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9076B1 - 유니버설 펄스 제너레이터 - Google Patents

유니버설 펄스 제너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9076B1
KR910009076B1 KR1019880009331A KR880009331A KR910009076B1 KR 910009076 B1 KR910009076 B1 KR 910009076B1 KR 1019880009331 A KR1019880009331 A KR 1019880009331A KR 880009331 A KR880009331 A KR 880009331A KR 910009076 B1 KR910009076 B1 KR 910009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ulse
data input
input
b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9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2551A (ko
Inventor
김헌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80009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9076B1/ko
Publication of KR900002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9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01Details

Landscapes

  • Manipulation Of Pulse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Shift Register Type Memor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니버설 펄스 제너레이터
제1도는 본 발명 유니버설 펄스 제너레이터의 블록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 유니버설 펄스 제너레이터의 상세회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8비트 데이타 입·출력인 경우의 유니버설 펄스 제너레이터를 도시한 회로도.
제4도는 8비트 데이타 입력레지스터(100)의 상세회로도.
제5도는 8비트 데이타 입력인때의 ″패러럴 입력 및 카운터(200)″의 상세회로도.
제6도는 8비트 펄스 출력인 경우의 ″쉬프트 레지스트(400)″의 상세회로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각부의 입출력신호 타이밍도.
제8도는 2비트의 데이타입력과 4비트의 펄스출력 관계를 나타낸 타이밍도이다.
본 발명은 유니버설 펄스 제너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n비트의 데이타 입력신호의 크기에 비례하는 펄스폭을 갖는 m비트의 펄스신호를 발생하는 유니버설 펄스 제너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특정시간(간격)동안 히팅(Heating)을 순차적으로 하는 팩시밀리내의 TPH(Thermal Pring Head)블록이나, 그밖에 특정 간격으로 어떤 대상을 감지 또는 검출하는 시스템에는 데이타 입력신호의 크기에 비례하는 펄스폭을 갖는 펄스신호를 발생하는 펄스신호 발생기가 필요하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펄스신호를 발생하는 펄스신호 발생기가 없어서 단순히 통상적인 펄스발생기로 중요한 펄스신호를 발생시켜 사용하였으므로 출력되는 펄스신호의 펄스폭을 데이타 입력신호의 크기에 비례하도록 조정할 수 없어 발생되는 펄스신호를 다양하게 변환해서 사용할 수 없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펄스신호 발생기가 갖는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펄스폭이 n비트의 데이타 입력신호의 크기에 비례하는 m비트의 펄스신호를 발생하는 유니버설 펄스 제너레이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유니버설 펄스 제너레이터는 데이타 인에이블신호(50)에 따라 입력되는 n비트의 데이타 입력신호(40)를 일시 저장하는 데이타 입력레지스터(100)와, 로드신호에 따라 상기 데이타 입력레지스터(100)에 일시 저장된 데이타 입력신호(40)를 로딩하고 로딩된 데이타의 크기만큼 클럭신호(70′)에 의해 카운팅하는 패러릴입력 및 카운터(200), 상기 패러럴입력 및 카운터(200)의 출력신호인 브로우신호를 입력하여 클럭신호(70″)에 따라 로드신호와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펄스발생제어기(300), 상기 제어신호의 제어를 받아 순차적으로 m비트의 펄스신호(90)를 출력하는 클럭 제너레이터(3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펄스발생제어기(300)는 인버터(I1∼I6)와 앤드게이트(AD2,AD3), 낸드게이트(N1∼N4) 및 D형 플립플롭(310∼330)으로 구성된다. 제1도는 본 발명 유니버설 펄스 제너레이터의 개략적인 블록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 유니버설 펄스 제너레이터의 상세회로도, 제3도 내지 제5도는 8비트의 데이타 입력신호와 8비트의 펄스 출력신호를 갖는 경우의 본 발명 유니버설 펄스 제너레이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3도는 유니버설 펄스 제너레이터의 전체회로도, 제4도는 데이타 입력레지스터(100)의 상세회로도, 제5도는 패러럴 입력 및 카운터(200)의 상세회로도, 제6도는 쉬프트 레지스트(400)의 상세회로도이다.
다음으로 제7도에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회로각부의 입출력신호 타이밍도와 제8도에 도시한 데이타 입력신호와 펄스출력신호의 타이밍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최초 제7도에 도시한 리세트신호(60)가 하이레벨상태에서 로우레벨상태로 변하게 되면, 회로각부는 리세트되어 초기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제7도에 도시한 n비트의 데이타 입력신호(D0∼Dn-1)가 데이타 입력레지스터(100)로 순차인가되고, 데이타 입력레지스터(100)로 인가되는 n비트의 데이타 입력신호(D0∼Dn-1)는 제7도에 도시한 데이타 인에이블신호(50)에 따라 데이타 입력레지스터(100)에 일시 저장되게 되며, 이때 패러럴입력 및 카운터(200)와 펄스발생제어기(300)는 출력제너레이터(30)에서 발생된 클럭신호(70′,70″)에 의해 동기되어 동작하게 된다.
이와 같이 데이타 인에이블신호(50)에 의해 데이타 입력레지스터(100)에 저장된 데이타 입력신호(D0∼Dn-1)는 이후 제7도에 도시한 펄스스타트신호(80)에 의해 펄스발생제어기(300)에서 발생된 로드신호에 따라 패러럴입력 및 카운터(200)에 로딩되며, 이렇게 로딩된 데이타 입력신호(D0∼Dn-1)는 클럭신호(70′)가 패러럴입력 및 카운터(200)로 인가됨에 따라 패러럴입력 및 카운터(200)에서는 브로우(Borrpw)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한편 상기 펄스발생제어기(300)에서 로드신호가 출력될때는 제어신호도 함께 발생되는 바, 이 제어신호가 쉬프트 레지스트(400)로 인가되므로 쉬프트 레지스트(400)에서는 펄스신호(90)의 첫단인 제7도에 도시한 S0의 펄스를 출력하게 된다. 이S0의 펄스 출력시에는 나머지 출력인 S1∼Sn-1은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두 하이레벨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S0의 펄스가 출력되다가 패러럴입력 및 카운터(200)에서 출력되는 바로우신호가 펄스발생제어기(300)로 인가되면, S0의 펄스출력(로우레벨상태)은 끝나고, 이와 동시에 펄스발생제어기(300)에서 다시 로드신호가 발생되어 패러럴입력 및 카운터(200)로 인가되게 된다.
그에 따라 데이타를 새로 데이타 입력레지스터(100)에서 패러럴입력 및 카운터(200)로 로딩하여 이하 S0의 펄스의 출력시와 마찬가지로 동작하여 제7도에 도시한 S1의 펄스가 펄스신호(90)로서 출력된다. 이때 패러럴입력 및 카운터(200)에서 새로운 데이타의 크기만큼 카운팅되어 다시 바로우신호가 펄스발생제어기(200)로 인가되면 S1의 펄스출력이 끝나고, 그 다음의 데이타가 패러럴입력 및 카운터(200)에 로딩된다.
이와 같이 하여 m비트의 펄스신호(S0∼Sm-1)의 출력이 끝난뒤에는 S0∼Sm-1의 출펄스출력은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두 하이레벨상태로 유지되고, 이어 펄스스타트신호(80)에 의해 다시 S0∼Sm-1의 펄스가 출력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데이타 입력크기에 비례하는 펄스폭을 갖는 m비트의 펄스를 순차적으로 발생시키게 되는 바, 펄스폭의 조정 변화폭이 데이타입력의 수에 비례하게 되므로 펄스폭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입력수에 따라 2n(단 n은 입력수)까지 조정이 가능하며 펄스출력단도 필요에 따라 쉽게 조정하여 구성할 수가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데이타입력이 16비트인 경우 펄스폭은 1∼65536까지 조정될 수 있고(제8도는 데이타입력이 2비트, 펄스출력이 4비트인 경우의 입력데이타와 펄스출력의 타이밍을 나타낸 것이다.), 펄스출력이 8비트인 경우 제3도와 같이 8개의 출력단으로 펄스가 순차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제6도에 도시한 쉬프트 레지스트(400)에서 데이타입력이 8비트인데도 D형 플립플롭을 9개 사용한 것은 클럭의 해저드(hazard)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작용하는 본 발명은 n비트의 데이타입력의 크기에 비례하는 펄스폭을 갖는 m비트의 펄스신호를 펄스출력단을 통해 순차적으로 발생시키는 유니버설 펄스 제너레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입력의 비트수 및 출력의 비트수를 용이하게 변환구성할 수 있으며, 펄스폭을 데이타입력이 n비트인 경우 1∼2n까지 조정할 수 있고, 쉬프트 레지스터단만 m비트로 실현하며 m 비트의 출력단을 구성할 수 있어서 특정한 펄스폭을 갖는 펄스를 특정수의 출력으로 용이하게 발생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므로 응용회로 또는 응용시스템에서 특정한 간격동안의 히팅(heating), 스피킹(speaking), 노래(singing), 감지(sensing), 검출(detecting) 등의 액션에 따라 필요한 단(stage)만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Claims (2)

  1. 데이타 인에이블신호(50)에 따라 입력되는 n비트의 데이타 입력신호(40)를 일시 저장하는 데이타 입력레지스터(100)와, 로드신호에 따라 상기 데이타 입력레지스터(100)에 일시 저장된 데이타 입력신호(40)를 로딩하고 로딩된 데이타의 크기만큼 클럭신호(70′)에 의해 카운팅하는 패러럴입력 및 카운터(200), 상기 패러럴입력 및 카운터(200)의 출력신호인 브로우신호를 입력하여 클럭신호(70″)에 따라 로드신호와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펄스발생제어기(300), 상기 제어신호의 제어를 받아 순차적으로 m비트의 펄스신호(90)를 출력하는 쉬프트 레지스트(400) 및 상기 클럭신호(70′,70″)를 발생하는 클럭 제너레이터(30)로 구성되어 n비트의 데이타 입력신호의 크기에 비례하는 펄스폭을 갖는 m비트의 펄스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설 펄스 제너레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펄스발생제어기(300)가 인버터(I1∼I6)와 앤드게이트(AD2,AD3), 낸드게이트(N1∼N4) 및 D형 플립플롭(310∼330)으로 구성되어 상기 패러럴입력 및 카운터(200)의 출력신호인 브로우신호를 입력하여 클럭신호(70″)에 따라 로드신호와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설 펄스 제너레이터.
KR1019880009331A 1988-07-25 1988-07-25 유니버설 펄스 제너레이터 KR910009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9331A KR910009076B1 (ko) 1988-07-25 1988-07-25 유니버설 펄스 제너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9331A KR910009076B1 (ko) 1988-07-25 1988-07-25 유니버설 펄스 제너레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2551A KR900002551A (ko) 1990-02-28
KR910009076B1 true KR910009076B1 (ko) 1991-10-28

Family

ID=19276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9331A KR910009076B1 (ko) 1988-07-25 1988-07-25 유니버설 펄스 제너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907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2551A (ko) 1990-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77373A (en) Pulse width modulation signal generating circuit providing N-bit resolution
KR910005064A (ko) 제어신호 발생 방법 및 장치
KR880014546A (ko) 디지탈 pll 회로
KR910009076B1 (ko) 유니버설 펄스 제너레이터
EP0297581A3 (en) Pseudo-noise sequence generator
US4156201A (en) Binary word presence indicating circuit
KR960016809B1 (ko) 트리거 마스킹 기능을 갖는 트리거 신호 발생 회로
SU670958A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бработки телеизмерительной информации
SU860041A1 (ru) Генератор случайных чисел
SU83037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равнени двоичныхчиСЕл
SU98008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равнени чисел
SU1474853A1 (ru) Устройство преобразовани параллельного кода в последовательный
SU61332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бработки цифровых данных
SU78180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равнени двоичных чисел
SU84088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пределени экстремальныхчиСЕл
SU720718A1 (ru)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напр жение-код
SU1695501A1 (ru)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отношени двух напр жений в код
SU75233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пределени знака приращени сигнала
KR930006540A (ko) 승산 회로의 부분 승수 선택 회로
SU742910A1 (ru) Генератор псевдослучайных двоичных последовательностей
KR900002624A (ko) 클램프펄스 작성회로
GB1409544A (en) Control device for recording elements
SU617845A1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нтрол двоичного счетчика
SU970367A1 (ru) Микропрограммное управл 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SU907547A1 (ru) Генератор псевдослучайных чисе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09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