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7723B1 -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 - Google Patents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7723B1
KR910007723B1 KR1019870013424A KR870013424A KR910007723B1 KR 910007723 B1 KR910007723 B1 KR 910007723B1 KR 1019870013424 A KR1019870013424 A KR 1019870013424A KR 870013424 A KR870013424 A KR 870013424A KR 910007723 B1 KR910007723 B1 KR 910007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image
developer
compound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3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8086A (ko
Inventor
마사오 니끼
신이찌로오 야스다
유끼나가 요꼬다
가즈히꼬 오까베
Original Assignee
가오오 가부시끼가이샤
마루다 요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1286445A external-priority patent/JP275594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128644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366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1286444A external-priority patent/JP2755943B2/ja
Application filed by 가오오 가부시끼가이샤, 마루다 요시오 filed Critical 가오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8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8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7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7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10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characterised by carrier partic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87Binders for toner particles
    • G03G9/08742Binders for toner particles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G03G9/08768Other polymers having nitrogen in the main chai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97Plasticisers; Charge controlling agents
    • G03G9/09733Organic compounds
    • G03G9/09758Organ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cyclic r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97Plasticisers; Charge controlling agents
    • G03G9/09733Organic compounds
    • G03G9/0977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or oxyge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Developing Agents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Photoreceptors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
본 발명은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전자사진, 정전기록, 정전인쇄에 있어서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전자사진법은 미국특허 제2,221,776호, 제2,297,691호 및 제2,357,809호의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광전도성 절연층을 균일하게 대전시키고, 층을 빛에 노출시키며, 노출부분으로부터 전하를 소산시켜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정전잠상에 토너라 부르는 착색, 하전된 미세분말을 부착하여 상을 시각화하며(현상단계), 얻은 가시상을 전사지와 같은 전사재상에 전사시키고(전사단계), 가열하거나 압력을 가하거나 또는 다른 적당한 정착법에 의해 영구정착시키는(정착단계)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들 전자사진법들에 사용된 현상방법은 건식현상법과 습식현상법으로 대별된다. 전자는 두성분으로 이루어지는 현상제를 사용하는 방법과 한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현상제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더 분류될 수 있다. 두성분 현상제가 사용되는 전자의 현상제를 자력을 이용하는 자성분말 캐리어가 사용되는 자기 브러시법, 비교적 거친 비이드 캐리어가 사용되는 카스케이드법 및 캐리어입자 또는 비이드의 대신에 유리섬유가 사용되는 퍼트 브러싱법과 같은 토너 운반 시스템에 있어서 서로 다른 여러가지 방법으로 더 분류된다.
이들 현상 방법에 사용된 토너로서는 천연 혹은 합성 열가소성 수지중에 염료 또는 안료와 같은 착색제를 분산시킴으로써 제조된 미 분말이 사용되었다.
예를들면, 폴리스티렌 또는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결착 수지중에 착색제 및 후술하게 되는 첨가제를 분산시키고 분산액을 미분쇄시킴으로써 제조된 약 1 내지 30μ의 크기를 갖는 미세입자가 사용된다. 1성분 현상제로 주로 사용되는 자성 토너로서는 마그네타이트와 같은 자성물질의 입자를 함유하는 것들이 사용된다.
한편, 2성분 현상제로 하는 현상에 있어서는 토너는 보통 유리비이드 또는 철분말과 같은 캐리어입자와의 혼합물의 형태로 사용된다. 토너는 현상될 정전잠상의 극성에 균일하게 의존하는 양의 또는 음의 전하를 가질 것이 요구된다.
원하는 토너의 전기전하가 캐리어의 마찰대전성, 캐리어의 표면을 구성하는 물질 또는 토너의 구성성분인 수지에 의해 유지될 수 있을지라도, 바탕은 쉽게 흐려지고 잡음을 가져온다. 그 결과, 이러한 현상으로 형성된 화상은 불선명하게 남는다. 왜냐하면 토너의 정전하가 낮거나 원하는 전하량이 이 방법만으로는 신속히 달성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원하는 마찰대전성을 신속히 부여할 수 있는 염료 또는 안료 또는 하전 제어제를 원하는 마찰 대전량을 신속히 부여하는데에 사용된다.
양의 전하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니그로신(Nigrosine)염료와 같은 전자공여성 염료가 효과적이다. 음의 토너를 위해서는 오일 용해성 금속함유염료와 같은 전자수용성 유기착제가 널리 사용된다.
니그로신 염료는 그의 수지에의 분산성 때문에 올레인산 또는 스테아린산으로 빈번히 변성된다.
양의 토너에 사용되는 것들은 예를들면, 이오졸블랙(Iozol Black), 지방족아민, 4차암모늄염, 4차암모늄염과 긴사슬을 갖는 알킬기로 이루어지는 화합물, 팻 스와르쯔(Fett Schwarz) HBW, 수단티크 스와르쯔(Sudan Teak Schwarz) BBC, 브릴리언트 스피릿, 자폰스와르쯔(Zapon Schwarz)X 및 솔벤트레드를 포함한다. 음의 토너에 사용되는 것들은 예를들면, 콜로이달실리카, 지방족화합물의 금속염, 모노아오염료의 금속착염, 염소화파라핀, 염소화폴리에스테르, 스피론블랙(호도가야 케미칼 주식회사 제품), 밸리파스트 블랙(Valifast Black 오리엔트 케미칼 주식회사 제품), 크로모겐 스와르쯔(Chromogen Schwarz)ETCO 및 아조오일블랙(Azo Oil Black)을 포함한다.
보통 구리프탈로시아닌을 아민화하고 치환기를 도입시킴으로써 제조된 것들 또는 니트로기를 갖는 크롬함유 이량체가 사용된다.
많은 이들 하전 제어제는 염료 또는 안료로부터 유도되고 그들은 보통 복잡한 구조를 가지며 그들 중 많은 것들이 강한 착색력을 갖는다.
착색된 염료는 색토너에 사용될 수 없기 때문에 전술한 수지의 마찰대전성의 이용이외에 무색 하전 제어제의 이용이 검토되고 있다. 4차 암모늄 화합물, 아민의 오르토위치에서 디카르복실산과의 탈수축합물, 비닐피리딘 및 비닐피라진이 사용되나 그들의 전체적인 성능은 염료 또는 안료로부터 유래된 하전 제어제보다 열등하다. 이런 상황하에서 대부분의 경우에 염료가 사용되나 그들은 불만족스럽다.
그들은 보통 열가소성 수지에 첨가되고 혼합물을 가열 용융시키고 반죽 및 미세하게 분쇄하며 필요하다면, 적당한 입경을 갖는 분말을 얻도록 조정한다.
그러나, 하전 제어제로서 사용되는 많은 이들 염료는 복잡한 구조를 갖고, 그들의 특성이 일정치하고 불안정하다. 또한, 그들은 가열하에 반죽 단계에서 쉽게 분해되고 그들은 기계적 쇼크, 마찰 또는 온습도 변화에 의해 쉽게 분해 또는 변성된다. 따라서, 그들의 하전 제어성이 감소된다.
그러므로, 하전 제어제로서 이러한 염료를 함유하는 토너가 복사기에서 현상에 사용될때, 복사회수가 증가됨에 따라 이들 제어제가 분해 또는 변질되어 수명 내구기간중 토너의 질을 떨어뜨린다.
이들 하전 제어제는 열가소성 수지중에 하전 제어제를 균일하게 분산시키기가 아주 어렵기 때문에 토너 입자의 마찰 대전성에 의해 하전된 전기량이 균일하지 않은 치명적인 결점을 갖는다. 그러므로, 균일한 분산액을 얻기 위한 여러가지 방법이 제안되었다. 예를들면, 열가소성수지와의 상용성을 개선하도록 염기성 니그로신 염료를 고급지방산과의 그의 염의 형태로 사용한다. 그러나, 미반응 지방산 또는 염의 분산생성물이 토너표면에 빈번히 나타나 캐리어 또는 토너 담지체를 오염시키고 토너의 유동성의 감소, 흐림 또는 화상농도의 감소를 일으킨다. 수지중의 하전 제어제의 분산성을 개선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도 또한 사용되었다.
이 방법은 분말상 하전 제어제를 분말수지와 기계적 분쇄후 혼합물을 가열에 의해 용융하에 반죽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본래의 불량한 분산성의 문제가 해결될 수 없고, 실제적으로 하전의 충분한 균일성이 얻어질 수가 없다. 따라서, 장수명을 갖는 현상제가 이제까지는 개발되지 못하였다.
대부분의 공지의 하전 제어제는 유채색 및 암색이고 따라서 그들은 원하는 선명한 유채색 현상제에 바람직하지 못하게 함입될 수 없다.
또한, 많은 하전 제어제가 친수성이고 수지에의 분산성이 높지 않으며, 따라서 그들은 용융반죽 및 분쇄후 토너표면에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토너가 고습 조건하에서 사용될때, 사용된 하전 제어제가 친수성이기 때문에, 양질의 화상이 얻어질 수 없다.
상기한 바와같이 종래의 하천 제어제가 토너에 함입될때, 토너입자의 하전의 양은 다양하고 또는 토너와 캐리어 사이의 마찰 대전 단계에서 토너입자 표면에 발생한 전하량이 균일하지 않다. 그 결과, 현상에 흐림, 토너의 분산 및 캐리어의 오염과 같은 문제들이 일어난다. 이들 문제는 복사회수가 증가함에 따라 심각해진다. 따라서, 종래의 하전 제어제는 복사기에 실질적으로 부적당하다.
고습조건하에, 토너 화상전사 효율은 심각하게 비실제적으로 감소된다. 상온 상습조건하에서도 토너의 보관후, 사용된 하전 제어제의 불안정성에 기인하여 변질되고, 불충분한 하전으로 인하여 사용 불가능해진다.
또한 종래의 하전 제어제가 토너에 함입될때, 제어제가 감광체의 표면에 부착되거나 토너의 부착이 가속되어 잠상 형성에 악영향을 미치거나(필트밍 현상) 감광체 표면 또는 클리닝블레이드 같은 클리닝부재에 자국을 형성시키며 또는 장기에 걸쳐 사용되는 동안 부재의 마모를 가속시킨다. 따라서 복사기의 클리닝 단계에서 나쁜 작용이 나타나게 된다.
많은 통상의 하전 제어제는 토너의 용융작용에 큰 영향을 미쳐 그들이 토너에 함임될 때 정착력을 저하시킨다. 그들의 다른 결점은 그들이 고온 옵셋인쇄력을 저하시켜 이것은 복사화상의 질을 손상시킨다는 것과, 그들은 로울러 둘레에 전사지의 두르기를 가속시킨다는 것, 그리고 토너가 로울러에 부착하여 로울러에 내구성 또는 수명을 감소시킨다는 것이다.
따라서 통상의 하전 제어제는 많은 결점을 갖고 본분야에서 이들 결점을 극복할 것이 요구되었다. 결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많은 기술들이 제안되었으나, 실제적으로 전체적인 관점으로부터 만족스러운 선진국이 개발된 적이 없다.
발명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들을 해결함으로써 토너의 하전을 제어하는 새로운 기술에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토너입자들 가운데 또는 토너와 캐리어 사이에 마찰대전의 단계에 일정한 하전량이 제공되고 마찰대전의 상승이 신속하며 하전량이 사용된 형상 시스템에 적합하게 조절될 수 있는 현상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여전히 또다른 목적은 바탕영역에 토너의 부착, 즉 잠상의 에지주위에 토너이 산란 또는 흐림을 일으키지 않아 높은 화상농도 및 높은 하프론 재현성을 제공하여 잠상에 높은 충실도로 상을 형성 및 전사할 수 있는 현상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더 이상의 목적은 토너의 응집 또는 전하의 변화를 일으키지 않고 장기간 연속사용하는 동안 그의 초기특성을 유지하는 높은 토너 소비효율을 갖는 현상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온도 또는 습도의 변화에 영향받지 않고 안정한 화상을 재형할 수 있는 현상제, 특히 고습- 또는 저습 조건하에 전사단계에서 산란이나 전사의 국소적 실패가 일어나지 않는 현상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탁월한 고착 특성을 갖는 현상제, 특히 고온옵셋인쇄에 문제가 없는 현상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선명한 유채색 현상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장기간 보관후에도 그의 초기특성을 유지하는 탁월한 보존 안정성을 갖는 현상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클리닝 단계에서 정전잠상의 표면을 오염시키거나 마모시키거나 자국을 내지 않아 클리닝이 용이하게 행해지도록 하는 현상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적어도 결착수지, 착색제 및 다음 일반식(I) 또는 (II)의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하상의 현상에 사용되는 전자사진용 토너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Figure kpo00002
상기식에서 A는 페놀기함유 화합물잔기를 나타내며, B는 다음 일반식(II)
Figure kpo00003
의 기를 나타내며, R1및 R4는 각각 메틸렌 또는 에틸렌기를 나타내며, R2및 R3는 각각 알킬, 아릴, 알케닐, 아르알킬 또는 환상 알킬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R2및 R3가 합해져 고리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R5는 1 내지 8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렌기 또는 아릴렌기, 바람직하게는 페닐렌을 나타내며, R6및 R7은 각각 수소원자 또는 1 내지 8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아릴, 아미노알킬, 아르알킬 또는 환상 알킬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R6및 R7이 합해져 고리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Figure kpo00004
는 1 내지 200의 수를 나타내며, n1
Figure kpo00005
는 제로 또는 1이고,
Figure kpo00006
은 제로이거나 1 내지 3의 정수이며 N2는 일반식(I)에서는 1 내지 3의 정수 또는 제로이고 일반식(III)에서는 1 내지 400의 수이다.
일반식(I)에서 n2가 제로일때, 일반식(IV)를 갖는 화합물의 바람직한 구체예가 제공된다.
Figure kpo00007
상기한 바와같은 화합물은 단량체이거나 아니면 단량체의 중합체일 수 있다. 중합체는 비닐중합과 같은 종래의 중합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화합물은 분자의 말단에 수소, 히드록실 또는 알킬과 같은 탄화수소기, 아미노, 카르복실기 및 카르복실산 에스테르기를 갖는다. 말단은 제조에 사용된 중합개시제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위의 일반식에서 페놀기 함유 화합물잔기 A의 예를들은 다음 화합물들로부터의 잔기를 포함한다. 즉, 페놀, 크레졸, 에틸페놀, n-프로필페놀, 이소프로필페놀, n-부틸페놀, sec-부틸페놀, tert-부틸페놀, sec-아밀페놀, 이소펜틸페놀, 헥실페놀 및 옥틸페놀과 같은 알킬페놀; 클로로페놀 및 브로모페놀과 같은 할로겐화 페놀; p-시클로헥실페놀, 페닐페놀 및 톨릴페놀과 같은 아릴페놀; 2, 3-크실레놀, 3, 4-크실레놀, 2, 5-크실레놀, 2, 3-디에틸페놀, 3, 4-디에틸페놀, 2, 5-디에틸페놀, 2, 3-디이소프로필페놀, 3, 4-디이소프로필페놀, 2, 5-디이소프로필페놀, 2, 3-디클로로페놀 및 3, 4-디클로로페놀과 같은 2치환 페놀; 비스페놀 A, 비스페놀 F, 1, 1, 2, 2-테트라키스(4-히드록시페닐)에탄, 4, 4'-[1,4-페닐렌비스(1-메틸에틸리덴)]비스페놀 및 α,α',α"-트리스(4-히드록시페닐)-1, 3, 5-트리이소프로필벤젠과 같은 폴리페놀 ; 및 카테콜, 레조르시놀, 히드로퀴논, 플로로글리시놀 및 1, 2, 4-트리히드록시벤젠과 같은 다가페놀; 뿐만 아니라 상기한 페놀의 포르말린 축합에 의해 제조된 노볼락형 폴리페놀, 및 p-히드록시스티렌/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와 같은 페놀계 중합체.
위의 일반식(I)의 화합물의 전형적인 예들은 다음 것들을 포함한다.
Figure kpo00008
Figure kpo00009
Figure kpo00010
Figure kpo00011
Figure kpo00012
Figure kpo00013
Figure kpo00014
Figure kpo00015
Figure kpo00016
Figure kpo00017
일반식(IV)를 갖는 화합물의 예들은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18
Figure kpo00019
Figure kpo00020
Figure kpo00021
Figure kpo00022
Figure kpo00023
Figure kpo00024
Figure kpo00025
Figure kpo00026
일반식(III)를 갖는 화합물의 예들은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27
Figure kpo00028
Figure kpo00029
Figure kpo00030
Figure kpo00031
Figure kpo00032
Figure kpo00033
Figure kpo00034
Figure kpo00035
Figure kpo00036
Figure kpo00037
본 발명에 사용된 위의 일반식(I)의 화합물들은 바람직하게는 상온에서 고체형태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그들은 50℃ 또는 그 이상의 연화점을 갖는다. 상온에서 액체 형태인 화합물 또는 낮은 연화점을 가진 화합물은 장기간 저장 과정에서 또는 사용중 분체 토너의 표면에 흘러나와 전기적 변질을 일으킨다. 또한 그들은 현상제와 감광제의 필르밍을 일으켜 화상을 변화시킨다.
일반식(I)의 화합물은 내부적으로 아니면 외부적으로 토너에 첨가될 수 있다. 내부 첨가에 있어서, 이 화합물의 양은 결착수지의 종류, 필요시 사용된 첨가제, 분산방법을 포함하는 토너의 제조방법에 의존하여 다양하기 때문에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결착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0.1 내지 20중량부(더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외부첨가에서는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100℃ 또는 이상의 연화점과 10μm 또는 이하의 입경을 갖는다. 첨가된 화합물의 양은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기는 0.01 내지 10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하전 제어제는 공지의 하천 제어제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고 또는 둘 또는 그 이상의 본 발명 하전 제어제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착색제는 카아본블랙, 램프블랙, 흑색산화철, 군청, 니그로신염료, 아닐린블루, 프탈로시아닌블루, 프탈로시아닌그린, 한나 옐로우 G, 로다민 6G, 레이크, 칼코오일블루, 크롬옐로우, 퀴나크리돈, 벤지딘옐로우, 로우즈벵갈, 트리아릴메탄염료, 모노아조염료 및 안료, 그리고 디스아조염료 및 안료와 같은 모든 공지의 염료 및 안료를 포함한다. 그들은 단독으로 또는 그들의 혼합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유용한 결착수지의 예들은 폴리스티렌, 폴리-p-클로로스티렌 및 폴리비닐톨루엔과 같은 스티렌 및 그의 치환된 유도체의 단량체 및 중합체; 스티렌/p-클로로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스티렌/비닐톨루엔 공중합체, 스티렌/비닐나프탈렌 공중합체, 스티렌/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스티렌/에틸 아크릴 레이트 공중합체, 스티렌/부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스티렌/옥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스티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스티렌/에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스티렌/부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스티렌/비닐메틸에테르 공중합체, 스티렌/비닐메틸케톤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인덴 공중합체, 스티렌/말레산 공중합체 및 스티렌/말레산 에스테르 공중합체와 같은 스티렌 공중합체; 그리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부틸메타크릴레이트, 염화폴리비닐,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에폭시수지, 폴리비닐부티랄, 폴리아크릴산수지, 로진, 변성로진, 테르펜수지, 페놀수지, 지방족 또는 지환족 탄화수소수지, 방향족 석유수지, 염소화 파라핀 및 파라핀 왁스를 포한다. 그들은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2-성분 현상제가 사용될때, 본 발명 토너는 캐리어 분말과의 혼합물의 형태로 사용된다.
모든 공지의 캐리어는 본 발명 캐리어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들은 예를들면, 철분말, 페라이트분말 및 니켈분말과 같은 자성분말, 유리비이드 및 그의 표면이 수지등으로 처리된 것들, 그리고 후술하게될 자성재료를 결착수지와 용융반죽하고 혼합물을 분쇄함으로써 제조된 분말을 포함한다.
본 발명 토너에 자성재료가 함입되어 자성토너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 자성토너에 함유될 수 있는 자성재료는 예를들면, 마그네타이트, 헤마타이트 및 페라이트와 같은 산화철; 철, 코발트 및 니켈과 같은 금속; 이들 금속의 알루미늄, 코발트, 구리, 납, 마그네슘, 주석, 아연, 안티몬, 베릴륨, 비스무스, 카드뮴, 칼슘, 망간, 셀레늄, 티타늄, 텅스텐 및 바나듐과 같은 다른 금속과의 합금; 및 그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이들 자성재료의 평균입경은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2μ이다. 토너중의 그들의 양은 수지 100중량부 당 약 20 내지 200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50중량부이다.
본 발명 토너는 필요하다면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는 예를들면, 테플론 및 스테아린산아연과 같은 윤활제, 산화세륨 및 탄화실리콘과 같은 연마제; 콜로이달 실리카, 산화티타늄 및 산화알루미늄과 같은 유동성 부여제; 케이킹 방지제; 카아본블랙 및 산화주석과 같은 전기전도성 부여제; 그리고 저분자량 폴리에틸렌 및 저분자량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정착 보조제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는 위의 일반식(I)의 하전 제어제를 비닐계 또는 비비닐계열가소성수지, 착색제(염료 또는 안료) 그리고 필요하다면 자성재료 및 첨가제와 볼밀 또는 기타 혼합기에서 충분히 혼합하고, 가열 로울, 반죽기 또는 압출기와 같은 열 반죽기에 의해 혼합물을 용융 반죽하여 수지를 상용시키며, 혼합물을 냉각 고화하고, 생성물을 분쇄하며, 분말을 분류하여 8 내지 15μ의 평균입경을 갖는 토너를 얻음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또다른 제조방법은 결착수지 용액중에 재료를 분산시키고 이와같이 얻은 분산액을 분무 건조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토너의 제조를 위한 또다른 방법은 결착수지형성단량체를 소정재료와 혼합하여 유화현탁액을 제조한 다음 중합하여 토너를 제조하는 중합 방법이다.
상기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토너는 전자사진, 정전기록 및 정전인쇄에서 공지의 방법에 의한 정전하상의 현상에 사용되어 하기의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토너입자의 마찰 대전에 의해 발생한 전하량은 불변하고 전하량은 쉽게 제어될 수 있다. 토너는 마찰 전하량이 분산되지도 않고 사용중 변질에 의해 감소되지도 않기 때문에 상당히 안정하다. 그러므로, 상의 흐름, 토너의 분산 및 전자사진재료 또는 복사기의 오염과 같은 문제가 극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토너는 응집, 고화하여 덩어리형성 및 저온에서 유동화가 보존중에 일어나지 않고 장기 보존될 수 있기 때문에 아주 우수하다. 게다가, 토너화상은 탁월한 내마모성, 정착성 및 접착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 (1) 잠상에 높은 충실성을 갖는 화상이 현상 및 전사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장기간동안 연속사용후에도, 현상제의 초기특성이 토너의 응집 또는 대전특성의 변질을 일으키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2) 본 발명 현상제로는 온도 또는 습도의 변화에 의해 영향 받지 않는 안정한 화상이 재현될 수 있다. 화상은 선명한 유채색상을 갖는다. (3) 본 발명 현상제는 정전잠상 표면을 오염, 마모 또는 자국을 내지않고 클리닝이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다. 그것은 탁월한 정착력을 가지며 특히 고온옵셋 인쇄에서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토너의 상기한 탁월한 효과는 대전, 노출, 현상 및 전사가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반복 전사형 복사법에 사용될때 더 현저해진다. 또한 탁월한 색상을 갖는 색화상이 색조가 하전 제어제에 의해 손상되지 않기 때문에 색전자사진 토너로서 토너를 사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 예시하나 결코 발명을 제한하지는 않는다. 이 실시예에서 부는 중량에 의해 주어진다.
[실시예 1]
Figure kpo00038
상기한 재료를 블렌더로 충분히 혼합한 다음 150℃로 가열된 한쌍의 로울로 반죽한다. 반죽된 생성물을 냉각되도록 두고 커터밀로 조분쇄한 다음 제트 기류로 미분쇄기로 미분쇄하였다. 생성물을 풍력분급기로 분류하여 입경이 5 내지 20μ인 미분말을 얻었다.
미분말 5부를 평균입경이 50 내지 80μ인 분말 철 캐리어 100부와 혼합하였다.
다음에 음의 전하를 갖는 상을 공지의 전자사진법에 의해 OPC 감광체상에 형성시켰다. 화상을 자기브러시 법에 의해 상기와 같이 제조된 현상제로 분말현상시켜 토너 화상을 형성시켰다. 그것은 종이에 전사하고 가열 정착시켰다. 이와같이 전사된 화상은 충분한 농도와 같은 높은 해상력을 갖고 화상주위의 토너의 흐림 또는 산란이 없었다. 이와같이 화상은 탁월하였다. 그리고 현저하게 개선된 정착강도를 가졌다. 전사화상은 현상제로 반복 작성하여 화상 내구성을 시험하였다. 50,000매 작성후, 화상은 초기화상과 비교하여 결코 열등하지 않았다.
내구성 시험에서, 토너에 기인하는 감광체의 상기한 필르밍 현상은 전혀 관찰되지 않았고 클리닝 단계에서 문제가 제기되지 않았다. 50,000매 작성한 내구성 시험의 완결후, 정착기를 조사하였다. 로울러는 자국이 나거나 손상되지 않았고 옵셋토너로의 오염이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실제적인 문제가 제기되지 않았다.
통상 조건하에서 수행된 화상의 조사결과를 표 1에 요약한다.
환경 조건이 35℃ 및 85%로 변경되었을 때, 얻은 화상농도는 상온 및 대기습도에서 얻은것과 거의 같았고 온 화상은 선명하고 흐림 또는 산란이 없었다. 내구성에 대해서도 현상제는 50,000매 작성 동안에 거의 변화하지 않았다. 그다음 위와같은 시험을 행하되 온도 및 습도를 각각 15℃ 및 10%로 낮추었다. 화상농도는 충분하였다. 밀집영역도 또한 아주 매끄럽게 현상 및 전사되었고 중간부에서 산란 또는 전사의 실패를 일으키지 않고 탁월한 화상을 형성하였다. 내구성 시험을 위의 조건하에 행하여 연속 또는 간헐적 복사하여 50,000매 작성후 농도 변화는 ±0.2 이내임을 나타냈다. 결과는 실용상 충분하였다.
[비교실시예 1]
현상제를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화합물(1) 2부를 니그로신 염료(Nigrosine Base EX; 오리엔트 케미칼 인더스트리스 컴패니 제품) 2부로 대처하였다. 현상후,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전사 및 정착후 화상을 형성시켰다.
통상의 조건하에 행한 화상의 조사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상온 상습에서 행한 시험에서 흐림은 약간 뿐이었으나 화상농도는 1.00만큼 낮았고 선화(線畵)는 산란을 일으켰으며 두드러진 거칠음이 밀집영역에서 관찰되었다. 50,000매 작성에서 토너의 총소비는 실시예 1보다 20% 더 컸다.
내구성 시험에서, 약 10,000매 작성후 토너가 감광체 표면상에 얇고 줄진 피막을 형성하였고 따라서 화상에 선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이것이 아마도 토너 분말의 윤활성에의 변화에 의해 일어나는 소위 "필르밍(filming)" 현상이다.
초기 단계에서 80% 또는 이상인 전사효율은 30,000매 작성후 60%로 감소하였다.
내구성 시험에서, 정착된 화상은 정착로울러에 의해 말려지는 경향이 있었고 로울러 표면이 오염되었으며 로울러로부터 화상의 방출이 정착단계에서 불충분하였다. 게다가, 장치의 내부는 심각하게 오염되었고 토너의 산란의 문제가 제기되었다. 35℃ 및 85% 습도에서 형성된 화상은 1.35의 충분한 농도를 가졌으나 산란 및 거칠음이 증가되었다. 전사효율은 낮았고 토너의 소비는 증가하였다.
15℃ 및 10% 습도에서 형성된 화상은 9.0만큼 낮은 농도를 가졌고 산란, 흐림 및 거칠음이 삼각하였다. 전사의 국부적 실패가 두드러졌다. 연속 복사작성이 화상농도는 0.53만큼 낮았고 화상은 약 30,000매 작성후 사용불가하였다.
[실시예 2]
현상제를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화합물(1) 2부를 화합물(2) 3부로 대치하였다.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행한 현상 전사 및 정착을 행한 화상이 형성되었다.
상세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결과는 만족스러웠고 실시예 1에서 얻은것과 거의 비슷하였다.
[실시예 3]
현상제를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화합물(1) 2부를 화합물(5) 2부로 대치하였다. 위와같은 방법으로 현상, 전사 및 정착을 행한 화상이 형성되었다.
상세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결과는 만족스러웠고 실시예 1에서 얻은것과 거의 비슷하였다.
[실시예 4]
현상제를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화합물(1) 2부를 화합물(6) 2부로 대치하였다. 위와같은 방법으로 현상, 전자 및 정착을 행한 화상이 형성되었다.
상세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결과는 만족스러웠고 실시예 1에서 얻은것과 거의 비슷하였다.
[실시예 5]
Figure kpo00039
상기한 물질들을 블렌더로 충분히 혼합한 다음 150℃로 가열된 쌍로울로 반죽하였다. 반죽된 혼합물을 방냉하고 커터밀로 조분쇄한 다음 제트 기류로 미분쇄기로 미분쇄하였다. 생성물을 풍력 분급기로 분류하여 입경이 5 내지 20μ인 미분말을 얻었다.
이와같은 얻은 토너를 1성분 토너를 사용하는 시중 구입되는 복사기에 OPC 감광체상에 화상을 형성시키는데 사용하였다. 실시예 1에서 얻은 것과 거의 비슷한 탁월한 결과가 표 1에 나타낸 바와같이 얻어졌다.
[실시예 6]
현상제를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스티렌/부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폴리에스테르수지(폴리옥시에틸렌 비스페놀 A, 폴리옥시프로필렌 비스페놀 A, 테레프탈산, 트리멜리트산무수물 및 테트라프로페닐숙신산 무수물의 축중합물; 링 앤드 볼 법으로 구한 연화점 : 145℃)로 대치하였다.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현상, 전사 및 정착을 행한 후, 화상이 얻어졌다.
상세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결과는 만족스러웠고 실시예 2에서 얻은 것과 거의 비슷하였다.
[비교실시예 2]
현상제를 실시예 5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실시예 1에서 사용된 화합물(1) 2부를 염화 벤젠메틸 헥사데실 암모늄 2부로 대치하였다.
통상의 조건하에 행한 상의 조사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상온 및 상습에서 행한 시험에서 흐림은 약간 뿐이었으나 상농도는 0.90만큼 낮았고 두드러진 거칠음이 밀집영역에서 관찰되었다. 내구성 시험에서, 농도는 30,000매 작성후 0.48로 감소되었다.
내구성 시험시, 필르밍 현상, 정착단계,의 문제 전사효율 및 토너소비량에 관하여 결과는 비교실시예 1에서와 같이 만족스러웠다.
35℃ 및 85% 습도의 조건하에 형성된 화상은 1.35만큼 높은 초기 화상농도를 가졌으나 10,000매의 작성후 0.72로 감소하였다. 게다가, 흐름, 산란 및 거칠음이 증가되었고 화상은 실용 불가능하였다. 전사효율도 또한 낮았다. 15℃와 10% 습도 조건하에 형성된 화상은 0.70 만큼 낮은 상밀도를 가졌고 산란, 흐림 및 거칠음이 심하였다. 국부적인 전사의 실패가 두드러졌다. 연속 화상형성시 화상농도는 10,000매 작성후 0.50으로 감소되었고 화상은 실용 불가능하였다.
[실시예 7]
Figure kpo00040
상기한 재료를 블랜더로 충분히 혼합한 다음 150℃로 가열된 쌍로울 반죽기로 반죽하였다. 반죽된 혼합물을 방냉시키고 커터밀로 조분쇄한 다음 제트 기류로 미분쇄기로 미분쇄하였다. 생성물을 풍력 분급기로 분류하여 입력이 5 내지 20μ인 미분말을 얻었다.
이와같이 얻은 미분말 5부를 평균입경이 50 내지 80μ인 분말철 캐리어 100부와 혼합하여 현상제를 얻었다.
이와같이 얻은 현상제를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이와같이 얻은 화상은 탁월하였고 선명한 청색으로 착색되었다. 그다음, 토너를 보충하면서 30,000매를 작성하였다. 얻은 화상은 탁월하였다.
통상의 조건하에 행한 화상의 조사결과를 표 1에 요약하였다.
[표 1]
Figure kpo00041
[실시예 8]
Figure kpo00042
상기한 재료를 블렌더로 충분히 혼합한 다음 150℃로 가열된 쌍로울로 반죽하였다. 반죽된 생성물을 방냉시키고, 커터밀로 조분쇄한 다음 제트 기류로 미분쇄기로 미분쇄하였다. 생성물을 풍력분급기로 분류하여 입경이 5 내지 20μ인 미분말을 얻었다.
미분말 5부를 평균입경이 50 내지 80μ인 분말 철 캐리어 100부와 혼합하였다.
다음에 음의 전하를 갖는 화상을 공지의 전자사진법에 의해 OPC 감광체상에 형성시켰다. 화상을 위와같이 제조된 현상제로 자기브러시 법에 의해 분말현상시켜 토너화상을 형성시켰다. 그것을 종이에 전사하고 가열 정착시켰다. 이와같이 전사된 화상은 충분한 농도와 높은 해상력을 가졌고, 화상주위의 토너의 흐림 또는 산란이 없었다. 따라서 화상은 탁월하였다. 그리고 현저하게 개선된 정착 강도를 가졌다. 전사화상을 현상제로 반복 작성하여 화상 내구성을 조사하였다. 50,000매 작성후, 화상은 초기것보다 결코 열등하지 않았다.
내구성 시험에서, 토너에 기인하는 감광체의 상기한 필르밍현상은 전혀 관찰되지 않았고 클리닝 단계에서 문제가 제기되지 않았다. 50,000매를 작성한 내구성시험의 완결후, 정착기를 조사하였다. 로울러는 자국이나 손상이 없었고 옵셋토너로의 오염이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실제적인 문제가 제기되지 않았다.
통상의 조건하에 행한 화상의 조사결과를 표 2에 요약하였다.
환경 조건이 35℃ 및 85%로 변경되었을 때, 얻은 화상농도는 상온 및 대기습도에서 얻은것과 거의 같았고, 얻은 화상은 선명하고 흐림 또는 산란이 없었다. 내구성에 대해서도 현상제는 50,000매 작성동안에 거의 변화하지 않았다. 그다음 위와같은 시험을 행하되 온도 및 습도를 각각 15℃ 및 10%로 낮추었다. 화상농도는 충분하였다. 밀집영역도 또한 아주 매끄럽게 현상 및 전사되었고 중간부에서 산란 또는 전사의 실패를 일으키지 않고 탁월한 화상을 형성하였다. 내구성 시험을 위의 조건하에 행하여 연속 또는 간헐적 복사하여 50,000매 작성후 농도 변화는 ±0.2이내임을 나타내었다. 결과는 실용상 충분하였다.
[실시예 9]
현상제를 실시예 8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화합물(1) 4부를 화합물(2) 5부로 대치하였다. 실시예 8과 같은 방법으로 행한 현상, 전사 및 정착을 행한 화상이 형성되었다.
상세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결과는 만족스러웠고 실시예 8에서 얻은것과 거의 비슷하였다.
[실시예 10]
현상제를 실시예 8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화합물(1) 4부를 화합물(5) 4부로 대치하였다. 위와같은 방법으로 현상, 전사 및 정착을 행한후, 화상이 형성되었다.
상세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결과는 만족스럽고 실시예 8에서 얻은것과 거의 비슷하였다.
[실시예 11]
현상제를 실시예 8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화합물(1) 4부를 화합물(6) 4부로 대치하였다. 위와같은 방법으로 현상, 전사 및 정착을 행한후, 화상이 형성되었다.
상세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결과는 만족스럽고 실시예 8에서 얻은것과 거의 비슷하였다.
[실시예 12]
Figure kpo00043
상기한 재료를 블렌더로 충분히 혼합한 다음 150℃로 가열된 쌍로울로 반죽기로 반죽하였다. 반죽된 생성물을 방냉하고 커터밀로 조분쇄한 다음 제트 기류로 미분쇄기로 미분쇄하였다. 생성물을 풍력 분급기로 분류하여 입경이 5 내지 20μ인 미분말을 얻었다.
이와같이 얻은 토너를 1성분 토너가 사용되는 시중구입되는 복사기에서 OPC 감광체 상에 상을 형성시키기 위해 사용하였다. 실시예 8에서 얻은 것과 거의 비슷한 탁월한 결과가 표 2에 나타낸 바와같이 얻어졌다.
[실시예 13]
현상제를 실시예 9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스티렌/부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폴리에스테르수지(폴리옥시에틸렌 비스페놀 A, 폴리옥시프로필렌 비스페놀 A, 테레프탈산, 트리멜리트산무수물 및 테트라프로페닐 숙신산 무수물의 축중합물; 링 앤드 볼법에 의해 구한 연화점 : 145℃)로 대치하였다. 실시예 9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현상, 전사 및 정착을 행한후, 화상이 형성되었다.
상세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그것들은 만족스럽고 실시예 9와 거의 비슷하였다.
[실시예 14]
Figure kpo00044
상기한 재료를 블렌더로 충분히 혼합한 다음 150℃로 가열된 쌍로울 반죽기로 반죽하였다. 반죽된 혼합물을 방냉하고 커터밀로 조분쇄한다음 제트 기류로 미분쇄기로 미분쇄하였다. 생성물을 풍력 분급기로 분류하여 입경이 5 내지 20μ인 미분말을 얻었다.
이와같이 얻은 미분말 5부를 평균입경이 50 내지 80μ인 분말철 캐리어 100부와 혼합하여 현상제를 얻었다.
이와같이 얻은 현상제를 실시예 8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얻은 화상은 탁월하고 선명한 청색으로 채색되었다. 다음에, 토너를 보충하면서 30,000매를 작성하였다. 얻은 화상은 탁월하였다.
통상의 조건하에 행한 화상의 조사결과를 표 2에 요약하였다.
[표 2]
Figure kpo00045
[실시예 15]
Figure kpo00046
상기한 물질을 블렌더로 충분히 혼합한 다음 150℃로 가열된 쌍로울로 반죽기로 반죽하였다. 가열된 혼합물을 방냉하고 커터밀로 조분쇄한 다음 제트기류로 미분쇄기로 미분쇄하였다. 생성물을 풍력 분급기로 분류하여 입경이 5 내지 20μ인 미분말을 얻었다.
미분말 5부를 평균입경이 50 내지 80μ인 분말철 분말 100부와 혼합하였다.
다음에 음의 전하를 갖는 화상을 공지의 전자사진법에 의해 OPC 감광체상에 형성시켰다. 화상을 자기 브러시법에 의해 위와같이 제조된 현상제로 분말 현상시켜 토너화상을 형성시켰다. 그것을 종이에 전사하고 가열 정착시켰다. 이와같이 전사된 화상은 충분한 농도 및 높은 해상력을 가졌고, 화상주위에 토너의 흐름 또는 산란이 없었다. 화상은 탁월하였다. 그리고 현저히 개선된 정착강도를 가졌다. 전사 화상을 현상제로 반복 작성하여 화상 내구성을 조사하였다. 50,000매 작성후, 화상은 초기것에 비해 결코 열등하지 않았다.
내구성 시험에서, 토너에 기인하는 감광체의 상기한 필르밍현상은 전혀 관찰되지 않았고 클리닝 단계에서 문제가 제기되지 않았다. 50,000매를 작성한 내구성 시험의 완결후 정착기를 조사하였다. 로울러는 자국이나 손상이 없었고 옵셋토너로의 얼룩이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실용상의 문제가 제기되지 않았다.
통상 조건하에 행한 화상의 조사결과를 표 3에 요약하였다.
환경 조건이 35℃ 및 85%로 변경되었을 때, 얻은 화상 농도는 상온 및 대기습도에서 얻은 것과 거의 같았고 얻은 상은 선명하고 흐림 또는 산란이 없었다. 내구성에 관하여는, 현상제는 50,000매 작성의 동안에 거의 변화되지 않았다. 다음에, 위와같은 시험을 행하되 온도 및 습도를 각각 15℃ 및 10%로 낮추었다. 화상농도는 충분하였다. 밀집 영역도 또한 매끄럽게 현상 및 전사되었고 중간부에서 산란이나 전사의 실패를 일으키지 않고 탁월한 화상을 형성하였다. 내구성 시험을 상기 조건하에 행하여 연속 또는 간헐적 복사하여 50,000매 작성후 농도 변화는 ±0.2 이내임을 나타내었다. 결과는 실용상 충분하였다.
[실시예 16]
현상제를 실시예 15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화합물(1) 2부를 화합물(2) 3부로 대치하였다. 실시예 15과 같은 방법으로 현상, 전사 및 정착을 행한후 화상이 형성되었다.
[실시예 17]
현상제를 실시예 15와 같은 방법으로 행하되 화합물(1) 2부를 화합물(5) 2부로 대치하였다. 위와같은 방법으로 현상, 전사 및 정착을 행한 후, 화상이 형성되었다.
상세한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결과는 만족스럽고 실시예 15에서 얻은 것과 거의 비슷하였다.
[실시예 18]
현상제를 실시예 15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화합물(1) 2부를 화합물(6) 2부로 대치하였다. 위와같은 방법으로 현상, 전사 및 정착을 행한 후, 화상이 형성되었다.
상세한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결과는 만족스럽고 실시예 15에서 얻은 것과 거의 비슷하였다.
[실시예 19]
Figure kpo00047
상기한 재료를 블렌더로 충분히 혼합한 다음 150℃로 가열된 쌍로울로 반죽기로 반죽하였다. 반죽된 혼합물을 방냉하고 커터밀로 조분쇄한 다음 제트기류로 미분쇄기로 미분쇄하였다. 생성물을 풍력 분급기로 분류하여 입경이 5 내지 20μ인 미분말을 얻었다.
얻은 토너를 1성분 토너가 사용되는 시중구입되는 복사기에서 OPC 감광체 상에 상을 형성시키기 위해 사용하였다. 실시예 15에서 얻은 것과 거의 비슷한 탁월한 결과가 표 3에 나타낸 바와같이 얻어졌다.
[실시예 20]
현상제를 실시예 16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스티렌/부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폴리에스테르수지(폴리옥시에틸렌 비스페놀 A, 폴리옥시프로필렌 비스페놀 A, 테레프탈산, 트리멜리트산 무수물 및 테트라프로필숙신산 무수물의 축중합물; 링앤드 볼법에 의해 구한 연화점 : 145℃)로 대치하였다.
실시예 16과 같은 방법으로 현상, 전사 및 정착을 행한 후, 화상이 형성되었다.
상세한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그들은 만족스럽고 실시예 16에서 얻은 것과 거의 비슷하였다.
[실시예 21]
Figure kpo00048
상기한 재료를 블렌더로 충분히 혼합한 다음 150℃로 가열된 쌍로울로 반죽하였다. 반죽된 혼합물을 방냉하고 커터밀로 조분쇄한 다음 제트기류로 미분쇄기로 미분쇄하였다. 생성물을 풍력 분급기로 분류하여 입경이 5 내지 20μ인 미분말을 얻었다.
이와같이 얻은 미분말 5부를 평균입경이 50 내지 80μ인 분말 첩 캐리어 100부와 혼합하여 현상제를 얻었다.
이와같이 얻은 현상제를 실시예 15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이와같이 형성된 화상은 탁월하고 선명한 청색으로 착색되었다. 다음에, 토너를 보충하면서 30,000매 작성하였다. 얻은 화상은 탁월하였다.
통상의 조건하에 행한 화상의 조사결과를 표 3에 요약하였다.
[표 3]
Figure kpo00049

Claims (3)

  1. 적어도 결착수지, 착색제 및 다음 일반식(I) 또는 (III)의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하상의 현상용 토너.
    Figure kpo00050
    Figure kpo00051
    상기식에서 A는 페놀기함유 화합물 잔기를 나타내며, B는 다음 일반식(II)
    Figure kpo00052
    의 기를 나타내며, R1및 R4는 각각 메틸렌 또는 에틸렌기를 나타내며, R2및 R3는 각각 알킬, 아릴, 알케닐, 아르알킬 또는 환상 알킬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R2및 R3가 합쳐져 고리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R5는 1 내지 8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렌기 또는 아릴렌기, 바람직하게는 페닐렌을 나타내며, R6및 R7는 은 각각 수소원자 또는 1 내지 8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아릴, 아미노알킬, 아르알킬 또는 환상 알킬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R6와 R7은 합해져 고리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Figure kpo00053
    는 1 내지 200의 수를 나타내며, n1 및
    Figure kpo00054
    는 각각 제로 또는 1이고,
    Figure kpo00055
    은 제로이거나 1 내지 3의 정수이며 n2는 일반식(I)에서는 1 내지 3의 정수 또는 제로이고 일반식(III)에서는 1 내지 400의 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일반식(I) 또는 (III)의 화합물의 양은 결착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0.01 내지 10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하상의 현상용 토너.
  3. 제1항에 있어서, 일반식(I) 또는 (III)으로 화합물은 적어도 50℃의 연화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하상의 현상용 토너.
KR1019870013424A 1986-12-01 1987-11-27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 KR9100077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286443 1986-12-01
JP?61286444 1986-12-01
JP61286445A JP2755944B2 (ja) 1986-12-01 1986-12-01 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
JP?61286445 1986-12-01
JP61286443A JPH083667B2 (ja) 1986-12-01 1986-12-01 静電荷像現像用トナ−
JP61-286445 1986-12-01
JP61-286444 1986-12-01
JP61-286443 1986-12-01
JP61286444A JP2755943B2 (ja) 1986-12-01 1986-12-01 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8086A KR880008086A (ko) 1988-08-30
KR910007723B1 true KR910007723B1 (ko) 1991-09-30

Family

ID=27337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3424A KR910007723B1 (ko) 1986-12-01 1987-11-27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845002A (ko)
EP (1) EP0274039B1 (ko)
KR (1) KR910007723B1 (ko)
DE (1) DE3777988D1 (ko)
ES (1) ES2032286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8675B2 (ja) * 1989-01-30 1997-01-08 オリヱント化学工業株式会社 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
EP0382285B1 (en) * 1989-02-08 1994-10-26 Agfa-Gevaert N.V. Particulate toner material
DE68915431T2 (de) * 1989-03-24 1994-11-17 Agfa Gevaert Nv Teilchenförmiges Tonermaterial.
ES2091774T3 (es) * 1989-05-02 1996-11-16 Canon Kk Toner de color.
US5376494A (en) * 1991-12-30 1994-12-27 Xerox Corporation Reactive melt mixing process for preparing cross-linked toner resin
US5436103A (en) * 1993-08-27 1995-07-25 Xerox Corporation Modified unsaturated polyesters
CN112341349B (zh) * 2020-11-17 2022-04-15 山东大学 含官能团的苯并噁嗪齐聚物、低温交联的苯并噁嗪树脂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3284B2 (ko) * 1974-07-12 1978-05-09
DE2931087C2 (de) * 1978-08-01 1986-07-03 Fujitsu Ltd., Kawasaki, Kanagawa Elektrostatographisches Entwicklermaterial
US4656111A (en) * 1983-04-12 1987-04-07 Canon Kabushiki Kaisha Pressure-fixable toner comprising combination of a compound having hydrocarbon chain and a compound having amino group
JPH0623864B2 (ja) * 1984-08-20 1994-03-30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荷電調節剤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032286T3 (es) 1993-02-01
EP0274039A1 (en) 1988-07-13
KR880008086A (ko) 1988-08-30
DE3777988D1 (de) 1992-05-07
US4845002A (en) 1989-07-04
EP0274039B1 (en) 1992-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49448A (en) Carrier for developer of electrostatic latent image, method for making said carrier
DE602004011302T2 (de) Trägerteilchen für die Elektrofotografie, Entwickler, Entwickler-Container, Bildaufzeichnungsgerät, Bilderzeugungsmethode und Prozesskartusche
KR910007721B1 (ko) 정전하상 현상용 토우너 및 그 제조방법
KR910007723B1 (ko)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
JPS6013168B2 (ja) 電子写真トナ−
US6967070B2 (en) Electrophotographic toner and image forming method
JP3327121B2 (ja) 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H07117766B2 (ja) 静電荷像現像用現像剤
EP0772094A1 (en) Toner containing a silicone wax release agent
JP2836149B2 (ja) 二成分現像剤
JPS63138357A (ja) 静電荷像現像用トナ−
JP2800337B2 (ja) 二成分現像剤
JP2844536B2 (ja) 反転現像用現像剤
JPH10307429A (ja) 静電潜像現像用キャリア及びその製造方法、現像剤並びに画像形成方法
JPH0664361B2 (ja) 静電荷像現像用現像剤
JPH0743954A (ja) 二成分現像剤
JPH0876485A (ja) 二成分系現像剤
JPH083667B2 (ja) 静電荷像現像用トナ−
JPS63138356A (ja) 静電荷像現像用トナ−
JPH0564342B2 (ko)
JPH09319149A (ja) 電子写真現像用キャリア、現像剤及び画像形成方法
JPH0876498A (ja) 二成分系現像剤
JPH07219275A (ja) 電子写真用現像剤
JP2004117461A (ja) 電子写真用トナー
JPH036910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9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