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255B1 - 복층유리 유니트 - Google Patents

복층유리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255B1
KR920000255B1 KR1019880002232A KR880002232A KR920000255B1 KR 920000255 B1 KR920000255 B1 KR 920000255B1 KR 1019880002232 A KR1019880002232 A KR 1019880002232A KR 880002232 A KR880002232 A KR 880002232A KR 920000255 B1 KR920000255 B1 KR 920000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resin film
film layer
spacers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2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4858A (ko
Inventor
이홍근
Original Assignee
이홍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홍근 filed Critical 이홍근
Priority to KR1019880002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0255B1/ko
Publication of KR890014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4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E06B3/24Single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double glaz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64Fixing of more than one pane to a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복층유리 유니트
제1도는 복층유리의 유니트의 사시 단면도이고,
제2도는 복층유리 유니트의 스페이서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고,
제3도는 복층유리 유니트의 확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 유리 2,3 : 수지필름층
5,6,7 : 스페이서 8,8′ : 압력조절구
9 : 제습구 10 : 가스주입구
11 : 제올라이트 12 : 밀봉제
본 발명은 개량된 복층유리 유니트(Multi Glass Unit)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창문 또는 내부와 외부의 현저한 온도차이가 있는, 예를들면 60℃ 내지 70℃인 산업기기, 냉장고등에 사용되는 단열이 가능한 복층유리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건축술의 놀라운 발전과 더불어 건축물의 창문유리에 의한 열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서 많은 노력을 하고 있으며, 또 외부와 내부사이에 현격한 온도의 차이를 나타내는 각종 산업기기에 부착된 유리에 대해서 투명성과 단열성을 갖는 유리 유니트를 개발하기 위해 많은 연구를 하고 있다.
이러한 유리 유니트의 예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86-9338호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86-9743호에서도 복층유리 사이에 수지필름층을 밀착형성시키거나 필름상태의 발색체를 밀착형성시킨 복층유리가 공개되어 있으며, 다른 예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84-414호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86-9840호에는 수분에 의해 복층유리판의 투명성이 저하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흡습제를 사용하는 것이 공개되어 있다.
또 다른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86-1273호와 일본 공개특허 소61-38084호에는 절연필름을 갖는 복층유리 유니트에 대한 것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복층유리는 모두 열차단이 미흡하며, 이에 따라 유리표면에 결로현상(유리표면에 성애가 끼는 것)이 발생하고, 특히 냉장·냉동용의 복층유리의 경우, 결로형상으로 인해 내부에서 외부, 또는 외부에서 내부로의 관망이 부적합하고, 또한 장시간 사용하였을 때, 복층유리사이에 잔존하는 산소 및 수분에 의해 산화반응이 발생하고, 내부의 온도차이에 의해 절연필름이 휘는 현상이 발생하여 유리의 투명도가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종래의 복층유리는 내부에 진공 또는 공기를 주입시켜 복층유리의 단열효과를 도모하였는데, 이는 실질적으로 복층유리내에서 완전한 진공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잔존하는 산소 및 수분에 의해서 내부에 장착된 수지필름층과 산화반응이 일어나 수지필름층의 투명성이 저하되고 수명이 감소되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결로현상을 방지하고 투명성과 단열성이 우수한 복층유리 유니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결로현상을 방지하고 투명성과 단열성이 우수하면서도 내부의 필름의 휘는 현상을 방지한 복층유리 유니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한쌍의 유리판과, 상기 유리판사이에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유리판의 외주부에 끼워지고 상기 유리판과 평행하고 서로 적층되어 있고 내부에 흡습제를 지니고 있고 내부공간쪽으로 제습공이 형성되어 있고 각 스페이스들간의 접촉면에는 압력 조절공이 형성되어 있는 쌍으로 되어 있는 제1, 제2 그리고 제3스페이서와, 상기 내부공간을 세개의 소공간으로 분할하도록 제1스페이서와 제2스페이서사이에 외주부를 두고 상기 유리판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1수지필름층과, 상기 제2스페이서와 제3스페이서사이에 외주부를 두고 상기 유리판과 평행으로 설치되어 있는 제2수지필름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수지필름층과 제2수지필름층으로 형성되는 소공간에 불활성가스가 충전되고, 각각의 상기 소공간과 각각의 상기 소공간과 대응하는 각각의 스페이서에 형성된 상기 제습공을 통해 내부 소공간의 습기가 제거되고, 각 스페이서사이의 접촉면에 형성되어 있는 조절공에 의해 소공간간의 압력차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복층유리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고 공기보다 화학적으로 절대안정하고 열전도율이 균등하거나 낮은 질소가스 또는 불활성가스, 예를들면 아르곤 또는 네온등, 바람직하기로는 질소가스를 주입시켰기 때문에 공기에 의해서 발생되는 산화반응이 완전히 방지되어 수지필름층의 투명성과 수명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유리판사이에 내부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스페이서에는 내부공간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실리카겔과 같은 흡습제가 들어 있는데 이러한 흡습제에 의한 제습은 내부공간에 잔존하는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여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수지필름층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여 항상 투명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또한 각 스페이서들간의 접촉면에는 압력조절공이 형성되어 있어 소공간사이의 가스를 원활하게 유통시켜서 각 소공간 즉, 층간의 온도 차이를 감소시키고 온도의 차이에 의해서 발생하는 압력을 같게 함으로서 수지필름층이 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을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게하기 위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복층유리 유니트의 사시 단면도이고, 제2도는 복층유리 유니트의 제3도는 복층유리 유니트의 확대 단면도이다. 이러한 제1도를 참조하면, 한쌍의 유리판(1,4)사이에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쌍을 이루고 있는 제1스페이서(5,5′), 제2스페이서 (6,6′) 그리고 제3스페이서(7,7′)가 적층으로 쌓여있는데, 각각의 스페이서는 내부에 실리카겔과 같은 흡습제(11)이 들어 있다.
그리고 유리판 외주부 한쪽에는 쌍으로 이루고 있는 스페이서중 하나의 스페이서인 제1스페이서(5)와 제2스페이서(6)사이에는 제1수지필름층(2)이 끼워져 유리판(1,4)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스페이서 쌍중 나머지 스페이서인 제1스페이서(5′)와 제2스페이서(6′)사이에 끼워져 있고, 쌍을 이루는 스페이서중 하나의 스페이서인 제2스페이서(6)와 제3스페이서(7)사이에는 제2수지필름층(3)이 끼워져 유리판(1,4)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실질적으로, 유리판(1)과 유리판(4)에 사이에 형성된 내부공간은 세개의 소공간으로 나누어지는데, 내부소공간 각각에는 공기가 제거되고 공기보다 화학적으로 절대안정하고 열전도율이 낮은 질소가스 또는 불활성가스, 예를들면 아르곤 또는 네온과 같은 것이 충전되어 있다.
그리고, 제1스페이서(5,5′), 제2스페이서(6,6′) 그리고 제3스페이서(7,7′)에는 대응되는 소공간쪽으로 제습공(9)이 형성되어 있고 각 스페이서들간의 접촉면에는 조절공(8,8′)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복층유리내부의 공기를 제거하고 공기보다 화학적으로 절대안정하고 열전도율이 균등하거나 낮은 질소가스 또는 불활성가스, 예를들면 아르곤 또는 네온 등, 바람직하기로는 질소가스를 주입시켰기 때문에 공기에 의해 발생되는 산화반응이 완전히 방지되어 수지필름층의 투명성과 수명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유리판사이에 내부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스페이서에는 내부공간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실리카겔과 같은 흡습제가 들어 있어 이러한 흡수제에 의해 내부공간에 잔존하는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여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수지필름층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항상 투명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더우기 스페이서들간의 접촉면에는 압력조절공이 형성되어 있어 소공간사이의 가스가 원활하게 유통되어 각 소공간 즉, 층간의 온도 차이가 감소되고 온도의 차이에 의해서 발생하는 압력을 같게 됨으로써 수지필름층이 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한 가스의 주입방법은 통상적인 방법, 예를들면 복층유리 유니트의 하단부분의 질소가스 주입구를 통해 가스를 주입하면서 상층부분의 공기배출구를 통한 공기의 배출을 동시에 행하여 원하는 가스를 충전시킨 후 공기배출구와 가스주입구를 밀봉하면 된다.
본 발명에서 복층유리 유니트의 스페이서에서 압력조절공으로는 직경 약 1내지 2mm를 갖는 하나 이상의 구멍을 뚫어 놓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또한 스페이서를 만드는 재료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강재(steel), 유리섬유 강화수지 또는 알루미늄등 어느 재료를 사용하여도 충분하고, 내부에 실리카겔과 같은 흡습제를 넣고 내부공간과 통하는 구멍을 형성하면 내부의 수분이 완전히 제거되어 결로현상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완전히 해결하고 복층유리 내부와 외부의 온도 차이가 약 60℃ 내지 약 70℃에서도 열차단율이 매우 크고 투명성이 유지될 수 있고, 특히 결로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반영구적인 수명을 갖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필요에 따라 필름층을 하나로 감축하거나 3개 이상으로도 증대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다음은 이러한 복층유니트를 만드는 방법을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알루미늄으로 된 제1스페이스(6) 양면에 약 50μ의 두께를 가지는 수지필름(2,3)을 장착시킨다. 이러한 것을 또 다른 스페이서인 제1스페이서 (5)와 제3스페이서(7)에 통상적인 접착제에 의해서 부착시키고 800℃에서 열처리된 통상의 강화유리를 사용하여 한쪽 유리판(1)과 반대편 유리판(4)으로 결합시킨다. 여기서 상기 알루미늄 스페이서들에는 스페이서간에 일치되도록 압력조절공(8)과 제습공(9)은 이미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상호결합된 제1스페이서(5)는 유리판(1)과 수지필름층(2)의 외주부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제2스페이서(6)는 수지필름층(2)와 수지필름층(3)의 외주부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제3스페이서(7)는 수지필름층(3)와 유리판(4)의 외주부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결합이 완료되면, 통상적인 방법으로 질소가스 또는 불활성가스를 가스주입구(10)을 통해서 내부의 각 소공간에 주입하면서 상층부의 공기배출구(도시 생략)를 통해서 내부의 잔존하는 공기를 제거하여 가스가 충분히 충전되면 밀봉한다.
이러한 스페이서에 결합된 수지필름층과 유리판을 실리콘계 밀봉재를 사용 스페이서와 유리의 외측변으로부터 약 1.5mm 두께로 밀봉시켜 견고한 구조체를 형성시킨다. 여기서 수지필름은 각각 스페이서사이에 인접하는 면사이로 신장되게 하여 스페이서로부터 돌출되게 장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밀봉을 완료한 후 통상적이 프레임에 연결시키면, 열관류율이 5.37kcal/m2h℃인 열차단율과 투명성이 매우 뛰어나고 결로현상이 없는 복층유리 유니트를 얻는다.

Claims (4)

  1. 한쌍의 유리판과, 상기 유리판사이에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유리판의 외주부에 끼워지고 상기 유리판과 평행하고 서로 적층되어 있고 내부에 흡습제를 지니고 있고 내부공간쪽으로 제습공이 형성되어 있고 각 스페이서들간의 접촉면에는 압력조절공이 형성되어 있는 쌍을 이루고 있는 제1, 제2 그리고 제3스페이서와 ; 상기 내부공간을 세개의 소공간으로 분할하도록 제1스페이서와 제2스페이서사이의 외주부를 두고 상기 유리판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1수지필름층과, 상기 제2스페이서와 제3스페이서사이에 외주부를 두고 상기 유리판과 평행으로 설치되어 있는 제2수지필름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수지필름층과 제2수지필름층으로 형성되는 소공간에 불활성가스가 충전되고, 각각의 상기 소공간과 각각의 상기 소공간과 대응하는 각각의 스페이서에 형성된 상기 제습공을 통해 내부 소공간의 습기가 제거되고, 각 스페이서사이의 접촉면에 형성되어 있는 압력조절공에 의해서 소공간간의 압력차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복층유리 유니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활성가스는 아르곤 또는 네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유니트 .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공은 최소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유니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가스주입구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유니트.
KR1019880002232A 1988-03-04 1988-03-04 복층유리 유니트 KR920000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2232A KR920000255B1 (ko) 1988-03-04 1988-03-04 복층유리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2232A KR920000255B1 (ko) 1988-03-04 1988-03-04 복층유리 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858A KR890014858A (ko) 1989-10-25
KR920000255B1 true KR920000255B1 (ko) 1992-01-10

Family

ID=19272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2232A KR920000255B1 (ko) 1988-03-04 1988-03-04 복층유리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025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201B1 (ko) * 2007-01-30 2008-05-14 주식회사 자산유리 삼중 복층유리
WO2011081487A2 (ko) * 2009-12-31 2011-07-07 Kim Baek Doo 이중 간봉구조가 구비된 3중 복층 유리 제조방법
KR20160127579A (ko) * 2015-04-27 2016-11-04 주식회사 중일 창호용 복층유리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201B1 (ko) * 2007-01-30 2008-05-14 주식회사 자산유리 삼중 복층유리
WO2011081487A2 (ko) * 2009-12-31 2011-07-07 Kim Baek Doo 이중 간봉구조가 구비된 3중 복층 유리 제조방법
WO2011081487A3 (ko) * 2009-12-31 2011-11-24 Kim Baek Doo 이중 간봉구조가 구비된 3중 복층 유리 제조방법
KR20160127579A (ko) * 2015-04-27 2016-11-04 주식회사 중일 창호용 복층유리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858A (ko) 1989-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05336A (en) Insulating double-glazing unit and vacuum double-glazing unit
US4563843A (en) Heat insulation window
USH975H (en) Thermal insulated glazing unit
US5270084A (en) Insulating glass unit
US2838809A (en) Multiple glazed units
JP7114810B2 (ja) 二重のスペーサーを備えている絶縁グレージング
EA007049B1 (ru) Уплотн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для энергоэкономичного окна
KR20200133241A (ko) 보강 요소를 갖는 스페이서
US20200056422A1 (en) Insulating glazing unit, in particular a triple insulating glazing unit, and method for producing an insulating glazing unit
WO1994024398A1 (en) Insulating panel
JP6606092B2 (ja) 多重ガラス障子
KR920000255B1 (ko) 복층유리 유니트
WO2016098839A1 (ja) 複層ガラス
KR20180053334A (ko) 모세관을 갖는 코너 커넥터
KR20070073541A (ko) 진공 복층유리
WO2016068306A1 (ja) 多重ガラス障子
WO2016098837A1 (ja) 多重ガラス障子
EP3022377B1 (en) Pressure compensated glass unit
CN216043372U (zh) 一种中空调光玻璃
US20220186548A1 (en) Spacer for insulated glazing
JPH09236194A (ja) 断熱材および断熱パネル
JP2015124582A (ja) 多重ガラス障子
CA2966027C (en) Energy-saving pl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220243526A1 (en) Spacer for insulated glass units
JP2005298279A (ja) 複層ガラ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21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