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8442B1 - 콤바인의 선별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콤바인의 선별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8442B1
KR910008442B1 KR1019880013304A KR880013304A KR910008442B1 KR 910008442 B1 KR910008442 B1 KR 910008442B1 KR 1019880013304 A KR1019880013304 A KR 1019880013304A KR 880013304 A KR880013304 A KR 880013304A KR 910008442 B1 KR910008442 B1 KR 910008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ing
gap
grain
amount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3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1521A (ko
Inventor
시게오 사또오
신로꾸 나까지마
Original Assignee
구보다 뎃꼬오 가부시끼가이샤
미노 시게가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보다 뎃꼬오 가부시끼가이샤, 미노 시게가즈 filed Critical 구보다 뎃꼬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11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1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콤바인의 선별제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의 선별제어장치의 실시예의 제어구성의 블럭도.
제2a, b, c도는 제어작동의 흐름도.
제3a도는 차속과 선별상태의 관계를 도시한 설명, 동도(나)는 선별풍량(風量)의 보정치와 차속의 관계를 도시한 설명도, 동도(다)는 왕겨개도(開度)의 보정치와 차속의 관계를 도시한 설명도.
제4도는 콤바인의 개략측면도.
제5도는 전동계통도.
제6도는 탈곡장치의 잘린 측면도.
제7도는 왕겨 체의 구성을 도시한 잘린 측면도.
제8도는 그 주요부 확대 측면도.
제9도는 띠판형상부재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전개 평면도.
제10도는 당기(唐箕)의 변속구조를 도시한 주요부 측면도.
제11도는 당기의 입력 풀리부의 잘린 정면도.
제12도는 캠형성부재의 전개 평면도.
제13a, b도는 타임챠트.
제14도는 탈곡자동스위치의 정면도.
제15도는 곡물줄기(穀桿)공급량 검출수단의 다른 실시예로서의 곡물줄기 검출수단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탈곡장치 14 : 당기
15 : 요동선별판 21 : 왕겨 체
100 : 제어수단 A : 취급실
a, a′ : 띠판형상부재 S : 간극
S1: 차속검출수단 M1 : 간극조절용의 작동기
M2: 송풍량 조절용의 작동기
본 발명은 탈곡장치의 취급실에서의 낙하처리물을 선별 처리하는 요동선별장치와, 선별풍을 송풍하는 당기(키)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요동 선별장치에는 처리물 이송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는 띠판형상부재로 구성되는 왕겨 체가 구비된 콤바인을 위한 선별제어장치이고, 이 선별장치가 상기 취급실로 공급되는 곡물줄기의 공급량에 따라서, 상기 각 띠판형상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 및 상기 당기의 송풍량을 변경 조절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 종류의 콤바인의 선별제어장치로는 취급실에 공급되는 곡물줄기의 공급량을 검출하기 위해 콤바인의 주행속도를 이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선별제어장치는, 주행속도 예컨대 차속이 크게 될수록, 탈곡장치에 공급되는 곡물줄기량은 크게 되고 거기에 따라서 취급실에서의 낙하처리물량이 크게되는 것에 감안하여 왕겨 체에 있어서의 띠판형상부재의 간격이나 당기의 송풍량을 주행속도에 맞추어서 자동적으로 변경 조절시키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주행속도가 변화된 시점에서 취급에서의 낙하처리물량이 변화할 때까지는, 시간지연이 생기는 것이다. 환언하면, 상기 시간지연의 사이는 변속전의 주행속도에 대응하는 낙하처리물량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는 일본국 특개소 61-170311호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주행 속도가 감속됐을 때에는, 일정시간의 지연을 가지고, 간격조절과 풍량조절의 제어를 행하는 것으로 곡식 낟알이 원하는 대로 선별 회수되지 않고 탈곡장치 밖으로 배출되어 버리는, 소위 3번 손실의 발생을 회피시키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간극조절과 풍량조절을 같은 지연시간을 가지고 제어하고 있기 때문에, 최적한 선별제어가 할 수 없고, 3번 손실을 충분히 방지할 수 없었다.
이것은 당기의 송풍량이 적어지도록 송풍량을 조절하여도, 선별개소에서의 풍량이 낙하처리물량에 적합한 풍량으로 감소할 때까지는 상당한 시간지연이 있어서, 이것 때문에 생기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격과 송풍량의 조절제약을 각각 다른 지연시간을 가지고 별개로 행할 수 있는 콤바인의 선별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선별제어장치는 각 띠판형상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을 변경 조절하는 간격조절용 작동기, 당기의 송풍량을 변경 조절하는 송풍량 조절용 작동기, 취급실로의 곡물줄기공급량을 검출하는 곡물줄기공급량 검출수단, 및 상기 곡물줄기공급량 검출수단에서의 신호에 따라서 상기 간격조절용 작동기와 상기 송풍량 조절용 작동기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취급실로의 곡물줄기공급량이 증가하면 상기 간격을 크게 또한 상기 송풍량을 크게하도록 상기 간격조절용 작동기와 상기 송풍량 조절용 작동기를 처리증가 제어하고, 송풍량을 작게하도록 상기 간격조절용 작동기와 상기 송풍량 조절용 작동기를 처리감소 제어하고, 또한 상기 제어수단운 상기 처리감소 제어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용 작동기에 대한 제어를 지연시간을 가지고 행함과 동시에 상기 송풍량 조절용 작동기에 대한 제어는 상기 간격조절용 작동기에 대한 제어보다 빠른 타이밍을 가지고 행한다.
이 구성에 의해 곡물줄기의 공급량이 감소될 때는, 감소된 공급량에 대응하는 낙하처리물량으로 될 때까지의 충분한 시간지연을 가지고 간격조절용 작동기가 작동되는 데 대해, 송풍량 조절용 작동기를 간격조절용 작동기의 작동보다도 빠르게 작동시켜서, 감소된 공급량에 대응하는 낙하처리물량으로 된 시점에서는 선별개소에서의 풍량이 그 낙하처리물량에 적합한 풍량으로 된다.
따라서, 곡물줄기공급량의 감소에 따라서, 그 감소된 곡물줄기공급량에 대응하는 낙하처리물량으로 된 시점에서는 간격 및 풍량을 최적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3번 손실의 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곡물줄기공급량 검출수단은 차체의 주행속도를 검출하는 센서에 의해 구성할 수가 있고, 또 끼워둔 레일에 반송된 곡물줄기의 양을 검출하는 센서에 의해 구성할 수가 있다. 어느 것에 있어서도, 결과적으로 취급실에 공급되는 곡물줄기의 양이 예측할 수 있는 것이면 좋은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콤바인은, 무한궤도 주행장치(1)를 구비한 차체(V), 그 차체(V)의 상부에 탑재되는 탈곡장치(2), 및 상기 차체(V)의 앞부분에 부설되는 예취부(刈取部:3)를 가지고 있다.
상기 예치부(3)는 끌어올림장치(4), 곡물줄기의 포기(株元)를 절단하는 예취날(5) 및, 베어낸 곡물줄기를 기체 뒤쪽으로 반송하여 탈곡장치(2)에 공급하는 반송장치(6)를 구비하고 있다.
또, 도면중 S0는, 상기 반송장치(6)의 반송경로중에 있어서 베어낸 곡물줄기의 포기에 접촉작용함으로써, 상기 탈곡장치(2)로의 곡물줄기공급의 유무를 검출하는 곡물줄기공급 검출수단으로서의 포기센서(S0)이다.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차체(V)에 탑재된 엔진(E)의 출력이 벨트 텐션식의 탈곡클러치(7)를 통하여 상기 탈곡장치(2)에 전동되고, 또한 벨트 텐션식의 주행클러치(8), 및 주행용의 유압식 무단변속장치(9)를 통하여 상기 무한궤도 주행장치(1)의 구동케이스(9A)에 전동되고 있다.
또, 상기 구동케이스(9A)에 전동된 출력의 일부가, 벨트텐션식의 예취 클러치(10)를 통하여 상기 예취부(3)에 전동되고 있다.
또, 도면중 S1은 상기 변속장치(9)의 출력회전수에 의거하여 상기 차체(V)의 주행속도를 검출하는 차속 검출수단으로서의 차속센서이다.
단, 도시를 생략하지만 상기 차체(V)의 전후진전환 및 변속은, 상기 주행용 변속장치(9)를 수동조작함으로써 인위적으로 조절되게 된다.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탈곡장치(2)는, 취급통(11)을 수납하는 취급실(A), 상기 반송장치(6)에서 공급되는 가로로 넘어진 자세의 곡물줄기를 끼워두고 반송하는 이송체인(12), 먼지배출용의 횡단류(橫斷流) 팬(13), 당기(14)와 요동선별판(15)으로 이루어지는 선별장치(B), 곡식 낟알 회수용의 제1구멍(16), 및 제2물건 회수용의 제2구멍(17)의 각각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취급실(A)의 하부에는, 곡식 낟알선별용의 수용망(18)이 설치되고, 상기 취급실(A)의 종단부에는, 상기 취급실(A)에 잔존하는 처리물을 배출하는 배출구멍(19)이 개구되어 있다. 단, 상기 수용망(18)을 낙하하는 처리물 및 상기 배출구(19)를 통하여 배출되는 처리물을, 상기 취급실(A)에서의 낙하처리물이라 총칭한다.
상기 요동선별판(15)은, 상기 당기(14)의 위쪽에 위치하는 이송판(20), 그 이송판(20)에 계속해서 위치하는 왕겨 체(21), 그 왕겨 체(21)에 계속해서 위치하는 스트로랙(22), 상기 왕겨 체(21)의 시단측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보조이송판(23), 및 그 보조이송판(23)에 계속해서 위치하는 낟알 체(24)의 각각을 구비하고 그들이 좌우 한쌍의 측판(25)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또, 제6도중 26은 상기 배출구(19)에 대향해서 배치되는 배출구용의 이송판, 27은 그 이송판(26)에 계속해서 위치되고, 또한 가로방향으로 나열되는 복수개의 판재이고, 그들 이송판(26) 및 파재(27)는 상기 요동 선별판(15)과 같이 요동하도록 되어있다.
또, 28은 상기 판재(27)위의 처리물에 작용하는 날이 부착된 회전체이다.
제7도 내지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왕겨 체(21)는, 처리물 이송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는 띠판형상부재(a), (a')로 구성되고, 그리고 그의 띠판형상부재(a), (a')의 서로 이웃하는 것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S)을 변경 조절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다.
설명을 가하면, 복수개의 띠판형상부재(a), (a')중의 한개의 띠판형상부재(a')의 상단부가, 상기 좌우한쌍의 측판(25)을 관통하는 지점축(29)에 밖에서 끼워지고, 또한 그 띠판형상부재(a')의 하단측의 양단부 각각에, 상기 측판(25)에 형성된 긴구멍(b)을 관통하는 연편핀(30)이 멈추어져 있다.
상기 지점축(29) 및 상기 연결핀(30)의 각각에 밖에서 끼워붙여진 좌우한쌍의 링크(31)가 설치되고, 그 좌우한쌍의 링크(31)의 한쪽에 조작아암(3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한개의 띠판형상부재(a')를 제외한 다른 띠판형상부재(a)는, ㄷ자형의 설치금구(33)를 사용하여 상기 측판(25)에 설치되어 있다. 요컨대, 상기 ㄷ자형상의 설치금구(33)는 상단측의 축부분(33a)이 상기 측판(25)에 관통멈춤되고, 또한 하단측의 축부분(33b)이 상길 측판(25)에 형성된 긴 구멍(b)에 관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다른 띠판형상부재(a)의 하단측의 양단부 각각이, 상기 설치금구(33)의 하단측의 축부분(33b)에 밖으로 끼워붙여져 있다.
상기 연결핀(30) 및 복수개의 설치금구(33)의 하단측의 축부분(33b)이 연계(連係) 판(34)으로 접속되고, 각 띠판형상부재(a), (a')를 그들의 상단측을 지점으로 해서 일체 요동시킴으로서 상기 간극(S)를 변경조절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간극(S)을 변경조절하기 위한 왕겨조절용의 전동모우터(M1)가, 상기 탈곡장치(2)의 고정틀측에 설치되고, 상기 간극(S)이 작아지는 닫는 측에 힘이 가해지는 스프링(35)이, 상기 조작아암(32)에 연결되고, 그 조작아암(32)과, 상기 전동모우터(M1)로 정역전구동되는 나사축(36)에 맞물리는 이송암나사부재(37)가, 방출와이어(38)로 연동연결되어 있다.
또, 제7도중 S2는 상기 간극(S)의 조절상태를 상기 이송암나사부재(37)의 위치변화로서 검출하는 왕겨 개도(開度)검출용 전위차계이고, 그 조작레버(39)의 유단부가, 상기 이송암나사부재(37)에 연결되어 있다.
또 40a, 40b는 상기 간극(S)이 조절한도에 달하면 상기 조작레버(39)로 눌려 조작되는 스위치이고, 상기 전동모우터(M1)를 자동정지시키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당기(14)는, 그 회전수를 변속하여 송풍량을 변경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설명을 가하면, 제10도 및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당기(14)의 회전축(14A)에 부설된 입력풀리(41)가 좌우한쌍의 풀리부분(41a), (41b)에 분할 형성되고, 그리고 그의 좌우한쌍의 풀리부분(41a), (41b)의 간격을 변경 조절하여 상기 곡물선별기(14)의 회전수를 변경조절하는 소위 비례풀리식의 변속장치(42)가 구성되어있다.
또, 제10도중, 43은 상기 엔진(E)의 출력을 상기 입력풀리(41)에 전동되는 전동벨트, 44는 텐션풀리이다.
상기 좌우 한쌍의 풀리부분(41a), (41b)의 한쪽(41a)은, 상기 회전축(14A)에 고착되고, 다른쪽(41b)은, 상기 회전축(14A)의 축방향으로 미끄러져 움직이기 자유롭게 밖에서 끼워져 있다.
단, 상기 미끄러져 움직이는 측의 다른쪽의 풀리부분(41b)은, 고정측의 한쪽의 풀리부분(41a)에 부설된 연결핀(45)로 연결되고, 상기 양풀리부분(41a), (41b)은, 일체 회전하면서 또한, 그 간격을 변경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양풀리부분(41a), (41b)의 간격을 변경조절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미끄러져 움직이는 측의 풀리부분(41a)의 보스부에 베어링(46)을 사용하여 설치된 제1캠형성부재(47)와, 상기 탈곡장치(2)의 고정틀 측에 설치된 제2캠형성부재(48)와의 각각에, 상기 제1캠형성부재(47)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양풀리부분(41a), (41b)를 원근이동시키기 위한 캠돌기(47a), (48a)가 형성되어 있다(제12도 참조).
그리고, 송풍량 조절용의 전동모우터(M2)가, 상기 탈곡장치(2)의 고정틀측에 부설되고, 상기 제1캠형성부재(47)에, 변속조작용의 조작아암(49)이 부설되고, 그 조작아암(49)과 상기 전동모우터(M2)로 정역전구동되는 나사축(50)에 맞물리는 이송암나사부재(51)가 방출와이어(52)로 연동연결되고, 상기 풍량조절용의 전동모우터(M2)로 상기 제1캠형성부재(47)가 회전조작되어서, 상기 당기(14)의 회전수를 변경조절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제10도중, S3는 변속상태 다시말해 선별풍량을 상기 이송암나사부재(51)를 위치변화로서 검출하는 곡물선별기 풍량검출용 전위차계이고, 그 조작레버(53)의 유단부(遊端部)가, 상기 이송암나사부재(51)에 연결되어 있다.
또, 54a, 54b는 상기 이송암나사부재(51)가 변속한도에 달하면 상기 조작레버(53)로 눌려 조작되는 스위치이고, 상기 전동모우터(M2)를 자동정지시키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또, 제11도중, S4는 상기 당기(14)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곡물선별기 회전수 센서이다.
다음에 상기 왕겨 체(21)의 간극조절용의 전동모우터(M1) 및 상기 당기(14)의 송풍량 조절용의 전동모우터(M2)를 작동시켜서, 상기 선별장치(B)의 선별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 컴퓨터 이용의 제어장치(55)가 설치되고, 그 제어장치(55)에 선별상태를 차속에 따라서 자동조절하든가 또는 수동 설정된 선별상태로 자동조절하든가를 지시하는 탈곡자동스위치(S5), 상기 주행용의 변속장치(9)가 후퇴측으로 조작되었는가 아닌가를 검출하여 기체(V)가 후퇴상태에 있는가 아닌가를 검출하는 후퇴검출수단으로서의 백스위치(S6), 상기 포기센서(S0), 상기 엔진(E)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엔진회전수센서(S7), 상기 차속센서(S1), 상기 곡물선별기 회전수센서(S4), 상기 왕겨개도 검출용 전위차계(S2), 상기 곡물선별기 풍량검출용 전위차계(S3), 동일 차속에 있어서의 왕겨개도조절용 전위차계(S8), 동일 차속에 있어서의 곡물선별기 풍량을 강약으로 조절하는 곡물선별기 풍량조절용의 전위차계(S9) 및 곡물줄기가 벼인가 보리인가를 선택하는 스위치(S10) 각각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55)는, 미리 설정 기억된 정보 및 각종의 입력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양전동모우터(M1), (M2)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선별장치(B)의 선별상태를 자동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어장치(55)를 이용하여, 상기 선별장치(B)의 선별상태를 제어하는 선별상태 제어수단(100)이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선별장치(B)의 선별상태의 제어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3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는 상기 차속센서(S1)의 검출정보에 의거하여, 차속이 커질수록 낙하처리물량이 커지는 상태로 대응하는 선별상태, 요컨대, 상기 왕겨 체(21)의 간국(S) (이하에 있어서 왕겨개도라 약칭할 때도 있다)이 커지고 또한 상기 당기(14)의 송풍량(이하에 있어서 곡물선별기 풍량이라 약칭할 때도 있다)이 크게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동일차속에 있어서도, 곡물질기의 착립(着粒)상태의 차이 등에 의해 실제의 낙하처리물량이 달라지는 경우도 있는 것에서 동일차속에 있어서의 왕겨개도 및 송풍량의 각각을 대소로 변경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왕겨개도 조절용 전위차계(S8) 및 상기 곡물선별기 풍량조절용의 전위차계(S9)의 각각에 의해 최고차속때의 선별상태에 대응하는 왕겨개도 및 송풍량의 각각을 설정함과 동시에 설정된 최고차속에 있어서의 선별상태를 기준으로 해서, 그 기준으로 되는 선별상태를 차속에 따라서 보정함으로써, 실제의 선별상태가 낙하처리물량에 따른 선별상태로 되도록 되어 있다(제3a, b, c도 참조).
단, 본 실시예에서는 차속은 3개의 기준치(V1), (V2), (V3)에 의거하여 4개의 구역으로 분할하고 각 구역의 각각으로는, 같은 왕겨개도 또는 같은 송풍량으로 유지시키도록 되어있다. 또, 각 구역 각각의 최대치와 최소치와의 속도차는 같다.
또, 주행속도가 상기 속도차에 의거해서 설정된 값보다 크게 감속됨에 따라서, 간국 조절용의 전동모우터(M1)를 지연시간(예컨대 약 10초)을 가지고 작동시키고, 또한 송풍량 조절용의 전동모우터(M2)를 지연시간 없이 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지연시간은, 베어낸 곡물줄기가 탈곡장치(2)로 반송되는 시간, 및 공급된 곡물줄기가 취급 처리되는데 요하는 시간에 감안하여 설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포기센서(S0)가 오프상태로 되는 논두렁 등에서 베어내기 작업을 안할때나 기체 후퇴시에는, 차속에 불구하고 낙하처리물량이 적은 상태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한 선별상태로 유지시키게 된다.
그리고, 미리 설정한 선별상태로 조작할때, 간극조절용의 전동모우터(M1)를 지연시간을 가지고 작동시켜, 송풍량 조절용의 전동모우터(M2)를 지연시간없이 작동시키도록 되어 있고, 상기 지연시간은 제13a, 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벼의 설정치(t1)의 쪽이 보리의 설정치(t20)보다도 크게 결정되어 있다.
이하, 제어장치(55)의 작동에 의거하여, 설명을 한다.
제2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장치(55)는, 기동되면 초기설정의 처리를 실행하고, 다음에 센서류의 데이타를 판독처리를 실행한다.
다음에, 출력처리나 목표치 설정처리를 실행하고, 그후는 센서류의 데이타를 판독처리에서 반복하게 된다.
상기 출력처리는, 제2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상기 탈곡자동스위치(S5)가 온인가 아닌가를 판별하고, 온인 경우에는 상기 왕겨개도 및 곡물선별기 풍량의 각각의 제어목표치에서, 상기 왕겨개도 검출용 전위차계(S2) 및 곡물선별기 풍량검출용 전위차계(S3)의 각각으로 검출되는 현재치를 감산하여, 곡물선별기 편차 및 왕겨편차의 각각을 구한다.
단, 상기 왕겨개도 및 곡물선별기 풍량의 각각을 제어목표치는, 후슬과 같이 상기 왕겨개도 조절용 전위차계(S8) 및 곡물선별기 풍량조절용 전위차계(S8)의 각각으로 조절한 최고차속때의 조절치를 차속에 따라서 보정하여 사용하게 되지만, 제어기동시에는 미리 설정된 표준적인 값으로 설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탈곡자동스위치(S5)가 오프인 경우에는, 왕겨개도 및 곡물선별기 풍량이, 상기 왕겨개도 조절용 전위차계(S8) 및 상기 곡물선별기 풍량조절용의 전위차계(S8)의 각각에 의해 설정되는 각 조절치에 유지되도록 설정된 조절치에서 현재치를 감산한 값을 상기 곡물선별기 편차 및 왕겨편차로서 구한다.
그리고, 상기 곡물선별기 회전수센서(S4)의 검출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당기(14)가 설정회전수(500rpm) 이상인가 아닌가를 판별함으로써, 상기 당기(14)가 회전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판별한다.
상기 당기(14)의 회전수가 설정회전수 이상 있을 경우에는, 상기 곡선선별기 편차의 부호와 크기에 의거하여 설정불감대내에 있는가, 송풍량을 약하게 하는 강측에 있는가, 및 선별풍을 강하게 하는 약층에 있는가의 각각을 판별하고 상기 곡물선별기 편차가, 약측에 있는 경우에는, 강측 다시 말해 회전수를 증대시키는 측에 상기 선별풍 조절용의 전동모우터(M2)를 작동시키는 강출력의 처리를 행하고, 강측에 있는 경우에는 회전수를 저하시키는 약출력의 처리를 행하고, 그리고 불감대내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선별조절용의 구동모우터(M2)를 정지시켜서 현재의 선별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계속하여, 상기 왕겨편차가 폐측, 개측, 설정불감대내의 어느 상태에 있는가를 판별하여, 폐측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왕겨 체(21)의 간극(S)을 넓히도록 상기 왕겨개도 조절의 전동모우터(M1)를 작동시키는 개출력의 처리를 행하고, 개측에 있는 경우에는 폐출력의 처리를 행하고, 그리고 불감대내에 있는 경우에는 정지시켜서 현재의 선별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또, 상기 곡물선별기(14)의 회전수가 설정회전수 이하일 경우에는 곡물선별기 풍량의 조절은 행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그 설정회전수 이하인 경우에 있어도 상기 탈곡자동스위치(S5)가 오프상태에 있을 경우에도 상기 왕겨개도를 변경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요컨대, 상기 곡물선별기 풍량의 조절은, 상술과 같이 비례풀리식의 변속장치(42)로서 상기 당기(14)의 회전수를 변속해서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에서, 상기 탈곡장치(2)의 운전정지상태에 있어서는 곡물선별기 풍량을 조절할 수는 없기 때문에 상기 곡물선별기(14)의 회전수가 설정회전수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곡물선별기 풍량의 조절을 행하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단, 상기 탈곡장치(2)가 운전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왕겨 체(21)가 상기 선별장치(B)와 같이 요동되는 것에서, 그 개도를 확인할 수가 없기 때문에, 상기 당기(14)가 설정회전수 이하로 되는 상기 탈곡장치(2)의 운전정지상태에 있어서도, 상기 왕겨개도 조절용 전위차계(S2)에 의해 왕겨개도를 변경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왕겨개도의 조절상태를 용이하게 점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목표치 설정처리는, 제2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처리가 설정시간(500ms)마다 실행되도록 하기 위해, 그 설정시간(500ms) 경과의 타이밍을 체크한 후, 상기 백스위치(S6)가 온상태에 있는가 아닌가를 판별한다. 상기 백스위치(S6)가 오프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포기센서(S0)가 온상태에 있는가 아닌가를 판별한다.
그리고 , 상기 백스위치(S6)가 오프이고 또한 상기 포기센서(S0)가 온되어 있는 경우는 베어내기 작업이 행하여지고 있는 상태에 있다고 판단하여, 비로서 오프에서 온상태로 변화하였는가 아닌가를 판단함으로써, 작업개시인가 계속적으로 예취작업이 행하여 지고 있는 상태에 있는가를 판단한다.
또, 상기 백스위치(S6)가 온인 경우 및 상기 백스위치(S6)가 오프이고, 또한 상기 포기센서(S0)가 오프인 경우에 있어서의 처리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상기 포기센서(S6)가 비로서 온됐을 경우에는, 작업개시라고 판단해서, 상기 엔진회전수 센서(S7)에 의한 현회전수를 기준회전수로서 설정하고, 처음으로 온한 것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기준회전수가 현회전수 보다도 큰가 아닌가를 판별해서 기준회전수가 현회전수가 보다도 크지 않은 상태에 있는 경우, 다시 말해 현회전수의 쪽이 작업개시시에 설정된 기준회전수 보다도 큰 경우에는 상기 기준회전수를 현회전수로 갱신한다.
다음에, 상기 기준회전수와 현회전수와의 편차를 회전수 다운치로서 구하고, 그 회전수 다운치가 설정회전수(200rpm) 이상인가 아닌가를 판별함으로써, 상기 엔진(E)에 대한 부하상태가 가부하상태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상기 회전수 다운치가 설정회전수(200rpm)미만인 경우에는, 과부하 상태에 없다고 판단해서 상술과 같이 차속이 늦을수록 상기 곡물선별기 풍량이 약측으로 되고 또한 상기 왕겨개도가 폐측으로 되도록 , 상기 차속 센서(S1)의 검출정보에 의거하여, 차속에 따라서 상기 곡물선별기풍량을 약측으로 보정하기 위한 곡물선별기 보정치 및 상기 왕겨개도를 폐측으로 보정하기 위한 왕겨보정치의 각각을 구한다(제3a, b도 참조).
단, 곡물선별기 보정치가 반드시 구하여지는 데 대해 왕겨보정치는 주행속도가 설정치 이상 크게 감속되고 있을 때는 전동모우터(M1)를 지연시간을 가지고 작동시키기 위해, 다음의 처리로 구하여지게 된다.
즉, 목표치 설정처리를 전회 실행했을 때에 기억시킨 전회의 차속과 현재의 차속과의 차를 산출한 후, 지연시간 중인가 아닌가를 판별하기 위한 지연 플러그가 온인가 아닌가를 체크한다.
지연플러그가 온인 경우에는, 지연시간이 경과하였는가 아닌가를 체크하고, 경과하고 있는 경우에는 지연플러그를 오프로 리세트 하고, 왕겨보정치를 구한다.
지연플러그가 오프의 경우에는 상술의 산출로 구한 차에 의거하여 설정치 이상의 감속인가 아닌가를 판별한다.
그리고, 설정치 이상의 감속인 경우에는, 지연플러그를 온으로 세트한다. 또, 설정치 이상의 감속이 아닌 경우에는 왕겨보정치를 구한다.
또, 상기한 회전수 다운치가 설정회전수(200rpm)이상인 경우에는, 곡물선별기 보정치 및 왕겨보정치의 각각을 영으로 설정하여, 상기 선별장치(B)의 선별상태를 최대 낙하처리물량으로 대응하는 최고차속때의 설정선별상태를 제어함으로써, 탈곡장치(2)에 있어서의 선별처리가 신속하게 행하도록 하여, 과부하상태의 해소가 신속하게 행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곡물선별기 보정치 및 왕겨보정치의 각각을 구한 후는, 상기 포기센서(S0)의 온시간이 작업개시에서 탈곡처리가 안정하는데 요하는 시간에 대응해서 설정한 제1설정시간(t1=5초) 이상인가 아닌가를 판별하고, 제1설정시간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곡물선별기 풍량의 목표치를 낙하처리물량이 작은 상태로 대응하는 설정치(T1)에 설정하고, 제1설정시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곡물선별기 풍량조절용 전위차계(S3)로 설정된 조정치에서 상기 곡물선별기 수정치를 감산한 값을, 상기 곡물선별기 목표치로서 설정한다.
같은 식으로, 상기 포기센서(S0)의 온시간이 제2설정시간(t11=5초)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왕겨개도의 제어목표치로 되는 왕겨목표치를, 낙하처리 물량이 작은 상태로 대응하는 설정치(C1)로 설정하고, 제2설정시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왕겨개도 조절용 전위차계(S2)에 의한 조절치에서 상기 왕겨보정치를 감산한 값으로 설정하게 된다.
상기 백스위치(S6)가 온인 경우 및 상기 백스위치(S6)가 오프이고, 또한 상기 포기센서(S0)가 오프인 경우의 제어에 대하여 설명하면 기체 후퇴시나 회향시등의 예취 작업이 아닐 때에는 차속에 불구하고 상기 탈곡장치(2)의 낙하처리물량이 적어지기 때문에 그 적은 처리물량에 대응하는 선별상태로 되도록, 상기 왕겨개도 및 곡물선별기 풍량 각각의 목표치를 설정하게 된다.
단, 곡물선별기 목표치(T2)를 즉시 설정하는데 대하여 왕겨목표치(C2)를 포기센서(S0)가 오프되고 나서 경과시간 및 곡물줄기의 종류에 의거하여 설정하도록 되어 있다.
즉, 제13a, b도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포기센서(S0)가 오프되고 나서의 경과시간이 벼의 경우에 제3설정시간(t2=예컨대 20초)미만이고, 또한 보리의 경우에 제4설정시간(t20=예컨대 10초)미만이면, 왕겨개도의 제어를 정지하여 현상을 유지하고, 벼의 경우에 제3설정시간(t2)을 경과하면, 또한 보리의 경우에 제4설정시간(T20)을 경과하면, 목표치(C2)로 설정한다.
또, 기체가 후퇴상태이고 또한 포기센서(S0)가 온상태에 있는 경우에도, 왕겨개도의 제어가 정지되는 것으로 된다.
또, 상기 탈곡자동스위치(S5)는,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조작 상태로 점등하는 점등램프(L)를 구비한 누름단추형식으로 형성되고, 또한 조작패널(P)에서 위쪽으로 돌출하는 측벽(K)이 투명수지재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조작패널(P) 배치되는 다른 조작구류를, 측벽(K)에서의 빛에 의해 조광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주행속도를 주행용 변속장치(9)의 출력회전수에 의거하여 검출하도록 구성했을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변속장치의 조작상태에 의거하여 간접적으로 검출시키도록 하여도 좋고, 차속검출수단의 구체적인 구성은 각종 변경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비례풀리식의 변속장치(42)를 사용해서 상기 당기(14)의 회전수를 변속해서 선별 풍량을 조절하도록 구성했을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예컨대 상기 당기(14)를 전동모우터 등의 변속자유로운 장치로 구동하도록 하여도 좋고, 선별풍량을 조절하기 위한 구체적인 구성 및 상기 왕겨 체(21)의 개도를 조절하기 위한 구체적인 구성 등, 선별장치(B)의 선별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구체적인 구성은 각종 변경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선별장치(B)의 선별상태를 차속에 따라서 자동조절시키는 데, 전위차계(S8), (S9)로서 최고차속때의 제어목표치를 제어조건으로서 조절함과 동시에 그 최고 차속에 있어서의 제어목표치가 차속이 늦어질수록 작은 값으로 되도록 , 차속에 따라서 보정시키도록 한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예컨대, 차속과 선별상태와의 조합관계의 복수조를 제어조건의 파라미터로서 기억시켜 두고, 그 복수조의 선별상태를 스위치 등에 의해 선택하도록 하여도 좋고, 동일차속에서의 목표선별상태를 변경조절하는 수단 및 제어수단(100)의 구체적인 구성은, 각종 변경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주행속도를 복수의 구역으로 분할해서, 왕겨개도나 송풍량을 복수단계로 조절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왕겨개도나 송풍량을 주행속도에 따라서 무단계로 조절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 주행속도의 감속에 따라서 송풍량을 조절하는데, 간극(S)의 지연시간보다도 작은 지연시간을 가지고, 송풍량을 조절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 상기 실시예와 같이 예취부(3)를 주행변속장치(9)의 출력으로 구동하는 경우에는 주행속도에 의해 베어낸 곡물줄기가 탈곡장치(2)로 반송되는데 요하는 시간이 변동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크게 감속될수록 큰 지연시간을 간극조절용의 작동기(M1)를 작동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 상기 실시예에서는 주행속도의 검출정보를 취급실(A)의 곡물줄기공급량에 대응하는 정보로서 이용하는 경우, 다시 말해 곡물줄기공급량 검출수단을 차속검출수단(S1)을 사용하여 구성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곡물줄기공급량 검출수단의 구체적인 구성은 여러가지로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제15도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장치(2)의 이송체인(12)의 시단측부분으로 계단형상으로 반송되는 곡물줄기의 양, 다시 말해 곡물줄기의 두께를 검출하는 두께검출수단(56)을 설치해서 그 두께검출수단(56)으로 곡물줄기공급량 검출수단을 구성하여도 좋다.
예시하는 두께검출수단(56)은, 자중 또는 스프링으로 하강가압되어서, 곡물줄기의 두께에 따라서 상하요동하는 센서편(56a)과, 그 센서편(56a)의 요동위치를 검출하는 전위차계(56b)로 이루어진다.
또, 제15도중, 12A는 이송체인(12)에 따라서 배치되는 끼워둔 레일이고, 고정측의 지지틀(57)에 승강 자유롭게 설치됨과 동시에 스프링(12B)으로 이송체인측에 힘이 가해져 있다.
덧붙여서, 상기 두께검출수단(56)으로 곡물줄기공급량을 검출하는 경우는, 곡물줄기공급량의 감소가 검출된 후, 그 감소에 대응하는 낙하처리물량으로 될 때까지 이 지연시간은 주행속도에 의해 곡물줄기공급량을 검출하는 경우보다도 짧아지는 것이기 때문에 , 간극(S)의 조절을 위해 지연시간을 거기에 맞추어서 설정할 필요가 있다.
또, 예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두께검출수단(56)과 같은 구조의 것으로, 예컨대 상기 실시예에서 기술한 반송장치(6)로 반송되는 곡물줄기의 두께를 검출시켜서, 취급실(A)의 곡물줄기공급량을 검출시켜도 좋다.
이 경우도, 곡물줄기공급량의 감소가 검출된 후, 그 감소에 대응하는 낙하처리물량으로 될 때까지의 지연시간에 맞추어서, 간극(S)의 조절을 위한 지연시간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또, 특허청구의 범위의 항에 도면과의 대조를 편리하게 하기 위해 보호를 기록하지만, 이 기입에 의해 본 발명은 첨부도면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3)

  1. 탈곡장치(2)의 취급실(A)에서의 낙하처리물을 선별처리하는 요동선별장치(15) 및 선별풍을 송풍하는 당기(14)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요동선별장치(15)에는 처리물 이송방향으로 병치되는 띠판형상부재(a,a')로 구성된 왕겨 체(21)가 구비된 콤바인을 위한 선별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별제어장치는 상기 각 띠판형상부재(a,a')사이에 형성되는 간극(S)을 변경조절 하는 간극조절용 작동기(M1), 상기 당기(14)의 송풍량을 변경조절하는 송풍량 조절용 작동기(M2), 상기 취급실(A)로의 곡물줄기공급량을 검출하는 곡물줄기공급량 검출수단 및 상기 곡물줄기공급량 검출수단에서의 신호에 따라서 상기 간극조절용 작동기(M1)와 상기 송풍량 조절용 작동기(M2)를 제어하는 제어수단(100)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어수단(100)은 상기 취급실(A)로의 곡물줄기공급량이 증가하면, 상기 간극(S)을 크게 또한 상기 송풍량을 크게 하도록 상기 간극조절용 작동기(M1)와 상기 송풍량 조절용 작동기(M2)를 처리증가 제어하고, 또한 상기 취급실(A)로의 곡물줄기공급량이 감소하면 상기 간극(S)을 작게 또한 상기 송풍량을 작게 하도록 상기 간극조절용 작동기(M1)와 상기 송풍량 조절용 작동기(M2)를 처리 감소제어하고, 또한 상기 제어수단(100)은 상기 처리감소제어에 있어서, 상기 간극조절용 작동기(M1)에 대한 제어를 지연시간을 가지로 행함과 동시에, 상기 송풍량 조절용 작동기(M2)에 대한 제어는 상기 간극 조절용 작동기(M1)에 대한 제어보다 빠른 타이밍을 가지고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선별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줄기공급량 검출수단은 차체의 주행속도를 검출하는 센서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선별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줄기공급량 검출수단은, 끼워둔 레일에 반송된 곡물줄기의 양을 검출하는 센서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선별제어장치.
KR1019880013304A 1988-01-18 1988-10-12 콤바인의 선별제어장치 KR9100084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8115 1988-01-18
JP63-8114 1988-01-18
JP8,114 1988-01-18
JP811488 1988-01-18
JP8,115 1988-01-18
JP80,517 1988-03-31
JP63-80517 1988-03-31
JP63080517A JPH0624449B2 (ja) 1988-01-18 1988-03-31 コンバインの選別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1521A KR890011521A (ko) 1989-08-21
KR910008442B1 true KR910008442B1 (ko) 1991-10-15

Family

ID=26342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3304A KR910008442B1 (ko) 1988-01-18 1988-10-12 콤바인의 선별제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624449B2 (ko)
KR (1) KR9100084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94948U (ko) * 1991-01-16 1992-08-18
DE19807145C2 (de) 1998-02-20 1999-12-09 Claas Selbstfahr Erntemasch Mähdrescher mit Vorrichtung zur automatischen Reinigungseinstell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624449B2 (ja) 1994-04-06
KR890011521A (ko) 1989-08-21
JPH01281008A (ja) 1989-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8442B1 (ko) 콤바인의 선별제어장치
JPH0837910A (ja) コンバイン
JP3102019B2 (ja) コンバインにおける脱穀選別制御装置
JP2661801B2 (ja) 脱穀装置の選別制御装置
JP2003289711A (ja) コンバインの故障判定制御
JP2535508B2 (ja) コンバインにおける選別制御装置
JPH10113053A (ja) コンバインの選別制御装置
JP2613691B2 (ja) 脱穀装置の選別制御装置
JP3567557B2 (ja) コンバイン
JP2613682B2 (ja) 脱穀装置の選別制御装置
JP3198508B2 (ja) 脱穀選別制御装置
JP2613693B2 (ja) 脱穀装置の選別制御装置
KR920001891B1 (ko) 탈곡장치의 선별제어장치
JP2539054B2 (ja) 脱穀装置の選別制御装置
JP2726358B2 (ja) 脱穀選別制御装置
JPH02171114A (ja) 脱穀装置の選別制御装置
JPH0585131B2 (ko)
JPH0813221B2 (ja) コンバインの制御装置
JP2529738B2 (ja) 脱穀装置の選別制御装置
JP2613690B2 (ja) 脱穀装置の選別制御装置
JP2975534B2 (ja) 変速制御装置
JPH0624448B2 (ja) 脱穀装置の選別制御装置
JPH01128721A (ja) コンバインの選別制御装置
JPH0624450B2 (ja) コンバインの選別制御装置
JPH10191763A (ja) コンバインの扱胴回転数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10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