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092B1 - 디지탈 전화기를 이용한 디지탈 단말 접속회로 - Google Patents
디지탈 전화기를 이용한 디지탈 단말 접속회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20000092B1 KR920000092B1 KR1019880007799A KR880007799A KR920000092B1 KR 920000092 B1 KR920000092 B1 KR 920000092B1 KR 1019880007799 A KR1019880007799 A KR 1019880007799A KR 880007799 A KR880007799 A KR 880007799A KR 920000092 B1 KR920000092 B1 KR 9200000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gital
- data
- clock
- terminal
- inpu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단말기의 접속회로도.
제2도는 디지탈 단말기 간의 통화로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디지탈 교환기 2 : 디지탈 전화기
3 : 디지탈 단말기 21 : 중앙처리장치
22 : 클럭 소스 23 : 클럭 발생부
24 : 제1입출력장치 25 : 제2입출력장치
26 : 라인 드라이버
본 발명은 디지탈 단말기의 접속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탈 전화기의 통화선로를 이용하여 디지탈 단말기와 시스템을 접속할 수 있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터미널 또는 팩시밀리 통신등은 아날로그 전화기를 이용한 아날로그 통신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터미널이나 팩시밀리등은 디지탈 통신방식을 사용하는 디지탈 단말기이므로, 향후 도래하게 될 디지탈 통신에 맞추어 전송형태를 디지탈화 할 수 있는 디지탈 단말의 접속회로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탈 전화기 통신망을 이용하여 디지탈 단말기의 디지탈 통신을 인터페이싱 할 수 있는 디지탈 단말기 접속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단말 접속 회로도로서 디지탈 전화기 및 디지탈 단말 접속회로의 통신로를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21)와, 소정 주파수의 클럭소스를 발생하는 클럭소스(22)와, 상기 중앙처리장치(21)의 제어하에 카운터 레지스터를 선택하여 소정 데이타를 로드한 후 상기 클럭소스(22)의 출력에 의해 제1클럭(CK1) 및 제2클럭(CK2)을 발생하는 클럭발생부(23)와, 상기 중앙처리장치(21)의 제어하에 상기 클럭발생부(23)의 제1클럭(CK1)에 동기된 데이타를 디지탈 단말기축과 인터페이싱하는 제1입출력 장치(24)와, 상기 중앙처리장치(21)의 제어하에 상기 클럭발생부(23)의 제2클럭(CK2)에 동기된 데이타를 통신로측과 인터페이싱하는 제2입출력장치(25)와, 상기 제1입출력장치(24)의 입출력 레벨을 디지탈 단말기측의 레벨과 동일하게 맞춰주는 라인드라이버(26)로 구성된다.
제2a도는 디지탈 단말기간의 통신로 구성도로서, 디지탈 전화기(2a, 2b) 및 디지탈 교환기(1)를 이용하여 디지탈 단말기(3a, 3b)의 통신로를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는데, 제1도와 같은 디지탈 단말기 접속회로는 디지탈 전화기(2a, 2b)의 내부에 실장되는 하나의 모듈로서, 팩시밀리 또는 터미널 등의 디지탈 단말기(3a, 3b)와 디지탈 교환기(1) 간의 인터페이싱 기능을 수행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거 본 발명을 제1, 2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도의 디지탈 단말기 접속회로는 디지탈 전화기 내부에 실장되는 하나의 모듈로서, 중앙처리장치(21)는 디지탈 전화기를 제어하는 동시에 디지탈 단말기와 교환기 간에 데이타를 인터페이싱할시 제1도에 도시된 접속회로를 제어하게 된다.
먼저 디지탈 단말기(3a, 3b)의 데이타를 전송시키기 위해서는, 제1 및 제2입출력장치(24, 25)의 전송클럭(clock rate)을 세팅해야 한다. 즉 상기 제1입출력장치(24)는 디지탈 단말기(3a, 3b)측과 데이타를 인터페이싱하므로서 디지탈 단말기의 전송속도에 맞도록 데이타를 처리해야 하며, 상기 제2입력출력장치(25)는 디지탈 교환기(1) 측과 데이타를 인터페이싱 하므로서 디지탈 교환기(1)의 전송속도에 맞도록 데이타를 처리해야 한다. 따라서 중앙처리장치(10)는 P1포트를 통해 “로우”신호를 출력하여 먼저 클럭 발생부(23)를 인에이블 시키고 (chip select), A1, A2포트를 통해 클럭 발생부(23)의 내부에 있는 제1 및 제2카운트 레지스터를 선택한 후, 라이트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타 버스를 통해 상기 카운트 레지스터에 각각 원하는 전송클럭 값에 해당하는 데이타를 각각 로드한다.
상기와 같이 클럭 발생부(23)가 제1 및 제2카운트 레지스터에 데이타를 로드하면 클럭 발생부(23)는 클럭 소드(22)에서 발생하는 소정 주파수 신호를 SCLK1및 SCLK2단자로 입력하여 로드한 데이타에 따라 상기 클럭소스를 분주하여 CK1포트를 통해 디지탈 단말기(3A, 3B)의 전송속도에 대응하는 제1클럭 CK1을 발생하며, CK2포트를 통해 디지탈 교환기(1)의 전송속도에 대응하는 제2클럭 CK2를 발생한다. 상기 클럭 발생부(23)는 CTC(Count/Tiner Counter)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장치(21)는 제1 및 제2입출력장치(24, 25)를 제어하에 인터페이싱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PO포트는 입출력장치(24, 25)의 선택제어포트로서, PO포트의 출력이 “로우”일시는 제1입출력장치(24)가 선택되고, PO포트의 출력이 “하이”일시는 인버터(I1)를 통해 “로우”로 반전되어 제2입출력장치(25)가 선택된다. 또한 AO포트는 입출력장치(24, 25)의 콘트롤 또는 데이타 제어포트로서, AO포트가 “하이”일시는 중앙처리장치(21)가 제1 도는 제2입출력장치(24, 25)로 커맨드 시그널(Command Signal)을 출력하고, AO포트가 “로우”일시는 인터페이싱하기 위한 데이타를 제어한다.
먼저 디지탈 단말기(3A, 3B)에서 데이타를 발생하여 디지탈 교환기(1)축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디지탈 단말기(3A, 3B)에서 데이타가 발생되면, 디지탈 단말기(3A, 3B)의 데이타 레벨이 라인드라이버(L1)를 통해 TTL레벨로 변환되며, 제1입출력장치(24)는 상기 제1클럭 CK1에 의해 RXD단자로 수신되는 TTL레벨의 직렬 데이타를 입력하여 병렬 데이타로 변환하며, 상기 중앙처리장치(21)로 인터럽트 신호(INT)를 발생한다. 그러면 중앙처리장치(10)는 상기 인터럽트 신호에 의해 상기 제1입출력장치(24)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타를 리드한 후, 제2입출력장치(25)로 라이트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제1입출력장치(24)를 통한 데이타를 라이트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2입출력장치(25)는 상기 제1입출력장치(24)를 출력하는 데이타를 제2클럭 CK2에 의해 수신한 후, 직렬 데이타 형태로 변환하여 TXD단자를 통해 디지탈 교환기(1) 측으로 데이타를 전송한다.
두번째로 상기 디지탈 교환기(1)를 통해 출력되는 데이타를 디지탈 단말기(3A, 3B)측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제2입출력장치(25)는 제2클럭 CK2에 동기시켜 RXD단자를 수신되는 직렬 데이타를 입력한 병렬 데이타로 변환하며, 상기 중앙처리장치(21)로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한다. 그러면 상기 중앙처리장치(21)는 제2입출력장치(25)는 제어하여 입력한 데이타를 리드한 후 , 제1입출력장치(24)를 라이트 모드로 제어하여 데이타 버스를 통한 제2입출력장치(25)의 출력 데이타를 라이트시킨다. 이후 상기 제1입출력장치(24)는 상기 제1클럭 CK1에 의해 상기 데이타 버스로 출력되는 병렬 데이타를 수신한 후, 직렬 데이타로 변환하여 TXD단자로 출력하며, 라인 드라이버(L2, L3, L4)를 통해 TTL레벨의 데이타 제1클럭 CK1및 GND신호를 디지탈 단말기(3A, 3B)에 맞도록 C-MOS 또는 RS-232C레벨로 조정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디지탈 단말기 접속회로를 사용하면, 제2도와 같은 디지탈 단말기 간의 통화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A디지탈 단말기(3A)가 B디지탈 단말기(3B)측과 통신함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A디지탈 단말기(3A)가 데이타를 출력하면, A디지탈 전화기(2A)의 제1입출력장치(24)에서 상기 A디지탈 단말기(3A)의 전송속도에 맞도록 이 데이타를 수신하여 제2입출력장치(25)를 통해 디지탈 교환기(1)의 전송속도에 맞도록 조정하여 통신로 상으로 출력하며, 디지탈 교환기(1)는 통신로상의 데이타를 수신하여 교환동작을 수행한 후, 통신로를 통해 B디지탈 전화기(2B)측의 제2입출력장치(25)로 교환데이타를 송출한다.
상기 B디지탈 전화기(2B)는 제2입출력장치(25)를 통해 디지탈 교환기(1)의 전송속도에 맞도록 통신로상의 데이타를 수신한 후, 제1입출력 장치(24)를 통해 B디지탈 단말기(3B)에 전송속도에 맞도록 조절하여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탈 전화기의 통화로를 이용하여 터미널 또는 팩시밀리등의 디지탈 단말기의 데이타를 전송할 수 있음으로서 디지탈 통신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 디지탈 단말기와 디지탈 교환기 사이에 디지탈 전화기를 접속하고, 상기 디지탈 전화기를 통해 상기 디지탈 단말기와 교환기 사이에 데이타 통신을 인터페이싱하는 회로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단말기 및 디지탈 교환기간의 데이타 통신로 형성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21)와, 소정 주파수를 갖는 기본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클럭소스(22)와, 상기 클럭소스(22)의 출력을 수신하며, 상기 중앙처리장치(21)로부터 출력되는 제1 및 제2카운트 데이타를 내부 카운터 레지스터에 저장한 후, 상기 클럭소스(22)의 출력에 의해 상기 디지탈 단말기의 전송속도와 동일한 제1클럭 및 상기 디지탈 교환기의 전송속도와 동일한 제2클럭을 각각 발생하는 클럭 발생부(23)와, 상기 중앙처리장치(21)의 제어하에 상기 제1클럭에 동기되어 상기 디지탈 전화기와 송·수신 데이타를 인터페이싱하는 제1입출력장치(24)와, 상기 중앙처리장치(21)의 제어하에 상기 제2클럭에 동기되어 상기 디지탈 교환기와 송·수신 데이타를 인터페이싱하는 제2입출력장치(25)와, 상기 제1입출력장치(24)와 디지탈 단말기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송수신되는 데이타의 레벨을 조정하는 라인드라이버(2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단말기 접속회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80007799A KR920000092B1 (ko) | 1988-06-27 | 1988-06-27 | 디지탈 전화기를 이용한 디지탈 단말 접속회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80007799A KR920000092B1 (ko) | 1988-06-27 | 1988-06-27 | 디지탈 전화기를 이용한 디지탈 단말 접속회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00001199A KR900001199A (ko) | 1990-01-31 |
KR920000092B1 true KR920000092B1 (ko) | 1992-01-06 |
Family
ID=19275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80007799A KR920000092B1 (ko) | 1988-06-27 | 1988-06-27 | 디지탈 전화기를 이용한 디지탈 단말 접속회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20000092B1 (ko) |
-
1988
- 1988-06-27 KR KR1019880007799A patent/KR92000009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00001199A (ko) | 1990-01-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564061A (en) | Reconfigurable architecture for multi-protocol data communications having selection means and a plurality of register sets | |
KR920000092B1 (ko) | 디지탈 전화기를 이용한 디지탈 단말 접속회로 | |
US4984194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data between two data processing equipments each driven by an independent clock | |
KR0136514B1 (ko) | 공통선 신호장치의 속도정합장치 | |
KR100366049B1 (ko) | 직렬통신제어기를 이용한 직접메모리접근장치 | |
JPS6376653A (ja) | 片整合終端伝送路の終端自動切替方式 | |
JPH0916517A (ja) | バスインタフェース | |
KR900007404B1 (ko) | 범용 디지탈 접속 모듈회로 | |
KR100430235B1 (ko) | 시스템보드와서브보드간의데이터전송제어회로 | |
KR970006410B1 (ko) | 핸드 쉐이킹방법을 이용한 어레이 프로세서간의 데이타 통신회로 | |
KR100202993B1 (ko) | 통신포트와 백보드상의 코넥터간 정합장치 | |
KR100393959B1 (ko) | 비동기식송신및수신장치(uart) | |
KR100448088B1 (ko) | 클럭 포워딩 회로 | |
JPS6121650A (ja) | 自動交換機のデ−タ端末接続制御方式 | |
JP2582455B2 (ja) | 通信制御装置 | |
KR900005661B1 (ko) | 콘트롤러와 레이저 프린터간의 데이타신호 전송회로 및 방법 | |
KR100231487B1 (ko) | 공통 버스 방식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에서의 자기인식신호(sid) 발생장치 | |
EP0376842B1 (en) | Control system for duplex communications channels | |
KR20000009541A (ko) | 직렬통신장치 및 방법 | |
JP2680200B2 (ja) | 通信制御装置 | |
JPH01199255A (ja) | 情報処理システム | |
JPH1078925A (ja) | 通信装置 | |
JPS63202154A (ja) | シリアル通信方式 | |
JPH0246047A (ja) | インターフェース用回路 | |
JPH02182061A (ja) | シリアルインターフェイス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11228 Year of fee payment: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