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6339A - 라미네이터 - Google Patents

라미네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6339A
KR20190136339A KR1020180061925A KR20180061925A KR20190136339A KR 20190136339 A KR20190136339 A KR 20190136339A KR 1020180061925 A KR1020180061925 A KR 1020180061925A KR 20180061925 A KR20180061925 A KR 20180061925A KR 20190136339 A KR20190136339 A KR 20190136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film
heating
finished product
sem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1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1076B1 (ko
Inventor
김동진
Original Assignee
김동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진 filed Critical 김동진
Priority to KR1020180061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1076B1/ko
Publication of KR20190136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6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1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1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4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4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B32B37/0053Constructional details of laminating machines comprising rollers;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04Cutting, tearing or severing, e.g. bursting; Cutte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12Mechanical treatment, e.g. roughening, deforming, stre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접착장치와 절단장치로 구성되는 라미네이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가열접착장치는 보일러에서 가열된 유체를 가열롤러로 지속적으로 순환공급하여 가열롤러의 가열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절단장치는 상기 가열접착장치를 통해 모재에 접착된 필름의 측단부를 샌딩롤러를 이용해 연속적으로 흠집을 낸 후 인장력을 발생시키는 전·후방롤러를 이용해 낱장 단위의 모재에 필름이 접착된 완제품을 생산할 수 있어 완제품의 생산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라미네이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라미네이터{Laminator}
본 발명은 가열접착장치와 절단장치로 구성되는 라미네이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가열접착장치는 보일러에서 가열된 유체를 가열롤러로 지속적으로 순환공급하여 가열롤러의 가열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절단장치는 상기 가열접착장치를 통해 모재에 접착된 필름의 측단부를 샌딩롤러를 이용해 연속적으로 흠집을 낸 후 인장력을 발생시키는 전·후방롤러를 이용해 낱장 단위의 모재에 필름이 접착된 완제품을 생산할 수 있어 완제품의 생산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라미네이터에 관한 것이다.
라미네이팅(Laminating)은 가공방법에 따라 열과 압력을 가하여 층간 접착이 이루어지록 하는 가열라미네이팅과 접착성물질을 통하여 층간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무열라미네이팅으로 분류될 수 있다.
자동화 설비를 통하여 대량생산되는 대부분의 라미네이팅 제품은 가열라미네이팅과 무열라미네이팅 공통으로 가열, 압착 및 이송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롤러들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연속적으로 가공하는데, 낱장 형태의 완제품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라미네이팅된 적층물을 소정 길이로 절단하게 된다.
특히, 인쇄물 등의 모재(母材)에 합성수지 필름을 라미네이팅하는 경우, 통상 필름은 롤(Roll)등에 감겨 라미네이터에 장착되므로 연속적으로 공급되고, 모재는 낱장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뿐만 아니라, 모재가 필름과 같이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하더라도 완제품은 낱장 형태인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라미네이팅된 적층물을 절단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공개 실용신안 20-1991-0009014(공개일 1991.07.29) 등록특허 10-0441259(등록일 2004.07.12) 등록특허 10-0698026(등록일 2007.03.15) 등록특허 10-0794989(등록일 2008.01.09) 등록특허 10-1061167(등록일 2011.08.25) 등록특허 10-1385135(등록일 2014.04.08)
먼저, 본 발명은 가열라미네이팅을 위한 라미네이터이다.
종래 공개실용신안 20-1991-0011179(라미네이팅기의 완제품 절취유도용 세공선 압입장치)에서는 접착성 물질을 이용한 무열라미네이터를 소개하고 있다. 상기 공개실용신안에서는 필름에 접착성 물질을 코팅한 후 접착물질이 코팅된 필름을 모재에 접착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필름롤에 감긴 필름을 접착물질이 담긴 수조로 이송하는 다수의 롤러가 필요함은 물론, 수조까지 이송된 필름은 접착물질을 뭍힌 롤러끼리의 맞물림 회전구간을 통과하면서 필름에 접착성 물질이 코팅되게 된다. 이처럼 종래 공개실용신안은 필름에 접착성 물질이 코팅되기까지 상대적으로 복잡다단한 과정을 거쳐야 함은 물론, 이로 인한 기구적 구성 또한 번잡할 수밖에 없다. 기계적 구성의 번잡함은 유지보수에서 불리하여 경제성을 담보할 수 없는 문제를 야기하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가열라미네이팅의 가열롤러는 롤러 안쪽에 열선을 장착하여 가열롤러의 가열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가열롤러의 온도를 유지시키기 위해 열선과는 다른 보일러에서 지속적으로 일정온도의 유체가 히팅롤로에 순환 공급되도록 하는 구성을 채택하여 기술의 풍부성을 담보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절단가공 속도를 향상시켜 전체 공정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모재에 접착된 필름에 일정한 단위로 절단을 위한 흠집을 내는 것이 아닌, 샌딩롤러가 필름 표면에 접촉하여 필름에 연속적으로 미세한 흠집을 낸 후 필름에 인장력을 가하는 전·후방롤러에 의해 필름을 인장절단 하도록 구성하고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일정주기로 칼날이 지나면서 필름에 절단을 위한 흠집을 낼 경우에는 칼날이 지나는 일정주기 이상으로 완제품의 생산속도를 높이는 것이 불가능함은 물론, 칼날이 지나는 일정주기를 단축하는 것에도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의 샌딩롤러는 특정주기를 갖는 것이 아니며, 항상 필름의 측단부를 따라 회전하는 상태이며, 라미레이터의 작동속도에 따라 샌딩롤러의 회전속도도 함께 달라지게 된다. 그리고 샌딩롤러의 표면은 샌딩페이퍼로 이루어져 있기에 고속회전하면서도 접촉된 필름의 표면에 연속적으로 흠집을 낼 수 있다. 따라서 샌딩롤러가 구비된 라미네이터는 절단칼날이 구비된 라미네이터에 비해 절단가공 속도를 현격하게 높이더라도 필름 표면에 흠집을 내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써 모재에 접착된 필름의 절단가공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전체 공정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등록특허 10-0441259(체인이송 절단식 라미네이터)에서는 적층물의 진행방향과 경사지게 설치되는 체인에 절단날을 장착하고, 상기 체인을 서보모터로 구동함에 따라 이송되는 적층물을 수직으로 절단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은 필연적으로 적층물을 수직으로 절단하기 위해서는 경사각을 갖는 이동체인의 절단날의 진입속도와 이송되는 적층물의 이송속도를 정확하게 계산하여 작동시켜야만 적층물이 수직으로 절단된다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로 인해 공정속도를 높이기에 적합한 구성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라미네이터는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낱장 모재에 가열롤러와 밀착롤러를 이용해 필름롤에서 연속공급되는 필름을 열접착시켜 반제품을 만드는 가열접착장치와, 상기 가열접착장치로부터 이송되어 연속 공급되는 상기 반제품을 절단하여 필름이 접착된 낱장의 완제품으로 만드는 절단장치로 이루어진 라미네이터에 있어서, 상기 절단장치는 인장력을 발생시키는 전·후방롤러를 구비하되, 상기 전방롤러와 평행하게 앞쪽에 설치되는 설치봉에는 설치봉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여 상기 반제품의 필름에 접촉되어 필름에 연속적으로 흠집을 내는 샌딩롤러를 고정설치하고, 연속된 상태로 이송되던 상기 반제품이 상기 전·후방롤러 사이에서 인장력의 작용을 받아 상기 필름에 생긴 상기 흠집에 의해 필름이 각 모재 간의 단부를 따라 인장절단되어 필름이 접착된 낱장의 완제품으로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열접착장치는 상기 필름롤에 권취된 필름을 접착본체에 다수 설치된 유도롤러를 통해 히팅부에 연결된 가열롤러와 밀착롤러에서 모재에 적층시켜 상기 반제품 형태로 상기 절단장치로 이송시키되, 상기 가열롤러는 축에 고정되는 내·외통의 일측으로 삽입된 유입관을 상기 내통의 타측단부로 노출하여 상기 외통의 타측 내벽을 향해 유체를 분출시키도록 구성하고, 상기 유입관에서 분출된 유체는 상기 내·외통 사이의 히팅공간을 거쳐 상기 외통의 일측에 구비된 배출관으로 배출되며, 상기 히팅부는 상기 배출관으로 배출된 유체를 배출파이프를 통해 보일러에서 가열한 후 유입파이프를 통해 상기 유입관으로 유입시켜 상기 가열롤러의 가열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무열라미네이팅은 필름에 접착성 물질이 코팅되기까지 상대적으로 복잡다단한 과정을 거쳐야 함은 물론, 이로 인한 기계적 구성 또한 번잡할 수밖에 없다. 기계적 구성의 번잡함은 유지보수에서 불리하여 경제성을 담보할 수 없는 문제를 야기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가열접착장치는 단순한 기계적 구성을 통해 경제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가열라미네이팅의 가열롤러는 롤러 안쪽에 열선을 장착하여 가열롤러의 가열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본 발명에서는 가열롤러의 온도를 유지시키기 위해 열선과는 다른 보일러에서 지속적으로 일정온도의 유체가 히팅롤로에 순환 공급되도록 하는 구성을 채택하여 기술을 풍부하게 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절단장치는 모재에 접착된 필름에 일정한 단위로 절단을 위한 흠집을 내는 것이 아니라, 샌딩롤러가 필름 표면에 접촉하여 필름에 연속적으로 미세한 흠집을 낸 후 필름에 인장력을 가하는 전·후방롤러에 의해 필름을 인장절단 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를 통해 모재에 접착된 필름의 절단가공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전체 공정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라미네이터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절단장치의 일실시에 따른 주요 부분과 작동상태를 간략하게 예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절단장치의 다른 실시예 따른 주요 부분을 간략하게 예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가열접착장치의 가열롤러와 히팅부를 간략하게 예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자명하거나 종래 기술에서 설명된 내용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모재(B)에 필름(P)을 접합한 후 절단하여 완제품(G)을 생산하는 본 발명 라미네이터(1)는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낱장 모재(B)에 가열롤러(210)와 밀착롤러(203)를 이용해 필름롤에서 연속공급되는 필름(P)을 열접착시켜 반제품(H)을 만드는 가열접착장치(200)와, 상기 가열접착장치(200)로부터 이송되어 연속 공급되는 상기 반제품(H)을 절단하여 필름이 접착된 낱장의 완제품(G)으로 만드는 절단장치(10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절단장치(100)는 낱장 모재(B)와 연속 필름(P)이 상기 가열접착장치(200)의 가열롤러(210)와 밀착롤러(203) 사이를 통과하면서 연속지 형태로 이송된 반제품(H)을, 모재에 필름이 접착된 낱장의 완제품(G)으로 생산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 상기 가열접착장치(200)를 거쳐 접착된 상기 반제품(H)을 이송받은 절단장치(100)의 반제품(H) 이송경로 상의 전방과 후방에는 인장력을 발생시키는 전방롤러(120)와 후방롤러(130)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전방롤러(120)의 앞쪽 절단본체 프레임(101)에는 반제품(H)의 이송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설치봉(110)을 설치하고, 이 설치봉(11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샌딩롤러(111)를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샌딩롤러(111)는 하방에 설치된 구동롤러(102)와 맞물리며, 이 구동롤러(102)와 샌딩롤러(111)의 사이로 반제품(H)이 이송된다. 따라서 상기 샌딩롤러(111)의 외면에 형성된 샌드페이퍼와 접촉하는 반제품(H)의 필름(P)에는 연속적으로 미세한 흠집(113)이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샌딩롤러(111)는 반제품(H)의 필름(P)에 연속적으로 미세한 흠집(113)을 만들기 위해 상기 설치봉(110)에 설치하는 것으로, 연속하는 필름(P)의 길이방향 양측단에 모두 접촉하도록 설치할 수 있으며, 또는 필름(P)의 일측단에만 접촉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설치봉(110)에는 설치봉(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고정설치되어 상기 반제품(H)의 이송을 안내하는 이송롤러(112)가 설치될 수 있다. 이 이송롤러(112) 또한 당연하게 하방에 설치된 구동롤러(102)와 맞물리면서 각 롤러 사이를 지나는 반제품(H)의 이송을 원활하게 한다.
상기 전방롤러(120)와 후방롤러(130)는 이들 롤러 사이에서 인장력이 발생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각 롤러의 하방에 구비된 구동롤러(102)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전·후방롤러(120,130) 사이에 인장력이 발생하기 위해서는 전·후방롤러(120,130)의 회전속도를 달리하면 가능하다. 예컨데 후방롤러(130)의 회전속도를 전방롤러(120)보다 빠르게 하면, 상대적으로 고속 회전하는 후방롤러(130)에 의해 반제품(H)이 당겨지게 되고, 이때 반제품(H)의 모재(B)와 모재(B) 사이의 필름(P)에 인장력이 집중된다. 그런데 상기 필름(P)은 상기 샌딩롤러(111)에 의해 길이방향 양측단 중 적어도 어느 한쪽 단을 따라 연속적으로 흠집(113)이 생긴 상태이다. 따라서 모재(B)와 모재(B) 사이의 필름(P)에 생긴 흠집(113)을 시작으로 이송방향과 수직하게 필름(P)이 완전히 절단된다.
상기와 같이 전·후방롤러(120,130)의 회전속도 차이를 이용해 인장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 후방롤러(130)를 하측에서 구동하는 구동롤러(102)와, 이 구동롤러(102)의 상측에 맞물려 회전작동하는 다수개의 인장롤러(131)로 구성하되, 각 인장롤러(131)의 회전축각(132)을 달리하는 방식을 통해 전·후방롤러(120,130) 사이에 인장력이 발생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 전체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상기 인장롤러(131)의 회전축각(132)이란 상기 반제품(H)의 이송방향에 대한 인장롤러(131)의 회전축(133)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반제품(H)의 이송방향 연장선과 인장롤러(131)의 회전축(133) 연장선이 교차하여 이루는 각 중 예각을 기준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별도로 언급되지 않은 기본적인 롤러의 회전축각(132)은 반제품(H)의 진행방향과 수직이다.
다수 개로 구비되는 상기 인장롤러(131)는 반제품(H)의 필름(P)에 인장력을 가하여 필름(P)을 절단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인장롤러(131)의 배치는 상기 샌딩롤러(111)의 구성을 고려하여 설치함이 마땅하다.
예를 들어, 상기 샌딩롤러(111)가 반제품(H)의 필름(P) 일측단에만 접촉하여 흠집(113)을 내도록 설치되는 경우, 다수개인 인장롤러(131)의 회전축각(132) 배열은 필름(P)의 타측단에서 반제품(H) 이송방향과 수직하게 회전축각(132)이 배열되는 것을 시작으로, 필름(P)의 일측단으로 갈수록 회전축각(132)이 작아지도록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렇게 인장롤러(131)를 배열하면, 필름(P)의 타측단은 이송방향과 동일방향으로 그대로 이송됨에 반하여, 필름(P)의 일측단으로 갈수록 필름(P)의 이송방향이 필름(P)의 타측단을 향해 기울어짐과 동시에 당겨지면서 이송된다. 이렇게 되면 필름(P)의 일측단에 가장 많은 인장력이 집중된다. 인장력이 집중되는 필름(P)의 일측단은 이미 상기 샌딩롤러(111)에 의해 연속적으로 흠집(113)이 생긴 상태이다. 그리고 모재(B)에 열접착된 필름(P)은 모재(B) 자체에 완전히 접착된 부분보다는 모재(B)와 모재(B) 사이 부분이 가장 취약하다. 따라서 모재(B)와 모재(B) 사이에 연속된 필름(P)의 일측단 흠집(113)에 인장력은 집중되고, 이 흠집(113)이 절단되는 것을 시작으로 모재(B)와 모재(B) 사이 필름(P)은 타측단까지 연속적으로 일순간에 인장절단되는 것이다.
또 다른 방법으로, 상기 샌딩롤러(111)가 반제품(H)의 양측단에 하나씩 접촉하여 흠집(113)을 내도록 설치되는 경우, 다수개인 인장롤러(131)의 회전축각(132) 배열은 필름(P)의 중앙부에서 반제품(H)의 이송방향과 수직하게 회전축각(132)이 배열되는 것을 기점으로, 필름(P)의 양측단으로 갈수록 회전축각(132)이 작아지도록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렇게 인장롤러(131)를 배열하면, 필름(P)의 중앙부는 이송방향과 동일방향으로 그대로 이송됨에 반하여, 필름(P)의 양측단으로 갈수록 필름(P)의 이송방향이 필름(P)의 중앙을 향해 기울어짐과 동시에 당겨지면서 이송된다. 이렇게 되면 필름(P)의 양측단에 동시에 가장 많은 인장력이 집중된다. 인장력이 집중되는 필름(P)의 양측단은 이미 상기 샌딩롤러(111)에 의해 연속적으로 흠집(113)이 생긴 생태이다. 그리고 모재(B)에 열접착된 필름(P)은 모재(B) 자체에 완전히 접착된 부분보다는 모재(B)와 모재(B) 사이 부분이 가장 취약하다. 따라서 모재(B)와 모재(B) 사이에 연속된 필름(P)의 양측단 흠집(113)에 인장력은 집중되고, 이 양측단 흠집(113)이 절단되는 것을 시작으로 모재(B)와 모재(B) 사이 필름(P)은 중앙을 향해 연속적으로 일순간에 인장절단되는 것이다.
이렇게 본 발명은 상기 샌딩롤러(111)가 회전하는 롤러의 외주면에 샌드페이퍼가 감겨진 구성이고, 샌딩롤러(111)가 회전하면서 상기 반제품(H)의 필름(P)에 연속적으로 접촉하여 미세한 흠집(113)을 생성한다. 이후 미세한 흠집(113)은 상기 전·후방롤러(120,130) 사이에서 인장롤러(131)가 인장력을 발생시킴으로서 모재(B)와 모재(B) 사이의 필름(P)이 절단되는 구성이다.
이렇듯 본 발명은 종래기술 또는 공지기술들에서 사용하는 필름(P)에 흠집(113)을 내기 위해 일정주기로 회전 또는 왕복하여 흠집(113)을 발생시키는 장치가 아니다. 이송되는 필름(P)에 항상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샌딩롤러(111)는 모재(B)와 모재(B) 사이의 필름(P)부분에 흠집(113)을 내기 위해 치밀한 계산을 요하여 특별한 제어부의 구성에 의해 이를 실행시켜야 하는 구성이 전혀 필요하지 않다. 단지 필름(P)에 접촉하여 회전하면서 샌드페이퍼를 통해 필름(P)에 연속적으로 흠집(113)을 낼 수 있는 구성이면 족하기 때문에 구성이 단순하여 제작 및 운영상에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처럼 일정주기로 회전 또는 왕복운동을 해야 하는 경우에는 회전 또는 왕복운동의 주기를 최단시간으로 조절하기에 기계적 구성의 한계가 분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연속되는 필름(P)에 샌딩롤러(111)가 접촉하여 회전하는 단순한 구성으로 고속회전에서도 정확한 흠집(113)을 낼 수 있어 제품 공정주기를 고속으로 단시간에 완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가열접착장치(200)는 가열롤러(210)와 히팅부(220)의 구성에 그 특징이 있다.
상기 가열접착장치(200)는 상기 필름롤에 권취된 필름(P)을 접착본체 프레임(201)에 다수 설치된 유도롤러(202)를 통해 가열롤러(210)와 밀착롤러(203)를 통과시키면서 모재(B)에 가열 접착한다.
먼저, 상기 가열롤러(210)는 내·외통(211,212)의 이중구조이다. 상기 외통(212)은 길이방향의 양단인 일측과 타측에 축이 결합되며, 외통(212)의 내부에는 일정 간격인 히팅공간(215)을 형성하며 내통(211)이 외통(212)의 내벽과 이격하여 설치된다. 상기 내통(211)은 상기 외통(212)의 축에 결합되어 회전구동될 수 있으며, 또는 외통(212)의 내벽에 고정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외통(212)의 일측에는 유입관(213)이 삽입되되, 삽입된 유입관(213)의 단부는 상기 내통(211)의 일측단을 지나 타측단으로 노출된다. 이렇게 상기 내통(211)의 타측단으로 노출된 상기 유입관(213)의 단부에서는 가열유체가 분출되는데, 분출하는 가열유체는 상기 외통(212)의 내면 타측단에 부딪쳐 내통(211)과 외통(212)의 사이 공간인 히팅공간(215)을 경유하는 것으로 외통(212)의 가열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또한, 상기 외통(212)의 타측단에 히팅공간(215)을 지나 외통(212)의 일측에 도달한 유체는 배출관(21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배출관(214)을 통해 가열롤러(210) 밖으로 배출된 유체는 배출파이프(224)를 통해 상기 히팅부(220)의 보일러(221)에서 재가열된 후 유입파이프(223)를 통해 상기 유입관(213)으로 재유입된다. 이렇게 본 발명은 히팅부(220)의 보일러(221)에서 가열된 가열유체는 유입파이프(223)와 유입관(213)을 통해 상기 가열롤러(210)에 지속적으로 공급되고, 공급된 가열유체는 히팅공간(215)에 머물면서 가열롤러(210)의 가열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그리고 가열롤러(210)의 타측에서 히팅공간(215)을 지나 일측까지 이동한 유체는 배출관(214)과 배출파이프(224)를 통해 다시 히팅부(220)의 보일러(221)로 유입된 후 재가열된다. 이러한 순환사이클을 통해 상기 강열롤러의 온도가 일정하기 유지되는 것이다.
1: 라미네이터 B: 모재
P: 필름 H: 반제품
G: 완제품 100: 절단장치
101: 절단본체 프레임 102: 구동롤러
110: 설치봉 111: 샌딩롤러
112: 이송롤러 113: 흠집
120: 전방롤러 130: 후방롤러
131: 인장롤러 132: 회전축각
133: 회전축 200: 가열접착장치
201: 접착본체 프레임 202: 유도롤러
203: 밀착롤러 210: 가열롤러
211: 내통 212: 외통
213: 유입관 214: 배출관
215: 히팅공간 220: 히팅부
221: 보일러 223: 유입파이프
224: 배출파이프

Claims (4)

  1.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낱장 모재(B)에 가열롤러(210)와 밀착롤러(203)를 이용해 필름롤에서 연속공급되는 필름(P)을 열접착시켜 반제품(H)을 만드는 가열접착장치(200)와, 상기 가열접착장치(200)로부터 이송되어 연속 공급되는 상기 반제품(H)을 절단하여 모재(B)에 필름(P)이 접착된 낱장의 완제품(G)을 만드는 절단장치(100)로 이루어진 라미네이터(1)에 있어서,
    상기 절단장치(100)는 인장력을 발생시키는 전·후방롤러(120,130)를 구비하고, 상기 전방롤러(120)와 평행하게 앞쪽에 설치되는 설치봉(110)에는 이 설치봉(1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반제품(H)의 필름(P)에 접촉회전하면서 필름(P)에 연속적으로 흠집(113)을 내는 샌딩롤러(111)를 고정설치하여, 연속된 상태로 이송되던 상기 반제품(H)이 상기 전·후방롤러(120,130) 사이에서 인장력의 작용을 받아 상기 필름(P)에 생긴 상기 흠집(113)에 의해 필름(P)이 각 모재(B) 간의 단부를 따라 인장절단되어 모재(B)에 필름(P)이 접착된 낱장의 완제품(G)으로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봉(110)에는 설치봉(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이송롤러(112)가 고정설치되어 상기 반제품(H)을 이송하고, 상기 반제품(H)의 필름(P)에 접촉되어 연속적으로 흠집(113)을 내는 상기 샌딩롤러(111)는 상기 설치봉(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필름(P)의 일측단 또는 양측단에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롤러(130)는 이동되는 상기 반제품(H)을 사이에 두고 각각 상하에서 대응회전하는 다수개의 상측 인장롤러(131) 및 원통형 단일체인 하측의 구동롤러(102)로 구성하되, 상기 다수개의 상측 인장롤러(131)는 상기 샌딩롤러(111)의 배치에 대응하여, 상기 반제품(H)의 타측단으로부터 일측단에 이르기까지 그 회전축각(132)을 반제품(H)의 이송방향에 대해 순차로 작아지게 배치하거나, 또는 상기 반제품(H)의 중앙에서 양단에 이르기까지 그 회전축각(132)을 반제품(H)의 이송방향에 대해 순차로 작아지도록 배치하여, 상기 반제품(H)의 측단에서부터 인장력이 발생하여 상기 필름(P)이 절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접착장치(200)는 상기 필름롤에 권취된 필름(P)을 접착본체 프레임(201)에 다수 설치된 유도롤러(202)를 통해 히팅부(220)에 연결된 가열롤러(210)와 밀착롤러(203)에서 모재(B)에 적층시켜 상기 반제품(H) 형태로 상기 절단장치(100)로 이송시키되,
    상기 가열롤러(210)는 축에 고정되는 내·외통(211,212)의 일측으로 삽입된 유입관(213)을 상기 내통(211)의 타측단부로 노출하여 상기 외통(212)의 타측 내벽을 향해 유체를 분출시키도록 구성하고, 상기 유입관(213)에서 분출된 유체는 상기 내·외통(211,212) 사이의 히팅공간(215)을 거쳐 상기 외통(212)의 일측에 구비된 배출관(214)으로 배출되며,
    상기 히팅부(220)는 상기 배출관(214)으로 배출된 유체를 배출파이프(224)를 통해 보일러(221)에서 가열한 후 유입파이프(223)를 통해 상기 유입관(213)으로 유입시키는 순환사이클을 갖추어 상기 가열롤러(210)의 가열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터.
KR1020180061925A 2018-05-30 2018-05-30 라미네이터 KR102061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925A KR102061076B1 (ko) 2018-05-30 2018-05-30 라미네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925A KR102061076B1 (ko) 2018-05-30 2018-05-30 라미네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339A true KR20190136339A (ko) 2019-12-10
KR102061076B1 KR102061076B1 (ko) 2019-12-31

Family

ID=69002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1925A KR102061076B1 (ko) 2018-05-30 2018-05-30 라미네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10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74870A (zh) * 2022-09-27 2023-02-03 江苏天创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石墨烯电热膜包边用压合引导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2399B1 (ko) 2022-02-23 2024-03-04 주식회사 일진엠앤씨 열매체유 순환방식의 히팅롤러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9014Y1 (ko) 1989-12-27 1991-11-21 유로본드(유케이)리미티드 라미네이팅기의 완제품 절취유도용 세공선 압입장치
KR100441259B1 (ko) 2003-12-03 2004-07-22 전용환 체인이송 절단식 라미네이터
KR100698026B1 (ko) 2006-01-17 2007-03-23 박남호 라미네이터 코팅기
KR100794989B1 (ko) 2007-06-29 2008-01-15 전용환 라미네이터의 회전식 열선절단기
KR101061167B1 (ko) 2010-11-22 2011-08-31 전용환 로울러 밀착식 라미네이터
KR101385135B1 (ko) 2012-06-18 2014-04-14 주식회사 씨엘디 라미네이팅 장치 및 롤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22825A (ja) * 2011-07-21 2013-02-04 Nippon Off Ramineetaa Kk ラミネーターによる切断方法及びラミネーター
KR101583789B1 (ko) * 2015-03-19 2016-01-19 (주)창영기계 열가소성 수지의 용융된 용융시트의 가열 또는 냉각 롤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9014Y1 (ko) 1989-12-27 1991-11-21 유로본드(유케이)리미티드 라미네이팅기의 완제품 절취유도용 세공선 압입장치
KR100441259B1 (ko) 2003-12-03 2004-07-22 전용환 체인이송 절단식 라미네이터
KR100698026B1 (ko) 2006-01-17 2007-03-23 박남호 라미네이터 코팅기
KR100794989B1 (ko) 2007-06-29 2008-01-15 전용환 라미네이터의 회전식 열선절단기
KR101061167B1 (ko) 2010-11-22 2011-08-31 전용환 로울러 밀착식 라미네이터
KR101385135B1 (ko) 2012-06-18 2014-04-14 주식회사 씨엘디 라미네이팅 장치 및 롤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74870A (zh) * 2022-09-27 2023-02-03 江苏天创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石墨烯电热膜包边用压合引导装置
CN115674870B (zh) * 2022-09-27 2023-12-22 江苏天创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石墨烯电热膜包边用压合引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1076B1 (ko) 2019-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9279B2 (en) Liquid discharge apparatus and medium flattening method
KR102061076B1 (ko) 라미네이터
JP6745229B2 (ja) 印刷装置
JP2008094585A (ja) 用紙加湿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20100126820A (ko) 연마장치 및 연마방법
CN102173348B (zh) 薄片类介质对齐机构和具有该对齐机构的处理装置
JP5176645B2 (ja) ウエブ搬送装置およびその搬送方法
EP3678859B1 (en) Plant for the production of corrugated cardboard
US6026884A (en) Laminating device
CN110588080A (zh) 一种新型纸板生产装置
CN112839885B (zh) 高精度辊式输送机
JP4243180B2 (ja) 積層材の製造方法及び積層材の製造装置
KR101810772B1 (ko) 설치공간 축소형 합지장치
JP6414975B2 (ja) ダブルベルトプレス
US20110120656A1 (en) Sheet overlap device
JPWO2015182231A1 (ja) カール除去装置及びカール除去方法
JP2015030167A (ja) 熱成形装置
CN217946721U (zh) 一种保温芯层对中装置
JP2002120309A (ja) 段ボール整列装置とこれを備えた重ね合せ糊付け装置
KR200309083Y1 (ko) 롤러와 벨트를 이용한 우레탄 패널용 라미네이팅기
JPH09254357A (ja) スクリーン印刷機
JP6572050B2 (ja) 印刷機
KR20170107294A (ko) 마트용 가격태그 제조 시스템 및 그 방법
JP4982836B2 (ja) ラミネート装置
JP2020019597A (ja)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