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192B1 - 옥사졸린 라텍스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옥사졸린 라텍스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192B1
KR920000192B1 KR1019830006164D KR8306163D KR920000192B1 KR 920000192 B1 KR920000192 B1 KR 920000192B1 KR 1019830006164 D KR1019830006164 D KR 1019830006164D KR 8306163 D KR8306163 D KR 8306163D KR 920000192 B1 KR920000192 B1 KR 920000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ex
oxazoline
addition polymerizable
monomers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6164D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 슈에츠 제임스
에이치. 케스키 윌리암
Original Assignee
더 다우 케미칼 캄파니
리챠드 고든 워터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다우 케미칼 캄파니, 리챠드 고든 워터맨 filed Critical 더 다우 케미칼 캄파니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1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6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using pretreated fibrous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6/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 C08F226/06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36/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236/02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236/04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jugated
    • C08F236/1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jugated with vinyl-aromatic mono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721Fibre-reinforced materials
    • B29C66/7212Fibre-reinforce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721Fibre-reinforced materials
    • B29C66/7214Fibre-reinforce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length of the fibres
    • B29C66/72141Fibres of continuous length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rub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S156/91Bonding tire cord and elastomer: improved adhesive syste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 Y10T428/2938Coating on discrete and individual rods, strands or fila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 Y10T428/2964Artificial fiber or filament
    • Y10T428/2967Synthetic resin or polymer
    • Y10T428/2969Polyamide, polyimide or polyes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26Of natural rubb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옥사졸린 라텍스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옥사졸린 단량체로부터 중합된 라텍스, 및 중합 탄성체 기질에 대하여, 특히 타이어 고무와 타이어 코드(tire cord)와의 접착에 있어서 접착 촉진제의 역할을 하는 라텍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천연고무 및 합성고무와 같은 중합 탄성체는 그들의 신도, 탄성, 비투과성, 고마찰계수등의 특성으로 인하여 매우 유용하다. 그러나, 그 자체만으로 사용될 경우, 통상 인장강도와 같은 임계 기계적 특성이 부족하다. 따라서, 업계에서는 중합 탄성체에 섬유와 같은 보강재를 사용하여 제품을 제조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에 있어서의 한가지 문제점은 탄성체와 보강재와의 양호한 접착이 어렵다는 점이다.
1845년 영국의 로버트 윌리암 톰슨(Robert William Thompson)의 공기 타이어에 대한 특허에서 최초로 타이어의 보강재로서 직물을 사용하였다. 타이어“코드”라는 용어는 1893년 존 풀러튼 팔머가 미국과 영국에 출원한 타이어 코드 또는 타이어 사(
Figure kpo00001
)의 용도에 관한 특허에서 유래된 것이다. 제1차 세계대전 이후에야 비로서 미국에서 자동차가 대중화되면서, 몇가닥의 고무피복된 경사면 코드로 정방향으로 제직된 타이어용 면직물이 시판되었다.
1930년대에 최초의 인조섬유인 재생 셀룰로우즈섬유, 즉 레이온이 타이어에 삽입되었다. 레이온은 연속 필라멘트 형태로 방적되기 때문에, 통상의 면코드보다 코드로써 매우 균질성이 있다.그러마, 그것은 면의 중요한 특징중의 하나인 타이어 고무에 대한 양호한 접착성이 결여되어 있다. 면코드에 바람직한 결과를 제공해 주는 카제인 및 동물혈액 분산액과 같은 접착성 침액은 레이온에는 효과가 없다. 그러나, 접착성 문제는 제2차 세계대전시 개발 노력으로 레조시놀-포름알데히드 라텍스(RFL) 접착시스템을 발견함으로서 일부 해결되었다.
RFL 시스템은 완전치는 않으나 가장 유용하며 실제로 현재 업계에서 거의 독점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레이온,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유리섬유를 사용하거나 다른 섬유를 사용하거나 간에, 업계에서는 타이어 코드와 타이어 고무간의 더욱 우수한 접착을 갈망하고 있다.
본 발명의 한가지 양상은 (a) 옥사졸린을 함유하지 않은 유사 라텍스보다 중합성 탄성체와 보강재간에 보다 강한 접착성을 부여하기 위한 적당량의 부가 중합성 옥사졸린 및, (b) 하나 이상의 다른 단량체로부터 중합된 각각의 중합체 입자로 이루어지는 라텍스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상은 (a) 접착 증진용인 적당량의 상기 라텍스, (b) 중합성 탄성체 및 (c) 보강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여기에서 상기 보강재 및 탄성체는 서로 강하게 접착하여 라텍스가 부재할 경우보다 결합력이 강하다.
본 발명의 라텍스는 타이어 고무와 타이어 코드간의 결합을 포함하여 당야한 중합성 탄성체와 다양한 보강재간의 결합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실시에서 합성 라텍스의 에멀젼 중합에 대해 고찰한다.“라텍스”라는 용어는 수성 매질중에 각각의 수불용성 입자가 콜로이드상으로 안정하게 분산된 것을 뜻하며 에멀젼 중합으로 생성된다. 본 발명에 유용한 라텍스는 통상 수불용성이다. 그들은 수평균 입자 직경이 약 20 내지 약 2,000nm(나노미터 : 10-9m),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약 1,000nm,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0 내지 약 220nm이다. 통상, 라텍스는 계면활성제가 함유된 알카리성 수성 매질중에서 제조한다. 알카리성 상태는 옥사졸린 환의 산 가수분해를 막도록 바람직하게 선택한다. 알칼리성 계면활성제의 선택으로 pH를 알맞게 조절한다. pH 조절을 위해 통상 NaHCO3, NH4OH, NaOH 등의 염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라텍스는 제1성분으로써 부가 중합성 옥사졸린 단량체를 사용한다. 옥사졸린 단량체는 다음 일반식(1)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kpo00002
상기식에서, R1은 부가 중합성 불포화물을 함유하는 아사이클릭 유기 래디칼이고, R2는 각각 수소, 할로겐 또는 유기 래디칼을 나타내며, m은 1 또는 2이다. 바람직하게는 2 이상의 R2가 수소이고, m이 1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모든 R2가 수소이고 m이 1이다. 또한, R1이 이소프로페닐 래디칼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R1이 이소프로페닐 래디칼이고, 모든 R2가 수소이며 m이 1인 것 즉, 2-이소프로페닐-2-옥사졸린인 것이다.
또한, 중합성 옥사졸린 단량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가 중합성 단량체를 사용할 수 있다. 다른 단량체로써는, 옥사졸린 단량체와의 공중합으로 결과적으로 라텍스를 생성하는 모든 부가 중합성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모노비닐 방향족 단량체, 아사이클릭 지방족 공액(共
Figure kpo00003
)디엔, 불포화 산과 포화 알콜과의 에스테르, 포화 산과 불포화 알콜과의 에스테르 등이다.
모노비닐 방향족 단량체는 그러한 단량체를 포함한다는 의미이고, 여기서, 일반식(2)의 래디칼이 탄소수 6 내지 10인 방향족 핵에 직접 부착되며, 상기 방향족 핵은 알킬 또는 할로겐 치환체로 치환된 것들을 포함한다.
Figure kpo00004
상기식에서, R은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인 저급 알킬이다. 통상 이러한 단량체들인 스티렌, α-메틸스티렌, 오르토-메타- 및 파라-메틸스티렌, 오르톤-, 메타- 및 파라-에틸스티렌, O.P-디메틸스티렌, O.P-디에틸스티렌, 이소프로필스티렌. O-메틸-P-이소프로필스티렌, P-클로로스티렌, P-브로모스티렌, O.P-디클로로스티렌, O,P-디브로모스티렌, 비닐 나프탈렌, 다양한 비닐(알킬 나프타렌) 및 비닐(할로 나프탈렌) 및 그들의 코모노머 혼합물이다. 가격, 유용성, 사용의 용이등으로 인하여, 모노비닐 방향족 단량체로써, 스티렌 및 비닐 톨루엔이 바람직하고, 특히 스티렌이 바람직하다.
“아사이클릭 지방족 공액디엔”이란 용어는 통상 탄소수 4 내지 약 9인 화합물을 함유한다는 의미이며, 예를들면, 1,3-부타디엔, 2-메틸-1,3-부타디엔, 2,3-디메틸-1,3-부타디엔, 펜타디엔, 2-네오펜틸-1, 3-부타디엔 및 2,3-부타디엔의 다른 탄화수소 유사체, 예를들어 2-클로로-1,3-부타디엔, 2-시아노-1,3-부타디엔, 치환된 직쇄 공액 펜타디엔, 직쇄 및 측쇄 공액 헥사디엔, 탄소수 약 4 내지 9인 다른 직쇄 및 측쇄 공액디엔, 및 그들의 코모노머 혼합물등이 있다. 상기한 1,3-부타디엔 탄화수소 단량체는 바람직한 특성이 있는 인터폴리머를 제공한다. 아사이클릭 지방족 공액디엔중 가격, 유용성 및 인터폴리머의 특성으로 보아 가장 바람직한 것은 1,3-부타디엔이다.
“불포화 산과 포화 알콜의 에스테르”라는 용어는 통상 연질 아크릴레이트(그들의 단일 중합체는 유리 전이온도 Tg가 25℃ 이하이며, 예를 들어 벤질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2급 부틸 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 도데실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헵틸 아크릴레이트, 헥실 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메틸 아크릴레이트, 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등), 및 경질 아크릴레이트(그들의 단일 중합체는 Tg가 25℃ 이상이며, 예를들어 4-비페닐일 아크릴레이트, 및 3급 부틸 아크릴레이트), 연질 메트 아크릴레이트(예를들어, 부틸 메트 아크릴레이트 및 헥실 메트 아크릴레이트), 경질 메트 아크릴레이트(예를들어, 2급 부틸 메트랜지스터, 3급-부틸 메트 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 메트 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 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메트 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트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트 아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트 아크릴레이트 등)를 함유하는 것을 뜻한다. 가격, 유용성 및 공지 특성으로 보아 가장 바람직한 아크릴레이트는 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에틸 아크릴레이트이며, 가격, 유용성 및 공지 특성으로 보아 가장 바람지간 메트 아크릴레이트는 메틸 메트 아크릴레이트이다.
“포화 산과 불포화 알콜과의 에스테르”라는 용어는 통상, 보닐 아세테이트, 비닐 프로피오네이트, 비닐 부티레이트, 비닐 2-에틸헥소에이트, 비닐 벤조에이트 등을 함유하는 것을 뜻한다. 본 발명에 바람직한 것은 저가이고 유용한 비닐 아세테이트이다.
다른 단량체로써, 2 이상의 단량체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경질 에스테르와 연질 에스테르를 공유하는라텍스 및 아사이클릭 지방족 공액디엔과 모노비닐 방향족 단량체를 공유하는 라텍스는 널리 공지되어 있고 제조가 편리하고 유용한 특성이 있다.
특히 여러 종류의 단량체를 사용하는 경우, 라텍스의 최종 특성이 심하게 손상받지 않는한,소량의 다른 단량체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2-이소프로페닐-2-옥사졸린, 스티렌 및 1,3-부타디엔을 사용하는 경우, 소량(예를들면, 2중량%)의 아크릴 아마이드와 같은 수용성 단량체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된 조성물의 최종 용도에 따라 라텍스에 사용된 단량체의 비율을 변화시킬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다른 단량체가 사용되었다면, 그들은 최종 라텍스의 원하는 특성에 따라, 적절한 비율로 존재할 것이다. 옥사졸린 단량체는 옥사졸린이 부재한 유사한 라텍스에 비해 중합성 탄성체와 보강재간의 접착을 증가시키기 위해 적당량 존재한다. 통상, 라텍스 단량체 중에 옥사졸린 단량체가 약 0.1 내지 약 5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2 내지 약 20중량% 존재하며, 나머지는 다른 단량체이다.
라텍스는 수성 매질중에서 통상의 첨가제로 통상의 에멀젼 중합 방법에 의하여 제조한다. 즉, 라텍스에 사용되는 적당량이 단량체를 약 0.5 내지 약 5중량%(단량체에 대한 중량비)의 통상의 음이온성 및/또는 비이온성 유화제[예를들어, 포타슘, n-도데실 설포네이트, 나트륨 이소옥틸 벤젠 설포네이트, 나트륨 라우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노닐페놀 에테르, 개질 수지(樹脂) 비누등] 존재하에 알칼리성 수성 매질중에서 교반하여 분산시키고, 생성된 수성 분산액을 중합한다.
통상의 에멀젼 중합 촉매를 상기 라텍스의 중합에 사용할 수 있으며, 과산화물, 과황산염, 아조화합물(예를 들어, 과황산나트륨, 과황산칼륨, 과황산암모늄, 과산화수소, 아조디이소부티르 디아마이드)뿐 아니라 수성상에서 활성인(예를 들어, 수용성 환원제에 의해) 촉매(예를들어, 레독스 촉매)등이 있다. 통상, 촉매는 촉매량내에서 사용할 수 있다(예를들어, 단량체의 중량비 약 0.01 내지 약 5중량%). 일반적으로, 중합은 온도가 약 -20° 내지 약 110℃, 바람직하게는 약 0° 내지 약 90℃이고, pH가 약 7 내지 약 12, 바람직하게는 약 7 내지 약 11,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7.5 내지 약 9.5에서 수행한다.
마찬가지로, n-도데실 메르캡탄, 브로모 포름, 카본 테트라클로라이드 등의 통상의 연쇄 이동제를 형성된 중합체의 분자량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제1중합에서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통상 연쇄 이동제를 사용할 경우에, 중합에 사용된 단량체의 중량비 약 0.01 내지 약 1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5중량% 사용한다.
중합후, 미반응 단량체를 제거하기 위해, 라텍스를 가공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라텍스 중합 방법은 미합중국 특허 제4,325,856호, 제4,001,163호, 제3,513,121호, 제3,575,913호, 제3,634,298호, 제2,399,684호, 제2,790,735호, 제2,880,189호, 및 제2,949,386호에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서는 중합성 탄성체와 보강재와의 접착을 증진시키기 위한 라텍스의 용도에 대해 고찰한다. “탄성체”라는 것은 길이의 2배 이상 신장할 수 있고, 신장력을 제거했을 경우, 본래 상태로 신속히 되돌아오는 중합성 물질을 뜻한다. 바람직한 중합성 탄성체는 천연고무 및 스티렌, 1,3-부타디엔, 및 2-메틸-1,3-부타디엔(공지된 바와 같은 이소프렌)을 다양하게 조합하여 제조하는 합성고무이다.
보강제로서는, 비탄성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금속, 콘크리트, 암석, 나무, 유리, 열경화성 및 열가소성 중합체와 같은 물질이 보강재로서의 용도에 적합하다. 더욱 바람직한 보강재는 코드 또는 사(
Figure kpo00005
)의 형태인 섬유상 물질이다. 적합한 섬유로는 나이론, 레이온, 폴리에스테르, 아라미드 및 유리섬유와 같은 광물 섬유 등과 같은 중합성 섬유이다.
라텍스, 탄성체 및 보강제는 라텍스가 탄성체와 보강재와의 접착을 증진시키는 방법으로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적당한 방법중의 하나는 탄성체와 보강재와를 결합시키기 전에 탄성체와 라텍스를 혼합하는 것이다. 더욱 바람직한 방법은 보강재에 라텍스를 선피복하여 기질상에서 건조시키고, 라텍스를 열처리하여 보강재와 탄성체와를 결합시키는 방법이다. 탄성체와 보강재와를 접착시키면, 정상적인 경화방법으로 경화할 수 있다. 즉, 합성고무를 사용했을 경우에 압력과 열에 의하여 고무를 경화시킨다. 이는 황 가교를 통하여 중합체 쇄의 가교결합을 유발한다. 또한 다른 적당한 경화법을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 본 발명의 라텍스는 타이어 코드와 타이어 고무와의 접착을 증진시키기 위해 사용한다. 이러한 바람직한 태양에서, 연속적인 가닥의 형태인 타이어 코드를 라텍스 욕에 통과시켜 건조하고, 승온에서 경화하여 실패(spool)에 되감거나 또는 타이어 제조기에 직접 송출시킨다. 경화를 위해 황을 함유하는 통상의 타이어 고무 혼합물을 타이어 본체로 사용한다. 타이어를 성형한 후, 통상의 방법으로 가열하고 가압하여 고무를 경화시킨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타이어는 고무와 코드간의 접착이 극히 우수하다.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에서 모든 부 및 %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한 중량을 기준한 것이다.
[실시예 1]
단량체 100부당, 147.75부의 물, 0.01부의 버스넥스
Figure kpo00006
80킬레이트 제[VERSENEX
Figure kpo00007
80Chelating agent, 미합중국 미시간 주 미들랜드에 소재한 더 다우 케미칼 캄파니에서 제조하는(카복시 메틸이미노)비스(에틸렌 니트릴로)테트라 아세트산의 5급 나트륨염], 5.0부의 드레시네이트 214[Dresinate 214, 미합중국 델라웨어주 윌밍턴에 소재한 허큘레스사에서 제조하는 개질된 수지(樹脂)의 칼륨비누], 0.50부의 과황산나트륨 및 0.5부의 t-도데실 메르캡탄으로 통상의 에멀젼 중합 기술을 사용하여 라텍스를 제조한다. 단량체로는 스티렌, 1,3-부타디엔 및 2-이소프로페닐-2-옥사졸린이 다양한 비율로 사용된다. 반응 혼합물을 60℃에서 8시간 동안 중합하여 냉각시키고, 0.5부의 나트륨 디메틸 디티오카바메이트로 쇄 정지시킨다. 이어서 미반응 단량체를, 잔존 2-이소프로페닐-2-옥사졸린이 10ppm 이하로 될 때까지 제거한 후, 500ppm의 포름알데히드를 살생물제(殺生物劑)로서 가하고, 1%의 통상의 산화 방지제를 가한다.
3합(合) 폴리에스테르 타이어 코드를 라텍스중에 침적시키고 양말단을 고정시키며(수축방지를 위해), 85℃의 오븐에서 145초간 경화시킨 후, 이어서 190℃에서 90초간 경화시킨다.
장방형의 깊이가 얕은 주형틀 우측에 완전히 경화된 흑색 고무를 위치시키고, 주형틀 좌측에 나일론 보강된 미경화 고무 패드를 위치시키며 그 상단에 나일론 부재 미경화 고무패드를 위치시킨다. 경화된 고무패드의 두께와 2개의 미경화 고무패드의 두께를 대충같게 조합한다. 이어서, 처리된 타이어 코드의 단편을 경화된 고무와 미경화 고무와의 접촉면에 수직이 되도록 고무패드상에 교차시켜 놓는다. 그리고, 제2의 경화 고무패드를 상기 제1경화 고무패드상에 위치시키며, 마찬가지로, 주형의 좌측에 나일론 보강재가 부재한 제2미경화 고무패드를 동일한 제1패드상에 위치시키고, 그 위에 다시 나일론 보강된 제2미경화 고무패드를 놓는다.
타이어 코드가 그 사이에 삽입된 고무패드를 160℃, 800psi(5.5메가 파스칼)에서 10분간 성현한 후, 고무를 주형에서 분리하여 냉각한다. 성형물의 우측 고무는 성형 공정전에 경화되었기 때문에, 타이어 코드와 접착하지 않아서 용이하게 제거되며, 타이어 코드가 성형물의 우측 말단에서 수직으로 뻗어있는 경화된 고무성분(주형의 좌측 고무)을 수득한다.
고무 시료를 만들기 위해, 타이어 코드가 돌출된 말단으로부터 1/4in(6.35mm)를 타이어 코드와 직각이 되도록 절단한다. 이 절단부는 타이어 코드가 고정될 정도로 충분히 깊지만, 하부의 나일론 보강재가 원상태로 남아 있을 정도로 충분히 얕다. 돌출한 타이어 코드가 있는 경화된 고무의 말단부를 인스트론 시험기(Instrin tester)의 한쪽 죠(jaw)에 물리고, 한 개의 타이어 코드 말단을 시험기의 다른쪽 죠에 물린다. 고무에서 코드를 인출하기 위해 요구되는 힘을 측정키위해, 시험기의 죠의 속도를 5in/min(127mm/min)로 하여 측정한다. 타이어 코드가 1/4in로 절단된 고무내에 남아있는 길이가 1/4in이기 때문에, 인스트론 시험기에 나타난 수치를 in당 1b로 환산하기 위해 4를 곱해야 한다. 이어서, 이러한 시험과정을 시료내에 남아있는 코드에 대해서 반복 실시하고, 남아있는 라텍스에 대해서도 전과정을 반복 실시한다. 결과는 표 I에 나타나 있다.
[대조실시예 1]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2-이소프로페닐-2-옥사졸린이 부재한 라텍스를 제조하고, 또 단량체로써 2-비닐 피리딘을 함유하는 라텍스를 제조하여 실시한다. 결과는 표 I에 나타나 있다.
[실시예 2 및 대조실시예 2]
실시예 1 및 대조실시예 1의 방법을 반복한다(단, 타이어 코드를 순수한 라텍스에 침적시키지 않고, 하기 성분의 혼합물에 침적시킨다).
Figure kpo00008
총 고형율=22.0%
1퍼네콜라이트(Penacolite)는 코퍼스 캄파니(Koppers Company, Inc.)의 등록상표임.
이 혼합물은 물에 5%의 수산화나트륨을 가하고, 페나콜라이트 수지를 가하여 10분간 교반한 후, 포름알데히드를 가하고 5분간 교반하여 제조한다. 이어서, 라텍스, 수산화암모늄 및 물을 상기 혼합물에 가한다. 이 혼합물은 사용하기 전에 12시간 이상 실온에서 숙성시킨다. 결과는 표 II에 나타나 있다.
[실시예 3 및 대조실시예 3]
실시예 2 및 대조실시예 2의 방법에 따라 반복 실시한다(단, 폴리에스테르 대신 나일론 6,6으로 제조한 타이어 코드를 사용한다). 결과는 표 III에 나타나 있다.
[표 I]
Figure kpo00009
[표 II]
Figure kpo00010
[표 III]
Figure kpo00011

Claims (14)

  1. (a) 옥사졸린을 함유하지 않는 유사 라텍스보다 강한 접착성을 중합성 탄성체와 기질간에 부여하기 위한 적당량의 부가 중합성 옥사졸린과 (b) 모노비닐 방향족 단량체, 비환식 지방족 공액디엔, 불포화 산과 포화 알콜과의 에스테르 및 포화 산과 불포화 알콜과의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다른 단량체를 중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각각의 중합체 입자-함유 라텍스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부가 중합성 옥사졸린이 하기 일반식(1)을 갖는 방법.
    Figure kpo00012
    상기식에서, R1은 부가 중합성 불포화도를 함유하는 비환식 유기 래디칼이고, R2는 각각 수소, 할로겐 또는 유기 래디칼이며, m은 1 또는 2이다.
  3. 제2항에 있어서, 부가 중합성 옥사졸린이 2-이소프로페닐-2-옥사졸린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모노비닐 방향족 단량체가 스티렌이고 비환식 공액디엔이 1,3-부타디엔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부가 중합성 옥사졸린이 단량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5 내지 약 10중량부로 존재하는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부가 중합성 옥사졸린이 단량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5 내지 약 10중량부로 존재하는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부가 중합성 옥사졸린이 단량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5 내지 약 10중량부로 존재하는 방법.
  8. (a) 옥사졸린을 함유하지 않는 유사 라텍스보다 강한 접착성을 중합성 탄성체와 기질간에 부여하기 위한 적당량의 부가 중합성 옥사졸린과 (b) 모노비닐 방향족 단량체 비환식 지방족 공액디엔, 불포화 산과 포화 알콜과의 에스테르 및 포화 산과 불포화 알콜과의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다른 단량체로부터 중합된 각각의 중합체 입자함유 라텍스.
  9. 제8항에 있어서, 부가 중합성 옥사졸린이 하기 일반식(1)을 갖는 라텍스.
    Figure kpo00013
    상기식에서, R1은 부가 중합성 불포화도를 함유하는 비환식 유기 래디칼이고; R2는 각각 수소, 할로겐 또는 유기 래디칼이며; m은 1 또는 2이다.
  10. 제9항에 있어서, 부가 중합성 옥사졸린이 2-이소프로페닐-2-옥사졸린인 라텍스.
  11. 제8항에 있어서, 모노비닐 방향족 단량체가 스티렌이고, 비환식 공액디엔이 1,3-부타디엔인 라텍스.
  12. 제8항에 있어서, 부가 중합성 옥사졸린이 단량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5 내지 약 10중량부로 존재하는 라텍스.
  13. 제9항에 있어서, 부가 중합성 옥사졸린이 단량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5 내지 약 10중량부로 존재하는 라텍스.
  14. 제11항에 있어서, 부가 중합성 옥사졸린이 단량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5 내지 약 10중량부로 존재하는 라텍스.
KR1019830006164D 1982-12-01 1983-12-24 옥사졸린 라텍스의 제조방법 KR9200001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445,804 US4460029A (en) 1982-12-01 1982-12-01 Oxazoline latex for tire cord adhes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0192B1 true KR920000192B1 (ko) 1992-01-10

Family

ID=23770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6164D KR920000192B1 (ko) 1982-12-01 1983-12-24 옥사졸린 라텍스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4460029A (ko)
EP (1) EP0110374B1 (ko)
JP (1) JPS59131681A (ko)
KR (1) KR920000192B1 (ko)
AU (1) AU574054B2 (ko)
BR (1) BR8306643A (ko)
CA (1) CA1209865A (ko)
DE (1) DE3381956D1 (ko)
ES (1) ES8606121A1 (ko)
MY (1) MY101234A (ko)
NZ (1) NZ20642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1511A (en) * 1984-10-19 1985-11-05 Ashland Oil, Inc. Maleic anhydride/styrene copolymerization controlled with oxazolines
US5252407A (en) * 1987-10-01 1993-10-12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Rubber composite
US5629396A (en) * 1989-01-17 1997-05-13 The Dow Chemical Company Latex containing oxazoline for industrial coatings
US5051299A (en) * 1989-10-13 1991-09-24 Polysar Limited Fibre reinforced belt
WO1995011274A1 (fr) * 1993-10-22 1995-04-27 Nippon Shokubai Co., Ltd. Composition de resine durcissable
US5731095A (en) * 1996-10-23 1998-03-24 Oxazogen, Inc. Dendritic polymer coatings
WO2000039237A1 (fr) * 1998-12-28 2000-07-06 Bridgestone Corporation Composition adhesive, materiau resine, article en caoutchouc et pneu
EP1242513B1 (en) * 1999-11-02 2005-03-02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Subcoat for fiber adhesion
US6703077B1 (en) * 1999-11-02 2004-03-09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Subcoat for fiber adhesion
EP1265745A4 (en) * 1999-11-10 2003-04-16 Acquarulo Lawrence A POLY-2-ETHYL-OXAZOLINE AS A FIBER TIE
EP1257700B1 (en) * 2000-02-16 2004-09-22 Teijin Twaron GmbH Transmission belts comprising a cord with at least two fused yarns
KR20040026049A (ko) * 2002-09-17 2004-03-27 고려강선주식회사 고분자 유도체가 피복된 타이어용 스틸 코드와 그 표면처리 방법
EP1818443A4 (en) * 2004-11-11 2009-06-10 Nippon Sheet Glass Co Ltd RUBBER SHRIMP SCOR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FOR AND SOFTENING SUBSTANCE BASED ON IT
KR20080002842A (ko) * 2005-04-20 2008-01-04 니폰 쇼쿠바이 컴파니 리미티드 반응성 에멀젼 및 이의 제조 방법
JP5754933B2 (ja) * 2010-12-22 2015-07-29 Kjケミカルズ株式会社 水酸基含有の芳香族ビニル系重合体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からなるポリスチレン系樹脂発泡性粒子、予備発泡粒子、発泡成形体
US10294406B2 (en) 2015-02-26 2019-05-21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Sealant composition for use in subterranean formations
JP6519061B1 (ja) * 2018-01-17 2019-05-29 メック株式会社 一体成形物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プライマー組成物
CA3125264A1 (en) 2019-01-04 2020-07-09 Benjamin Moore & Co. Acrylic resin with internal plasticizer
IT202000015664A1 (it) 2020-06-29 2021-12-29 Pirelli Processo di produzione di un componente di rinforzo per uno pneumatico, e relativo processo di produzione di pneumatici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87039U (ko) *
US2897182A (en) * 1957-09-06 1959-07-28 Rohm & Haas Oxazine and oxazoline polymers
DE1287039B (de) * 1966-08-24 1969-01-16 Huels Chemische Werke Ag Verbesserung der Haftfestigkeit elastischer Kunststoffe an Cordfaeden
US3687888A (en) * 1969-10-30 1972-08-29 Commercial Solvents Corp Terpolymer latex emulsions
DE2012810A1 (en) * 1970-03-18 1971-10-07 Bayer Cross-linked polyoxazolines for lacquers adhesives - and moulding compns
US4325856A (en) * 1980-01-02 1982-04-20 The Dow Chemical Company Sequential emulsion polymerization process
US4299867A (en) * 1980-01-30 1981-11-10 Rohm And Haas Company Ambient hydrocurable coating and adhesives compositions
US4355131A (en) * 1981-01-26 1982-10-19 The General Tire & Rubber Company Adhesion of rubber to glass fibers
AU549352B2 (en) * 1984-10-01 1986-01-23 Dow Chemical Company, The Polymers containing coreactive and oxazoline group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8306643A (pt) 1984-07-10
ES527657A0 (es) 1986-04-01
NZ206427A (en) 1987-06-30
JPH0326690B2 (ko) 1991-04-11
MY101234A (en) 1991-08-17
AU2180483A (en) 1984-06-07
DE3381956D1 (de) 1990-11-29
CA1209865A (en) 1986-08-19
JPS59131681A (ja) 1984-07-28
US4460029A (en) 1984-07-17
ES8606121A1 (es) 1986-04-01
EP0110374A1 (en) 1984-06-13
EP0110374B1 (en) 1990-10-24
AU574054B2 (en) 1988-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0192B1 (ko) 옥사졸린 라텍스의 제조방법
CA1171194A (en) Rubbery acrylate graft copolymer having shell of copolymer of vinyl pyridine and conjugated diene
JP3379561B2 (ja) ラテックス組成物及びその製造法
US2961348A (en) Flexible reinforced fibrous sheeting
JPH07118450A (ja) 低フォルムアルデヒド高ゲル率ラテックス結合剤
US5977222A (en) Chloroprene rubber latex for adhesive, process of production thereof, and adhesive composition using the same
JPS603411B2 (ja) グラフト化鉱油で増量されたラテックス
JPH0350248A (ja) ターポリマーから成る組成物及びラテツクス、該ターポリマーの製法並びに該ターポリマーから成る接着性組成物及び含浸コード
US5922797A (en) Latex for fiber adhesion
JPH08188761A (ja) 耐熱性向上接着剤用ラテックス及びそれを用いたクロロプレン系接着剤組成物
JPS6096674A (ja) ゴム補強用接着剤
US4409343A (en) Adhesion of rubber to glass fibers
US5039764A (en) Process for preparing carboxylated copolymers
JPH093423A (ja) 接着剤用ポリクロロプレンラテックス、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接着剤組成物
US4409290A (en) Adhesion of rubber to glass fibers
JPH0978045A (ja) 接着剤組成物
USRE27269E (en) Comparisonsxnon-polycarboxylic a acid copolymers
JPH09111213A (ja) 接着剤組成物
JPS6253004B2 (ko)
KR100359662B1 (ko) 섬유코드와접착성이좋은변형sbr고무조성물
JPH08218044A (ja) 接着剤用クロロプレンゴムラテックス及びそれを用いたラテックス接着剤組成物
CN113227170B (zh) 氯丁二烯聚合物胶乳的制造方法
JPH1121414A (ja) ゴムと繊維の接着剤用共重合体ラテックス
KR970010856B1 (ko) 고무제품 보강 합성섬유 접착제용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라텍스의 제조방법
JPH01174580A (ja) ゴムと繊維との接着剤組成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