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423B1 - 보석 지지대 - Google Patents

보석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423B1
KR910005423B1 KR1019890008156A KR890008156A KR910005423B1 KR 910005423 B1 KR910005423 B1 KR 910005423B1 KR 1019890008156 A KR1019890008156 A KR 1019890008156A KR 890008156 A KR890008156 A KR 890008156A KR 910005423 B1 KR910005423 B1 KR 910005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and
jewelry
band portions
we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8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0046A (ko
Inventor
필 마틴
Original Assignee
디. 스바로프스키 앤드 컴퍼니
다니엘 스바로프스키, 게르노트 랑게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 스바로프스키 앤드 컴퍼니, 다니엘 스바로프스키, 게르노트 랑게스 filed Critical 디. 스바로프스키 앤드 컴퍼니
Publication of KR900000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보석 지지대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의 제1형태를 만들기 위한 부품의 평면도.
제2도는 돌기부와 타발부를 구부린 상태의 부품의 측면도.
제3도는 부품을 구부려서 지지대의 반분을 형성한 상태의 평면도.
제4도는 제1도 내지 제3도에 따라 얻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의 제1형태를 만들기 위한 부품의 측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의 제2형태를 만들기 위한 부품의 평면도.
제6도 및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의 제2형태의 각 측면도와 평면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의 제3형태를 만들기 위한 부품의 평면도.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의 제3형태의 측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한 지지대의 전체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5, 21, 22, 24, 25 : 밴드부위 6 : 바닥웨브
7, 8, 9, 27, 28 : 돌기부 12, 13, 14 : 타발부
15 : 슬릿 18 : 보석
18' : 중심축 19, 20 : 웨브파트
29 : 지지웨브 33, 34, 35 : 구멍
본 발명은 보석 세팅면의 주위를 받들고 기판내에 있는 구멍에 들어가 고정될 수 있도도록 된 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링의 가장자리에는 보석에 대한 지지부재가 구비되어 있고 또한 상기의 링에는 크기가 감소하여 견고한 지지대를 형성할 수 있도록 된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보석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보석 지지대는 소위 "케틀(kettle)"이라고 불리우는 금속베이스로 구성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보석지지용 돌기부나 테두리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여기에는 보석을 지지하기 위해서 나사를 이용해야할 뿐만 아니라 납땜이나 리베팅 등의 작업을 해야하기 때문에 작업상 매우 번잡스럽다.
독일연방공화국 실용신안 제86 18 939호에는 그 등록청구의 범위 제1항에 보석을 지지하기 위한 링이 기술되어 있는데, 상기 링은 그 내벽이 끝이 잘려진 원추형으로 되어 있고 또한 상기 링에는 내벽의 윗 부위에서 쐐기와 같이 내부를 향해 가리키는 멈추개가 있으며 이들의 곧은 내부 가장자리는 보석 내부에서 작용하는 슬릿과 접속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는 보석이 위의 멈추개내로 밀려 들어가게 하기 위해서는 링에 고유의 탄성을 부여하는 방사상의 슬릿을 링의 윗부분에 설치해야 한다. 이러한 링은 외부에 있는 고리형 그튜브에 배치된 O링에 의해 기판에 고정되어 있다.
위와 같은 현재의 보석 지지대는 유리에 대해서는 너무나도 까다롭기 때문에 멈추개, 원추형 접촉부위, 고리형 그 루브가 갖추어져 있는 것으로 단면이 복잡한 형태인 지지링과 같은 것을 사출성형과 같은 복잡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밖에 없다. 또한 이와 같은 지지대가 있는 보석 조립체는 멈추개와 접속되기 위해서 또다른 슬릿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기판내에서 지지링을 조립하기 위한 고리형 그 루브가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까다롭지 않고 작업이 신속할 뿐만 아니라 기판 오프닝의 추가 작업이 필요없는 깨끗한 보석 조립을 제공하며 신뢰성 있는 보석 지지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링이 밴드로서 형성되어 있고 보석을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밴드의 뒷 가장자리에서 위를 향해 뻗어나 있으며 보석의 가장자리를 받들고, 그리고 기판의 구멍 내에서 보석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밖과 위를 향해 휘어진 타발부를 상기 밴드가 지니고 있기 때문에 밴드의 뒷 가장자리로부터 뻗어나 있고 보석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그리고 밴드의 밖으로 휘어져 있는 타발부가 금속 밴드의 밖으로 튀어나오며 또한 보석 지지대를 기판의 구멍 내부에 끼울 때 견고한 지대를 형성하는 크기로 슬릿이 감소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보석 지지대에 의해 달성되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보석과 지지대가 구멍내에 들어가게 될 때 지지대에서 보석의 견고한 지지 그리고 구멍 내에서 지지대의 견고한 지지가 달성되는 것으로 보석의 주위에 느슨하게 배치되는 지지대에 의해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에 기준을 두었다.
본 발명에서는 처음에 금속 밴드로 지지대를 만든다. 이를 위해서는 가공된 밴드에는 한편으로는 그 윗 가장자리에서 뻗어나 있는 지지부재가 갖추어져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위의 밴드에서 휘어져 밖과 위를 향해 뻗어난 지지부재가 갖추어질 수 있도록 보석 세팅면의 주위를 받들 수 있는 방식으로 밴드를 가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를 제조하기가 비교적 쉬어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금속은 황동, 동-아연 합금 또는 아연철판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보석(gem)"이란 술어는 일반적인 용어로서 모든 종류의 물질, 특히 유리 착색 유리 뿐만 아니라 광택 또는 착색암과 같은 다른 용도의 유리재도 포함한다. 그러나 여기서 "보석"이란 특히 가공한 다면체로 깎은 유리재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에 있어서 밴드의 슬릿은 오차를 상쇄하는데 필요하다.
오차는 한편으로는, 보석에서 생기는데 그의 직경은 밴드의 내경보다 1-2mm작게 되어야 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에 의해 지지된 보석이 끼워질 기판의 구멍에서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는 펀칭에 의해 생긴 관통공이나 블라인드 구멍에 단지 밀어서 끼워 넣기만 하면 된다. 슬릿 또는 지지대의 슬릿 폭은 지지대에 의해 지지된 보석이 기판의 구멍 내에 들어갈 때 슬릿이 견고한 지지대를 형성할 수 있도록 크기가 줄어드는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에서 보석을 지지한 지지 부재는 조립시 뿐만 아니라 구멍 내에 지지대가 결합되어 마무리지어진 다음에는 보석이 미끄러져 나가는 것은 방지한다. 즉, 일시적인 보석 지지대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 타발부는 밖과 위를 향해 기울어져 있다. 이는 지지대가 끼워져 들어간 구멍의 측벽에 대해 탄력적으로 타발부를 누르고 있기 때문에, 이와 동시에 타발부는 보석의 안쪽을 향하여 압력을 발휘하여 보석이 지지대에 고정되도록 한다.
타발부는 캐틀이 미끄러져 나가는 것은 방지하며, 한편으로는 용이한 삽입을 방해하기도 한다. 블로킹 효과를 증가시키고 지지대가 구멍의 밖으로 미끄러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타발부의 끝은 점점 가늘어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지지대에 의해 지지된 보석을 수납하는 기판은 금속 밴드, 주조된 물질, 또는 플라스틱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에 의해 지지된 보석을 장식할 물질을 일상 사용하는 어떠한 물질일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지지대로 지지할 때에는 위의 장식할 물질에 접착제를 사용해 추가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매우 적은 양의 접착제가 필요하기 때문에 깨끗한 결합이 보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의 지지부재는 밴드의 읫 가장자리로부터 위를 향해 뻗어나 있다. 이는 보석의 가장자리를 받드는 웨브일 수 있거나 보석의 가장자리를 받드는 여러개의 돌기부일 수 있다. 이러한 돌기부의 수는 임의로 선택할 수 있지만 최소한 3개는 되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지지대는 강도가 높기 때문에 비교적 작고 적은 수의 돌기부를 사용하면 가능하다. 이러한 돌기부의 단부에 조그마한 플레이트나 테두리가 구비되어 있다면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는 왕관과 유사한 느낌을 주게 된다.
보석의 직경은 지지대 구멍의 직경보다 크게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하면 보석들은 매우 밀접하게 세트할 수 있기 때문에, 보석에 의해 표면이 완전히 뒤덮히지만 신뢰할 만한 고정을 하기 위해서는 구멍 사이에 충분한 웨브가 여전히 존재하게 되고, 기판의 강도가 유지된다.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서 두 부품(2), (3)은 밴드에서 절단해 낸 것으로 지점(1)에서 서로 분리될 수 있다. 하나의 보석 지지대는 이러한 두 부품(2)(3)으로 만들어 진다.
부품(2)에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부품(2)(3)은 두 개의 밴드 부위(4')(5')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의 각각은 지지대의 절반을 형성하며, 이 밴드부위(4')(5')는 바닥 웨브(6)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또한 각 밴드(4')(5')는 3개의 돌기부(7')(8')(9')를 지니고 있으며, 이들 돌기부에는 돌기부(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단부에는 작은 플레이트(10)가 있고 또한 이러한 플레이트(10)를 밴드 부위(4')와 연결하는 웨브 부위(11')가 있다.
밴드 부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3개의 타발부 부위(12')(13')(14') 또한 각 밴드 부위(4')(5')내에 형성되어 있다. 제2도에서, 타발부 부위(12')[그리고 도면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다른 부위(13') 및 (14')]는 휘어져 있어 결과적으로 밖을 향하는 타발부 부위(12')를 형성하는데, 그 다음에 바로 부품(2), (3)을 절단해 낸다. 돌기부 부위(7')[그리고 제2도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다른 부위(8')(9')]는 또한 밖으로 휘어져 있어 결과적으로 돌기부(7')를 형성하며 그 단부에는 내부로 휘어져 있는 플레이트(10)가 형성되어 있다.
제3도에서 각 밴드 부위(4')(5')는 함께 동일한 방향으로 휘어져 반원통형의 접시모양을 만든다. 그 다음에 반원통형의 휘어진 밴드 부위(4')(5')는 바닥 웨브(6)와 연결되는 부분에서 직각으로 휘어져 있기 때문에 두 개의 반원통형의 접시모양인 밴드 부위(4)(5)는 제4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지대를 형성하며, 여기서 각 밴드 부위(4), (5)는 지지대의 절반을 형성한다.
두 밴드 부위(4), (5)는 서로 보석 세팅면의 주위를 받드는 밴드를 형성함은 물론이다(도면에는 나타나 있지 않음). 이러한 두 밴드 부위(4), (5)는 두 슬릿에 의해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제4도에서는 단지 하나만의 슬릿(15)를 볼 수 있다.
타발부(12), (13)[그리고 도면에는 없지만 타발부(14)]는 밖을 향해 그리고 위를 향해 기울어져 있다. 그리고 밴드(4), (5)의 윗 가장자리로부터 위를 향해 뻗어나 있는 돌기부(7), (8)[그리고 도면에는 없지만 돌기부(9)]는 보석의 지지부재를 형서한다.
밴드 부위(21), (22)상에서 두 웨브 파트(19), (20)로 구성된 웨브로서 상기의 지지부재가 형성된다는 점에서 제6도와 제7도는 제4도와 다르다.
제6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웨브 파트(19), (20)는 두 밴드 부위(21), (22)의 윗 가장자리로부터 위를 향해 뻗어나 있다.
따라서, 각 부품(16)(17)은 이들로부터 제6도 및 제7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지대가 만들어지는데, 이들 부품(16), (17)는 제5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밴드 부위(21')(22')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밴드 부위(21')(22')는 바닥 웨브(6)에 의해 연결되며 웨브 파트(19')(20')를 지니고 있다. 그러므로, 보석(18)의 가장자리는 웨브 파트(19)(20)에 의해 경계를 이루며 보석의 중심측(18')에 평형으로 뻗어나 있는 두 개의 슬릿(15), (23)이 제7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형성되어 있다.
제8도에서, 지지대는 하나의 밴드 부위(24')로 만들어지는데, 개개의 밴드 부위(24')는 웨브(25)에 의해 펀칭된 후 서로를 지탱한다. 밴드부위(25)에서 분리된 밴드(24')는 원통형 밴드부위(24)를 형성하여 마운드를 만들 수 있도록 휘어져 있다(제9도 참조).
위와는 반대로 지지웨브(29)는 보석(18)의 저면과 접속되어 있으며, 각 쌍의 돌기부(27), (28) 사이에서 밴드(24)의 윗 가장자리로부터 위를 향해 뻗어나 있다.
따라서, 제8도에서 펀칭된 부위는 돌기부(27),(28) 그리고 지지웨브(29)를 형성하는 4개의 돌기부(27')(28')와 3개의 돌기부(29')를 각각 지니게 된다. 또다른 지지웨브는 밴드(24)의 두 말단에 있는 두 돌기부(30')(31')로부터 형성되며, 그들 사이에서는 밴드(24)에 슬릿이 형성된다. 제10도는 제6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보석(18)에 대한 세가지의 조립예이다. 여기서 보면 캐리어(32)에는 관통공(33) 그리고 두 개의 구멍(34)(25)이 형성되어 있는데, 구멍(35)은 상단부가 원뿔형으로 비스듬하게 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보석(18)의 가장자리가 캐리어(32)의 윗면과 일치하게 된다.

Claims (6)

  1. 보석 세팅면의 주위를 받들고 기판 내의 구멍에 들어가 그안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된 링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링의 가장자리에는 보석용 지지부재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링은 또한 견고한 지지대를 형성하는 크기로 줄어들 수 있도도록 된 최소한 하나의 슬릿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링 밴드 부위(4,5,21,22,24)로서 형성되고, 지지부재가 밴드부위(4,5,21,22,24)의 윗 가장자리로부터 뻗어나 있고 보석(18)의 가장자리를 받들며, 또한 밴드부위(4,5,21,22,24)가 자기 자체를 기판의 구멍(33,34,35)내에 고정하는 것으로 밖과 위를 향해 휘어진 타발부(12,13,14)를 지니고 있어 밴드부위(4,5,21,22,24)의 윗 가장자리로부터 뻗어나 있고 보석(18)을 받드는 지지 부재, 및 밴드부위(4,5,21,22,24)의 밖으로 휘어진 타발부(12,13,14)가 금속밴드의 펀칭에 의해 형성되고 또한 슬릿(15)이 지지대를 기판의 구멍(33,34,35)에 끼울 때 견고한 지지대를 형성하는 크기로 줄어들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 지지대.
  2. 제1항에 있어서, 슬릿(15)이 보석의 중심축(18')에 평행으로 뻗어나 있는 보석 지지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밴드부위(21,22)의 윗 가장자리로부터 위를 향해 뻗어나 있고 보석(18)의 가장자리를 받드는 웨브 파트(19), (20)로 지지부재가 형성된 보석 지지대.
  4. 제1항에 있어서, 밴드부위(4,5,25)의 윗 가장자리로부터 위를 향해 뻗어나 있고 보석(18)의 가장자리를 받드는 여러개의 돌기부(7)(8)(9)(27)(28)로 지지부재가 형성된 보석 지지대.
  5.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지지대의 절반을 형성하며 바닥 웨브(6)에 의해 그의 아래 가장자리에서 상호 연결되는 두 개의 밴드 부위(4)(5)(21)(22)로 밴드가 구성된 보석 지지대.
  6. 제4항에 있어서, 밴드부위(24)의 윗 가장자리로부터 뻗어나 있고 보석(18)의 저면과 맞물릴 수 있도록 된 지지웨브(29)가 돌기부(27)(28) 보다 짧은 크기로 돌기부(27)(28) 사이에 있는 보석 지지대.
KR1019890008156A 1988-06-14 1989-06-14 보석 지지대 KR9100054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3820249A DE3820249A1 (de) 1988-06-14 1988-06-14 Fassung fuer schmucksteine
DEP3820249,2 1988-06-14
ATP3820249.2 1988-06-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0046A KR900000046A (ko) 1990-01-30
KR910005423B1 true KR910005423B1 (ko) 1991-07-29

Family

ID=6356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8156A KR910005423B1 (ko) 1988-06-14 1989-06-14 보석 지지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972685A (ko)
EP (1) EP0346698B1 (ko)
JP (1) JPH06102041B2 (ko)
KR (1) KR910005423B1 (ko)
AT (1) ATE75108T1 (ko)
DE (2) DE38202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29268C2 (de) * 1990-09-14 1995-07-06 Balzers Hochvakuum Verfahren zur gleichspannungs-bogenentladungs-unterstützten, reaktiven Behandlung von Gut und Vakuumbehandlungsanlage zur Durchführung
JP3106233B2 (ja) * 1993-12-28 2000-11-06 船橋電子株式会社 ピアス
US5671613A (en) * 1995-10-10 1997-09-30 Hoover & Strong, Incorporated Gem setting having notched prongs
DE19543461A1 (de) * 1995-11-22 1997-05-28 Sonja Martin Schmuckstuecke Fassung für Schmucksteine
DE29622243U1 (de) * 1996-12-14 1997-02-13 Sand Rudolf Vorrichtung zum Fassen von Edelsteinen und Schmucksteinen
US6532765B1 (en) 1997-04-15 2003-03-18 Sandberg & Sikorski Diamond Corp. Jewelry stone assembly
ATE204142T1 (de) * 1997-07-04 2001-09-15 Swarovski & Co Fassung zur befestigung eines schmucksteines
AT2273U1 (de) * 1997-07-18 1998-08-25 Swarovski & Co Hohlschmuck
JPH11223678A (ja) * 1998-02-05 1999-08-17 Kawaguchiko Seimitsu Kk 時計用文字板の装飾具
DE19934312A1 (de) * 1999-07-21 2001-02-08 Euroflex Schuesler Gmbh Schmuckstück
GB2358574A (en) * 2000-01-26 2001-08-01 Luen Tat Watch Band Mfg Ltd Insertable gemstone setting
US6467308B2 (en) * 2000-05-31 2002-10-22 Alfred Butler, Inc. Jewelry prong setting
AT5247U1 (de) * 2001-02-15 2002-05-27 Swarovski & Co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chmuckstückes
US6634184B2 (en) * 2001-12-03 2003-10-21 Hord Crystal Corporation Prongless gemstone setting
FR2836341B1 (fr) * 2002-02-22 2004-06-04 Alain Bels Procede de fixation invisible dans un support d'une pierre utilisee en joaillerie et bijou
US6668584B1 (en) * 2002-05-07 2003-12-30 Giuliano Tosti Housing for setting a stone in jewelry
US20060272356A1 (en) * 2005-06-01 2006-12-07 Lemasters Patrick A Suspension setting for gemstones
JP2007029664A (ja) * 2005-07-29 2007-02-08 Yasuo Kawahara ファセットカット宝石取付用チェーン状装身具
US7730743B2 (en) * 2007-03-30 2010-06-08 Hoover & Strong, Inc. Gem setting having grooved channel walls and methods of setting gems
US20090229307A1 (en) * 2008-03-11 2009-09-17 Wing Cheuk Kwan Method of decorating an article
ITMI20082259A1 (it) * 2008-12-18 2010-06-19 Cielo Venezia 1270 S P A Metodo per la realizzazione di manufatti, in particolare monili con pietre preziose o semipreziose incastonate e manufatti cosi' ottenuti
AT12276U1 (de) 2010-09-13 2012-03-15 Swarovski D Kg Fassung für schmuckstein
EP2636539A1 (en) * 2012-03-08 2013-09-11 GRATZER! Technologies GmbH & Co. KG Arrangement and its use for applying decorative rigid bodies to a substrate, and its method of manufacture
US20150068046A1 (en) * 2013-09-11 2015-03-12 Frank Malvasio Jeweled article and method for making jeweled article
US9468267B2 (en) * 2014-10-08 2016-10-18 Cynthia Lee Carleton-Raymond Cap for beaded jewelry
EP3501326B1 (fr) * 2017-12-22 2024-03-06 Omega SA Ensemble décoratif réalisé par sertissage
EP3834652B1 (fr) * 2019-12-10 2022-06-22 Comadur S.A. Ensemble decoratif realise par sertissage
DE102020001458A1 (de) * 2020-03-06 2021-09-09 WeylChem Performance Products GmbH Wasch- und Reinigungsmittel, Verfahren zum Desinfizieren und deren Verwendung
CN112220170B (zh) * 2020-10-14 2022-08-30 深圳市睿和珠宝实业有限公司 一种珠宝镶嵌组装结构以及相应的珠宝组装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9924A (en) * 1912-03-21 1913-11-25 Chas Keller & Co Gem-setting.
US1182534A (en) * 1915-12-18 1916-05-09 Joseph Driggott Gem-clamping device for an article of jewelry.
US1383146A (en) * 1920-06-16 1921-06-28 Tolbert M Perrin Gem-mounting
US2003950A (en) * 1934-05-18 1935-06-04 Pejchar Josef Finger ring, bracelet, and the like
US2069598A (en) * 1935-10-30 1937-02-02 Cleef & Arpels Soc Van Setting device for a precious stone or the like
GB491074A (en) * 1937-02-22 1938-08-22 Louis Rigollet An improved method of setting precious stones and other jewelry
US2510774A (en) * 1949-07-21 1950-06-06 Engel Brothers Stone mounting for bracelets or other articles
US2763140A (en) * 1954-12-08 1956-09-18 Uncas Mfg Company Finger ring with setting mounted on slots in ring shank
US2852923A (en) * 1955-01-21 1958-09-23 Gamelsky Walter Jewelry chain constructions and method of manufacture of costume jewelry therefrom
GB826492A (en) * 1956-08-17 1960-01-06 George Harold Gardner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jewellery and the like
FR2080224A5 (ko) * 1970-02-27 1971-11-12 Pieror
BE773293A (nl) * 1971-09-30 1972-01-17 Juwelenfabriek Bowy P V B A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delsteenkassen en edelsteenkas verkregen door middel van deze werkwijze.
JPS5964997U (ja) * 1982-10-21 1984-04-28 いづくら株式会社 宝石類を装着した布帛
JPS6048712U (ja) * 1983-09-06 1985-04-05 ジエイ・エス商工株式会社 装飾用止め具
DE3342021A1 (de) * 1983-11-22 1985-05-30 Bock & Schupp KG, 7530 Pforzheim Chatonfassung
DE3510200A1 (de) * 1985-03-21 1986-09-25 Anorthe 5407 Boppard Witt Pave-chaton-fassung
DE8618939U1 (de) * 1986-07-15 1986-10-23 Bunz, Georg, 7544 Dobel Fassung für einen Edelste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298303A (ja) 1990-04-10
ATE75108T1 (de) 1992-05-15
DE3820249A1 (de) 1989-12-21
US4972685A (en) 1990-11-27
DE3820249C2 (ko) 1990-08-30
EP0346698B1 (de) 1992-04-22
JPH06102041B2 (ja) 1994-12-14
EP0346698A1 (de) 1989-12-20
KR900000046A (ko) 1990-01-30
DE58901228D1 (de) 1992-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5423B1 (ko) 보석 지지대
KR940003509A (ko) 보석 고정구 (jewelry setting)
KR100286462B1 (ko) 장신구
USD294335S (en) Necklace pendant circlet
US4142382A (en) Adjustable toe ring
KR100271609B1 (ko) 장신구의 스톤 고정 방법
KR20010013456A (ko) 교체식 장식 부재가 부착된 보석품
US7823415B2 (en) Piece of jewelry with mobile elements
KR100248162B1 (ko) 분리되는 뒷덮개를 가진 시계 케이스
JPS6029481B2 (ja) 宝石類の取付台およびその取付台への宝石類の取付方法
KR100449408B1 (ko) 보석홀더
KR200497427Y1 (ko) 귀걸이 고정구 및 이를 포함하는 귀걸이
KR940010612B1 (ko) 시계 케이스
RU2722486C2 (ru) Кольцо в сборе
USD263083S (en) Candlestick type holder for floating candles
US4665591A (en) Buckle construction having decorative material retention means
US6550275B2 (en) Rounded gemstone setting
USD336445S (en) Expansion bracelet
JPS6314652Y2 (ko)
KR20000004391U (ko)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선단구조
KR200328407Y1 (ko) 장신구용 보석고정구조
KR20160126929A (ko) 보석부재를 가지는 액세서리 및 그 제조 방법
KR200199831Y1 (ko) 장신용 메달
CN220088759U (zh) 一种新型手镯
RU198774U1 (ru) Ювелирное украшени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1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