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3541A - 진공 복층유리 - Google Patents

진공 복층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3541A
KR20070073541A KR1020060001584A KR20060001584A KR20070073541A KR 20070073541 A KR20070073541 A KR 20070073541A KR 1020060001584 A KR1020060001584 A KR 1020060001584A KR 20060001584 A KR20060001584 A KR 20060001584A KR 20070073541 A KR20070073541 A KR 20070073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vacuum
spacer
check valve
glas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1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수
Original Assignee
쓰리에이치산업(주)
서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에이치산업(주), 서정수 filed Critical 쓰리에이치산업(주)
Priority to KR1020060001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73541A/ko
Publication of KR20070073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35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12Evacuated glazing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복층유리에 관한 것이다.
복층유리는 2장의 유리사이에 스페이서와 코너키로 구성되어 유리 외주면 사이를 시일드 밀봉하여 완성된 기존의 복층유리 사이에 본 발명의 진공 복충 유리는 일방향 공기 배출구 즉 체크밸브를 형성하여 유리와 유리 사이 공기층의 공기를 외부에서 강제 배출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내부의 희박한 공기로 인하여 복층유리의 열관료율, 방음, 단열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의 진공 복층유리에 관한 것이다.
복층유리, 진공

Description

진공 복층유리{omitted}
도1 종래의 복층유리의 외관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진공 복층유리의 외관사시도
도3은 도2의 진공 복층유리 분해 사시도
도4은 도2의 A부분 확대 절단면도
도5는 또 다른 도2의 A부분 확대 절단면도
도6은 본 발명 진공 복층유리의 또 다른 사용예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 유리 3 : 스페이서
5 : 체크밸브 7 : 나사홈 또는 체결홈
9 :리턴스프링 9' : 고무튜브
11 : 볼 11' : 관통홀
100 : 격자 200: 진공 복층 유리
본 발명은 진공 복층유리에 관한 것이다.
주택, 빌딩 등의 건축물에 있어서, 난방이나 냉방의 효율을 높여,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하고자 하는 요망이 있다. 난방이나 냉방의 효율은 건축물의 단열성이나 기밀성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단열용 벽재나 단열용 창유리가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단열용 창유리는 단열용 벽재와 비교하여 열관통율(Heat-through ratio)이 높기 때문에 단열성은 낮다.
따라서,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단열용 창유리의 단열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단열성이 높은 단열용 창유리로서 복층유리가 알려져 있고, 이 복층유리를 도1에 나타낸다.
한편, 복층유리에 있어서도 복층유리사이의 공기양 또는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 복층유리 전체의 열전단율 또는 단열특성이 크게 변화 한다.
때문에 복층유리 내부가 완전 진공일 경우, 가장 이상적인 건축물 유리창 단열 재료로서 선호하기 때문에 여러 기업들이 복층유리 내부 공간의 공기를 제거하기위해 다양한 기술의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진공복층유리의 경우 대표적으로 일본에서 기술 우위를 보이고 있으며 특허출원번호 10-1998-0703388 ‘단열복층유리 및 진공복층유리’가 개시되어 있다.
그 주요 내용을 인용하면 ‘ ∼진공 복층유리(2)는, 그 두께를 t2로 나타내고, 간극을 두고 배치된 2매의 박판유리(3,4)와, 이들 2매의 박판유리(3,4)의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스페이서(5…)와, 2매의 박판유리(3,4) 사이의 주변에 400∼500℃의 고온으로 용융하여 봉해진 납땜유리(6)로 이루어지고, 2매의 박판유리(3,4)의 중간에 공기를 배기하여 감압상태로 되어 있다. ∼’
이러한 방법은 요업제품의 특성을 감안할 경우, 제조과정이 까다롭고 진공 또는 가스를 주입 후 밀봉 하는 까다로운 단계가 필요하고 고도의 전문가가 필요하다. 또한, 제조 완성 후 불량이나 시간경과에 따른 내부 진공이 약해질 경우에는 더 이상의 단열에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가 없게 되며 대량 생산, 다양한 주문 형태에도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현재까지는 가스를 주입하지 않고도 특수코팅을 사용하거나 3중 복층유리로 열관류율 값을 1.0까지 낮추는 것이 한계로 여겨지고 있으나, 앞으로 가스주입등 모든 방법을 총동원하여 1.0 이하로 낮추려는 실험이 계속되고 있고 실상 그것이 가능하다는(스웨덴) 정책목표도 존재하며, 본 발명은 외부에서 유리와 유리사이의 공기를 강제 빼기가 가능하여 내부의 공간을 저진공에서 고진공까지의 진공상태를 유지하여 열관류율 또는 방음, 방청등의 효과의 향상이 가능한 진공복층유리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복층유리 내부의 공기를 외부에서 강제 배출할 수 있도록 체크밸브가 구비되어 유리판 외주면 사이 스페이서가 형성된 일측에 구비되어 완성시키고 언제든지 필요에 따라 외부에서 체크밸브를 통해 본 발명의 진공복층유리의 유리와 유리 사이에 공기를 강제 빼기로 저 진공에서 고진공에 가까운 상태를 언제든지 유지 가능한 복층유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복층유리(200)는 유리(1) 내주면(내측)에 스페이서(3)로 완전 시일드 하는 일측면 또는 일측공간에 복층유리(1) 내부공기를 진공펌프나 휴대용 흡입펌프를 통해 강제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체크밸브(5)를 형성 또는 구비되는 특징이 있다.
즉, 복층유리에 있어서 일측면에 체크벨브(5)가 형성된 특징의 공기배출 기능이 가능하며, 이때 발생되는 현상으로 유리(1)와 유리(1) 사이가 외부의 공기압으로 압착되어 파괴되는 현상을 막기 위해 상기 유리(1)와 유리(1) 사이에 다양한 형질, 형태의 격자(100)가 내부에 삽입된 특징의 진공 복층유리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1 종래의 복층유리의 외관사시도이다.
요즘 건축물의 유리창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복층유리로서 그 구성은 보통 2장의 유리와 스페이서 그리고 코너링으로 구성되어 유리 외주면에 시일드 밀봉 처리되고 내부의 습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분 흡수제가 첨가 된다.
도2는 본 발명의 진공 복층유리의 외관사시도이며,
도3은 도 2의 진공 복층유리 분해 사시도이다.
종래의 복층유리 제조시, 스페이서(3) 삽입 공간 일측에 공기배출구 기능으로 소형 체크밸브(5)가 형성 또는 고정되고 유리(1)와 유리(1) 사이에 나무나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다향한 모양이나 형태의 격자(100)을 더 포함하여 진공복층유리를 완성한 후, 언제든지 상기 체크밸브(5)를 통해 외부에서 진공펌프 등으로 본 발 명의 진공 복층유리(200) 내부의 공기를 밖으로 배출시켜 저 진공에서 고진공상태에 가깝게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인 공기배출구가 형성된 복층유리이다.
상기 격자(100)는 단열성이 높은 나무나 플라스틱 재료로서 이용될 수 있으면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여러 가지 모양이나 형태로서 상기 유리(1)와 유리(1)를 외부 공기압으로부터 유리를 보호 또는 지지하여 진공에 따른 외부 공기 압력으로 유리(1)의 파괴 현상을 방지하면서 전체적으로 본 발명의 진공복층유리(200)의 미관이나 예술적으로도 돋보일 수 있는 도형 또는 기하학적 형태의 모양이나 색상을 갖게 되어 고풍적 또는 예술적 유리창으로서 제품의 구매욕이나 상품성 향상에 도움을 줄 특징이 있다.
도4은 도2의 A부분 확대 절단면도으로서,
체크밸브(5)의 사용 예를 상세하게 보인 도면이고
도5 역시 또 다른 체크밸브(5)의 일 예를 상세하게 보인 보인 도면으로서,
도2의 A부분 확대 절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진공 복층유리(200)는 통상 2장의 유리(1) 사이에 스페이서(3)와 코너링(미도시) 그리고 본드 또는 접착제 등 수단으로서 완전 밀봉되는 부위의 일측에 체크벨브(5)가 형성 또는 적용 완성시킨 후 A방향으로 절단면을 상세하고 보이고 있다. 상기 체크벨브(5)는 유리(1)와 유리(1) 내주면 사이 즉, 상기 스페이서(3)가 들어가는 일부 공간, 이 공간 일측에 상기 체크밸브(5)가 형성 또는 구성됨이 바람직하므로 그 두께가 스페이서(3)의 두께와 동일 또는 보다 작아야 함이 바람직하며 제조시에도 용이하다. 또한, 상기 체크벨브(5)는 일방향으로 공기배출은 허용하나 유입을 차단하는 밸브로서, 가장 간단한 구조로는 도3에 도시된 것처럼 볼(11)과 리턴스프링(9)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자동차 타이어의 공기 밸브(통상 구찌라 부름)를 역이용한 것으로 고무튜브(9'), 관통홀 (11') 형태인 자전거 타이어 공기밸브의 역이용으로서도 실현될 수도 있다.
상기 체크밸브(5)는 본 발명의 진공복층유리(200) 외부로도 도출되며 진공펌프나 휴대용 진공펌프(미도시)로 쉽게 체결 되어 공기 빼기 작업이 쉽도록 나사홈 또는 체결홈(7)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진공복층유리(200)는 건물의 유리창 또는 창문이나 태양열 집열기 투과체, 냉, 온장고 등의 제품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때에는 샤시나 창틀(미도시)에 상기의 진공복층유리(200)의 체크밸브(5) 주위에 홀을 형성시켜 줌이 차후 이용이나 사용에 바람직하다.
또한, 진공에 대해서 진공(Vacuum)의 의미는 대기압보다 공기분자수가 작은 경우를 진공상태라 하며,
Figure 112006500153914-PAT00008
와 같이 구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진공 복층유리(200)는 진공펌프의 상 태나 유리(1) 또는 격자(100)의 형태 등에 따라 저 진공(760 Torr)에서 고진공(10-7 Torr) 상태까지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상기 체크밸브(5)를 외부진공펌프를 통해 유리(1)와 유리(1) 사이의 공간의 진공을 유지시킬 수가 있게 된다.
도6은 본 발명 진공 복층유리의 또 다른 사용예로서,
본 발명의 진공복층유리(200)를 보호하는 또 다른 유리(1')와 또다른 스페이서 그리고 본드 또는 접착재로서 매우 안전한 진공유리를 만들 수 가 있게 된다.
이때에는 3중 또는 4중 형태의 구조로서, 열전단율이라든가 방음, 방청 기능이 더욱 향상된다.
상기 유리(1)(1')는 상기 유리는 맑은유리, 방화유리, 강화유리, 로이유리, 색유리, 반사유리, 방탄유리등 모두에 적용 가능하다.
이로서, 언제, 어디서든지 진공펌프나 휴대용 진공펌프로 본 발명의 진공복층유리 내부에 포함된 공기는 B 방향으로 배출이 가능하고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특징을 갖게 되는 공기배출구가 형성된 특징의 진공복층 유리이다.
도면에는 도시되진 않았으나 별도의 마개로 공기빼기 후, 마개로 막아 둠이 공기의 유입 또는 이물질 유입을 막는데 유용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공기의 일방향 체크벨브(5)가 진공복층유리(200)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어 제조, 생산, 판매, 언제, 어디서든지 공기 배출을 할 수가 있게 되어, 충분한 단열 성능과 향상된 방음의 효과까지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특징의 진공 복층유리이다.
본 발명의 진공 복층유리는 열악한 요업산업에 있어서,
건축물의 유리창, 유리창틀, 태양열집열기 투과체, 냉, 온냉장고 도어등에 사용 또는 적용되어 열전단율, 단열 등의 효과가 향상된 제품으로, 전문가 또는 고가격대의 생산시설을 요구하지 않고도 진공에 가까운 복층유리를 생산, 제조, 판매 할 수가 있게 되어 경제적이면서 취급과 품질관리에도 도움이 될 수 있어서, 저 단가로 수입되는 제품에 비해 품질과 경쟁력을 갖출 수 있고 저렴한 가격으로 우수한 단열성과 향상된 방음 효과까지 제공할 수 있는 특징의 공기배출구가 형성된 진공복층유리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진공복층유리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유리와 유리 사이 스페이서로 밀봉되어지는 통상의 복층유리에 있어서,
    스페이서 일측 부위에 체크벨브를 더 포함하고 격자로서 유리와 유리 사이 공간을 상호 지지하며, 상기 체크밸브를 통해 외부의 진공펌프로 유리와 유리 사이의 공간을 진공으로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의 진공 복층유리.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는 나무나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여러 가지 도형이나 기호 등 기하학적 수용된 배치로서 유리와 유리 사이를 지지 할 수 있는 특징의 진공 복층유리.
  3. 청구항 1항 또는 2항 중 적어도 1항 있어서,
    상기 진공복층유리의 진공도는 저 진공 상태인 760 Torr에서 고진공 상태인 10-7Torr 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의 진공 복층 유리.
  4.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는 맑은유리, 방화유리, 강화유리, 로이유리, 색유리, 반사유리, 방탄유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것이 사용되는 특징의 진공 복층유리.
  5. 진공복층유리를 포함하여 또 다른 외부 유리와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여 3중 또는 4중 형태의 유리로 제작된 진공 복층유리.
KR1020060001584A 2006-01-04 2006-01-04 진공 복층유리 KR200700735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1584A KR20070073541A (ko) 2006-01-04 2006-01-04 진공 복층유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1584A KR20070073541A (ko) 2006-01-04 2006-01-04 진공 복층유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3541A true KR20070073541A (ko) 2007-07-10

Family

ID=38508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1584A KR20070073541A (ko) 2006-01-04 2006-01-04 진공 복층유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73541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49740A (zh) * 2012-05-29 2013-12-18 王树槐 用汞制取真空玻璃
KR101494077B1 (ko) * 2013-04-30 2015-02-16 한국과학기술원 진공단열유리의 지속적인 사용을 위한 에지 실링 방법 및 진공배기장치
KR20160009844A (ko) 2014-07-17 2016-01-27 김영대 진공 복층유리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190115797A (ko) * 2018-04-04 2019-10-14 김관호 이중 창호용 감압기
KR102193698B1 (ko) * 2020-05-08 2020-12-21 조승연 차량용 방탄탑
US20220228426A1 (en) * 2021-01-19 2022-07-21 Ut-Battelle, Llc Vacuum insulated glazing, valve, flexible seal, and method for making vacuum insulated glazing
WO2022191516A1 (ko) * 2021-03-12 2022-09-15 김관호 폴리카보네이트 2중 진공 3중 유리 및 2중진공 3중 유리의 제조방법
US12006762B2 (en) * 2022-01-07 2024-06-11 Ut-Battelle, Llc Vacuum insulated glazing, valve, flexible seal, and method for making vacuum insulated glazing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49740A (zh) * 2012-05-29 2013-12-18 王树槐 用汞制取真空玻璃
KR101494077B1 (ko) * 2013-04-30 2015-02-16 한국과학기술원 진공단열유리의 지속적인 사용을 위한 에지 실링 방법 및 진공배기장치
KR20160009844A (ko) 2014-07-17 2016-01-27 김영대 진공 복층유리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190115797A (ko) * 2018-04-04 2019-10-14 김관호 이중 창호용 감압기
KR102193698B1 (ko) * 2020-05-08 2020-12-21 조승연 차량용 방탄탑
US20220228426A1 (en) * 2021-01-19 2022-07-21 Ut-Battelle, Llc Vacuum insulated glazing, valve, flexible seal, and method for making vacuum insulated glazing
WO2022191516A1 (ko) * 2021-03-12 2022-09-15 김관호 폴리카보네이트 2중 진공 3중 유리 및 2중진공 3중 유리의 제조방법
US12006762B2 (en) * 2022-01-07 2024-06-11 Ut-Battelle, Llc Vacuum insulated glazing, valve, flexible seal, and method for making vacuum insulated glaz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6663B2 (en) Spacer for insulating glazing units
US6105336A (en) Insulating double-glazing unit and vacuum double-glazing unit
WO2006034068A3 (en) Anti-fog refrigeration doo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7851034B2 (en) Embedded vacuum insulating glass unit, and/or method of making the same
KR20070073541A (ko) 진공 복층유리
AU2002322509A1 (en) Energy-free refrigeration door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WO2016068309A1 (ja) 多重ガラス障子
JPWO2016098839A1 (ja) 複層ガラス
KR20220123099A (ko) 접착력이 향상된 스페이서(spacer)
TW201814135A (zh) 強化絕熱玻璃單元
WO1996033334A1 (en) Glazed window unit
WO2016068306A1 (ja) 多重ガラス障子
CN206955904U (zh) 一种节能耐火中空玻璃
KR20200130682A (ko) 비대칭적 진공-단열 게이징 유닛
CN101761292B (zh) 带有三道阻隔双隔离框的双空腔镀膜中空玻璃
US20130291466A1 (en) Cold Seal Glass Block Utilizing Insulating Materials
WO2016158241A1 (ja) 複層ガラス、および複層ガラスの製造方法
CN201679401U (zh) 带有三道阻隔双隔离框的双空腔镀膜中空玻璃
CN107235644A (zh) 一种节能耐火中空玻璃及其制造方法
WO2000041980A1 (fr) Panneau de verre
JP3142637U (ja) 薄型複層ガラス
CN111395651A (zh) 一种耐候型中空玻璃以及制备方法
JPH1171141A (ja) 複層ガラス
EA025528B1 (ru) Многокамерная конструкционная панель с газовым заполнением
JPS58181744A (ja) 複層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