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312B1 - N-글리코실화 카복스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N-글리코실화 카복스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312B1
KR920000312B1 KR1019830001562A KR830001562A KR920000312B1 KR 920000312 B1 KR920000312 B1 KR 920000312B1 KR 1019830001562 A KR1019830001562 A KR 1019830001562A KR 830001562 A KR830001562 A KR 830001562A KR 920000312 B1 KR920000312 B1 KR 920000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cal
octadecyl
glucopyranosyl
carbon atoms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1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4761A (ko
Inventor
스태드러 피터
록크호프 오스왈드
오피츠 한스-게오르그
살러 크라우스
Original Assignee
바이엘 아크티엔 게젤샤프트
귄터 피터츠, 하인츠-게르트 뮐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엘 아크티엔 게젤샤프트, 귄터 피터츠, 하인츠-게르트 뮐러 filed Critical 바이엘 아크티엔 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840004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4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3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3/00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esterified by carbonic acid or derivatives thereof, or by organic acids, e.g. phosphonic acids
    • C07H13/02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esterified by carbonic acid or derivatives thereof, or by organic acids, e.g. phosphonic acids by carboxylic acids
    • C07H13/04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esterified by carbonic acid or derivatives thereof, or by organic acids, e.g. phosphonic acids by carboxylic acids having the esterifying carboxyl radicals attached to acyclic carbo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4Immunostimu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3/00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esterified by carbonic acid or derivatives thereof, or by organic acids, e.g. phosphonic acids
    • C07H13/02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esterified by carbonic acid or derivatives thereof, or by organic acids, e.g. phosphonic acids by carboxylic acids
    • C07H13/04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esterified by carbonic acid or derivatives thereof, or by organic acids, e.g. phosphonic acids by carboxylic acids having the esterifying carboxyl radicals attache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H13/06Fatty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5/00Compounds containing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hetero atoms of saccharide radicals
    • C07H15/02Acyclic radicals, not substituted by cyclic structures
    • C07H15/12Acyclic radicals, not substituted by cyclic structures attached to a nitrogen atom of the saccharide radic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Hydrogenated Pyridin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N-글리코실화 카복스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면역계의 항체 합성 증가 작용과 숙주의 선천적인 비특이적 방어 강화 작용을 갖는 하기 일반식(Ⅰ)의 N-글리코실화 카복스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상기식에서, R1은 수소 또는 임의로 치환된 직쇄 또는 측쇄의 포화되거나 단일 또는 다중 불포화된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 라디칼로서, 5개 이하, 바람직하게는 1 또는 2개의 O,S 및/또는 N으로 차단될 수 있다.(단, R2가 탄소수 10내지 20의 알킬을 나타낼 경우-COR1은 탄소수 1내지 5의 아실 그룹을 나타내지 않는다.)
이 쇄가 N으로 차단될 경우, 질소는 H이거나 C1-C20, 바람직하게는, C1-C5의 알킬 라디칼, 또는 C1-C20, 바람직하게는, C1-C5의 -CO- 알킬 라디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R1은 탄소수 1 내지 21, 바람직하게는 9내지 21의 알킬 또는 알케닐 라디칼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될 수 있는 포화 리디칼의 예에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n-펜틸, n-헥실, n-헵틸, n-옥틸, n-노닐, n-데실, n-운데실, n-도데실,n- 트리데실, n-테트라데실, n-펜타데실, n-헥사데실, n-헵타데실, n-옥타데실, n-노나데실, 도코실, 에틸펜틸, 메틸데실, 이소프로필데실 및 메틸트리데코실이 있다.
불포화 라디칼의 예에는 에틸렌, 프로펜-1-일, 프로펜-2-일, 이소부테닐, 부텐-1-일, 부텐-2-일, 1-펜테닐, 2-펜테닐, 3-펜테닐, 4-펜테닐, 1-헥세닐, 2-헥세닐, 3-헥세닐, 4-헥세닐, 5-헥세닐, 1-데세닐, 5-데세닐, 9-데세닐, 8-헵타데세닐, 1,3-부타디에닐, 1,3-펜타디에닐, 1,4-펜타디에닐, 2,4-펜타디에닐, 8,11-헵타칸디에닐 및 8,11,14-헵타데칸트리에닐이 있다. 일반적으로 장쇄 불포화 라디칼이 바람직하며, 특히 탄소수 7내지 21의 탄일 또는 이중 불포화 알케닐이 바람직하다.
불포화 탄화수소 라디칼은 순수한 시스 또는 트란스 이성체로서 또는 이성체들의 혼합물로서 존재할 수 있다.
일반식(Ⅰ)에서 탄화수소 라디칼 R1이 O,S 및 N 또는 상응하는 원자단으로 차단되거나 이들 원자들을 포함하는 그룹 또는 할로켄 원자로 치환된 경우의 예로는, 메톡시에틸, 2-(2-메톡시에톡시)-에틸, 2-[2-(2-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 하이드록시 헵타데세닐, 옥소부틸, 아미노데실, N-메틸아미노데실, β-하이드록시트리데실 또는 머캅토에틸 라디칼이 있다.
일반식(Ⅰ)의 탄화수소 라티칼 R1은 또한 페닐 라디칼을 포함할 수 있고, 이 페닐 라디칼은 니트로, 저급 알킬중에서 선택된 1 내지 3개의 치환체 또는 1 내지 5개의 할로겐 원자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일반식(Ⅰ)에서 R2는 수소 또는 탄소수 30이하의 직쇄 또는 측쇄의 포화되거나 단일 또는 다중 불포화된 알킬, 사이클로알킬, 알킬사이클로알킬 또는 아르알킬 라디칼을 나타내며, R2라디칼에서 각각의 메틸렌 또는 메탄 그룹은 5개 이하의 산소 또는 항원자 또는 N,NH 또는 N-저급 알킬 그룹으로 치환될 수 있다. 알킬, 사이클로알킬 또는 아르알킬 라디칼중 개개의 수소 원자는 5개 이하의 산소-함유 라디칼 또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될 수 있다.
일반식(Ⅰ)의 R2가 직쇄 또는 측쇄의 임의로 단일 또는 다중 불포화된 알킬 라디칼을 나타내는 경우의 예는 R1에서 언급된 바와 같다.
특히, 메틸, 프로틸, 헥실, 데실, 운데실, 도데실, 트리데실, 테트라데실, 펜타데실, 헥사데실, 헵타데실, 옥타데실, 노나데실, 도코실, 미리실, 에틸헥실, 이소부틸, 프로페닐, 옥테닐, 헥사디에닐, 도코데실, 디메틸헥세닐 및 2-(사이클로헥실)-에틸을 언급할 수 있다. 불포화 탄화수소는 순수한 시스 또는 트란스이성체로서 또는 이들 이성체의 혼합물로서 존재할 수 있다. 산소 원자를 포함하는 그룹으로 치환된 탄화수소 라디칼 R2의 예에는 하이드록시프로필 및 하이드록시디메틸이 있고, 산소 원자에 의해 차단된 탄화수소 라디칼의 예에는 알콕시알킬 라디칼 또는 (알콕시알콕시)알킬 리디칼(예 : 메톡시부틸 또는 부톡시프로필 또는 에톡시에톡시에틸)이 있고, N과 O로 차단된 라디칼의 예에는 2-(N-모르폴리노)-에틸이 있으며, 트리플루오로메틸에틸은 할로겐으로 치환된 탄화수소 라디칼의 예로 언급될 수 있다.
일반식(Ⅰ)에서 R2의 정의중 아르알킬에는 예를들어, 벤질, 펜에틸 또는 페닐헥실과 같은 아릴-저급-알킬이 있고, 페닐 핵은 저급알킬, 트리플루오로메틸, 할로겐, 하이드록시 또는 저급 알콕시에 의해 임의로 1내지 수회, 바람직하게는 1 또는 2회 치환될 수 있다.
저급 알킬 또는 알콕시는 1 내지 5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킬 또는 알콕시 라디칼을 의미한다.
일반식(Ⅰ)에서, Z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에서 항상 아노머 탄소 원자를 통해 아미드 질소에 결합되는 글리코실 라디칼을 나타내고, 본 발명에 따른 글리코실 라디칼은 단당류, 아당류 및 올리고 당류 라디칼, 특히, 단당류와 이당류를 포함하며, 이때 하나 이상의 아이드록실 그룹은 임의로 아미노 그룹, 아실아미노그룹, 아지도 그룹, 수소, 니트로, 티올 그룹 또는 저급 알콕시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될 수 있고, 또한 글리코실 라디칼은 상응하는 유로즈, 유로즈 유도체, 유론산 또는 유론산 유도체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일반식(Ⅰ)에서 글리코실 라디칼 Z는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피라노실 또는 푸라노실 형태로 존재하고, 관련되는 단당류, 이당류 또는 올리고 당류 라디칼은 4탄당, 5탄당, 6탄당 및 7탄당의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단당류 라디칼의 예에는 글루코피라노실, 갈락토피라노실, 만노피라노실, 글루코푸라노실, 리보푸라노실, 아라비노피라노실 또는 릭소피라노실 또는 D-글리세로-D-글루코헵토피라노실 라디칼이 있다. 언급될 수 있는 이당류와 올리고 당류 라디칼의 예에는 말토실, 말트로트리오실, 말토테트라오실, 락토실, 셀로비오실, 멜리비오실 또는 6-O-(α-또는 β-리보푸라실)-글루코피라노실 라디칼이 있고, 탄소수가 다른 당류로 구성된것을 탄화수소계라하고, 여기서 당류는 피라노즈 및/또는 푸라노즈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개개의당을 구성하는 원소들 사이의 배당체 결합은 α- 및/또는β-형태로 존재할 수 있고, 개개 당의 구성 원소들 사이의 배당체 결합은 1급 OH 그룹과 아글리콘으로서 작용하는 당 부분의 2급 OH 그룹중의 하나를 통해 아노머 탄소 원자로부터 생길 수 있다.
하나 이상의 OH 그룹이 아미노 그룹, 아실아미도 그룹, 아지도 그룹, 수소, 니트로 그룹, 티올 그룹, 저급 알콕시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된, 단당류, 이당류 및 올리고 당류 라디칼의 예에는 2-아세틸아미도-2-데옥시글루코피라노실, 2-아미노-2-데옥시글루코피라노실, 4-아지도-4-데옥시 글루코피라노실, 4-스테아로일아미도-4-데옥시-D-글루코피라노실, 4-도데코일아미도-4-데옥시-D-글루코피라노실, 6-헥사데카노일아미도-6-데옥시-D-갈라토피라노실, 2,6-디아미노-2,6-디데옥시글루코피라노실, 6,6′-디아미노-6,6′-디데옥시말토실, 6-아미노-6,6′-디데옥시락토실, 6-데옥시만노피라노실, 2-데옥시리보푸라노실, 푸코실, 5-플루오로-5-데옥시 리보푸라노실, 6-O-메틸글루코피라노실, 6-데옥시-6-티오글루코피라노실 및 3-데옥시-3-니트로 갈락토피라노실이 있다.
글리코실 라디칼이 우론산 또는 우론산 유도체의 형태로 존재할 경우, 글리코실 라디칼은 유리 카복실 그룹 또는 알킬로 에스테르화된 카복실 그룹을 포함하는 글리쿠론산 또는 비치환 되거나 치환된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글리쿠론아미드 유도체이다. 적당한 당의 예에는 갈락투론산, 메틸 글루쿠로네이트, 글루쿠론아미드 또는 N-도데실글루쿠론아미드가 있다.
일반식(Ⅰ)의 화합물은 여러개의 키랄 탄소 원자를 포함하며, 광학적으로 순수한 디아스테레오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Ⅰ)의 화합물은 카복스아미드 또는 N-알킬화 또는 N-아르알킬화된 카복스 아미드이고, 각각은 아미드 질소상에 N-배당체 결합으로, 즉 아노머 탄소 원자를 통해 결합된 단순하거나 변형된 단당류, 이당류 또는 올리고 당류 라디칼을 포함한다.
특히, 실시예 12, 13, 14, 15, 16, 18, 20, 24, 26, 34, 35, 36, 38, 40, 41, 43, 44, 46, 47, 49, 50, 51, 54, 55, 56, 57 및 58에 기재한 화합물들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일반식(Ⅰ)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일반식(Ⅰ)의 Z에 포함된 당은 유리된, 즉 보호되지 않은 형태이거나 보호되고 임의로 활성화된 유도체 형태로 유리형태이거나 적당한 산 부가염의 형태인 아미노화합물 R2-NH2(R2는 상술된 의미를 가짐)와 반응시키고, 이렇게 수득된 글리코실아민을 아실화 반응에서 통상적인 활성화된 카복실산 유도체로 아실화시키는데, 이때 경우에 따라 작용기를 보호시키고, 경우에 따라 이렇게 수득된 반응 생성물에 존재하는 보호 그룹을 제거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Ⅰ)의 화합물이 수득되며, 필요한 경우, 크로마토그라피, 재결정 또는 추출 등과 같은 방법으로 정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의 제1제조단계에서는 비차단된 당 Z-OH(OH는 아노머 하이드록실 그룹을 나타내고, Z는 일반식(Ⅰ)에서와 동일한 의미를 가짐)를 자체가 공지된 방법으로 적저란 용매하 또는 용매의 부재하에, 필요에 따라서는 촉매의 존재하에, 0°내지 80℃의 온도에서 관련 아민 R2-NH21내지 10당량과 반응시키고, 후처리 후, 관련된 글리코실아민 Z-NH-R2가 대개 무정형 또는 결정형의 고체 또는 점성의 시럼으로서 고수율로 수득된다.
그 다음, 제2제조 단계에서는, 글리코실아민 Z-NH-R2를 일반식 R1-CO-X[이때, R1은 상기 정의된 의미를 가지며, X는 할로겐 또는 아실화 반응에서 통상적인 이탈 그룹, 바람직하게는 활성화된 에스테르라디칼, 또는 그룹 O-CO-(O)n-R1(이때, R1은 상기 저의한 바와 같으며, n은 0 또는 1이다)을 나타낸다]의 카복실산 유도체 1내지 10당량과 반응시키는데, 이 반응은 임의로 염기의 존재하에 0°내지 50℃의 온도에서 유기 또는 수성 유기 용매중에서 수행하며, 반응 완결후 반응 생성물은 일반적인 방법으로 후처리한다.
탄수화물 라디칼 Z에 하나 이상의 유리 아미노 그룹이 존재하는 경우, 이들은 R2-NH2와 반응시키기 전에 그 자체가 공지된 방법으로 아미노 보호 그룹을 제공해준다.
적합한 아미노 보호 그룹은 통상 당 및 펩타이드 화학[참조 : HOUBEN-WEYL Methoden der Organischen Chemie(Methods in Organic Chemistry), Volum XV, Georg Thieme Verlag, Stuttgart, 1974]에서 사용되는 그룹으로서, 한편으로는 제시된 반응 조건에서 안정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관련 N-배당체의 제조 및 후속되는, 상기 언급한 의미의 R1을 갖는 카복실산 유도체 R1-CO-X로 아실화된 후, 다시 일반식(Ⅰ)의 목적하는 최종 생성물이 수득되도록 선택적으로 절단될 수 있는데, 즉 절단된 후 일반식(Ⅰ)의 최종 생성물에 아실아미노 그룹이 포함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예로서는 B가 트리클로로메틸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을 나타내는 유형
Figure kpo00002
의 아실 그룹 또는 E가 예를 들어 트리클로로에틸 또는 3급 부틸을 나타내는 유형
Figure kpo00003
의 아실 그룹 또는 G가 페닐, 치환된 페닐[치환된 페닐은 질소, 저급알킬 또는 1내지 5개의 할로겐 원자(바람직하게는, 염소 원자)중에서 선택된 1내지 3개의 치환제로 치환된 페닐 라디칼을 나타낸다]또는 디-또는 트리페닐메틸을 나타내는 유형 -S-G의 설페닐 그룹이 있다. 이들의 예로는 2,4,5-트리클로로 페닐설페닐 및 o-니트로페닐설페닐 라디칼이 있다.
아미노 화합물에 이들 보호 그룹을 도입한 후 목적하는 아미노 그룹을 분할 유리시키는 것이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들면 상기 인용한 참고 문헌에 기술되어 있다.
하나 이상의 유리 아미노 그룹이 글리코실 라디칼 Z에 존재하는 일반식(Ⅰ) 화합물의 제조방법의 또다른 실시태양에 의하면, 아미노 그룹(들)이 먼저 아지도 라디칼 형태, 즉 보호된 형태로 존재하는 당 유도체 Z-OH가 출발물질로서 사용된다. 일반식(Ⅰ) 화합물 제조의 마지막 단계에서, 이 아지도 그룹은 자체가 공지된 방법으로 환원적으로 아미노 그룹으로 전환되는데, 이때, 환원제로서는 분자내에 존재할 수 있는 환원에 민감한 다른 그룹을 공격하지 않는 환원제를 사용하도록 주의해야 한다.
적합한 아지도 당류 및 그 제법이 공지되어 있다(참고예 : Methods in Carbohydrate Chemistry, Vol.Ⅰ, 242-246, Academic Press, 1962 New York and London). 수소화물 공여체, 예를들어 붕산나트륨 또는 리튬 알라네이트, 메탄올/암모니아/피리딘중 촉매적으로 여기된 수소 또는 트리페닐포스틴 또는 황화수소 또는 양자성 용매중의 머캅탄 등이 환원에 사용될 수 있다.
통상 사용되는 모든 유기 용매, 바라직하게는, 저급 알칸올 뿐만 아니라 물 또는 수용성 알칸올도 용매로서 사용될 수 있다.
반응은 임의적으로 유기산(예 : 아세트산) 또는 무기산(예 : 황산)의 첨가와 함께, 또는 유기염기(예 : 피리딘) 또는 무기염기(예 : 암모니아)의 첨가와 함께 수행한다. 반응은 임의로 승압 및/또는 불활성 기체하의 0°내지 40℃의 온도에서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Ⅰ)의 최종 생성물의 탄수화물 부분 Z중 하나 이상의 OH그룹이 하나 이상의 아실아미도 그룹으로 치환된 경우, 당류 Z-OH는 상응하는 아실아미도 당류의 형태로 처음부터 사용된다. 그 다음, 아실아미도 당류를 상기 언급된 아민과 아노머 중심에서 먼저 반응시켜 상응하는 아실아미도 글리코실아민을 수득하고, 두번째 반응 단계에서 당부분의 c-1 아미노 그룹에서 아실화시켜 일반식(Ⅰ)의 N-(아실아미도글리코실)-아미드를 수득한다.
Z가 하나 이상의 아실아미노 그룹으로 치환된 당 라디칼을 나타내는 일반식(Ⅰ) 화합물을 제조하는 또다른 방법은 아노머 탄소 원자가 아닌 다른 탄소 원자 상에 아미노 그룹을 가지는 아미노데옥시 당을 일반식 R2-NH2의 아민과 반응시켜 (아미노데옥시글리코실)아민을 수득한 다음, 두 번째 반응 단계에서 2회 또는 경우에 따라서 수회 아실화시켜 하기 일반식(Ⅰ)의 N-(아실아미도글리코실)아미드를 수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Figure kpo00004
더욱이, Z가 하나 이상의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유형
Figure kpo00005
또는 -S-G의 일시적인 아미노 보호그룹(들)에 의해 차단된 아미노당을 나타내는 일반식(Ⅰ)의 유도체에 있어서, 일시적인 아미노 보호 그룹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거시켜 상응하는 N-(아미노데옥시글리코실)아미드를 수득한 다음, 활성화된 카복실산 유도체와 반응시켜 상응하는 하기 일반식(Ⅰ)의 N-(아실아미도글리코실)아미드를 수득함으로써 Z가 하나 이상의 아실아미도 그룹으로 치환된 당 라디칼을 나타내는 일반식(Ⅰ)화합물을 수득할 수 있다.
Figure kpo00006
일반식(Ⅰ)의 N-(아실아미도글리코실)아미드의 또 다른 제조방법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일반식(Ⅰ)의 N-(아지도글리코실)아미드를 반응시켜 일반식(Ⅰ)의 N-(아미노글리코실)아미드를 수득한 다음, 이것을 활성화된 카복실산 유도체로 아실화시켜 일반식(Ⅰ)의 N-(아실아미도글리코실)아미드를 수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Ⅰ)의 화합물의 첫번째 제조단계는 아노머 탄소 원자에서 당 Z-OH를 R2-NH2유형의 아민과 반응시키고 물을 제거함으로써 관련되는 글리코실아민을 수득하는 공정이다.
실온에서 액체인 아민 R2-NH2는 용매 부재하에 직접 당과 반응시킬 수 있다. 이 반응은 0°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25°내지 75℃의 온도에서 수행한다. 촉매는 염산, 황산 또는 질산과 같은 무기산과 아세트산 또는 프로피온산과 같은 단쇄 카복실산이 적합하며, 0.001 내지 0.05당량을 사용한다.
용매 존재하에 글리코실아민을 제조하는 것은 모든 경우에 가능하며, 실온에서 고체인 아민R2-NH2의 경우에도 바람직하다. 그 다음, 반응은 반응 조건하에서 불활성이며, 적어도 반응물이나 반응 생성물이 용해되는 특성이 바람직한 희석제의 존재하에 수행하면 바람직하다.
적합한 용매는 알콜(예 : 메탄올, 에탄올, 1-프로판올 및 2-프로판올), 에테르(예 :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옥산) 및 디메틸포름아미드이며, 알콜을 사용할 경우를 제외하고는 물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쇄아민 R2-NH2의 경우 용매로서 물만이 적합하다. 또한, 물을 혼합한 알칸올을 사용하는 것도 유리하다.
글리코실아민의 제조시 용매를 사용할 경우, 반응온도는 -10°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이다.
관련된 희석제를 반응 전 또는 도중에 선택하여 첨가할 수 있으며, 장쇄 아민류 R2-NH2에 대해서는 반응전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된 글리코실아민은, 즉시 또는 냉각후 결정화시키며, 적합한 용매, 바람직하게는 극성이 적은 보조용매(예 : 아세톤, 디에틸 에테르, 클로로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석유에테르)를 가해 침전시키거나 결정화시키고, 필요한 경우 냉각시켜 과량으로 존재하는 아민 R2-NH2를 그 자체가 공지된 방법으로 생성물을 세척 또는 재결정시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Ⅰ)화합물의 두 번째 제조단계는 R1및 X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의미를 갖는 일반식 R1-CO-X의 카복실산 유도체와 상술된 바와 같이 수득된 글리코실아민의 선택적인 N-아실화반응이다. 자체가 공지된 것으로서 바람직한 카복실산 유도체 R1-CO-X는 무수물, 활성화된 에스테르 및 산 할라이드, 바람직하게는 염화물이다.
이들 아실화제는 반응물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라도 용해시키는 희석제의 존재하에 글리코실아민과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또는 무기 용매는 반응 조건하에서 가능한한 부반응을 억제 또는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은 유기용매, 예를들어, 에테르(예 :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및 디옥산), 알콜(예 : 에탄올 및 프로판올), 케톤(예 : 아세톤 또는 메틸 에틸 케톤), 또는 디메틸포름아미드, 에틸 아세테이트 또는 피리딘 및 이들 유기 용매와의 혼합물 및/또는 물과의 혼합물에서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수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실체 R1-CO-X는 글리코실아민에 대해 1 내지 10당량으로 사용되며 1 내지 3당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실화 반응은 산할리이드와 무수물을 사용할 경우에는 염기성 보조제의 존재하에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통상 유기 합성에는 모든 염기성 화합물, 예를들면, 3급 지방족 또는 방향족 아민 또는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의 수산화물 또는 탄산염(예 : 수산화 나트륨 용액, 탄산 나트튬 또는 탄산 칼슘)을 사용할 수 있다.
아실화는 약 -30°내지 +80℃, 바람직하게는 -10°내지 +20℃의 온도에서 수행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수득된 아미드는 자체가 공지된 방법에 의해 결정형 또는 무정형의 고체 또는 점성의 시럽 형태로 분리시키며, 필요에 따라서는 재결정, 크로마토그라피 및 추출과 같은 방법으로 정제한다.
글리코실 부분에 보호된 아미노 그룹을 갖는 화합물의 경우, 보호 그룹을 자체가 공지된 방법으로 제거한다.
하기의 반응 도식은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Ⅰ) 화합물의 제법중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태양을 예시한 것이다.
Figure kpo00007
반응 첫 단계에서 글루코오스(a)을 옥타데실아민(b)과 반응시켜 N-옥타데실-β-D-글루코피라노실아민(c)을 수득한 다음, 두 번째 반응 단계에서 올레일 클로라이드로 아실화시켜 N-옥타데실-N-올레일-β-D-글루코피라노실아민(Ⅰ)을 수득한다.
R2가 수소를 나타내는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Ⅰ)화합물은 먼저 당 Z-OH(Z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또는 N-보호된 아미노 당을 암모니아와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고, 이 방법으로 일반식 Z-NH2의 글리코실아민 또는 이들의 보호된 형태를 수득한다. 이 반응은 액체 암모니아, 및 적합한 용매중의 암모니아 용액에서도 자체가 공지된 바업[참고예 : HODGE and NOY, J. Org. Chem. 28, 2784(1963)]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때 암모니아는 고농도이며, 온도는 -70°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용매는 유기용매는 유기 수성 계이며, 알칸올, 특히, 메탄올 및 에탄올이 바람직하다.
이런 방법으로, 예를들어 메탄올중의 리보오스와 암모니아를 0℃에서 반응시키면 하기 반응도식에 따라 결정형의 β-D- 리보피라노실아민이 수득된다.
Figure kpo00008
이어서, 글리코실아민 Z-NH2또는 N-보호된 글리코실아민의 N-아실화는 일반식 R1-CO-X(R1은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의 카복실산 유도체를 사용하여 수행한다. 이런한 카복실산 유도체에는 무수물, 산 할라이드 또는 활성화된 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산 염화물이 있다. 이들은 반응물이 완전히 또는 일부만 용해되는 희석제의 존재하에 필요하다면 보호된 글리코실아민 Z-NH2과 함께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용매는 전술한 용매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Ⅰ)의 화합물(R2는 수소를 의미한다)은 상술된 방법에 의해 고수율로 수득된다.
일반술(Ⅰ)의 화합물(R2는 수소를 나타냄)은 글리코실아민(이때, Z는 분자내에 존재하는 모든 아이드록실 그룹이 쉽게 제거될 수 있는 보호 그룹으로 보호되어 있는 화학적으로 변화된 당 라디칼을 나타냄)을 아실화시켜 또한 제조할 수 있다.
쉽게 제거될 수 있는 보호 그룹은 펩타이드 화학 및 당화학에 공지되어 있다.
제조예가 하기의 반응 조식에 제시되어 있다.
Figure kpo00009
테트라-O-아세틸-β-D-글루코피라노실아민은 탄산나트륨 존재하에 테트라하이드로푸란중에서 올레일 클로라이드로 아실화시킨다. N-아실 유도체는 수성 메탄올중에서 트리메틸아민으로 O-탈아세틸화된다.
본 발명은 또한 일반식(Ⅰ) 화합물의 염에 관한 것이다. 이들 염은 통상 주로 약학에 사용되는 알칼리 금속 또는 암모늄염과 같은 비독성 염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약물적으로 중요한 특성을 갖는데, 특히 저항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우수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면역계의 항체 생성을 증가시킬뿐 아니라, 숙주에 선천적인 비특이적 방어력을 강화시킨다. 이와 같은 사실은 하기의 실험 데이터에 의해 입증될 수 있다.
[양의 적혈구(SE)에 대한 체액의 면역성 강화]
실험적으로 항체 생성의 전 과정이 시험관내에서 일어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마우스의 비장 세포의 배양물을 양의 적혈구(SE)로 면역시킨다. 5일 후, 항-SE 항체를 형성하는 세포가 관찰된다.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은 1 내지 30㎍/ml 범위의 용량의 작용으로 놀랄만하게 항체를 형성하는 세포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표 1]
Figure kpo00010
생체내에서 체액 면역성의 강화는 마우스에서 양의 적혈구에 대한 항체 생성을 증가시킨다.
NMRI 마우스는 107개의 SE를 복강내 주사하여 면역시킨다. 5일 후, 비장을 제거하고 항-SE 항체-분비 림프구의 수를 측정한다. 두번째 실험의 설계에서, 동물 혈청내에 있는 혈구응집 항체의 역가를 측정한다. 사용량에서는 SE가 수용 동물에 대해 부족한데, 즉 그들은 항체를 합성하는 림프구의 소수만을 자극할 수 있다.
동물에 본 발명의 화합물을 단일 복강내 또는 피하(S,C)로 1.0 내지 100mg/kg을 투여하면 대조치의 5내지 10이상의 펙터를 가진 항체 형성 세포의 수가 증가하고 동물 혈청중의 항체 역가가 상당히 증가된다.
언급된 화합물의 면역 자극 효과는 다른 박테리아의 면역 자극제(예 : 그람 음성 미생물로부터의 LPS)와는 달리 항원에 의존하는데, 신규 화합물을 주사하면 SE-면역된 마우스에서는 항-SE 역가가 증가하지만 비-면역된 마우스에서는 증가되지 않는다.
생체 내에서 체액의 면역 강화는 오브알부민에 대한 항체 생성시 증가된다.
NMRI 마우스는 0일째 오브알부민 50㎍을 복강내에 주사하면 면역된다.
7, 14 및 21일후 혈청 샘플을 제거하고, 수동적인 혈구 응집 방법으로 항-오브알부민 항체의 함량을 조사한다. 사용량에서, 오브알부민은 마우스에 면역 유전되지 못하고, 소량의 항체만을 생성할 수 있다. 마우스를 항원을 투여하기 전 또는 후에 특별한 면역강화물질로 처리하면 혈청내에 항체 역가가 증가된다. 처리 효과는 3일 동안 혈액 샘플의 총 log2역가 차이를 표현된다.
이 시험에서, 오브알부민으로 면역시킨 날 일반식(Ⅰ) 화합물을 1 내지 100mg/kg 복강내 또는 피하로 투여하면 오브알부민에 대한 항체 생성이 강력하게 증가될 수 있다.
[대식세포의 활성화]
대식세포는 비특이적 방어 과정에서 가장 중요하다. 대식세포는 대사가 증진(대식세포의 활성화)되어 항원과 특이적으로 반응하며, 이는 주로 분비물 생산이 증가되는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언급된 화합물은 바람직하게 캔디다 알비칸즈(Candia albicans)와 같은 항원이 있으면 대식세포의 활성화를 증가시킨다. 세포 독성 효과를 가진 과산화물이 방출된다. 언급된 유형의 화합물은 적어도 펙터 2에 의해 과산화물의 생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내성]
언급된 유형의 화합물을 복강내 또는 경구적으로 단지 100mg/kg의 1회 용량으로 투여한 후에 마우스에 대해 강력한 효과를 나타내지만, 100mg/kg를 투여해도 독성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언급된 물질은 우수한 내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한편으로는 항원과 혼합되었을때 그의 면역유전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전신투여로 처리된 유기체의 면역학적 반응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더욱이, 언급된 항체 형성에 관계있는 림프구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신규 화합물은 예방 접종의 결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백신과 혼합되는 보조제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박테리아, 바이어스 또는 기생층 병원균에 의한 감염에 대해 면역이 매개된 보호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더욱이, 기술된 화합물은 매우 다양한 항원과 혼합하여 치료와 전단용 항혈청의 실험적 및 공업적인 생산에 보조제로서 적합하다.
또한, 신규 화합물은 항원을 동시에 투여하지 않더라도 방어반응을 증진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이것은 이미 인간이나 동물에서 잠재적으로 일어나는 것이다. 이 화합물은 특히 몸의 선천적인 방어를 자극하는데 적합한데, 예를들어 선천적이고 또한 후천적인 일반(항원 비특이성) 면역결핍상태[노년에 나타나고, 심한 1차적인 질환 도중에, 특히 이온 조사 또는 면역억제 활성을 갖는 물질로 치료한 후에 나타난다] 뿐만 아니라 만성 또는 급성간염, 또는 선택적인(항원 특이적)면역 결핍 상태에 적합하다. 언급된 물질은 면역학적 손상을 없애기 위해 항-감염 항생물질, 화학요법제 또는 기타 의학적 치료와 조합하여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끝으로, 본 화합물은 인간과 동물의 감염성 질환에 대한 일반적인 예방에 또한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전신 마우스 캔디다중의 동물 모델에서 생존율을 증가시킨다.
[실험 설명]
SFF-CF1유형의 마우스에 생리 식염수에 현탁시킨 2내지 6×105개의 대수적으로 성장하는 캔디다 알비칸즈(candia albicans)세포를 정맥내 접종시킨다. 질환의 첫 번째 증상은 접종 후 3일 뒤부터 비처리된 대조군 동물에서 인식할 수 있다. 처음에 동물군은 5일까지 급성 신장 장애로 죽고, 보통 비처리된 동물군의 80%이상이 접종 후 14일째까지 죽었다. 이 시험에서, 일반식(Ⅰ) 화합물은 질환을 지연시키거나 치료학적 작용을 한다. 지로한을 지연시키는 중요 작용은 본 화합물을 체중당 1 내지 500mg/kg의 농도로, 바람직하게는 복강내 뿐만 아니라 경구 접종하기 24시간 전에 한번 투여할때 성취된다.
[표 2]
Figure kpo00011
생존기간이 통계적으로 상당히 연장되는 것은 비처리된 대조군에 비해 처리된 동물군에서 나타난다. 처리된 동물군의 50%가 14일의 관측 기간동안 생존하는데 비해, 비처리된 대조동물군은 10%만이 생존한다.
치료 효과는 동물군에 하루에 한번 각 경우 체중당 1 내지 300mg/kg을 경구 또는 복강내로 투여할때 접종후 3일 후면 나타난다.
처리된 동물군에서 동물군의 약 60%가 접종후 14일까지 생존하는데 비해 비처리된 대조 동물군은 20%만이 생존한다.
마우스 캔디다증의 동물 모델에서 일반식(Ⅰ) 화합물의 예방 및 치료효과는 본 화합물이 광범위한 방어-자극 효과를 가지게 됨으로써, 이스트에 의한 감염 뿐만아니라 일반적으로 동물 및 사람의 미생물 병원균을 잘 억제하게 한다. 따라서, 본 화합물은 특히 항진균 활성을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므로, 항-감염 활성을 갖는다고 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실재하는 주입물에 대해 방어하기 위한 예방 약제로서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감염된 사람 및 동물에서 항생제와 화학요법제(예 : 페니실린, 세팔로스포린, 아미노배당체 등)의 치료학적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해 항생제 치료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마우스에 24 내지 48시간 내에 실험 동물군을 죽게한느 병원체를 접종하고, 바람직하게는 복강내로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Ⅰ)의 화합물 1 내지 80mg/kg으로 예방 치료할 수 있음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다수의 그람-양성(예 : 스타필로콕시) 및 그람- 음성(예 : 이.콜라이, 클레브시엘라, 프로테우스 및 슈도모나스)병원균에 해당된다. 이 목록은 예로서 주어지며 어떤 방법으로도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들어, 병원성 균주 클레브시엘라 63을 접종한 마우스에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7의 화합물 200mg/kg을 처리한 후(예 : 접종하기 18시간 전)감염된 마우스는 80 내지 90%가 생존하는 반면, 비처리된 대조 동물군은 0 내지 30%만 생존한다.
실시예 14,20,34,38,44,50,51,54 및 59에 따른 화합물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수득된다.
또 다른 실험에서, 항생제의 치료효과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표 3)에 의해 증가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우스를 균주슈도모나스 W(Pseudomonas W)로 접종한다. 이 접종은 24시간내에 대조 동물군의 대부분을 죽게한다. 또 다른 그룹은 접종한지 30시간 후 지소마이신(Sisomicin) 4mg/kg으로 처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7의 화합물 20mg/kg으로 처리된 실험 그룹에서 지소마이신의 치료 효과는 상당히 향상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3]
Figure kpo00012
1) 복강내 접종하기 18시간전
2) 피하 접종한지 30초후
실시예 14,20,34,38,44,50,51,54 및 59에 따른 화합물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수득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제제는 바람직하게는, 정제 또는 젤라틴 캠슐이고, 이들 제제는 활성 화합물외에 희석제(예 : 락토즈, 덱스트로스, 슈크로즈, 만나툴, 소르비눌, 셀룰로즈) 및/또는 활탁제(예 : 규조토, 탈크, 스테아르산 또는 이의 염, 이를테면 마그네슘 또는 칼슘 스테아레이트) 및/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정제는 결합제, 예를들면,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예 : 옥수수, 밀, 쌀, 칡전분, 젤라틴, 트리가칸트, 메틸셀룰로즈,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즈) 및/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필요에 따라서는 붕해제(예 :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알긴산 나트륨과 같은 알긴산염) 및/또는 기포성 혼합물 또는 흡착제, 염료, 향미제, 및 감미료등을 포함한다. 주사제는 등장성 수용액 또는 현탁액이 바람직하다. 좌제, 연고제, 크림제는 주로 지방성 유제 또는 현탁제이다. 약학적 제제는 멸균시키고/시키거나 보조제(예 : 방부제, 안정화제, 습윤제 및/또는 유화제, 용화제, 삼투압을 조절하기 위한 염류 및/또는 완중제)를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약물학적으로 유용한 기타 물질을 함유할 수 있는 본약학적 제제는 자체가 공지된 방법으로 예를들면, 통상적인 혼합, 과립화 또는 제피방법으로 제조하며, 본 활성 화합물은 약 0.1내지 및 75%, 특히 약 1내지 50%함량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경구 투여용 제제는 위액에 대한 내피복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내성을 증가시키고 면역 강화제인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만성 및 급성 감염(예 ; 박테리아, 바이러스 및 기생충) 및 약성종양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본 화합물은 예방접종, 식작용의 자극 및 방어와 면역계의 비정상에 대한 보조제로도 사용될 수 있다.
하기 실시에들은 상기 서술된 발명을 설명하는 것이고, 어떤 방법으로 그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또한 일반적으로 다름 염 형성 그룹(예 : 유리카복실 그룹), 주로 약제학적으로 사용가능한 비독성염(예 : 금속 또는 암모늄염)을 포함하는 화합물(Ⅰ)의 염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박층 크로마토그라피(TLC)는 미리 피복된 실리카젤 TLC판 (E.Merck, Darmstadt)에서 수행하고 제조된 분리물을 실리카겔 60(Merck, Darmstadt)에서 수행한다.
[용매계]
G계는 CH2Cl/2/CH3OH/15% 농도의 수산화 암모늄(1/1/1)의 저급 상이고, E계는 CH2Cl2/CH3OH/20%농도의 수산화 암모늄(8/4/1)인데, 각 경우 용적부이다.
[실시예 1]
[N-D-글루코피라노실-올레아미드]
2,3,4,6-테트라-O-아세틸-3, D-글루코피라노실아민 3g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25ml에 용해시킨후, 탄산나트륨 3.45g을 첨가하고 올레오일 클로라이드 2.24g을 용해시켜 0℃에서 냉각하에 강하게 교반하면서 테트라하이드로푸란(THF)5ml 중에 중에 적가한다. 반응 완결후[톨투엔 : 아세톤= 4 : 1인 용매계중에서 박층 크라마토그라피)=TLC)로 체크함], 침전물을 여과시켜 제거하고, 여액은 진공중에서 증발 건조시킨다. O-탈아세틸화를 위해, 수득된 조생성물을 메탄올/트리에틸아민/물의 4 : 3 : 1(용적부)용액 200ml에 용해시키고 15시간동안 실온에서 방치한다. 그 다음에 혼합물은 진공중에서 증발시키고 잔사는 실리카겔에서 크로마토그라피한다. 이런 방법으로 수득된 표제 생성물은 0.46g의 Rf치를 갖는다.
[실시예 2]
[N-벤질-β-D-글루코피라노실아민]
D-글루코오즈 50g을 뜨거운 에탄올 1,000ml에 용해시키고 벤질아민 89g을 가한 후 실온에서 48시간동안 방치한다. 그 다음 혼합물을 얼음으로 냉각시킨 후 생성물은 석유 에테르로 침전시킨다. 침전물은 흡입여과하고 에테르로 세척후 진공에서 건조시킨다.
CD3OD중1H NMR : δ=7.33 넓은 단일선 페닐-H
[실시예 3]
[N-벤질-N-글루코피라노실-아세트아미드]
실시예 2로부터 수득된 화합물 1g을 0℃의 무수피리딘 10ml중에서 실온에서 아세트산 무수물 6ml로 아세틸화시킨다. 혼합물을 통상적으로 후 처리하여 N-아세틸-테트라-O-아세틸 유도체 1g을 수득한다.
CD3OD중1H NMR : δ=7.1 내지 7.4 페닐-H
[실시예 4]
[N-도데실-β-D-글루코피라노실아민]
글루코오즈 18g을 70℃의 에탄올 500ml중에 넣어 교반한후, 도데실아민 18.5g을 가하고, 혼합물이 맑은 용액이 될때까지 다시 가열하여 실온으로 식힌 다음, 20시간후 침전된 결정을 흡입 여과한다. 결정을 에탄올 및 에테르로 세척하고 진공에서 건조시킨다.
수율=24g
원소분석(C18H37NO5=347)
계산치(%) : C ; 62.2, H ; 10.6, N ; 4.0
실측치(%) : C ; 62.2, H ; 10.6, N ; 4.2
[실시예 5]
[N-도데실-N-β-D-글루코피라노실-아세트아미드]
제조는 실시예 3과는 유사하게 수행한다.
원소분석
계산치(%) : C ; 61.7, H ; 10.0, N ; 3.6
실측치(%) : C ; 60.8, H ; 9.9, N ; 3.8
[실시예 6]
[N-글루코피라노실-N-프로필-올레아미드]
N-프로필-D-글루코피노실아민 11g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THF) 900ml중에서 탄산나트륨 2g과 함께 교반한후, THF 20ml중의 올레오일 클로라이드 1당량 용액을 냉각하면서 천천히 적가한다. N-아실화 반응(용매계가 CHCl2/CH2OH=13 : 1인 용매계중에서 TLC로 체크함)을 완결한 후, 침전몰을 흡입 여과하고 THF로 세척한 다음 여액을 진공에서 증발시켜 수득된 시럽은 최종적인 정제를 위해 실리카겔에서 크로마토그라피한다. CH2Cl2/CH3OH를 사용하는 컬럼의 전개는 15 : 1이다. 순순한 표제 화합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합한다. 용매는 진공에서 제거한다.
수율 : 3.3g
Rf치 : 0.34(CH2Cl2/CH2OH=15 : 1에서)
Figure kpo00013
=+7.5°(C=1.0 CH2Cl2)
[실시예 7]
[N-글루코피라노실-N-헥실-올레아미드]
제조는 N-헥실-D-글루코피라노실아민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6에 기술된 방법으로 수행한다.
컬럼 크로마토그라피(CH2Cl2/CH3OH=13 : 1)
수율 : 순수 생성물 9.2g
Rf치 : 0.38(CH2Cl2/CH3OH=13 : 1에서)
Figure kpo00014
=+5.8°(CH2Cl2중에서 C=0.94)
[실시예 8]
[N-글루코피라노실-N-(n-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올레아미드]
글루코오즈 3.6g과 0.5N 염산 0.8ml 및 n-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아민 4.6g을 75℃에서 25분간 교반하면서 가열한다. 냉각후 N-배당체를 결정화하고 에테르로 세척한 후 진공에서 건조시킨다.
수율 : 4.1g
올레오일 글로라이드를 사용하는 N-아실화반응은 실시예 6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수행한다.
컬럼 크로마토그라피(CH2Cl2/CH3OH=15 : 1)
수율 : 2.7g
Figure kpo00015
=+7.6°(CH2Cl2중에서 C=1.0)
[실시예 9]
[N-(2-에틸헥실)-N-글루코피라노실-올레아미드]
클루코오즈와 2-에틸헥실아민의 반응은 실시예 8과 유사한 방법으로 수행한다. 올레오일 클로라이드를 사용하는 N-아실화 반응은 실시예 6과 유사한 방법으로 수행한다.
컬럼 크로마토그라피(CH2Cl2/CH3OH=15 : 1)
표제 화합물의 Rf치 : 0.44(CH2Cl2/CH3OH=15 : 1에서)
[실시예 10]
[N-(3-부톡시프로필)-N-글루코피라노실-올레아미드]
N-배당체의 제조방법 및 N-아실화 방법은 실시예 8 또는 실시예 6에 기술된 바와 같다.
Rf치 : 0.29(용매계 CH2Cl2/CH3OH=10/1)
[실시예 11]
[N-도데실-N-글루코피라노실-스테아르아미드]
실시예 4로부터 N-도데실-β-D-글루코피라노실아민 100g을 THF 765ml에 용해시키고, 트리에틸아민 32g 존재하에 스테아로일 클로라이드 80g을 냉각하면서 적가한다. 후 처리를 위해, 혼합물을 여과하고 용매는 진공하에 제거한다. D-도데실-N-글루코피라노실-올레아미드도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다.
[실시예 12]
[N-데실-N-글루코피라노실-올레아미드]
D-글루코오즈 18g과 에탄올 50ml를 용액이 맑아질때까지 70℃의 데실아민 15.7g과 함께 교반시킨다.
다음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4시간후에 결정을 흡입 여과한후, 에탄올과 에테르로 세척한다.
수율 : 20g
이 결정을 THF 166ml중에서 탄산나트륨 22.6g과 함께 교반한다. THF 20ml중에 올레오일 클로라이드 19g을 25℃에서 서서히 적가한다. 다시 1시간 후에, 혼합물을 흡입 여과하고, 여액은 진공에서 시럽이 될때까지 증발시키고 조생성물은 실리카겔상에서 용출제로 CH2Cl2/CH3OH=13/1을 사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라피로 정제한다.
표제 화합물의 Rf치 : 0.53(CH2Cl2/CH3OH=13/2에서)
[실시예 13]
[N-글루코피라노실-N-테트라데실-올레아미드]
제법은 실시예 12와 유사한다.
컬럼 크로마토그라피(용출제 : CH2Cl2/CH3OH=13/1)
Figure kpo00016
=+9.6°(C=1.0 DMF)
원소분석
계산치(%) : C ; 70.3, H ; 11.3, N ; 2.16
실측치(%) : C ; 69.4, H ; 11.6, N ; 2.1
[실시예 14]
[N-글루코피라노실-N-헥사데실-올레아미드]
제법과 정제법은 실시예 12와 유사하다.
Rf치 : 0.25(이동상 : CH2Cl2/CH3OH=13/1)
[실시예 15]
[N-글루코피라노실-N-옥타데실-올레아미드]
2-프로판을 1,000ml와 물 500ml중의 D-글루코오즈 90g 및 옥타데실아민 135g을 맑은 용액이 될 때까지 교반하면서 50℃까지 가열한다. 이를 실온에서 밤새 방치시킨다. 생성물을 흡입 여과한 다음, 알코올 및 에테르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후 최종적으로 에탄올/THF중에서 재결정화시킨다. N-옥타데실-β-D-글루코피라노실아민 10g을 THF 80ml에 현탁시키고 탄산 나트륨 10g을 첨가한 후, THF 10ml중의 올레오일클로라이드 7g을 적가한다. 정량 반응(CH2Cl2/CH3OH=13/1에서 TLC)후 혼합물을 실시예 12에 기술된 바와 같이 후 처리한다. 컬럼 정제 및 용출제 CH2Cl2/CH3OH(3/1)을 사용한다.
Rf치 : 0.35(용매계 : CH2Cl2/CH3OH=9/1)
[실시예 16]
[N-글루코피라노실-N-옥타데실-스테아르아미드]
N-옥타데실글루코피라노실아민과 스테아로일 클로라이드로부터 실시예 6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한다.
원소분석
계산치(%) : C ; 72.5, H ; 11.7, N ; 2.0
실측치(%) : C ; 71.7, H ; 12.2, N ; 2.0
[실시예 17]
[N-글루코실-N-옥타데실-도데칸아미드]
N-옥타데실-β-D-글루코피라노실아민과 도데카노일 클로라이드로부터 실시예 16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한다.
Figure kpo00017
=+8°(C=1.0 디옥산)
[실시예 18]
[N-글루코실-N-옥타데실-테트라데칸아미드]
N-옥타데실-β-D-글루코피라노실아민과 테트카데카노일 클로라이드로부터 실시예 16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한다.
Figure kpo00018
=+9.5°(C=1.0 DMF)
원소분석
계산치(%) : C ; 71.8, H ; 11.7, N ; 2.1
실측치(%) : C ; 71.3, H ; 11.9, N ; 1.9
[실시예 20]
[N-(2-아세트아미도-2-데옥시-D-글루코피라노실)-N-옥타데실-올레아미드]
N-아세틸-D-글루코사민 15g과 도데실아민 18.8g을 80℃의 에탄올 50ml중에서 3시간동안 교반하면서 가열한다. 불용성 물질은 뜨겁게 여과하여 여액을 냉각한후, 침전 생성물은 흡입 여과하고 에탄올과 에테르로 세척하여, 수득된 2-아세트아미드-2-데옥시-N-옥타데실-글루코피라노실아민 2.2g을 THF 17ml중에서 탄산나트륨 2g과 함께 교반한다. 다음에 THF 5ml중의 올레오일 클로라이드 1.45g을 적가한다. 실시예 6에 기술된 바와 같이 후처리한다.
컬럼 크로마토그라피(용출제 : CH2Cl2/CH3OH=20/1)
Figure kpo00019
=+9.2°(C=0.56 CH3OH)
원소분석
계산치(%) : C ; 72.8, H ; 11.7, N ; 3.8
실측치(%) : C ; 72.9, H ; 12.5, N ; 3.3
[실시예 21]
[N-옥타데실-L-람노피라노실아민]
2-프로판을 100ml 및 물 50ml중의 L-람노오즈 9g과 스테아릴아민 13.5g을 맑은 용액이 될 때까지 50℃에서 교반한다. 실온에서 50시간후, 결정을 흡입 여과하고 에탄올 및 에테르로 세척한 다음 진공에서 건조시킨다.
수율 : 17.4g
[실시예 22]
[N-옥타데실-N-람노피라노실-올레아미드]
실시예 21로부터 수득된 화합물 7g을 실시예 6에 기술된 바와 같이 올레오일 클로라이드로 아실화시킨다.
컬럼 분리(CH2Cl2/CH3OH=13/1에서)
원소분석
계산치(%) : C ; 74.4, H ; 11.9, N ; 2.4
실측치(%) : C ; 74.3, H ; 12.0, N ; 2.1
[실시예 23]
[N-옥타데실-L-푸코피라노실아민]
에탄올 20ml중의 L-푸코오즈 3.26g과 스테아릴아민 5.38g을 용액이 맑아질때까지 교반하면서 70℃까지 가열한다. 냉각하고 결정화를 완결시킨후, 고체물질은 흡입 여과하여 에탄올과 에테르로 세척한다. 진공에서 건조후
수율 : 4.4g
[실시예 24]
[N-푸코피라노실-N-옥타데실-올레아미드]
실시예 23으로부터 수득된 화합물 2.9g을 실시예 6에 기술된 바와 같이 올레오일 클로라이드로 아실화시킨다.
컬럼 크로마토그라피(용출제 : CH2Cl2/CH3OH=15/1)
순수 생성물의 수율 : 1.9g
Rf치= 0.44(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서와 같은 용매계)
[실시예 25]
[N-β-D-아라비노피라노실-N-옥타데실-올레아미드]
N-옥타데실-β,D-아라비노피라노실아민 7g을 실시예 6에 기술된 바와 같이 올레오일 클로라이드로 아실화시킨다.
컬럼 크로마토그라피(용출제 : CH2Cl2/CH3OH=20/1)
순수 생성물의 수율 : 2.3g
Rf치= 0.57(이동상 : CH2Cl2/CH3OH=15/1)
Figure kpo00020
=+20°(C=1.03 CH2Cl2)
[실시예 26]
[N-β, D-말토실-N-옥타데실-올레아미드]
N-옥타데실-β-D-말토실아민 3.04g을 실시예 6에 기술된 바와 같이 올레오일 클로라이드로 아실화시킨다.
컬럼 크로마토그라피(CH2Cl2/CH3OH=10/1중에서)
Rf치= 0.24(이동상 : CH2Cl2/CH3OH=8/1)
Figure kpo00021
=+22°(C=0.5 CH3OH)
[실시예 27]
[N-(4-아지도-4-데옥시-D-글루코피라노실)-N-옥타데실-도데칸아미드]
4-아지도-4-데옥시-D-글루코오즈 3.09g을 이소프로판을 30ml 및 물 15ml에 용해시키고, 옥타데실아민 4.05g을 첨가한 후 50℃까지 가열한다. 생성된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방치시킨다. 생성된 고체 물질은 여과하여 소량의 에탄올 및 에테르로 세척한 후 건조시킨다.
이 생성물 2.3g을 THF 100ml에 용해시키고, THF 15ml중에 용해된 탄산나트륨 3g 및 도데카노일 클로라이드 1.2g 용액을 가한다. 정량반응후, 후처리는 실시예 12에 기술된대로 수행한다.
Rf치= 0.27[CH2Cl2/CH3OH=4/1(v/v)에서]
[실시예 28]
[N-(4-아세트아미도-4-데옥시)-D-글루코피라노실-N-옥타데실-올레아미드]
디옥산/메탄올(=2/1) 30ml 및 아세트산 무수물 3ml중의 실시예 27로부터 수득된 화합물 3g 용액을 상압하에 팔라듐-목탄(5%) 1.4g 존재하에서 수소화시킨다. 반응(용매계: CH2Cl2/CH3OH 3/1)완결 후, 촉매를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액은 진공에서 증발시킨다.
Rf치= 0.18(CH2Cl2/MeOH,10 : 1 v/v)
[실시예 29]
[N-(6-데옥시-6-플루오르-D-글루코피라노실)-N-옥타데실-올레아미드]
6-데옥시-6-플루오르-D-글루코오즈 18.2g, 옥타데실아민 13.5g 및 올레오일 클로라이드 7g을 반응시키고 실시예 15에 기술된 바와 같이 후처리한다.
Rf치= 0.32[CH2Cl2/CH3OH=9/1에서]
[실시예 30]
[N-(메틸-D-글루코피라노실)우로네이토-N-옥타데실-올레아미드]
D-글루쿠로노락톤 15g을 무수 메탄올 150ml중에 용해시키고, 반시간동안 실온에서 1N 나트륨 메탄올레이트 용액 3ml와 함께 방치한다. 그 다음 용액을 산성이온 교환수지로 중화하고 증발시킨다. 생성된 메틸 글루코로네이트를 실시예 15에 기술된 바와 같이 반응시키고 후처리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한다.
Rf치= 0.32(CH2Cl2/CH3OH=9 :1,v/v)
[실시예 31]
[N-(클루코로노피라노실)-N-옥타데실-올레아미드]
실시예 31에 기술된 화합물 2g을 디옥산 10ml에 용해시키고, 1N 수산화나트륨 용액 5ml를 가한 후 2시간 동안 환류가열시킨다. 냉각후, 혼합물은 묽은 염산으로 중화시켜, 진공하에 증발시킨 다음, 잔사를 메탄올/디옥산(=1/1) 20ml와 함께 교반한다. 그 다음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액은 시럽이 될때까지 증발시킨다.
Rf치= 0.13(CH2Cl2/CH3OH=7.1,v/v)
[실시예 32]
[N-(4-아미노-4-데옥시-D-글루코피라노실)-N-옥타데실-라우르아미드]
디옥산/메탄올(2/1) 30ml중의 실시예 27로부터 수득된 화합물 3g을 팔라듐-목탄(5%) 1.0g 존재하에 수소화시킨다. 반응 완결후, 촉매는 여과하여 제거하고, 용액은 진공에서 증발시킨다.
Rf치= 0.39(CH2Cl2/MeOH=5 : 1)
[실시예 33]
[N-(4-라우르아미도-4-데옥시-D-글루코피라노실)-N-옥타데실-라우르아미드]
THF 30ml중에 실시예 32에 기술된 화합물 4.00g 용액을 용해시키고, 탄산나트륨 2.0g을 가한 후 THF 10ml중의 도데카노일 클로라이드 1.42g과 반응시킨다. 30분 후,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시키고 여과시킨 다음 여액은 진공에서 증발시킨다. 시럽은 컬럼 크로마토그라피(이동상 : 디클로로 메탄/메탄올=15.1)로 정제한다.
Rf치= 0.36(CH2Cl2/MeOH=10 : 1)
[실시예 34]
[N글루코피라노실-N-옥타데실-팔미트아미드]
N-옥타데실-글루코피라노실아민과 팔미토일 클로라이드로부터 실시예 16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한다.
Rf치= 0.36(CH2Cl2/MeOH=9 : 1)
[실시예 35]
[N-옥타데실-N-글루코피라노실-라우르아미드]
N-옥타데실-글루코피라노실아민과 라우로일 클로라이드로부터 실시예 16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한다.
Rf치= 0.35(CH2Cl/CH3OH=9 : 1)
[실시예 36]
[N-옥타데실-N-람노피라노실-스테아르아미드]
N-옥타데실-람노피라노실아민과 스테아로일 클로라이드로부터 실시예 22와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한다.
Rf치= 0.39(CH2Cl/CH3OH=9 : 1)
[실시예 37]
[N-옥타데실-(2-아미노-2-데옥시-D-글루코피라노실)-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D-글루코사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6.45g을 60℃의 이소프로판올 30ml와 물 10ml중에 용해시키고, 스테아릴아민 12.1g을 가한다. 생성된 맑은 용액을 10분간 더 교반한 후, 실온으로 냉각시킨다. 결정화된 생성물은 흡입 여과하고, 먼저 에탄올/물(5 : 2, v/v), 에탄올, 마지막으로 에테르의 순서로 세척한다. 잔사는 고진공하에 건조시킨다.
[실시예 38]
[N-옥타데실-N-(2-도데실아미노-2-데옥시-D-글루코피라노실)-도데칸아미드]
실시예 37에서 기술된 화합물 4.6g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20ml중에 현탁시키고, 탄산나트륨 22.6g을 가한다. 테트라하이드로푸란 20ml중의 도데카노일 클로라이드 4.2g을 교반된 현탁액에 적가한다. 이 베치를 진공중에서 증발시키고 피리딘 50ml와 아세트산 무수물 25ml로 아실화시킨 후, 빙수에 붓고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켜, 유기상은 묽은 염산, 포하 중탄산나트륨 용액 및 물의 순서로 세척한 후, 황산 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켜 시럽이 될때까지 진공중에서 증발시킨다. 수득된 시럽은 컬럼 크로마토그라피(이동상 : 톨루엔/에틸 아세테이트=10 : 1, v/v)로 정제한다. 수득된 고형물질(융점 86°)을 무수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나트륨 메톡사이드 20mg을 가한 다음 20분동안 환류하게 가열한다. 반응완결 후, 혼합물은 산성 이온 교환 수지로 중화시키고 진공중에서 증발시킨다. 융점 : 78℃, Rf치 : 0.63(CH2Cl/MeOH 10/1, v/v에서)
[실시예 39]
[N-프로필-(2-아미노-2-데옥시-D-글루코피라노실)-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글루코사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21.5g을 n-프로필아민 17.7g에 현탁시키고 70℃에서 맑은 용액이 될때까지 가열한다. 생성물을 실온까지 냉각하면 침전된다.
[실시예 40]
[N-프로필-N-(2-올레아미도-2-데옥시-D-글루코피라노실)-올레아미드]
실시예 39에 기술된 화합물 5.1g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00ml에 현탁시키고, 탄산나트륨 12.7g을 가한다.
그다음, 테트라하이드로푸란 20ml중의 올레오일 클로라이드 12g을 적가한다. 반응 완결 후, 이 배치를 디클로로메탄 50ml로 희석시키고 나트륨 염으로부터 여과하여 물로 세척한 후,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 증발시킨다. 수득된 시럽은 컬럼 크로마토그라피(이동상 디클로로메탄/메탄올 15/1, v/v)로 정제한다.
Rf치= 0.37(CH2Cl/MeOH 10 : 1)
[α]D=17.9°(디클로로메탄중에서 C=1.02)
[실시예 41]
N-글루코피라노실-N-테트라데실-스테아르아미드 N-테트라데실-글루코피라노실아민 스테아로일클로라이드로부터 실시예 12와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한다.
Rf치 : 0.25(톨루엔/아세톤 = 1 : 1)
[실시예 42]
[N-도데실-N-(2-아미노-2-데옥시글루코피라노실)-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도데실아민 46g을 60℃에서 용융시키고, 글루코사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31g을 교반하면서 가한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생성물은 침전으로 석출된다. 고형물질을 에테르와 함께 3회 철저하게 교반하고 흡입 여과한 후 계속하여 고진공하에 건조시킨다.
[실시예 43]
[N-도데실-N-(2-스테아릴아미도-2-데옥시-D-글루코피라노실)-스테아르아미드]
실시예 42에 기술된 화합물 5g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00ml에 현탁시키고, 테트라하이드로푸란 20ml중의 탄산나트륨 8.5g 및 스테아로일 클로라이드 8g을 가한다. 반응 완결후, 혼합물은 실시예 40에 기술된 바와 같이 후처리한다. 수득된 조 시럽은 에틸 아세테이트로부터 결정화시킨다. 융점 : 67°; Rf치 : 0.42(Cl2/MeOH = 10/1에서)
[실시예 44]
[N-도데실-N-(2-라우르아미도-2-데옥시-D-글루코피라노실)-라우르아미드]
실시예에 기술된 화합물 5g을 실시예 43에 기술된 바와 같이 라우로일 클로라이드와 반응시킨다. 융점 : 67°; Rf치 : 0.42(CH2Cl2/MeOH 10/1에서)
[실시예 45]
[N-옥타데실-N-(갈락토피라노실)아민]
D-갈락토오즈 60g을 이소프로판올 330ml 및 물 170ml에 현탁시키고 50℃까지 가열한다. 스테아릴아민 90g을 가한 후, 혼합물을 모든 아민이 용액상태로 될 때까지 교반한다. 냉각하면 글리코실아민이 결정으로 석출된다. 고형 물질은 흡입 여과하고, 에탄올 및 에테르의 순서로 세척한 후 진공에서 건조시킨다.
[실시예 46]
[N-옥타데실-N-(d-갈락토피라노실)-라우르아미드]
실시예 45에 기술된 데로 화합물 8.4g 및 도데카노일 클로라이드 4.4g으로부터 실시예 11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한다.
Rf치 : 0.22(톨루엔/n-프로판올=4/1(v/v))
[α]D=11.4(디클로로메탄에서 C=0.93)
[실시예 47]
[N-테트라데실-N-(D-갈락토피라노실)-올레아미드]
N-테트라데실-N-(D-갈락토피라노실)아민은 D-갈락토오즈 30g 및 테트라데실아민 53g으로부터 실시예 45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한다. 갈락토실아민을 실시예 11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올레오일 클로라이드와 반응시킨다.
Rf치 : 0.26(톨루엔/n-프로판올=4/1(v/v))
[α]D=11°(디클로로메탄에서 C=1.0)
[실시예 48]
[N-옥타데실-N-만노피라노실아민]
N-만노오즈 20g과 스테아릴아민 45g을 실시예 45에 기술된 바와 같이 반응시켜면 글리코실아민이 수득된다.
[실시예 49]
[N-옥타데실-N-(D-만노피라노실)-라우르아미드]
실시예 48에 기술된 화합물 8.6g을 실시예 11에 기술된 바와 같이 도데카노일 클로라이드 4.4g과 반응시킨다.
Rf치 : 0.25(톨루엔/n-프로판올=4/1(v/v)에서
[α]D: 11.3°(디클로로메탄에서 C=1.13)
[실시예 50]
[N-옥타데실-N-(D-만노피라노실)-테트라데칸아미드]
실시예 48에 기술된 화합물과 테트라데카노일 클로라이드로부터 실시예 11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한다.
Rf치 : 0.26(톨루엔/n-프로판올=4/1(v/v)에서)
α : 9.9°(디클로로메탄에서 C=1.0)
[실시예 51]
[N-테트라데실-N-(D-만노피라노실)-올레아미드]
D-만노오즈 20g과 테트라데실아민 35g을 실시예 45에 기술된 바와 같이 반응시키면 N-테트라데실 만노피라노실아민이 수득된다. 두 번째 반응 단계에서, 글리코실아민(7.5g)을 실시예 11에 기술된 바와 같이 올레오일 클로라이드 6.0g과 반응시키면 글리코실아미드가 수득된다.
Rf치 : 0.29(톨루엔/n-프로판올=4/1(v/v)에서)
[α]D: 10.8°(테트라하이드로푸란에서 C=1)
[실시예 52]
[2-도데실아미노-2-데옥시-D-클루코피라노즈]
도데카노일 클로라이드 55g을 테트라히드로푸란 170ml에 용해시키고, 강렬히 교반하면서 탄산나트륨 수용액(20%) 330ml중 D-글루코사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54g의 용액에 적가한다. 산 클로라이드를 첨가한 후, 혼합물을 1시간 더 교반하고 배치에 물 500ml를 가하여 고형물질은 흡입여과하고 물로 세척한다. 잔사는 이소프로판올/물[10/1(v/v)]로부터 재결정화시키고 고진공하에 건조시킨다.
[실시예 53]
[N-도데실-N-(2-도데실아미드-2-데옥시-D-글루코피라노신)아민]
도데실아민 45g 및 에탄올 75ml를 실시예 52에 기술된 화합물 15g에 가하고 교반하에 70℃까지 가열한다. 맑은 용액이 생성된 후에는 실온으로 냉각시켜 밤새 결정화시킨다. 침전된 고형 물질을 흡입 여과하고 에탄올로 1회, 에테르로 3회 세척한 후 진공에서 건조시킨다.
[실시예 54]
[N-도데실-N-(2-도데실아미드-2-데옥시-D-글루코피라노실)-스테아르아미드]
실시예 53에 기술된 화합물 4g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00ml에 용해시키고, 탄산나트륨 4.8g을 가한다. 이 현탁액에 테트라하이드로푸란 20ml중의 스테아로일 클로라이드 3.45g을 교반하게 적가한다. 혼합물을 30분간 다시 교반한 후 디클로로 메탄 50ml로 희석시키고 고형물질은 흡입 여과한다. 잔사는 디클로로메탄으로 세척한다. 유기용매상을 합하여 진공에서 증발시킨다. 수득된 시럽은 클로마토그라피(이동상 : 디클로로 메탄/메탄올, 20/1(v/v))로 정제한다.
Rf치 : 0.55(디클로로메탄/에탄올=10/1(v/v)에서)
α : 15.8°(디클로로메탄에서 C=1.05)
[실시예 55]
[N-도데실-N-(2-아세트아미도-2-데옥시-D-글루코피라노실)-테트라데칸아미드]
N-아세틸글루코사민 26g을 메탄올 100ml 및 물 60ml에 용해시키고, 60℃까지 가열한다. 도데실인 37g을 가하고, 맑은 용액이 수득될때까지 교반한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글리코실아민이 결정으로 석출된다. 결정 고체를 흡입 여과하고 에탄올, 에테르의 순서로 세척한 후 진공에서 건조시킨다. 고형물질 3g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50ml에 현탁시키고 탄산나트륨 3.3g을 가한 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0ml중의 테트라데카 노일 클로라이드 1.9g을 가한다. 반응이 완결된 후,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 30ml로 희석시켜 여과한 다음 여액은 진공에서 증발시킨다. 수득된 시럽은 크로마토그라피(이동상 : 디클로로메탄/메탄올, 20/1(v/v))로 정제한다.
Rf치 : 0.21(디클로로메탄/메탄올 10/1(v/v)에서)
[실시예 56]
[N-도데실-N-(2-아세트아미도-2-데옥시-D-글루코피라노실)-스테아르아미드]
실시예 55에 기술된 대로 제조되는 N-(2-아세트 아미도-2-데옥시)도데실아민 3g을 실시예 55에 기술된 바와 같이 스테아로일 클로라이드와 반응시킨다.
Rf치 : 0.23(디클로로메탄/메탄올 10/1(v/v)에서)
[실시예 57]
[N-옥타데실-N-(2-아세트아미도-2-데옥시-D-글루코피라노실)-테트라데칸아미드]
N-아세틸글루코사민, 스테아릴아민 및 테트라데카노일 클로라이드로부터 실시예 20과 유사한 방법으로 한다.
Rf치 : 0.25(톨루엔/이소프로판올=4/1(v/v)에서)
α=16.9°(테트라하이드로푸란에서 C=1)
[실시예 58]
[N-도데실-N-(D-만노피라노실)-스테아르아미드]
D-만노오즈, 도데실아민과 스테아로일 클로라이드로부터 실시예 11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한다.
Rf치 : 0.25(톨루엔/n-프로판올=4/1(v/v)에서)
α=11.4°(테트라하이드로푸란에서 C=1)
[실시예 59]
N-도데실-N-(D=갈락토피라노실)-스테아르아미드 D-갈락토오즈, 도데실아민 및 스테아로일 클로라이드로부터 실시예 11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한다.
Rf치 : 0.28(톨루엔/n-프로판올=4/1(v/v)에서)
α=4.4°(디클로로메탄에서 C=1)

Claims (6)

  1. 글리코시드를 하기 일반식(Ⅱ)의 아민과 반응시켜 하기 일반식(Ⅲ)의 아민을 제조한 다음, 하기 일반식(Ⅳ)의 아실화제로 아실화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하기 일반식(Ⅰ)의 N-글리코실화 카복스아미드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22
    Figure kpo00023
    상기식에서, Z는 아노머성 탄소원자를 통해 결합된 단당류, 이당류 또는 올리고당류 라디칼을 나타내고 ; R1은 탄소수 1내지 18의 직쇄 또는 측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알킬 또는 알케닐 라디칼을 나타내며 ; R2는 0에서 의해 차단되거나 할로겐에 의해 치환될 수 있는 탄소수 3 내지 18의 직쇄 또는 측쇄의 포화 알킬 라디칼 ; 또는 벤질을 나타내며 ; X는 할로겐을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Z는 아노머성 탄소원자를 통해 결합되 다당류 또는 말토즈 라디칼을 나타내고, R1은 탄소수 9 내지 18의 직쇄 또는 측쇄의 포화 알킬 라디칼 또는 탄소수 7 내지 18의 불포화 알케닐 라디칼을 나타내며, R2는 할로겐 원자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탄소수 3 내지 18의 직쇄 또는 측쇄의 포화 알킬 라디칼, 벤질 또는 탄소수 4 이하의 알콕시알킬 라디칼을 나타내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R2가 탄소수 18 이하의 알킬 라디칼을 나타내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Z가 아실아미드기에 의해 치환된 단당류 또는 말토즈라디칼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N-옥타데실-N-D-글루코피라노실-라우르산아미드를 제조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N-옥타데실-N-D-글루코피라노실-올레산아미드를 제조하는 방법.
KR1019830001562A 1982-04-14 1983-04-14 N-글리코실화 카복스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KR9200003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3213650.1 1982-04-14
DE19823213650 DE3213650A1 (de) 1982-04-14 1982-04-14 N-glycosylierte carbonsaeureamid-deriva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owie ihre verwendung zur beeinflussung der koerpereigenen abwehr
DEP3213650.1 1982-04-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4761A KR840004761A (ko) 1984-10-24
KR920000312B1 true KR920000312B1 (ko) 1992-01-11

Family

ID=6160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1562A KR920000312B1 (ko) 1982-04-14 1983-04-14 N-글리코실화 카복스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4683222A (ko)
EP (1) EP0091645B1 (ko)
JP (1) JPS58188891A (ko)
KR (1) KR920000312B1 (ko)
AT (1) ATE25525T1 (ko)
AU (1) AU561016B2 (ko)
CA (1) CA1230594A (ko)
DE (2) DE3213650A1 (ko)
DK (1) DK162883A (ko)
ES (1) ES8402313A1 (ko)
FI (1) FI75172C (ko)
GR (1) GR78512B (ko)
HU (1) HU194262B (ko)
IE (1) IE55112B1 (ko)
IL (1) IL68350A (ko)
NO (1) NO157145C (ko)
PH (1) PH25527A (ko)
PT (1) PT76502B (ko)
ZA (1) ZA8325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13650A1 (de) * 1982-04-14 1983-10-27 Bayer Ag, 5090 Leverkusen N-glycosylierte carbonsaeureamid-deriva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owie ihre verwendung zur beeinflussung der koerpereigenen abwehr
DE3339694A1 (de) * 1983-11-03 1985-05-15 Bayer Ag, 5090 Leverkusen Verwendung n-glycosilierter carbonsaeureamid-derivate als wachstumsfoerderer in der tierernaehrung
DE3403495A1 (de) * 1983-11-23 1985-05-30 Bayer Ag, 5090 Leverkusen Phosphorylierte glycosylamide, -harnstoffe, -carbamate und -thiocarbama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owie ihre verwendung
DE3344257A1 (de) * 1983-12-07 1985-06-13 Bayer Ag, 5090 Leverkusen Substituierte o-acyl-glycosylamide, verfahren zu iherer herstellung sowie ihre verwendung
DE3346623A1 (de) * 1983-12-14 1985-07-04 Bayer Ag, 5090 Leverkusen N-glycosylierte harnstoffe, carbamate und thiocarbama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owie ihre verwendung
DE3347522A1 (de) * 1983-12-30 1985-07-11 Troponwerke GmbH & Co KG, 5000 Köln N-glycosylierte carbonsaeureamid-derivate als mittel bei der bekaempfung von erkrankungen des rheumatischen formenkreises
DE3410238A1 (de) * 1984-03-21 1985-10-03 Bayer Ag, 5090 Leverkusen Glycolipid-aehnliche substanzen in liposomenform
DE3508025A1 (de) * 1985-03-07 1986-09-11 Bayer Ag, 5090 Leverkusen Substituierte o-sulfonyl-glycosylamid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owie ihre verwendung als arzneimittel
DE3521994A1 (de) * 1985-06-20 1987-01-02 Bayer Ag N-(2-aminoacylamido-2-desoxy-hexosyl)-amide-, -carbamate und -harnstoff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owie ihre verwendung in arzneimitteln
DE3604681A1 (de) * 1986-02-14 1987-08-20 Bayer Ag Neue n-glycosylamidderiva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owie ihre verwendung als arzneimittel
DE3812681A1 (de) * 1988-04-16 1989-11-02 Bayer Ag Substituierte n-glycosylamid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owie ihre verwendung als arzneimittel
US5476924A (en) * 1989-01-27 1995-12-19 Duke University Protecting group for acetal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in the activation of saccharides
FR2676739B1 (fr) * 1991-05-22 1996-10-11 Stepan Europe N-alkyl, n-acetylosylamines,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s utilisations notamment en tant qu'agents tensioactifs ou agents de solubilisation pour l'isolement de proteines membranaires.
US5362480A (en) * 1991-12-31 1994-11-08 Lever Brothers Company, Division Of Conopco, Inc. Oral hygiene compositions containing amino sugars as antiplaque agents
US5455232A (en) * 1992-02-04 1995-10-03 Piljac; Goran Pharmaceutical preparation based on rhamnolipid
FR2709061B1 (fr) * 1993-08-17 1996-07-19 Ladislas Robert Utilisation d'oligosaccharides dans la prévention et le traitement du vieillissement des tissus.
WO1995006653A1 (de) * 1993-08-30 1995-03-09 Bayer Aktiengesellschaft Glycosylamide von 6-amino-6-desoxy-zuckern
EP0716658B1 (de) * 1993-08-30 1997-06-04 Bayer Ag Glycosylamide von 2-aminoacylamino-2-desoxy-zuckern
DE4329094A1 (de) * 1993-08-30 1995-03-02 Bayer Ag (Glycosylamid)-uronsäure-derivate
AU4371996A (en) * 1994-12-16 1996-07-03 Alcon Laboratories, Inc. Ophthalmic formulations of substituted glycosides
US6290971B1 (en) * 1995-06-15 2001-09-18 Aventis Pasteur Limited Adjuvant compositions comprising a mineral salt and another immunostimulating compound
US5872111A (en) * 1997-05-19 1999-02-16 Lever Brothers Company, Division Of Conopco, Inc. Compositions comprising glycosylamide surfactants
US6670330B1 (en) 2000-05-01 2003-12-30 Theodore J. Lampidis Cancer chemotherapy with 2-deoxy-D-glucose
JP3664401B2 (ja) * 2003-01-22 2005-06-29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N−グリコシド型糖脂質及びこれから成る中空繊維状有機ナノチューブ
US20050008699A1 (en) * 2003-07-11 2005-01-13 Fred Wehling Effervescent glucosamine composition
EP2481423A1 (en) 2006-01-26 2012-08-01 Pfizer Products Inc. Novel glycolipid adjuvant composition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08402A (en) * 1954-08-19 1957-10-01 Rohm & Haas Method for preparing nu-sorbitylcarbamates
DE1261861B (de) * 1963-08-22 1968-02-29 Dehydag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lycaminabkoemmlingen
FR2187324B1 (ko) * 1972-06-14 1975-06-20 Rech Pharmaceut Sc
US4228274A (en) * 1976-09-28 1980-10-14 Merck & Co., Inc. 1-Substituted glycopyranosides
JPS5649396A (en) * 1979-09-28 1981-05-02 Dai Ichi Seiyaku Co Ltd Novel muramyldipeptide derivative
DE3213650A1 (de) * 1982-04-14 1983-10-27 Bayer Ag, 5090 Leverkusen N-glycosylierte carbonsaeureamid-deriva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owie ihre verwendung zur beeinflussung der koerpereigenen abweh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E55112B1 (en) 1990-06-06
PT76502B (en) 1985-12-10
FI831230A0 (fi) 1983-04-12
FI75172C (fi) 1988-05-09
NO157145C (no) 1988-01-27
ES521422A0 (es) 1984-01-16
CA1230594A (en) 1987-12-22
IL68350A0 (en) 1983-07-31
ES8402313A1 (es) 1984-01-16
PH25527A (en) 1991-07-24
KR840004761A (ko) 1984-10-24
ATE25525T1 (de) 1987-03-15
AU561016B2 (en) 1987-04-30
IE830840L (en) 1983-10-14
EP0091645B1 (de) 1987-02-25
GR78512B (ko) 1984-09-27
AU1261583A (en) 1983-10-20
NO831163L (no) 1983-10-17
DE3369851D1 (en) 1987-04-02
ZA832580B (en) 1984-01-25
DK162883A (da) 1983-10-15
FI75172B (fi) 1988-01-29
DK162883D0 (da) 1983-04-13
US4683222A (en) 1987-07-28
EP0091645A1 (de) 1983-10-19
NO157145B (no) 1987-10-19
PT76502A (en) 1983-05-01
JPH0140036B2 (ko) 1989-08-24
IL68350A (en) 1988-09-30
JPS58188891A (ja) 1983-11-04
HU194262B (en) 1988-01-28
FI831230L (fi) 1983-10-15
DE3213650A1 (de) 1983-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0312B1 (ko) N-글리코실화 카복스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US5849716A (en) Sphingoglycolipids, their preparation, and therapeutic methods of use
US5580858A (en) Immunosuppressive and tolerogenic modified Lewisx compounds
US4710491A (en) N-glycosylated carboxylic acid derivatives as agents for combating rheumatic diseases
US20140323705A1 (en) Manufacture of lacto-n-tetraose
EP2382226B1 (en) Process for the synthesis of l-fucosyl di- or oligosaccharides and novel 2,3,4 tribenzyl-fucosyl derivatives intermediates thereof
US5874411A (en) Oligosaccharide glycosides having mammalian immunosuppresive and tolerogenic properties
KR870001934B1 (ko) N-글리코실화된 우레아, 카바메이트 및 티오카바메이트의 제조방법
JPS61246195A (ja) リピドa型の新規な二糖及び三糖誘導体
US6867194B2 (en) Enzyme activated nitric oxide donors
KR860002110B1 (ko) 치환된 o-아실글리코실아미드류의 제조방법
Kameyama et al. Synthetic Studies on Sialoglycoconjugates 27: Synthesis of Sialyl-α (2→ 6)-Lewis X
US9187513B2 (en) N-substituted mannosamine derivatives,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US4699899A (en) Substituted O-sulphonyl-glycosylamides,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as medicaments
WO1993024506A1 (en) IMMUNOSUPPRESSIVE AND TOLEROGENIC MODIFIED LEWISC AND LacNAc COMPOUNDS
CA2110707A1 (en) Immunosuppressive and tolerogenic oligosaccharide modified lewis x and lewis a compounds
Laupichle et al. Synthesis and structural studies of asparagine-modified 2-deoxy-α-N-glycopeptides associated with the renin-Angiotensin system
CA2162186C (en) Pradimicin derivatives
US5837830A (en) Stereodirected process for synthesis of α-N-acetylgalactosaminides
JPS60149597A (ja) N‐グリコシル化ウレア類、カルバメート類及びチオカルバメート類
HUT67179A (en) Process for prepg. polymeric lewis-x saccharides
EP3000820A1 (en) Synthetic vaccines against Streptococcus pneumoniae serotype 8
Cheng Development of alkyl imidate glycosyl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o allyl Lewis A synthesis
US20140303363A1 (en) Preparation and Use of Isolactosamine and Intermediates therefor
JPH09227585A (ja) リピドa類縁体及びそ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