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8530B1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8530B1
KR910008530B1 KR1019870007898A KR870007898A KR910008530B1 KR 910008530 B1 KR910008530 B1 KR 910008530B1 KR 1019870007898 A KR1019870007898 A KR 1019870007898A KR 870007898 A KR870007898 A KR 870007898A KR 910008530 B1 KR910008530 B1 KR 910008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housing
contact
members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7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2298A (ko
Inventor
가즈히사 베쯔이
Original Assignee
에이 엠 피 인코포레이티드
제이 엘. 사이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 엠 피 인코포레이티드, 제이 엘. 사이칙 filed Critical 에이 엠 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80002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01R13/4223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제1도는 조립하기 이전의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부분품 사시도.
제2도는 조립된 상태에서 제1도의 커넥터의 사시도.
제3도 및 4도는 제2도의 선 III-III 및 IV-IV를 따라 취해진 횡단면도.
제5도 및 6도는 커넥터 하우징을 각기 도시하는 정면도 및 평면도.
제7a, b도는 폐쇄위치로 커넥터의 로킹부재를 보유하는 탄성결합부재를 결합위치에서 도시하는 횡단면도.
제8a, b도는 종래 기술 커넥터의 로킹부재의 결합 배열을 도시하는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커넥터 하우징 2 및 6 : 제1 및 제2리셉터클 접촉부
11 및 15 : 제 1 및 제2 하우징 14 : 레버
20, 30 : 로킹부재 23, 33 : 탄성결합부재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중 로크(lock)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배선용의 이중 로크형 전기 커넥터는 널리 사용되어 왔다. 이중 로크형 커넥터는 커넥터 하우징의 접촉-보유 통로내에서 탄성 변형 가능한 랜스(lance)와, 힌지(hinge)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에 결합된 로킹 부재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한 단부가 전선에 접속된 전기적 접촉부가 접촉-보유 통로내로 삽입될 때, 접촉부는 랜스의 탄성력에 의해 접촉부의 견부와 맞물리는 랜스에 의해 통로에서 보유되고, 로킹부재에 의해 통로에서 로크된다. 그리하여 접촉부는 통로내에서 유지된다. 더욱이, 로킹부재는 하우징의 개방부를 통해 접촉 보유 통로내로 돌출시킴으로써 접촉부의 견부와 맞물리는 로킹 돌출부를 가지고 있다.그리하여, 접촉부는 통로에서 이중 로크되고 보유된다. 따라서, 접촉부가 이중 로킹 장치에 의해 통로에서 견고하게 보유되기 때문에, 이러한 커넥터는 인장력에 영향받을 수 있는 자동차의 배선 장치용으로 널리 사용된다.
상기 이중 로크 커넥터에서, 접촉부가 로킹부재에 의해 로크되고 보유될 때, 접촉부는 로킹부재가 폐쇄위치로 이동될 때 하우징의 접촉-보유 통로 내부에서 로킹 돌출부에 의해 로크되고 보유된다. 이때 로킹위치로 로킹부재를 보유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공지된 커넥터의 하우징 및 로킹부재의 결합 부분은 로킹부재가 로킹위치로 이동될 때 맞물려지는 상기 결합 부분에 의해 로킹위치에서 로킹부재를 유지시킨다. 그리하여, 로킹부재는 하우징에 의해 결합되고 보유된다.
그러나, 접촉부는 하우징내에서 두개의 횡렬로 수직으로 정렬되고, 때로는 로킹부재는 하우징의 양 측면에 위치된다. 이 경우에, 각 로킹위치에서 보유될 하우징과 함께 결합되어야 한다. 그리하여, 자동차의 배선용으로 사용된 접촉부는 매우 작으며 커넥터 하우징도 역시 때문에, 결합 부분도 작아져야 하므로 두 로킹부재에서 결합 부분을 갖는 작은 하우징을 제조하기가 어렵다. 더욱이, 결합 부분의 크기가 작은 경우 이 결합장치가 불완전할 수도 있으며 결합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문제가 야기된다.
상기 기술한 문제를 고려할 때 본 발명의 목적은 로킹부재가 하우징의 측면에 접합될 때 로크 위치로 두 로킹 부재를 견고하게 보유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에서, 하우징은 그 후면에서 부터 전면으로 연장하는 접촉-보유 통로를 갖추고 있으며, 로킹 개방부는 하우징의 양쪽에 위치된다. 더욱이, 하우징의 양쪽에서 로킹 개방부를 폐쇄시키는 로킹부재는 하우징에 힌지되며, 로킹 돌출부는 로킹부재 위에 위치한다. 이들 로킹 돌출부는 접촉-보유 통로 내부에서 돌출하여 로킹부재가 폐쇄위치로 이동될 때 접촉부와 맞물려지고 이로 인해 로킹 개방부를 폐쇄시킴으로써 접촉-보유 통로에 삽입된 접촉부를 로크하고 보유하게 된다. 로킹부재중의 하나는 결합 돌출부를 갖는 제1탄성부재를 갖추고 있으며 다른 로킹부재는 개구부를 갖는 제2탄성부재를 갖추고 있다. 로킹부재가 로킹 개방부를 폐쇄하기 위해 각기 폐쇄될 때, 제1 및 제2탄성부재는 로킹부재와 함께 이동되며 각 탄성부재의 일부는 접촉-보유 통로의 외부에 위치되며, 그리하여 결합 돌출부는 개구부와 결합 가능하게 맞물려지며 두 탄성부재가 서로 결합되도록 이 위치에서 유지된다. 이로 인해 두 래칭부재는 폐쇄위치에서 유지되게 된다.
상기 설명된 커넥터에 있어서, 두 로킹부재는 접촉-보유 통로에 삽입된 접촉부가 하우징의 양쪽에 힌지되어 있는 로킹부재에 의해 로크된 위치에서 보유될 때 두 로킹부재상의 제1 및 제2탄성부재의 맞물림에 의해 로킹위치에서 유지된다. 그리하여, 하우징과 로킹부재와의 결합 맞물림은 필요치 않으며, 더욱이, 두 로킹부재는 한 위치에서 결합 맞물림에 의해 로크된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결합부분은 로킹위치에서 로킹부재를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더 크게 만들어질 수 있다.
다음은 도면에 관하여 예로써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커넥터는 커넥터 하우징(10) 및 하우징에 접속된 전선(1)을 가지고 있는 제 1 및 제2리셉터클 접촉부(2,6)를 구비한다. 하우징(10)은 리브(19)에 의해 일체로 연계된 제1 및 제2하우징(11 및 15)이 수직 배열되어 있다. 제1 및 제2접촉통로(12 및 16)는 제1 및 제2하우징(11 및 15)를 통하여 화살표 A로 도시된 방향으로)각기 연장한다. 더욱이, 제1 및 제2 하우징(11 및 15)의 양쪽면에는 제1 및 제2 접촉보유 통로(12 및 16)와 각기 통하는 제1로킹개방부(13a,13b) 및 제2 로킹개방부(17a, 17b)가 위치된다.(제1도에서(13b 및 17b)는 도시되지 않음).
로킹부재(20,30)는 수직방향으로 연장하는 힌지부(25,35)를 통하여 로킹개방부의 배면에서 선회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하여, 로킹개방부(13a,13b,17a,17b)는 이들 로킹부재에 의해 폐쇄되고 개방될 수 있다. 로킹부재(20, 30)의 상세한 설명은 이후에 하기로 한다.
이 커넥터에서, 제1 및 제2리셉터클 접촉부(2 및 6)는 제1도에 도시된 대로 하우징(11,15)의 후단부에서부터 제1 및 제2접촉통로(12 및 16)내로 가기 삽입한다.
먼저, 전선(1)의 전도체 및 절연체는 제1리셉터클 접촉부(2)의 후단부에 형성된 전선-접속 탭(5a,5b)으로 각기 맞물려지고, 상기 제1리셉터클 접촉부는 제3 및 4도에 도시된대로 제1 접촉-보유 통로(12)내로 삽입된다. 보족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단자의 탭(50)은 전단부에서 중앙 탄성설편(tongue)(3) 및 탭-물림부재(4)에 의해 수용되어 유지된다. 중앙설편(3)은 그 자체가 뒤로 접힌 바닥판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1)의 해체레버(14)의 하부면을 대하여 위로 연장하는 걸림턱(3b)을 가지고 있다.
레버(14)는 제1하우징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하여, 레버(14)가 압축될 때, 중앙설편(3)의 걸림턱(3b)도 역시 압축된다. 결합 돌출부(31)는 중앙설편(3)의 측면방향으로 중심부에 위치한다. 결합 돌출부(3a)가 탭(50)의 결합 구멍(51)으로 들어갈 때, 이것은 중앙설편(3)과 탭-물림부재(4) 사이에서 결합되게 유지된다.
탭(50)은 중앙설편(3)의 걸림턱(3b)을 내리누르며 그리고 결합 돌출부(3a)를 결합구멍(51)과 이탈시키는 레버를 눌러서 제거될 수 있다. 그리하여, 탭(50)은 접촉부(2)에서부터 인발될 수 있다. 또한 , 제1 접촉-보유 통로(12) 내부에서 앞으로 돌출하는 한쌍의 제1탄성 랜스(12a)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접촉-보유 통로의 상부면에서부터 일체로 연장한다. 리셉터클 접촉부(2)의 탭-물림부재(4)의 내부 단부(4a)는 랜스(12a)의 견부로 맞물려지며 이로 인해 통로(12)내 위치에서 접촉부(2)가 유지된다.
제2접촉-보유 통로(1)내로 삽입되는 제2리셉터클 접촉부(6)는 그 후단부에서 각기 형성된 전선-접속 탭(9a 및 9b)에 의해 전선(1)의 전도체와 절연재를 끼워 둔다. 접촉부(6)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탭-물림부재(7)와 바닥부재(8) 사이에서 보적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단자의 탭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제2탄성랜스(16a)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접촉-보유 통로(16)의 중앙위치에서 상부면에서부터 앞으로 연장한다. 제2리셉터클 접촉부(6)가 그 후단부에서부터 제2접촉-보유 통로(16)내로 삽입될 때, 탭-물림부재(7)의 내부단부(7a)는 제 2탄성랜스(16a)는 자유단부에 의해 맞물려지고, 이로 인해 통로(16)내 위치에서 접촉부(6)를 유지시킨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로킹 구조물중의 하나는 제1 및 제2탄성트랜스(12a 및 16a)로 구성된다. 다음의 설명은 다른 로킹 구조물을 구성하는 로킹부재(20,30)에 대한 설명이다. 로킹부재(20,30)는 제5도 및 6도를 참조하여 설명되며, 여기에서 로킹부재(20,30)는 일체 힌지(25,35)를 통하여 하우징(10)과 선회가능하게 결속된다. 로킹위치에서, 로킹부재(20,30)가 (제6도의)화살표 B의 방향으로 이동될 때, 로킹 부재(20,30)는 폐쇄위치에 있게 되며, 이로 인해 제1 및 제2로킹개방부(13a,13b, 17a,17b)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혀진다. 각 로킹부재(20,30)는 그 상부 및 하부에서 제1로킹 돌출부(21 31) 및 제2 로킹 개방부(22,32)를 각기 갖추고 있으며, 이들 돌출부들은 로킹부재(20,30)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 제1 및 제2로킹개방부(13a, 13b,17a,17b)를 통하여 제1 및 제2접촉-보유 통로(12 및 16)내부에서 돌출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접촉-보유 통로(12 및 16)내부에서 돌출하는 로킹 돌출부(21,31, 22,32)의 전단부 면들은 제1 및 제2리셉터클 접촉부(2 및 6)의 탭- 물림부재(4,7)의 내부단부(4a,7a)와 맞물리며, 이로 인해 접촉부가 통로에서 유지되는 것을 확실히 한다.
따라서, 제2 로킹 장치는 제1 및 제2로킹부재가 폐쇄위치로 이동될 때 실현되지만, 제1및 제2로킹부재(20 및 30)는 로킹위치에서 이들을 유지하기 위하여 폐쇄위치에서 유지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결합 돌출부(23a)를 갖는 제1탄성부재(23)를 갖는 제2탄성부재(33)는 제1및 제2로킹부재(20및 30)와 각기 일체를 이룬다. 로킹부재(20, 30)가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로 이동될 때, 두 탄성부재(23 및 33)는 리브(19)내 개구(19a)내부에서 연장하며 제 7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돌출부(23a)는 개구(33a) 내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및 제2로킹부재(20 및 30)는 결합 돌출부(23a) 및 개구(33a)를 통해 서로 결합되는 탄성부재(23 및 33)에 의해 폐쇄위치에서 유지된다.
제8a도는 종래 기술의 커넥터의 위치에서 결합되어 유지된 로킹부재(20',30')를 도시한다. 제8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부재(20',30')중의 탄성부재(23,'33')의 결합개구(23a',33a')는 하우징(15')의 결합 돌출부(18')와 결합 가능하게 맞물려진다. 상기 구조에서, 탄성부재(23',33')는 결합 돌출부(18')가 더 크게 만들 수 없기 때문에 작게 만들어 진다. 그리하여, 이 결합 장치는 본 발명의 장치와 비교하여 신뢰성이 없다.즉, 본 발명에서는 한 위치에서만 결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결합개구 및 결합 돌출부는 더 크게 만들수 있으며, 그리하여 두 탄성부재는 서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더욱이, 하우징이, 예로, 외부적인 힘 또는 열에 의해 구부러진다면,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15)과 탄성부재(23,33)와의 결합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제7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대로 유지된다. 그 반대로, 종래 기술 커넥터에 있어서, 탄성부재(23',33')는 제 8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돌출부(18')에서 결합되지 않기 쉽다. 비록 두 접촉부를 갖는 커넥터가 본 발명의 설명으로 사용될지라도, 본 발명은 하나 또는 세 개 이상의 커넥터를 갖는 커넥터에도 응용될 수 있다. 또한, 접촉-보유 통로내에 삽입된 접촉부가 탄성랜스 및 로킹부재에 의해 로크되어 있는 이중로크형 커넥터가 본 발명의 설명에서 사용되었는데, 본 발명은 또한 로킹 작용이 탄성랜스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로킹부재에 의해 이루어지는 커넥터에도 응용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자.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서, 로킹부재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 전기 접촉부는 하우징의 측면에 일체로 힌지된 로킹부재의 로킹 돌출부에 의해 로크되고 유지되는데, 이는 로킹부재가 로킹부재상의 제1및 제2탄성부재의 결합개구 및 결합 돌출부의 결합 맞물림에 의해 폐쇄위치에서 유지되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하우징과 로킹부재의 결합 맞물림은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예로, 하우징이 굽어지므로써 야기된 탄성 부재의 불결합은 발생하지 않는다. 더욱이, 탄성부재의 결합은 매우 좋은데, 이는 로킹부재가 단 하나의 상태인 폐쇄위치에서 유지되므로 결합개구 및 결합 돌출부를 더 크게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Claims (3)

  1. 하우징 내부의 접촉-보유 통로(12 및 16)위치에서 전기 접촉부(2 및 6)를 유지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 하우징(10)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통로(12,16)와 소통하는 하우징의 측면에서의 로킹개방부(13a,13b,17a,17b)를 폐쇄하기 위한 로킹부재(20 및 30)와, 상기 로킹부재(20 및 30)가 상기 로킹개방부(13a,13b,17a,17b)를 폐쇄할 때 접촉부(2 및 6)와 맞물려지고 이로 인해 접촉부를 통로(12 및 16)내 위치에서 유지시키는 상기 로킹부재(20및30)상의 로킹 돌출부(21,22,31 및 32)및 , 상기 로킹부재(20및 30)가 폐쇄 위치에 있을때 상기 하우징(10)에서 서로가 결합 가능하게 맞물리는 결합부분(23a,33b)를 가지고 이로 인해 상기 로킹부재(20 및 30)를 폐쇄위치에서 유지시키는 로킹부재상의 탄성 래칭부재(23 및 3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하우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분(23a 및 33a)은 상기 탄성 결합부재(23 및 33)중의 한 부재에서 결합 돌출부(23a)의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결합부재(23 및 33)의 다른 부재에서 결합개구(33a)의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하우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보유 통로(12 및 16)는 상기 통로(12 및 16)내에 전기 접촉부(2 및 6)를 최초로 유지하기 위해 접촉부와 맞물리기 위한 일체 탄성랜스(12a 및 16a)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하우징.
KR1019870007898A 1986-07-21 1987-07-21 전기 커넥터 KR9100085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71481 1986-07-21
JP171,481 1986-07-21
JP61171481A JPS6332876A (ja) 1986-07-21 1986-07-21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2298A KR880002298A (ko) 1988-04-30
KR910008530B1 true KR910008530B1 (ko) 1991-10-18

Family

ID=15923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7898A KR910008530B1 (ko) 1986-07-21 1987-07-21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753612A (ko)
EP (1) EP0254425B1 (ko)
JP (1) JPS6332876A (ko)
KR (1) KR910008530B1 (ko)
BR (1) BR8703759A (ko)
DE (1) DE3779203D1 (ko)
ES (1) ES2031504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095Y2 (ja) * 1987-04-30 1995-05-01 アンプ・インコ−ポレ−テッド 電気コネクタ
US4813889A (en) * 1987-10-13 1989-03-21 Interlock Corporation Electrical receptacle terminal connector with visually inspectable components
US4971579A (en) * 1988-10-14 1990-11-20 Interlock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removable terminal guide and lock
JPH02244574A (ja) * 1989-03-17 1990-09-28 Yazaki Corp コネクタ
US4979915A (en) * 1989-09-20 1990-12-25 Amp Incorporated Wire to wire electrical connector with blade contact
US4979913A (en) * 1989-10-26 1990-12-25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hinged secondary lock
US5203722A (en) * 1990-09-28 1993-04-20 Amp Incorporated Double-lock electrical connector
JP3440539B2 (ja) * 1994-03-22 2003-08-25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端子係止構造及び端子金具の製造方法
JP2852497B2 (ja) * 1995-03-16 1999-02-03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電気コネクタ
US5647775A (en) * 1995-12-07 1997-07-15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locking means
US6024605A (en) * 1997-12-19 2000-02-15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interlocking living hinge
JP4168478B2 (ja) * 1998-04-30 2008-10-22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電気コネクタ
US6793537B2 (en) * 2002-12-30 2004-09-21 Methode Electronics, Inc. Wire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of forming same
JP2008117649A (ja) * 2006-11-06 2008-05-22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US8152554B2 (en) * 2007-03-14 2012-04-10 Zonit Structured Solutions, Llc Locking electrical receptacle
US9431763B2 (en) 2010-04-15 2016-08-30 Zonit Structured Solutions, Llc Frictional locking receptacle with release operated by actuator
US9065207B2 (en) * 2008-03-14 2015-06-23 Zonit Structured Solutions, Llc Locking electrical receptacle
KR101540809B1 (ko) * 2008-10-09 2015-07-30 타이코에이엠피(유)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US11581682B2 (en) 2013-03-15 2023-02-14 Zonit Structured Solutions, Llc Frictional locking receptacle with programmable release
JP6763896B2 (ja) * 2018-02-15 2020-09-3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110457U (de) * 1970-04-14 1974-06-27 Amp Inc Elektrische Verbinderanordnung
GB1315693A (en) * 1970-05-07 1973-05-02 Amp Inc Electrical connector housings
BE793077A (fr) * 1971-12-22 1973-06-20 Amp Inc Boitier de connecteur electrique
US4045112A (en) * 1976-04-05 1977-08-30 General Motors Corporation Unitary insulator housing with secondary latch means and electrical connector utilizing same
US4114971A (en) * 1976-09-30 1978-09-19 Van Products, A Division Of Standex International Corporation Cluster assembly and block therefor
US4200350A (en) * 1978-03-20 1980-04-29 Amp Incorporated Toolless retention system
US4243287A (en) * 1978-12-28 1981-01-06 General Electric Company Dead front plug with insulation penetrating contacts
US4329009A (en) * 1979-09-04 1982-05-11 General Motor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US4253719A (en) * 1980-01-28 1981-03-03 Methode Electronics, Inc. Electrical edge connector
GB2071926B (en) * 1980-03-13 1984-02-08 Labinal Connector housing with contact retaining means
DE3104207C2 (de) * 1981-02-06 1984-11-29 Grote & Hartmann Gmbh & Co Kg, 5600 Wuppertal Elektrischer Steckverbinder
US4413872A (en) * 1981-05-11 1983-11-08 Amp Incorporated Preloaded electrical connector
US4449773A (en) * 1982-05-07 1984-05-22 Amp Incorporated Low insertion force connector
JPS59117073U (ja) * 1983-01-27 1984-08-07 東洋ハ−ネス株式会社 コネクタハウジング用端子
JPS60115466U (ja) * 1984-01-13 1985-08-05 品川商工株式会社 端子用絶縁カバ−
JPS61232577A (ja) * 1985-04-08 1986-10-16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用ハウジン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20871B2 (ko) 1991-03-20
JPS6332876A (ja) 1988-02-12
EP0254425A1 (en) 1988-01-27
EP0254425B1 (en) 1992-05-20
KR880002298A (ko) 1988-04-30
DE3779203D1 (de) 1992-06-25
ES2031504T3 (es) 1992-12-16
BR8703759A (pt) 1988-03-29
US4753612A (en) 1988-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8530B1 (ko) 전기 커넥터
US5035644A (en) Proper coupling confirming mechanism for an electric connector
US4969841A (en) Double locking structure for terminal in electrical connectors
US6364683B1 (en) Electrical connector
JP2622938B2 (ja) 端子位置保証部材付き電気コネクター
KR100198412B1 (ko) 전방 단부에 단자 위치 확정 장치가 장착된 커넥터
KR950004986B1 (ko) 전기 접속기
JP3705452B2 (ja) 半嵌合防止コネクタ
US6116954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making contact with at least one flat foil conductor
US5389014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secondary locking mechanism
US5160283A (en) Terminal positioning assurance device
JPH0536778U (ja) コネクタ
US5921807A (en) Crimping connector
JP4658429B2 (ja) フレキシブル回路の接続装置の改良
US5997359A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4758183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wire cover
US4997385A (en) Electrical connector
US5733144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flexible retaining piece
US5224876A (en) Electrical connector
JPS64791B2 (ko)
JP2848511B2 (ja) 電気接続箱の暗電流回路断続機構
NL8700490A (nl) Electrisch verbindingsorgaan met electrische contacten voorzien van houdorganen.
US5273453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positive latch
JP2651397B2 (ja) 電気コネクタ
US4504104A (en) Unitary wiring device bo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00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