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6839B1 - 광파이버 케이블 접속부 - Google Patents

광파이버 케이블 접속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6839B1
KR910006839B1 KR1019860006628A KR860006628A KR910006839B1 KR 910006839 B1 KR910006839 B1 KR 910006839B1 KR 1019860006628 A KR1019860006628 A KR 1019860006628A KR 860006628 A KR860006628 A KR 860006628A KR 910006839 B1 KR910006839 B1 KR 910006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housing member
core
cable
fiber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6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3397A (ko
Inventor
신이찌로 나까이
유이찌 오바라
레니찌 유구찌
시게로 다쭈가미
Original Assignee
후루까와덴끼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쿠사카베 에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루까와덴끼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쿠사카베 에쭈지 filed Critical 후루까와덴끼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3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3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6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29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rengthening or protecting the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34Means for centering or aligning the light guide within the ferrule
    • G02B6/3838Means for centering or aligning the light guide within the ferrule using grooves for light guides
    • G02B6/3839Means for centering or aligning the light guide within the ferrule using grooves for light guides for a plurality of light 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73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73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 G02B6/3885Multicore or multichannel optical connectors, i.e. one single ferrule containing more than one fibre, e.g. ribbon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87Anchoring optical cables to connector housings, e.g. strain relief features
    • G02B6/3888Protection from over-extension or over-compress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26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characterised by form or shape
    • G02B6/383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characterised by form or shape comprising a keying element on the plug or adapter, e.g. to forbid wrong conne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51Ferrules having keying or cod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65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fabricated by using moulding techniqu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73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 G02B6/3874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using tubes, sleeves to align ferrules
    • G02B6/3878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using tubes, sleeves to align ferrules comprising a plurality of ferrules, branching and break-out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광파이버 케이블 접속부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광파이버테이블 접속부(接續部)의 제1실시예에서 그 광파이버케이블 접속전의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2도는 제1실시예에 있는 다심(多心)커넥터를 일부 판단하여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제1실시예에 있는 접속부의 완성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제4도, 5도는 본 발명에 관한 광파이버케이블 접속부의 제2실시예에 있는 광파이버케이블 단말부의 종단면도와 횡단면도.
제6도는 제2실시예에 있는 광파이버케이블 단말부의 정면도.
제7도는 제2실시예에 있는 어댑터의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에 관한 광파이버케이블 접속부의 제3실시예에서 외측하우징부재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에 관한 광파이버케이블 접속부의 제4실시예에서 외측하우징부재의 내부 구조를 일부 판단하여 나타낸 사시도.
제10도는 본 발명에 관한 광파이버케이블 접속부의 제5실시예에서 외측하우징부재의 내부 구조를 일부 판단하여 나타낸 사시도.
제11도는 종래의 광파이버케이블 접속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광파이버케이블 12 : 광파이버케이블의 접속부
13 : 케이블시스 14 : 광파이버심선(心線)
15 : 광파이버 16 : 렌숀멤버
17 : 열수축튜브 18 : 메탈심선
19 : 슬롯 20 : 하우징
21 : 외측하우징부재 21a : 외측하우징부재의 단부
21b : 외측하우징부재의 공 22 : 내측하우징부재
22a : 내측하우징부재의 단부 22b : 커넥터 수용요부의 단부
22c : 내측하우징부재 단부 23 : 고정용수지
24 : 비스 25 : 스프링
26 : 연장하우징부재 27 : 키구
31 : 다심커넥터 31A : 다심커넥터의 접속단면
32 : 위치결정파지부 33 : 몰드부
34 : 가이드공 35 : 가이드핀
36 : 가이드핀 37a : 메탈용커넥터
37b : 메탈용커넥터 41 : 어댑터
42 : 고정구 43 : 0링
44 : 키 51 : 환형앵커링부품
51a : 환형앵커링부품의 절결부 52 : 고정링
53 : 환형앵커링부품 53a : 환형앵커링부품의 중심공
54 : 고정링
본 발명은 통신분야에 이용되는 광파이버케이블의 접속부(Connector)에서 그 접속부를 계량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광파이버케이블 상호의 접속에 있어서 그 케이블시스 단부로부터 인출된 광파이버심선은 융착접속하여 이 접속부분을 접속상자에 의하여 덮는 것이 일반적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1도를 참조하여 나타내는 이하의 순서에 의하여 광파이버케이블(1)의 접속부(2)가 구성된다.
즉, 제11도에 나타나는 일반예로서는 초기에 적당한 길이만큼 시스 제거하는 것에 의하여 케시블시스(3)의 단부로부터 각 광파이버심선(4)이 인출되는 동시에 이러한 광파이버심선(4)에 여장부(余長部)(4A)가 설정되고 다음에 광파이버심선 상호간이 융착접속된 융착부가 형성되고, 그후 케이블시스 상호에 걸쳐서 고착된 렌숀멤버(6)을 넣어 광파이버케이블 상호가 접속되며 그후 이러한 접속영역 전체가 접속상(7)에 의하여 덮어진다.
상술한 종래예의 경우 광파이버심선(4)의 융착접속이 주체로 되고 있다.
이러한 융착접속은 접속후의 신뢰성이 높아진다고 하지만 그 작업예고도의 숙련이 요구되고 더구나 조건이 나쁜 공사현장에서 작업을 행하기 때문에 접속미스가 발생하기 쉽고 그위에 다수대의 광파이버심선을 일대(一對)만으로 접속하여서 작업능률이 저하하며 단시간에 공사를 끝낼 수 없다.
한편 접속부를 구조상으로부터 검토한 경우 심선의 접속변경등을 고려하여 개개의 광파이버심선에 여장부를 설정하기 때문에 그 여장부에 의하여 접속부가 대경화(大徑化)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에 접하여서 접속작업이 능률좋게 행해지고, 접속부의 소형화가 될 수 있는 광파이버케이블 접속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광파이버케이블 상호의 접속부에서 한쪽의 광파이버케이블 케이블시스 단부로부터 인출된 복수의 광파이버심선 및 다른쪽의 광파이버케이블 케이블시스 단부로부터 인출된 복수의 광파이버심선에 다심커넥터가 각기 일괄하여 취부되어 상기한 각 케이블시스 단부외주에 이 각 케이블시스 단부의 앞쪽으로 돌출하는 하우징이 각기 장착되며, 상기한 각각의 다심커넥터부착 광파이버심선, 이러한 다심커넥터에 맞대어지도록 하는 힘을 주기 위한 스프링 등이 상기의 각 하우징내에 들어가게 되니 다심커넥터 각각이 하우징 각각의 선단내부에 유지되며, 다심커넥터 각각의 접속단면이 서로 부합되어져 광파이버심선 각각이 서로 광학적으로 접속되며, 상기한 하우징 각각이 이러한 선단외주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를 개재시켜 상호 연결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광파이버케이블 접속부는 상술한 것같이 다심커넥터를 넣어 각 광파이버심선 상호가 일괄접속되며 각 케이블시스 단부에 장착된 하우징이 어댑터와 고정구를 넣어 상호 연결되고 있다.
이러한 접속부품을 넣어서 행하는 상기한 접속작업은 특별한 어려움이 없어 공사현장에서 간이 신속하게 행하여 케이블접속의 재현성도 있다. 재현성이 있는 케이블접속이 행해지는 경우 각 광파이버심선에 여장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그 여장부가 생략가능한 때문에 광파이버케이블 접속부의 소경화(小經化)가 될 수 있다.
상술한 다심커넥터, 하우징등은 미리 공장에서 각 광파이버케이블에 취부될 수 있어 이러한 다심커넥터, 하우징들을 구비한 광파이버케이블의 양산이 가능하다.
따라서 현장작업의 부담이 경감될 뿐만 아니라 광파이버케이블 접속부가 합리적으로 얻어지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제1도-제3도에서 (11)은 각각 광파이버케이블, (12)은 광파이버케이블 상호의 접속부, (13)은 각 케이블시스, (14)는 각각 복수의 광파이버심선(이차 피복광파이버), (15)는 나상(裸狀)의 광파이버, (16)은 렌숀멤버이다.
제1도, 제3도를 참조하여 밝혀지듯이 접속대를 이루는 2본의 광파이버케이블(11)은 이러한 단부가 대향하여 케이블시스(13)의 단부로부터 복수의 광파이버심선(14)이 인출되고 있다. 각 케이블시스(13)의 단부로부터 복수의 광파이버심선(14)이 인출되고 있다.
각 케이블시스(13)의 단부외주에는 하우징(20)이 각기 장착되어 있고, 이러한 하우징(20)은 통상의 긴 외측하우징부재(21)와 통상 혹은 캠상의 짧은 내측하우징부재(22)로 된다.
외측하우징부재(21)은 그 기단축의 주면에 공(公)(21b)을 갖는다. 외측하우징부재(21)의 기단부와 케이블시스(13)의 단부는 서로 끼워 맞춰지면 상기한 공(21b)으로부터 외측하우징부재(21)내에 주입된 고정용수지(23)를 넣어 서로간에 고정되고, 고정후 공(21b)에 버스(24)를 넣어서 밀폐시킨다.
케이블시스(13)의 단부로부터 인출된 렌숀멤버로 외측하우징부재(21)내의 고정용수지(23)에 의해서 고정되고 있다. 외측하우징부재(21)의 기단부와 케이블시스(13)에 걸쳐서 열수축튜브(17)가 씌워지고 이 수축력에 의하여 열수축튜브(17)가 해당부분을 기밀하게 덮어씌운다.
상기하듯이 케이블시스(13)의 단부외주에 장착된 외측하우징부재(21)는 그 케이블시스 단부에 의하여 앞쪽으로 길게 나오게 되며 내측하우징부재(22)는 그 외측하우징(21)의 선단부내에서 긴쪽방향으로 이동이 잘 되도록 끼워 맞춰져 있다.
외측하우징부재(21)의 내주면에는 선단측이 대경(大徑), 후단측이 소경(小徑)으로 되는 상대적인 내경차가 있어서 그 경계에 단부(段部)(21a)가 발생되고 있다.
내측하우징부재(22)의 외주면에는 선단측이 대경, 후단측이 소경으로 되는 상대적인 외경차가 있어 그 경계에 단부(22a)가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양부재(21),(22)의 상대관계는 외측하우징부재(21)내에 있어서 내측하우징부재(22)가 긴쪽방향으로 이동가능이 되도록 하지만 외측하우징부재(21)의 상기한 단부(21a)와 내측하우징부재(22)의 상기한 단부(22a)의 사이에 압축스프링(25)이 개재되어 이 스프링(25)에 의하여 내측하우징부재(22)에는 외측하우징부재(21)의 선단으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의 탄발력이 부여되고 있다.
상기한 스프링(25)의 힘을 후술하는 다심커넥터 상호를 퉈이너와 합치게 하는 힘으로 된다. 외측하우징부재(21)에 대한 내측하우징부재(22)의 돌출량을 제한하기 위하여 외측하우징부재(21)로부터 도시되지 않는 나사가 틀어 넣어져서 나사가 내측하우징부재(22)에 형성된 유단(有端)의 긴홈에 계합된다.
즉, 상기한 나사가 긴홈의 단부에 당접하는 것에 의하여 내측하우징부재(22)의 돌출량이 제한되어 탄발력에 의한 탈리억제가 된다.
상기에서 각 케이블시스(13)의 단부로부터 인출된 복수의 광파이버심선(14)은 이러한 선단에 일괄하여 다심커넥터(31)에 각각 취부되고 있다.
이러한 다심커넥터(31)는 특히 제2도를 참조하면 명확하듯이 위치결정파지체(32)와 몰드부(32)로 되며, 위치결정파지부(32)는 핏치의 횡열평행 상태로 나열된 광파이버심선(14)의 선단축을 파지하고 있고, 몰드부(33)는 심선피복이 제거되어 위치결정파지체(32)의 선단으로부터 돌출한 더구나, 소정의 핏치의 횡열평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각 라상광파이버(15)를 일괄하여 취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몰드부(33)는 일례로서 위치결정파지체(32)에 의하여 파지된 각 광파이버심선(14)을 성형형내에 넣어 그 성형형내에 수지를 주입하는 것에 의하여 설치된다.
다른예로서 미리 성형된 몰드부(33)가 각 광파이버심선(14)의 선단에 장착된다.
상기 몰드부(33)의 선단면에는 각 라상광파이버(15)의 선단면이 노출하여 있고, 그 몰드부(33)에 있는 광파이버열의 양측에는 광파이버(15)와 평행하여 심합체용 가이드공(34)이 형성되고 있는 동시에 해당 몰드부(33)의 선단면, 즉, 다심커넥터(31)의 접속단면(31A)은 각 라상광파이버(15)의 선단도 포함하여 평활하게 연마되고 있다.
상기 다심커넥터(31)에 취부된 광파이버심선(14)은 외측하우징부재(21)내에 수납되어지고 있지만 이런 것 가운데 다심커넥터(31)은 그 접속단면(31A)이 노출한 상태에서 내측하우징부재(22)내에 끼워지고 이러한 상태로 해당 다심커넥터 31에 취부된 광파이버심선(14)이 외측하우징부재(21)내에 수납되고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다심커넥터(31)가 내측하우징부재(22)의 커넥터수용요부(22b)내에 끼워지며, 그 후단부가 커넥터수용요부(22b)의 단부(22c)와 당접하는 것에 의하여 다심커넥터(31)의 후퇴가 저지되고 있다.
2개의 외측하우징부재(21)의 선단은 어댑터(41)의 양단개구로부터 그 내부에 끼워져 서로 마주 향하며, 이것과 동시에 2개의 다심커넥터(31)은 접속단면(31A)이 어댑터(41)내에서 맞대어진 광파이버 상호가 광학적으로 접속된다.
이때, 상호의 광파이버(15)의 심합체를 양호하게 하기 때문에 양쪽의 몰드부(33)의 가이드공(34)에서 심합체용의 가이드핀(35)이 삽입되며 소정의 심합체가 행해진다. 2개의 내측하우징부재(22)도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공에 가이드핀(36)이 꽂아 넣게 되어 심합체가 행해진다.
상기한 2개의 외측하우징부재(21)는 어댑터(41)에 자루나트로 되는 고정구(42)를 넣어 상호 연결되어 있다. 그 때문에 어댑터(41)의 양단 외주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외측하우징부재(21)의 선단부외주에는 도시하듯이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외측하우징부재(21)의 외주에는 0링(43)이 끼워져 0링(43)이 어댑터(41)의 내주면과 밀접하고 있다. 이상에 서술한 실시예의 경우 내측하우징부재(22)와 다심커넥터(3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다음에 제4도-제7도에 나타난 실시예에서는 광파이버케이블(11)이 메탈심선(18)을 구비한 복합케이블로 되며 하우징(20)이 케이블시스(13)의 단부외주에 장착된 통상의 긴 외측하우징부재(21)의 그 외측하우징부재(21)의 선단에 나사구조를 넣어 연결된 통상의 짧은 연장하우징부재(26)와 그 연장하우징부재(26)내에 고정된 통상 혹은 캡상의 짧은 내측하우징부재(22)로 되며 그 내측하우징부재(22)는 전후에 2분할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케이블시스(13)의 단부로부터 인출된 광파이버심선(14), 메탈심선(18)에 각각 다심커넥터(31), 메탈용커넥터(37a),(37b)가 취부되고 있다. 메탈용커넥터(37a)는 웅형, 메탈용커넥터(37b)는 자형이고, 이것들은 서로 붙이고 떨어지는 것이 잘 되도록 대응된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내측하우징부재(22)내에는 다심커넥터(31)가 끼워져 그 다심커넥터(31)에는 이 다심커넥터(31)와 내측하우징부재(22)의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25)을 넣어서 소정의 맞대도록 하는 힘이 부여되어 있는 동시에 메탈용커넥터(37a),(37b)는 그 작동을 구속하여 내측하우징부재(22)내에 장착되어진다.
더욱이 연장하우징부재(26)의 외주면에 키홈(27)이 형성되며, 어댑터(41)의 내주면에 그 키홈(27)과 대응하는 키(44)가 형성되며 이러한 키(44)와 키홈(27)이 서로 끼워 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키홈(27)과 키(44)는 연장하우징부재(26)의 외주면에 키(44)가 형성되며 어댑터(41)의 내주면에 키홈(27)이 형성된 여러 모양도 얻을 수 있다. 또한, 외측하우징부재(21)와 어댑터(41)의 상대관계에 있어서 이같은 키홈, 키가 설정되는 것도 있다.
제4도-제7도의 실시예도 광파이버심선 상호, 메탈심선 상호가 소정의 커넥터를 넣어서 접속되며 이러한 접속상태가 어댑터(41), 고정구(42)를 넣어서 유지된다.
다음에 제8도에 나타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제8도에 나타난 광파이버케이블의 경우 케이블시스(13)의 단부로부터 광파이버심선, 렌숀멤버(16)가 인출되어 그 시스단부외주에는 기단(基端)측의 내주면에 단부(21c)를 지니는 외측하우징부재(21)가 상기와 동일하에 취부되고 있다.
이러한 여러 형태에 있어서 렌숀멤버(16)의 외주에는 중심공을 갖는 환형앵커링부품(51)이 덮어지며, 이환형앵커링부품(51)이 후면 외주부가 외측하우징부재(21)의 단부(21c)에 당접되고 환형앵커링부품(51)의 전면중심부가 렌숀멤버(16)의 외주에 고정지지된 고정링(52)에 당접되어 역으로 환형앵커링부품(51), 렌숀멤버(16)가 외측하우징부재(21)내에서 상대적으로 고정되어진다.
한편, 광파이버심선(14)은 환형앵커링부품(51)의 단면에 착설된 각 투공으로부터 외측하우징부재(21)의 선단측에 인출되며, 이러한 광파이버심선(14)이 기술한 커넥링수단을 넣어서 광학적으로 접속된다.
다음에 제9도에 나타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9도에 나타난 광파이버케이블(11)의 경우, 그 케이블축심에 위치하는 렌숀멤버(16)의 외주에 나선상의 복수의 슬롯(19)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슬롯(19)내에 광파이버심선(14)이 끼워져 있다. 이러한 광파이버심선(14)은 렌숀멤버(16)의 외주에 감기어진 압권층(押卷層)에 의하여 슬롯(19)내에 유지되어진다.
제8도에서 케이블시스(13)의 단부로부터는 광파이버심선(14), 렌숀멤버(15)가 인출되어 그 시스단부외주에는 기단축의 내주면에 단부(21c)를 갖는 외측하우징부재(21)가 상기와 동일한 모양으로 취부되어 있다.
이러한 여러모양에 있어서 렌숀멤버(16)의 외주에는 복수의 절결부품(51a)를 갖고 있는 링상의 환형앵커링부품(51)이 덮어져서 그 환형앵커링부품(51)의 후면 외주부가 외측하우징부재(21)의 단부(21c)에 당접되고, 그 환형앵커링부품(51)의 전면 중심부가 렌숀멤버(16)의 외주에 고정지지된 고정링에 당접되고, 역으로 그 환형앵커링부품(51), 렌숀멤버(16)가 외측하우징부재(21)내에서 상대적으로 고정되어져 있다.
한편, 광파이버심선(14)은 환형앵커링부품(51)의 절결부(51a)로부터 외측하우징부재(21)의 선단측에 인출되며, 이러한 광파이버심선(14)이 전술한 커넥팅수단을 넣어서 광학적으로 접속된다.
다음에 제10도에 나타난 광파이버케이블(11)은 가스필드형 또는 제리필드형으로서 그 케이블의 피복층간에 좁은 선상의 렌숀멤버(16)가 다수 개재되어 있어 그 렌숀멤버(16)가 광파이버심선(14)과 함께 케이블시스(13)의 단부로부터 인출되며 케이블시스(13)의 단부외주에는 전술한 단부(21c)를 갖고 있는 외측하우징부재(21)가 취부되어 있다.
제10도의 실시예에서는 복수본으로 묶어진 각 렌숀멤버(16)의 단부가 외측하우징부재(21)의 단부(21c)에 당접된 링상의 환형앵커링부품(53)의 판면을 광통하여 그 관통상태에 있는 각 렌숀멤버단부에 고정링(54)이 중간에서 막고 있다.
이 경우 긴장상태에 있는 렌숀멤버(16)는 고정링(54)을 개재시켜 환형앵커링부품(53)을 상기한 당부(21c)에 강하게 당접되도록 하여서 이러한 환형앵커링부품(53), 렌숀멤버(16)가 외측하우징부재(21)내에서 상대적으로 고정된다.
제10도에 있는 광파이버심선(14)도 환형앵커링부품(53)이 중심공(53a)으로부터 외측하우징부재(21)의 선단측에 인출되고 이러한 광파이버심선(14)이 전술한 커넥팅수단을 개재하여 광학적으로 접속된다.
물론, 제10도의 가스필드형 또는 제리필드형 광파이버케이블(11)에서는 그 케이블시스 반드시 단부로부터 광파이버심선(14), 렌숀멤버(16) 등이 인출되는 때에 공지의 수단으로 시스단부가 시일된다.
이상 설명하듯이 본 발명에 관한 광파이버케이블 접속부는 각 광파이버 상호가 다심커넥터를 개재시켜 일괄 접속시켜 각 케이블시스 상호가 그 시스단부에 장착된 하우징, 어댑터, 고정구등을 개재시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한 각 케이블 요소를 함유한 광파이버케이블 접속작업이 공사현장등에서 어려움없이 간이 신속하게 행해지며 더구나 재현성이 있는 케이블접속상태가 얻어져서 각 광파이버심선에 여장부를 설정할 필요가 없고, 그 여장부가 생략된 만큼 광파이버케이블 접속부의 소경화(小經化)가 될 수 있는 외에 상기한 다심커넥터, 하우징등의 접속부품이 미리 공장에서 소정의 케이블요소에 취부하게 할 수 있어서 이러한 접속부품을 구비한 광파이버케이블의 양산이 가능하며 더욱이 현장작업의 부담이 경감될 뿐 아니라 광파이버케이블 접속부가 합지적으로 얻어질 수 있게 된다.

Claims (9)

  1. 광파이버 상호의 접속부에 있어서 한쪽의 광파이버케이블의 케이블시스 단부로부터 인출된 복수의 광파이버심선 및 다른쪽의 광파이버케이블의 케이블시스 단부로부터 인출된 복수의 광파이버심선에 다심(多心)커넥터가 각기 일괄하여 취부되고, 상기한 각 케이블단부외주에 해당하는 각 케이블시스 단부의 앞쪽으로 돌출하는 하우징이 각기 장착되며, 상기한 각각의 다심커넥터가 부착된 광파이버심선과 이러한 다심커넥터에 맞대어지도록 하는 힘을 부여하기 위한 스프링이 상기한 하우징 각각의 내부에 수납되어 해당하는 다심커넥터 각각이 하우징 각각의 선단부내부에 유지되며, 해당하는 다심커넥터 각각의 접속단면이 서로 부합되어 광파이버심선 각각이 상호 광학적으로 일괄 접속되고, 상기한 하우징 각각이 이러한 선단외주에 걸쳐진 어댑터와 그 어댑터 양단을 하우징 각각의 선단외주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를 개재시켜 서로 연결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케이블 접속부.
  2.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이 기단부(基短部)가 케이블시스 단부외주에 장착된 통상의 긴 외측하우징부재와 그 외측하우징부재의 선단내부에 긴쪽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도록 하는 맞추어 끼워진 통상 혹은 캡상의 짧은 내측하우징부재로 되며, 다심커넥터가 내측하우징부재를 개재시켜 그 내부에 유지되어지는 동시에 그 다심커넥터에는 내측 하우징부재와 외측하우징부재의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을 개재시켜 소정의 맞대어지게 하는 힘이 부여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케이블 접속부.
  3.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이 기단부가 케이블시스 단부외주에 장착된 통상의 긴 외측하우징부재와 그 외측하우징부재의 선단에 연결된 통상의 짧은 연장하우징부재 및 그 연장하우징부재내에 고정된 혹는 캡상의 짧은 내측하우징부재로 되며, 다심커넥터가 내측하우징부재내에 끼워넣어져 동시에 그 다심커넥터에 해당하는 다심커넥터와 내측하우징부재의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을 개재시켜 소정의 맞대어지게 하는 힘이 부여되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케이블 접속부.
  4. 제2항에 있어서, 다심커넥터와 내측하우징부재가 일체로 성형되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케이블 접속부.
  5.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내측하우징부재 상호에는 심합체용의 가이드핀과 가이드공이 설치되며, 이러한 가이드핀과 가이드공이 서로 끼워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케이블 접속부.
  6. 제3항에 있어서, 연장하우징부재 상호의 외주면 혹은 외측하우징부재의 외주면과 어댑터의 내주면에는 서로 대응하는 키와 키홈이 상대 형성되어져, 이러한 키와 키홈이 서로 맞추어 끼워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케이블 접속부.
  7.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광파이버케이블의 케이블시스 단부로부터 인출된 렌숀멤버가 하우징재의 기단부축에 고정되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케이블 접속부.
  8. 제1항 내지 제3항 혹은 제7항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렌숀멤버가 고정용수지를 개재시켜 고정되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케이블 접속부.
  9. 제1항 내지 제3항 혹은 제7항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렌숀멤버가 환현앵커링부품을 개재시켜 고정되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케이블 접속부.
KR1019860006628A 1985-09-25 1986-08-12 광파이버 케이블 접속부 KR9100068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210030A JPS6270805A (ja) 1985-09-25 1985-09-25 光・メタル複合ケ−ブル端末部
JP60-210030 1985-09-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3397A KR870003397A (ko) 1987-04-17
KR910006839B1 true KR910006839B1 (ko) 1991-09-06

Family

ID=16582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6628A KR910006839B1 (ko) 1985-09-25 1986-08-12 광파이버 케이블 접속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801191A (ko)
EP (1) EP0216470A3 (ko)
JP (1) JPS6270805A (ko)
KR (1) KR910006839B1 (ko)
CA (1) CA128092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02607B (it) * 1987-03-02 1989-02-09 Pirelli Cavi Spa Giunto per cavi di telecomunicazione a fibre ottiche
JPS63287916A (ja) * 1987-05-21 1988-11-25 Furukawa Electric Co Ltd:The 複合ケ−ブルの端末部
IT1222135B (it) * 1987-07-27 1990-09-05 Pirelli Cavi Spa Linea sottomarina per telecomunicazioni a fibre ottiche
FR2630834A1 (fr) * 1988-04-29 1989-11-03 Telecommunications Sa Perfectionnement aux liaisons optiques et aux dispositifs d'extremites pour de telles liaisons
JPH02282706A (ja) * 1989-04-25 1990-11-20 Mitsubishi Cable Ind Ltd 多芯コネクタ構造体
JP2593551B2 (ja) * 1989-05-12 1997-03-26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多心光ファイバ一括接続用コネクタ
US4978194A (en) * 1989-08-28 1990-12-18 Raynet Corporation Stepped cable block
US5109452A (en) * 1990-07-16 1992-04-28 Puritan-Bennett Corporation Electrical-optical hybrid connector
US5140659A (en) * 1991-01-28 1992-08-18 Hughes Aircraft Company Combination optical fiber and electrical connector
ES2089319T3 (es) * 1991-09-04 1996-10-01 Furukawa Electric Co Ltd Conector optico de nucleos multiples.
US5242315A (en) * 1992-05-21 1993-09-07 Puritan-Bennett Corporation Electrical-optical hybrid connector plug
FR2695733B1 (fr) * 1992-09-11 1994-11-04 Mars Actel Procédés de préparation du raccordement par épissurage d'un dispositif d'optique intégrée à au moins un câble optique.
US6474878B1 (en) 2000-03-28 2002-11-05 Berg Technology, Inc. Optical connector
US6685361B1 (en) * 2000-06-15 2004-02-03 Weatherford/Lamb, Inc. Fiber optic cable connectors for downhole applications
KR100350966B1 (ko) * 2000-09-07 2002-08-30 (주)옵토네스트 팬아웃 코드
DE10129038A1 (de) * 2001-06-15 2002-12-19 Bosch Gmbh Robert Regensensor,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sowie Verfahren zur Montage eines Regensensors
DE10143058A1 (de) * 2001-09-03 2003-03-20 Reinhold Blazejewski Steckverbinder für ein Kombinationskabel
US6739759B1 (en) 2003-03-13 2004-05-25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Protected optical interface
US7149392B2 (en) * 2004-08-30 2006-12-12 Molex Incorporated Round multi-fiber cable assembly and a method of forming same
US10578812B2 (en) 2005-06-08 2020-03-03 Commscope, Inc. Of North Carolina Methods for forming connectorized fiber optic cabling
US7387447B2 (en) * 2006-09-15 2008-06-17 Corning Cable Systems Llc Secure fiber optic connector and adapter systems
EP2189831B1 (en) * 2008-11-25 2012-08-08 CCS Technology Inc. Hybrid connector
WO2011097473A2 (en) 2010-02-04 2011-08-11 Adc Telecommunications, Inc. Ruggedized fiber optic/electrical connection system
JP2013257430A (ja) * 2012-06-12 2013-12-26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電気複合コネクタ接続構造および光電気複合コネクタ
JP2013257432A (ja) * 2012-06-12 2013-12-26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電気複合コネクタ
JP2013257431A (ja) * 2012-06-12 2013-12-26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電気複合コネクタおよび光電気複合コネクタ用部品
CN106133571B (zh) 2014-02-07 2018-12-21 泰科电子公司 硬化的光功率连接系统
US9874704B2 (en) * 2014-08-13 2018-01-23 Finisar Corporation Ferrule assemblies
JP7008978B2 (ja) * 2018-02-28 2022-01-25 多治見無線電機株式会社 複合コネクタ装置
JP2021117439A (ja) * 2020-01-29 2021-08-10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ケーブルおよ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製造方法
EP4097525A1 (en) 2020-01-31 2022-12-07 CommScope Technologies LLC Outdoor rated fiber optic jumper cable
JP7295905B2 (ja) * 2021-05-26 2023-06-2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フロントインサート、光電コネクタ、光電コネクタ付き光電気複合ケーブル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9469A (en) * 1975-05-27 1981-07-2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Separable fiber optic cable connector
US4140367A (en) * 1976-10-08 1979-02-20 Bunker Ramo Corporation Multiple channel connector for fiber optic cables
GB2043943B (en) * 1979-02-27 1982-12-08 Plessey Co Ltd Optical cable gland
GB2062891B (en) * 1979-10-31 1985-07-24 Bunker Ramo Fibre optic connector for high density appilication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fibre optic connectors
JPS5674210A (en) * 1979-11-21 1981-06-19 Nec Corp Optical fiber connector
US4320938A (en) * 1979-12-26 1982-03-23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Resilient optical fiber connector
DE3002473A1 (de) * 1980-01-24 1981-09-17 Teldix Gmbh, 6900 Heidelberg Loesbare kupplung zum verbinden von insbesondere mehreren lichtwellenleitern
JPS58118614A (ja) * 1982-01-08 1983-07-1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多心光コネクタ及びその中子の製造方法
FR2524653B1 (fr) * 1982-03-30 1985-09-27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Dispositif de raccordement d'ensembles de fibres optiques multiples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dispositif
FR2524986A1 (fr) * 1982-04-08 1983-10-14 Cables De Lyon Geoffroy Delore Dispositif de jonction des extremites de deux cables sous-marins a fibres optiqu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801191A (en) 1989-01-31
JPS6270805A (ja) 1987-04-01
KR870003397A (ko) 1987-04-17
CA1280920C (en) 1991-03-05
EP0216470A3 (en) 1987-09-23
EP0216470A2 (en) 1987-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6839B1 (ko) 광파이버 케이블 접속부
US4218113A (en) Optical fiber connector apparatus
US4693550A (en) Crimp type fiber optic connector
KR101114289B1 (ko)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KR101105664B1 (ko)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US20130121653A1 (en) Optical connec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JPS5928891B2 (ja) 光フアイバ用コネクタ
US4478487A (en) Optical fiber connectors
JP2005114860A (ja) 光コネクタ用フェルール及び光コネクタの組立方法
JP2008241729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コネクタ接続構造およびコネクタ接続端子の形成方法
JP2019149337A (ja) 複合コネクタ装置
JPS589922B2 (ja) 光フアイバコネクタ
JP2005114770A (ja) 光コネクタ
JP3104908B2 (ja) 光コネクタプラグ
JPS6021362B2 (ja) 光フアイバコネクタ
JP2825293B2 (ja) 多心光コネクタプラグ
KR100570421B1 (ko) 플라스틱 광 케이블용 커넥터
JP2862294B2 (ja) 光コネクタプラグのフェルール
JPH03167510A (ja) 多心光リセプタクル
JPS6170514A (ja) 光フアイバケ−ブル接続部
JP4155153B2 (ja) 光ファイバ接続部材および光ファイバ接続方法
JP2004094249A (ja) 光短絡インサート及び光短絡プラグ
JPS62203106A (ja) 単心線集合部内蔵形防水光フアイバ多心コネクタ
CN217820965U (zh) 多芯光纤连接器
JPS5936207A (ja) 光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8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