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8932B1 - 베니어의 스카프절단면상으로의 접착제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베니어의 스카프절단면상으로의 접착제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8932B1
KR0158932B1 KR1019940027561A KR19940027561A KR0158932B1 KR 0158932 B1 KR0158932 B1 KR 0158932B1 KR 1019940027561 A KR1019940027561 A KR 1019940027561A KR 19940027561 A KR19940027561 A KR 19940027561A KR 0158932 B1 KR0158932 B1 KR 0158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veneer
supply
scarf
driving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7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1077A (ko
Inventor
도시유끼 오오쯔까
Original Assignee
하세가와 가쯔지
가부시끼 가이샤 메이난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세가와 가쯔지, 가부시끼 가이샤 메이난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하세가와 가쯔지
Publication of KR950011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8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89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DWORKING VENEER OR PLYWOOD
    • B27D1/00Joining wood veneer with any material; Forming articles thereby; Preparatory processing of surfaces to be joined, e.g. sc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GACCESSORY MACHINES OR APPARATUS FOR WORKING WOOD OR SIMILAR MATERIALS; TOOLS FOR WORKING WOOD OR SIMILAR MATERIALS; SAFETY DEVICES FOR WOOD WORKING MACHINES OR TOOLS
    • B27G11/00Applying adhesives or glue to surfaces of wood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06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edges of essentially flat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DWORKING VENEER OR PLYWOOD
    • B27D1/00Joining wood veneer with any material; Forming articles thereby; Preparatory processing of surfaces to be joined, e.g. scoring
    • B27D1/10Butting blanks of veneer; Joining same along edges; Preparatory processing of edges, e.g. cut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7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means with work feeding or handling means
    • Y10T156/1798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means with work feeding or handling means with liquid adhesive or adhesive activator applying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Veneer Processing And Manufacture Of Plywo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니어의 스카프절단면상으로 거의 일정량의 접착제를 공급하기 위한 단순구조의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베니어들을 상기 베니어의 섬유방향을 따라 소정의 공급방향으로 연속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롤들(2,4,48,50)과, 상기 베니어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복수의 검출기(6)와, 상기 공급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베니어의 폭이상의 길이를 갖는 접착제저장기(40)와, 상기 공급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베니어의 상기 폭이상의 길이를 갖는 접착제도포부재(24), 및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상기 접착제도포부재(24)를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피봇메카니즘(26) 및 리프팅부재(28)을 포함한다.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접착제도포부재(24)는 상기 접착제저장기(40)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접착제도포부재(24)의 접착제공급표면들(24a,24b)상에 거의 일정량의 접착제를 부착하도록 한다.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접착제도포부재(24)의 상기 접착제공급표면들은 상기 베니어의 스카프절단면에 대해 거의 수평구조로 가압하여 상기 베니어의 상기 스카프절단면으로 상기 접착공급표면들(24a,24b)상의 거의 일정량의 접착제를 공급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베니어의 스카프절단면상으로의 접착제공급장치
제1도는 종래기술의 장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베니어의 스카프절단면상으로의 접착제 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제3도는 제2도의 III-III선상에서 주어진 단면도.
제4도는 상기 실시예에서의 장치의 작동도.
제5도는 상기 실시예에서의 장치의 다른 작동도.
제6(a)도 내지 제6(f)도는 상기 실시예에서의 접착제 도포공정도.
제7(a)도 내지 제7(c)도는 접착제 도포공정의 변형도.
제8도는 대표적인 공간조정메카니즘의 구조를 나타내는 확대도.
제9(a)도 및 제9(b)도는 공간조정메카니즘의 또다른 구조도.
제10(a)도 내지 제10(d)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로서 또다른 접착제 공급장치의 동작도.
제1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로서 또다른 접착제 공급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스카프결합을 위해 경사절단면(이하 스카프절단면이라 함)을 갖는 베니어상으로의 접착제 도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가공된 베니어의 스카프 절단면상으로 접착제를 도포하는 종래 장치의 일 실시예는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공보 제89-13301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종래구조에서, 접착제저장기내에 저장된 접착제는 압송펌프에 의해 공급밸브유닛(131)에 공급된다. 상기 접착제는 상기 공급밸브유닛(131)으로부터 베니어공급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벨트(129)상으로 도포되는 한편, 상기 벨트(129)는 절반 회전시켜 접착제(141) 라인을 상기 벨트(129)에 접착시킨다. 상기 접착제(141) 라인은 베니어의 스카프 절단면(105a)상에 부착된 후에 롤링벨트(155)에 의해 전체 스카프절단면상으로 도포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접착제 도포장치는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 압송펌프는 펌프의 안정성과 유연한 운전을 보장하기 위해 상부한계 압력과 하부한계 압력을 설정하고, 상기 상부한계와 상기 하부한계 사이의 압력범위에서 작동되도록 제어된다. 이에 따라, 가압펌프의 운전중에 공급된 압력은 상기 상부한계와 상기 하부한계 사이의 압력범위에서 변화된다. 이에 의해, 공급밸브유닛(131)로부터 도포된 접착제 양의 변화를 초래한다. 상기 공급밸브유닛(131)으로부터 도포된 접착제 양은 접착제의 점성도에 의해서도 변화된다. 종래 장치는 접착제 부착공정과 도포공정을 실현하기 위해서 비교적 복잡한 메카니즘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베니어의 스카프절단면상에 거의 일정량의 접착제를 도포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하나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를 갖는 접착제 도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스카프결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경사절단면 또는 스카프절단면을 갖는 베니어로 접착제를 도포하는 장치가 되도록 한다.
상기 장치는, 간헐구동메카니즘을 구비하고, 베니어 섬유방향을 따라 소정의 공급방향으로 베니어를 공급 및 반송하고 소정 고정위치에서 상기 베니어를 유지하도록 정지시키며, 상기 베니어들을 공급 및 반송하기 위해 통과하는 반송통로를 형성하는 공급수단과,
상기 공급수단의 간헐구동메카니즘에 의해 반송된 상기 베니어를 검출하고, 베니어의 존재를 검출할 때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검출기수단과,
상기 검출기수단 아래의 위치에 상기 소정의 공급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반송통로로부터 이격되어, 접착제를 저장하는 접착제저장기수단과,
상기 검출기수단 아래의 위치에 상기 소정 공급방향으로 배치되고 접착제 공급표면을 구비하며, 상기 공급수단의 상기 간헐구동메카니즘에 의해 상기 소정의 고정위치로 반송 및 유지된 상기 베니어의 스카프절단면상으로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도포수단과,
상기 접착제 도포수단상에 장착되고, 상기 접착제도포수단을 상기 접착제저장기수단내로 삽입하여 접착제공급표면상에 접착제를 부착시키는 제1위치와, 상기 접착제도포수단의 상기 접착제공급표면을 상기 베니어의 상기 스카프절단면에 대해 거의 평행구조로 가압하여 상기 접착제공급표면상의 접착제를 상기 베니어의 상기 스카프절단면으로 공급시키는 제2위치 사이에서 상기 접착제도포수단을 왕복운동시키는 왕복운동수단, 및
상기 검출기수단으로부터 출력된 검출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베니어의 위치를 검출하며, 상기 베니어의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왕복운동수단과 상기 공급수단의 간헐구동메카니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구성된 장치에서, 개방된 상부를 갖는 상기 접착제저장기수단은 상기 접착제 저장기수단의 상기 개방된 상부상에 장착된 자유롭게 조절가능한 공간조정기수단을 더 구비하여, 상기 접착제도포수단을 상기 접착제저장기수단 내부로 삽입하고 외부로 인출하는 공간을 형성하게 하여, 거의 일정량의 접착제가 상기 접착제도포수단의 접착제공급표면상에 부착되게 한다. 상기 접착제도포수단은 예를 들어, L형 또는 T형 판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간조정기수단은 역절두원추체형 개구를 갖는 자유롭게 제어가능한 공간조정기판을 포함하여 접착제도포수단을 접착제저장기수단 내부로 삽입하고 외부로 인출하는 공간의 영역을 형성하게 하여, 접착제도포수단의 접착제공급표면상의 거의 일정량의 접착제를 공급하게 한다.
또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착제 저장기수단은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공간조정기수단은 공간조정기롤과 상기 공간조정기롤의 원주상에 장착된 대직경 링을 구비한다. 상기 대직경링은 접착제 저장기수단의 경사면 위로 진행하여 접착제도포수단과 접촉하게 되는 한편, 상기 공간조정기롤은 접착제도포수단으로부터 일정거리로 이격되어 있어, 거의 일정량의 접착제를 접착제도포수단의 접착제공급표면상으로 공급되게 한다.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접착제도포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배면 스카프절단면을 갖는 제1베니어와 적어도 하나의 정면 스카프절단면을 갖는 제2베니어를 베니어들 섬유방향을 따라 소정의 공급방향으로 연속 공급 및 반송하고, 제1고정위치에서 상기 제1베니어의 배면 스카프절단면과 제2고정위치에서 상기 제2베니어의 정면 스카프절단면을 고정시키도록 정지시키는 간헐구동메카니즘을 구비하며, 상기 베니어들을 공급 및 반송하기 위해 통과하는 반송통로를 형성하는 공급수단과,
상기 공급수단의 간헐구동메카니즘에 의해 반송된 상기 제2베니어를 검출하고, 상기 제2베니어의 존재를 검출할 때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검출기수단과,
상기 검출기수단 아래의 위치에 상기 소정의 공급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반송통로로부터 이격되어, 접착제를 저장하는 접착제저장기수단과,
상기 검출기수단 아래의 위치에 상기 소정 공급방향으로 배치되고 제1 및 제2접착제공급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고정위치에서의 상기 제1베니어의 배면스카프절단면 및 상기 제2고정위치에서의 상기 제2베니어의 정면 스카프절단면상으로 접착제를 공급하는 접착제도포수단과,
상기 접착제 도포수단상에 장착되고, 상기 접착제도포수단을 상기 접착제저장기수단내로 삽입하여 상기 제1 및 제2접착제공급면상에 접착제를 부착시키는 제1위치와, 상기 접착제도포수단의 상기 접착제공급표면을 상기 제1베니어의 상기 배면 스카프절단면에 대해 거의 평행구조로 가압하여 상기 공급수단의 간헐구동메카니즘에 의해 상기 제1고정위치에서 유지되는 상기 제1베니어의 상기 배면스카프절단면으로 상기 제1접착제공급표면상의 접착제를 공급시키는 제2위치와, 상기 반송통로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제3위치, 및 상기 접착제도포수단의 상기 제2접착제공급면을 상기 제2베니어의 상기 정면 스카프절단면에 대해 거의 평행구조로 가압하여 상기 공급수단의 상기 간헐구동메카니즘에 의해 제2고정위치에서 유지되는 상기 제2베니어의 상기 정면스카프절단면으로 상기 제2접착제공급면상의 접착제를 공급하게 하는 제4위치 사이에서 상기 접착제도포수단을 왕복운동시키는 왕복운동수단, 및
상기 검출기수단으로부터 출력된 검출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베니어 및 제2베니어의 위치들을 검출하며, 상기 제1베니어 및 제2베니어의 위치들에 근거하여 상기 왕복운동수단과 상기 공급수단의 간헐구동메카니즘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제2베니어의 상기 정면스카프절단면이 상기 검출기수단에 도달할 때 제1접착제도포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위치로부터 상기 제2위치로 상기 접착제도포수단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왕복운동수단을 작동시키고, 상기 제1베니어의 배면 스카프절단면상의 접착제의 도포가 종료될 때 준비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위치로부터 상기 제3위치로 상기 접착제도포수단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왕복수단을 작동시키며, 상기 제2베니어의 정면 스카프절단면이 상기 제2고정위치에 도달할 때 제2접착제도포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베니어의 정면 스카프절단면상으로 상기 접착제를 공급하기 위해서 상기 제3위치로부터 상기 제4위치로 상기 접착제도포수단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왕복운동수단을 작동시키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제1베니어의 상기 배면 스카프절단면과상기 제2베니어의 상기 정면 스카프절단면중 하나에 접착제를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급수단의 상기 간헐구동메카니즘은 상기 제1베니어를 반송하는 제1간헐구동메카니즘과 상기 제2베니어를 반송하는 제2간헐구동메카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의 구조에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2베니어의 상기 정면 스카프절단면이 상기 검출기에 도달할 때 접착제도포신호를 처음으로 출력하고, 상기 제2베니어의 반송을 정지시키도록 상기 공급수단의 제2간헐구동메카니즘을 정지시키고, 상기 공급수단의 상기 제1간헐구동메카니즘에 의해 소정의 고정위치에서 유지되는 상기 제1베니어의 배면 스카프절단면상으로 상기 접착제를 공급하기 위해서 상기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상기 접착제도포수단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왕복운동수단을 작동시킨다. 이후에,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1베니어의 상기 배면 스카프절단면상으로 상기 접착제의 도포가 완료될 때 도포완료신호를 출력하고, 소정의 공급방향으로의 상기 제1베니어 및 상기 제2베니어의 반송을 재개시하도록 상기 공급수단의 상기 제1 및 제2간헐구동메카니즘을 재작동시킨다.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1베니어의 배면단부가 소정의 대기위치에 도달할 때 대기신호를 연속적으로 출력하고, 상기 소정의 대기위치에 상기 제1베니어의 배면단부를 유지하도록 상기 공급수단의 상기 제1간헐구동메카니즘을 정지시킨다.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2베니어의 정면단부가 상기 소정 대기위치에 도달할 때 결합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소정의 대기위치에서 상기 제2베니어의 정면단부를 유지하도록 상기 공급수단의 상기 제2간헐구동메카니즘을 정지시킨다.
후자의 구조에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1베니어의 배면단부가 소정의 대기위치에 도달할 때 대기신호를 처음으로 출력하고, 상기 소정 대기위치에서 상기 제1베니어의 상기 배면단부를 유지하도록 상기 공급수단의 상기 제1간헐구동메카니즘을 정지시킨다. 이후에,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2베니어의 정면 스카프절단면이 소정 고정위치에 도달할 때 접착제도포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소정의 고정위치에서 상기 제2베니어를 유지하도록 상기 공급수단의 상기 제2간헐구동메카니즘을 정지시키며, 상기 공급수단의 상기 제2간헐구동메카니즘에 의해 상기 소정의 고정위치에서 유지되는 상기 제2베니어의 정면 스카프절단면상으로 상기 접착제를 공급하기 위해서 상기 제1위치로부터 상기 제2위치로 접착제도포수단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왕복운동수단을 작동시킨다.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2베니어의 상기 정면 스카프절단면상으로 상기 접착제의 도포가 완료될 때 도포완료신호를 연속적으로 출력하고 상기 소정 공급방향으로 상기 제2베니어의 반송을 재시도하도록 상기 공급수단의 상기 제2간헐구동메카니즘을 재작동시킨다.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2베니어의 정면단부가 상기 소정의 대기위치에 도달할 때 결합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소정의 대기위치에서 상기 제2베니어의 정면단부를 유지하도록 상기 공급수단의 상기 제2간헐구동메카니즘을 정지시킨다.
이들 구조들 각각에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제2베니어의 정면스카프절단면을 상기 제1베니어의 배면 스카프절단면과 접촉하게 하는 결합수단과, 상기 제2베니어와 상기 제1베니어를 단단히 결합시키도록 상기 제2베니어의 정면스카프절단면과 상기 제1베니어의 배면 스카프절단면의 결합상으로 소정 압력을 공급하는 가압수단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하나의 접착제공급장치는,
간헐구동메카니즘을 구비하고, 베니어의 섬유방향을 따라 기준공급방향과 상기 기준 공급방향에 반대되는 반대 공급방향으로 베니어를 반송하며, 베니어를 공급하고 반송하기 위해 통과하는 반송통로를 형성하는 공급수단과,
상기 공급수단의 상기 간헐구동메카니즘에 의해 반송된 상기 베니어를 검출하고, 상기 베니어의 존재가 검출될 때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검출기수단과,
상기 검출기수단 아래의 위치에 상기 소정의 공급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반송통로로부터 이격되어, 접착제를 저장하는 저장기수단과,
상기 검출기수단 아래의 위치에 상기 기준 공급방향으로 배치되고, 접착제공급면을 구비하며, 상기 공급수단의 상기 간헐구동메카니즘에 의해 반송된 상기 베니어의 스카프절단면상으로 상기 접착제를 공급하는 접착제도포수단과,
상기 접착제 도포수단상에 장착되고, 상기 접착제도포수단을 상기 접착제저장기수단내로 삽입하여 접착제공급표면상에 접착제를 부착시키는 제1위치와, 상기 접착제도포수단의 상기 접착제공급표면을 상기 반송통로 중간에서 상기 베니어의 스카프절단면에 거의 평행하게 유지하여 상기 베니어의 스카프절단면에 접착제공급표면상의 접착제를 공급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상기 접착제도포수단을 왕복운동시키는 왕복운동수단, 및
상기 검출기수단으로부터 출력된 검출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베니어의 위치를 검출하며, 상기 베니어의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왕복운동수단과 상기 공급수단의 간헐구동메카니즘의 작동을 제어하고, 기준 공급방향 또는 반대 공급방향으로 상기 베니어를 반송하도록 상기 공급수단의 상기 간헐구동메카니즘을 작동시키는 한편 상기 베니어의 접근을 대기시키기 위해서 반송통로의 중간에서 상기 접착제 도포수단을 유지하도록 상기 왕복운동수단을 작동시켜서, 상기 베니어의 상기 스카프절단면을 상기 접착제도포수단의 접착제공급표면에 대해 거의 수평구조로 가압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장치는 상기 베니어의 상기 스카프절단면에 대해 상기 접착제도포부재의 접착제공급표면을 거의 수평구조로 가압함으로써, 거의 일정량의 접착제를 상기 베니어의 상기 스카프절단면상으로 공급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들, 특징들, 형태, 및 잇점들을 첨부도면과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도면에 근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로서 베니어들의 스카프절단면상으로 접착제를 공급하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제3도는 제2도의 III-III의 단면도이다. 제4도 및 제5도는 상기 실시예에서의 장치의 작동을 나타내고, 제6a도 내지 제6f도는 상기 실시예에서의 접착제도포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제8도는 대표적인 공간조정기메카니즘 구조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제2도에 있어서, 베니어들을 공급하는 공급롤(2 및 4)은 베니어 공급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베니어의 길이이상의 길이를 갖는다. 상부공급롤(2)과 하부공급롤(4)은 상기 롤들의 원주면들을 상호 접촉시키도록 상기 장치의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지지된다. 간헐구동메카니즘으로서 역활하는 전동모터(도시하지 않음)는 클러치메카니즘(도시하지 않음)을 거쳐 하부공급롤(4)에 연결된다. 베니어들은 상기 클러치메카니즘의 작용에 의해 일정 간격으로 공급된다.
베니어의 존재를 검출하고 검출신호들을 출력하는 복수의 검출기(6)는 상기 베니어공급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적절한 고정부재(도시하지 않음)를 거쳐 상기 프레임에 부착된다. 대표적인 검출기 예들은 포토튜브들과 리미트스위치들이다.
가압롤(8)은 하강하고 테이블(10)의 상부면에 대해 베니어를 가압하여 고정위치에서 상기 베니어의 정면단부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가압롤(8)은 상기 베니어공급방향에 수직한 방향에서 베니어의 폭이상의 길이를 갖는다. 상기 가압롤(8)은 회전구동가능하게 지지되고(도시하지 않음), 실린더(도시하지 않음)와 같은 수직 왕복운동수단을 거쳐 상기 프레임에 부착된다.
상기 베니어공급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베니어들의 폭이상의 길이를 갖는 개방된 상부의 접착제저장기(40)는 요소수지 접착제 또는 페놀수지 접착제와 같은 열경화성접착제를 저장한다. 제8도를 참조하면, 상기 접착제저장기(40)는 접착제저장기(40)의 측벽에 형성되는 온도조정구멍(40a)을 구비하고 있다. 약 13℃의 냉각수는 냉각수탱크(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공급되고 펌프(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온도조정구멍(40a)을 통해 순환한다. 상기 접착제저장기(40)는 상기 저장기(40)의 저부에 형성된 접착제공급구멍(40b)도 구비한다. 상기 열경화성접착제는 펌프(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접착제탱크(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접착제공급구멍(40b)을 거쳐 접착제저장기(40)내로 공급된다. 상기 접착제저장기(40)에는 자유롭게 조정가능한 공간조정기판(38)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공간조정기판(38)은 접착제저장기(40)의 개방된 상부의 반경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하여 그 중심상에서 바람직한 역절두 원추체형 개구직경을 설정하도록 한다. 상기 개구는 접착제도포부재(24)(이후 설명함)를 상기 접착제저장기(40) 내부로 삽입하고 외부로 인출하기 위해 통과하는 제1공간(S1)과 제2공간(S2)을 형성하여, 거의 일정량의 열경화성접착제를 상기 접착제도포부재(24)의 각 접착제공급면(이후 설명함)상으로 공급하도록 한다.
상기 접착제도포부재(24)는 제5도에 분명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및 제2접착제공급면들(24a 및 24b)을 구비한다. 상기 접착제도포부재(24)의 상기 제 1 및 제 2접착제공급면들(24a 및24b)에 부착된 열경화성접착제는 상기 복수의 공급롤들(2 및 4)에 의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제1베니어의 배면 스카프절단면과 제2베니어들의 정면 스카프절단면상으로 도포된다. 상기 접착제도포부재(24)는 베니어들의 공급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베니어들의 폭이상의 길이를 갖는 L형 판이다. 상기 L형 접착제도포부재(24)의 짧은 암은 제3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축(26A)을 각각 갖는 복수의 피봇메카니즘(26)에 의해 고정된다.
각 피봇메카니즘(26)의 상기 축(26A)은 리프팅부재(28)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피봇암(30)에 고정된다.
각 리프팅부재(28)는 실린더(32)와 구동메카니즘으로 역활하는 암나사판(36)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복수의 리프팅부재(28)는 베니어들의 공급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베니어들의 폭이상의 길이를 갖는 결합판(34)을 거쳐 상호 결합되어 있다.
제2도를 참조하면, 실린더(32)의 로드는 축(30A)을 거쳐 상기 피봇암(30)과 연결되어 실린더(32)의 피봇이동을 허용하는 한편 실린더(32)의 실린더튜브는 축(32A)을 거쳐 상기 리프팅부재(28)에 의해 고정되어 실린더(32)의 피봇이동을 허용한다.
숫나사바(18)는 각 암나사판(36)에 맞추어져 상기 리프팅부재(28)의 수직이동을 허용한다.
각 숫나사바(18)의 하부는 베이스(16)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제1치형 풀리(22B)와 더 맞물린다.
상기 테이블(10)은 베니어의 공급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베니어의 상기 폭이상의 길이를 갖으며 고정베이스(12) 및 복수의 베이스(16)에 부착된다.
기준 방향 및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어기(이후에 설명함)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따라 제동되는 모터(14)는 고정베이스(12)상에 장착되고 제2치형풀리(22A)와 맞물린 축을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제1치형풀리들(22B)은 치형 벨트(20)를 거쳐 제1치형풀리(22A)와 연결되어, 상기 모터(14)의 회전이 숫나사바(18)를 회전시키도록 전달된다.
각 베니어의 배면단부의 수직위치를 결정하는 위치조정로(42)는 베니어들의 공급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베니어들의 폭이상의 길이를 갖으며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베니어들의 공급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베니어들의 상기 폭이상의 길이를 갖는 복수의 가압부재들(44 및 46)은, 각 스카프절단면들상으로 공급된 열경화성 접착제를 거쳐 제1베니어의 배면 스카프절단면과 상기 제1베니어 이후에 반송되는 제2베니어의 정면 스카프절단면을 결합시키는데 사용된다. 상기 가압부재들(44 및 46)은 히터 또는 스팀과 같은 가열매개체(도시하지 않음)를 수용하여, 약 160℃의 온도로 상기 결합을 가열하고 상기 열경화성접착제를 상기 스카프절단면들상에서 경화시키도록 한다. 상기 상부 가압부재(44)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한편 상기 하부가압부재(46)는 실린더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하부가압부재(46)의 수직이동을 허용한다.
베니어들을 배출하는 복수의 배출롤들(48 및 50)은 베니어들의 공급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베니어들의 상기 폭이상의 길이를 갖는다. 상기 상부 배출롤(48) 및 상기 하부 배출롤(50)은 상기 장치의 상기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롤들의 원주면들을 상호 접촉하게 한다. 제어기(이후에 설명함)로부터 출력된 신호들에 따라 기준 방향 및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간헐구동메카니즘으로 역할하는 전동모터(도시하지 않음)는 클러치메카니즘(도시하지 않음)을 거쳐 하부 배출롤(50)에 연결된다. 베니어들은 상기 클러치 메카니즘의 작동에 의해 적절한 간격으로 공급된다.
상기 복수의 롤들(2,4,48 및 50)은 베니어들이 연속적으로 공급되고 반송되기 위해서 통과하는 반송통로를 형성한다.
상기 접착제도포부재(24)는 상기 피봇메카니즘(26) 및 상기 리프팅부재(28)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접착제도포부재(24)를 접착제저장기(40) 내부로 삽입하여 상기 접착제를 각 접착제공급면들(24a 및 24b)상에 부착하도록 하는 제1위치와, 상기 접착제도포부재(24)의 제1접착제공급면(24a)을 상기 제1베니어의 배면 스카프절단면에 대해 거의 평행구조로 가압하여 제1고정위치(이하에 설명함)에서 유지되는 상기 제1베니어의 배면 스카프절단면으로 상기 제1접착제공급면(24a)상의 접착제를 공급하도록 하는 제2위치와, 상기 반송통로로부터 이격된 제3위치, 및 상기 접착제도포부재(24)를 상기 제2베니어의 정면 스카프절단면에 대해 거의 평행구조로 가압하여 제2고정위치(이하에 설명함)에 유지되는 상기 제2베니어의 정면 스카프절단면으로 상기 제2접착제공급면(24b)의 접착제를 공급하도록 하는 제4위치 사이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장치는 상기 검출기(6)로부터 반송된 검출신호들에 응답하여 복수의 공급롤들(2 및 4)과, 복수의 배출롤들(48 및 50)과, 상기 가압롤(8)과, 실린더(32)와, 모터(14), 및 실린더(54)의 동작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기는 회전인코터(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하여 상기 검출기(6)로부터의 검출신호들의 출력후에 각 베니어의 공급거리를 측정한다. 상기 공급거리가 소정값에 가까워질때, 상기 제어기는 이하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신호들과 정지신호들중 하나에 대응하여 출력한다. 상기 제어기는, 임의의 딜레이에 해당하는 소정 시간주기후에 상기 장치의 개별요소들을 작동시키기 위해서 특정 작동신호 또는 정지신호의 출력후에 임의의 딜레이를 갖는 연속적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딜레이회로를 구비한다.
이렇게 구성된 상기 장치의 실제동작은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배면 스카프절단면(a2)를 갖도록 사전에 절단된 제1베니어(A)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고정위치에서 복수의 배출롤들(48 및 50)에 의해 유지된다. 상기 제1고정위치에서, 상기피봇메카니즘(26)에 의해 제2위치로 수직 및 피봇이동되는 상기 접착제도포부재(24)의 상기 제1접착제공급면(24a)은 제1베니어(A)의 배면스카프절단면(a2)과 접촉하게 된다(제6a도 및 제6b도 참조). 상기 장치의 개별 요소들이 제2도에서 나타낸 대기위치에 유지되는 동안, 상기 제어기는 제2베니어 공급신호를 출력하여, 정면 스카프절단면(b1)을 갖도록 사전에 절단된 제2베니어(B)를 제4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베니어(B)의 섬유방향을 따라 공급하기 시작하는 복수의 공급롤들(2 및 4)을 작동시킨다. 상기 제2베니어의 정면단부가 제4도에서 나타낸 검출기(6) 아래의 임의의 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검출기(6)는 제1접착제도포신호를 상기 제어기로 보낸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접착제도포신호에 응답하여 모터(14)를 작동하여 복수의 숫나사바(18)를 기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기준방향으로의 숫나사바(18)의 회전은 복수의 암나사판(36)을 소정위치까지 리프팅시켜, 열경화성접착제가 접착되는 제1 및 제2접착제공급면들(24a 및 24b)를 갖는 접착제도포부재(24)를 상기 접착제저장기(40) 외부로 인출하게 한다.
이후에, 상기 제어기는 화살표(H)의 방향으로 상기 피봇암(30)을 회전시키기 위해서 상기 실린더(32)의 로드를 수축하는 피봇신호를 출력한다(제5도 참조). 상기 피봇암(30)의 회전은 화살표(P)의 방향으로 상기 접착제도포부재(24)를 회전시켜 제5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접착제도포부재(24)를 경사지게 한다.
제어기로부터 출력된 리프팅신호에 응답하여 작동된 모터(14)는 기준 방향으로 숫나사바(18)를 회전시켜, 접착제도포부재(24)는 상기 접착제도포부재(24)가 제1베니어(A)의 배면 스카프절단면(a2)과 접촉하게 되는 제2위치까지 리프팅된다(제6a도 참조). 이에 따라, 상기 접착제도포부재(24)의 제1접착제공급면(24a)에 부착된 열경화성 접착제는 위치조정롤(42)에 의해 유지되는 제1베니어(A)의 배면 스카프절단면(a2)상으로 공급된다. 제 1베니어(A)의 벼면 스카프절단면(a2)상으로 접착제의 도포가 완료될때, 상기 제어기는 제1베니어(A)를 반송하기 위해서 배출롤들(48 및 50)을 구동하도록 준비신호를 출력한다(제6b도 참조). 제1베니어(A)의 배면단부가 소정대기위치(반송통로를 따른 가압부재들(44 및 46)의 거의 중간에)에 도달할 때, 상기 제어기는 배출롤들(48 및 50)을 제동시키고 제1베니어(A)를 정지시키도록 대기신호를 출력한다. 약간의 시간딜레이 후에, 모터(14)는 기준방향으로 숫나사바(18)를 회전시켜 접착제도포부재(24)를 제3위치까지 리프팅시킨다.
그 사이에, 제2베니어(B)는 제3위치에서 유지되는 접착제도포부재(24) 아래의 제2고정위치에서 제2베니어(B)의 정면 스카프절단면(b1)이 도달할 때까지 더욱 반송된다(제6c도 참조). 이후에, 제어기는, 공급롤(2 및 4)를 제동하고, 제2베니어(B)를 정지시키도록 제2접착제도포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기는 제1다운신호를 가압롤(8)의 하부로 연속적으로 출력하여(제6d도 참조) 상기 가압롤(8)과 테이블(10) 사이에 제2베니어(B)를 유지하도록 한다. 약간의 시간딜레이 후에, 모터(14)의 역회전은 숫나사바(18)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접착제공급면(24b)이 제2베니어(B)의 정면 스카프절단면과 접촉하는 제4위치로 접착제도포부재(24)의 제2접착제공급면(24b)을 리프트다운시키도록 한다. 이에 의해, 접착제도포부재(24)의 제2접착제공급면(24b)에 부착된 열경화성접착제는 제2베니어(B)의 정면 스카프절단면(b1)상으로 공급된다.
제2베니어(B)의 정면 스카프절단면(b1)상으로의 접착제도포가 완료될 때, 제어기는 도포종료신호를 출력하여 실린더(32)의 로드를 연장시키고 화살표(Q) 방향으로 접착제도포부재(24)를 회전시킨다(제6e도 참조). 이에 의해, 접착제도포부재(24)의 롱암은 하향 수직구조로 유지된다. 약간의 시간딜레이 후에, 가압롤(8)은 리프트업되고 공급롤들(2 및 4)은 제2베니어(B)을 반송하도록 구동된다.
상기 제어기는 반대방향으로 숫나사바(18)를 회전시키기 위해서 반대방향으로 모터(14)를 회전시키도록 제2단운신호를 출력한다. 숫나사바(18)의 역회전(36)은, 접착제도포부재(24)를 접착제저장기(40) 내부로 삽입하는 최초의 제1위치로 접착제도포부재(24)를 이동시키도록 암나사판(36)을 하강시킨다. 제2베니어(B)의 정면단부가 가압부재(44) 아래의 소정 대기위치에 도달할때, 제어기는 공급롤들(2 및 4)을 제동시키고 제2베니어(B)의 정면 스카프절단면(b1)이 제1베니어(A)의 배면 절단면(a2)과 정렬되는 소정 대기위치에서 제2베니어(B)를 정지시키도록 결합신호를 출력한다. 이후에, 실린더(54)는 타이머에서의 설정된 시간주기동안 일정 압력 및 임의의 열을 가압부재들(44 및 46)을 거쳐 정면 스카프절단면(b1)과 배면 스카프절단면(a2)의 결합에 공급하도록 리프트업한다. 배면 스카프절단면(a2)과 정면 스카프절단면(a1)상으로 공급된 열경화성 접착제는 제1베니어(A)의 배면 스카프절단면(a2)과 제2베니어(B)의 정면 스카프절단면(b1)을 견고하게 결합시키도록 경화된다(제6f도 참조).
결합이 완료된 후에, 제어기는 상호 결합된 제1베니어(A)와 제2베니어(B)를 반송하기 위해서 공급롤들(2 및 4)과 배출롤들(48 및 50)을 구동시키도록 배출신호를 출력한다. 제2베니어(B)의 배면단부가 검출기(6) 아래의 소정 위치에 도달할 때, 검출기(6)는 제어기로 배면단부 검출신호를 출력한다. 제2베니어(B)의 배면 절단면이 제2도에서 도시한 제1베니어(A)의 제1고정위치에 도달할 때, 제어기는 공급롤들(48 및 50)을 제동시키고 제2베니어(B)와 결합된 제1베니어(A)의 반송을 정지시키도록 정지신호를 출력한다.
제7a도 내지 제7c도는 제1베니어(A)의 배면 스카프절단면(a2)상으로만 접착제를 공급하는 변형방법을 나타낸다. 이 변형된 구조에서, 모터(14)는 숫나사바(18)를 제6a도와 같은 기준 방향으로 회전시켜, 접착제도포부재(24)가 제1베니어(A)의 배면 절단면(a2)과 접촉하게 되는 제2위치로 접착제도포부재(24)가 리프트업된다(제7a도 참조). 이에 의해, 접착제도포부재(24)의 제1접착제공급면(24a)에 부착된 열경화성 접착제는 위치조정롤(a2)에 의해 유지된 제1베니어(A)의 배면 스카프절단면(a2)상으로 공급된다. 제1베니어(A)의 배면 스카프절단면(a2)상으로의 접착제도포가 완료될때, 제어기는 도포종료신호를 출력하여 실린더(32)의 로드를 연장시키고 화살표(b) 방향으로 접착제도포부재(24)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접착제도포부재(24)의 롱암은 하향 수직구조로 유지된다. 약간의 시간딜레이 후에, 공급롤들(2 및 4)은 제2베니어(B)를 반송시키도록 구동된다.
제어기는 숫나사바(18)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서 모터(14)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다운신호를 출력한다. 숫나사바(18)의 역회전은 접착제도포부재(24)를 접착제저장기(40) 내부로 삽입하는 제1위치로 접착제도포부재(24)를 이동시키도록 암나사판(36)을 하강시킨다. 제2베니어(B)의 정면단부가 가압부재(44) 아래의 소정의 대기위치에 도달할 때, 제어기는 공급롤들(2 및 4)를 제동시키고 제2베니어(B)의 정면 스카프절단면이 제1베니어(A)의 배면 스카프절단면(a2)과 정렬되는 소정 대기위치에서 제2베니어(B)를 정지시키도록 결합신호를 출력한다. 이후에, 실린더(54)는 타이머에서의 설정된 시간주기동안 가압부재들(44 및 46)을 거쳐 배면 스카프절단면(a2)와 정면 스카프절단면(b1)의 결합으로 일정 압력 및 임의의 열을 공급하도록 리프트업한다. 배면 스카프절단면(a2)상으로 공급된 열경화성 접착제는 제2베니어(B)의 정면 스카프절단면(b1)과 제1베니어(A)의 배면 스카프절단면(a2)을 단단하게 결합하도록 경화된다(제7c도 참조). 이 변형된 방법에서, 접착제도포부재(24)가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로만 이동된다.
이 변형에서 제1베니어(A)의 배면 스카프절단면(a2)상으로만 접착제가 공급된다면, 장치는 제2베니어(B)이 정면 스카프절단면(b1)상으로만 접착제를 공급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접착제도포부재(24)의 제1접착제공급면(24a) 및 제2접착제공급면(24b)은 거의 평행구조로 베니어들의 개별 스카프절단면에 대해 가압되도록 경사진다. 절단기구에 의해 베니어의 섬유의 일단부상에서 스카프절단면이 형성될 때, 비교적 얇은 절단단부는 스카프절단면방향에 반대방향(제4도에서의 제1베니어(A)에서의 상향 및 제2베니어(B)에서 하향)으로 경화될 수 있다. 개별 스카프절단면에 거의 평행될 때 제1접착제공급면(24a)과 제2접착제공급면(24b)의 경사는, 접착제를 베니어의 섬유방향을 따라 스카프절단면들 상으로 불균일하게 공급하도록 만들기 어렵다. 이러한 경우에, 접착제도포부재(24)는 제5도의 화살표(P) 방향으로 상기 실시예보다 작은 각으로 회전되어, 접착제공급면(24a 또는 24b)과 대응하는 스카프절단면 사이의 공간이 베니어의 얇은 절단단부상에서 협소하게 된다. 암나사판(36)의 수직이동은 접착제공급면(24a 또는 24b)을 베니어의 경화된 단부와 접촉하게 하고 베니어의 탄성에 의해 스카프절단면의 전체 표면과 접촉하게 한다.
제9a도 및 제9b도는 접착제도포부재(24)의 제1 및 제2접착제공급면들(24a 및 24b)에 부착되는 접착제양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의 공간조정기판(38)을 대신하여 공간조정기롤(62)을 사용하는 공간제어메카니즘의 또다른 구조를 나타낸다.
제9b도는 제9a도의 선 B-B의 부분생략 단면도이다. 상기 공간조절기롤(62)의 양 단부들상에는 한쌍의 대직경링(66)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대직경 링(66)은 접착제저장기(40)의 상부측상에 형성된 경사면(40d) 위로 진행하여 중력에 의해 접착제도포부재(24)와 접촉하게 한다. 공간제어기롤(62)의 직경은 링(66)의 직경보다 작기 때문에, 공간제어기롤(62)은 소정 거리(S1)에 의해 접착제도포부재(24)로부터 이격되어 유지된다. 이 구조는 거의 일정량의 접착제를 접착제도포부재(24)의 접착제공급면상으로 공급하도록 한다.
이 접착제량은 링(66)을 다른 직경의 링들과 교체함으로써 거리(S1)의 변동에 따라 제어된다.
제1실시예에서, 접착제도포부재(24)는 제1접착제공급면(24a)과 제2접착제공급면(24b)을 소정 위치들에서 유지된 제1 및 제2베니어들의 개별 스카프절단면들과 접촉하도록 수직 및 피봇이동된다. 그러나, 대안적인 구조에서는, 접착제도포부재(24)의 제1 및 제2접착제공급면들(24a 및 24b)은 반송통로 중간에서 베니어들의 스카프절단면들에 거의 평행하게 사전에 유지되어 베니어들의 스카프절단면들로 접착제공급면들(24a 및 24b)상의 접착제를 공급하도록 한다.
제1실시예의 제2도에 대응하는 제10a도에서 나타낸 대기조건하에서 제1베니어(A)가 있는 동안, 검출기(6)는 반송통로를 따라 반송된 제2베니어의 존재를 검출한다. 이후에, 제어기는 접착제도포부재(24)를 리프팅하고 회전하도록 대기신호를 출력하여, 접착제도포부재(24)의 제1 및 제2접착제공급면들(24a 및 24b)이 반송통로의 중간에서 제10b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및 제2베니어(A 및 B)의 스카프절단면들에 거의 평행하게 유지된다. 제어기는 제10b도에서의 화살표로 나타낸 반대방향으로 배출롤들(48 및 50)을 구동시키도록 접착제도포신호를 연속적으로 출력한다. 배출롤(48 및 50)의 역회전은 제1베니어(A)의 배면 스카프절단면이 제1접착제공급면(24a)과 접촉하는 제10c도에서 나타낸 임의의 위치로 제1베니어(A)의 배향 이동을 유도한다. 그 사이에, 제2베니어(B)는 제2베니어(B)의 정면 스카프절단면이 제2접착제공급면(24b)과 접촉하는 제10c도에서 나타낸 소정위치로 더욱 반송된다. 이에 의해, 접착제는 제1베니어(A)의 배면 스카프절단면과 제2베니어(B)의 정면 스카프절단면상으로 공급된다. 이후에, 제어기는 제10d도에서 화살표들로 나타낸 바와 같이 기준방향으로 배출롤들(48 및 50)을 구동시키도록 배출신호를 출력한다. 제1베니어(A)는 배출롤들(48 및 50)의 기준 회전에 의해 전방으로 반송된다. 약간의 시간딜레이 후에, 상기 접착제도포부재(24)는 회전되고 제10d도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로 리프트다운되고 그 후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위치로 리프트다운된다. 이후에 공급롤들(2 및 4)은 제10d도에서 화살표들로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되어 제2베니어(B)를 전방으로 반송시키고 제1베니어(A)의 배면 스카프절단면과 제2베니어(B)의 정면 스카프절단면의 견고히 결합시킨다.
이 제2실시예에서는 제1베니어의 배면 스카프절단면과 제2베니어의 정면 스카프절단면상으로 접착제가 공급되지만, 접착제는 충분한 접착도가 보장되는 한도내에서 스카프절단면들중 하나에만 공급될 수도 있다.
제1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로서 또하나의 접착제공급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접착제도포부재(24)는 회전되지 않고, 베니어의 스카프절단면상의 접착제를 제공하기 위해서 접착제저장기(40)내의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이동한다. 접착제도포부재(24)의 선형이동에 관련된 구동요소들과 지지요소들은 사선방향으로 설치되어 접착제저장기(40)내의 접착제도포부재(24)의 제1 및 제2접착제공급면들(24a 및 24b)을 베니어들의 스카프절단면들과 평행하게 유지하게 한다. 제3실시예의 구조는 제2도에서 나타낸 실린더(32)와 같은 접착제도포부재(24)의 피봇이동에 관련된 구동요소들과 지지요소들을 포함하지 않는다. 모터(14)는 암나사판(36)을 구동시키도록 회전하기 시작함으로써, 제1위치와 제2위치에서 접착제도포부재(24)를 선형으로 이동시킨다. 이후에 모터(14)는 제11도에서의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위치에서 접착제도포부재(24)를 유지하도록 정지한다. 베니어의 스카프절단면상으로의 접착제의 도포는 상기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조는 접착제도포부재의 접착제공급면을 베니어의 대응하는 스카프절단면에 대해 거의 평행한 구조로 가압되게 한다. 이에 의해, 거의 일정량의 접착제가 베니어의 각 스카프절단면상으로 공급된다.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들의 사상 또는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많은 변형과 대안 및 변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일뿐 어떠한 의미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와 사상은 첨부된 청구항들의 관점에서만 제한된다.

Claims (17)

  1. 스카프결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경사절단면 또는 스카프절단면을 갖는 베니어로 접착제를 도포하는 장치로서, 베니어 섬유방향을 따라 소정의 공급방향으로 베니어를 공급 및 반송하고 소정 고정위치에서 상기 베니어를 유지하도록 정지시키기 위한 간헐구동메카니즘을 구비하며, 상기 베니어들을 공급 및 반송하기 위해 통과하는 반송통로를 형성하는 공급수단과, 상기 공급수단의 상기 간헐구동메카니즘에 의해 반송된 상기 베니어를 검출하고, 상기 베니어의 존재가 검출될 때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검출기수단과, 상기 검출기수단 아래의 위치에 상기 소정의 공급방향으로 배치되고 또한 상기 반송통로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며, 접착제를 저장하는 접착제저장기수단과, 상기 검출기수단 아래의 위치에 상기 소정 공급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공급수단의 상기 간헐구동메카니즘에 의해 상기 소정의 고정위치로 반송되고 유지되는 베니어의 스카프절단면상으로 접착제를 도포하기 위한 접착제 공급표면을 구비하는 접착제도포수단과, 상기 접착제 공급표면에 접착제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접착제저장기수단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접착제 도포수단을 위치시키는 제1위치와 상기 접착제도포수단의 상기 접착제공급표면을 상기 베니어의 상기 스카프절단면에 대해 거의 평행구조로 가압하여 상기 접착제공급표면상의 접착제를 상기 공급장치의 상기 간헐구동메카니즘에 의해 상기 소정의 고정위치로 유지되는 상기 베니어의 상기 스카프절단면으로 공급시키는 제2위치 사이에서 상기 접착제도포수단을 왕복운동시키도록 상기 접착제 도포수단 상에 장착되는 왕복운동수단, 및 상기 검출기수단으로부터 출력된 검출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베니어의 위치를 검출하며, 상기 베니어의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왕복운동수단과 상기 공급수단의 간헐구동메카니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도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개방된 상부를 갖는 상기 접착제저장기수단은 상기 접착제 저장기수단의 상기 개방된 상부상에 장착된 자유롭게 조절가능한 공간조정기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접착제도포수단을 상기 접착제저장기수단 내부로 삽입하고 외부로 인출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여, 상기 접착제도포수단의 상기 접착제공급표면상으로 거의 일정량의 접착제가 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도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조정기수단은 역절두 원추체형 개구를 갖는 자유롭게 조정가능한 공간조정기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접착제도포수단을 상기 접착제저장기수단 내부로 삽입하고 외부로 인출하기 위해 통과하는 공간영역을 형성하도록 하여, 거의 일정량의 접착제를 상기 접착제도포수단의 상기 접착제공급표면상으로 공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도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저장기수단은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공간조정기수단은 공간조정기롤과 상기 공간조정기롤의 원주상에 장착된 대직경 링을 포함하며, 상기 대직경링은 접착제저장기수단의 상기 경사면 위로 진행하여 상기 접착제도포수단과 접촉하며, 상기 공간조정기롤은 상기 접착제도포수단의 상기 접착제공급표면상으로 거의 일정량의 접착제를 공급하도록 상기 접착제도포수단으로부터 소정거리로 이격되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도포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단의 상기 간헐구동메카니즘에 의해 공급 및 반송된 베니어는 상기 검출기를 최후로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면 스카프절단면을 구비하고, 상기 접착제도포수단의 상기 접착제공급표면은 상기 베니어의 배면 스카프절단면상으로 접착제를 공급하며, 상기 왕복운동수단은 상기 접착제도포수단을 상기 접착제저장기 내부로 피봇삽입하여 상기 접착제공급표면상에 접착제를 부착하도록 하는 제1위치와 상기 접착제도포수단의 상기 접착제공급표면을 상기 베니어의 배면 스카프절단면에 대해 거의 평행구조로 가압하여 상기 공급수단의 상기 간헐구동메카니즘에 의해 상기 소정의 고정위치에서 유지되는 상기 베니어의 상기 배면 스카프절단면으로 상기 접착제공급표면상의 접착제를 공급하도록 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상기 접착제도포수단을 왕복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도포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단의 상기 간헐구동메카니즘에 의해 공급 및 반송된 상기 베니어는 상기 검출기수단을 최초로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면 스카프절단면을 구비하고, 상기 접착제도포수단의 상기 접착제공급표면은 상기 베니어의 상기 정면 스카프절단면상으로 접착제를 공급하며, 상기 왕복운동수단은 상기 접착제도포수단을 상기 접착제저장기수단 내부로 피봇삽입하여 상기 접착제공급표면상에 상기 접착제를 부착하도록 하는 제1위치와 상기 접착제도포수단의 접착제공급표면을 상기 베니어의 정면 스카프절단면에 대해 거의 평행구조로 가압하여 상기 공급수단의 상기 간헐구동메카니즘에 의해 상기 소정의 고정위치에서 유지되는 상기 베니어의 상기 정면 스카프절단면으로 상기 접착제공급표면상의 상기 접착제를 공급하도록 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상기 접착제도포수단을 왕복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도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열경화성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도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열경화성 접착제는 요소수지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도포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열경화성 접착제는 페놀수지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도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1mm 내지 5.6mm의 두께를 갖는 충분히 얇은 베니어들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도포장치.
  11.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운동수단은 상기 접착제도포수단의 상기 접착제공급표면이 각 베니어의 스카프절단면의 단부와 먼저 접촉되고 그 후에 상기 베니어의 탄성에 의해 스카프절단면의 전체평면과 접촉하게 되는 제2위치로 상기 접착제도포수단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도포장치.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단의 상기 간헐구동메카니즘은 적어도 하나의 배면 스카프절단면을 갖는 제1베니어를 반송하기 위한 제1간헐구동메카니즘과 적어도 하나의 정면 스카프절단면을 갖는 제2베니어를 반송하기 위한 제2간헐구동메카니즘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2베니어의 상기 정면 스카프절단면이 상기 검출기수단에 도달할 때 접착제도포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베니어의 반송을 정지시키도록 상기 공급수단의 제2간헐구동메카니즘을 정지시키며, 상기 공급수단의 상기 제1간헐구동메카니즘에 의해 소정의 고정위치에서 유지되는 상기 제1베니어의 상기 배면 스카프절단면상으로 상기 접착제를 공급하기 위해서 상기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상기 접착제도포수단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왕복운동수단을 작동시키고, 또한, 상기 제1베니어의 상기 배면 스카프절단면상으로의 접착제의 도포가 완료될 때 도포종료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소정의 공급방향으로 상기 제1베니어 및 상기 제2베니어의 반송을 재개시하도록 상기 공급수단의 상기 제1 및 제2간헐구동메카니즘을 재작동시키며, 또한, 상기 제1베니어의 배면단부가 소정 대기위치에 도달할 때 대기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소정의 대기위치에서 상기 제1베니어의 배면단부를 유지하도록 상기 공급수단의 상기 제1간헐구동메카니즘을 정지시키며, 상기 제2베니어의 정면단부가 상기 소정 대기위치에 도달할 때 결합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소정의 대기위치에서 상기 제2베니어의 정면단부를 유지하도록 상기 공급수단의 상기 제2간헐구동메카니즘을 정지시키며,
    상기 접착제 도포장치는, 상기 제2베니어의 상기 정면스카프절단면을 접착제가 공급된 상기 제1베니어의 배면 스카프절단면과 접촉하게 하는 결합수단과, 상기 제1베니어와 상기 제2베니어를 견고하게 결합시키도록 상기 제1베니어의 배면스카프절단면과 상기 제2베니어의 정면 스카프절단면상으로 소정압력을 공급하기 위한 가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도포장치.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단의 상기 간헐구동메카니즘은 적어도 하나의 배면 스카프절단면을 갖는 제1베니어를 반송하기 위한 제1간헐구동메카니즘과 적어도 하나의 정면 스카프절단면을 갖는 제2베니어를 반송하기 위한 제2간헐구동메카니즘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1베니어의 배면단부가 상기 소정의 대기위치에 도달할 때 대기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소정의 대기위치에서 상기 제1베니어의 상기 배면단부를 유지시키도록 상기 공급수단의 상기 제1간헐구동메카니즘을 정지시키며, 상기 제2베니어의 정면 스카프절단면이 소정의 고정위치에 도달할 때 접착제도포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소정의 고정위치에서 상기 제2베니어를 유지시키도록 상기 공급수단의 상기 제2간헐구동메카니즘을 정지시키며, 상기 공급수단의 상기 제2간헐구동메카니즘에 의해 상기 소정 고정위치에서 고정된 상기 제2베니어의 정면 스카프절단면상으로 상기 접착제를 공급하기 위해서 상기 제1위치로부터 상기 제2위치로 상기 접착제도포수단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왕복운동수단을 작동시키고, 상기 제2베니어의 정면 스카프절단면상으로의 접착제의 도포가 완료될때 도포종료신호를 출력하고 소정 공급방향으로 상기 제2베니어의 반송을 정지시키도록 상기 공급수단의 상기 제2간헐구동메카니즘을 재작동시키며, 상기 제2베니어의 정면단부가 소정 대기위치에 도달할때 결합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소정의 대기위치에서 상기 제2베니어의 정면단부를 유지시키도록 상기 공급수단의 상기 제2간헐구동메카니즘을 정지시키며, 상기 접착제 도포장치는, 상기 제2베니어의 정면 스카프절단면을 상기 제1베니어의 배면 스카프절단면과 접촉하는 결합수단과, 상기 제1베니어와 상기 제2베니어를 견고하게 결합시키도록 상기 제1베니어의 배면 스카프절단면과 상기 제2베니어의 정면 스카프절단면의 결합상으로 소정압력을 공급하는 가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도포장치.
  14. 스카프결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경사절단면 또는 스카프절단면을 각각 갖는 베니어들상으로 접착제를 도포하는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배면 스카프절단면을 갖는 제1베니어와 적어도 하나의 정면 스카프절단면을 갖는 제2베니어를 베니어들의 섬유방향을 따라 소정의 공급방향으로 연속 공급 및 반송하고, 제1고정위치에서 상기 제1베니어의 배면 스카프절단면과 제2고정위치에서 상기 제2베니어의 정면 스카프절단면을 고정시키도록 정지시키는 간헐구동메카니즘을 구비하며, 상기 베니어들을 공급 및 반송하기 위해 통과하는 반송통로를 형성하는 공급수단과, 상기 공급수단의 간헐구동메카니즘에 의해 반송된 상기 제2베니어를 검출하고, 상기 제2베니어의 존재를 검출할 때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검출기수단과, 상기 검출기수단 아래의 위치에 상기 소정의 공급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반송통로로부터 이격되어, 접착제를 저장하는 접착제저장기수단과, 상기 검출기수단 아래의 위치에 상기 소정 공급방향으로 배치되고 제1 및 제2접착제 공급표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고정위치에서의 상기 제1베니어의 배면 스카프절단면 및 상기 제2고정위치에서의 상기 제2베니어의 정면 스카프절단면상으로 접착제를 공급하는 접착제도포수단과, 상기 접착제 도포수단상에 장착되고, 상기 접착제도포수단을 상기 접착제저장기수단내로 삽입하여 상기 제1 및 제2접착제공급면상에 접착제를 부착시키는 제1위치와, 상기 접착제도포수단의 상기 접착제공급표면을 상기 제1베니어의 상기 배면 스카프절단면에 대해 거의 평행구조로 가압하여 상기 공급수단의 간헐구동메카니즘에 의해 상기 제1고정위치에서 유지되는 상기 제1베니어의 상기 배면 스카프절단면으로 상기 제1접착제공급표면상의 접착제를 공급시키는 제2위치와, 상기 반송통로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제3위치, 및 상기 접착제도포수단의 상기 제2접착제공급면을 상기 제2베니어의 상기 정면 스카프절단면에 대해 거의 평행구조로 가압하여 상기 공급수단의 상기 간헐구동메카니즘에 의해 제2고정위치에서 유지되는 상기 제2베니어의 상기 정면 스카프절단면으로 상기 제2접착제공급면상의 접착제를 공급하게 하는 제4위치 사이에서 상기 접착제도포수단을 왕복운동시키는 왕복운동수단, 및 상기 검출기수단으로부터 출력된 검출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베니어 및 제2베니어의 위치들를 검출하며, 상기 제1베니어 및 제2베니어의 위치들에 근거하여 상기 왕복운동수단과 상기 공급수단의 간헐구동메카니즘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제2베니어의 상기 정면 스카프절단면이 상기 검출기수단에 도달할 때 제1접착제도포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위치로부터 상기 제2위치로 상기 접착제도포수단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왕복운동수단을 작동시키고, 상기 제1베니어의 배면 스카프절단면상의 접착제의 도포가 종료될 때 준비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위치로부터 상기 제3위치로 상기 접착제도포수단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왕복수단을 작동시키며, 상기 제2베니어의 정면 스카프절단면이 상기 제2고정위치에 도달할 때 제2접착제도포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베니어의 정면 스카프절단면상으로 상기 접착제를 공급하기 위해서 상기 제3위치로부터 상기 제4위치로 상기 접착제도포수단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왕복운동수단을 작동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도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개방된 상부를 갖는 상기 접착제저장기수단은 상기 접착제 저장기수단의 상기 개방된 상부상에 장착된 공간조정기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접착제도포수단을 상기 접착제저장기수단 내부로 삽입하고 외부로 인출하기 위해서 통과하는 공간을 형성하게 하여, 상기 접착제도포수단의 상기 제1 및 제2접착제공급표면들상에 각각 거의 일정량의 접착제가 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도포장치.
  16. 스카프결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경사절단면 또는 스카프절단면을 갖는 베니어상으로 접착제를 도포하는 장치로서, 간헐구동메카니즘을 구비하고, 베니어의 섬유방향을 따라 기준 공급방향과 상기 기준 공급방향에 반대되는 반대 공급방향으로 베니어를 반송하며, 베니어를 공급하고 반송하기 위해 통과하는 반송통로를 형성하는 공급수단과, 상기 공급수단의 상기 간헐구동메카니즘에 의해 반송된 상기 베니어를 검출하고, 상기 베니어의 존재가 검출될 때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검출기수단과, 상기 검출기수단 아래의 위치에 상기 소정의 공급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반송통로로부터 이격되어, 접착제를 저장하는 접착제저장기수단과, 상기 검출기수단 아래의 위치에 상기 기준 공급방향으로 배치되고, 접착제공급면을 구비하며, 상기 공급수단의 상기 간헐구동메카니즘에 의해 반송된 상기 베니어의 스카프절단면상으로 상기 접착제를 공급하는 접착제도포수단과, 상기 접착제 도포수단상에 장착되고, 상기 접착제도포수단을 상기 접착제저장기수단내로 삽입하여 접착제공급표면상에 접착제를 부착시키는 제1위치와, 상기 접착제도포수단의 상기 접착제공급표면을 상기 반송통로 중간에서 상기 베니어의 스카프절단면에 거의 평행하게 유지하여 상기 베니어의 스카프절단면에 접착제공급표면상의 접착제를 공급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상기 접착제도포수단을 왕복운동시키는 왕복운동수단, 및 상기 검출기수단으로부터 출력된 검출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베니어의 위치를 검출하며, 상기 베니어의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왕복운동수단과 상기 공급수단의 간헐구동메카니즘의 작동을 제어하고, 기준 공급방향 또는 반대 공급방향으로 상기 베니어를 반송하도록 상기 공급수단의 상기 간헐구동메카니즘을 작동시키는 한편 상기 베니어의 접근을 대기시키기 위해서 반송통로의 중간에서 상기 접착제도포수단을 유지하도록 상기 왕복운동수단을 작동시켜서, 상기 베니어의 상기 스카프절단면을 상기 접착제도포수단의 접착제공급표면에 대해 거의 수평구조로 가압하도록 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도포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개방된 상부를 갖는 상기 접착제저장기수단은 상기 접착제저장기수단의 상기 개방된 상부상에 장착된 공간조정기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접착제도포수단을 상기 접착제저장기수단 내부로 삽입하고 외부로 인출하기 위해서 통과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여, 상기 접착제도포수단의 상기 접착제공급표면상에 거의 일정량의 접착제를 부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도포장치.
KR1019940027561A 1993-10-27 1994-10-27 베니어의 스카프절단면상으로의 접착제공급장치 KR01589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9142393A JP3426304B2 (ja) 1993-10-27 1993-10-27 スカーフカット面を有するベニヤ単板への接着剤塗布装置
JP93-291423 1993-10-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1077A KR950011077A (ko) 1995-05-15
KR0158932B1 true KR0158932B1 (ko) 1998-12-15

Family

ID=17768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7561A KR0158932B1 (ko) 1993-10-27 1994-10-27 베니어의 스카프절단면상으로의 접착제공급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582676A (ko)
JP (1) JP3426304B2 (ko)
KR (1) KR0158932B1 (ko)
CA (1) CA2134288C (ko)
FI (1) FI945045A (ko)
MY (1) MY116339A (ko)
TW (1) TW25583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4451A (ko) * 1995-09-07 1999-06-25 아사무라 다까시 프리코트 강판의 절단면 도장방법 및 도장장치
JP4616182B2 (ja) * 2006-01-30 2011-01-19 三菱電機株式会社 永久磁石式回転子用の接着剤塗布装置及び接着剤塗布方法
WO2008083786A1 (de) * 2006-12-22 2008-07-17 Vatron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lackieren von schnittflächen
JP5355265B2 (ja) * 2009-07-09 2013-11-27 株式会社名南製作所 セパレーテッドスカーフによる板材の接合方法
WO2011051565A1 (en) * 2009-10-28 2011-05-05 Upm-Kymmene Wood Oy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lywood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17446A (en) * 1941-02-01 1943-04-27 Perkins Glue Co Veneer gluing machine
US2644496A (en) * 1948-06-15 1953-07-07 Plywood Res Foundation Edge gluing device
US3025830A (en) * 1959-06-08 1962-03-20 Lawrence A Vierthaler Adhesive applicator
DE1957676A1 (de) * 1969-11-17 1971-05-27 Hausmann Blomberger Holz Verfahren und Einrichtungen zum selbsttaetigen Zusammenlegen von duennschichtigen,beleimten Platten,vorzugsweise Furniere
JPS51110004A (en) * 1975-02-20 1976-09-29 Meinan Machinery Works Tanpanno setsugohoho oyobi sochi
US4243465A (en) * 1979-01-11 1981-01-06 Ilia Gozzi Apparatus for joining pieces of laminar material and in particular plywood core strips
JPS5610165A (en) * 1979-07-05 1981-02-02 Sumitomo Chem Co Ltd Novel beta-lactam compound and its production
US4530306A (en) * 1984-01-06 1985-07-23 Graphic Enterprises Of Ohio, Inc. Coating device for plates
JP2864797B2 (ja) * 1991-07-22 1999-03-08 株式会社明電舎 取水井選択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55838B (ko) 1995-09-01
CA2134288C (en) 1999-01-26
MY116339A (en) 2004-01-31
JPH07117012A (ja) 1995-05-09
KR950011077A (ko) 1995-05-15
JP3426304B2 (ja) 2003-07-14
CA2134288A1 (en) 1995-04-28
FI945045A (fi) 1995-04-28
US5582676A (en) 1996-12-10
FI945045A0 (fi) 1994-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72168A (en) Thin plate cutting/joining apparatus
KR0158932B1 (ko) 베니어의 스카프절단면상으로의 접착제공급장치
KR200489379Y1 (ko) 합지기의 종이 원단 공급로울러 지지장치
CN107521961B (zh) 一种多段式流水线设备
JP4674142B2 (ja) 感光性積層体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2006111006A (ja) 縁貼り方法および縁貼機
CN209772581U (zh) 无线键盘点胶设备
JPS6243874B2 (ko)
JP4881585B2 (ja) 感光性積層体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5410388B2 (ja) チップ保持装置,チップ供給装置およびチップ搭載機
US20040108351A1 (en) Web material feeding apparatus
JP2006264906A (ja) テープ貼込装置
CN212171009U (zh) 一种节能高光注塑产品稳定输送装置
JP2000218208A (ja) 巻芯への接着剤塗布装置
KR101859206B1 (ko) 원단의 엣지 프레스장치
JP4331839B2 (ja) テープ貼付装置及びテープ貼付方法
JPH1057552A (ja) 遊技機製造用コールドプレス装置
JP7383294B2 (ja) キャリアテープの熱圧着装置、キャリアテープの熱圧着装置システムおよびキャリアテープの熱圧着方法
KR102353024B1 (ko) Oled 패널용 스크린 타입 라미네이터 및 이를 이용한 라미네이팅 방법
KR910009014Y1 (ko) 라미네이팅기의 완제품 절취유도용 세공선 압입장치
CN212736430U (zh) 直线封边机
JP2583760Y2 (ja) 縁材の貼着装置
JP3766152B2 (ja) 遊技機製造用化粧シート貼付装置
JP2782433B2 (ja) 台板合板への自動連続的な紙貼り付け方法とそのためのラミネーター
KR940001268Y1 (ko) 다이본더의 리드프레임의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