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8844B1 - 다층 플랙시블 시이트 구조 - Google Patents

다층 플랙시블 시이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8844B1
KR910008844B1 KR1019840001766A KR840001766A KR910008844B1 KR 910008844 B1 KR910008844 B1 KR 910008844B1 KR 1019840001766 A KR1019840001766 A KR 1019840001766A KR 840001766 A KR840001766 A KR 840001766A KR 910008844 B1 KR910008844 B1 KR 910008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mils
sheet structure
adhesive layer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1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8611A (ko
Inventor
데니스 레딩 드와이트
Original Assignee
아메리칸 내쇼날 캔 캄파니
로버트 에이. 스텐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메리칸 내쇼날 캔 캄파니, 로버트 에이. 스텐젤 filed Critical 아메리칸 내쇼날 캔 캄파니
Publication of KR840008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8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general shape other than plane
    • B32B1/08Tubular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resins; comprising acrylic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32B27/32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comprising halogenated polyolefins, e.g. PTF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08Electrical discharge treatment, e.g. corona, plasma treatment;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02Body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1Heat seal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6Oriented mono-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0/00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 B32B2310/14Corona, ionisation, electrical discharge, plasma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10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40Closed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Tubes (AREA)
  • Wrapper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 Feedback Control In General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Wire Bo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층 플랙시블 시이트 구조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따른 시이트 구조의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실시태양으로부터 약간 변형한 본 발명의 실시태양에 따른 시이트 구조의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태양에 따른 시이트 구조의 단면도(여기서 신규의 강화층은 튜브의 내부 배열을 위하여 종래의 접착층과 결합되어 있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시이트 구조로 만든 튜브의 부분절단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페이스트형 제품을 충진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플랙시블 튜브(flexible tube) 형태의 다층플랙시블 시이트 구조 및 이들 시이트 구조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두꺼운 금속박은 단층으로서 페이스트형 제품을 보유하거나 분배하는데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금속튜브는 분명히 많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금속튜브는 다른 튜브구조와 비교하여, 가격이 비싸고, 쉽게 음푹 들어가며 또한 적당량의 굽힘에도 손상되는 경향이 있다.
더욱 최근에, 튜브시장에서는 다수개의 중합체층을 갖는 플랙시블 시이트 구조 재료가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튜브는 내부열접착층(heat sealable layer), 외부열접착층, 및 그들 사이에 삽입된 장벽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대표적이다. 튜브에 다른 특성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구조내에 충을 더 첨가하여도 좋다.
또한 특수한 성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들 시이트 재료내에 페이퍼나 엷은 금속박과 같은 비중합 성분층을 포함시켜도 좋다.
예를들면, 품질이 우수한 장벽층으로서 엷은 알루미늄박층을 제공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박막(foil)을 사용할 경우, 박막을 그의 인접층에 접착하기 위해서는 접착성이 높은 중합체를 사용하여 수행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공지된 구조는 상거래 시장에서 상당한 성공을 거두었으나, 현행 튜브 구조로서는 어느 정도의 실패가 있었다.
어떤 제품은 튜브내부층, 특히 알루미늄박층을 침해하는 그의 화학적 활성 때문에 유지하는데 특히 힘들다. 이러한 문제점은 박막을 보호하기 위하여 튜브내부층으로서 내약품성 중합체를 사용함으로써 해결되어 왔다. 이와 관련된 가장 최근의 개발은 본 출원인과 같은 양도인의 계류중인 미합중국 특허원 제306,675호에 기술되어 있는데, 이 특허에서는 튜브의 내부접착층으로서 선상저밀도 폴리에틸렌 공중합체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페이퍼층을 제공함으로써 프린트(print)하는데 특히 중요시되는 치수안정성(dimentional stability)을 제공하며, 또한 심미적으로 유쾌하고 위생적으로 청결하게 보이는 백색 바탕을 제공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이러한 페이퍼는 절목(折目, dead fold) 안정성을 증진한다.
튜브 마모상의 특별한 문제점은 운반도중 거친 취급에 따른 튜브의 마모(여기서 튜브 측벽부가 분열되어 내용물이 밖으로 새어나온다)에 기인한다. 본 발명자는 페이퍼가 공지된 적층판중 가장 약한 부분이고, 또한 일단 페이퍼가 마모되기 시작하면 튜브전체가 약화되어 분열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튜브가 거친 취급에 결딜 수 있는 능력은 튜브 낙하시험으로서 후술되는 낙하시험(drop test)에 견딜 수 있는 능력과 연관된 것인데, 이 시험에서는 튜브가 마모될때까지 제품이 충진된 튜브를 반복적으로 낙하시킨다. 상업적으로 운반되는 모든 튜브속의 충진물을 상관하지 않고 함부로 취급되기 쉽고 또한 튜브 낙하시험에서 예시한 바와같이 취급도중 스트레스를 받기쉽다. 낙하시험에 완전히 합격할 수 있는 실용적인 구조가 문제점으로 남아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본 출원인과 같은 양도인의 계류중인 미합중국 특허원 제306,675호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같이 시이트 구조 내부에 양축으로 연신된 폴리프로필렌 강화층을 사용함으로써 해결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아직도 페이퍼를 포함하며 또한 어떠한 강도증가가 달성되었다 할지라도, 페이퍼의 경제성 및 안정성이 있는 다른 구조의 치수안정성을 얻고, 또한 강도를 증가시켜 더욱 고가의 효과적인 구조를 만들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콘테이너 속에서 제품의 화학적 활성을 방지하는데 있어서의 다른 하나의 개선책은 본 출원인과 같은 양도인의 계류중인 미합중국 특허원 제 306,468호에 기술되어 있는데, 이 특허에서는 박막의 접착면에서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와 박막사이에 폴리아크릴산 크롬착화합물 프라이머(primer)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튜브를 만드는데 있어서 페이퍼없이 치수가 안정한 사이트 구조를 만드는데 있으며, 이 구조는 더욱 경제적인 가격으로 내약품성 및 절목안정성을 갖는 바람직한 제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2개의 외부표면층과 복수개의 내부층을 갖는 다층 시이트 구조를 얻는데 있다. 이러한 시이트 구조는 제1외부 표면상에 제 1열접착층, 에틸렌 아크릴산 중합체의 제1접착층 및 금속박층의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에틸렌 아크릴산 공중합체의 제2접착층은 박막을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 공중합체의 제1층에 점착한다. 제1에틸렌층의 반대표면상에는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 공중합체의 제2층이 있다.
제2에틸렌층은 제1프라이머를 통하여 단일축으로 연신된 폴리프로필렌층에 접착되어 있다. 연신비는 3/1내지 4/1범위이다. 제3접착층은 시이트재료의 제2외부표면상의 제2열접차층에 폴리프로필렌층을 접착한다. 바람직하게, 폴리프로필렌층은 시이트재료의 제2외부표면(1.5mil이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조에 있어서, 제2열 접착층, 제3접착층 및 폴리프로필렌층은 3층 필름으로서 동시 압출하고, 3층 필름으로서 3/1 내지 4/1범위의 연신비로 단일축으로 동시에 연신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완성된 시이트 구조에 있어서, 3층 동시압출 연신필름의 두께는 2.0 내지 2.5mil이고 폴리프로필렌층의 두께는 약 1.0mil이다.
본 발명의 시이트재료를 튜우불러 콘테이너 형태로 만들기 위해서는 제1 및 제2열접착층이 상호 열접착하는데 적합해야 한다는 것은 필수적이다.
본 발명의 실시태양은 튜브의 외부표면을 향하여 배열된 단일축연신층을 갖는 상술된 다층 시이트재료로 만든 플랙시블 분배 튜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태양은 다층 시이트재료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단계는 먼저 3층 필름을 동시압출하고, 3/1 내지 4/1의 연신비로 3층 필름을 단일축으로 연신함으로서 0.8 내지 1.2mil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0.2 내지 0.3mil 에틸렌 메틸아크릴레이트 및 약 1.0mil의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된 3연속층을 갖는 연신필름을 형성시킨다. 상기 연신필름을 외부의 폴리프로필렌 표면상에 코로나(corona)처리한다.
이어서 처리된 필름을 폴리에틸렌이민으로 도포(prime)한다. 다음에 미리 형성된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두께는 2.75 내지 3.25mil임)을, 압출접합물로서 약 1.0mil의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하여 처리 도포된 폴리프로필렌층에 압출접합한다. 이어서 2.75 내지 3.25mil의 저밀도 폴리에틸렌층을 압출접합물로서 약 1.0mil의 에틸렌 아크릴산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알루미늄박층에 압출접합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노출된 박막표면을 폴리아크릴산계 프라이머(primer)를 사용하여 도포하여도 좋다.
마지막으로 박막을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와 폴리에틸렌 또는 선상저밀도 폴리에틸렌과의 동시압출물로 동시 압출 코팅하는데, 여기서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는 박막상에 코팅된다.
이하는 도면에 의해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숫자(10)는 전체 다층 시이트 구조의 단면을 나타낸다. 층(12),(20)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이다. 층(22)은 착색 LDPE이다. 층(14)은 에틸렌 메틸아크릴레이트(EMA)이다. 층(16)은 폴리프로필렌(PP)이다. 층(18)은 폴리에틸렌이민(PEI)프라이머이다. 층(24),(30)은 에틸렌 아크릴산 공중합체(EAA)이다. 층(26)은 알루미늄박이다. 층(28)은 폴리아크릴산 크롬 착화합물 프라이머이다. 층(32)은 선상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이다.
본 발명의 다이내믹스(dynamics)를 형성하기 위항 층들간의 특수한 결합 및 그들의 상호작용과 관련하여, 층(20) 내지(32)는 앞서 기술된 바와같이 당해 기술분야에서 알려져 있는 하부구조(substructure)를 형성하며, 또한 본 구조에는 페이퍼가 없다는 것이 밝혀졌다.
본 구조의 신규성이란 점에 있어서는 층(12),(14) 및(16)에 관심이 집중된다. 특히 층(16)은 본 발명의 신규성에 중요한 두 개의 파라미터를 가지고 있다. 첫번째 중요한 파라미터는 상기 pp가 3/1 내지 4/1의 연신비로 단일축으로 연신되어 있다는 것이다. 두번째 중요한 파라미터는 본 구조내에서 층의 위치이다. 본 발명자는 단일축 연신 pp층의 튜브의 외측을 형성할 1.5mil이내, 바람직하게는 1.0mil 이내의 시이트 구조 표면일 경우에는 예기치 않은 많은 이점이 얻어진다는 것을 알아냈다.
시이트 구조는 성형하는데 있어서는 필름하부구조로서 층(12),(14) 및(16)을 동시압출하고, 층(12),(14) 및(16) 전체가 단일축으로 연신되도록 3층 하부구조를 단일축으로 연신하는 것이 경제적이며 또한 편리하다. 연신 후, pp층을 코로나 처리하고, LDPE 필름층(20)에 압출 접합되기 전에 PEI 프라이머층(18)으로 도포한다.
제2도에 있어서, 숫자(110)은 전체층 구조를 나타낸다. 제2도에서 각층은 제1도에서와 같은 또는 유사한 작용을 하는 동일층의 2자리 숫자번호에 상응하는 100계열번호로 나타낸다. 또한 층(12) 및(112)는 모두 그들 구조의 외부층으로 작용하는 LDPE 층이며 또한 열접착성이 있다. 이와 유사한 비교는 층(114) 및(119)를 제외하고는 제2도에서의 모든 층에 적용된다. 층(114)은 제1도에서의 EMA 층(14)대신에 치환된 무수개질 폴리프로필렌 접착제이다. 층(119)은 pp층상의 프린트 작업에 사용되는 잉크이다.
제3도에 있어서 숫자(210)은 전체층 구조를 나타낸다. 제3도에서 각층은 제1도에서와 같은 또는 유사한 작용을 하는 동일층의 두자리 숫자 번호에 상응하는 200계열번호로 나타낸다. 또한 층(212),(214) 및(216)은 단일축으로 연신된 3층 하부구조를 나타내며, 층(218)은 PEI이며, 층(220) 및(222)는 LDPE이다. 층(224) 및(230) 은 EAA이다. 층(226)은 알루미늄박이다. 층(232)은 LDPE이다. 상술된 실시태양중에서 제3도가 현행 상업적 구조 저 가장 밀접하다. 이구조는 1) 페이퍼층이 없고, 2) 시이트표면의 1.5mil 이내의 단일축 연신 PP층이 첨가되었다는 점에서 현행 상업적 구조와 다르다. 물론 층(212) 및(216)도 또한 적합하게 연신되어 있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시이트 구조로 만든 튜브의 사시도이다. 숫자(34)는 튜브전체 모양을 나타내고,(37)은 튜브절단 내부를 나타낸다. 양두화살표(38)는 길이방향으로 확장하는 튜브모양을 나타낸다. 화살표(38)는 화살표 방향을 따라서, 즉 튜브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단일축으로 연신된 층의 연신방향을 나타낸다.
본 구조의 강도 및 절목안정성을 얻기 위해서는 연신 PP층이 실질적으로 1.5mil이내의 시이트 표면이어야 한다. 이것은 층(12) 및(14)상에 특정의 한계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층(12)은 튜브측벽상의 랩시일을 성형하는데 있어서 기능적으로 열접착층이기 때문에, 양호한 열접착을 완전히 성형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한도내에서 가능한 두꺼워야 바람직하다. 또한 층(14)은 지지층(12) 및(16)이 상호 접착기능을 충족시킬 경우에는 가능한 얇아야 한다. 실질적으로, 층(12)의 두께는 0.8 내지 1.2mil 범위이고 층(14)의 두께는 0.2 내지 0.3mil 범위이다. 층(16)의 두께는 약 1mil이 바람직하다.
PEI가 층(18)으로 나타낼 경우, 그것을 프라이머로서 사용하는데 있어서는 엷은 코팅이며, 또한 이 층은 단지 설명할 목적으로 나타내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할 것이다. 층(28)도 마찬가지이다. 층(22)은 일반적으로 착색된 백색 LDPE의 벌키 예비성형 필름이고, 약 2.75 내지 3.25mil의 두께를 갖는다. 층(20) LDPE는 통상적으로 층(22)와(16)을 접합하기 위한 압출접착물로서 사용되는데, 그의 두께는 약 1.0mil이 대표적이다.
층(24)은 통상적으로 층(26)의 박막에 층(22)을 접합하기 위한 압출접합물로 사용된다. 박막의 두께는 목적한 제품 및 그의 용도에 따라 0.25 내지 0.7mil 범위가 바람직하다. 박막의 제3도에서와 같이 2.0mil의 EAA 및 1.2mil의 LDPE의 비교적 두꺼운 층으로 직접 압출 코팅하여도 좋다. 또한, 제1도 및 제2도에서 보여준 바와같이 박막은 먼저 폴리아크릴산 크롬 착화합물프라이머, 층(28) 및(128)로 도포하여도 좋다. 이렇게 박막을 도포하면 프라이머는 어느 정도의 내약품성을 제공한다. 이들 구조에 있어서, 값비싼 EAA는 그의 접착기능에 필요한 량(즉, 0.5mil)으로 감소시켜도 좋다. LLDPE의 외부접착층은 2.0mil이다.
본 발명의 시이트 구조로 만든 튜브는 후술되는 낙하시험에 견딜 수 있는 강도가 증가한다. 놀랍게도, 이들 튜브는 증가된 절목안정성을 나타내는데 이것도 또한 후술된다. 이하는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LDPE, EMA 및 PP를 동시압출다이내에 공급하는 3개의 압출기를 사용하여 캐스트 동시압출하여 3층 동시압출필름을 형성시킨다. 동시압출필름을 3.2/1의 연신비로 단일축으로 연신하여 다음과 같은 2.0MIL 두께의 연신 3층 하부 구조를 형성시킨다.
0.8mil의 LDPE
0.2mil의 EMA
1.0mil의 PP
PP표면을 코로나 처리하고 PEI프라이머로 도포한다. 이어서 PP표면을 압출접착물로서 1.0mil의 LDPE를 사용하여 미리 형성된 2.75mil의 착색 LDPE 필름에 압출접합하여 프라이머를 제외한 5층 하부구조를 만든다. 이어서 2.75mil의 LDPE 표면층을 압출접합제로서 1.0mil의 EAA를 사용하여 0.7mil의 알루미늄박에 압출접합한다. 이어서 판막의 반대측을 폴리아크릴산 크롬착화합물 프라이머로 도포하고, 0.5mil의 EAA와 2.05mil의 LLDPE, 박막의 대하는 EAA, 및 완성된 시이트 구조의 제2외부표면을 형성하는 LLDPE 층으로 압출코팅한다. 제1외부표면은 단일축으로 연신된 3층 하부구조에서 LDPE이다.
[실시예 2]
또 다른 시이트 구조는 다음과 같이 층두께가 약간 다른 것 외에는 같은 방법 및 재료를 사용하여 실시예 1에서와 같이 만든다. 3층 연신 하부구조는 다음과 같이 2.5mil의 두께를 갖는다.
1.2mil의 LDPE
0.3mil의 EMA
1.0mil의 PP
다른 차이점은 박막이 0.25mil이고 LLDPE가 2.0mil이라는 것이다.
[실시예 3]
또 다른 시이트 구조는 다음에 기술하는 것외에는 같은 공정 및 재료를 사용하여 실시예 2에서와 같이 만든다. 3층 연신하부구조는 다음과 같이 2mil의 두께를 갖는다.
0.8mil의 LDPE
0.2mil의 아드머
1.0mil의 PP
아드머(Admer)는 무수개질 폴리프로필렌계 접착중합체이다. PP층을 코로나 처리하여 도포한 후, LDPE층에 압출접합되기전에 잉크로 프린트하는데, 이 경우 LDPE 층의 두께는 앞서 기술된 2.75mil 대신에 3.25mil이다.
[실시예 4]
또 다른 시이트 구조는 다음에 기술하는 것외에는 같은 방법 및 재료를 사용하여 실시예 3에서와 같이 만든다. 3층 연신구조에 있어서 0.2mil의 EMA는 0.2mil의 아드머로 대용한다. 잉크는 생략한다. 제3도의 층(220)에 상응하는 압출접합물 LDPE층은 0.8mil이다. 폴리아크릴산 크롬착화합물 프라이머는 생략한다.
최종 3층은 다음과 같다.
0.25mil의 박막
2.0mil의 EAA
1.2mil의 LDPE
제I표는 본 발명의 범위내에 없는 비교실시예 A,B 및 C의 구조에 따라 실시예 1 내지 4의 완전한 구조를 보여준다. 비교실시예 A에서는 페이퍼는 없는 단일축 연신층을 포함하지 않는다. 비교실시예 B에서는 단일축연신 PP층은 포함하지만, 실질적으로 시이트 구조의 표면으로부터 1.5mil이상이다. 비교실시예 C는 치약튜브를 만드는데 상업적으로 사용되는 종래의 시이트 구조이다.
[제I표]
Figure kpo00001
실시예 1,2 및 3 과 비교실시예 A,B 및 C의 시이트 구조는 공지된 방법에 의해 분배 튜브형태로 만든다. 즉, 튜브는 열접착법에 의해 직경이 1 내지 11/32in인 튜브를 형성하도록 길이방향으로 랩접착함으로써 형성된다. 이어서 튜브를 일정길이로 절단하고, 헤드(head)를 통상의 인서어트를 사용하여 한쪽말단에 사출성형하여 캐프(cap)한다. 튜브를 제품으로 충진하고 그 말단을 봉합한다. 이어서 충진된 튜브를 그의 목적한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시험한다.
[낙하시험]
치약으로 충진된 튜브로 낙하시험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튜브를 단단한 표면상의 4피트 높이로부터 캐프드헤드상에 낙하시킨다. 같은 튜브를 튜브당 최대 11-드롭, 변수당 3-튜브로 튜브가 마모될때까지 반복하여 낙하시킨다.
낙하시험에 의해 튜브를 평가하는데 있어서, 각 드롭은 포인트로 계산하며, 각 실시예에 대한 포인트는 각 실시예에 대한 대표치를 구하여 평균한다. 제II표는 본 발명의 시이트 구조로 만든 튜브가 물리적으로 비교실시예 A 및 B로부터의 튜브만큼 강하며 또한 비교실시예 C로부터의 튜브보다 더 강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절목시험]
치약튜브와 같은 튜브제품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제품이 사용되는 튜브를 평평하게하여 다음에 분배를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튜브 시이트재료의 절목특성은 평평하게 유지시킬수 있는 튜브의 능력을 예측한다. 스테이플랫(Stay flat) 특성은 튜브가 평평할 때 겹쳐지는 시이트 구조 측상의 절목(즉, 제1도의 층(32)와 같은 튜브의 내측에 형성할 표면상의 겹침)을 시험할 경우에 특히 중요하다. 절목시험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금속추는 절목을 만들기 위하여 사용한다. 금속추는 장방형로드 1in2, 길이 15in, 중량 1파운드이다. 시이트 재료의 각 시험편은 길이 4in, 폭 1in이다. 시험편을 평평한 표면위에 놓고 그것을 구겨지지 않게 1in 폭으로 겹치게 굽힌다. 이어서 추를 굴곡된 시험편에 대해서 장방형으로 가만히 놓아서 그것을 평평하게 겹치고 겹쳐진 시험편상에 장방형으로 유지시킨다. 30초 후 추를 제거하고 시료를 모서리부에 매단다. 30초 후 추를 제거하고 각도기로 주름이 형성된 각을 읽어서 결과를 각으로 기록한다. 제II표는 본 발명의 구조에 대한 절목안정성이 비교실시예 A 및 B의 절목안정성보다 더 양호하며 또한 실시예 1의 경우에는 비교실시예 C와 거의 같다는 것을 나타낸다.
[제II표]
Figure kpo00002
데이터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약간의 기본적인 전체 비교치를 지적할 필요가 있다. 비교실시예 C의 상업적 구조는 양호한 절목 및 낮은 낙하강도를 가지며, 다른 실시예들보다 30% 더 두꺼우며 또한 더욱 값싸다. 비교실시예 A 및 B는 낙하 강도가 양호하고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지만 절목안정성이 낮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낙하강도가 양호하고,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며 또한 절목특성에 있어서의 상업적 구조에 접근한다.
상기에서 지적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시이트 구조재료의 강도 및 절목특성은 본 구조내의 적합한 위치를 조합하여 PP층의 단일축 연신에 좌우된다고 믿어진다. 따라서 단지 PP층만이 연신되거나 또는 제1도의 12에서와 같은 PP층 및 LDPE층이 연신되는 유사한 구조에서는 유사한 결과가 얻어질 것이라고 예측된다.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목적한 용도에 따라 시이트 구조의 전체성능을 감소시키지 않고 만들어도 좋은 특정의 중합체 대용물질을 알게될 것이다. 예를들면, 본 구조의 2개의 외부층은 그들이 열접합 목적에 부합되는 한, 다른 열접합성 중합체로 만들어도 좋다. 제1도의 12에서와 같은 외부층에서 선택된 중합체에 따른 또다른 접착중합체가 층(14)에 대해서 선택되어도 좋다. 또한, 고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 공중합체는 약간의 경우에 층(20) 및(22)에서와 같이 시이트 구조의 내부층의 LDPE대신에 사용되어도 유리하다. 마찬가지로, 제도 또는 다른 잉크프린트는 다른층 표면에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조에서 특정의 층은 단일축으로 연신된다고 본 특허는 기술하고 있다. 본 발명자는 바람직한 연신방향은 기계방향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Claims (18)

  1. 2개의 외부표면층과 복수개의 내부층을 갖는 다층 시이트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시이트 구조가(a) 상기 제1외부표면상의 제1열접착층,(b) 에틸렌 아크릴산 공중합체의 제1접착층,(c) 금속박층,(d) 에틸렌 아크릴산 공중합체의 제2접착층,(e)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 공중합체의 제1층,(f) 제1프라이머,(g) 3/1 내지 4/1 범위의 연신비로 단일축으로 연신된 폴리프로필렌층,(h) 제3접착층, 및(i) 상기 제2외부표면상의 제2열접착층의 순서로 구성되며; 상기 단일축 연신 폴리프로필렌층이 1.5mil이내의 상기 제2외부표면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시이트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열접착층이 단일축 연신된 다층 시이트 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열접착층, 상기 제3접착층 및 상기 프로필렌층이 3층 필름으로서 동시압출되고 3층 필름으로서 동시에 단일축 연신(여기에서, 연신비는 3/1 내지 4/1 범위임)됨으로써 제조된 다층 시이트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열접착층이 상호 열접착하는데 적합한 다층 시이트 구조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열접착층이 상호 열접착하는데 적합한 다층 시이트 구조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라이머상에서, 및 상기 제1프라이머와 상기 제1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 공중합체층 사이에서 잉크 프린트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층 시이트 구조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박과 상기 제1접착층 사이에 제2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다층 사이트 구조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박과 상기 제1접착층 사이에 제2프라이머를 포함하는 다층 시이트 구조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3층 동시압출 연신필름의 두께가 2.0 내지 2.5mil이고, 상기 프로필렌층의 두께가 약 1.0mil인 다층 시이트 구조물.
  10. 2개의 외부표면층과 복수개의 내부층을 갖는 하나의 다층 시이트 재료로 만든 플랙시블 분배 튜브에 있어서, 상기 시이트재료는 튜브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향하여(a) 제1열접착층,(b) 에틸렌 아크릴산 공중합체의 제1접착층,(c) 금속박층,(d) 에틸렌 아크릴산 공중합체의 제2접착층,(e)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 공중합체의 제1층,(f) 제1프라이머,(g) 단일축으로 연신된 폴리프로필렌층(여기에서, 연신비는 3/1 내지 4/1 범위이고 여신방향은 상기 튜브의 길이 방향임),(h) 제3접착층, 및(i) 상기 시이트재료의 상기 제2외부표면의 제2열접착층(튜브의 외부표면을 형성함)의 연속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시이트재료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또한 상기 제1과 제2열접착표면 사이에 랩 열접착을 하며, 상기 단일축으로 연신된 폴리프로필렌층은 1.5mil 이내의 튜브 외부표면임을 특징으로 하는 플랙시블 분배 튜브.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축 연신 폴리프로필렌층이 1mil이내의 튜브 외부표면인 플랙시블 분배 튜브.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열접착층, 상기 제3접착층 및 상기 폴리프로필렌층이 모두 단일축으로 연신되며, 연신비가 3/1 내지 4/1 범위이고, 연신방향이 튜브의 길이방향인 플랙시블 분배 튜브.
  13. 2개의 외부표면층과 복수개의 내부층을 갖는 다층 시이트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시이트 구조는(a) 상기 제1외부표면에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제1열접착층,(b) 에틸렌 아크릴산 공중합체의 제1접착층,(c) 폴리아크릴산계 프라이머,(d) 금속박층,(e) 에틸렌 아크릴산 공중합체의 제2접착층,(f)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제1층,(g)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제2층,(h) 폴리에틸렌이민 프라이머,(i) 단일축으로 연신된 폴리프로필렌층,(j) 단일축으로 연신된 에틸렌 메틸 아크릴레이트의 접착층, 및(k) 상기 제2외부표면에 단일축으로 연신된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제3층의 순서로 구성되며; 상기 폴리프로필렌층, 상기 에틸렌 메틸 아크릴레이트층 및 상기 제3저밀도 폴리에틸렌층의 연신비는 모두 3/1 내지 4/1 범위로 같으며; 상기 폴리프로필렌층은 1.5mil이내의 상기 제2표면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시이트 구조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전체 시이트 구조의 두께가 약 10mil인 다층 시이트 구조물.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저밀도 폴리에틸렌층의 두께가 약 1.2mil이며, 상기 에틸렌 메틸 아크릴레이트층의 두께가 약 0.3mil이며, 상기 폴리프로필렌층의 두께가 약 1.0mil이며, 전체 시이트 구조의 두께가 약 10mil인 다층 시이트 구조물.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저밀도 폴리에틸렌층의 두께가 약 0.8mil이며, 상기 에틸렌 메틸 아크릴 레이트층의 두께가 약 0.2mil이며, 상기 프로필렌층의 두께가 약 1.0mil이며, 전체 시이트 구조의 두께가 약 10mil인 다층 시이트 구조물.
  17. (a) 3층 필름을 동시압출하고 3/1 내지 4/1의 연신비로 단일축으로 상기 필름을 연신함으로써 0.8내지 1.2mil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0.2 내지 0.3mil의 에틸렌 메틸 아크릴레이트 및 약 1.0mil의 폴리프로필렌의 3연속층을 구성된 연신필름을 형성시켜;(b) 상기 연신 3층 필름의 폴리프로필렌 표면을 코로나 처리하며;(c) 상기 연신 3층 필름의 폴리프로필렌 표면을 폴리에틸렌 이민으로 도포하며;(d) 압출 접합물로서 약 1.0mil의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하여 상기 처리·도포된 폴리프로필렌층에 약 2.75 내지 3.25mil의 두께를 갖는 미리 형성된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을 압출 접합하며;(e) 압출 접합물로서 약 1.0mil의 에틸렌 아크릴산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알루미늄 박층에 상기 2.75 내지 3.25mil의 저밀도 폴리에틸렌층을 압출 접합하며;(f) 에틸렌 아크릴산 공중합체와 폴리에틸렌 또는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동시압출물로 상기 박막을 동시 압출코팅하는(여기에서, 상기 에틸렌 아크릴산 공중합체는 상기 박막상에 코팅되며, 상기 시이트재료의 전체 두께는 약 10mil임)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시이트 재료의 제조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을 동시 압출코팅하기 전에 폴리아크릴산 크롬 착화합물 프라이머로 상기 박막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19840001766A 1983-04-05 1984-04-04 다층 플랙시블 시이트 구조 KR9100088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8235083A 1983-04-05 1983-04-05
US482350 1983-04-05
US482,350 1983-04-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8611A KR840008611A (ko) 1984-12-17
KR910008844B1 true KR910008844B1 (ko) 1991-10-21

Family

ID=23915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1766A KR910008844B1 (ko) 1983-04-05 1984-04-04 다층 플랙시블 시이트 구조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EP (1) EP0121336B1 (ko)
JP (1) JPS59198143A (ko)
KR (1) KR910008844B1 (ko)
AT (1) ATE39230T1 (ko)
AU (1) AU568118B2 (ko)
BR (1) BR8400602A (ko)
DE (1) DE3475604D1 (ko)
DK (1) DK116584A (ko)
ES (2) ES531279A0 (ko)
FI (1) FI80401C (ko)
GR (1) GR79096B (ko)
HK (1) HK24690A (ko)
IE (1) IE55048B1 (ko)
IL (1) IL71267A (ko)
IN (1) IN162263B (ko)
NO (1) NO165528C (ko)
NZ (1) NZ207225A (ko)
PH (1) PH24113A (ko)
PT (1) PT78357A (ko)
TR (1) TR22048A (ko)
ZA (1) ZA84146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9408A (en) * 1984-05-29 1987-04-21 American Can Company Multi-layer sheet structure, method of making same and containers made therefrom
JPS6244967A (ja) * 1985-08-22 1987-02-26 富士通株式会社 電磁シ−ルドコネクタの構造
JPS6293041U (ko) * 1985-11-30 1987-06-13
JP3258800B2 (ja) * 1993-12-30 2002-02-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積層材
EP0721975B1 (en) * 1995-01-12 2000-02-02 Showa Denko Kabushiki Kaisha Adhesive resin composition and laminate thereof and production process of laminate
EP1727672A1 (de) * 2004-03-15 2006-12-06 CCL Label GmbH Verbundfolie für einen behälter, insbesondere eine tube
GB2468309A (en) * 2009-03-03 2010-09-08 Amcor Flexibles Transpac Nv Chemically resistant laminate film, for packaging
EP2714394A4 (en) 2011-05-31 2016-07-13 Essel Propack Ltd BARRIER STRUCTURE AND LAMINATE THEREFOR
EP2949465B1 (en) * 2014-05-30 2020-12-09 Albéa Services Highly decorated tube, especially highly decorated laminate tub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47419A (en) * 1965-01-21 1967-10-17 American Can Co Collapsible dispensing tube
US3343663A (en) * 1965-10-24 1967-09-26 Dow Chemical Co Package and laminate thereof
US4364989A (en) * 1981-03-19 1982-12-21 Rexham Corporation Snack food packaging material
US4418841A (en) * 1982-11-23 1983-12-06 American Can Company Multiple layer flexible sheet structure
US4363841A (en) * 1981-12-28 1982-12-14 Champion International Corporation Laminated packaging material
AU559144B2 (en) * 1982-01-18 1987-02-26 American National Can Corp. Aluminum foil laminates
SE450756B (sv) * 1983-10-05 1987-07-27 Tetra Pak Int Forpackningslaminat innefattande en pappersberare, ett aluminiumskikt och skikt av lagdensitetspolyeten
US4659408A (en) * 1984-05-29 1987-04-21 American Can Company Multi-layer sheet structure, method of making same and containers made therefro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8611A (ko) 1984-12-17
IE840564L (en) 1984-10-05
PT78357A (en) 1984-05-01
DK116584D0 (da) 1984-02-28
NZ207225A (en) 1986-09-10
HK24690A (en) 1990-04-06
PH24113A (en) 1990-03-05
TR22048A (tr) 1986-02-07
FI80401C (fi) 1990-06-11
IN162263B (ko) 1988-04-23
EP0121336A3 (en) 1985-11-06
EP0121336B1 (en) 1988-12-14
IE55048B1 (en) 1990-05-09
NO165528C (no) 1991-02-27
DK116584A (da) 1984-10-06
AU2468684A (en) 1984-10-11
GR79096B (ko) 1984-10-02
NO165528B (no) 1990-11-19
FI841361A0 (fi) 1984-04-05
BR8400602A (pt) 1985-02-05
NO840892L (no) 1984-10-08
ES295820Y (es) 1988-01-01
JPS59198143A (ja) 1984-11-09
ATE39230T1 (de) 1988-12-15
ZA841469B (en) 1985-01-30
ES295820U (es) 1987-07-01
ES8600620A1 (es) 1985-11-01
AU568118B2 (en) 1987-12-17
ES531279A0 (es) 1985-11-01
IL71267A (en) 1989-08-15
DE3475604D1 (en) 1989-01-19
EP0121336A2 (en) 1984-10-10
FI841361A (fi) 1984-10-06
JPS6353029B2 (ko) 1988-10-20
FI80401B (fi) 1990-02-28
IL71267A0 (en) 1984-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4801B1 (ko) 다층 플랙시블 시이트 구조물 및 이의 제조방법
RU2248885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е структуры из полимеров, полученных с применением катализаторов с одним активным центром
US4943780A (en) Multi-layer sheet structure, method of making same and containers made therefrom
JP4738459B2 (ja) 積層された包装材料及び前記の積層された材料の製造の方法
JP2615191B2 (ja) 遮断ストレッチフィルム
EP0795492B1 (en) Product package having reliable openability
US20040166261A1 (en) Heat-shrinkable packaging receptacle
JPH06510310A (ja) 流動性物質の包装用ポーチ
CN108602334B (zh) 用于容器的铝阻隔层压体和在肩部的阻隔衬里
KR20100029185A (ko) 접이식 튜브 용기
KR910008844B1 (ko) 다층 플랙시블 시이트 구조
RU2053944C1 (ru) Гибкий упаковочный материал
US4335175A (en) Thermoplastic film laminates
FI85121C (fi) Laminerat behaollare av fluoriderad polyeten.
JP2001038861A (ja) ラミネートチューブ用積層フィルム
GB2168925A (en) Substrate containing polypropylene and articles made therefrom
JPH03153346A (ja) ラミネートチューブ用原反
EP4275863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tube laminate, tube laminate and tube packaging
JPH08301312A (ja) 積層チューブ容器
JPS6169454A (ja) 多層シ−ト構造及びその製法
JPH04212843A (ja) ラミネートチューブ用原反
NZ202957A (en) Aluminium foil/ethylene copolymer laminate web and containers made therefrom
JPH11138697A (ja) ラミネ−トチュ−ブ容器形成用積層材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ラミネ−トチュ−ブ容器
JPH10249966A (ja) ラミネ−トチュ−ブ容器
JP2017197199A (ja) チューブ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