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9014Y1 - 라미네이팅기의 완제품 절취유도용 세공선 압입장치 - Google Patents

라미네이팅기의 완제품 절취유도용 세공선 압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9014Y1
KR910009014Y1 KR2019890020048U KR890020048U KR910009014Y1 KR 910009014 Y1 KR910009014 Y1 KR 910009014Y1 KR 2019890020048 U KR2019890020048 U KR 2019890020048U KR 890020048 U KR890020048 U KR 890020048U KR 910009014 Y1 KR910009014 Y1 KR 9100090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ished product
support
laminating
indentatio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200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1179U (ko
Inventor
더블류 비어 마이클
Original Assignee
유로본드(유케이)리미티드
더밋 레인저 가드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로본드(유케이)리미티드, 더밋 레인저 가드너 filed Critical 유로본드(유케이)리미티드
Priority to KR20198900200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9014Y1/ko
Publication of KR9100111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11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90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0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8Handling of layers or the lamin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43/00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layered product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repairing; Apparatus therefor

Landscapes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라미네이팅기의 완제품 절취유도용 세공선 압입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적용된 라미네이팅 장치의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절취유도용 세공선 압입장치의 횡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B-B선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절취유도용 세공선 압입상태 측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절취유도용 세공선 압입상태 평면도.
제7도는 제6도의 "C"부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F : 필름 S : 기재
P1 : 연속반제품 P2 : 연속완제품
P : 완제품 10 : 필름이송수단
20 : 접착재코팅수단 30 : 기재이송수단
40 : 기재측면가이드 50 : 기재이송감지수단
70 : 제1가열건조수단 80 : 제1라미네이팅수단
90 : 제2가열건조수단 100 : 제2라미네이팅 수단
110 : 절취유도용 세공선 압입수단 111 : 지지안내축
112 : 지지암 114 : 세공선압입수단
115 : 톱니원판 116 : 스페이서
119 : 보강원판 122 : 세공선위치조정수단
123 : 슬리브 125 : 콜릿
128 : 조임부재 132 : 연결암
134 : 연결축 135 : 압입부여 수단
136 : 탄력조정나사 138 : 받침편
139 : 스프링 140 : 권취롤
본 고안은 기재 예컨대 팜플렛이나 레코드 재킷 또는 책 표지등과 같은 인쇄물등의 기재 표면에 접착성 필름을 라미네이팅함에 있어 기재를 일정위치로 안내하는 라미네이팅기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라미네이팅되어 나오는 연속 완제품을 기재의 경계부분에서의 절취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륵 한 라미네이팅기의 완제품 절취유도용 세공선 압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재 예컨대 팜플렛이나 레코드 재킷 또는 책표지등과 같은 인쇄물의 표면에 투명합성수지 필름을 라미네이팅하여 광택을 부여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 이러한 기재 표면에 필름을 라미네이팅하는 방법으로서는 영국 특허 제 1,586,591호 및 미합중국 특허 제 4,464,220호에서와 같이 상부측에서 필름을 이송하고 하부측에서 기재를 이송하면서 기재 표면에 필름을 라미네이팅하는 장치가 안출된바 있다.
이러한 라미네이팅기에서는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필름을 낱개로서 공급이송되는 기재에 라미네이팅하여 연속적으로 연결된 완제품(이하 연속 완제품이라 함)을 얻고 이를 권취롤에 권치한 다음 이 권취롤에서 연속완제품을 풀어내면서 기재사이의 경계부분에서 절취하여 낱개의 완제품을 얻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장치에서는 사용되는 필름의 특성에 의하여 절취되어야 할 위치에서 정확하게 절취되지 않게되어 최종 절취공정에서의 불량발생률이 매우 높게되므로 생산성이 크게 떨어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필름을 낱개로 연속공급되는 기재에 라미네이팅하여 얻어진 연속완제품을 기재의 경계부분에서 절취하여 낱개의 완제품을 얻는 최종 절취공정에서 정확한 위치에서 용이하게 절취할 수 있도록 한 라미네이팅기의 완제품 절취유도용 세공선 압입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하방의 기재이송수단과, 상방의 필름이송수단과, 필름의 저면에 접착재를 코팅하는 접착제 코팅수단과, 필름 저면에 코팅된 접착제를 가열건조하는 제1 및 제2가열건조수단과, 기재와 필름을 압착하여 라미네이팅 하는 제1및 제2라미네이팅 수단으로 구성되는 라미네이팅기에 있어서, 상기 2차 라미네이팅수단의 하류측에서 측면지지판에 굴대설치되는 지지안내축과, 상기 지지안내축에 일단부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암과, 상기 지지암의 타단부에 굴대설치되는 절취유도용 세공선 압입수단과, 상기 지지암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 조절나사부가 형성되고 일단부에 콜일체로 형성된 조절슬리브와 상기 콜릿을 지지안내축에 조여부치는 조임부재를 보유하는 세공선위치조정수단과, 상기 지지안내축의 양단에 설치되는 한쌍의 연결암과, 상기 연결암사이에 굴대설치되어 상기 지지암을 관통하는 연결축과, 상기 연결암을 상기 하향 탄압하는 압입력 부여수단을 구비하여서 되는 라미네이팅기의 완제품 절취유도용 세공선 압입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을 이하 첨부도면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세히 설명하는 것에 의하여 명백해질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장치가 적용된 라미네이팅장치(1)를 도시하는 것으로, 베이스(2)를 포함하며, 이 베이스(2)에는 장치(1)를 바닥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각(미도시)등의 프레임과, 내부의 구동 및 전동수단(미도시)와 로울러등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판(3)등이 통상적인 방법으로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2)의 상방에는 롤(Roll)형으로 권취된 롤필름(Fo)이 적재되어 그 한끝으로 부터 풀려나오는 (F)을 다수개(도면에서 2개)의 이송로을러(11), (12)를 보유하는 필름이송수단(10)에 의하여 접착제 코팅위치로 이송시킨다.
여기서 필름(F)은 필름이송수단(10)의 이송로울러(11), (12)중 적어도 일측 이송로울러[도면의 예에서는 이송로울러(12)]는 타측 로울러[도면의 예에서는 이송로울러(11)]에 대하여 이들간의 축간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이송로울러(11), (12)사이를 통과하는 필름(F)에 대하여 이송에 필요한 장력을 적절하게 조절할수 있게 되어 있다.
도시예에서는 이송로울러(12)를 이송로울러(11)에 대하여 축간거리를 이동 조정가능하게 설치하였으나 반드시 이로써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송로울러(12)를 고정으로 하고 이송로울러(11)를 이동조절가능하게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이송로울러(11), (12)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필름(F)은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수지제 필름(Bia-xial Oriented Polypropylene Film)을 사용한다.
상기 필름이송수단(10)을 통해 이송되는 필름(F)은 다음 공정인 접착제 코팅단계에서 외주면 하부측의 접착제 저류통(23)에 수용된 접착제(24)에 침지되는 압축성 로울러(21)와 이 압축성 로울러(21)의 외주면에 상부측에서 접촉되는 금속성 로울러(22)를 보유하는 접착제 코팅수단(20)에 의하여 필름(F)의 저면에 접착제(24)가 코팅된다.
여기서 상기 압축성 로울러(21)는 중심코어부(21a)가 금속(강철)재로 하며 그 외부면에 탄성을 가지는 재질 예컨대 고무재로 되니 포복부(21b)를 피복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압축성 로울러(21)의 피복부(21b)를 구성하는 고무재질은 그 표면에 마이크로 셀(Micro cell)이 형성되어 접착제(24)와의 접촉시 접촉제(24)이 효과적으로 묻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접착제(24)는 수성접착제를 사용하며 예컨대 에틸렌과 비닐아세테이트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착제(24)는 접착제 공급통(미도시)으로 부터 연속적으로 공급되며, 장치의 가동을 중지한 후에는 접착제(24)가 접착제 저류통(23)내에서 응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저류통(23)의 하측에 설치된 방출구(25)을 통해 잔류되어 있는 접착제(24)를 방출시켜 회수한다.
상기 접착제 코팅수단(20)을 구성하는 압축성 로울러(21)는 접착제(24)에 하부측 외주면이 침지된 상태에서 회전되면서 그 피복부(21b)에 접착제(24)를 묻힌 다음 금속성 로울러(22)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접촉부를 통과하는 필름(F)의 저면에 접착제(24)를 코팅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접착제 코팅수단(20)을 구성하는 압축성 로울러(21)와의 금속성 로울러(22)는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필름(F)를 이송시키는 역활을 겸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필름이송수단(10)과 접착제 코팅수단(20)의 하방에서는 팜플렛이나 레코드 재킷 또는 책표지등의 인쇄물인 기재(S)가 낱장으로 공급되어 기재이송수단(30)에 의하여 그 끝단이 연접된 상태로 이송된다.
상기 기재이송수단(30)은 상기 베이스(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다수개의 로울러(31)와 이들 로울러(31)에 무단(End-less)식으로 걸쳐지는 콘베이어벨트(32)로 보유하는 벨토콘베이어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이송수단(30)을 구성하는 콘베이어벨트(32)는 마찰력이 큰 재질의 것을 사용하며 예컨대 고무재벨트를 사용하는 것이 기재(S)의 이송이라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S)는 기재이송수단(30)의 상면에 폭방향으로 이동조절가능하게 설치된 기재측면가이드(40)에 의하여 안내되어 기재(S)가 항상 일정한 위치로 이송된다.
상기 기재(S)의 이송과정에서는 기재이송수단(30)의 중간부에 설치된 기재이송감지수단(50)에 의하여 기재(S)가 그 끝단이 연접된 상태로 이송되는가를 감지하며, 이송되는 기재(S)가 연접되지 않고 이격되어 이송되는 경우에는 이를 감지하여 정보를 발함과 동시에 장치의 가동을 중지시키게 되어 기재(S)가 연접하지 않고 이격되는 경우에도 필름(F)이 후술하는 제1 및 제2라미네이팅수단(80), (100)의 핀치로울러(81), (101)와 압축성로울러(82) 및 금속성로울러(102)등에 융착되는 일이 없어 종래와 같이 필름이 이들 로울러등에 융착되었을때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소비하였던 휴지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기재이송감지수단(50)은 예컨대 발광소자의 수광소자로 구성되는 광전센서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와 동일한 정도의 기능을 가지는 것이라면 어떠한 방식의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접착제 코팅수단(20)에 의하여 저면에 접착제(24)가 코팅된 필름(F)은 텐션로울러(60)에 의하여 적정한 텐션을 부여받아 다음공장인 제1가열건조공정을 이송한다.
제1가열건조공정에서는 필름(F)의 저면에 코팅된 접착제(24)가 이송되는 필름(F)의 상방에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 제1가열건조수단(70)에 의하여 물리적인 접촉 없이 가열되어 수분은 건조되고 접착제 성분(고형분)이 잔존된 상태로 된다.
여기서 상기 제1가열건조장치(70)는 적외선 가열장치를 사용하여 필름(F)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 가열, 건조시킴으로써 접착제가 코팅된 필름(F)에 물리적인 변형을 주지 않고도 효과적으로 가열, 건조시킬 수 있는 것이다.
제1가열건조장치(70)를 구성하는 적외선가열장치는 그 발열정도와 주파수를 필름(F)에 대하여 하등의 물리적인 영향을 주지 않도록 설정한다.
상기 제1가열건조장치(70)에 의하여 1차 가열건조된 필름(F)은 서로 역회전하는 필치로울러(81)와 압축성로울러(82)를 보유하는 제1라미네이팅수단(80)에 의하여 기재(S)상에 압착되는 1차 라미네이팅된다.
상기 접착제 코팅수단(20)에서 저면에 접착제(24)가 코팅되어 이송되는 필름(F)가 기재이송수단(30)에 의하여 이송되는 기재(S)가 제1라미네이팅수단(80)의 핀치로울러(81)와 압축성로울러(82)사이를 통과하면서 가압되어 기재(S)상에 필름(F)이 압착된다.
여기서 상기 제1라미네이팅수단(80)의 핀치로울러(81)와 압축성로울러(82)는 이들 사이의 접촉부 간극을 기재(S)와 필름(F)두께와 작업조건에 따라서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시예에서는 하부측의 압축성로울러(82)하부에 간극조정캠(83)을 설치하여 핀치로울러(81)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접촉부의 간극을 조정하는 것이다.
제1라미네이팅수단(80)에 의하여 1차 라미네이팅되면 기재(S)는 필름(F)에 의하여 연속된 상태의 반제품(P1)으로 되어 다음 공정인 제2가열건조공정으로 이송된다.
제2가열건조공정에서는 상기 제1가열건조공정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적외선가열장치(90)에 의하여 연속된 반제품(P1)을 가열한다.
이 공정에서는 1차 라미네이팅된 연속반제품(P1)을 가열하여 기재(S)와 필름(F)를 접착하고 있는 접착제성분을 재용융시키는 것이다.
제2가열건조공정을 거친 연속반제품(P1)은 핀치로울러(101)와 금속성로울러(102)로 구성되는 제2라미네이팅수단(100)에 의하여 제차 가압되어 라미네이팅이 완료된다.
이 고정에서는 핀치로울러(10)와 한쌍을 이루는 로울러(102)가 금속재이므로 제1라미네이팅 공정에 비하여 일층 강하게 압착되어 연속된 완제품(P2)를 얻게된다.
상기 제2라미네이팅수단(100)에서도 하부측의 금속성로울러(102)는 캠(103)에 의하여 상부측의 핀치로울러(101)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접촉부의 간극을 조정할 수 있게 구성된다.
제2라미네이팅공정을 거친 연속완제품(P2)는 계속 이송되면서 본 고안에 의한 절취유도용 세공선 압압장치(110)에 의하여 일측 또는 양측 연부에 절취유도용 세공선(L)이 압입 형성된다.
본 고안의 절취유도용 세공선 압입장치(110)는, 상기 2차 라미네이팅수단(100)의 하류측에서 측면지지판(3)에 굴대설치되는 지지안내축(111)과, 상기 지지안내축(111)에 일단부가 술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암(112)과, 상기 지지암(112)의 타단부에 굴대설치되는 절취유도용 세공선 압입수단(114)과, 상기 지지암(124)가 형성되고 일단부에 콜릿(125)이 일체로 형성된 조절슬리브(123)와 상기 콜릿(125)을 지지안내축(11)에 조여부치는 조임부재(128)를 보유하는 세공선위치조정수단(122)과, 상기 지지안내축(111)의 양단에 설치되는 한쌍의 연결암(132)과, 상기 연결암(132)사이에 굴대설치되어 상기 지지암(112)을 관통하는 연결축(134)과, 상기 연결암(112)을 상시 하향 탄압하는 압입력 부여수단(135)을 구비하여서 되는 것이다.
상기 세공선 압입수단(114)은 외주연부에 톱니가 형성된 원판(15)을 지지암(112)에 베어링(118)으로 축설된 회전축(117)에 굴대설치한 것으로 하나의 톱니원판(115)만을 설치하여도 무방하나 한쌍의 틉니원판(115)을 스폐이서(116)를 사이에 끼워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결합하되 양측 톱니원판(115)의 톱니가 교호로 위치하도록 한다.
또한 양측 톱니원판(115)의 양측면에는 톱니원판(115)의 강도 보강을 위하여 보강원판(119)을 결착한다.
상기 회전축(11)의 단부에는 나사부(120)를 형성하여 이에 조임너트(121)를 체결하여 톱니원판(115)이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톱니원판(115)이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톱니원판(115)을 분해조립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암 조정수단(122)의 조절슬리브(123)에 형성된 콜릿(125)은 내주면이 테이퍼(Taper)를 이루며 주벽에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통상 3개)의 절개부를 형성하여 탄성을 부여한 형태로 형성하고, 조절나사부(124)측 단부와 콜릿(125)측 단부에 각각 걸림턱(126), (127)을 형성한다.
상기 조절나사부(124)는 지지임(112)에 형성된 나사공(113)에 나사결합된다.
상기 지지안내축(111)에 슬리브(123)의 콜릿(125)부분을 지지안내축(111)에 조여부치는 조임부재(128)는 반원홈(130)을 보유하는 한쌍의 대략 반원판형 조임편(129)을 조임나사(131)로 체결하는 구조이다.(제3도 참조).
상기 압입력 부여수단(135)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암(132)의 중간부에 천공된 나사공(133)에 수직으로 나사결합되는 탄력조정나사(136)의 하단을 상기 측면 지지판(3)에 고정돌출된 받침편(138)에 접면케 하고 탄력조정 나사(136)의 상단머리부(137)와 연결암(132)의 상면 사이에는 스프링(139)을 끼운 것이다.
한편 상기 세공선 압입수단(114)과 지지암(112)은 상술한 바와 같이 어느 일측에만 설치하여도 무방하나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에 각각 하나씩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어느 일측 또는 양측의 것으로 동시에 작동시킬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압입수단(114)과 지지암(112)을 양측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일측의 지지암(112)의 세공선위치조정수단(122)을 지지안내축(111)에 설치하고, 타측의 지지암(112)의 세공선위치조정수단(122)은 연결축(134)에 설치하여 어느 일방의 지지암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하여 조임부재(128)를 돌려 지지암을 이동시킬때 타측 지지암이 함께 이동하지 않도록 한다.
즉, 지지암(112)의 위치조정을 위하여 조임부재(128)를 돌리면 슬리브(123)가 조임부재(128)와 함께 회전하게 되고 슬리브(123)는 지지안내축(111)에 조여부쳐진 상태이므로 지지안내축(111)도 회전하게 되는바 이와같이 될 경우 타측의 조정수단에서도 조정 작용이 일어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세공선위치 조정수단(122)에 의하여 지지암(112)을 이동시켜 절취유도용 세공선 압입수단(114)의 세공선 압입위치를 조정함에 있어서는, 상기 조임부재(128)의 조임나사(131)를 풀어 이완시키면 슬리브(123)의 콜릿(125)부분이 지지안내축(111)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되는바 지지암(112)과 슬리브(123)를 좌우로 이동시켜 소정의 위치로 조정한 다음 조임나사(131)로써 조임부재(128)를 조이면 슬리브(123)의 콜릿(125)부분이 지지안내축(111)에 밀착되면서 고정되 이 상태에서 조임부재(128)를 돌리면 슬리브(123)와 지지안내축(111)이 회전하게 되고 슬리브(123)의 회전에 따라 슬리브(123)의 조절나사부(124)와 이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지지암(112)의 나사공(113)과의 나사 작용으로 지지암(112)이 좌우로 이동하게 되어 미세 조정이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지지암(122)에 굴대설치된 세공선 압입수단(114)에 의한 세공선 압입위치가 조정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절취유도용 세공선 압입장치(110)을 양측에 설치한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층의 압입장치의 지지암(112)과 압입수단(114)의 조정을 완료한 후 타측의 압입 장치의 지지암(112)과 압입수단(114)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인바 이때 일측의 지지암(112)은 지지안내축(111)에, 타측 지지암(112)은 연결축(134)에 각각 세공선위치조정수단(122)에 의하여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이들의 미세조정에 있어서는 조임부재(128)를 돌려 지지안내축(11)과 연결축(134)을 각기 회전시킬때 서로 타방의 조정수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절취유도용 세공선 압입장치는 상술한 제2라미네이팅수단(100)에 의하여 2차 라미네이팅된 연속반제품(P2)의 양측 또는 일측 연부의 표면에 상기 압입수단(114)의 톱니원판(115)에 형성된 톱니가 상기 압입력 부여수단(135)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연속반제품(P2)의 이송에 따라 톱니원판(115)이 회전하면서 연속 반제품(P2)양측 또는 일측 연부의 표면에 절취유도용 세공선(L)을 압입형성하게 된다.(제5도 내지 제7도 참조).
이때 양측의 톱니원판(115)의 톱니는 교호로 위치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열의 세공선(L)이 지그재그형으로 압입형성된다.
연속반제품(P2)의 연부 표면에 형성되는 세공선(L)은 적어도 기재(S)의 경계부분에 하나 이상 형성된다.
따라서 다음 공정에서 권취롤(140)에 권취된 연속완제품(P)을 기재(S)의 경계부분에서 절취하여 낱개의 완제품(P)을 얻는 절취과정에서 기재(S)의 경계부분에 형성된 세공선(L)이 절취위치를 유도하게 되어 항상 정확한 위치에서 절취되며, 이에 따라 절취과정에서의 불량 발생이 크게 감소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상기 절취유도용 세공선(L)의 압입 형성공정을 거친 연속 완제품(P2)은 최종단의 권취롤(140)에 롤형상으로 권취된다.
상기 권취롤(140)에 연속완제품(P2)이 일정량 권취되면 권취롤(140)을 들어내며 권취롤(140)에 권취된 연속완제품(P2)을 풀어내면서 필름(F)에 의하여 연속된 완제품(P2)을 기재(S)의 경계부에서 절취하여 낱개로 된 완제품(P)을 얻는다.
연속완제품(P2)을 기재(S)의 경계부에서 절취함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연속완제품(P2)의 양측 또는 일측연부에 압입형성된 절취유도용 세공선(L)에 의하여 절취위치가 유도되어 정확한 위치에서 절취가 이루어지게 된다.

Claims (9)

  1. 하방의 기재이송수단과, 상방의 필름이송수단과, 필름의 저면에 접착제를 코팅하는 접착제 코팅수단과, 필름 저면에 코팅된 접착제를 가열건조하는 제1 및 제2가열건조수단과, 기재와 필름을 압착하여 라미네이팅하는 제1 및 제2라미네이팅 수단으로 구성되는 라미네이팅기에 있어서, 상기 제2차 라미네이팅수단의 하류측에서 측면지지판에 굴대설치되는 지지안내축과, 상기 지지안내축에 일단부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암과, 상기 지지암의 타단부에 굴대설치되는 절취유도용 세공선 압입수단과, 상기 지지암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 조절나사부가 형성되고 일단부에 콜릿이 일체로 형성된 조절슬리브와 상기 콜릿을 지지안내축에 조여부치는 조임부재를 보유하는 세공선위치조정수단과, 상기 지지안내축의 양단에 설치되는 한쌍의 연결암과, 상기 연결암사이에 굴대설치되어 상기 지지암을 관통하는 연결축과, 상기 연결암을 상시 하향 탄압하는 압입력 부여수단을 구비하여서 되는 라미네이팅기의 완제품 절취유도용 세공선 압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공선 압입수단은 외주연부에 톱니가 형성된 톱니원판을 지지암에 베어링으로 축설된 회전축에 굴대설치한 것은 라미네이팅기의 완제품 절취유도용 세공선 압입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톱니원판을 스페이서를 사이에 끼워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결합한 라미네이팅기의 완제품 절취유도용 세공선 압입장치.
  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톱니원판은 그 외주에 형성된 톱니가 교호로 위치된 라미네이팅기의 완제품 절취유도용 세공선 압입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톱니원판의 양측면에는 보강원판을 결착한 라미네이팅기의 완제품 절취유도용 세공선 압입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는 나사부를 형성하여 이에 톱니원판 이탈방지용 조임너트를 체결한 라미네이팅기의 완제품 절취유도용 세공선 압입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재는 반원홈을 보유하는 한쌍의 대략 반원판형 조임편을 조임나사로 체결하는 것인 라미네이킹기의 완제품 절취유도용 세공선 압압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입력 부여수단은 상기 연결암의 중간부에 천공된 나사공에 수직으로 나사결합되는 탄력조정 나사의 하단을 측면 지지판에 고정돌출된 받침핀에 접면케하고 탄력조정나사의 상단머리부와 연결암의 상사이에는 스프링을 끼운 것인 라미네이팅기의 완제품 절취유도용 세공선 압입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공선 압입수단과 지지암은 상기 지지안내축과 연결축의 양측에 각각 설치하여 일측 압입수단과 지지암측의 세공선위치조정수단을 지지안내축에 설치하고, 타측 압입수단과 지지암측의 세공선위치조정수단은 연결축에 설치한 라미네이팅기의 완제품 절취유도용 세공선 압입장치.
KR2019890020048U 1989-12-27 1989-12-27 라미네이팅기의 완제품 절취유도용 세공선 압입장치 KR9100090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20048U KR910009014Y1 (ko) 1989-12-27 1989-12-27 라미네이팅기의 완제품 절취유도용 세공선 압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20048U KR910009014Y1 (ko) 1989-12-27 1989-12-27 라미네이팅기의 완제품 절취유도용 세공선 압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1179U KR910011179U (ko) 1991-07-29
KR910009014Y1 true KR910009014Y1 (ko) 1991-11-21

Family

ID=19294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20048U KR910009014Y1 (ko) 1989-12-27 1989-12-27 라미네이팅기의 완제품 절취유도용 세공선 압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901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6339A (ko) 2018-05-30 2019-12-10 김동진 라미네이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6339A (ko) 2018-05-30 2019-12-10 김동진 라미네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1179U (ko) 1991-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2561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bining a tensioned elastic member with a moving substrate web
US5372168A (en) Thin plate cutting/joining apparatus
US358622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ing webs
IL41073A (en) Press for coating of thin chipboards with thermoplastic sheet or sheets
US336781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raveling of fabric ribbons along their cut side edges
KR910009014Y1 (ko) 라미네이팅기의 완제품 절취유도용 세공선 압입장치
JPS6133777B2 (ko)
KR910009015Y1 (ko) 라미네이팅기의 기재안내장치
JPH05131400A (ja) 切り込み付シート作成装置
US5643392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elaminating imaging media
JPH0317748B2 (ko)
KR910009013Y1 (ko) 라미네이팅기의 라미네이팅 로울러 장치
KR910009522B1 (ko) 기재에 건조된 접착필름을 라미네이팅하는 방법 및 장치
KR0158932B1 (ko) 베니어의 스카프절단면상으로의 접착제공급장치
US5198067A (en) Apparatus for conveying base with crosswise base sliding device
JPH0722984B2 (ja) オーバレイボードの連続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JPH08119479A (ja) 紙葉類の分離装置
JP2007222777A (ja) 粉塵除去装置
US3687426A (en) Apparatus for the continuous treatment of sheet material
JPS61152398A (ja) 連続用紙を破断分離する装置
JP2003200494A (ja) 基板にフィルムをラミネートする方法およびラミネータ
JPH05111900A (ja) 基板の分割装置
JPH0732412Y2 (ja) ストレッチ包装機のフィルム切換装置
EP0222390A2 (en) Apparatus for conveying base with crosswise base sliding device
JPH045200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