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860Y1 - 중장비차량용 방탄탑 및 방탄탑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중장비차량용 방탄탑 및 방탄탑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860Y1
KR200485860Y1 KR2020160001733U KR20160001733U KR200485860Y1 KR 200485860 Y1 KR200485860 Y1 KR 200485860Y1 KR 2020160001733 U KR2020160001733 U KR 2020160001733U KR 20160001733 U KR20160001733 U KR 20160001733U KR 200485860 Y1 KR200485860 Y1 KR 2004858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letproof
plate
disposed
support fram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7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3482U (ko
Inventor
여운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원
Priority to KR20201600017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860Y1/ko
Publication of KR201700034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4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8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8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1/00Defence installations; Defence devices
    • F41H11/12Means for clearing land minefield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on of landmines
    • F41H11/16Self-propelled mine-clearing vehicles; Mine-clearing devices attachable to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02F9/163Structures to protect drivers, e.g. cabins, doors for cabins; Falling object protection structure [FOPS]; Roll over protection structure [RO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1/00Defence installations; Defence devices
    • F41H11/12Means for clearing land minefield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on of landmines
    • F41H11/16Self-propelled mine-clearing vehicles; Mine-clearing devices attachable to vehicles
    • F41H11/20Self-propelled mine-clearing vehicles; Mine-clearing devices attachable to vehicles with ground-penetrating elements, e.g. with means for removing buried landmines from the soil
    • F41H11/22Self-propelled mine-clearing vehicles; Mine-clearing devices attachable to vehicles with ground-penetrating elements, e.g. with means for removing buried landmines from the soil the elements being excavation buck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5/00Armour; Armour plates
    • F41H5/013Mounting or securing armour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르면, 수평배치되어 중장비차량(10)에 구비된 운전실(11)의 하우징(12) 하부 둘레를 따라 고정 설치되는 협폭의 지지프레임(110); 상기 운전실(11)을 기준으로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판(121), 양측방에 각각 배치되는 두 개의 측판(122,123),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판(124) 및 상방에 배치되는 천장판(125)이 하향 개구된 박스형상으로 조립되고 각 판(121,122,123,124,125)은 방탄이 가능한 두께의 강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운전실(11)을 커버하는 형태로 하우징(12) 둘레에 삽입되어 하단 둘레가 상기 지지프레임(110)에 안착되면서 체결되는 방탄판부(120); 및 상기 방탄판부(120)의 각 판에 연통된 각 체결공(126)과 상기 방탄판부(120)와 지지프레임(110)에 연통된 각 체결공(126,111)에 각각 회전결합되어 체결된 상태를 고정하는 체결나사(130);를 포함하는 중장비차량용 방탄탑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중장비차량용 방탄탑 및 방탄탑 조립방법{BULLET-PROOF TOWER FOR HEAVY VEHICLES AND, ASSEMBLING METHOD OF BULLET-PROOF TOWER}
본 고안은 중장비차량용 방탄탑 및 방탄탑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탄소재를 이용하여 중장비차량의 운전실을 외부로부터 커버함으로써 화약 폭발이나 총탄 피해 등의 우려가 있는 작업지역에서도 탑승한 운전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중장비차량용 방탄탑 및 방탄탑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실지뢰 수거작업시 작업지역이 광범위하거나 지뢰가 땅속 깊이 매몰되어 있으며 차량의 접근이 가능한 지역에서는 굴삭기 등의 중장비차량이 이용되고 있다.
굴삭기의 경우 길이가 긴 암을 이용하여 흙을 파내는 작업위치와 운전자가 탑승한 운전실이 일정거리 이격될 수 있어 수거작업간 지뢰가 폭발하더라도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위력이 센 지뢰나 포탄 등이 폭발하는 경우 비산된 파편이나 폭발열이 운전실의 하우징이나 유리창을 뚫고 유입되면서 운전자가 큰 부상을 입을 수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방탄이 가능한 강판으로 운전실의 각면을 커버하고 유리창에는 방탄창을 덧댄 형태의 방탄탑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방탄탑의 경우 각 강판을 운전실의 하우징에 직접 용접하여 장착하는 방식으로 제조되며 굴삭기가 위치한 장소에서만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조립 및 설치시간이 과도하게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용접특성상 접합부위에 쉽게 녹이 발생하며 일부 강판이 훼손 및 파손된 경우 해당 강판을 절단하여 새로운 강판으로 재용접해야 하기 때문에 유지보수 관리 비용이 크며, 방탄탑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고중량의 강판을 장착한 상태로 운행되기 때문에 연료비 소모가 증가하고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각 강판이 운전실 하우징의 표면에 직접 용접되기 때문에 방탄탑이 불필요하여 탈거하는 경우 용접자국이 외부에 남게 되어 외관 보수작업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77433호(2008.08.07), 특수차량의 방탄 그릴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각 강판의 접합부위에 체결나사를 회전결합하는 나사체결방식으로 방탄탑을 조립하여 제조시간을 대폭 절감하고 강판 교체 등의 유지보수가 간편하며 필요에 따라 방탄탑을 쉽게 탈거할 수 있고 탈거된 상태에서도 용접자국이 남지 않는 중장비차량용 방탄탑 및 방탄탑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조립이 완료된 방탄탑을 운전실의 하우징에 탑재하는 방식으로 설치되어 작업성이 증대되고 대량 생산이 가능한 중장비차량용 방탄탑 및 방탄탑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중장비차량용 방탄탑은, 수평배치되어 중장비차량(10)에 구비된 운전실(11)의 하우징(12) 하부 둘레를 따라 고정 설치되는 협폭의 지지프레임(110); 상기 운전실(11)을 기준으로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판(121), 양측방에 각각 배치되는 두 개의 측판(122,123),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판(124) 및 상방에 배치되는 천장판(125)이 하향 개구된 박스형상으로 조립되고 각 판(121,122,123,124,125)은 방탄이 가능한 두께의 강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운전실(11)을 커버하는 형태로 하우징(12) 둘레에 삽입되어 하단 둘레가 상기 지지프레임(110)에 안착되면서 체결되는 방탄판부(120); 및 상기 방탄판부(120)의 각 판에 연통된 각 체결공(126)과 상기 방탄판부(120)와 지지프레임(110)에 연통된 각 체결공(126,111)에 각각 회전결합되어 체결된 상태를 고정하는 체결나사(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방탄판부(120)의 각 판은, 상기 방탄판부(120)의 인접된 두 판 중 어느 하나의 판에는 인접된 판과 접하는 변부가 절곡된 절곡변부(127)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변부(127)를 포함하는 테두리에는 일정간격으로 체결공(126)이 형성되며, 각 체결공(126)이 상호 연통되도록 인접된 두 판의 테두리가 상호 중첩되면서 상기 체결나사(130)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상단에는 수평하게 평탄하고 일정간격으로 체결공(111)이 이격배치된 지지면(112)이 마련되고, 상기 전방판(121) 및 두 측판(122,123)의 하단 변부에는 측방으로 절곡되고 일정간격으로 체결공(126)이 이격 배치된 하단절곡변부(128)가 마련되며, 상기 체결나사(130)는 상기 전방판(121), 두 측판(122,123)의 체결공(126)과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체결공(111)에 연속적으로 회전결합되면서 상기 방탄판부(120)와 지지프레임(110)을 상호 체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탄판부(120) 상에서 상기 하우징(12)에 설치된 유리창(14)과 대향하는 위치에는 운전자의 시야확보를 위한 방탄창(129)이 배치되고, 상기 방탄창(129)은 체결나사(130)에 의해 방탄판부(120)에 고정되는 창프레임(129a)에 의해 가압되면서 배치된 상태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호 직교되는 방향으로 인접된 두 지지프레임(110)의 모서리 부위에 설치되어 지지프레임(110) 상에 안착되는 방탄판부(120)의 하단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프레임(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탄판부(120)의 두 측판(122,123) 중 운전실(11)의 출입문(13)과 대향하는 위치의 측판(122)에는 상기 출입문(13)과 동일한 방향으로 개폐되는 방탄출입문(151)이 장착되고, 해당 측판(122)에는 운전실(11)에 배치된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방탄출입문(151)을 자동 개폐하는 액추에이터(152)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방탄탑 조립방법은, 중장비차량용 방탄탑(100)을 중장비차량(10)에 설치하기 위한 방탄탑 조립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장비차량(10)에 구비된 운전실(11)의 하우징(12) 하부 둘레를 따라 수평배치된 협폭의 지지프레임(110)을 고정설치하는 지지프레임 설치 단계(S210); 상기 운전실(11)을 기준으로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판(121), 양측방에 각각 배치되는 두 개의 측판(122,123),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판(124) 및 상방에 배치되는 천장판(125)을 하향 개구된 박스형상으로 조립하여 방탄판부(120)를 형성하는 방탄판부 조립 단계(S220); 상기 방탄판부(120)의 각 판(121,122,123,124,125)에 연통된 각 체결공(126)에 체결나사(130)를 회전결합하여 조립된 각 판의 조립된 상태를 고정하는 체결상태 고정 단계(S230); 상기 체결나사(130)에 의해 체결된 방탄판부(120)가 상기 운전실(11)을 커버하는 형태로 하우징(12) 둘레에 삽입되어 하단 둘레가 상기 지지프레임(110)에 안착되도록 하는 방탄판부 배치 단계(S240); 및 상기 방탄판부(120)와 지지프레임(110)에 연통된 각 체결공(126,111)에 체결나사(130)를 회전결합하여 방탄판부(120)의 안착된 상태를 고정시키는 방탄판부 고정 단계(S2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 설치 단계(S210)는, 상호 직교되는 방향으로 인접된 두 지지프레임(110)의 모서리 부위에 가이드프레임(140)을 설치하며, 상기 방탄판부 배치 단계(S240)는 상기 방탄판부(120)의 모서리 하단이 상기 가이드프레임(140)에 밀착된 상태로 하우징(12) 둘레에 삽입되면서 방탄판부(120)의 하단위치가 설계위치에 부합되도록 가이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탄판부 조립 단계(S220)는, 상기 방탄판부(120)의 두 측판(122,123) 중 운전실(11)의 출입문(13)과 대향하는 위치의 측판(122)에 상기 출입문(13)과 동일한 방향으로 개폐되는 방탄출입문(151)을 장착하고, 상기 방탄판부 고정 단계(S250) 이후에, 상기 방탄출입문(151)이 장착된 측판(122)에 방탄출입문(151)을 자동 개폐하는 액추에이터(152)를 설치하며, 상기 액추에이터(152)와 운전실(11)에 배치된 조작부를 신호연결하는 액추에이터 설치 단계(S260);를 더 수행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중장비차량용 방탄탑 및 방탄탑 조립방법에 의하면, 종래의 용접접합 방식을 대신하여 각 강판의 접합부위에 체결나사(130)를 회전결합하는 나사체결방식으로 방탄탑을 조립하기 때문에, 조립 및 설치시간을 대폭 절감하고 강판 교체 등의 유지보수가 간편하며 필요에 따라 방탄탑을 쉽게 탈거 할 수 있고 탈거된 상태에서도 용접자국이 남지 않아 차량의 외관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조립이 완료된 방탄탑을 운전실(11)의 하우징(12)에 탑재하는 방식으로 설치되므로, 작업환경이 양호한 공장 등의 장소에서 조립공정을 수행한 후 조립이 완료된 방탄탑을 중장비차량(10)이 위치한 장소로 운반하여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증대되고 불량률을 최소화하며 대량 생산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차량용 방탄탑이 중장비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탄판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이 운전실의 하우징 하부 둘레에 설치되는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탄판부의 각 판이 체결나사에 의해 상호 체결되는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탄탑이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운전실에 삽입되며 설치되는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탄탑 조립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먼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차량용 방탄탑(100)의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장비차량용 방탄탑(100)은 중장비차량(10)의 운전실(11)에 설치되어 탑승한 운전자를 외부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방탄탑으로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10), 방탄판부(120) 및 체결나사(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면에는 상기 중장비차량(10)이 굴삭기인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불도저, 그레이더, 스크레이퍼, 크레인 및 백호로더와 같이, 차량의 상부로 돌출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운전석이 장착된 중장비 차량이면 상기 방탄탑(100)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110)은 각 강판이 조립된 상태의 방탄판부(120)를 중장비차량(10)의 운전실(11)에 탑재할 수 있도록 하중을 지지하는 프레임구조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배치되어 중장비차량(10)에 구비된 운전실(11)의 하우징(12) 하부 둘레를 따라 고정설치되는 협폭의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110)은 일정길이로 연장된 'ㄱ'자 단면의 채널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면이 하우징(12)의 측면에 고정설치되면서 지지프레임(110)의 상단에는 수평하게 평탄한 지지면(112)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지지면(112)에는 방탄판부(120)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111)이 연장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하로 관통형성된다.
상기 방탄판부(120)는 중장비차량용 방탄탑(100)의 베이스를 형성하는 강판구조물로서,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운전실(11)을 기준으로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판(121), 양측방에 각각 배치되는 두 개의 측판(122,123),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판(124) 및 상방에 배치되는 천장판(125)이 하향 개구된 박스형상으로 조립되고 각 판(121 내지 125)은 방탄이 가능한 두께의 강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운전실(11)을 수용하도록 커버하는 형태로 하우징(12) 둘레에 삽입되어 하단 둘레가 상기 지지프레임(110)에 안착되면서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천장판(125)의 중앙에는 상하로 개구된 통공(163)이 형성되어 방탄판부(120)의 밀폐된 내부를 환기시키거나 열기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으며, 이 밖에 하우징이 설치되지 않은 운전실(11)의 경우 상기 통공(63)에 방탄창을 형성하여 상향 시야를 확보하면서도 외부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나사(130)는 방탄판부(120)의 각 강판(121 내지 125) 간의 조립상태 및 각 강판과 지지프레임(110) 간의 조립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수단으로서, 상기 방탄판부(120)의 각 강판에 연통된 각 체결공(126)과 상기 방탄판부(120)와 지지프레임(110)에 연통된 각 체결공(126,111)에 각각 회전결합되어 체결된 상태를 고정한다.
여기서,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방탄판부(120)의 각 강판은, 상기 방탄판부(120)의 인접된 두 강판 중 어느 하나의 강판에는 인접된 강판과 접하는 변부가 절곡된 절곡변부(127)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변부(127)를 포함하는 테두리에는 일정간격으로 체결공(126)이 형성되며, 각 체결공(126)이 상호 연통되도록 두 강판의 테두리가 상호 중첩되면서 체결나사(130)에 의해 체결된다.
또한, 상기 전방판(121) 및 두 측판(122,123)의 하단 변부에는 측방으로 절곡되고 일정간격으로 체결공(126)이 이격 배치된 하단절곡변부(128)가 마련되며, 상기 체결나사(130)는 전방판(121), 두 측판(122,123)의 체결공(126)과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체결공(111)에 연속적으로 회전결합되면서 방탄판부(120)와 지지프레임(110)을 상호 체결시킨다.
더불어, 통상적으로 중장비차량(10)의 운전실(11)에는 탑승한 운전자가 사방을 관측할 수 있도록 유리창(14)이 배치되는데, 이러한 유리창(14)을 통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방탄판부(120) 상에서 하우징(12)에 설치된 유리창(14)과 대향하는 위치에는 운전자의 시야확보를 위한 방탄창(129)이 배치되고, 상기 방찬은 체결나사(130)에 의해 방탄판부(120)에 고정되는 창프레임(129a)에 의해 가압되면서 배치된 상태가 고정된다.
이러한 방탄창(129)의 조립구조를 통해 방탄창(129)이 깨지거나 스크레치가 발생하여 교체해야 할 경우, 상기 회전결합된 체결나사(130)를 풀어 창프레임(129a)을 분리하는 방식으로 배치된 방탄창(129)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탄판부(120)의 두 측판(122,123) 중 운전실(11)의 출입문(13)과 대향하는 위치의 측판(122)에는 출입문(13)과 동일한 방향으로 개폐되는 방탄출입문(151)이 장착되어 운전자가 운전실(11)의 내부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때, 운전자가 출입문(13)과 방탄출입문(151)을 모두 개방하여 운전실(11)에 탑승한 후 개방된 출입문들(13,151)을 닫고자 하는 경우, 내부의 출입문(13)은 운전자가 도수로 쉽게 닫을 수 있으나, 닫혀진 출입문(13)을 통해 외부의 방탄출입문(151)을 닫기가 제한되므로 방탄출입문(151)을 닫기 위해서는 외부인원에 의한 도움을 받아야 하며 같은 맥락에서 하차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외부인원이 닫혀진 방탄출입문(151)을 개방시켜줘야만 운전실(11)의 출입문(13)을 개방 가능한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차량용 방탄탑(100)은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고자 운전실(11)에 탑승한 운전자가 외부인원의 도움없이도 방탄출입문(151)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방탄출입문(151)이 장착된 측판(122)에는 운전실(11)이 배치된 조작부(미도시)의 조작에 따라 상기 방탄출입문(151)을 자동 개폐하는 액추에이터(152)가 설치된다.
따라서, 탑승시에는 운전실(11)의 출입문(13)을 닫은 상태에서 조작부를 조작하여 액추에이터(152)의 구동력으로 방탄출입문(151)을 가압하여 자동으로 닫을 수 있으며, 반대로 하차시에는 상기 조작부를 통해 액추에이터(152)가 방탄출입문(151)을 잡아당기도록 조작하여 닫혀진 방탄출입문(151)을 쉽게 개방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탄판부(120)의 상부에는 아이볼트(164)가 장착되어 조립이 완성된 방탄판부(120)를 운전실(11)에 탑재하기 위해 들어올려야 하는 경우, 로프나 크레인의 리프팅고리를 걸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복수 개의 아이볼트(164)는 리프팅시 방탄판부(120)를 수평상태로 들수 있도록 하중을 고르게 지지하는 위치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조립이 완료된 방탄판부(120)를 지지프레임(110) 상에 안착시켜 체결나사(130)에 의해 체결시키고자 하는 경우, 방탄판부(120)의 하단에 형성된 각 체결공(126)과 지지프레임(110)의 각 체결공(111)이 상호 연통되도록 상하로 정렬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고중량의 방탄판부(120)를 들어올리는 크레인을 정밀하게 조작해야만 하며 전체의 체결공(126,111)이 정확하게 연통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체결나사(130)가 제대로 회전결합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차량용 방탄탑(100)은 이러한 현상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직교되는 방향으로 인접된 두 지지프레임(110)의 모서리 부위에 설치되어 지지프레임(110) 상에 안착되는 방탄판부(120)의 하단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프레임(140)을 더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탄판부(120)의 모서리 하단이 가이드프레임(140)에 밀착된 상태로 하우징(12) 둘레에 삽입하면 방탄판부(120)의 하단위치가 설계위치에 부합되도록 안착되며 이에 따라 방탄판부(120)의 각 체결공(126)과 지지프레임(110)의 체결공(111)은 별도의 정렬공정없이도 정확하게 상하로 연통된 상태를 갖게 되어 체결나사(130)을 쉽게 회전결합시킬수 있다.
다음으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탄탑 조립방법의 각 순서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탄탑 조립방법은 상술한 중장비차량용 방탄탑(100)을 중장비차량(10)에 설치하기 위한 조립방법으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 설치 단계(S210), 방탄판부 조립 단계(S220), 체결상태 고정 단계(S230), 방탄판부 배치 단계(S240) 및 방탄판부 고정 단계(S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상기 지지프레임 설치 단계(S210)는 방탄판부 조립 단계(S220)를 통해 조립된 방탄판부(120)를 중장비차량(10)의 운전실(11)에 탑재할 수 있도록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10)을 운전실(11)에 설치하는 단계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장비차량(10)에 구비된 운전실(11)의 하우징(12) 하부 둘레를 따라 수평배치된 협폭의 지지프레임(110)을 고정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110)은 상단의 지지면(112)이 수평하게 평탄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운전실(11)의 둘레에 고정설치되어 방탄판부(120)의 하단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지지면(112)의 체결공(111)과 방탄판부(120)의 체결공(126)이 상하로 연통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110)을 하우징(12)의 둘레에 고정설치하기 위해 용접 등의 접합 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 밖에 하우징(12) 상에서 지지프레임(110)이 장착될 부위에 체결공을 형성하여 지지프레임(110)과 하우징(12)을 연속적으로 관통하여 회전결합되는 별도의 체결나사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방탄판부 조립 단계(S220)는 중장비차량용 방탄탑(100)의 베이스를 형성하는 방탄판부(120)를 조립하는 단계로서,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운전실(11)을 기준으로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판(121), 양측방에 각각 배치되는 두 개의 측판(122,123),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판(124) 및 상방에 배치되는 천장판(125)을 하향 개구된 박스 형상으로 조립하여 방탄판부(120)를 형성한다.
여기서, 각 강판(121,122,123,124,125)은, 상기 방탄판부(120)의 인접된 두 강판 중 어느 하나의 강판에는 인접된 강판과 접하는 변부가 절곡된 절곡변부(127)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변부(127)를 포함하는 테두리에는 일정간격으로 체결공(126)이 형성되며, 각 체결공(126)이 상호 연통되도록 두 강판의 테두리가 상호 중첩되면서 체결나사(130)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체결상태 고정 단계(S230)는 체결나사(130)를 이용하여 각 강판을 상호 고정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방탄판부(120)의 각 강판(121,122,123,124,125)에 연통된 각 체결공(126)에 체결나사(130)를 회전결합하여 조립된 각 강판의 조립된 상태를 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방탄판부(120)의 각 강판에 연통된 각 체결공(126)과 상기 방탄판부(120)와 지지프레임(110)에 연통된 각 체결공(126,111)에 체결나사(130)가 각각 회전결합되어 체결된 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방탄판부 배치 단계(S240)는 체결상태 고정 단계(S230)를 통해 조립이 완료된 방탄판부(120)를 운전실(11)에 배치시키는 단계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나사(130)에 의해 체결된 방탄판부(120)가 운전실(11)을 커버하는 형태로 하우징(12) 둘레에 삽입되어 하단 둘레가 지지프레임(110)에 안착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 설치 단계(S210)는 상호 직교되는 방향으로 인접된 두 지지프레임(110)의 모서리 부위에 가이드프레임(140)을 설치하며, 상기 방탄판부 배치 단계(S240)는 방탄판부(120)의 모서리 하단이 가이드프레임(140)에 밀착된 상태로 하우징(12) 둘레에 삽입되면서 방탄판부(120)의 하단위치가 설계위치에 부합되도록 가이드될 수 있다.
상기 방탄판부 고정 단계(S250)는 운전실(11) 상에 안착된 방탄판부(120)를 고정시키는 단계로서, 방탄판부(120)와 지지프레임(110)에 연통된 각 체결공(126,111)에 체결나사(130)를 회전결합하여 방탄탑 조립방법의 안착된 상태를 고정시킨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탄탑 조립방법은 운전자가 외부인원 도움없이 중장비차량용 방탄탑(100)의 방탄출입문(151)을 개폐할 수 있도록 액추에이터 설치 단계(S260)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방탄판부 조립 단계(S220)는 방탄판부(120)의 두 측판(122,123) 중 운전실(11)의 출입문(13)과 대향는 위치의 측판(122)에는 출입문(13)과 동일한 방향으로 개폐되는 방탄출입문(151)을 장착하고, 상기 방탄판부 고정 단계(S250) 이후에, 상기 방탄출입문(151)이 장착된 측판(122)에 방탄출입문(151)을 자동 개폐하는 액추에이터(152)를 설치하며, 상기 액추에이터(152)와 운전실(11)에 배치된 조작부를 신호연결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차량용 방탄탑(100) 및 이를 위한 방탄탑 조립방법에 의하면, 종래의 용접접합 방식을 대신하여 각 강판의 접합부위에 체결나사(130)를 회전결합하는 나사체결방식으로 방탄탑을 조립하기 때문에, 조립 및 설치시간을 대폭 절감하고 강판 교체 등의 유지보수가 간편하며 필요에 따라 방탄탑을 쉽게 탈거 할 수 있고 탈거된 상태에서도 용접자국이 남지 않아 차량의 외관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조립이 완료된 방탄탑을 운전실(11)의 하우징(12)에 탑재하는 방식으로 설치되므로, 작업환경이 양호한 공장 등의 장소에서 조립공정을 수행한 후 조립이 완료된 방탄탑을 중장비차량(10)이 위치한 장소로 운반하여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증대되고 불량률을 최소화하며 대량 생산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중장비차량 11...운전실
12...하우징 100...중장비차량용 방탄탑
110...지지프레임 120...방탄판부
130...체결나사 140...가이드프레임
S210...지지프레임 설치 단계 S220...방탄판부 조립 단계
S230...체결상태 고정 단계 S240...방탄판부 배치 단계
S250...방탄판부 고정 단계 S260...액추에이터 설치 단계

Claims (8)

  1. 수평배치되어 중장비차량(10)에 구비된 운전실(11)의 하우징(12) 하부 둘레를 따라 고정 설치되는 협폭의 지지프레임(110);
    상기 운전실(11)을 기준으로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판(121), 양측방에 각각 배치되는 측판(122,123),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판(124) 및 상방에 배치되는 천장판(125)이 하향 개구된 박스형상으로 조립되고 각 판(121 내지 125)은 방탄이 가능한 두께의 강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운전실(11)을 커버하는 형태로 하우징(12) 둘레에 삽입되어 하단 둘레가 상기 지지프레임(110)에 안착되는 방탄판부(120);
    상기 방탄판부(120)의 각 판 사이에 연통된 각 체결공(126)과, 상기 방탄판부(120)와 지지프레임(110) 사이에 연통된 체결공(126,111)에 각각 회전결합되어 조립되거나 안착된 상태를 고정하는 체결나사(130); 및
    상호 직교되는 방향으로 인접된 두 지지프레임(110)의 모서리 부위에 설치되어 지지프레임(110) 상에 안착되는 방탄판부(120)의 하단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프레임(140);을 포함하되,
    상기 방탄판부(120)는 각 모서리 하단이 상기 가이드프레임(140)에 밀착된 상태로 하우징(12) 둘레에 삽입되면서 방탄판부(120)의 하단위치가 설계위치에 안착되도록 가이드되며,
    상기 방탄판부(120)의 각 판(121 내지 125)은, 인접된 두 판 중 어느 하나의 판 상에서 인접된 판과 접하는 변부에 상기 하우징(12)을 향하여 측방으로 절곡된 절곡변부(127)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변부(127)를 포함하는 테두리에는 일정간격으로 체결공(126)이 형성되며, 각 체결공(126)이 상호 연통되도록 인접된 두 판의 테두리가 상호 중첩되면서 상기 체결나사(130)에 의해 체결되고,
    상기 지지프레임(110)은 일정길이로 연장된 'ㄱ'자 단면의 채널형상으로 이루어져 측면이 상기 하우징(12)의 하단 측면에 고정설치되면서 상단에는 수평하게 평탄한 지지면(112)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면(112)에는 일정간격으로 체결공(126)이 이격배치되고,
    상기 전방판(121) 및 측판(122,123)의 하단 변부에는 상기 하우징(12)을 향하여 측방으로 절곡된 하단절곡변부(128)가 형성되며, 상기 하단절곡변부(128)에는 일정간격으로 체결공(126)이 이격배치되고, 상기 체결나사(130)는 상기 하단절곡변부(128)의 체결공(126)과 상기 지지면(112)의 체결공(111)에 연속적으로 회전결합되면서 상기 방탄판부(120)와 지지프레임(110)을 상호 체결시키며,
    상기 방탄판부(120)의 두 측판(122,123) 중 운전실(11)의 출입문(13)과 대향하는 위치의 측판(122)에는 상기 출입문(13)과 동일한 방향으로 개폐되는 방탄출입문(151)이 장착되고, 해당 측판(122)에는 운전실(11)에 배치된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방탄출입문(151)을 자동 개폐하는 액추에이터(152)가 설치되며,
    상기 천장판(125)의 중앙에는 방탄판부(120)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방출하도록 상하로 개구된 통공(16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차량용 방탄탑.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탄판부(120) 상에서 상기 하우징(12)에 설치된 유리창(14)과 대향하는 위치에는 운전자의 시야확보를 위한 방탄창(129)이 배치되고, 상기 방탄창(129)은 체결나사(130)에 의해 방탄판부(120)에 고정되는 창프레임(129a)에 의해 가압되면서 배치된 상태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차량용 방탄탑.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2020160001733U 2016-03-31 2016-03-31 중장비차량용 방탄탑 및 방탄탑 조립방법 KR2004858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733U KR200485860Y1 (ko) 2016-03-31 2016-03-31 중장비차량용 방탄탑 및 방탄탑 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733U KR200485860Y1 (ko) 2016-03-31 2016-03-31 중장비차량용 방탄탑 및 방탄탑 조립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482U KR20170003482U (ko) 2017-10-12
KR200485860Y1 true KR200485860Y1 (ko) 2018-03-07

Family

ID=60407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733U KR200485860Y1 (ko) 2016-03-31 2016-03-31 중장비차량용 방탄탑 및 방탄탑 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86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698B1 (ko) * 2020-05-08 2020-12-21 조승연 차량용 방탄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9532B1 (ko) 2022-09-06 2023-05-08 하재룡 굴삭기의 캐빈용 방탄탑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81817A1 (en) * 2004-04-16 2012-07-19 Bae Systems Survivability Systems, Llc Lethal Threat Protection System For A Vehicle And Method
US20130074686A1 (en) * 2011-09-26 2013-03-28 Nexter Systems Access systems for a passenger compartmen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7632B1 (ko) * 2002-07-30 2005-08-17 성준호 군차량의 방탄커버
US7393045B1 (en) * 2006-01-17 2008-07-0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Two-piece armored cab system
KR20080077433A (ko) 2007-02-20 2008-08-25 이학재 내부 수압 및 이를 이용한 밸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81817A1 (en) * 2004-04-16 2012-07-19 Bae Systems Survivability Systems, Llc Lethal Threat Protection System For A Vehicle And Method
US20130074686A1 (en) * 2011-09-26 2013-03-28 Nexter Systems Access systems for a passenger compart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698B1 (ko) * 2020-05-08 2020-12-21 조승연 차량용 방탄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482U (ko)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1402B1 (ko) 건설 기계
KR20120093137A (ko) 건설 기계
JP5332587B2 (ja) 作業機械
JP2005315051A (ja) 旋回作業機
US6220656B1 (en) Cab with improved overhead vision
KR200485860Y1 (ko) 중장비차량용 방탄탑 및 방탄탑 조립방법
JP2014004957A (ja) コンプレッサ取付用ブラケットおよびそれを備えた建設機械
US20180258831A1 (en) Work vehicle
US6688328B2 (en) Valve and tank enclosure assembly
JP3608157B2 (ja) 建設機械の電装品収納構造
CN217649550U (zh) 一种工程机械驾驶室及工程机械车辆
JP2007069724A (ja) キャブ用保護部材、キャブおよび作業機械
JP4547610B2 (ja) 車両の前部構造
JP2004114952A (ja) 建設機械のキャビン
CN112550470B (zh) 工程机械
KR102529532B1 (ko) 굴삭기의 캐빈용 방탄탑
JP4134013B2 (ja) 旋回作業機の後上部支持フレーム構造
JPH11200415A (ja) 建設機械の上部旋回体
JP2007056502A (ja) キャブ用補強部材、キャブおよび作業機械
JP2016216998A (ja) 建設機械
JP3707867B2 (ja) 小型油圧ショベルの車体構造及びエンジン組付方法
JP2011052455A (ja) 建設機械
CN221537324U (zh) 视觉识别检修门装置及垃圾分选设备
KR100260228B1 (ko) 진동과 소음을 감소시킨 굴삭기의 캡
JP4295003B2 (ja) 運転室保護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