택 링 회로를 사용하는 종래 기술은 신뢰도나 가격 및 보수의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시스템은 특히 전환 호출이 개시되었을 때, 즉 통화자 선로에서의 하나의 가입자와 동일한 통화자 선로에서의 또다른 가입자에게로 호출이 있을 때 부적합하다. 그 이유는 상기 전환 호출이 피호출측 이외의 통화자가 링호출 받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위해 코우드화된 링임을 하는 귀찮은 다이얼 조작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화가입자 선로가 복수 통화자 선로로서 동작하게 되는데 적합한 회로를 제공하고, 종래 다수의 단일선로 가입자 서브세트가 설치된 가입자 선로에서의 전화 서어비스가 각 전화가입자의 모든 통화과정에서 비밀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를 것 같으면, 어떤 통화자가 호출되었을 때 복수 통화자 선로에서의 또다른 가입자 서브세트에 발생하는 링 호출을 방지하기 위한 주파수 선별적인 링임을 필요치 않고 있다. 본 발명의 회로는 중앙국에서 선로로부터의 가입자를 연결 및 분리하도록 배터리 극성의 스위칭을 제어한다. 본 발명은 청구의 목적으로 독특한 식별 톤을 변화시킴에 의해 호출이 개시될 때 자동적인 전화번호 식별작용을 할수 있게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사용자 전화호출을 제공하여 전환 호출을 하기위해 아무런 특수 다이얼팅 과정이 필요치 않고, 전환 호출에 있어서도 완전한 통신의 비밀을 보장할 있게 한다.
이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를 참조하면, 본 출원인의 복수 통화자 선로 어댑터와 결합된 지역 또는 중앙전화교환기의 간략화된 블록 다이어그램이 도시되어있으며, ITT 1240 디지털 교환기와 같은 지역 전환교환대(10)가 다수의 전화 선로 및 중계선에 결합되고 스위칭 및 연관된 전화 기능과 상기 전화선로에 대한 서어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선로는 수백에서 수천까지의 번호를 부여받게 된다. 아날로그 전화가입자 선로 및 중계선들은 아날로그 전화정보를 PCM 교환에 알맞는 멀티채널 디지털 PCM 포오멧으로 변환시키고 선로로의 재전송을 위해 교환후에 다시 아날로그 신호로 바꾸는 교환기에서의 전화선로 회로가 교환대(10)에서 종결된다.
지역 교환대(10)에 의해 역무를 제공받는 적어도 얼마만큼의 전화가입자 회선은 다른 전화 회선이 선로(14)와 같은 단일 통화자 선로인 반면 선로(12)와 같은 복수 통화자 회선을 포함하는 것으써 본 발명의 목적은 충분히 이루어질수 있다. 전화교환 시스템의 상세한 동작 설명은 잘 알려진 것이며, 참고로 "분배된 제어 디지털 스위칭 시스템"이란 제하의 미합중국 특허 제4,201,889에서 상술한 스위칭 시스템의 상세한 설명이 있으며, "가입자 선로/중계선 회로"라는 제하의 미합중국 특허 제4,161,633호와 "임피던스 총합기를 사용하는 가입자 선로 인터페이스회로 및 루우프 전류 정류 제어를 위한 공유된 전압원"이란 제하의 미합중국 특허 제4,317,916호에서 지역 교환대(10)와 결합해 있고, 그 교환대에서 인터페이스회로와 함께 교환대로 입출력되는 전화선의 정보에 결합하는 선로회로의 일예가 기술되어 있다.
복수 통화자 선호(12)는 각각의 팁 및 링 선로에 의해 '갑'에서 '을'까지의 다수의 전화가입자에 결합되어 있다. 가입자 '갑'에서 '을'까지는 통화자 선로(12)를 공유하고 있다. '갑'에서 '을'까지의 각 가입자는 (14)와 (16)으로 도시한 통상의 전화기 서브세트로부터의 립 및 링 선로로써 통화자 선호(12)에 액세스 한다.
본 발명의 복수 통화자 어댑터회로(18)(제2도)는 가입자 '을'에서 '갑'까지의 전화기 서브세트(14) 및 (16)과 복수 통화자 사이에 개재될 수 있도록 하나의 모듈로서 적절히 구체화된다. 마찬가지로 복수 통화자 선로 어댑터는 서브세트내에 설치되거나 또한 단일 샤시내에 구성될 수 있으며 서브세트 '을'→'갑'으로의 연결이 이러한 공유하는 단일 샤시로부터 직접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입자 '을'의 서브세트(14)로부터의 팁 및 선로(20)으로 도식적으로 표시되었고 서브세트(16)으로부터의 팁 및 링 선로는 선로(22)로서 나타내었다. 가입자 갑 및 을의 도시는 단지 일례로 모든 것이며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다수의 가입자들이 선로(12)를 공유할 수 있고, 각 가입자가 그의 전화기 서브세트에 결합되어 있는 복수 통화자 어댑터회로(18)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주지하여야 한다. 따라서, 10개의 통화자 선로 가입자들은 선로(12)를 공유하며, 가입자 '갑'의 서브세트(16)는 서브세트(14)의 회로(18)과 동일한 구성의 복수 통화자 선로 어댑터회로(24)를 통해 팁 및 링 선로(22)와 인터페이스 하고, 다른 8개 통화자 선로 가입자들은 각각 유사하게 선로(12)와 연결된다.
제2도를 참조하면, 복수 통화자 선로 어댑터(18)의 동작을 나타내는 간략한 블록 다이어그램이 복수 통화자 선로(12)의 가입자 '을'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은 개시 호출, 종료 호출 및 전환 호출에 연관된 것이다.
가입자 을의 서브세트(14)가 아이들상태에 있을 때 팁 및 링 선로(20')의 서브세트(14)로부터 입출력되는 신호는 아무것도 없다(여기서 링 선로(20')는서브세트(14)와 복수 통화자 어댑터(18)사이의 팁 및 링 선로를 가리킨다). 복수 통화자 어댑터(18)와 복수 통화자 전화선로(12)사이의 팁 및 링 선로는(20)으로 지시하였다. 아이들상태에 있어서, 서브세트(14)는 "온 후크"상태이다. 가입자 을의 서브세트(14)가 "오프-후크"되면 직류 루우프를 구성하기 위해 저항(100)을 통해 팁 및 링 선로(T') 및 (R')를 거쳐 서브세트내에서 직류 통로가 폐쇄된다. 배터리 전압인 직류전압은 통상 -48볼트이다. 직류 루우프가 폐쇄될 때 전류는 다이오드(102)를 통해 캐패시터(104)로 흘러 캐패시터(104)를 충전시킨다. 전화지역 교환대(10)에서 종래의 검출회로는 선로내로 전류가 흐름을 감지하고, 일단의 스위치, X1,X2,……X6로써 설정되는 코드를 가지는 확인 신호 전송장치(112)를 작동시키기 위해 팁 및 링 선로(20)의 극성을 반전시킴을 감지하는 것으로써 선로(12)에서의 가입자 서브세트가 오프-후크로 됨을 검출하게 된다.
팁(T) 및 링(R) 선로 (20)에서 극성이 반전될 때, 다이오드(108)는 전류의 흐름을 차단시키고, 다이오드(110)은 신호 주파수(SF), 2중 톤 복합 주파수(DTMF) 또는 다이얼 펄스(DP) 전송기로서 동작하는 신호음 전송기(112)로 전원을 공급하게 허용한다.
선로(12)를 공유하는 신호음 전송기(112)의 오직 하나만이 인에이블 캐패시터(104)를 가지며, 이는 확인장치(106)가 개별 가입자가 오프 후크 된 것을 나타내는 식별 코우드를 전송하도록 인에이블 시킨다. 확인장치(106)에서 각 가입자의 식별은, X1,X2,X3,……,X6로 표시된 노우드 사이의 스트랩 수단으로써 이루어지며, 이것에 대한 더 상세한 설명은 제3a도 및 제3b도와 연관하여 기재될 것이다.
지역 또는 중앙 전화교환대(10)는 SF, DTMF 또는 다이얼 펄스를 수신하며, 이들 신호는 복수 통화자선로 어댑터회로(18)로부터 가입자와 동일하게 엔코드되며, 가입자 식별이 이루어지며 선로(12)의 극성을 반전시켜 정상 극성으로 되돌아가게 하며 이런 식으로 어댑터회로(18)의 발신부분을 디스 인에이블시키고 또한 다이어드(108) 케피서터(114), 트랜지스터(116) 및 저항(100)으로 형성된 전송로를 재 인에이블 시킨다.
선로(12)에서의 제1가입자가 이미 선로의 제어하에 있을 때, 즉 선로를 장악하고 있을 때 가입자가 오프-후크 상태로 되면, 오프-후크 검출기 및 래치(120)는 팁 및 선로(20')양단의 전압강하가 이미 그 선로의 제어하에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화기에 의해 나타나는 저 임피던스에 의해 -48볼트 이하로 감소되는 것을 확인한다. 래치(120)는 제2 및 뒤따른 가입자들이 통화를 하지 못하도록 트랜지스터(116)를 턴-오프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링 전류는 오직 피호출되어진 가입자 공유 선로(18)로 전달된다. 고로, 선로(12)를 공유하는 모든 전화기 서브세트는 각 가입자가 피호출 되었을때마다 링잉되지 않는다. 교환대(10)에서의 중앙국 장치는 각 링잉 펄스열을 공급하기 저직전에 선로(12)의 극성을 반전시킨다. 가입자들이 피호출측이라 가정하면, 또 중앙교환국이 선로(12)의 극성을 방금 반전시켰다면 링 신호 공급전에 팁 및 링선로(20)는 동시에 다이오드(110)를 순방향으로 바이어스시킨다. 이것은 신호들이 신호음 수신(118)로 공급되게 만든다. DTMF 송신기와 수신기는 2중톤 복합 주파수 형태의 서브세트로된 표준 장치이며, 이에 대한 참고문헌은 "무선 엔지니얼를 위한 참고 데이터"(1979년 제6판) 35-22장에서 버튼형 MF신호 발생에 대한 기재가 있고, "기본 전화 스위칭 시스템"(1979년 제2판, 하이든사 발행)의 페이지 5-24에서 푸시버튼형 및 로터리 다이얼링을 포함하는 전형적인 회로에 대한 기재가 있다. 다이오드(110)가 순방향 바이어스 되고 전원이 신호음 수신기(118)로 결합되면, 전화교환대(10)는 디지털 엔코드된 SF 펄스 또는 DTMF, 다이얼 펄스열을 전송하게 되며, 이들 펄스열은 링 전류가 공급될 피호출측의 확인을 표시한다.
피호출측의 식별은 다시금 동일 스트랩 X1,X2,……,X6이 전송기(112)를 식별할 수 있게 만든다. 선택된(피호출된) 수신기는 그것제 것임을 확인하고 선로 스위치 트랜지스터(116)를 턴온시켜 그것을 통해서 링 전류가 흐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한다. 다른 가입자 지역에서의 선로를 공유하는 잔존하는 수신기들은 그들이 선택된 것이 아니라는 것을 검출하게 되고 각 대응하는 선로 스위치 트랜지스터(116)가 링 전류를 차단시키도록 디스에이블(턴 오프)상태를 유지하게 만든다.
링 신호 발생은 그 자체는 지역 교환대(10)의 역할이며 그러한 링 신호 발생에 대한 것은 본 발명의 이해에 있어 필요치 않은 것이다. 그러나 참고로 미합중국 특허 제4,349,703호의 "프로그램 가능한 링 신호 발생기"에서 디지털 스위칭 교환기를 가지는 디지털 통신 시스템에 사용자가 적합한 링 신호 발생회로에 대한 기재가 있다.
전환 호출에 대해서 일예를 든다면, 통화자 선로(12)에서의 가입자 을이 통화자 선로(12)의 가입자 갑을 호출하고자 한다면 동일한 개시 호출 및 종료 호출 과정이 사용된다. 전술한 종료 호출의 경우에 있어서, 복수 통화자 선로에서의 모든 전화가입자 전화기들(호출측도 포함)은 링 전류 또는 직류 전류가 중앙국 교환기(10)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디스에이블 되고 동시에 피호출가입자 이외의 가입자 선로가 중앙국 교환기(10)에서 링 트립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링 트립 신호는 링 호출을 종료시킨다.
링-트립 신호를 검출하면, 중앙국 교환기(10)는 통화자 선로의 신호음 수신기(118)를 작동시키도록 배터리 극성변환 과정을 재 실행하며, 호출측이나 피호출측 모두에게 인에이블 및 식별 코우드를 전송하고, 신호 전송 과정을 마친 후 선로(18)의 극성을 정상 극성으로 전환시킨다. 이것은 선로(12)를 공유하는 나머지가입자들이 디스에이블되거나 선로(12)로 액세스하는 것을 저지하는 정규 방법으로 가입자 갑과 을 사이의 통신이 수행되도록 허용된다.
다이오드(108) 양단의 캐패시터(114)는 교류 링 전류를 흐르게 하고 왜곡을 최소화한다. 인덕터(122)는 교류링 전류가 각각 송신기의 단자와 수신기회로(112) 및 (118)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송신기(112) 또는 수신기(118)가 각각 그 송신 및 수신 신호음 발생 모우드에 있을 때 인덕터(122)는 바이패스된다.
이제 제3a도 및 제3b도를 참조하면, 제2도를 참고로 기술한 복수 통화자 선로 어댑터(18)의 상세한 회로가 도시되어 있다. 제1도를 참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통화자 선로 어댑터는 가입자 선로(12)와 각 통화자 선로 가입자 서브세트 을에서 갑까지 사이의 링 접속과 전송선로 팁 사이에 개재된다. 기능적으로, 복수 통화자 선로 어댑터(18)는 선로 인터페이스회로(200), DTMF 신호 전송회로(300), DTMF신호수신회로(400)와 제어회로(500)를 포함하고 있다.
선로 인터페이스회로(200)는 가입자 선로(12)를 통해 제어 또는 지역 교환대(10)는 가는 전송로를 제공하며, 거기서 선로 인터페이스(200)는 팁(접지) 및 링 선로(202) 및 (204)에 각각 결합된다. 고로 가입자는 복수 통화자 선로(18)를 통해서 또는 직접 가입자 서브세트의 팁 및 선로에 연결되어 진다. 지역 또는 중앙국 교환기(10)는 통신이 복수 통화자 및 링 선로와 행하여 질 것인지를 선택한다. 이것은 교환기(10)에 팁 및 링 선로의 극성을 전환(배터리 전환)함에 의해 이루어진다. 정상적인 배터리 극성에 있어서, 교환기(10)는 가입자 팁(206) 및 링(208)과 각각 직접으로 교신하며 가입자 전화기 세트(210)가 울리거나 가입자가 전화호출을 개시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반전 극성에서는, 가입자 전화기(210)는 중앙국(10)으로 가는 선로(12)와 단절되고 복수 통화자 선로 어댑터(18)는 선로(12)와 연결되고 따라서 중앙국 교환대(10)에서 선로 어댑터(18)의 상태를 질문하거나 그 동작을 제어하도록 허용한다.
신호 전송기(300)는 통화자가 오프-호크 되었음을 식별하는 DTMF 톤을 발생한다. 이것은 예를들어 MOSTEK사의 톤 다이얼러 MK 5089 집적회로를 포함하는 톤 발생기(320)를 사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집적회로는 8개의 상이한 가청 정현파 주파수를 마련하기 위한 크리스탈 기 준을 사용하고, 그 상이한 주파수는 증폭기(304)에서 증폭된 DTMF 전화 신호음에 알맞는 톤으로 혼합되어 이는 선로 인터페이스회로(200)로 가는 선로(306)로 전송된다. 인터페이스회로(200)에는 코일(212)을 통해 팁 및 링 선로(202) 및 (204)에 유도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신호 수신기(400)는 선로 인터페이스(200)를 통해 교환기(10)으로부터의 식별신호를 수신하며, 직접 DTMF 수신기(402)로부터의 논리신호를 해석하기 위해 제어회로(500)로 보낸다.
제어부(500)는 신호수신기(400)로부터 논리 신호를 수신하고 여러개의 명령중에 하나로서 번역된다. 하나의 명령은 신호 전송기(300)가 오프-후크된 특수한 복수 통화자 선로 어댑터의 식별을 되돌리도록 지령한다. 제2의 명령은 가입자를 선로에 연결되게 하는 것이며 제3의 명령은 가입자를 개별 모우드로 놓게 만드는 것이다.
선로 인터페이스(200)에서의 극성 전환은 다이오드(216)를 도통되게 만든다. 다이오드(216)는 제2도의 다이오드(110)에 해당한다. 이 극성 전환은 또한 다이오드(218)가 차단상태에 있게 만든다. 이것은 팁 및 링 선로로부터 서브세트(210)를 단절시키며 변압기(212)를 통해 송신기(300)와 수신기(400)를 선로에 연결시킨다. 중앙국 교환대가 신호를 전송할 때 중앙국은 수신기(400)로 결합되며, 송신기(300)가 송신상태로 있을 때 정보는 코일(212)를 통해 결합되어 진다.
정상 전류 흐름(직류 -48의 정상 배터리 전압)은 다이오드(218)가 순방향 바이어스되고 서브세트(210)가 오프-후크되었을 때 나타난다. 오프-후크 검출기(220)는 발광다이오드(22) 통해 전류의 흐름을 검출한다.
검출기(220)는 회로보호용 제너 다이이오드, 전류 제한 저항과 음성 바이패스 캐패시터로써 구성된다. 검출이 되었을 때 제어부(500)의 포로 트랜지스터(502)를 턴온 시키고, 캐패시터(504)를 충전시킨다. 이것은 서브세트(210)가 오프-후크 되었음을 나타낸다. 중앙국 교환대는 전류가 팁 및 링 선로(202-204)에 유입되는 것을 감지함으로써 가입자가 오프-후크상태로 되었음을 인지하게 된다. 중앙국은 이때 배터리 전환동작을 한다(정상상태에서와 같은 링 선로(204)대신에 팁선로(202)에 -48볼트가 가해진다). 중앙국은 연산증폭기(406)로 가는 선로(404)를 통해 수신기(400)로 2중 톤 복합주파수(DTMF)를 전송한다. DTMF 수신기칩(402)은 예를들어 실리콘 시스템사의 DTMF 부품번호 3201 또는 ITT 마이크로 시스템즈사의 집적 DTMF 3201 수신기로써 구성될 수 있다. 수신기 칩(402)은 중앙국으로부터의 명령정보를 나타내는 16개 DTMF신호상태를 표시하는 2진수 정보를 발생시킨다.
이 명령 정보는 RCA사의 디코더 부품번호 제4514와 같은 디코더 칩(504)을 통해 제어부(500)에 결합된다. 제어부(500)는 디코더(506)로부터의 명령을 해독하며 지정된 작용을 개시한다. 명령의 예제를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1)어떠한 가입자가 오프-후크상태에 있는가 하면 식별를 위해 복수 통화자 선로 어댑터(MLA)를 질문한다.
(2)중앙국으로부터의 교신을 위해 어떤 특수한 MLA를 선택한다.
(3)MLA를 리세트(가입자가 온-후크상태일때를 아이들상태로 만드는 톤)한다.
가입자가 오프-후크상태로 된 MLA의 질문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다.
[단계 1]
중앙국은 가입자(14) 또는 (16) 중 어느 하나가 오프- 후크되었음을 감지한다. 중앙국은 그때 팁링 선로(12)에 공급되는 전류의 극성을 반전시킨다. MLA(18) 또는 (24)는 그때 명령을 수신할 수 있게 되고 다이오드(216)가 순방향 바이어스 되기 때문에 반응을 보인다.
[단계 2]
중앙국은 모든 MLA에 질문 DTMF신호를 전송하게 되고, 이 신호는 DTMF 수신기(400)의 다이오드(216) 및 변압기(21)를 통해 모든 MLA로 결합된다. 거기서 신호가 검출되고 논리신호로 전환되며 제어부(500)로 넘어가게 된다. 중앙국으로부터의 질문 신호는 예를들어 디코더(506)의 S8(핀 18)을 하이상태로 만들고 S0-S7및 S9-SF를 로우로 만든다. 게이트(512)의 어떠한 입력도 하이가 아니기 때문에 이 게이트의 출력은 하이가 되어 트랜지스터(516)와 릴레이(528)를 턴온시킨다. 릴레이가 동작됨으로서, 접점(222) 및 (224)이 개방되고 이로써 팁 및 링 선로로부터 가입자를 분리시켜 확인 과정중에 개인의 비밀을 보장하게 된다.
[단계 3]
중앙국으로부터 질문톤이 종료될 즈음에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508)가 트리거되어서 선로(510)에 논리적 하이상태를 만든다. 스위치(512)를 통한 캐패시터(504)(호출측이 오프-후크로 될 때 캐패시터(504)는 방전된다)의 논리적 하이상태와 선로(510)에서의 논리 하이상태는 DTMF 송신기(302)가 중앙국으로 호출측의 식별신호를 전송하게 만든다. 이 식별신호는 선로(306) 및 변압기(212)를 거쳐 연산증폭기(304)를 통해 중앙국으로 전송되어지는 DTMF 톤 페어이다. 스위치(512)에의 코우딩은 전송되는 DTMF 톤 페어를 선택한다.
[단계 4]
이 동일한 식별 톤은 또한 선호(404)를 통해 수신기(402)에서 수신되며, 전술한 DTMF 수신기 3201의 정상 동작에 따라서 수신기 칩(402)에서 2진수 코오드로 변환된다. 이는 디코더(506)에서 해독되고 스위치(514)중의 하나를 통해 릴레이 구동 트랜지스터(516) 릴레이(518)로 결합되어진다.
[단계 5]
호출가입자의 MLA내의 릴레이(518)는 이제힘을 잃어 접점(222) 및 (224)를 폐쇄시키고 가입자를 다시 팁 및 링 선로(202-204)에 연결시킨다. 호출가입자의 식별신호가 가입자 선로의 다른 어떠한 MLA와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개인의 통신 비밀을 보장할 수 있으며, 따라서 릴레이(518)와 같은 모든 릴레이들은 모든 MLA내에서 구동된다. 이때 접점(222) 및 (224)는 개방됨에 4따라 호출가입자쪽은 제외되며, 팁 및 링 선로로부터 제외된 모든 가입자들을 단선시키게 된다.
[단계 6]
중앙국은 배터리 전압을 정상 극성으로 복귀시키며 이는 다이오드(216)의 극성을 반전시키고 다이오드(218)를 순방향 바이어스시켜 호출가입자를 다시 연결시킴으로써 팁 및 링 선로로부터 MLA를 단절시킨다.
중앙국에서 교신을 위한 특별한 MLA의 선택과정은 다음과 같다.
[단계 1]
중앙국에서 터미널(202)에 -48V 직류 전압을 인가함으로서 배터리극성 전환을 한다.
[단계 2]
중앙국은 모든 MLA에 대해 원하는 MLA의 DTMF 식별번호를 전송한다. MLA 1호에 대해서 식별신호는 1번이고, 스위치(2)가 폐쇄된다. MLA 2호에 대해서 식별신호는 2번이고 스위치(3)가 폐쇄되는 것과 같이 동작한다. 고로 하나의 MLA만이 디코더(506)로부터 NOR 게이트(522)로 그 코우드를 통과시킨다. NOR 게이트(522)의 출력은 릴레이(518)를 오프시킴으로써 오직 원하는 가입자만을 팁 및 링 선로에 연결시키게 된다. 다른 모든 MLA는 그 대응하는 릴레이가 구동되어 접점(222) 및 (224)를 개방시킴으로써 아직 단절되어 있다.
[단계 3]
중앙국은 단자(204)에 -48V를 인가함으로 정상 배터리 극성으로 복귀된다.
[단계 4]
중앙국은 링 전류를 팁 및 링 선로로 인가하고 피호출가입자의 서브세트만을 올리게 한다. 다른 모든 서브세트들은 링 전류로부터 단절되어 있기 때문에 조용히 있다(즉, 접점(222) 및 (224)이 개방).
[단계5]
피호출가입자는 오프-후크된다. 중앙국은 링잉을 트립시키고 전술한 미합중국 특허 제4,201,891호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앙국의 스위치를 통해 음성 통로를 설정한다.
MLA명령의 리세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단계는 호출 단자에서 일어난다.
[단계 1]
호출단자에서 호출측이나 피호출측의 어느 누가 먼저 시작했는지 불문하고 중앙국은 배터리 극성 전환 동작을 한다.
[단계 2]
중앙국은 팁 및 링 선로의 모든 MLA로 가는 리세트 DTMF신호를 전송한다. 이 신호는 수신되어(402) 및 (506)에 의해 각각 디코드된다. 리세트 DTMF신호는 디코더(506)의 핀 번호 17에서 논리적 하이로 만들고 게이트(522)의 출력을 모든 MLA에서 논리로우로 만든다. 모든 MLA의 모든 릴레이(518)는 이제작용을 멈추기 때문에 모든 가입자들을 가입자 선로(12)에 재연결 시키게 된다.
[단계 3]
배터리 전압은 중앙국에서 정상 극성으로 되돌아 간다.
*완전한 전환 호출 단계는 다음과 같다.
[단계 1]
가입자(1)가 오프-후크로 된다. 이 상태는 중앙국에서 검출되며 또한 광전 트랜지스터(502) 및 광검출기(222)를 통한 MLA 1호에서 검출된다. 캐패시터(504)에 기록된다.
[단계 2]
중앙국 교환대에서 배터리 극성을 반전시킨다.
[단계 3]
중앙국은 질문 DTMF신호를 전송한다. 모든 MLA의 릴레이(518)가 구동되어 모든 가입자와 단선되며 따라서 개인의 비밀을 보장할수 있게 된다.
[단계 4]
질문 신호의 마지막에 가서 MLA 1호는 그 릴레이(518)를 해제시키게 되는 DTMF식별신호를 중앙국으로 전송한다. 이 신호는 예를들어 스위치(512)의 접점(1) 및 (5)에 의해 선택되고 그 핀은 중앙국과 DTMF 수신기(402)로 전송을 가능케 하도록 톤 발생기(302)로 결합된다.
[단계 5]
중앙국은 배터리 극성을 그 정상상태로 복귀시킨다. 가입자 1 이외의 모든 가입자들이 아직 단선되어 있다.
[단계 6]
가입자 1은 통화자 선로에서 예를들어 가입자 3과 같은 다른 가입자들을 다이얼 호출한다.
[단계 7]
중앙국은 표준 디지트 해독기계로 가입자 3이 동일한 가입자 선로에 있게 됨을 인지 한다.
[단계 8]
중앙국은 배터리 극성을 전환한다.
[단계 9]
중앙국은 DTMF식별신호 3번을 송신한다. MLA 3번은 스위치(514)의 핀(4)을 폐쇄시켜 DTMF 신호에 반응하게 되고 릴레이(518)를 해지시킨다. MLA 1번의 릴레이(518)은 작동된다.
[단계 10]
중앙국은 배터리 전압을 정상 극성으로 복귀시킨다.
[단계 11]
중앙국은 링 전류를 인가하고 오직 피호출 통화자의 서브세트만이 울린다.
[단계 12]
가입자 3번은 오프-후크되고, 중앙국은 링 호출을 트립시킨다.
[단계 13]
중앙국은 배터리 극성을 반전시킨다.
[단계 14]
중앙국은 먼저 DTMF 신호 1번을 전송한다. MLA 1번은 신호를 해독하여 디코더(506)의 핀(9)에서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이 인에이블 신호는 릴레이(518)로 결합되고, 게이트(524)와 (526)를 통해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528)로 결합된다. (528)의 출력Q는 연산증폭기(406)의 입력을 쇼트시켜 약 100밀리초동안 DTMF 수신기가 더 이상 DTMF 신호를 감지할 수 없게 만든다. 이 기간동안에 중앙국은 DTMF 식별번호 3번을 전송한다. MLA 1번은 DTMF 신호 3번이나 그외 어떤 신호를 알아 채지 못한다. 이는 입력이 쇼트되었기 때문이며 따라서 MLA 1번의 릴레이(518)는 해지된 채로 남아 있다. MLA 3번에서 식별 톤은 단계 2에 따라서 인식되며 중앙국으로부터 교신을 위해 특수한 MLA를 선택하게 된다.
[단계 15]
중앙국은 배터리를 정상 극성으로 복귀시킨다.
[단계 16]
중앙국은 배터리 전압을 가입자 선로 공급한다. 그러나 중앙국에서의 스위칭망을 통한 음성 통로를 설정하는 것은 아니다. 가입자 1번과 3번 사이의 통화는 비밀보장과 함께 이루어진다.
[단계 17]
양쪽 가입자(1번 및 3번)가 온-후크상태로 되돌아갈 때, 시스템은 중앙국에서 배터리 극성을 전환함으로써 또한, 단계 2 및 3의 과정을 통해 아이들상태로 된다.
본 발명이 양호한 실시예에 연관되어 이제까지 설명되었지만, 부가적인 실시예나 변형 또는 응용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에게 명백한 것이고 이것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한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에 포함됨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21)

  1. 전화기 서브세트가 하나 이상의 다른 전화기 서브세트와 함께 단일의 통화자 선로를 공유할 수 있게 하고, 상기 각 서브세트는 이와 연결된 유사 복수 통화자 선로 어댑터회로를 가지고 있는 복수 통화자 선로 어댑터회로에 있어서, 가입자가 오프-후크로 될 때 전류가 가입자의 팁 및 링 선로로 유입되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팁 및 선로의 극성이 전환되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과; 독특한 식별신호를 상기 팁 및 링 선로단 결합하기 위해 상기 팁 및 링 선로에의 극성 전환에 응답하는 인에이블 신호수단과; 상기 극성 전환에 응답하여 상기 모든 복수 통화자 선로 어댑터회로를 인에이블시키기 위한 수단과; 상기 극성 전환에 응답하여 상기 모든 서브세트들을 디스에이블에 시키기 위한 수단과; 상기 복수 통화자 선로 어댑터회로에서 상기 가입자 신호로 독특한 식별신호를 전송하도록 질문 신호에 응답하는 신호음 수신기와; 상기 복수 통화자 선로 어댑터회로를 인에이블 시켜 링 전류가 상기 인에이블된 복수 통화자 또는 선로 어댑터회로에서의 상기 가입자선로로부터 링 전류를 받아들일 수 있게 하는 상기 독특한 식별신호에 응답하는 수단과; 상기 식별신호를 수신하여 오직 호출측 가입자와 특별히 식별된 피호출가입자가 가입자 선로에 결합되고, 모든 그 나머지 가입자가 상기 복수 통화자 선로에의 디스에이블되어 단선됨으로써 통신의 비밀을 유지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통화회선 어댑터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의 흐름을 검출하는 수단은 중앙 또는 지역 교환대의 배터리 전압을 검출하기 위한 선로 전류 검출수단과, 상기 팁 및 링 선로의 상기 배터리 전압의 극성의 전환에 응답하여 상기 가입자 선로로부터 상기 복수 통화자 선로 어댑터를 결합 또는 격리시키는 스위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통화선 어댑터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음을 수신기는 식별 톤을 받기 위한 DTMF수신기와, 지정된 가입자와 동일함을 나타내는 수신된 DTMF신호상태의 디지털표시로 상기 톤을 변환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통화회선 어댑터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DTMF신호상태의 디지털 표현으로 된 출력을 해독하기 위한 디코더를 가진 제어수단과; 상기 가입자 서브세트를 연결하기 위한 상기 디코더의 출력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되는 릴레이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통화회선 어댑터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통화를 통해 상기 가입자 선로로 결합될 특정 가입자를 표시하는 식별 톤을 상기 신호음 전송기에서 발생하도록 선택적으로 인에이블시키기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통화회선 어댑터회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가입자가 온-후크상태로 될 때 상기 복수 통화자 선로 어댑터회로를 아이들상태로 만들기 위한 리세트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통화자 회선 어댑터회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음 전송기는 DTMF송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통화회선 어댑터회로.
  8. 상기 신호음 전송기는 다이얼 펄스 송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음 수신기는 다이얼 펄스 수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통화회선 어댑터회로.
  9. 다수의 가입자가 전화가입자 선로를 공유하고 선로를 공유하는 가입자 사이의 개인적 통신의 비밀을 보장할 수 있도록 가입자 서브세트와 중앙 또는 지역 전화 교환대 사이에 개재된 공통가입자 선로 배치의 복수 통화자 선로 어댑터회로 있어서, 공통가입자 선로로부터 선택적으로 직접 가입자 서브세트 또는 상기 복수 통화자 선로 어댑터회로를 통한 회로까지의 전송로를 제공하도록 가입자 팁 및 링 선로에 결합되는 라인 인터페이스 수단과; 상기 가입자 선로로부터 가입자 확인신호를 수신하고 또 특정 식별신호의 접수를 나타내는 디지털 논리 코우드를 발생하며, 상기 코우드는 상기 제어장치에서의 해독을 위한 제어장치로 결합되는 신호음 수신기와; 가입자와 동일함을 나타내는 독특한 식별신호를 발생하고 전송키 위해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상기 코우드의 해석에 반응하는 신호 전송기와; 상기 복수 통화자 선로 어댑터회로를 선택적으로 인에이블 및 디스에이블시켜서 호출이 진행중에 있을 때 오직 호출 및 피호출가입자가 상기 가입자 선로로 액세스하도록 다수의 명령을 발생하기 위하여 상기 신호음 수신기로부터 상기 논리신호를 디코딩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가입자 선로 배치의 복수 통화회선 어댑터회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 인터페이스수단은 가입자 서브세트가 오프-후크된 것을 검출하기 위한 선로 전류 검출수단과, 상기 팁 및 링 선로의 극성의 전환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 통화회선 어댑터회로를 상기 가입자 선로로부터 결합 또는 격리시키기 위한 스위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통화회선 어댑터회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음 수신기는 상기 라인 인터페이스 수단으로부터 식별 톤을 수신하고 또 상기 톤을 특정 가입자와 동일함을 나타내는 수신 DTMF신호음상태의 디지털표시로 변환시키기 위한 DTMF수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통화회선 어댑터회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 상기 DTMF신호음상태의 디지털표시의 출력을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 수단을 포함하고, 가입자가 오프-후크된 것과 같음을 나타내는 DTMF톤을 선택적으로 발생하기 위해 상기 신호 전송기를 인에이블시키기 위한 릴레이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통화회선 어댑터회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통화를 위해 상기 가입자 선로에 결합될 특정 가입자를 나타내는 식별 신호음을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신호음 전송기를 선택적으로 인에이블시키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통화회선 어댑터회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가입자가 온-후크로 될 때 상기 복수 통화자 선로 어댑터회로를 아이들상태로 만들기위한 리세트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통화회선 어댑터회로.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송기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통화회선 어댑터회로.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송기는 다이얼 펄스 송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음 수신기는 다이얼 펄스 수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통화회선 어댑터회로.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통화회선어댑터회로.
  18. 제10항에 있어서, 가입자가 오프-후크로 된것과 같음을 나타내는 상기 신호음은 호출측 가입자의 번호를 자동적으로 식별하기위해 중앙 또는 지역교환대에서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통화회선 어댑터회로.
  19. 상기 복수 통화자 선로 어댑터를 통한 전화 통신 시스템의 전환 호출의 실시방법에 있어서, 단계 1 : 중앙국에서 호출측 가입자가 오프-후크된 것을 검출하는 단계와; 단계 2 : 중앙국에서 배터리 전압의 극성을 반전시켜 선로에서 모든 가입자를 단절시키고 모든 복수 통화자 선로 어댑터회로를 인에이블 시킨 단계와; 단계 3 : 모든 복수 통화자 선로 어댑터회로의 신호 전송기를 인에이블시키도록 중앙국으로부터 질문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단계 4 : 호출측 가입자가 중앙국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중앙국으로 가는 식별신호를 호출측 가입자의 복수 통화자 선로 어댑터회로로부터 전송하는 단계와; 단계 5 : 중앙국에서 배터리의 극성을 정상으로 전환시켜 호출가입자가 피호출가입자를 다이얼 할 수 있도록 다른 모든 가입자를 가입자 선로로부터 단절시키는 동안 호출가입자를 가입자 선로에 연결시킨다. 호출가입자는 피호출가입자를 다이얼하는 단계와; 단계 6 : 중앙국은 피호출가입자가 호출가입자 선로에 있게 됨을 인지하는 단계와; 단계 7 : 중앙국에서 배터리 전압의 극성을 반전시키는 단계와; 단계 8 : 중앙국으로부터의 2중톤 복합 주파수 식별신호를 피호출된 가입자에게 전송하여 중앙국과 피호출가입자간의 통선로를 설정하는 단계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호출의 실시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단계 9 : 배터리 전압의 극성을 정상으로 복귀시키는 단계와; 단계 10 : 중앙국으로부터 링 전류를 피호출측 서브세트로 공급하여 복수 통화자 가입자 선로를 공유하는 다른 모든 서브세트가 울리지 않게 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호출의 실시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단계 11: 피호출된 가입자 복수 통화자 선로 어댑터회로가 상기 신호를 인식하고 그 가입자를 가입자 선로에 연결시키도록 DTMF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제단계 12 : 다른 모든 가입자가 상기 가입자 선로에서 단절되었기 때문에 호출측과 피호출측 사이의 통화가 통신의 비밀을 보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 호출의 실시방법.
KR1019840003334A 1983-06-24 1984-06-14 복수 통화회선 어댑터장치 KR9200029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507,364 US4528424A (en) 1983-06-24 1983-06-24 Multiparty line adapter with privacy feature controlled by reversal of line polarity at a central power source
US507364 1983-06-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0162A KR850000162A (ko) 1985-02-25
KR920002965B1 true KR920002965B1 (ko) 1992-04-11

Family

ID=24018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3334A KR920002965B1 (ko) 1983-06-24 1984-06-14 복수 통화회선 어댑터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4528424A (ko)
EP (1) EP0129843B1 (ko)
JP (1) JPS6016092A (ko)
KR (1) KR920002965B1 (ko)
BR (1) BR8402440A (ko)
CA (1) CA1201231A (ko)
DE (1) DE3483665D1 (ko)
ES (1) ES8601607A1 (ko)
IL (1) IL71724A (ko)
IN (1) IN161443B (ko)
MX (1) MX155197A (ko)
PT (1) PT78302B (ko)
YU (1) YU67184A (ko)
ZA (1) ZA84400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5877A (en) * 1984-06-14 1987-02-24 Harris Corporation Interface for connecting standard telephones to party lines
US4567330A (en) * 1984-06-14 1986-01-28 Harris Corporation Interface for connecting standard telephones to party lines
US4587380A (en) * 1984-06-14 1986-05-06 Harris Corporation Interface for connecting standard telephones to party lines
US4821319A (en) * 1985-04-25 1989-04-11 Alcatel Usa Corp. Single line telephone communication system
US5425089A (en) * 1992-01-27 1995-06-13 Chan; John Y. Low cost telephone caller identification device and method
JPH08125771A (ja) * 1994-10-20 1996-05-17 Nec Corp アナログ加入者線における端末選択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5699417A (en) * 1995-04-21 1997-12-16 Cidco Incorporated Text transmission using DTMF signalling
EP0910915B1 (en) * 1996-07-11 2003-11-12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Cordless telephone apparatus with identification of the individual handsets
DE69725578T2 (de) 1996-07-11 2004-07-29 British Telecommunications P.L.C. Telefonvorrichtung
US6044149A (en) * 1997-03-05 2000-03-28 Shaham; Israel Device for detecting DTMF tones
US7149514B1 (en) 1997-07-30 2006-12-12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 Cellular docking station
US20080207197A1 (en) 1997-07-30 2008-08-28 Steven Tischer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interfacing devices with communications networks
US6411802B1 (en) 1999-03-15 2002-06-25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rporation Wireless backup telephone device
US6647114B1 (en) 1999-05-14 2003-11-11 Conexant Systems, Inc. Telephone line interface circuit with virtual impedance
US6584196B1 (en) 1999-05-14 2003-06-24 Conexant Systems, Inc. Electronic inductor with transmit signal telephone line driver
US6731749B1 (en) 1999-05-14 2004-05-04 Conexant Systems, Inc. Telephone line interface circuit with intelligent line current and voltage control
US6853723B1 (en) * 1999-10-12 2005-02-08 Intel Corporation High impedance polarity detector
US7120454B1 (en) * 2001-12-26 2006-10-10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 Auto sensing home base station for mobile telephone with remote answering capabilites
KR100438055B1 (ko) * 2002-05-07 2004-07-02 (주) 아원 동시통화방지 아답터
US8543098B2 (en) 2002-07-15 2013-09-2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ely providing communications between devices and networks
US8000682B2 (en) 2002-07-15 2011-08-1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and method for restricting access to data
US8554187B2 (en) 2002-07-15 2013-10-0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and method for routing communications between networks and devices
US8416804B2 (en) 2002-07-15 2013-04-0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s between devices
US8526466B2 (en) 2002-07-15 2013-09-0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and method for prioritizing communications between devices
US8275371B2 (en) 2002-07-15 2012-09-2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mmunications and connection-oriented services to devices
US7200424B2 (en) 2002-07-15 2007-04-03 Bellsouth Intelectual Property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restricting the use and movement of telephony devices
US8144693B1 (en) 2005-09-22 2012-03-27 Verizon Services Organization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elemetry, verification and/or other access in a SIP-based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22990B (de) * 1962-09-14 1966-08-18 Siemens Ag Schaltungsanordnung fuer Gesellschaftsleitungen in Fernmelde-, insbesondere Fernsprechanlagen
US3688050A (en) * 1970-10-26 1972-08-29 Stromberg Carlson Corp Telephone set identification system using reverse polarity interrogation signal
CA1200036A (en) * 1978-03-13 1986-01-28 Guido Panizzon Partyline subscriber interface circuit
JPS55149590A (en) * 1979-05-09 1980-11-20 Nec Corp Communication system of branch line
HU195713B (en) * 1980-04-29 1988-06-28 Tavkoezlesi Kutato Intezet Service and industrial telephone equipment to a network stringed to line for alternative or exclusive selective traffic
DE3035308C2 (de) * 1980-09-18 1985-10-17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Schaltungsanordnung für Fernmeldeanlagen, insbesondere Fernsprechanlagen, mit Zweieranschlüss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533597A0 (es) 1985-10-16
JPS6016092A (ja) 1985-01-26
KR850000162A (ko) 1985-02-25
CA1201231A (en) 1986-02-25
EP0129843B1 (en) 1990-11-28
DE3483665D1 (de) 1991-01-10
PT78302B (en) 1986-05-21
IL71724A (en) 1987-10-30
EP0129843A2 (en) 1985-01-02
IN161443B (ko) 1987-12-05
EP0129843A3 (en) 1988-04-20
PT78302A (en) 1984-04-01
MX155197A (es) 1988-02-01
ZA844006B (en) 1985-01-30
BR8402440A (pt) 1985-04-02
YU67184A (en) 1988-02-29
US4528424A (en) 1985-07-09
IL71724A0 (en) 1984-09-30
ES8601607A1 (es) 1985-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2965B1 (ko) 복수 통화회선 어댑터장치
US497247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rivacy/security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0196492B1 (ko) 보안 액세스 전화 내선 시스템 및 방법
CA1089134A (en) Telephone station set interface circuit
KR100190260B1 (ko) 키 전화기 인터페이스
US3920902A (en) Off-premises station line circuit for a key telephone system
EP0088786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signaling the transmission mode of a communication system
US3639692A (en) Subscriber terminal unit for telephone carrier system
US4410982A (en) Arrangement for extending digital signaling to telephone subscribers' substations
JP2805724B2 (ja) 電話交換装置
US3714380A (en) Control arrangement for directionalizing audio transmission
JPS61166271A (ja) 網制御回路
JPS60146563A (ja) 限定着信方式
GB2100957A (en) Call diverter
AU63800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rivacy/security in a communications system
JPH0420318B2 (ko)
JPS62269463A (ja) 自動交換機の発呼者情報通知方式
JPS5919674B2 (ja) 加入者回路
JPH05122329A (ja) 電話交換システム
JPH01251991A (ja) ボタン電話装置
JPS62114397A (ja) 電話交換装置
JPH09135305A (ja) 専用回線伝送方式
JPH05153042A (ja) システムコードレス電話における秘話制御方式
JPS63110864A (ja) 端末機器選択接続装置
JPH0252545A (ja) 有線無線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