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657Y1 - 연탄 적재시의 적재위치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연탄 적재시의 적재위치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657Y1
KR920000657Y1 KR2019880010791U KR880010791U KR920000657Y1 KR 920000657 Y1 KR920000657 Y1 KR 920000657Y1 KR 2019880010791 U KR2019880010791 U KR 2019880010791U KR 880010791 U KR880010791 U KR 880010791U KR 920000657 Y1 KR920000657 Y1 KR 9200006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quettes
wire
sensor
loading position
briqu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07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2938U (ko
Inventor
김의근
Original Assignee
대성산업 주식회사
김의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산업 주식회사, 김의근 filed Critical 대성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107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0657Y1/ko
Publication of KR9000029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9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6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6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4Loading land vehicles
    • B65G67/14Loading hardened bricks, briquett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03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from ab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연탄 적재시의 적재위치 감지 장치
제1도는 실시상태를 나타내는 본 고안의 정면 구성도.
제2도는 롤러에 의하여 안내되는 와이어의 진행방향을 나타내기 위한 개략 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 사시도.
제4도는 연탄적재 리프팅 장치의 공기기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구동로울러 2,2' : 지지로울러
3,3'.4,4',5,5' : 안내로울러 6 : 와이어
7 : 센서브라켓 10 : 광센서
본 고안은 차량에 연탄을 자동으로 적재하는 장치 중 콘베이어를 통하여 이송된 연탄을 플레이트 상에 정열시킨 후, 리프터를 이용하여 차량에 적재시킴에 있어서, 적재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 감지 장치를 개량한 것으로, 적재위치를 광센서를 이용하여 감지케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인의 선출원 특허등록 제29903호 1989년 공고 제 1401호 구성에는 연탄 적재시의 위치감지가 리미트 스위치를 이용한 것으로써,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메인 프레임상에 수직으로 안착된 피드프레임(A)의 내면에 랙(B)을 설치하여, 직사각형의 리프팅 프레임(C)에 축으로 설치된 상, 하 각 2개씩의 피니언(D)이 치합되게 하였으며, 상기한 랙(B)의 직하부로는 연탄 2장 높이의 간격으로 된 3개의 리미트 스위치(LM)를 부착시킨 것으로, 리프팅 프레임(C)을 하강시켜 플레이트(E)를 적재 위치에 근접시키면, 제어부에서 피드 프레임(A)의 하부벽에 부착된 3개의 리미트 스위치 중 2개를 제외한 하단의 리미트 스위치(LM)에 동작이 걸리도록 설정하고, 리프팅 프레임(C)을 좀더 하강시켜 이에 접촉되는 순간 리프팅 프레임(C)이 정지되고, 리프팅 프레임(C)이 정지된 위치는 바닥면에 도달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를 플레이트(E)상에 정열된 연탄을 밀어내어 바닥면에 적재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동작이 3단까지 반복하여 리미트 스위치(L)의 동작을 차례로 행함으로써 연탄이 3단 높이로 적재케 되는 데, 1단 높이는 연탄 2장 높이므로 6장 높이로 적재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리미트 스위치를 이용한 연탄의 적재위치 감지장치에는 몇 가지 문제점이 내재되는 것으로 첫째 : 기계적인 장치, 즉 랙 및 피니언에 의해 리프팅 프레임을 승, 하강케 하여 리미트 스위치의 접점에 접촉케 하므로, 랙 및 피니언이 마모되어 치합 불량 상태가 되면 리미트 스위치 접점과의 접촉 불량이 야기될 우려가 있어 감지 상태가 양호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고 둘째 : 연탄 2장 높이의 3단계 리미트 스위치를 이용하므로 적재 높이가 3단 높이, 즉 연탄 6장 높이로 제한되면서, 셋째 : 3단계 리미트 스위치를 제어부에서 통제토록 하기 위한 회로의 구성이 복잡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려는 것으로써, 플레이트의 승, 하강장치는 별도의 장치로 동작하게 하고 감지장치 자체는 안내롤러에 의해 안내되는 와이어로 승, 하강케 하되, 특히 광센서를 이용하여 감지케 하므로 감지상태를 양호하게 하려는 것과, 연탄의 적재 높이에 제한을 두지 않으려는 것 및 광센서를 이용하므로써 제어부에서 통제되는 회로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려는 것으로써 광센서를 부착한 양측 센서 브라켓의 상, 하부에 모타의 구동로울러 및 다수의 안내로울러에 의해 이동을 하는 와이어를 부착하고, 와이어에 부착된 센서 브라켓은 가이드바를 따라 승, 하강케 한 것이다.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중앙부에 설치된 정, 역회전용 모타(M)의 구동로울러(1) 양측에 지지로울러(2)(2')를 축설하고, 상기 지지로울러(2)(2')의 양변으로 약간의 높이 차이가 있는 안내로울러(3)(4)(3')(4')를 경사지게 축설하였으며, 하부 가이드바(9) 하단에 안내로울러(5)(5')를 축설하여 와이어(6)를 연접시켜 이동되게 하되, 상기 와이어(6)를 센서 브러켓(7)의 상, 하에 형성된 보스(8)(8')에 고정시키고 보스 (8)(8')는 양측 가이드바(9)에 유설되게 하였으며, 센서 브라켓(7)에는 광센서(10)를 부착시킨 구성이다.
미 설명부호 (11)은 플레이트, (12)는 모타(M) 브라켓, (13)은 가이드바 지지 브라켓 이다.
또한 K는 연탄을 표현한 것이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모타(M)에 전원을 인가하면 구동로울러(1)가 구동되어지면서 와이어(6)를 연동케 하는 데, 와이어(6)는 구동로울러(1) 양측의 지지로울러(2)(2')에 의해 지지 안내되어 안내 로울러(3)(4)(3')(4')를 따라 하단 안내 로울러(5)(5')에 연결 이동되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와이어(6)를 상, 하부에 고정시킨 보스(8)(8')는 일체의 센서 브라켓(7)을 상, 하 이동시킨다.
따라서 보스(8)(8')는 가이드바(9)를 따라 승, 하강케 되는 것이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모타(M)를 정회전시키면 제2도 실선 화살표 방향으로 와이어(6)가 이동어지면서 이에 고정된 센서블라켓(7)의 보스(8)(8')가 가이드바(9)에 유착되어서 상기 와이어(6)의 작용에 따라 하강되어 적재함 위치에 근접된다.
이때 제어부(도시안됨)에서는 양측 광센서(10)를 동작케 하여 광센서(10)에 몸체의 감지됨이 없으면 모타(M)의 동작을 멈추게 하고, 별도 동작인 플레이트(11)를 하강시켜 적재할 위치의 바닥면에 근접시켜 플레이트(11)상에 정열된 연탄(K)을 풋서로 밀어내어 적재되게 한 후, 플레이트(11)는 다시 상승시켜 이송된 연탄을 플레이트(11)상에 다시 정열시킨 후, 모타(M)을 역회전시켜 와이어(6)를 점선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케 하면 하강된 센서 블라켓(7)의 보스(8)(8')는 가이드바(9)를 따라 점차 상승하게 되는 데, 이때 제어부에서는 광센서(10)를 동작케하여 센서 브라켓(7)이 상승되면서 광센서(10)가 물체를 계속 감지하다가 감지됨이 없으면 다시 모타(M)의 동작을 멈추게 하고, 플레이트(11)를 하강시켜 물체(먼저 적재된 연탄) 위치에 근접케 하여 풋서로 정열된 연탄(K)을 밀어 그 위에 적재시키게 되는 것이며, 상기한 동작을 계속 반복하면서 적재함에 연탄을 높다랗게 적재시키는 것이다.
이 같은 본 고안은 센서 브라켓이 가이드바를 따라 이동 될 수 있는 거리만큼 높은 적재가 가능하고 또한 플레이트 승, 하강과 센서 브라켓의 승, 하강 동작이 각기 별개의 작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선출원 특허의 하나의 동작으로 승, 하강 및 감지함에 따른 기계적인 불량 요인을 제기하였으며, 특히 광센서를 이용하여 물체를 감지하므로써 감지 상태가 정확하고, 제어부에서 통제되는 회로의 구성이 간단하므로 고장율이 적어지며, 또한 고장시에도 고장 원인을 쉽게 발견할 수 있어 이에 따른 작업성이 향상되는 등 다수의 괄목할 만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통상의 정, 역회전용 모타(M)에 구동로울러(1)를 축설하고 양측에 지지로울러(2)(2')와 약간의 높이 차이가 있는 안내로울러(3)(4)(3')(4')를 경사지게 축설하고, 하단부 안내로울러(5)(5')와 와이어(6)를 연접시켜 이동되게 하되, 와이어(6)의 양측에 보스(8)(8')을 구성한 센서 브라켓(7)에 고정하여 상기 보스(8)(8')를 가이드바(9)에 유설시켜 센서 블라켓(7) 하부에 광센서(10)를 장치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연탄 적재시의 적재위치 감지 장치.
KR2019880010791U 1988-07-01 1988-07-01 연탄 적재시의 적재위치 감지 장치 KR9200006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0791U KR920000657Y1 (ko) 1988-07-01 1988-07-01 연탄 적재시의 적재위치 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0791U KR920000657Y1 (ko) 1988-07-01 1988-07-01 연탄 적재시의 적재위치 감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2938U KR900002938U (ko) 1990-02-07
KR920000657Y1 true KR920000657Y1 (ko) 1992-01-20

Family

ID=19277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0791U KR920000657Y1 (ko) 1988-07-01 1988-07-01 연탄 적재시의 적재위치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065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2938U (ko) 199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17718A (zh) 一种自动化卸载升降机构
US20230226944A1 (en) Battery swapping method
JP4978778B2 (ja) 物品搬送装置
US6179541B1 (en) Transfer device for lumber packs and other loads
CN108706350A (zh) 一种可行走带板料定位功能的升降拆垛台车
KR920000657Y1 (ko) 연탄 적재시의 적재위치 감지 장치
KR20090073484A (ko) 판유리용 방향전환장치
JPH092799A (ja) リフト装置
JP2712901B2 (ja) 昇降装置
JP3183379B2 (ja) 移動車の荷移載装置
JP2903983B2 (ja) コンベヤ装置
JP4331316B2 (ja) 自動倉庫における荷の移載位置検出装置
JPH06156628A (ja) スタッカクレーン
KR970002461Y1 (ko) 승강횡행식 주차설비의 승강팔렛트 상하한정위치 정지장치
JP4257590B2 (ja) 昇降式の物品搬送装置
JPH05229607A (ja) スタッカクレーン
CN220097412U (zh) 托盘叠盘机
KR102162092B1 (ko) 메쉬망 정렬장치 및 이를 구비한 메쉬망 이송로봇
KR100992518B1 (ko) 패널 자동투입기
CN220164865U (zh) 物品提升输送系统
CN219442564U (zh) 一种硅片收片机构及收片装置
CN215591794U (zh) 一种货盘升降输送机
JPH1120939A (ja) 版材積層体の搬送装置
KR20130082027A (ko) 밸트, 롤러 컨베이어와 승강 장치를 이용한 판넬의 낙하식 적재장치
JP3067446B2 (ja) パレット偏芯荷重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12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