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3698B1 - 차량용 방탄탑 - Google Patents
차량용 방탄탑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93698B1 KR102193698B1 KR1020200054991A KR20200054991A KR102193698B1 KR 102193698 B1 KR102193698 B1 KR 102193698B1 KR 1020200054991 A KR1020200054991 A KR 1020200054991A KR 20200054991 A KR20200054991 A KR 20200054991A KR 102193698 B1 KR102193698 B1 KR 10219369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lletproof
- cab
- window
- module
- entran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5/00—Armour; Armour plates
- F41H5/26—Peepholes; Windows; Loopholes
- F41H5/263—Mounting of transparent armoured panels, e.g. bulletproof windows on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2—Moistening ; Devices influencing humidity levels, i.e. humidity control
- B60H3/024—Moistening ; Devices influencing humidity levels, i.e. humidity control for only dehumidifying the ai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5/00—Armour; Armour plates
- F41H5/013—Mounting or securing armour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방탄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폭발물의 폭발시 가장 충격이 큰 정면방탄부의 방탄창부가 방탄유리와 방탄플라스틱의 이중으로, 방탄창부를 제외한 부분이 외부방탄강판과 내부방탄강판의 이중 방탄강화부로 형성되도록 하여 폭발물의 화력을 효과적으로 낮추고 운전실의 안전한 보호가 가능하도록 하며, 차량의 변형 또한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방탄탑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방탄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폭발물의 폭발시 가장 충격이 큰 정면방탄부의 방탄창부가 방탄유리와 방탄플라스틱의 이중으로, 방탄창부를 제외한 부분이 외부방탄강판과 내부방탄강판의 이중 방탄강화부로 형성되도록 하여 폭발물의 화력을 효과적으로 낮추고 운전실의 안전한 보호가 가능하도록 하며, 차량의 변형 또한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방탄탑에 관한 것이다.
굴삭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암을 이용하여 흙을 파낼 수 있고, 작업위치와 운전실이 일정거리 이격될 수 있으므로 운전자의 안전이 비교적 확보될 수 있어 유실지뢰의 수거작업을 위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수거중인 지뢰나 포탄의 위력이 센 경우에는 그 폭발에 의해 운전실이 파괴될 수 있고, 그 파편이나 폭발열이 운전실 내부로 유입되어 운전자에게 큰 피해를 입히게 된다.
따라서, 아래 특허문헌과 같은 방탄구조체를 굴삭기 등의 차량에 장착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탄구조체만으로는 폭발에 의한 운전실의 파손 및 운전자의 피해를 효과적으로 막을 수 없었다.
(특허문헌)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18774호(2010.02.18. 공개)"특수차량의 방탄 그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폭발물의 폭발시 가장 충격이 큰 정면방탄부의 방탄창부가 방탄유리와 방탄플라스틱의 이중으로, 방탄창부를 제외한 부분이 외부방탄강판과 내부방탄강판의 이중 방탄강화부로 형성되도록 하여 폭발물의 화력을 효과적으로 낮추고 운전실의 안전한 보호가 가능하도록 하며, 차량의 변형 또한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방탄탑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방탄창부의 편리한 설치 및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차량용 방탄탑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방탄유리와 방탄플라스틱의 이중으로 방탄창부를 구성하도록 하면서도 방탄유리와 방탄플라스틱 사이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방탄탑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이중 방탄강화부 내에 회전보호부를 형성하도록 하여 외부방판강판을 관통하는 파편의 운동력을 추가적으로 흡수하면서 파편의 운동 방향을 굴절시켜 하부로 유도하도록 함으로써 내부방탄강판의 관통 가능성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방탄탑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정면방탄부의 하부에 하측으로 돌출되는 하부보강철판을 추가적으로 구비하도록 하여 바닥으로부터 시작되는 폭발에 의한 영향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도록 하는 차량용 방탄탑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정면방탄부의 암측으로 실린더보호부를 추가로 구성하도록 하여 실린더 및 실린더 호스 등의 손상을 막을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방탄탑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정면방탄부, 출입측방탄부, 상면방탄부 및 후면방탄부를 용접하여 일체로 결합시킨 상태에서 운전실을 덮어 설치하도록 하고, 측면방탄부만을 설치된 정면방탄부, 출입측방탄부, 상면방탄부 및 후면방탄부에 볼트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정밀한 위치제어없이 편리한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며, 운전실 또는 방탄탑의 손상 또한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방탄탑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출입측방탄부의 방탄출입문이 일체형경첩에 의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폭발시 파손 및 변형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방탄탑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기존 운전실의 출입문과 방탄출입문이 결합되어 함께 여닫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장치 없이도 출입문의 편리한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차량용 방탄탑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방탄창부 또는 방탄강화부에 주어지는 압력을 누적 합산하여 그 피로누적을 산출하도록 함으로써 방탄창부 또는 방탄강화부의 교체시기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방탄창부 또는 방탄강화부의 일정한 방탄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방탄탑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방탄탑은 운전실의 정면에 형성되어 운전실을 보호하는 정면방탄부와, 운전실의 출입문측 측면에 형성되는 출입측방탄부와, 출입측방탄부의 반대측 측면에 형성되는 측면방탄부와, 운전실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면방탄부와, 운전실의 후면에 형성되는 후면방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면방탄부는 정면방탄부의 외부 골격을 형성하는 지지프레임부와; 상기 지지프레임부에 지지되며, 투명하게 형성되어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도록 형성되는 방탄창부와; 상기 방탄창부 외의 영역에 형성되어 방탄력을 강화하는 방탄강화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탄강화부는, 외부에 형성되는 외부방탄강판과, 내부에 형성되는 내부방탄강판을 포함하고, 상기 방탄창부는, 외측에 형성되는 방탄유리와, 상기 방탄유리의 내측에 형성되어 방탄창부의 강도를 보강하는 방탄플라스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방탄탑에 있어서, 상기 정면방탄부는 상기 방탄창부를 지지프레임부에 고정시키는 방탄창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탄창고정부는, 상기 지지프레임부에 고정되어 상기 방탄플라스틱의 하부를 지지하는 걸림턱과; 상기 방탄플라스틱과 함께 지지프레임부에 고정되며, ""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방탄유리를 함께 지지하는 절곡프레임과; 상기 절곡프레임 및 방탄플라스틱을 관통하여 지지프레임부에 고정되는 체결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방탄탑은 상기 방탄유리 및 방탄플라스틱 사이에 형성되는 습기, 이물질을 제거하는 습기제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습기제거부는 상기 절곡프레임 상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방탄유리 및 방탄플라스틱 사이의 공간에 대향되는 습기제거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방탄탑에 있어서, 상기 습기제거부는 상기 방탄유리 및 방탄플라스틱 사이에 형성되어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와, 상기 습도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습도에 따라 방탄유리 및 방탄플라스틱 사이에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순환모듈과, 상기 공기순환모듈의 작동을 조절하는 작동조절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순환모듈은 상기 습기제거공에 인접하도록 형성되어 방탄유리 및 방탄플라스틱 사이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모듈과, 상기 습기제거공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송풍모듈의 작동에 따라 습기제거공을 통해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주입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작동조절모듈은 습도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습도가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공기순환모듈을 작동시키는 즉시작동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방탄탑에 있어서, 상기 작동조절모듈은 습도가 설정값을 초과하지 않더라도 설정값 이하의 일정 범위에서 계속되는 경우 그 지속정도에 따라 공기순환모듈을 미리 작동시키는 예방작동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예방작동모듈은 습도가 설정값 이하의 일정범위에 도달하는 것을 인지하는 주의범위인지모듈과, 습도가 주의범위에서 연속하여 머무르는 경우 그 지속시간을 측정하는 시간계측모듈과, 습도값 및 지속시간을 곱하여 합산함으로써 주의지수를 산출하는 주의지수산출모듈과, 산출된 주의지수가 일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공기순환모듈을 작동시키는 주의작동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방탄탑에 있어서, 상기 작동조절모듈은 즉시작동모듈 또는 예방작동모듈에 의해 공기순환모듈이 작동하지 않더라도 습도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우 공기순환모듈의 비상적인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긴급작동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긴급작동모듈은 일정시간 간격으로 습도의 증가율을 산출하는 증가율산출모듈과, 산출된 증가율을 임계값과 비교하는 임계값비교모듈과, 증가율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지속시간을 측정하는 지속시간측정모듈과, 지속시간이 일정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공기순환모듈의 비상 작동을 개시하는 작동개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방탄탑에 있어서, 상기 정면방탄부는 상기 외부방탄강판 및 내부방탄강판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회전보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보호부는 상기 외부방탄강판 및 내부방탄강판 사이에 일정 너비의 판으로 형성되어 외부방탄강판 및 내부방탄강판 사이를 차단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중심에 형성되어 회전중심이 되며, 좌우 방향을 따라 일정길이로 형성되는 지지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방탄탑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후방으로 함입되어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오목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방탄탑에 있어서, 상기 회전보호부는 상기 회전판의 후방에 형성되어 회전하는 회전판과 접촉되며, 탄성을 가진 소재로 형성되는 제한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방탄탑에 있어서, 상기 정면방탄부는 상기 외부방탄강판의 전면에 형성되어 하측으로 돌출되는 하부보강철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방탄탑은 상기 정면방탄부의 굴삭기 암측 측면에 형성되어 굴삭기 암측 구성을 보호하는 실린더보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보호부는 정면방탄부의 굴삭기 암측 측면에서 전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일정 너비의 실린더보호철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방탄탑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보호부는 상기 정면방탄부에 충돌한 파편이 실린더보호철판을 넘어 실린더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유입방지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유입방지모듈은 상기 실린더보호철판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돌출되는 라운딩돌출판과, 상기 라운딩돌출판 및 실린더보호철판 사이에 삽입되는 탄성을 가진 소재의 지지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방탄탑은 상기 정면방탄부, 출입측방탄부, 상면방탄부 및 후면방탄부를 용접하여 일체로 결합시킨 후 운전실을 덮도록 설치하도록 하고, 상기 측면방탄부만을 상기 정면방탄부, 출입측방탄부, 상면방탄부 및 후면방탄부에 볼트 결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방탄탑에 있어서, 상기 출입측방탄부는 출입측방탄부의 골격을 형성하는 출입방탄프레임과, 상기 출입방탄프레임에 결합되어 운전실을 보호하는 출입방탄강판과, 출입방탄강판의 여닫이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일체형경첩을 포함하고, 상기 출입방탄강판은 운전실의 출입문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 여닫히는 방탄출입문과, 상기 출입문을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일체형겹첩은 상기 방탄출입문과 지지판 사이에 상하로 형성되는 회전지지축과; 상기 회전지지축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하며, 방탄출입문 및 지지판에 고정되는 지지결합판;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결합판은 상하측에 복수개가 일체로 결합하여 각각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방탄탑에 있어서, 상기 출입측방탄부는 운전실 출입문의 손잡이에 결합되어 출입문과 방탄출입문이 함께 여닫히도록 하는 손잡이결합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결합모듈은 상기 방탄출입문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운전실 출입문의 손잡이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지지대와; 상기 결합지지대 상에 형성되어 회전에 따라 손잡이가 결합지지대 내로 삽입되도록 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회전부재를 결합지지대 상에 탄성 결합시키며, 회전부재의 회전중심이 되는 탄성회전축과; 상기 회전부재의 끝단에서 돌출되며, 결합지지대의 내측에 지지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여, 회전부재가 결합지지대의 내측으로 회전한 후 결합지지대측으로 돌아와 걸려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결합지지대 내에 손잡이가 삽입된 후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방탄탑은 상기 방탄강화부 또는 방탄창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합산하여 그 누적에 따라 방탄강화부 또는 방탄창부의 교체 시기를 감지하는 안전진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진단부는 상기 방탄강화부 또는 방탄창부 내측에 형성되어 방탄강화부 또는 방탄창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센서모듈과, 측정되는 압력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측정정보저장모듈과, 저장되는 압력을 누적하여 합산하는 누적합산모듈과, 방탄강화부 또는 방탄창부에 가해지는 충격의 정도에 따른 압력의 범위를 설정하는 압력범위설정모듈과, 압력범위에 따른 가중치를 설정하는 가중치산출모듈과, 저장되는 압력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합산함으로써 방탄강화부 또는 방탄창부에 누적되는 피로도를 산출하는 피로누적산출모듈과, 산출되는 피로도가 일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교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는 교체알림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폭발물의 폭발시 가장 충격이 큰 정면방탄부의 방탄창부가 방탄유리와 방탄플라스틱의 이중으로, 방탄창부를 제외한 부분이 외부방탄강판과 내부방탄강판의 이중 방탄강화부로 형성되도록 하여 폭발물의 화력을 효과적으로 낮추고 운전실의 안전한 보호가 가능하도록 하며, 차량의 변형 또한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방탄창부의 편리한 설치 및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방탄유리와 방탄플라스틱의 이중으로 방탄창부를 구성하도록 하면서도 방탄유리와 방탄플라스틱 사이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이중 방탄강화부 내에 회전보호부를 형성하도록 하여 외부방판강판을 관통하는 파편의 운동력을 추가적으로 흡수하면서 파편의 운동 방향을 굴절시켜 하부로 유도하도록 함으로써 내부방탄강판의 관통 가능성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정면방탄부의 하부에 하측으로 돌출되는 하부보강철판을 추가적으로 구비하도록 하여 바닥으로부터 시작되는 폭발에 의한 영향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정면방탄부의 암측으로 실린더보호부를 추가로 구성하도록 하여 실린더 및 실린더 호스 등의 손상을 막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정면방탄부, 출입측방탄부, 상면방탄부 및 후면방탄부를 용접하여 일체로 결합시킨 상태에서 운전실을 덮어 설치하도록 하고, 측면방탄부만을 설치된 정면방탄부, 출입측방탄부, 상면방탄부 및 후면방탄부에 볼트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정밀한 위치제어없이 편리한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며, 운전실 또는 방탄탑의 손상 또한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출입측방탄부의 방탄출입문이 일체형경첩에 의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폭발시 파손 및 변형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존 운전실의 출입문과 방탄출입문이 결합되어 함께 여닫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장치 없이도 출입문의 편리한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방탄창부 또는 방탄강화부에 주어지는 압력을 누적 합산하여 그 피로누적을 산출하도록 함으로써 방탄창부 또는 방탄강화부의 교체시기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방탄창부 또는 방탄강화부의 일정한 방탄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굴삭기의 형태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탄탑의 측면도
도 3은 도 2의 정면방탄부의 단면도
도 4는 회전보호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회전보호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실린더보호부가 설치된 정면방탄부의 정면도(a), 측면도(b)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보호부의 측면도
도 7은 습기제거부가 설치된 방탄창부의 정면도(a), 단면도(b) 및 절단면도(c)
도 8은 일체형경첩의 설치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9는 손잡이결합모듈의 설치예를 나타내는 측면도(a), 평면도(b)와 손잡이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c)
도 10은 측면방탄부(a), 상면방탄부(b), 후면방탄부(c)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탄탑의 습기제거부 및 안전진단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작동조절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3은 안전진단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탄탑의 측면도
도 3은 도 2의 정면방탄부의 단면도
도 4는 회전보호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회전보호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실린더보호부가 설치된 정면방탄부의 정면도(a), 측면도(b)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보호부의 측면도
도 7은 습기제거부가 설치된 방탄창부의 정면도(a), 단면도(b) 및 절단면도(c)
도 8은 일체형경첩의 설치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9는 손잡이결합모듈의 설치예를 나타내는 측면도(a), 평면도(b)와 손잡이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c)
도 10은 측면방탄부(a), 상면방탄부(b), 후면방탄부(c)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탄탑의 습기제거부 및 안전진단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작동조절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3은 안전진단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방탄탑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탄탑을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차량용 방탄탑은 운전실(100)의 정면에 형성되어 운전실(100)을 보호하는 정면방탄부(1)와, 상기 정면방탄부(1)에 형성되는 습기를 제거하는 습기제거부(2)와, 굴삭기의 암(400)측 구성을 보호하는 실린더보호부(3)와, 운전실(100)의 출입문(200)측 측면에 형성되는 출입측방탄부(4)와, 출입측방탄부(4)의 반대측 측면에 형성되는 측면방탄부(5)와, 운전실(100)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면방탄부(6)와, 운전실(100)의 후면에 형성되는 후면방탄부(7)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방탄탑은 유실지뢰의 수거를 실시하는 굴삭기의 운전실(100)에 장착되어 폭발시 발생하는 파편과 화력으로부터 운전실 및 운전실에 탑승한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굴삭기뿐만 아니라 운전실이 형성된 다양한 중장비 차량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방탄탑은 폭발로부터 가장 큰 손상을 받게 되는 정면방탄부(1)를 강화하도록 하며, 특히 폭발물과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운전실 하부의 방탄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차량용 방탄탑은 바닥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크레인 등에 의해 들어올려져 운전실(100)의 상부로 설치되도록 한다. 특히 상기 차량용 방탄탑은 상기 정면방탄부(1), 출입측방탄부(4), 상면방탄부(6), 후면방탄부(7)가 미리 용접으로 일체 제작되도록 하며, 용접된 정면방탄부(1), 출입측방탄부(4), 상면방탄부(6), 후면방탄부(7)가 운전실을 둘러싸도록 한 다음, 상기 측면방탄부(5)를 정면방탄부(1), 출입측방탄부(4), 상면방탄부(6), 후면방탄부(7)에 볼트 결합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방탄탑은 용접 제작되는 정면방탄부(1), 출입측방탄부(4), 상면방탄부(6), 후면방탄부(7)를 통해 정면방탄부(1), 출입측방탄부(4), 상면방탄부(6), 후면방탄부(7) 사이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고 그 변형을 줄일 수 있도록 하며, 측면방탄부(5)를 추후에 볼트 결합시키도록 하여, 운전실(100)에 대한 설치도 더욱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의 A,B,C,D,E,F 방향을 상하전후좌우 방향으로 가정하도록 한다.
상기 정면방탄부(1)는 운전실(100)의 정면을 보호하는 구성으로, 폭발물의 폭발시 가장 큰 충격을 받는 운전실(100)의 정면을 더욱 안정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다른 방향과는 달리 이중 구조로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정면방탄부(1)의 이중 구조 내에는 별도의 회전구조물을 통해 관통되는 파편과의 간섭을 발생시키도록 하고 이에 따라 파편의 진행방향을 하측으로 변경시키고 파편의 운동력을 흡수하도록 하여 파편이 이중구조를 모두 관통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정면방탄부(1)는 바닥으로부터 발생하는 폭발로부터 효과적인 보호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정면방탄부(1)의 하부를 추가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정면방탄부(1)는 지지프레임부(11), 방탄강화부(12), 회전보호부(13), 방탄창부(14), 방탄창고정부(15), 하부보강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부(11)는 정면방탄부(1)의 외부 골격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수직프레임(111), 수평프레임(1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부(11)는 상기 출입측방탄부(4), 측면방탄부(5) 사이에 하측으로 갈수록 전측으로 돌출되는 경사를 갖도록 결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지지프레임부(11)에 결합하는 방탄강화부(12) 및 방탄창부(14)가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하여 폭발에 의한 파편 및 폭발력의 비산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직프레임(111) 사이에는 복수의 수평프레임(112)이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방탄창부(14)와 방탄강화부(12)가 연결되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방탄강화부(12)는 정면방탄부(1)의 방탄력을 강화하고 운전실(100)에 대한 보호와 운전실(100)의 변형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특히 방탄창부(14)의 하부측에 좌우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바닥으로부터 발생하는 폭발에 대한 더욱 안전한 보호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방탄강화부(1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및 내측에 외부방탄강판(121) 및 내부방탄강판(122)이 형성되도록 하여 이중으로 파편을 방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외부방탄강판(121) 및 내부강탄강판(122)은 바람직하게는 6T의 얇은 두께와 무게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폭발에 따른 방탄강화부(12)의 변형에 따른 운전실(100)의 변형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상기 방탄강화부(12)는 외부방탄강판(121) 및 내부방탄강판(122)의 이중으로 형성되어 폭발에 의해 내부방탄강판(122)까지 변형되는 것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내부방탄강판(122)의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얇은 두께로 인해 운전실(100)에 대한 영향을 줄여 결국에는 운전실(100)의 변형 및 파손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외부방탄강판(121) 및 내부방탄강판(122)의 사이에는 회전보호부(13)가 형성되어 파편의 진행을 방해하도록 함으로써 폭발에 의한 충격 및 파편이 내부방탄강판(122)을 통과하여 운전실(100)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보호부(13)는 방탄강화부(12)의 외부방탄강판(121) 및 내부방탄강판(122) 사이에 형성되어 방탄강화부(12)에 대한 파편의 관통을 막도록 하는 구성으로, 파편의 진행 방향을 하측으로 바꾸면서 운동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보호부(1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131), 지지축(1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판(131)은 외부방탄강판(121) 및 내부방탄강판(122) 사이에 삽입되는 일정 너비의 판으로 방탄강화부(12)가 형성되는 좌우 방향에 걸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회전판(131)은 그 중심에 좌우 방향의 지지축(132)에 형성되어 지지축(132)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삽입되는 오목면(131a)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판(131)은 외부방탄강판(121)을 통과하는 파편이 부딪혀 더이상 후측으로 진행되지 못하고 하측으로 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오목면(131a)을 통해 파편이 상측으로 비산되거나 튕겨져 내부방탄강판(122)을 향하도록 하지 않고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축(132)은 외부방탄강판(121) 및 내부방탄강판(122) 사이에 좌우 방향으로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회전판(131)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회전판(131)의 중심에 형성되어 회전판(131)의 회전 중심이 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축(132)은 회전판(131)의 상하 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파편에 의한 충격을 줄이면서도 파편의 진행 방향을 효과적으로 바꿀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회전보호부(1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131)의 후측으로 제한턱(133)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한턱(133)은 상기 회전판(131)의 후측에 형성되어 회전판(131)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내부방탄강판(122)에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한턱(133)은 탄성을 가진 고무 등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판(131)의 회전력을 흡수하여 파편의 운동력을 흡수하고 회전판(13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한턱(133)은 상하 측에 한 쌍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회전판(131)이 일정 각도 회전하면 제한턱(133)에 부딪히도록 하여 그 회전각도를 제한하도록 함으로써 파편의 진행방향 변경 및 이동제한과 회전력의 흡수가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만약, 회전판(131)을 고정시키는 경우에는 파편의 운동력이 회전판(131)의 강도보다 센 경우 회전판(131)을 그대로 관통하게 되나, 상기 회전보호부(13)는 회전판(131)을 회전시키는 힘에 의해 파편의 운동력을 흡수하고, 이에 더해 제한턱(133)에 의해 추가적인 운동력을 흡수하므로, 회전판(131)의 부하를 줄이면서도 효과적인 운동력의 흡수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회전보호부(13)는 파편의 운동력이 센 경우에도 회전판(131)의 회전에 따라 파편의 이동 방향을 변경하여 회전판(131)의 관통되지 않고 하측으로 떨어지도록 함으로써 내부방탄강판(122)의 관통 및 운전실(100)에 대한 영향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방탄창부(14)는 운전실의 시야 확보를 위해 정면방탄부(1)의 일정 범위에 투명하게 형성되는 구성으로, 본 발명에서는 특히 방탄유리(141)와 방탄플라스틱(142)의 이중 구조로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방탄창부(14)의 경우에도 이중 구조를 통한 방탄력의 보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탄플라스틱(142)은 폴리카보네이트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방탄창부(1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탄유리(141)를 외측에 방탄플라스틱(142)을 내측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방탄창고정부(15)를 통해 그 설치와 교체가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방탄유리(141)와 방탄플라스틱(142) 사이에는 미세 공간이 형성되어 그 공간에 습기, 김서림이 발생될 수 있는데, 상기 습기제거부(2)를 통해 습기의 제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방탄창고정부(15)는 상기 방탄창부(14)를 지지프레임부(11)에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방탄유리(141) 및 방탄플라스틱(142)의 둘레가 상기 수직프레임(111) 및 수평프레임(112)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방탄창고정부(15)는 방탄창부(14)를 하측에서 지지하도록 하여 방탄창부(14)를 지지시킨 상태에서 방탄창부(14)의 설치 및 교체가 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방탄창부(14)의 안정적인 지지 및 고정 또한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방탄창고정부(15)는 방탄유리(141) 및 방탄플라스틱(142)을 동시에 지지하여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그 설치 및 교체를 더욱 편리하게 하고, 방탄창부(14)를 상측에서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여 그 설치 및 교체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방탄창고정부(1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151), 절곡프레임(152), 체결나사(153), 절곡프레임체결홀(154), 방탄플라스틱체결홀(155), 지지프레임체결홀(156), 견인고리(15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턱(151)은 상기 방탄창부(14)를 하부에서 받치는 구성으로, 더욱 정확하게는 방탄플라스틱(142)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걸림턱(15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방탄부(1)의 중심 일정 영역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수평프레임(112)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고, 방탄플라스틱(142)을 하부에서 받치도록 하여 방탄플라스틱(142)의 설치 및 교체시 방탄플라스틱(142)이 걸림턱(151)에 지지된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절곡프레임(152)은 상기 방탄유리(141) 및 방탄플라스틱(142)을 동시에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절곡프레임(152)은 상기 방탄창부(14)의 상하측에 각각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방탄유리(141) 및 방탄플라스틱(142)을 동시에 지지하여 지지프레임부(11)에 고정되도록 한다. 특히, 상기 절곡프레임(15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탄유리(141) 및 방탄플라스틱(142)을 지지한 상태에서 체결나사(153)에 의해 상기 방탄플라스틱(142) 및 수평프레임(112)에 동시에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절곡프레임(152)은 방탄유리(141) 및 방탄플라스틱(142)을 동시에 지지하면서 체결나사(153)의 결합만으로 지지프레임부(11)에 대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므로 방탄창부(14)의 설치 및 교체가 편리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절곡프레임(152)에는 체결나사(153)가 관통하는 절곡프레임체결홀(154)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절곡프레임(152)에는 상기 방탄유리(141) 및 방탄플라스틱(142) 사이의 공간과 연통되도록 후술할 습기제거공(21)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습기제거공(21)을 통해 방탄유리(141) 및 방탄플라스틱(142) 사이의 습기가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체결나사(153)는 상기 절곡프레임(152) 및 방탄플라스틱(142)을 수평프레임(112)에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절곡프레임(152), 방탄플라스틱(142)을 관통하여 수평프레임(112)에 삽입·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체결나사(153)는 상기 절곡프레임(152), 방탄플라스틱(142), 수평프레임(112)을 각각 관통하여 형성되는 절곡프레임체결홀(154), 방탄플라스틱체결홀(155), 지지프레임체결홀(156)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방탄창부(14)는 체결나사(153)를 절곡프레임체결홀(154), 방탄플라스틱체결홀(155), 지지프레임체결홀(156)에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작업만으로 절곡프레임(152) 및 방탄플라스틱(142)을 수평프레임(112)에 고정시킬 수 있고, 절곡프레임(152)에 지지된 방탄유리(141)도 함께 고정되므로 그 설치 및 교체 작업이 매우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절곡프레임체결홀(154), 방탄플라스틱체결홀(155), 지지프레임체결홀(156)은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체결나사(153)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견인고리(157)는 상기 방탄창부(14)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방탄유리(141)를 들어올리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견인고리(157)는 방탄유리(141)의 상단에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방탄유리(141)의 설치 및 교체시 견인고리(157)를 통해 방탄유리(141)를 이동시켜 안전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하부보강부(16)는 상기 정면방탄부(1)의 하부를 추가적으로 보강하여 바닥에서 폭발하는 폭발물의 파편 및 폭발력이 운전실(100)의 바닥에 충격을 가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하부보강부(1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방탄강판(121)의 외측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는 하부보강철판(161)이 추가적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하측으로 돌출되는 하부보강철판(161)은 운전실(100)의 바닥을 향하는 파편 및 폭발력을 차단하도록 하여 운전실(100)의 바닥을 관통하는 피해를 막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습기제거부(2)는 방탄유리(141) 및 방탄플라스틱(142) 사이에 발생하는 습기를 제거하는 구성으로, 습기에 의한 김서림, 성에 등에 의해 운전자의 시야가 방해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한다. 상기 방탄유리(141) 및 방탄플라스틱(142)은 절곡프레임(152)에 지지되어 고정되는바, 방탄유리(141) 및 방탄플라스틱(142) 사이의 공간이 절곡프레임(152)에 막혀 습기가 발생되기 쉽고, 습기가 발생될 경우 그 제거가 어려워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습기제거부(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프레임(152) 상에 일정 길이로 관통되는 습기제거공(21)이 형성되도록 하여 방탄유리(141) 및 방탄플라스틱(142) 사이 공간에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습기 발생을 방지하고 습기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습기제거공(21)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탄유리(141) 및 방탄플라스틱(142) 사이의 공간과 연통되는 부분에 관통되도록 형성되도록 하여 습기의 제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실린더보호부(3)는 굴삭기에 형성되는 암(400) 측의 실린더(401), 실린더 호스 등을 보호하는 구성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방탄부(1)의 암측에 형성되도록 하여, 폭발에 의한 파편 등의 정면방탄부(1)에 맞고 실린더(401)측으로 튀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실린더보호부(3)는 도 6(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실린더보호철판(3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실린더보호철판(31)을 통해 파편 및 폭발력이 실린더(401), 실린더 호스에 충격을 주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실린더보호부(3)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보호철판(31)의 강도를 보강하고, 실린더보호철판(31)에 부딪힌 파편이 암(400)측으로 넘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 유입방지모듈(32)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방지모듈(32)은 상기 실린더보호철판(31)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돌출되는 라운딩돌출판(321)과, 상기 라운딩돌출판(321) 및 실린더보호철판(31) 사이에 삽입되는 탄성을 가진 소재의 지지탄성체(3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라운딩돌출판(321)은 충돌된 파편이 실린더보호부(3)를 넘지 못하고 하강 하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지지탄성체(322)에 의해 지지되어 폭발에 대한 저항강도를 보강하고 파편의 운동력을 흡수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보호부(3)는 지뢰 등의 폭발에도 안정적으로 고정될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파편의 운동력을 흡수하고, 파편이 실린더보호부(3)를 넘어 암(400)측으로 충격을 가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출입측방탄부(4)는 운전실(100)의 출입문(200) 측에 형성되는 구성으로, 출입문(200)과 함께 개폐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 출입측방탄부(4)는 출입문(200)의 손잡이(300)와 결합되어 운전실(100) 출입문(200)의 개폐시 출입측방탄부(4)도 함께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장치없이도 운전실(100) 내에서 편리한 출입문(200)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출입측방탄부(4)는 출입방탄프레임(41), 출입방탄강판(42), 일체형경첩(43), 출입측방탄창(44), 손잡이결합모듈(4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입방탄프레임(41)은 출입측방탄부(4)의 골격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전측이 경사지는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내부에는 출입방탄강판(42)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출입방탄프레임(41)은 정면방탄부(1), 상면방탄부(6), 후면방탄부(7)와 용접에 의해 결합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운전실(100) 상부로 삽입되어 출입문(200)에 밀착된다.
상기 출입방탄강판(42)은 운전실(100)의 출입문(200)과 밀착되어 출입문(200)을 폭발로부터 보호하는 구성으로, 출입문(200)과 함께 개폐되는 방탄출입문(421)과 방탄출입문(421)을 지지하는 지지판(4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탄출입문(421)은 지지판(422)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데. 일체형경첩(43)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여 폭발에 의한 진동에도 변형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방탄출입문(421)의 내측에는 운전실 출입문(200)의 손잡이(300)와 결합되는 손잡이결합모듈(45)이 형성되어 방탄출입문(421)을 출입문(200)과 함께 여닫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일체형경첩(43)은 방탄출입문(421)을 지지판(4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구성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탄출입문(421)의 회전중심이 되는 회전지지축(431)과 회전지지축(431)의 양측에 형성되어 각각 방탄출입문(421) 및 지지판(422)에 고정되는 지지결합판(432)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탄출입문(421)은 일체형경첩(43)에 의해 지지판(422)에 지지되어 회전하게 되며, 특히 상기 일체형경첩(43)은 지지결합판(432)이 서로 이격되지 않고 일체로 결합하여 연속되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방탄출입문(421) 및 지지판(422)과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일체형경첩(43)은 폭발의 발생시 기존 경첩이 경첩들 사이로 방탄출입문(421) 및 지지판(422)이 비틀려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방탄출입문(421) 및 지지판(422)이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출입측방탄창(44)은 투명한 방탄유리로 형성되어 운전자의 측면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정면방탄부(1)와 같은 방탄창고정부(15)와 습기제거부(2)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결합모듈(45)은 운전실(100)의 출입문 손잡이(300)와 출입측방탄부(4)의 방탄출입문(421)을 결합시키는 구성으로, 운전실(100)의 출입문(200)을 여닫음과 함께 방탄출입문(421)도 여닫아질 수 있도록 하여 운전실(100) 내에서도 방탄출입문(421)을 여닫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운전실 출입문(200)과 방탄출입문(421)이 별개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출입문(200)을 여는 방향에 따라 방탄출입문(421)을 열거나 닫을 수 없게 되어 방탄출입문(421)을 여닫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였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결합모듈(45)은 출입문 손잡이(300)와 결합되어 방탄출입문(421)을 출입문(200)과 함께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실(100) 내에서도 방탄출입문(421)이 개폐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상기 손잡이결합모듈(45)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지지대(451)와 회전부재(4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지지대(451)는 손잡이(300)와 같이 방탄출입문(421)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회전부재(452)가 방탄출입문(421)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결합지지대(4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결합지지대(451)는 손잡이(300)가 회전부재(452)를 통과하여 결합지지대(451) 내에 삽입된 후 양측으로 빠지지 않고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결합지지대(451)는 내측으로 상기 회전부재(452)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451a)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회전부재(452)의 외측 방향 회전을 제한하여 손잡이결합모듈(45) 내에 삽입된 손잡이(300)가 밖으로 이탈되지 않고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회전부재(452)는 상기 결합지지대(451)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으로, 상기 손잡이(300)와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손잡이(300)가 회전부재(452)를 누르고 결합지지대(451) 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부재(452)는 그 일단이 상기 결합지지대(451)에 지지되어 회전하며 외측 방향으로 당겨지는 탄성력을 제공받도록 하고, 그 타단은 상기 결합지지대(451)의 걸림홈(451a)에 걸려 외측으로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부재(452)는 평상시 결합지지대(451)의 걸림홈(451a)에 삽입되어 걸린 상태를 유지하며, 출입문(200)의 손잡이(300)가 회전부재(452)를 누르고 결합지지대(451) 내에 삽입된 다음에는 회전부재(452)가 자동으로 외측으로 회전하여 걸림홈(451a)에 걸린 상태로 되돌아오게 된고, 이에 따라 손잡이(300)는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지지대(451) 내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여 출입문(200)과 방탄출입문(421)이 함께 여닫힐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부재(452)는 탄성회전축(452a) 및 걸림돌기(45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회전축(452a)은 상기 회전부재(452)를 결합지지대(45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구성으로, 회전부재(452)의 회전중심이 되며, 외측 방향으로 탄성에 의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 등이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탄성회전축(452a)은 상기 회전부재(452)가 항상 외측 방향의 회전력을 제공받도록 하며, 상기 회전부재(452)는 결합지지대(451)에 걸려 고정되므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결합지지대(451)에 걸려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회전축(452a)은 출입문(200)의 손잡이(300)가 회전부재(452)를 밀어 결합지지대(451) 사이에 삽입된 후 회전부재(452)를 다시 결합지지대(451)에 고정되도록 하여 손잡이(300)가 결합지지대(451)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방탄출입문(421)과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걸림돌기(452b)는 회전부재(452)의 타단으로 돌출되는 구성으로, 상기 걸림홈(451a)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걸림돌기(452b)는 탄성회전축(452a)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외측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재(452)가 결합지지대(451)에 지지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탄탑은 용접으로 일체화된 정면방탄부(1), 출입측방탄부(4), 상면방탄부(6), 후면방탄부(7)를 크레인 등에 의해 들어올려 운전실(100)로 장착되도록 하면서 손잡이결합모듈(45)을 손잡이(300)로 근접시켜 손잡이(300)가 회전부재(452)를 밀면서 결합지지대(451) 사이로 들어가도록 하고, 회전부재(452)는 자동으로 외측으로 회전하여 결합지지대(451)에 지지되어 고정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출입측방탄부(4)의 방탄출입문(421)은 손잡이결합모듈(45)에 의해 출입문(200)의 손잡이(300)와 결합하게 되며, 출입문(200)의 개폐에 의해 방탄출입문(421)도 함께 개폐되게 된다.
상기 측면방탄부(5)는 출입측방탄부(4)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운전실(100)을 보호하는 구성으로, 볼트 결합에 의해 일체로 용접된 정면방탄부(1), 출입측방탄부(4), 상면방탄부(6), 후면방탄부(7)와 결합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측면방탄부(5)는 크레인 등에 의해 정면방탄부(1), 출입측방탄부(4), 상면방탄부(6), 후면방탄부(7)를 운전실(100)에 설치하도록 한 다음 볼트 결합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므로, 정면방탄부(1), 출입측방탄부(4), 상면방탄부(6), 후면방탄부(7)를 크레인 등에 의해 운전실(100)에 설치하는 작업이 좀더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그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용이해져 정면방탄부(1), 출입측방탄부(4), 상면방탄부(6), 후면방탄부(7)가 운전실(100)과 부딪혀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작업의 신속성을 높이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측면방탄부(5)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을 보호하는 측면방탄강판(51), 측면방탄강판(51)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볼트 등에 의해 정면방탄부(1), 출입측방탄부(4), 상면방탄부(6), 후면방탄부(7)와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홀(52),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는 측면방탄창(53)을 포함할 수 있으며, 결합홀(52)에 볼트 등을 삽입하여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상면방탄부(6)는 운전실(100)의 상부를 보호하는 구성으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격을 형성하는 상면방탄프레임(61), 상면방탄프레임(61) 사이에 형성되어 운전실(100)을 보호하는 상면방탄강판(62), 상면방탄강판(62) 상에 형성되어 상면방탄부(6)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는 연결고리(63)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면방탄부(6)는 정면방탄부(1), 출입측방탄부(4), 후면방탄부(7)와 용접으로 일체화된 상태에서 연결고리(63)에 의해 크레인 등의 와이어와 연결하여 들어올려지고, 운전실(100) 상부로 이동하여 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후면방탄부(7)는 운전실(100)의 후면을 보호하는 구성으로,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방탄프레임(71), 후면방탄강판(7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방탄창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탄탑을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차량용 방탄탑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방탄탑에서 안전진단부(8)를 추가로 포함하도록 하며, 습기제거부(2)는 습도센서(22), 공기순환모듈(23), 작동조절모듈(24)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도록 한다. 그 밖에 다른 구성은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습기제거부(2)는 앞서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절곡프레임(152) 상에 습기제거공(21)을 형성하여 외부의 공기가 방탄유리(141)와 방탄플라스틱(142)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습기를 제거하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에 더해 습기제거공(21)을 통해 강제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도록 하여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습기의 제거가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습기의 제거는 방탄유리(141)와 방탄플라스틱(142) 사이에 형성되는 습도센서(22)에 의해 측정되는 습도에 따라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효율적인 습기의 제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습기제거부(2)는 습도센서(22), 공기순환모듈(23), 작동조절모듈(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습도센서(22)는 방탄유리(141) 및 방탄플라스틱(142) 사이에 형성되어 습도를 측정하는 구성으로, 측정되는 습도에 따라 공기순환모듈(23)의 작동이 조절되도록 한다.
상기 공기순환모듈(23)은 외부 공기를 상기 방탄유리(141) 및 방탄플라스틱(142) 사이 공간에 강제 유입시켜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를 통해 방탄유리(141) 및 방탄플라스틱(142) 사이의 습기가 제거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공기순환모듈(23)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151) 상에 형성되어 방탄유리(141) 및 방탄플라스틱(142) 사이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주입노즐(231)과 공기주입노즐(231)을 통해 외부 공기를 강제로 주입시키는 송풍모듈(232)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순환모듈(23)은 송풍모듈(232)의 작동을 통해 외부 공기를 공기주입노즐(231)에 의해 분사되도록 하고, 분사되는 공기는 방탄유리(141) 및 방탄플라스틱(142) 사이 공간으로 유입되어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방탄유리(141) 및 방탄플라스틱(142) 사이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작동조절모듈(24)은 공기순환모듈(23)의 작동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상기 습도센서(22)에 의해 측정되는 습도정보에 따라 작동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작동조절모듈(24)은 습도가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공기순환모듈(23)을 작동시키도록 할 수 있으며, 습도가 설정값을 초과하지 않더라도 설정값 이하의 일정 범위에서 지속되는 경우에는 곧 설정값에 도달할 가능성이 크고 주변 환경에 따라 시야가 확보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공기순환모듈(23)을 예방적으로 작동시켜 습기에 의해 시야가 방해되기 전에 미리 습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작동조절모듈(24)은 습도가 설정값을 초과하거나 일정 범위에서 지속되어 예방작동이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습도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우에는 공기순환모듈(23)을 비상적으로 작동시켜 습도가 설정값을 초과하기 전에 습도의 증가에 대한 선제적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작동조절모듈(24)은 즉시작동모듈(241), 예방작동모듈(242), 긴급작동모듈(2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즉시작동모듈(241)은 습도가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공기순환모듈(23)을 즉각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습도에 의한 시야의 방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설정값은 운전자의 시야에 방해가 되는 최소의 값으로 설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그 초과하는 정도에 따라 공기순환모듈(23)의 작동정도, 즉 송풍모듈(232)의 작동 강도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예방작동모듈(242)은 상기 공기순환모듈(23)의 예방적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습도센서(22)에 의해 측정되는 습도가 설정값 이하의 일정 범위에서 지속되는 경우 공기순환모듈(23)을 미리 작동시키도록 한다. 습도가 운전에 방해가 되는 설정값을 넘지 않더라도 일정시간 이상 계속되는 경우에는 얼마 지나지 않아 설정값을 초과할 위험이 높고 일정 범위의 습도가 계속되는 경우에는 그 자체로 시야에 방해를 받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예방작동모듈(242)은 습도가 설정값을 초과하지 않더라도 설정값 이하의 일정범위(이하 '주의범위'라 함)에서 연속되는 경우 그 정도에 따라 공기순환모듈(23)을 미리 작동시키도록 함으로써 습도가 시야에 방해가 되는 설정값을 초과하기 전에 미리 습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예방작동모듈(242)은 주의범위인지모듈(242a), 시간계측모듈(242b), 주의지수연산모듈(242c), 주의작동모듈(242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의범위인지모듈(242a)은 습도가 주의범위에 도달하는 것을 감지하는 구성으로, 주의범위란 습도가 설정값을 초과할 위험이 있고 일정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시야에 방해를 줄 위험이 있는 습도 범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설정값 이하의 일정 범위로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주의범위인지모듈(242a)은 습도가 주의범위에 도달하는 것이 인지되는 경우 그 값을 저장하도록 하며, 지속시간을 측정하여 주의지수가 산출되도록 한다.
상기 시간계측모듈(242b)은 습도가 주의범위에서 머무르는 시간을 측정하는 구성으로, 주의범위에서 계속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저장되도록 한다.
상기 주의지수연산모듈(242c)은 습도에 대한 주의정도를 나타내는 주의지수를 산출하는 구성으로, 습도값과 그 지속시간을 곱하여 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주의지수연산모듈(242c)은 습도가 주의범위에서 계속되는 경우 주의지수를 산출하도록 하며, 주의지수는 그 값이 높을수록 습도가 설정값에 도달할 위험이 높거나 시야에 방해되는 정도가 높은 것을 의미하게 된다.
상기 주의작동모듈(242d)은 주의지수가 일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공기순환모듈(23)을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습도가 설정값을 초과하기 전에 미리 공기순환모듈(23)을 작동시키도록 하여 습기에 의해 운전자의 시야가 방해받기 전에 습기를 제거하도록 하여 운전자의 운전이 안전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의작동모듈(242d)은 주의지수가 높을수록 공기순환모듈(23), 더욱 정확하게는 송풍모듈(232)의 작동 강도를 높이도록 하여 습기의 효과적인 제거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긴급작동모듈(243)은 습도가 설정값을 초과하거나 예방작동모듈(242)이 작동하지 않더라도 습도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우 공기순환모듈(23)의 비상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습도의 급격한 증가에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한다. 습도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우 습도가 설정값에 도달하여 공기순환모듈(23)을 작동시키게 되면 습기를 제거하는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으므로, 상기 긴급작동모듈(243)은 미리 공기순환모듈(23)을 긴급하게 작동시켜 습도의 증가율을 낮추고 습기를 제거하는데에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긴급작동모듈(243)은 증가율산출모듈(243a), 임계값비교모듈(243b), 지속시간측정모듈(243c), 작동개시모듈(243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가율산출모듈(243a)은 습도센서(22)에 의해 측정되는 습도의 증가율을 산출하는 구성으로, 일정시간 간격으로 측정되는 습도가 증가하는 기울기를 계산하도록 한다.
상기 임계값비교모듈(243b)은 산출된 습도의 증가율을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는 구성으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그 지속시간이 측정되도록 한다.
상기 지속시간측정모듈(243c)은 습도의 증가율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그 지속시간을 측정하는 구성으로, 일정시간을 초과하여 지속되는 경우 공기순환모듈(23)의 비상 작동하도록 한다.
상기 작동개시모듈(243d)은 공기순환모듈(23)을 비상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습도의 증가율이 임계값을 초과하여 일정시간을 넘어 계속되는 경우 공기순환모듈(23)을 작동시키도록 한다. 상기 작동개시모듈(243d)은 증가율이 임계값 이하로 내려갈 때까지 공기순환모듈(23)을 작동시키도록 할 수 있으며, 습도의 증가율에 따라 공기순환모듈(23)의 작동 강도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안전진단부(8)는 방탄강화부(12) 또는 방탄창부(14)에 가해지는 충격을 합산하여 그 누적에 따라 방탄강화부(12) 또는 방탄창부(14) (이하 '방탄강화부(12) 등' 이라 함)의 안정 정도를 산출하는 구성으로, 이를 통해 방탄강화부(12) 등의 교체 시기를 알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안전진단부(8)는 방탄강화부(12) 등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여 합산하도록 함으로써 방탄강화부(12) 등의 피로도를 산출하도록 하며, 이에 더해 방탄강화부(12) 등에 가해지는 충격이 클수록 그 충격의 크기에 더하여 추가적인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충격의 크기에 따라 가중치를 설정하여 충격의 합산에 반영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안전진단부(8)는 압력측정센서모듈(81), 측정정보저장모듈(82), 누적합산모듈(83), 압력범위설정모듈(84), 가중치설정모듈(85), 피로누적산출모듈(86), 교체알림모듈(8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측정센서모듈(81)은 방탄강화부(12) 등에 형성되어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구성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탄창부(14) 또는 방탄강화부(12)의 내측에 형성되어 방탄창부(14) 또는 방탄강화부(12)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측정정보저장모듈(82)은 압력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상기 압력측정센서모듈(81)에 의해 측정되는 압력정보를 지속적으로 저장하여 합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누적합산모듈(83)은 각 방탄강화부(12) 등에 대해 저장되는 압력정보를 합산하는 구성으로, 그 합산에 따라 각 방탄강화부(12)의 피로지수를 산출하도록 한다. 피로지수는 충격에 따라 저하되는 방탄강화부(12) 등의 강도를 의미하며, 반복적으로 충격이 가해질수록 방탄강화부(12) 등의 강도는 약화되어 방탄력이 떨어지고 파손될 위험이 높아지므로 그 피로도에 따라 교체시기를 산정하여 알리도록 함으로써 방탄력의 유지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압력범위설정모듈(84)은 가중치가 적용되는 압력범위를 설정하는 구성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압력정보의 합산에는 그 압력에 따라 가중치가 적용된다. 다시 말해, 압력이 클수록 압력자체 외에 추가적인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른 가중치가 적용되어 압력정보의 합산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압력범위설정모듈(84)은 가중치가 주어지는 압력의 범위를 설정하여 압력 범위마다 가중치를 설정하고, 설정된 가중치가 압력정보의 합산에 반영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중치설정모듈(85)은 압력구간마다 가중치를 설정하는 구성으로, 상기 압력범위설정모듈(84)에 의해 설정되는 압력범위마다 적절한 가중치를 설정하도록 하며, 가중치가 적용된 압력정보의 합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가중치는 압력이 큰 범위일수록 높은값을 갖도록 한다. 상기 가중치설정모듈(85)은 실험적 또는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중치를 설정하도록 할 수 있으며, 합산되는 압력값과 파손 또는 관통되는 시기에 따른 상관관계에 따라 가중치를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피로누적산출모듈(86)은 압력값을 합산하여 피로도를 산출하는 구성으로, 압력에 따른 가중치를 설정하여 합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교체알림모듈(87)은 각 방탄강화부(12) 등에 대해 합산되는 피로도가 일정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교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단말기 등을 통해 알릴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교체알림모듈(87)은 방탄강화부(12) 등의 방탄력이 저하되어 교체할 필요가 있는 때에는 이를 즉시 알려 교체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방탄탑의 방탄력을 일정수준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정면방탄부 11: 지지프레임부 111: 수직프레임
112: 수평프레임 12: 방탄강화부 121: 외부방탄강판
122: 내부방탄강판 13: 회전보호부 131: 회전판
131a: 오목면 132: 지지축 133: 제한턱
14: 방탄창부 141: 방탄유리 142: 방탄플라스틱
15: 방탄창고정부 151: 걸림턱 152: 절곡프레임
153: 체결나사 154: 절곡프레임체결홀 155: 방탄플라스틱체결홀
156: 지지프레임체결홀 157: 견인고리 16: 하부보강부
161: 하부보강철판
2: 습기제거부 21: 습기제고공 22: 습도센서
23: 공기순환모듈 231: 공기주입노즐 232: 송풍모듈
24: 작동조절모듈 241: 즉시작동모듈 242: 예방작동모듈
243: 긴급작동모듈
3: 실린더보호부 31: 실린더보호철판 32: 유입방지모듈
321: 라운딩돌출판 322: 지지탄성체
4: 출입측방탄부 41: 출입방탄프레임 42: 출입방탄강판
421: 방탄출입문 422: 지지판 43: 일체형경첩
431: 회전지지축 432: 지지결합판 44: 출입측방탄창
45: 손잡이결합모듈 451: 결합지지대 451a: 걸림홈
452: 회전부재 452a: 탄성회전축 452b: 걸림돌기
5: 측면방탄부 51: 측면방탄강판 52: 결합홀 53: 측면방탄창
6: 상면방탄부 61: 상면방탄프레임 62: 상면방탄강판 63: 연결고리
7: 후면방탄부 71: 후면방탄프레임 72: 후면방탄강판
8: 안전진단부
100: 운전실 200: 출입문 300: 손잡이 400: 암 401: 실린더
112: 수평프레임 12: 방탄강화부 121: 외부방탄강판
122: 내부방탄강판 13: 회전보호부 131: 회전판
131a: 오목면 132: 지지축 133: 제한턱
14: 방탄창부 141: 방탄유리 142: 방탄플라스틱
15: 방탄창고정부 151: 걸림턱 152: 절곡프레임
153: 체결나사 154: 절곡프레임체결홀 155: 방탄플라스틱체결홀
156: 지지프레임체결홀 157: 견인고리 16: 하부보강부
161: 하부보강철판
2: 습기제거부 21: 습기제고공 22: 습도센서
23: 공기순환모듈 231: 공기주입노즐 232: 송풍모듈
24: 작동조절모듈 241: 즉시작동모듈 242: 예방작동모듈
243: 긴급작동모듈
3: 실린더보호부 31: 실린더보호철판 32: 유입방지모듈
321: 라운딩돌출판 322: 지지탄성체
4: 출입측방탄부 41: 출입방탄프레임 42: 출입방탄강판
421: 방탄출입문 422: 지지판 43: 일체형경첩
431: 회전지지축 432: 지지결합판 44: 출입측방탄창
45: 손잡이결합모듈 451: 결합지지대 451a: 걸림홈
452: 회전부재 452a: 탄성회전축 452b: 걸림돌기
5: 측면방탄부 51: 측면방탄강판 52: 결합홀 53: 측면방탄창
6: 상면방탄부 61: 상면방탄프레임 62: 상면방탄강판 63: 연결고리
7: 후면방탄부 71: 후면방탄프레임 72: 후면방탄강판
8: 안전진단부
100: 운전실 200: 출입문 300: 손잡이 400: 암 401: 실린더
Claims (7)
- 운전실의 정면에 형성되어 운전실을 보호하는 정면방탄부와, 운전실의 출입문측 측면에 형성되는 출입측방탄부와, 출입측방탄부의 반대측 측면에 형성되는 측면방탄부와, 운전실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면방탄부와, 운전실의 후면에 형성되는 후면방탄부와, 정면방탄부의 습기, 이물질을 제거하는 습기제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면방탄부는, 정면방탄부의 외부 골격을 형성하는 지지프레임부와; 상기 지지프레임부에 지지되며, 투명하게 형성되어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도록 형성되는 방탄창부와; 상기 방탄창부 외의 영역에 형성되어 방탄력을 강화하는 방탄강화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탄강화부는, 외부에 형성되는 외부방탄강판과, 내부에 형성되는 내부방탄강판을 포함하고,
상기 방탄창부는, 외측에 형성되는 방탄유리와, 상기 방탄유리의 내측에 형성되어 방탄창부의 강도를 보강하는 방탄플라스틱을 포함하며,
상기 정면방탄부는 상기 방탄창부를 지지프레임부에 고정시키는 방탄창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탄창고정부는, 상기 지지프레임부에 고정되어 상기 방탄플라스틱의 하부를 지지하는 걸림턱과; 상기 방탄플라스틱과 함께 지지프레임부에 고정되며, ""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방탄유리를 함께 지지하는 절곡프레임과; 상기 절곡프레임 및 방탄플라스틱을 관통하여 지지프레임부에 고정되는 체결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습기제거부는 상기 절곡프레임 상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방탄유리 및 방탄플라스틱 사이의 공간에 대향되는 습기제거공과, 상기 방탄유리 및 방탄플라스틱 사이에 형성되어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와, 상기 습도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습도에 따라 방탄유리 및 방탄플라스틱 사이에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순환모듈과, 상기 공기순환모듈의 작동을 조절하는 작동조절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순환모듈은,
상기 습기제거공에 인접하도록 형성되어 방탄유리 및 방탄플라스틱 사이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모듈과, 상기 습기제거공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송풍모듈의 작동에 따라 습기제거공을 통해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주입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작동조절모듈은 습도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습도가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공기순환모듈을 작동시키는 즉시작동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탄탑. - 삭제
- 삭제
- 삭제
- 운전실의 정면에 형성되어 운전실을 보호하는 정면방탄부와, 운전실의 출입문측 측면에 형성되는 출입측방탄부와, 출입측방탄부의 반대측 측면에 형성되는 측면방탄부와, 운전실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면방탄부와, 운전실의 후면에 형성되는 후면방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면방탄부는,
정면방탄부의 외부 골격을 형성하는 지지프레임부와; 상기 지지프레임부에 지지되며, 투명하게 형성되어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도록 형성되는 방탄창부와; 상기 방탄창부 외의 영역에 형성되어 방탄력을 강화하는 방탄강화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탄강화부는, 외부에 형성되는 외부방탄강판과, 내부에 형성되는 내부방탄강판을 포함하고,
상기 방탄창부는, 외측에 형성되는 방탄유리와, 상기 방탄유리의 내측에 형성되어 방탄창부의 강도를 보강하는 방탄플라스틱을 포함하며,
상기 정면방탄부는 상기 외부방탄강판 및 내부방탄강판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회전보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보호부는, 상기 외부방탄강판 및 내부방탄강판 사이에 일정 너비의 판으로 형성되어 외부방탄강판 및 내부방탄강판 사이를 차단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중심에 형성되어 회전중심이 되며, 좌우 방향을 따라 일정길이로 형성되는 지지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탄탑. - 운전실의 정면에 형성되어 운전실을 보호하는 정면방탄부와, 운전실의 출입문측 측면에 형성되는 출입측방탄부와, 출입측방탄부의 반대측 측면에 형성되는 측면방탄부와, 운전실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면방탄부와, 운전실의 후면에 형성되는 후면방탄부와, 상기 정면방탄부의 굴삭기 암측 측면에 형성되어 굴삭기 암측 구성을 보호하는 실린더보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면방탄부는,
정면방탄부의 외부 골격을 형성하는 지지프레임부와; 상기 지지프레임부에 지지되며, 투명하게 형성되어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도록 형성되는 방탄창부와; 상기 방탄창부 외의 영역에 형성되어 방탄력을 강화하는 방탄강화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탄강화부는, 외부에 형성되는 외부방탄강판과, 내부에 형성되는 내부방탄강판을 포함하고,
상기 방탄창부는, 외측에 형성되는 방탄유리와, 상기 방탄유리의 내측에 형성되어 방탄창부의 강도를 보강하는 방탄플라스틱을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보호부는 정면방탄부의 굴삭기 암측 측면에서 전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일정 너비의 실린더보호철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탄탑. - 운전실의 정면에 형성되어 운전실을 보호하는 정면방탄부와, 운전실의 출입문측 측면에 형성되는 출입측방탄부와, 출입측방탄부의 반대측 측면에 형성되는 측면방탄부와, 운전실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면방탄부와, 운전실의 후면에 형성되는 후면방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면방탄부는,
정면방탄부의 외부 골격을 형성하는 지지프레임부와; 상기 지지프레임부에 지지되며, 투명하게 형성되어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도록 형성되는 방탄창부와; 상기 방탄창부 외의 영역에 형성되어 방탄력을 강화하는 방탄강화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탄강화부는, 외부에 형성되는 외부방탄강판과, 내부에 형성되는 내부방탄강판을 포함하고,
상기 방탄창부는, 외측에 형성되는 방탄유리와, 상기 방탄유리의 내측에 형성되어 방탄창부의 강도를 보강하는 방탄플라스틱을 포함하며,
상기 출입측방탄부는 운전실 출입문의 손잡이에 결합되어 출입문과 방탄출입문이 함께 여닫히도록 하는 손잡이결합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결합모듈은, 상기 방탄출입문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운전실 출입문의 손잡이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지지대와; 상기 결합지지대 상에 형성되어 회전에 따라 손잡이가 결합지지대 내로 삽입되도록 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회전부재를 결합지지대 상에 탄성 결합시키며, 회전부재의 회전중심이 되는 탄성회전축과; 상기 회전부재의 끝단에서 돌출되며, 결합지지대의 내측에 지지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여, 회전부재가 결합지지대의 내측으로 회전한 후 결합지지대측으로 돌아와 걸려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결합지지대 내에 손잡이가 삽입된 후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탄탑.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4991A KR102193698B1 (ko) | 2020-05-08 | 2020-05-08 | 차량용 방탄탑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4991A KR102193698B1 (ko) | 2020-05-08 | 2020-05-08 | 차량용 방탄탑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93698B1 true KR102193698B1 (ko) | 2020-12-21 |
Family
ID=74090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54991A KR102193698B1 (ko) | 2020-05-08 | 2020-05-08 | 차량용 방탄탑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93698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97889B1 (ko) * | 2021-12-28 | 2022-05-16 | (주)와이에스플랜트 | 프로비전 크레인 운전실에 적용되는 2중 창문 구조 |
KR102529532B1 (ko) | 2022-09-06 | 2023-05-08 | 하재룡 | 굴삭기의 캐빈용 방탄탑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063374B1 (en) * | 2000-02-07 | 2006-06-20 | Allan Cameron | Safety shield window insert |
KR20070073541A (ko) * | 2006-01-04 | 2007-07-10 | 쓰리에이치산업(주) | 진공 복층유리 |
US20120181817A1 (en) * | 2004-04-16 | 2012-07-19 | Bae Systems Survivability Systems, Llc | Lethal Threat Protection System For A Vehicle And Method |
KR200485860Y1 (ko) * | 2016-03-31 | 2018-03-07 | 주식회사 성원 | 중장비차량용 방탄탑 및 방탄탑 조립방법 |
KR102061453B1 (ko) * | 2019-06-27 | 2019-12-31 | 손병욱 | 방탄유리 및 그 제조방법 |
-
2020
- 2020-05-08 KR KR1020200054991A patent/KR10219369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063374B1 (en) * | 2000-02-07 | 2006-06-20 | Allan Cameron | Safety shield window insert |
US20120181817A1 (en) * | 2004-04-16 | 2012-07-19 | Bae Systems Survivability Systems, Llc | Lethal Threat Protection System For A Vehicle And Method |
KR20070073541A (ko) * | 2006-01-04 | 2007-07-10 | 쓰리에이치산업(주) | 진공 복층유리 |
KR200485860Y1 (ko) * | 2016-03-31 | 2018-03-07 | 주식회사 성원 | 중장비차량용 방탄탑 및 방탄탑 조립방법 |
KR102061453B1 (ko) * | 2019-06-27 | 2019-12-31 | 손병욱 | 방탄유리 및 그 제조방법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97889B1 (ko) * | 2021-12-28 | 2022-05-16 | (주)와이에스플랜트 | 프로비전 크레인 운전실에 적용되는 2중 창문 구조 |
KR102529532B1 (ko) | 2022-09-06 | 2023-05-08 | 하재룡 | 굴삭기의 캐빈용 방탄탑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93698B1 (ko) | 차량용 방탄탑 | |
EP2662657B1 (en) | Shield for a vehicle | |
EP2691730B1 (en) | Low breaking strength shield system and method | |
US8443709B2 (en) | Vehicle and structure shield hard point | |
US20160018192A1 (en) | Rpg defeat method and system | |
US20120046916A1 (en) | Method of designing an RPG shield | |
US7546711B2 (en) | Explosion-resisting window | |
US8607685B2 (en) | Load sharing hard point net | |
PT842388E (pt) | Aparelho e processo de detonacao de minas | |
ES2324629T3 (es) | Vehiculo blindado. | |
EP2192240A1 (en) | Footstep for excavator | |
US20110072728A1 (en) | Protection device for the opening hatch of a vehicle | |
KR101084459B1 (ko) | 굴삭기 브레이커용 파편 방지장치 | |
RU184000U1 (ru) | Бойничный блок | |
RU2655590C1 (ru) | Экранированная броня | |
KR102682297B1 (ko) | 매장 근무자 보호용 방호벽 시스템 | |
CN210039013U (zh) | 一种防撞性能好的防盗入侵探测器 | |
KR20160090116A (ko) | 도로차단용 바리케이트 | |
KR200468940Y1 (ko) | 시위진압차량의 윈드실드 보호장치 | |
JP2015208379A (ja) | 放水銃装置 | |
CN211065204U (zh) | 一种工程地质勘察用安全防护装置 | |
RU2812505C1 (ru) | Дополнительная защита борта бронирован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 |
JP2005282965A (ja) | 地雷処理装置 | |
CN219605265U (zh) | 凿岩钻机及其保护装置 | |
RU2307037C2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вода энергии встречного удара и способ реализации отвода энергии встречного удара от объектов, не имеющих прочной связи с землей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