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002B1 - 열수축성 발포폴리스티렌계 복합시이트 - Google Patents

열수축성 발포폴리스티렌계 복합시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002B1
KR920000002B1 KR1019900004193A KR900004193A KR920000002B1 KR 920000002 B1 KR920000002 B1 KR 920000002B1 KR 1019900004193 A KR1019900004193 A KR 1019900004193A KR 900004193 A KR900004193 A KR 900004193A KR 920000002 B1 KR920000002 B1 KR 920000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polystyrene
heat
shrinkabl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4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4125A (ko
Inventor
히로시 에자와
다까유끼 와다나베
히로아끼 쯔시마
주우조오 니시바
Original Assignee
미쯔이도오아쯔가가꾸 가부시기가이샤
사와무라 하루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이도오아쯔가가꾸 가부시기가이샤, 사와무라 하루오 filed Critical 미쯔이도오아쯔가가꾸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14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4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0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2Bonding of a preformed macromolecular material to the same or other solid material such as metal, glass, leather, e.g. using adhesives
    • C08J5/124Bonding of a preformed macromolecular material to the same or other solid material such as metal, glass, leather, e.g. using adhesives using adhesives based on a macromolecular compon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21Vinyl resin
    • B32B2266/0228Aromatic vinyl resin,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32B2307/734Dimensional stability
    • B32B2307/736Shrink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J23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J2325/06Polystyre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3Material designed to be responsive to temperature, light, mois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10T428/2495Thickness [relative or absolute]
    • Y10T428/24967Absolute thicknesses specifi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82With component specified as adhesive or bonding ag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82With component specified as adhesive or bonding agent
    • Y10T428/249985Composition of adhesive or bonding component specifi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87With nonvoid component of specified composition
    • Y10T428/249991Synthetic resin or natural rub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87With nonvoid component of specified composition
    • Y10T428/249991Synthetic resin or natural rubbers
    • Y10T428/249992Linear or thermoplast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열수축성 발포폴리스티렌계 복합시이트
열수축성 발포폴리스틸렌계 시이트는, 원위이빙이나 플라스틱용기의 피복레이블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각종 분야에로의 적용시에 있어서, 시이트는 인쇄를 실시하여 사용된다. 이들 인쇄는 발포(發泡)폴리스틸렌계 시이트는 본래, 불투명하기 때문에, 시이트의 표면에 실시하지 않을 수 없다. 이 때문에, 인쇄한 레이블을 용기 등에 정착하는 공정이나, 레이블을 피복한 용기에 내용물을 충전하는 공정으로 인쇄면이 비벼져서, 인쇄무늬의 닳아없어지는 것이나 잉크의 전사 등의 문제가 생겨, 이들은 개선되어야할 문제이다.
한편, 이 대책으로서 발포폴리스틸렌계 시이트를 폴리스틸렌계 필름과 첩합하여 복합시이트를 만들고 양자사이에 인쇄를 실시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들 방법으로서는, 폴리스틸렌계 필름을 가열해서, 발포폴리스틸렌계 시이트에 직접 용착하거나, 접착성의 열가소성수지를 바인더로서 사용하여, 폴리스틸렌계 필름와 발포폴리스틸렌계 시이트를 첩부시키는 일이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으로 얻게되는 복합시이트는, 열수축성능을 가진 발포 폴리스틸렌계 시이트와 폴리스틸렌계 필름을 첩합할때에, 열이 소요되어, 발포폴리스틸렌계 시이트 및 폴리스틸렌계 필름이 축소되기 때문에, 도안이 비뚤어지거나, 규정된 치수로되지 않아서 안정성이 결핍된다.
또한, 열접착하는 사이에 발포폴리스틸렌계 시이트의 접착, 경계면의 거품이 팽창하기 때문에, 폴리스틸렌계 필름이 본래가지고 있는 표면평활성이 손상되고, 상품가치를 현저하게 저하시킨다. 그뿐 아니라, 표면평활성이 손상되어 외표면의 凹凸이 크게된 시이트는 용기에 감는 공정에서도 로스가 많아 문제가 된다. 이와 같은 시이트를 용기에 감는 공정은, 예를들면, 100개/분 이상의 속도로 시이트를 용기에 피복하기 위해서는, 장척의 시이트를 감기 직전에 소정의 길이로 제단하면서 용기에 입히지만, 이때, 시이트의 한쪽단부를 흡인하면서 후단부를 커터로 제단하기 위하여, 표면의 凹凸이 있는 시이트에서는 충분한 흡인이 되지 않고, 재단면의 안정성이 부족하다.
또 접착에 요하는 열을 경감할 목적으로, 인쇄시에 저온에서 접착되는 열가소성수지를 베이스로하는 접착제를 도공(途工)하는것도 검토되고 있지만. 이 복합시이트로 이루어진 레이블은 파스토로공정과 같이 열처리 공정에서, 발포시이트와 필름의 경계면에서 박리하기 때문에 용도면에서의 제약을 받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열 수축성을 가진 발포폴리스틸렌계 시이트와 폴리스틸렌계 필름을 첩합한 복합시이트에 있어서, 도안의 치수안정성에 뛰어나고, 또 가열 수축시켰을 때, 구김살등이 발생하지 않고 파스토로와 같은 열처리공정에 견딜 수 있는 외관의 우수한 복합 시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영구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열 수축성 발포폴리스틸렌계 시이트와 폴리스틸렌계 필름을 첩합한 복합시이트에 있어서, 첩합경계면에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성 발포폴리스틸렌계 복합시이트이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발포폴리스틸렌계 복합시이트는, 인쇄잉크가 직접 서로 비벼지는 일이 없고, 잉크누락, 잉크의 전사 등의 문제가 해소되어 열수축이나 거품의 팽창을 발생하지 않는 온도에서 첩합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쇄한 도안의 변화도 거의 없고, 또 표면평활성을 손상하는 일없이 상품가치를 높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복합시이트는 발포폴리스틸렌계 시이트가 가진 강직성을 가짐과 동시에 표면 평활성을 가짐으로, 용기에 고속으로 장착하는 장치의 경우, 위치어긋남, 시이트의 굴절 등의 로스가 대폭으로 감소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시이트로부터 원통형상체를 작성한 후 용기에 삽입하고, 가열수축시킨 경우 수축불량으로인한 주름, 말려들어감이 없는 외관이 우수한 열수축레이블을 얻게 된다.
또, 용기에 피복한 레이블은, 파스토로공정과 같은 열처리 공정을 요하는 라인에서도, 적층박리 등의 발생이 없고, 용도면에서 적응범위가 넓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열수축성 발포폴리스틸렌계 시이트란, 두께가 0.1~1.0mm, 바람직하게는 0.15~0.5mm로서, 겉보기 밀도가 0.15~0.70g/cm3, 바람직하게는 0.20~0.50g/cm3이다. 또 120℃로 가열했을 때, 발포시이트는 흐름방향으로 크게 수축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한쪽방향으로 30% 이상 수축되고, 또, 그것과 직각방향이 20% 미만의 수축하는 성질을 가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한쪽방향을 40~70% 수축하고, 그것과 직각방향이 15% 미만의 수축이다. 발포시이트의 두께가 0.1mm 미만에서는, 라미네이트하는 공정에서 찢어지기 쉽고, 또 복합된 시이트에 있어서도 슬리이브를 작성할 때 시일면의 강도부족이나, 외관 불량이 발생한다.
두께가 1mm를 초과하면 슬리이브작성시, 접힌주름이 들어가기 쉽다. 또, 발포시이트의 겉보기밀도가 0.15g/cm3미만에서는 복합한 시이트를 가열했을 때 수축이 불규칙화되기 용이하다. 반대로 0.7g/cm3를 초과하면, 슬리이브작성시, 굽히면 크래크가 들어가기 용이해서 갈라지기쉽게 된다. 또, 폴리스틸렌계 필름과 첩합한 복합시이트는, 용기등에 밀착시킬때는, 큰 수축율을 가진 방향이 둘레방향이 되도록 직사각형으로 재단되고, 단부면이 시일된 원통형상체(슬리이브)를, 용기에 작착, 가열해서 밀착시킨다. 그러나, 발포폴리스틸렌계 시이트의 둘레방향에의 수축성능이 30% 미만이며, 복합시이트의 원통형상체는 용기에 밀착하기 어려워진다. 한편, 높이방향이 20%를 초과하는 수축성능을 가진 발포폴리스틸렌계 시이트는, 도안이 대폭으로 변형되거나, 수축 후의 장착위치가 어긋나서 상품가치를 손실한다.
또, 발포시이트의 폴리우레탄계 접착계의 도공면은,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면, 더욱 바람직하고, 이경우는 표면장력을 36다인이상으로 하는 것이 좋다. 열수축성을 가진 발포폴리스틸렌계 시이트의 제조방법을 다음에 설명한다.
이와 같은 발포폴리스틸렌계 시이트의 원료수지로서는, 예를들면 일반용 폴리스틸렌(GPPS)가 일반적이고, 기타 내충격성 폴리스틸렌(HIPS)나 메타크릴산, 무수 말레산 등과 스틸렌과의 공중합체 등이 사용된다. 이것에 발포시이트의 유난성이나, 열수축성을 조정할 목적으로 고무나 올레핀계의 수지가 첨가되어도 하등 지장없다.
또, 발포시이트를 얻기위한 발포제로서는, 예를들면, 부탄, 펜탄, 프로판 등의 탄화수소 화합물이나, 플레온 -123, -134, -141, -22, -11이나 -12등의 할로겐화합물의 저비점유기화합물, 혹은 중탄산소오다, 시트르산을 대표로하는 열분해형의 화학발포제가 있다. 또 기포의 크기를 조정할 목적으로는 활석이나 실리카등 핵제가 사용된다. 또 대전방지제, 착색제등의 첨가제를 첨가해도 하등지장없다.
발포시이트는 통상의 발포시이트 압출설비로 제조할 수 있고, 발포시이트의 두께는, 압출기선단부에 장착한 다이스로부터 토출되는 수지량을, 인취속도를 변경하므로서 조절할 수 있다. 발포시이트의 겉보기 밀도는 발포제의 첨가량으로 제어되고, 저비점유기화합물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통상, 5×10-3~ 5×10-2몰/100g의 범위에서 선택된 값으로 제어되고, 화학발포제와 병용하는 경우 상기 범위보다 작은 값이 된다.
발포폴리스틸렌계 시이트의 수축성능은, 상기 원료를 압축기에서 가열혼합한후, 대기속에 방출해서 시이트를 인취하는 공정으로 부여한다.
한편, 발포시이트로 크게 수축하는 방향의 수축율은, 예를들면 수지의 다이스토부터 나오는 토출속도보다 큰 인취속도로 하므로서 제어되고, 그 경우, 통상 인취속도는 토출속도의 1.5~5배의 크기이다.
또 그것과 직각방향의 수축률은, 다이스의 직경과 팽창시켜 발포시이트 직경의 비(B.U.R)로 제어되고, 통상 B.U.R이 1.5~2.5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또, 발포폴리스틸렌계시이트에 이어서, 한쪽면에 GPPS, HIPS, 스틸렌-부타디엔의 블록코폴리머, 스틸렌-에틸렌-부틸렌의 블록코폴리머, 스틸렌-부타디엔러버등을 혼합 또는 단독으로 사용한 폴리스틸렌계의 수지로 0.005~0.05mm의 비발포층을 가진 2층 구조의 공압출발포시이트는 이 비발포층을 접착면에 배치하므로서, 폴리스틸렌계 필름와의 접착력을 증대시키는데 호적하다.
폴리스틸렌계 필름이란 두께가 0.01~0.1mm, 바람직하게는 0.015~0.05mm이고, GPPS, HIPS나 스틸렌- 부타디엔의 블록코폴리머 등을 혼합 또는 단독으로 사용하고 필름을 만든 것을, 한쪽방향 또는 두쪽방향으로 연신한 것이다. 또한, 폴리스틸렌계 필름은 발포폴리스틸렌계 시이트와 유사한 열수축성능을 가진 것이 바람직하고, 열수축성능은 120℃로 가열했을때,한쪽방향(흐름방향)으로 25%이상이고, 그것과 직각방향이 5~25%이다.
필름의 두께가 0.01mm 미만에서는 필름에 인쇄를 실시하거나, 라미네이트 하는 공정에서 절단하기 쉽다. 또, 0.1mm를 초과하면 라미네이트한 후, 발포시이트와의 경계에 보이드가 발생하기 쉽다.
120℃로 가열했을때의 수축률(흐름방향)이 25% 미만의 경우, 복합시이트가 되어 수축부족으로 인한 주름이 발생하고, 외관을 손상할 뿐 아니라, 느슨하게 감겨서 레이블로서의 기능을 다하지 못한다. 또 그것과 직각방향의 수축률이 5% 미만에서는, 필름을 성막하거나 인쇄, 라미네이트공정에서 찢어지기 쉽고 로스가 많아진다. 반대로 25%를 초과하면, 용기에 피복하는 레이블의 위치가 불규칙해지거나, 도안의 비뚤어짐이 크게된다.
또, 폴리스틸렌계 필름의 열수축성능은, 발포시이트의 열수축성능과의 관계에 있어서, 첨부하는 동일방향의 수축률이 120℃의 온도에서수축이 큰 방향에서 비교했을 경우 1.0<발포시이트의 수축률/필름의 수축율<1.5이다.
필름의 수축률이 발포시이트의 그것보다 크게되었을 경우, 복합시이트가 된 후, 직사각형으로 재단하고, 양단부면을 겹쳐 시일해서 용기에 장착하고, 가열했을 때, 줄형상의 수축주름이 발생한다. 반대로 1.5로 초과했을 경우, 필름상에 작은 주름이 발생한다.
또, 수축이 작은 방향에서 비교했을 경우, 0.6<발포시이트의 수축률/필림의 수축률<2.0이다. 필름의 수축율이 발포시이트의 수축률의 1/2 이하가 되었을 경우, 가열했을 때, 원통형상체(슬라이브)의 상, 하 양단부가 발포시이트쪽에 말려털거나, 높이 불량 등의 외관을 손상한다. 반대로 0.6 미만에서는 상, 하 양단부가 용기의 벽쪽으로부터 떨어지고, 젖혀올라가고, 외관불량뿐 아니라, 용기수세시에 레이블 파손을 일으킨다.
다음에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스틸렌계 필름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사용하는 원료수지는, GPPS, HIPS, 스틸렌-부타디엔의 공중합체나 메타크릴산, 무수말레산등과 스틸렌과의 공중합체이다. 또, 유연성이나 열수축 성능을 조정할 목적으로 고무, 엘라스토머나 가소제 등을 첨가하거나, 대방제(帶防濟)나 활제 등을 첨가해도 하등 지장없다.
필름의 원료수지는 바람직하게는, 스틸렌-부타디엔공중합체에 HIPS나 GPPS를 혼합한 것이다. 폴리스틸렌계 필름은 통상의 압출설비가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의 열수축성능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인플레이션방식이 바람직하다. 필름의 두께, 및 열수축성능을 제어하는데는, 발포시이트와 마찬가지 수단으로 행하여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접착제는 폴리우레탄계의 접착제이지만, 이것은 파스토로 공정과 같은 열처리공정에 견딜수 있는 것이고, 또 발포시이트 혹은 폴리스틸렌계 필름의 도공면을 경화하지 않고, 시이트로부터 원통형상으로할때의 비뚤림을 흡수하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란, 1분자당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가진 통상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양 말단부에 수산기를 가진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을 반응시킨 접착제이고, 바람직하게는 무용제타이프이다.
구체적으로는, 헥사메틸렌이소시아네이트, 리신디이소시아네이트, 4,4′-메틸렌비스(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시이클로헥산 2,4-(2,6)디이소시아네이트, 1,3-(이소시아네이트메틸)시클로헥산,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헥사 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다이머산 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리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메타크실리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1분자당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함유한 화합물과 말단부에 수산기를 가진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 글리콜 등을 반응시켜서 얻게되는 접착제이다. 바람직하게는 헥사메틸렌이소시아네이트의 물애덕트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양말단부에 수산기를 가진 폴리에스테르를 반응시켜서 얻게되는 2액타이프의 접착제이고, 예를들면 애드코오드 AD-N401(일본국 도오요오 모오톤사제), 상표 오레스터-NP-1100(일본국 미쯔이도오아쯔화학사제) 등의 명칭으로 시판되고 있다.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를 상기의 열수축성 발포폴리스틸렌계 시이트와 폴리스틸렌계 필름와의 경계면에 도공하는데는, 통상의 드라이라미네이션장치가 사용되고, 폴리우레탄계 접착제의 도포량은 두께로 1㎛~10㎛의 범위이다. 1㎛ 미만의 경우, 발포폴리스틸렌계 시이트와 폴리스틸렌계 필름와의 접착력이 충분하지 않고, 예를들면 까스토로공정과 같이 열처리를 실시하면 부분적으로 필름이 떠오른다. 또 10㎛ 이상으로 해도, 본 발명의 효과인 도안의 치수 안정성 등을 이 이상 개선시키는 것은 기대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발포폴리스틸렌계 복합시이트는, 상기의 발포폴리스틸렌계 시이트 및 폴리스틸렌계 필름을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로 첩부해서 구성한다.
이 복합시이트에 있어서, 문자나 도안 등의 인쇄는 발포폴리스틸렌계 시이트의 표면 또는 폴리스틸렌계 필름의 뒷면, 바람직하게는 폴리스틸렌계 필름의 뒷면에 실시되고, 문자나 도안 등의 발포폴리스틸렌계 시이트와 폴리스틸렌계 필름와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로 상기 시이트와 필름을 접착한다.
복합시이트의 구체적인 태양은, 예를들면, 표면에 문자나 도안 등을 인쇄한 발포폴리스틸렌계 시이트의 표면에 폴리우레탄계접착제를 도포하고, 그위에 폴리스틸렌계 필름을 첩합하는 태양, 발포폴리스틸렌계시이트의 표면에 폴리우레탄계접착제를 도포하고, 그위에 뒷면에 문자나 도안 등을 인쇄한 폴리스틸렌계 필름을 첩합시키는 태양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스틸렌계 필름의 뒷면에 인쇄를 실시하고, 그위에 폴리우레탄계접착제를 도포한 후, 발포폴리스틸렌계시이트를 접합시키는 태양이다. 또, 이들의 태양에 있어서, 특이한 모양효과를 내기 위하여, 필름의 뒷면 및 시이트의 표면양면에 인쇄를 실시하는 것은, 이들의 인쇄면이 복합시이트의 첩합면에 있는한 지장없다.
다음에, 본 발명을 대표적인 실시예에 의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열수축성 발포폴리스틸렌시이트]
GPPS(도오포렉스; 일본국 미쯔이도오아쯔화학제) 100중량부에 활석(미크로에이스 ; 일본국 닛봉타르크제) 0.3중량부와 플레온 22(일본국, 미쯔이, 듀폰프롤케미칼제) 5중량부를 발포층의 원료로하고, 한편, GPPS(도오포렉스) 100중량부, 스틸렌-에틸렌-부틸렌의 블록 코폴리머 10중량부와 백색착색제 3중량부를 비발포층의 원료로서 공압출방법으로 얻은 2층구조의 열수축성 발포시이트로서, 이 발포시이트는 두께가 발포층에서 0.17mm, 비발포층에서 0.015mm이고, 120℃로 가열했을때의 수축율이 흐름방향에 55%, 그것과 직각방향에 15%인 시이트.
[폴리스틸렌 필름]
스틸렌-부타디엔이 블록코폴리머(K-레진 ; 필립스사제) 20중량부와 GPPS(도오포렉스) 80중량부를 40mmψ의 압출기로 B.U.R.이 2.3의 인플레이션방법으로 성막한것으로, 120℃의 가열시, 흐름방향의 수축이 40%이고, 그것과 직각방향의 수축이 12%인, 두께 0.025mm의 필름.
이 필름에, 필름을 통해서 문자, 도안이 읽을 수 있는 인쇄를 실시하였다.
상기의 열수축성 발포폴리스틸렌계 시이트와 폴리스틸렌계 필름을 무용매타이프의 2액성 폴리우레탄계 접착제(애드코오드 ; 일본국 도오요오 모오톤사제)로 첩합하고 얻게된 복합시이트의 치수의, 흐름방향 및 그것과 직각방향 다같이 0.2mm 이내에서 안정되게 정밀도가 우수함은 물론, 폴리스틸렌계 필름의 표면성을 손상하는 일 없이 평활하였다.
백시험기를 사용한 평활도시험방법( JIS p-8119에 준함)에서는 900초 이상이였다.
또 이복합시이트를 100mm 폭의 링형상으로 슬릿해서, 유리병에 감을 수 있도록 랩핑생산기로 시험하였다. 레이블은 안정되게 재단되고, 치수정밀밀도도 높고 로스가 적었다. 레이블이 감긴 유리병을 170℃의 슈린크터널속을 통과시켜, 병의 어깨부분 및 바닥부분에 밀착할때까지 수축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의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대신에, 가열로울에서 폴리스틸렌 필름을 열수축성 발포폴리스틸렌시이트에 열용착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재료를 사용하고 복합시이트를 얻었다. 주요물성, 평가결과를 표-1에 표시하다.
[비교예 2]
발포폴리스틸렌계 시이트의 수축율이 한쪽방향으로 25%, 그것과 직각방향으로 5%의 성능을 가진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해서 복합시이트를 얻었다. 얻게된 시이트를 병에 감고, 슈린크터널속을 통과시켜도 충분히 수축하지 않고 수축얼룩이 발생하였다.
[표-1]
Figure kpo00001
[실시예 2~5]
[비교예 3~8]
두께, 겉보기밀도 및 수축률을 바꾼 발포시이트를 다음에 표시한 열수축성 발포폴리스틸렌시이트의 제조예에 따라서 제조하였다. 표-2에 각 발포시이트의 성상(性狀)을 표시한다.
[열수축성 발포폴리스틸렌시이트의 제조예]
50~65mmψ의 텐덤형발포 압출설비를 사용해서 GPPS(도오포렉스 ; 미쯔이도오아쯔화학제) 100중량부와 활석(미크로에이스 ; 닛본타르크제) 0.3중량부를 용융혼합한 곳에 프론 22(미쯔이, 듀폰 프롤케미칼제)를 주입해서 혼련한 후, 다이스로부터 대기속에 방출하므로서 발포층을 형성하고, 한편 40mmψ의 압축기로 GPPS(도오포렉스) 100중량부, 스틸렌, 에틸렌, 부틸렌의 블록코폴리머 10중량부와 백색착색제 3중량부를 원료로서 용융혼련해서 압출하고, 비발포층(비발포층의 중량비율 ; 25%)을 형성하는 2층구조의 발포시이트를 공압출방향으로 얻었다. B.U.R을 2.3으로해서 발포시이트의 두께는 인취속도를 바꾸어 조절하고, 겉보기 밀도는 발포제의 주입량, 또 열수축성능은 다이스의 개구면적을 바꾸어 인취속도/토출속도를 바꾸어 조정하였다.
표-2에 표시한 발포시이트를 사용한 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 폴리스틸렌계 필름와 접착제를 사용하고, 통상의 드라이라미네이트 장치로 인쇄를 실시한 폴리스틸렌계 필름위에 막두께가 2㎛이 되도록 접착제를 도공하고, 인쇄가 중간에 오도록 접합시킨후, 48시간 항온실에서 양생시켜 복합시이트를 얻었다.
표-2에서 열수축성 발포폴리스틸렌시이트와 폴리스틸렌필름을 첩합시킨 복합시이트위의 인쇄한 도안의 수축은, 흐름방향 및 폭방향 다같이 0.1% 이내에서 안정되고 있었다. 복합시이트는 또 다음에 표시한 평가방법에 의해 공정별로 실용평가 하였다.
복합시이트의 성능평가 :
(1) 슬라이브작성·장착공정 : 복합시이트를 170×95mm의 크기로 재단하고, 히이트시일해서 연속적으로 슬리이브를 작성한 후 계속해서 동체직경 52mmψ, 높이 125mm의 유리병에 장착한다.
(2) 가열수축공정 : 170℃의 분위기온도가 된 슈린크터널속을 통과시켜 유리병에 밀착시켜서 그 외관 등을 판정한다.
(3) 충전공정 : 복합시이트의 레이블로 피복된 유리병에 파스토로(80℃) 공정을 통과하는 음료를 충전하고, 출구에서 레이블의 외관을 판정한다. 복합시이트의 평가결과를 아울러 표-2에 표시하였다.
발포시이트의 두께, 발포시이트의 겉보기 밀도, 발포시이트의 열수축률의 값에 의해, 대폭으로 복합시이트의 성능이 변화되고 있음을 알았다.
[표-2]
Figure kpo00002
[실시예 6~7]
[비교예 9~12]
실시예 2의 열수축성 발포폴리스틸렌시이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비발포층을 제외한 발포층만의 단층구조로 해서, 두께가 0.17mm, 겉보기밀도가 0.35g/㎥, 120℃에서 있어서 수축률이 흐름방향에서 56%, 폭방향에서 14%의 발포시이트를 얻었다. 이것에 실시예 2에서 사용한 접착제와 폴리스틸렌계 필름의 두께 및 열수축률을 변화시킨 이외는 똑같은 것을 사용해서 복합시이트를 얻었다. 이들의 복합시이트의 물성을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각 공정별로 평가하였다 . 결과를 표-3에 표시하였다.
필름의 두께와 열수축률의 값에 의해, 대폭으로 복합시이트의 성능이 변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8]
[비교예 13~14]
실시예 1에 있어서 접착제를 변화시킨 외는 마찬가지로 해서 복합시이트를 얻었다. 복합시이트의 물성과 평가결과를 표-4에 표시하였다. 실시예 8에서는 접착제로서 이소시아네이트기 비율이 약 23%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수산기를 양말단부에 가진 폴리에스테르을 반응시켜서 얻게된 폴리우레탄접착제(미쯔이도오아쯔화학사제, 상표 오레스터-NP-1100)를 사용하고, 비교예 13에서는 용제타이프의 접착제(코니시사제, 상표 코니시본드 VP-2000), 비교예 14에서는 에틸렌-아세트비닐공중합체를 각각 사용하였다.
표-4에서는 실시예 8은 비교예 13 및 14에 비해서 도안의 변화 및 그후의 공정에서 뛰어났다.
[비교예 15]
실시예 1의 폴리우레탄계 접촉제대신, 가열로울에서 폴리스틸렌필름을 열수축성 발포폴리스틸렌시이트에 열용착하는 이외는, 실시에 1과 마찬가지재료를 사용해서 복합시이트를 얻었다.
가열로울의 표면온도는 160℃로 행하고, 발포폴리스틸렌시이트와 폴리스틸렌필름의 접착강도는 충분하였지만, 도안이 2~5%의 범위에서 축소되고 로스가 많았다.
또 이 복합시이트로부터 슬리이브를 작성하고 유리병에 피복한 후, 파스토로 공정을 통과시켰던 바 부분적으로 필름이 박리되었다.
[표-3]
Figure kpo00003
[표-4]
Figure kpo00004

Claims (9)

  1. 열수축성 발포폴리스티렌계 시이트 및 폴리스티렌계 필름을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로 첩합해서 이루어진 열수축성 발포폴리스티렌계 복합시이트.
  2. 열수축성 발포폴리스틸렌계 시이트 및 폴리스티렌계 필름을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로 첩합해서 이루어지고, 이 시이트 및/또는 이 필름의 첩합면이 인쇄를 실시한 것인 열수축성 발포폴리스티렌계 복합시이트.
  3. 제1항 및 제2항에 있어서, 열수축성 발포폴리스티렌계 시이트의 두께가 0.10~1.0mm이고, 겉보기 밀도가 0.15~0.70g/cm3인 열수축성 발포폴리스티렌계 복합시이트.
  4. 제1항 및 제2항에 있어서, 열수축성 폴리스티렌계 발포시이트의 열수축성능이 120℃로 가열했을 때, 한쪽방향으로 30%~70%이하 수축하고, 그것과 직각방향이, 20% 이하인 열수축성 발포폴리스티렌계 복합시이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폴리우레탄계 접착제가, 무용매타이프인 열수축성 발포폴리스티렌계 복합시이트.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를 1-10㎛의 두께로 도포한 열수축성 발포폴리스티렌 복합시이트.
  7. 제2항에 있어서, 열수축성 발포폴리스티렌계 복합시이트의 두께가 0.10~1.0mm이고, 겉보기밀도가 0.15~0.70g/cm인 시이트와 인쇄를 실시한 폴리스티렌계 필름이고, 두께가 0.01~0.1mm인 필름을 1㎛~10㎛의 두께로 도공한 폴리우레탄 접착제로 첩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성 발포폴리스티렌계 복합시이트.
  8. 제1항, 제2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열수축성 폴리스티렌계 발포시이트의 열수축성능이 120℃로 가열했을 때, 한쪽방향으로 30%이상 수축하고, 그것과 직각방향이 20% 미만이고, 폴리스티렌계 필름의 열수축성능이 120℃로 가열했을 때 한쪽방향으로 25%이상이고, 그것과 직각방향이 5~25%인 열수축성 발포폴리스티렌계 복합시이트.
  9. 제1항, 제2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폴리스티렌계 필름의 열수축성능이, 열수축성 폴리스티렌계 발포시이트와 첩합하는 동일방향의 120℃ 수축률이, 발포시이트의 수축이 큰방향에서 1.0<발포시이트의 수축률/필름의 수축률<1.5, 발포시이트의 수축이 작은방향에서 0.6<발포시이트의 수축률/필름의 수축률<2.0인 열수축성 발포폴리스티렌계 복합시이트.
KR1019900004193A 1989-03-28 1990-03-28 열수축성 발포폴리스티렌계 복합시이트 KR9200000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73932 1989-03-28
JP7393289 1989-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4125A KR900014125A (ko) 1990-10-22
KR920000002B1 true KR920000002B1 (ko) 1992-01-06

Family

ID=13532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4193A KR920000002B1 (ko) 1989-03-28 1990-03-28 열수축성 발포폴리스티렌계 복합시이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966805A (ko)
EP (1) EP0390442B1 (ko)
KR (1) KR920000002B1 (ko)
AU (1) AU612928B2 (ko)
CA (1) CA2013046C (ko)
DE (1) DE6902967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36810B2 (ja) * 1991-06-28 1999-08-23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発泡体熱収縮チューブ
US5252155A (en) * 1992-03-10 1993-10-12 National Starch And Chemical Investment Holding Corporation Shrink film labeling with polyurethane hot melts
US5405882A (en) * 1992-12-16 1995-04-11 Atlas Roofing Corporation Method of foaming asphalt and products produced thereby
ATE165767T1 (de) * 1994-02-15 1998-05-15 Owens Illinois Labels Inc Mehrschichtiges etikett
US5861201A (en) * 1994-02-15 1999-01-19 Owens-Illinois Labels Inc. Multilayer label material
US5658625A (en) 1994-05-25 1997-08-19 W.R. Grace & Co.-Conn. Film containing alpha-olefin/vinyl aromatic copolymer
US6884480B2 (en) 1995-05-19 2005-04-26 Cryovac, Inc. Film containing alpha-olefin/vinyl aromatic copolymer
EP0991514B1 (en) * 1997-06-27 2002-08-21 The Dow Chemical Company Energy absorbing articles of extruded thermoplastic foams
CA2329488A1 (en) * 1998-04-20 1999-10-28 Cryovac Inc. Multilayer packaging film and bag made therefrom
US6764233B2 (en) * 2002-03-14 2004-07-2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pparatus and methods for the use of shrinkable print media
CN100457805C (zh) * 2003-07-15 2009-02-04 电气化学工业株式会社 热收缩性发泡膜
JPWO2005048218A1 (ja) * 2003-11-12 2007-05-31 株式会社フジシールインターナショナル Petボトル用シュリンクラベル及びそれを装着してなるpetボトル
JP5302395B2 (ja) * 2008-06-20 2013-10-02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発泡フィルム包装
US20110154699A1 (en) * 2009-08-03 2011-06-30 Avery Dennison Corporation Preprinted Roll-On Shrink-On Label
JP2015066917A (ja) * 2013-09-30 2015-04-13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積層発泡シート、及び、シート成形品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58408A (en) * 1965-03-31 1971-01-26 Mc Donnell Douglas Corp Plastic laminate and bonding material therefor
CH441730A (de) * 1966-08-09 1967-08-15 Chemie Ind Investment Ag Kunststoff-Verbundmaterial,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sowie Verwendung des Kunststoff-Verbundmaterials
DE3130430A1 (de) * 1981-07-31 1983-02-17 Bayer Ag, 5090 Leverkusen Verfahren zum verkleben von folien
CA1191006A (en) * 1982-01-14 1985-07-30 Sekisui Kaseihin Kogyo Kabushiki Kaisha Sheet for forming sleev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S5985743A (ja) * 1982-11-08 1984-05-17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フィルム積層発泡シート
GB8320422D0 (en) * 1983-07-28 1983-09-01 Jackson L R Damp-proof course
JPS6110833U (ja) * 1984-06-27 1986-01-22 山陽国策パルプ株式会社 スリ−ブ形成用収縮性複合シ−ト
JPS634789A (ja) * 1986-06-25 1988-01-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画像監視カメ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013046A1 (en) 1990-09-28
DE69029674T2 (de) 1997-11-06
EP0390442A2 (en) 1990-10-03
KR900014125A (ko) 1990-10-22
AU5232390A (en) 1990-10-18
DE69029674D1 (de) 1997-02-27
US4966805A (en) 1990-10-30
EP0390442B1 (en) 1997-01-15
EP0390442A3 (en) 1991-05-15
AU612928B2 (en) 1991-07-18
CA2013046C (en) 1993-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0002B1 (ko) 열수축성 발포폴리스티렌계 복합시이트
FI89144C (fi) Liner med flerskiktig bandstruktur foer anvaendning med namnlapps- och etikettaemnen
US4883697A (en) Thermoplastic in-mold labeling label structure for deformable thermoplastic packages
EP0554406B1 (en) Method for high speed labelling of deformable substrates
US4574697A (en) Sheet material for mounting printing plates
US4377988A (en) Reflective animal collar and material for forming such a collar
CA2144650A1 (en) Uniaxially oriented label film with compatibilizer
AU611836B2 (en) Heat-shrinkable polyolefin composite sheet
JP2696499B2 (ja) 多層ラベル材料
EP0273623B1 (en) Labels and their application to plastic containers
JP3422907B2 (ja) 筒状シュリンクラベル
CA1295222C (en) Thermoplastic in-mold labeling label structure for deformable thermoplastic packages
JP2615303B2 (ja) 熱収縮性ラベル
JPH0759390B2 (ja) ラベル
JPH037332A (ja) 熱収縮性発泡ポリスチレン系複合シート
JPH08258173A (ja) 筐 体
JP4931040B2 (ja) カップ状容器用熱収縮性筒状ラベル
JPH0596620A (ja) 積層フイルムから成るラベルの製造方法
EP2796286B1 (en) Heat-shrinkable film for label with low specific gravity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JP4117935B2 (ja) 剥離ライナ及びそれを有する両面粘着テープ
JPH08300547A (ja) 熱収縮性ポリプロピレン積層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GB2160818A (en) Shrinkable composite sheets for forming sleeves
JPH0340597Y2 (ko)
JPH11198155A (ja) インモールド成形用ラベルおよびそのラベルを用いたインモールド成形体の製造法
JPS6242824A (ja) 耐熱性シユリンクラベル形成用収縮性複合シ−ト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2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