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6279B1 - 로우터리노즐의 주탕량 제어용 연와(注湯量制御用煉瓦) - Google Patents
로우터리노즐의 주탕량 제어용 연와(注湯量制御用煉瓦)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10006279B1 KR910006279B1 KR1019860009509A KR860009509A KR910006279B1 KR 910006279 B1 KR910006279 B1 KR 910006279B1 KR 1019860009509 A KR1019860009509 A KR 1019860009509A KR 860009509 A KR860009509 A KR 860009509A KR 910006279 B1 KR910006279 B1 KR 9100062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iding
- edge
- nozzle
- rotary nozzle
- pour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4—Closures
- B22D41/22—Closures sliding-gate type, i.e. having a fixed plate and a movable plate in sliding contact with each other for selective registry of their openings
- B22D41/28—Plates therefor
- B22D41/34—Supporting, fixing or centering mean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8—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for bottom pour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4—Closures
- B22D41/22—Closures sliding-gate type, i.e. having a fixed plate and a movable plate in sliding contact with each other for selective registry of their openings
- B22D41/26—Closures sliding-gate type, i.e. having a fixed plate and a movable plate in sliding contact with each other for selective registry of their openings characterised by a rotatively movable pl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종래예의 로우터리노즐의 구성을 일부 절단하여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종래예의 로우터리노즐의 사용상태에 있어서의 주요부분의 모식 단면도.
제3도는 종래예의 로우터리노즐용의 미끄럼판(slip 板)연와의 평면도.
제4도는 종래예의 로우터리노즐의 로우터 평면도.
제5도는 종래예의 로우터리노즐에 있어서의 상대회전각 θ(가로축)과 미끄럼면 사이의 면압 P(세로축)의 관계를 나타낸 선도.
제6도는 노즐구멍의 폐쇄개시할때의 용강(溶鋼)이 흐르는 모양을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분의 단면도.
제7a 및 b도는 본 발명에 관한 로우터리노즐에 사용하는 고정판연와의 한예를 나타낸 평면도와 그 Ⅶ-Ⅶ선 단면도.
제8a 및 b도는 본 발명에 관한 로우터리노즐에 사용하는 미끄럼판연와의 한예를 나타낸 평면도와 그 Ⅷ-Ⅷ선 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한 로우터리노즐의 고정판연와를 로우터리내에 수납한 상황을 나타낸 평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한 로우터리노즐의 미끄럼판연와를 받침쇠(로우터)내에 수납한 상황을 나타낸 평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한 로우터리노즐에 있어서의 상대 회전각 θ(가로축)과 미끄럼면 사이의 면압 P(세로축)의 관례를 나타낸 선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로우터리노즐에 사용하는 고정판연와를 나타낸 사시도.
제13도는 전도의 고정판연와의 그것에 면 접촉하는 미끄럼판연와의 상대 회전각 위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제14도는 제13도의 고정판연와의 평면도.
제15도는 제13도의 고정판연와를 사용하여 실행한 면 접촉의 상황의 실측결과를 나타낸 도면.
제16도는 제7a도의 홈이 없는 (fluteless) 고정판연와를 사용하여 실행한 면 접촉의 상황의 실측결과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2, 52, 142, 152 : 노즐구멍 41, 141 : 고정판연와
51, 151 : 미끄럼판연와 143 : 홈(構)
5a : 받침쇠(brace) 12a : 로우터(rotor).
본 발명은 레이들(ladle), 턴디시(tundish)와 같은 야금용 용기의 저부출구에 장착되어 미끄럼판연와를 회전시켜서 고정판연와의 노즐구멍의 크기를 조절하여 용강(溶鋼) 등의 주탕량(注湯量)을 제어하기 위한 로우터리노즐의 주탕량 제어용연와에 관한 것이다.
로우터리노즐은 회전로에서 출강(出鋼)된 용강을 받아서 운반한다거나 주형에 주입한다거나 하는 레이들이나, 레이들에서 용강을 받아서 주형에 주입하는 턴디시동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미국 특허 제4,591,080호는 이와같은 로우터리노즐의 가장 적합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종래의 로우터리노즐에 있어서는 문제점은, 미끄럼연와와 고정판연와 사이의 미끄럼면(slip surface) 사이에 슬랙(slag) 등이 침입하여 용강 누출을 일으킬 염려가 있다는 사실이었다. 이 슬랙등의 미끄럼면 사이에는 침입은 판연와의 노즐구멍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발생하는 가는 금(흠)이나 깨어짐에 의하여 조장되고 따라서 판연와를 강철띠(steel band) 등으로 바깥쪽에서 둘러쌀 필요가 있었다. 또 노즐구멍을 폐쇄하는 경우에 양(兩)판연와의 접촉면적의 크기에 반비례하여 변화하는 양 판연와 사이의 미끄럼면의 면압이 완만하게 상승하였을때는 유로를 제한하는 용강류에 의한 힘이 미끄럼면 사이를 벌리는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미끄럼면 사이에의 용강의 침입이 일어나기 쉬워졌다. 나가아서 미끄럼판연와의 회전에 있어 판연와가 이동하는 경우가 있었으며, 이 움직임이 필요이상 미끄럼 운동을 일으켜서 용강의 미끄럼면 사이에의 침입을 조장하여 왔다.
본 발명이 주목적은 미끄럼판연와와 고정판연와의 상대회전에 따라서 양 판연와의 미끄럼면 사이에 노즐 구멍으로 부터 용융금속 또는 슬랙이 침입하기 어렵고, 따라서, 미끄럼면 사이로 부터의 용융금속 누출사고를 일으키기 어렵도록한 로우터리노즐의 주탕량 제어용 연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강철띠등을 사용할 필요없이 판연와에 외주의 4방으로 부터 구속력을 작용시켜 판연와의 노즐구멍으로 부터의 방사상의 가근금(흠)이나 깨어짐의 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회전력의 전달시에 불필요한 이동을 일으키는 일이 없는 전술한 로우터리노즐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노즐구멍의 폐쇄개시시에 양판연와의 미끄럼면 사이의 면압을 한층 급격하게 상승시키도록한 로우터리노즐의 주탕량 제어용 연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르면 이것들의 목적은 판연와의 외주면에 상대회전을 위한 구동력 및/또는 반동력을 받는 벽면이 90°씩의 각도간격으로 4개소 마련되어 있는 로우터리노즐의 주탕량 제어용연와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판연와의 외경(外徑)(윤곽)은 정8각형이다.
본 발명의 다른형태에 의하면 판연와는 받침식(brace)에 의하여 외주가 둘러쌓여졌는데 이 받침쇠는 90°씩의 각도 간격으로 판연와의 외주의 벽면에 대응하는 평탄한 내주벽면을 4개소 지녔으며, 이것을 평탄한 내주벽면중의 대면하지 않는 2면은 각각의 대항면에 대하여 접근과 떨어짐에 반하는 위치조정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노즐구멍의 폐쇄개시시에 상대회동에 따라서 양판연와의 미끄럼면 사이의 면압을 급격하게 증가시키기 때문에 본 발명의 가장 적합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미끄럼판연와와 고정판연와가 서로 동일치수의 정 8각형의 외형을 지님과 동시에 서로의 노즐구멍이 합치한 상태에서 서로의 정 8각형의 외형끼리의 어긋남이 없이 꼭 겹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의하면 양판연와의 미끄럼면 사이에 침입한 이물질을 상대회동에 따라서 외부에 배출하기 위하여 판연와의 미끄럼면에 내방에서 외주에 도달하는 홈이 마련되어 있다.
이 홈은 양판연와의 상대회전의 각도범위내에서, 양 노즐구멍과 동시에 연통하는 일이 없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으며, 하나의 구체예에서는 전술한 홈은 판연와의 상대회전의 중심에 대하여 노즐구멍의 반대측에서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을 함에 앞서 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종래예를 제1도-제6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로우터리노즐의 사시도.
제2도는 단면에서 나타낸 그 주요부분의 모식도이다. 양 도면에서, (4)는 레이들(1) 등의 저부에 장착된 기판, (5)는 힌지(hinge)에 의하여 기판(4)에 회동할 수 있도록 부착된 받침쇠로서, 요부(6)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요부(6)내에는 내화물로 되어 노즐구멍(8)을 지닌 고정판연와(7)가 고정되어 있다. 더우기(2)는 레이들(1) 등의 저부에 마련된 상부노즐이며, 그 노즐구멍(3)에는 고정판연와(7)의 노즐구명(8)이 정합한다.
(12)는 외주부에 기어(13)가 마련된 로우터이며, 요부(凹部)(14)가 형성되었고, 이 요부(14)내에는 내화물로 되고 노즐구멍(18),(19)을 지닌 미끄럼 판연와(17)가 고정되어 있으며, 로우터(12)는 힌지를 개재하여 기판(4)에 회동할 수 있도록 장착된 케이스(28)내에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받침쇠(5) 및 케이스(28)를 폐쇄하였을때는 미끄럼판연와(17)는 케이스(28)에 마련된 다수의 스프링(29)에 의하여 고정판연와(7)에 가압 부착되어 있다. 더우기(24),(25)는 미끄럼판연와(17)의 노즐구멍(18),(19)에 정합하는 노즐구멍(26),(27)을 지닌 하부노즐이다.
그런데, 상술한 미끄럼판연와(17)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향부에 평행하게 절제부(20),(20a)가 마련된 구격이 작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한편, 로우터(12)의 요부(14)는 제4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미끄럼 판연와(17)와 닮은 꼴이며, 이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어서 양측에는 미끄럼판연와(17)의 절제부(20),(20a)에 대응하여 걸림부(15)가 마련되고 또 이 걸림부(15)에는 절제부(1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미끄럼판연와(17)는 로우터(12)의 요부(14)내에 수용되어,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우터(12)의 절제부(16)에 끼워넣은 쐐기부재(22)를 보울트(23)로 조여 붙임으로서, 요부(14)내에 고정된다. 고정판연와(7)도 미끄럼판연와(17)와 거의 같은 형상의 것으로 받침쇠(5)에 마련된 요부(6)내에 수용되어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고정부재(10)를 개재하여 보울트(9)를 조여 붙임에 따라, 요부(6)내에 고정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로우터리노즐은 제1도로 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받침쇠(5)와 케이스(28)를 폐쇄한 다음 전동기(30)에 의하여 중간기어(31) 및 기어(13)를 개재하여 로우터(12)를 회전하여, 여기에 고정된 미끄럼 판연와(17)를 회전시켜 고정판연와(7)의 노즐구멍(8)과 미끄럼판연와(17)의 노즐구멍(18)(또는 19)의 상대위치, 따라서 개구의 크기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은 로우터리노즐은, 그 이전에 사용되어온 왕복식 미끄럼 노즐에 비하여 여러 가지 특징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현재에는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나, 주요부분을 이루는 고정판연와와 미끄럼판연와에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1) 양 연와(7),(17)의 미끄럼면 사이에 슬랙등이 침입하고, 양 연와(7),(17)의 밀착도가 저하하여 틈이 생기게 되어, 그로부터 용강이 누출하는 일이 있었다.
(2) 고정판연와(7) 및 미끄럼판연와(17)를 받침쇠(brace)(5) 및 로우터(12)에 고정함에, 양 연와(7),(17)의 한쪽측벽을 보울트(9) 또는 쐐기부재(22)로 가압하고 있으므로 양 연와(7),(17)는 한편의 절제부(예컨대 제3도의 20a)만으로 각기 받침쇠(5) 또는 로우터(12)에 접촉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가압력이 절제부(20a)의 양 사이드에 집중하므로, 양 연와(7)(17)에 노즐구멍(8),(18).(19)으로 부터 방사상으로 발생한 깨어짐이나 가는 금(흠)에 대하여는 구속력이 없고하여,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 연와(7),(17)의 외주에 강철띠(21)(제2도)를 감지않으면 안되어 매우 귀찮았다.
(3) 고정판연와(7)와 미끄럼판연와(17') 사이의 면압 P(㎏/㎠)는
단, K는 스프링(29)의 가압력, S는 양 연와(7),(17)의 접촉면적이므로 면압(P)는 양 연와(7),(17)의 접촉면적이 작을수록 크게 된다. 지금, 미끄럼판연와(17)의 회전각도(θ)와 면압(P)과의 관계의 한예를 나타내면 제5도와 같다. 즉 노즐구멍(8),(18)이 완전 개구상태인 0°의 위치에서는 면압은 약 8.4kg/㎠으로 낮고 미끄럼판연와(17)가 회동함에 따라서 양 연와의 접촉면적이 작아지기 때문에 면압(P)은 서서히 상승하여(예컨대 회전각(θ)이 22.5°인때는 약 8.6kg/㎠) 노즐구멍(8),(18)이 완전히 폐쇄되는 회전각(θ)이 97°인 위치에서는 면압(P)은 약 9㎏/㎠으로 된다.
그런 다음 미끄럼판연와(17)의 회동에 따라 면압(P)은 약간 상승하지만, 거의 그대로의 상태에 있으며, 다시 노즐구멍(8),(18)의 개방이 개시하면 저하한다. 그런데, 작업함에 있어, 미끄럼판연와(17)를 완전개구상태에서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면 제6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미끄럼판연와(17)의 노즐구멍(18)의 가장자리 상면부 하면에는 용강이 충돌하여 커다란 충격력을 줌과 동시에 고정판연와(7)의 가장자리 하면에는 용강이 말려들어가는 일이 발생하여 양 연와(7),(17)의 노즐구멍(8),(18)의 가장자리부분이 용손할뿐 아니라, 충격에 의한 압력에 의하여 양 연와(7),(17)의 미끄럼면에 틈이 생겨 이로부터 용강이 침입하는 일이있다. 이 때문에 노즐구멍의 초기폐쇄기에는 가급적 면압(P)이 급격하에 상승하는 것이 바람직하만 종래에는 제5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이 단계에서는 면압( P)은 완만한 상승이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같은 문제의 발생은 용이하였다.
(4) 로우터(12)를 회전할때, 미끄럼연와판(17)은 고정연와판(7)에 스프링(29)에 의하여 가압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로우터(12)를 회전하면 그 회전은 로우터(12)의 걸림부(15)에서 미끄럼판연와(17)의 절제부(20)에 전달되어 미끄럼판연와(17)는 걸림부(15)에 구동되어서 회전한다. 그러나, 걸림부(15)와 절제부(20)의 관계는 회전 및 직선한 방향만의 구속이기 때문에 로우터(12)를 회전하였을 경우 미끄럼판연와(17)는 절제부(20)에 평행한 방향으로 멀어지는 일이 있어 이것이 일정량 이상의 미끄럼 운동을 생기게 하여 슬랙용강의 미끄럼면 사이에의 침입을 조장하였다.
제7도 및 제8도는 본 발명이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7a도는 고정판연와의 평면도, 제7b도는 그 Ⅶ-Ⅶ 단면도, 제8a도는 미끄럼판연와의 평면도, 제8b도는 그 Ⅷ-Ⅷ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로우터리노즐의 고정판연와(41) 및 미끄럼판연와(51)는 각기 평면외형이 정8각형으로 형성되었으며, 그중 한변의 2등분선상에 중심을 위치시켜서 노즐구멍(42),(52)을 마련한 것이다. 더우기, 본 실시예에서는 미끄럼판연와(51)에는 노즐구멍(52)을 1개 마련하였을 경우에 나타내고 있으나, 2개 또는 그 이상 마련하여도 좋다. 도면의 양 판연와(41),(51)는 평면외형이 같은 치수의 정 8각형이며 2판을 외형이 합치하도록 겹치면 양 노즐구멍(42),(52)도 또한 꼭 알맞게 합치한다. 제9도는 본 실시예에 관한 고정판연와(41)를 받침쇠(5a)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로서, 받침쇠(5a)에는 고정판연와(41)와 닮은꼴으로서, 또한 약간 크고 깊이가 고정판연와(41)의 두께보다 약간 얕은 8각형의 요부(6a)가 마련되어 있으며, 고정판연와(41)는 이 요부(6a)에 수용되어, 한편쪽의 벽면(41e),(41f)으로 부터 고정부재(10a),(10b)를 개재하여 보울트(9a),(9b)로 가압고정하고 있다. 제10도는 본 실시예에 관한 미끄럼판연와(51)를 로우터(12a)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로우터(12a)에는 미끄럼판연와(51)와 닮은꼴인 동시에 약간 크며, 미끄럼판연와(51)의 두께마다 약간 얕은 8각형의 요부(14a)가 마련되어 있으며, 미끄럼판연와(51)는 이 요부(14a)에 수용되어 한편쪽의 벽면(51e),(51f)으로 부터 쐐기부재(22a),(22b)와 보울트(23a),(23b)에 의하여 가압고정되어 있다. 더우기 제9도, 제10도에 있어서, (43),(53)은 요부(6a),(14a)의 가압측과 반대방향의 내벽면과 고정판연와(41) 또는 미끄럼판연와(51)의 일변(41a) 또는 (51a) 사이에 개재되어 장착된 내열성의 완충부재이지만, 이것은 생략하여도 좋다. 또, 보울트(9a),(9b) 또는 쐐기부재(22a),(22b)로서 양 연와(41),(51)를 고정하였을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다른 수단을 이용하여도 좋다.
이상의 두 도면으로 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받침쇠(5a) 또는 로우터(12a)의 요부(凹部)(6a),(14a)에 수용된 고정판연와(41)와 미끄럼판연와(51)는 가압측과 반대측에서 이것과 대향하는 벽면(41b),(41c),(51b),(51c)가 각기 요부(6a),(14a)의 내벽면에 맞닿으므로 요부(6a),(14a)내에 확실히 고정되어 이에 따라 90°간격으로 4방향으로 부터 외주가 구속되기 때문에 고정판연와(41) 및 미끄럼판연와(51)의 깨어짐이나 가는 금(흠)의 확대방지효과가 크고, 강철밴드를 감을 필요가 없다. 또, 예컨대 쐐기부재(22a),(22b) 또는 보울트(23a),(23b)이 헐거워졌다. 하여도, 제4면에서 구속하고 있기 때문에 자동구심(自動求心)을 갖는 성질이 있어, 종래와 같이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는 일은 없다.
제11도는 본 발명 실시예의 작용설명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고정판연와(41)와 미끄럼판연와(51)의 노즐구멍(41),(52)이 완전 개구상태에 있을 때(이때의 미끄럼판연와(51)의 회전각(θ)을 0°로 한다)는 면압은 낮고 약 8.15㎏/㎠이다. 다음에 미끄럼판연와(51)가 화살표방향으로 회동하여 노즐구멍(42),(52)의 폐쇄가 개시되면 미끄럼판연와(51)의 노즐구멍(52)의 이동에 따라서 양 연와(41),(51)의 접촉면적(S)이 감소함과 동시에 양 연와(41),(51)의 주연부에는 피접촉부(a),(b)가 형성되어 이 피접촉부(a),(b)의 면적은 미끄럼판연와(51)의 22.5°회전하였을 때 최대로 된다.
이에 따라 양 연와(41),(51)의 접촉면적(S)은 급격하게 감소하고, 면압(P)은 약 8.75kg/cm2까지 상승한다. 즉, 이동안에 면압(P)은 약 0.6㎏/㎠(약 7.4%) 증가한다. 그에 관련해서 제5도의 종래예에서는 이 동안에 약 0.2㎏/㎠(약 2.3%)의 증가였다.
나아가서, 미끄럼판연와(51)가 45°회전하면 노즐구멍(52)이 이동에 의한 비접촉면적은 증가하지만 주연의 비접촉부(a),(b)가 0으로 되기 때문에, 전체로서 접촉면적이 증가하여 면압(P)은 저하하고 따라서 미끄럼판연와(51)의 회동에 따라서 노즐구멍(52)에 의한 비접촉부 및 주연이 비접촉부(a),(b)의 면적이 증가하므로 면압(P)은 다시 증가한다.
이와 같이 하여 면압(P)은 싸인곡선을 그리면서 기울기로서 종래장치보다 급커어브로 변동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양 연와(41),(51)의 접촉면적(S)의 변화에 의하여, 노즐구멍(42),(52)의 폐쇄시초기에는 면압이 급격하게 증가하기 때문에 노즐구멍(41),(52)의 가장자리부분에 가하여지는 용강의 충격력 및 말려들어감에 대처하여 양 연와(41),(51)의 미끄럼면에 용강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완성과정에서 정 10각형 및 정 6각형등의 연와에 대하여도 여러 가지 실험을 하였으나, 전자는 원형에 가깝기 때문에 면압의 급격한 상승을 얻을 수 없고, 후자의 경우에는 각 부분이 첨예하기 때문에 양 연와의 미소한 변형에서도 서로의 미끄럼면의 단부(edge)가 서로 겹쳐져서 회전불능을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며, 정 8각형의 경우가 모든 점에서 뛰어나 있음이 명백하게 되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받침쇠 및 로우터 안팎으로 열리는 문짝식으로 개폐할 수 있는 로우터리노즐에 본 발명을 실시하였을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고정판연와를 기판에 직접 고정하여 미끄럼판연와를 안팎으로 열리는 문짝식으로 개폐할 수 있는 로우터에 고정한 로우터리노즐 나아가서는 미끄럼판연와를 상하로 착탈할 수 있는 로우터에 고정하도록 한 로우터리노즐등 각종 구조의 로우터리노즐에 사용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3도 및 제4도에서와 같이 고정판연와 및 미끄럼판연와를 받침쇠 및 로우터에 각기 2개소에서 고정하였을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각기 1개소에서 고정하여도 좋다. 그래서, 상기와 같은 로우터리노즐의 연와교환을 더러워진 장갑으로 하였을 경우에는 때에 따라서는 연와의 미끄럼면에 모르타르(mortar)가 부착하기도 하며, 이와 같이 모타르가 부착한 상태에서 도어를 폐쇄하여 연와를 세트하여 버리면 미끄럼면의 면닿음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어 미끄럼중에 용강의 침투가 발생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누출용강 사고를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또, 타르(tar) 및 윤활제의 고형물등도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다.
다음에 설명하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고정판연와의 미끄럼면에서 안쪽에서 외주에 이르는 적어도 하나의 홈을 마련함에 따라서 미끄럼판연와의 회전에 따라서 양 연와의 사이에 개재하는 이물의 대부분을 배출하여 양호한 미끄럼면의 닿음을 유지할 수 있는 로우터리노즐을 얻었다. 양 연와의 사이에 개재하는 이물은 미끄럼판연와의 회전에 따라서 비접촉부와 노즐구멍으로부터 외부에 배출되고, 또 노즐구멍과 외주와의 사이에 개재하는 이물은 홈안에 축적되므로 양호한 미끄럼면의 닿음을 얻을 수 있다. 제12도는 본 발명 제2실시예의 로우터리노즐에 사용하는 고정판연와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판연와(141)의 미끄럼면의 노즐구멍(142)의 반대측에 안쪽에서 주변으로 향하는 홈(143)을 마련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3도에 보는 바와같이 미끄럼판연와(151)를 회전하면 양 연와(141),(151)의 사이에 개재하는 이물질은 최외주부에서는 비접촉면으로 되는 부분(A),(B)에서 구역(zene)(C)에서는 노즐구멍(142)으로부터 각기 외부에 배출되고 구역(D)에 있어서는 홈(143)내에 축적되므로 양 연와(141),(151)의 미끄럼면의 닿음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었다. 더우기 중심부의 구역(E)에 개재하는 이물질은 극히 적으며, 또한 미끄럼면의 닿음에 미치는 영향도 적으므로 이 구역(E)의 이물질의 배출에 대하여는 특히 고려할 필요는 없다.
또 홈(143)의 길이는 적어도 구역(D)의 폭과 같거나 또는 이보다 약간 길면 좋으나, 제13도에 나타낸 예와 같이 중심부 부근까지 연장하여도 좋다. 그러나 노즐구멍(142)에 너무 접근시키면 노즐구멍(142)이 용손하였을때에 노즐구멍(142)과 연통하여 홈(143)에서 용탕누출의 염려가 있으므로, 약간 떨어지게 하여두는 편이 좋다. 제15도, 제16도는 본 실시예에 관한 고정판연와(141)와 미끄럼면에 홈(143)을 마련하지 않는 제7a도의 고정판연와(141)를 사용하여 미끄럼판연와 사이에 같은 크기의 이물질을 부착시켜서 미끄럼판연와를 회전시킨 실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양고정판연와(141),(41)는 어느것이나 내접원 320㎜, 두께 45㎜의 것을 사용하여 본 실시예에 관한 고정판연와(141)의 미끄럼면에는 노즐구멍(142)의 반대측에 폭 15㎜, 깊이 5㎜,길이 145㎜의 홈(143)을 마련하였다. 또, 이물질로서는 10㎣의 모르타르 고형물을 사용하고, 제1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바깥변에서 ι(25㎜) 만큼 안쪽의 위치에 좌우로 1개씩 대칭적으로 이물질(144)을 배치하여 상온에서 미끄럼판연와를 노즐구멍의 완전개구 위치에서 2회전시켰다. 그런 다음에 고정판연와와 미끄럼판연와 사이에 감압지(感壓紙)를 끼워서 서로의 면이 닿은 상태를 확인하였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본 실시예에 관한 고정판연와(141)를 사용한 로우터리노즐의 미끄럼면의 닿음(도면의 검은부분)은, 제15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대폭 향상하여 거의 만족할 수 있는 상태임에 대하여, 고정판연와(41)의 미끄럼면에 홈을 마련하지 않을 경우에는 제16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검은부분이 적고, 미끄럼면의 닿음이 매우 나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더우기, 양도면의 하방에 보이는 가로방향의 흰색의 직선은 감압지의 이은 부분이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홈(143)을 노즐구멍(142)과 반대측에서 이것과 대칭위치에 마련하였을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미끄럼판연와(141)를 회전하였을때에 노즐구멍(142),(152)과 홈(143)의 3자가 연통하지 않은 위치라면 어디에 마련하여도 좋으며, 또 그 수도 1개만이 아니라 2개이상 마련하여도 좋다. 나아가서 홈(143)의 형상은 반드시 전체길이를 같은 폭으로 할 필요는 없고 예컨대 바깥쪽으로 향함에 따라서 넓어지도록 하여도 좋으며, 또 홈의 단면형상도 3각형등으로 하여도 좋다.
Claims (9)
- 각기 노즐구멍을 지닌 미끄럼판연와와 고정판연와를 면 접촉상태에서 상대회전시킴에 따라 양노즐구멍의 연통하는 개구의 크기를 조절하여 용융금속의 주탕량을 제어하는 로우터노즐의 주탕량 제어용 연와에 있어서, 상대회전을 위한 구동력과 반동력의 하나 또는 둘다 받는 벽면을 상기 미끄럼판연와와 고정판연와의 외주면에 90°씩의 각도간격으로 4개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우터리노즐의 주탕량 제어용 연와.
- 제1항에 있어서, 미끄럼판연와와 고정판연와의 각각은 외형이 정 8각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로우터리노즐의 주탕량 제어용 연와.
- 제1항에 있어서, 미끄럼판연와와 고정판연와는 받침쇠에 위하여 외주가 둘러쌓여 있는데 받침쇠가 90°씩의 각도간격으로 벽면에 대응하는 평탄한 내주벽면을 4개소 지녔으며, 이것들 평탄한 내주벽면중에서 대면하지 않는 2면이 각각의 대향 내주면에 대하여 접근이 반방향으로 위치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로우터리노즐의 주탕량 제어용연와.
- 제1항에 있어서, 미끄럼판연와와 고정판연와가 서로 같은 치수의 정 8각형의 외형을 지녔으며, 상기 미끄럼판연와와 고정판연와의 노즐구멍이 합치한 상태에서 이들 정8각형 외형이 어긋남이 없이 꼭 중합하도록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로우터리노즐의 주탕량 제어용 연와.
- 제1항에 있어서, 고정판연와의 미끄럼면에서는 고정판연와의 안쪽에서 외주에 이르는 홈이 마련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로우터리노즐의 주탕량 제어용 연와.
- 제5항에 있어서, 홈이 상대회전의 각도범위내에서 미끄럼판연와와 고정판연와의 노즐구멍과 동시에 연통하는 일이 없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로우터리노즐의 주탕량 제어용 연와.
- 제5항에 있어서, 홈이 미끄럼판연와와 고정판연와의 상대회전의 중심에 대하여 노즐구멍의 반대측에서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하여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로우터리노즐의 주탕량 제어용 연와.
- 각기 노즐구멍을 지닌 미끄럼판연와의 고정판연와를 면 또한 면 접촉한 상태에서 상대회전시켜서 상기 노즐구멍의 연통개구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용융된 금속의 주탕량을 제어하는 로우터리노즐의 주탕량 제어용 연와에 있어서 상기 상대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받도록 벽면을 상기 미끄럼판연와와 고정판연와의 외주면상에 4개씩 90°씩 간격을 두고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우터리노즐의 주탕량 제어용 연와.
- 각기 노즐구멍을 지닌 미끄럼판연와와 고정판연와를 면 대 면 접촉한 상대회전시켜서 상기 노즐구멍의 연통개구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용융된 금속의 주탕량을 제어하는 로우터리노즐의 주탕량 제어용 연와에 있어서, 반동력을 받도록 벽면을 각각의 상기 미끄럼판연와와 고정판연와의 외주면상에 4개소씩 90°씩 간격을 두고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우터리노즐의 주탕량 제어용 연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60-256703 | 1985-11-18 | ||
JP60256703A JPS62118964A (ja) | 1985-11-18 | 1985-11-18 | ロータリノズル用煉瓦体及びロータリノズル |
JP60-293234 | 1985-12-27 | ||
JP60293234A JPS62156068A (ja) | 1985-12-27 | 1985-12-27 | ロ−タリ−ノズル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70004752A KR870004752A (ko) | 1987-06-01 |
KR910006279B1 true KR910006279B1 (ko) | 1991-08-19 |
Family
ID=26542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60009509A KR910006279B1 (ko) | 1985-11-18 | 1986-11-11 | 로우터리노즐의 주탕량 제어용 연와(注湯量制御用煉瓦)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4732304A (ko) |
EP (1) | EP0223561B1 (ko) |
KR (1) | KR910006279B1 (ko) |
BR (1) | BR8605679A (ko) |
CA (1) | CA1279189C (ko) |
DE (1) | DE3665140D1 (ko) |
ES (1) | ES2011252B3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215366A (ja) * | 1987-03-03 | 1988-09-07 | Nkk Corp | 扉式ロ−タリ−ノズル |
FR2631266B1 (fr) * | 1988-05-13 | 1990-09-14 | Detalle Edouard | Obturateur de coulee a deplacement lineaire et symetrie axiale |
GB8911539D0 (en) * | 1989-05-19 | 1989-07-05 | Rautomead Ltd | Continuous casting of metals |
DE3935482C1 (ko) * | 1989-10-25 | 1990-09-27 | Didier-Werke Ag, 6200 Wiesbaden, De | |
DE4304621C2 (de) * | 1993-02-16 | 1995-05-04 | Bruehl Aluminiumtechnik | Ausgußverschluß |
DE4304622C2 (de) * | 1993-02-16 | 1996-09-19 | Bruehl Aluminiumtechnik | Verfahren zum Füllen einer Gießform |
US5657927A (en) * | 1995-03-23 | 1997-08-19 | Brown International Corporation | Fruit processing machine |
US5916471A (en) * | 1998-11-10 | 1999-06-29 | North American Refractories Co. | Rotary socket taphole assembly |
JP4448323B2 (ja) | 2003-12-24 | 2010-04-07 | 品川リフラクトリーズ株式会社 | 溶融金属の注湯量制御装置 |
EP1707291A1 (en) * | 2005-03-10 | 2006-10-04 | Tech-Gate S.A. | A linear sliding gate valve for a metallurgical vessel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128841A (en) * | 1918-12-03 | 1919-07-03 | George Edwin Rigby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rames for Ladies' Cycles. |
SU755429A1 (en) * | 1977-12-06 | 1980-08-15 | Mikhail M Klochnev | Apparatus for discharging metal from laddle |
US4314659A (en) * | 1978-06-19 | 1982-02-09 | Flo-Con Systems, Inc. | Rotary valve |
CA1126472A (en) * | 1978-06-19 | 1982-06-29 | Flo-Con Systems, Inc. | Rotary valve |
CH649149A5 (de) * | 1980-05-22 | 1985-04-30 | Stopinc Ag | Drehschiebeverschluss fuer schmelzegefaesse. |
GB2133505B (en) * | 1982-12-14 | 1987-04-15 | Nippon Kokan Kk | Rotary nozzle system for metallurgical vessels |
JPS59228971A (ja) * | 1983-06-13 | 1984-12-22 | Nippon Kokan Kk <Nkk> | 扉式ロ−タリ−ノズル |
DE3331483C2 (de) * | 1983-09-01 | 1985-09-26 | Metacon AG, Zürich | Einrichtung für feuerfeste Platten von Schieberverschlüssen |
CH659872A5 (de) * | 1983-09-02 | 1987-02-27 | Stopinc Ag | Verschlussplatte fuer einen schiebeverschluss. |
-
1986
- 1986-11-05 CA CA000522246A patent/CA1279189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86-11-06 US US06/927,451 patent/US4732304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6-11-11 KR KR1019860009509A patent/KR91000627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86-11-13 EP EP86308844A patent/EP0223561B1/en not_active Expired
- 1986-11-13 ES ES86308844T patent/ES2011252B3/es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6-11-13 DE DE8686308844T patent/DE3665140D1/de not_active Expired
- 1986-11-17 BR BR8605679A patent/BR8605679A/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BR8605679A (pt) | 1987-08-18 |
EP0223561A1 (en) | 1987-05-27 |
ES2011252B3 (es) | 1990-01-01 |
US4732304A (en) | 1988-03-22 |
EP0223561B1 (en) | 1989-08-23 |
DE3665140D1 (en) | 1989-09-28 |
CA1279189C (en) | 1991-01-22 |
KR870004752A (ko) | 1987-06-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10006279B1 (ko) | 로우터리노즐의 주탕량 제어용 연와(注湯量制御用煉瓦) | |
DE3617447C1 (de) | Energiefuehrungskette | |
DE2651295C3 (de) | Feuerfester ebener Auskleidungsteil für Gießereizwecke | |
CN101848836B (zh) | 用于飞行器的货舱门的锁定机构 | |
US4376501A (en) | Closure element and assembly of a slide closure for use in liquid melt containers | |
CA1150477A (en) | Hinged rotary nozzle | |
GB2213412A (en) | Refractory valve plate for sliding gate valve | |
CA1204901A (en) | Structural slide bearing | |
KR920005764B1 (ko) | 슬라이딩 게이트 밸브용 밸브 플레이트 | |
CA1242881A (en) | Refractory valve plates for sliding gate valves | |
US6092701A (en) | Fireproof plate and a clamping device for a sliding gate at the outlet of a vessel containing molten metal | |
GB2085126A (en) | Valve plates for a sliding gate valve | |
US4875606A (en) | Refractory valve body and sliding closure unit incorporating the same | |
EP0838291B1 (en) | Brick body for rotary nozzle and rotary nozzle using same | |
MX2013008307A (es) | Placa de cierre y cierre deslizante sobre el pico de recipiente que contiene metal fundido. | |
DE2404881B2 (de) | Leckageverhindernde Anordnung für einen DrehschieberverschluB an einer Gießpfanne | |
KR100438267B1 (ko) | 슬라이드게이트플레이트를재사용하는방법및그러한폐쇄부용플레이트 | |
JPH0324301B2 (ko) | ||
US4991753A (en) | Door-type rotary nozzle | |
CA1052976A (en) | Sliding closure for metallurgical vessels | |
WO2005058531A1 (ja) | スライディングノズル用プレート | |
AU754954B2 (en) | Closure plate and a slide gate on the outlet of a container containing molten metal | |
JPH0679417A (ja) | 鋳造用ノズルの接合構造 | |
CA1058867A (en) | Plate structure for a liquid metal container closure | |
JPH0615440A (ja) | ロータリノズル用煉瓦体及びロータリノズル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