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215Y1 - 기록 매체 수용 카세트 - Google Patents

기록 매체 수용 카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215Y1
KR910005215Y1 KR2019850009654U KR850009654U KR910005215Y1 KR 910005215 Y1 KR910005215 Y1 KR 910005215Y1 KR 2019850009654 U KR2019850009654 U KR 2019850009654U KR 850009654 U KR850009654 U KR 850009654U KR 910005215 Y1 KR910005215 Y1 KR 9100052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vity
mover
cassette
perforations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96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2007U (ko
Inventor
마사또 다나까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20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20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2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2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8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8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 G11B23/087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using two different reels or cores
    • G11B23/08707Details
    • G11B23/08714Auxiliary features

Landscapes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록 매체 수용 카세트
제 1 도는 마이크로 테이프 카세트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기억기구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 기록 매체 수용 카세트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공동부 주변을 나타내는 평면도.
제 5 도는 제 3 도의 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 6 도는 제 3 도의 이동자 및 조작간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 7 도 및 제 8 도는 각각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 9 도는 제 7 도 및 제 8 도의 공동부 주변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마이크로 테이프 카세트 2 : 카세트 갑
2a : 상단부분 2b : 하단부분
4a, 4a', 4b, 4b' : 투공 5a, 5a', 5b, 5b' : 공동부
8, 8' : 이동자 10a, 10a', 10b, 10b' : 조작간
본 고안은 산업상 이용분야로는 자기테이프, 자기디스크, 영사필름 등의 각종 기록 매체를 수용하는 기록 매체 수용 카세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컨대 자기테이프 카세트에 있어서는 기록후의 오소거를 방지하는 상태 혹은 수용 자기 테이프의 종류를 기억하는 기구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 오소거 방지 기억기구로서는 카세트의 주변에 창공을 형성하여, 이 창공에 오소거 방지용의 조를 돌출시켜두고, 이 조를 꺾으므로서 열린 창공에 테이프 레코더의 트랜스포오트측의 레버가 들어가 기계적 조작 스위치의 경우는 녹음 스위치를 누를 수 없도록 형성하고, 또한 전기적 조작 스위치의 경우는 녹음 스위치를 눌러도 소거와 녹음회로가 동작하지 않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이와 같이 조를 꺽는 형태의 오소거 방지 기억기구를 구비한 카세트에 있어서는 조를 꺽은 뒤에는 수용자기테이프에 또다시 기록 할수가 없게 되기 때문에, 재차 기록용으로 사용할 때는 조를 꺽어주므로서 열린 창공에 접착테이프를 첨부하여, 창공을 닫아서 트랜스포오트쪽의 레버의 삽입을 저지하여 기록을 하도록 하고 있었다. 그러나 기록중에는 트랜스포오트쪽의 레버가 닫힌 접착테이프에 소요의 편기력에 의해 압접되므로 수회의 기록의 반복에 의해 접착테이프가 파손하여, 그때마다 접착테이프를 바꾸어 붙이지 않으면 안되고, 번거로움을 요함과 동시에 기록중에 접착테이프가 파손하여 창공내에 레버가 들어가, 기록이 중단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거기에서 종래는 카세트 주변에 형성된 오소거 방지용 창공에 구편을 착탈이 자유롭게 감합하여, 기록후 오소거를 방지할 필요가 있을 경우는 구편을 창공에서 제거하고, 또 재차 기록할 경우는 구편을 제차 창공에 감합하여 기록 가능상태로 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 구편을 창공에 대해서 착탈 하는것에 있어서는 구편을 분실하기 쉽다는 결점이 있었다.
이때문에, 기록 매체의 상태의 기억의 교체조작이 간단히 되어, 그 상태의 검출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것으로서 실용신안공개공보 제 58-163086 호 공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것이 제안되고 있다. 즉, 제 1 도에 있어서, (1)은 소위 마이크로 테이프 카세트의 전체를 나타내고, 이 마이크로 테이프 카세트(1)는 한쌍의 상단부분(2a)와 하단부분(2b)으로 형성되는 카세트 갑(2)내에 기록 매체로서의 자기테이프가 장진되어 있다. (3a) 및 (3b)는 카세트 갑(2)의 상하 양면에 관통하여 설치한 한쌍의 리일축 삽입공이다.
후단축의 거의 중앙위치의 상하양면, 즉 상, 하단부분(2a)(2b)의 평면부에 각각 2개의 투공(4a)(4a')(4b)(4b')을 적당히 간격을 두고 삽입, 설치하여, 이 상하와 마주하는 투공(4a)(4b) 및 (4a')(4b')간에 공동부(5) 및 (5')를 형성한다. 이 공동부(5)(5')의 상단공동부(5a)(5a') 와 하단공동부(5b)(5b')와 맞닿는 끝모서리에 안쪽으로 용기하는 고리모서리부(6)(6')를 형성하여, 공동부(5)(5')를 상단부분(2a)쪽과 하단부분(2b)쪽에 연동 상태로 구분하고 있으며 또한 상단부분(2a) 하단부분(2b)의 후단면에 공동부(5)(5')에 연통하는 창공(7)(7')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카세트 갑(2)의 상, 하단부분(2a)(2b) 사이에 형성한 공동부(5)(5')의 상단 공동부(5a)(5a') 또는 하단공동부(5b)(5b')의 어느 한쪽에 구체상의 이동자(8)(8')를 감합하여, 위 하아프(2a)쪽의 투공(4a)(4a') 또는 아래 하아프(2b)측의 투공(4b)(4b')의 어느 한쪽 즉 공동부(5)(5')의 이동자(8)(8')가 감합된 부분에 대응하는 투공에서 돌기물(9)(9')을 삽입하여, 이동자(8)(8')를 눌러 주므로서 이동자(8)(8')는 고리모서리부(6)(6')를 넘어서 공동부(5)(5')의 다른쪽 부분으로 이동된다.
이 이동자(8)(8')는 창공(7)(7')에서 볼 수가 있으며, 공동부(5)(5')에 대한 감합위치를 검출할 수가 있다. 또한 이 이동자(8)(8')의 감합위치의 검출은 상단부분(2a)(2b)의 투공(4a)(4a')(4b)(4b')쪽에서도 행할 수가 있다.
즉 이동자(8)(8')의 검출을 창공(7)(7')에서 행할 때는 공동부(5)(5')의 상단공동부(5a)(5a') 또는 하단공동부(5b)(5b')에 이동자(8)(8')가 존재하느냐 아니하느냐를 검출하게 되어, 또한 투공(4a)(4a')(4b)(4b')쪽에서 행할때는 검출부재의 공동부(5)(5')에 대한 삽입깊이의 차이에 의해 감합 위치를 검출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자(8)(8')의 공동부(5)(5')에 대한 감합위치에 의해 수용자기테이프의 각종 상태 정보가 기억되게 된다. 예컨대 오소거 방지의 상태에서는 이동자(8)(8')를 공동부(5)(5')의 하단공동부(5b)(5b')에 감합위치시켜 또한 기록 가능한 상태에서는 상단공동부(5a)(5a')에 감합위치시키도록 정해두므로서, 트랜스포오트측의 검출레버가 이동자(8)(8')의 유무 혹은 그 삽입깊이의 차이에 의해 오소거 방지상태 혹은 기록가능상태를 검출하여, 기록동작을 제어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제 1 도 및 제 2 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은 카세트에 있어서는 공동부(5)(5')내에 감합한 구체상의 이동자(8)(8')를 투공(4a)(4a')(4b)(4b')을 거쳐서 눌르므로서, 공동부(5)(5')내에 있어서 이동자(8)(8')의 감합위치를 바꾸고 있으나, 투공(4a)(4a')(4b)(4b')은 비교적 깊게 이동자를 누를려는 경우, 투공(4a)(4a')(4b)(4b')내를 통과하는 비교적 가늘고 또한 긴 돌기물(9)(9')을 필요로 하여, 돌기물(9)(9')로서 신변의 가까운 물건 예컨대 볼펜, 샤프 펜슬 등의 펜촉으로는 투공(4a)(4a')(4b)(4b')을 거쳐서 이동자(8)(8')를 충분히 누를 수가 없다는 불합리함이 있었다.
한편, 이와 같은 불합리함을 해소하기 위해서 비교적 큰 이동자(8)(8')를 설치해 투공(4a)(4a')(4b)(4b')의 깊이를 얕게 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나, 빈 스페이스가 비교적 좁은 카세트 갑(2)내에는 충분히 큰 이동자(8)(8')를 설치할 수 없다는 불합리함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점을 감안해 기록 매체의 상태의 기억의 변환을 위한 조작이 신변의 가까운 물건으로서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개요는 카세트 갑의 상하 양면의 소정위치에 투공을 천설함과 동시에 이 양 투공 간에 공동부를 형성하여, 공동부내에 이동자를 이동가능하게 감합하여, 이 이동자의 공동부내에 있어서 감합위치에 의해 수용기록매체의 상태를 기억하도록 한 기록 매체 수용 카세트에 있어서, 이동자의 한쪽 및 다른쪽에 각각 조작간을 설치해 이 조작간을 공동부의 양쪽의 투공내에 위치시켜, 조작간이 눌려지면 공동부내에 있어서 이동자의 감합위치가 변환되도록 한 것이며, 이러한 본 고안 기록 매체 수용 카세트에 의하면 기록 매체의 상태의 기억의 변환을 위한 조작이 신변 가까이의 물건으로 용이하게 가능한 이익이 있다.
실시예 이하, 제 3 도 내지 제 6 도를 참조하면서 본 고안 기록 매체 수용 카세트의 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하자. 이 제 3 도 내지 제 6 도에서는 제 1 도 및 제 2 도와 대응하는 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여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예에 있어서는 제 3 도 내지 제 6 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자(8)(8')의 한쪽 및 다른쪽에 끝쪽이 넓게 퍼진 원뿔형상의 조작간(10a)(10a') 및 (10b)(10b')을 일체로 형성하여, 이 조작간(10a)(10a')(10b)(10b')을 투공(4a)(4a')(4b)(4b')내에 위치시키도록 한다. 이 경우, 이동자(8)(8')가 제 5 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하단부분(2b)쪽의 하단공동부(5b)(5b')내에 감합위치할 때, 이 하단 부분(2b)측의 투공 (4b)(4b')내에 위치하는 조작간 (10b)(10b')의 단면이 하단부분(2b)의 외표면과 거의 늘어선 위치가 되도록 하여, 이동자(8)(8')가 상단부분(2a)측의 상단 공동부(5a)(5a')내에 감합위치 할때, 이 상단부분(2a)측의 투공(4a)(4a')내에 위치하는 조작간((10a)(10a')의 단면이 상단부분(2a)의 외표면과 거의 늘어선 위치가 되도록 하여, 이동자(8)(8')의 감합위치에 따라 이 조작간(10a)(10a')(10b)(10b')의 위치에 의해 자기테이프의 상태의 표시를 하도록 한다.
또한, (11a)(11b) 및 (11c)는 공동부(5)(5')를 형성하는 부분에 상단부분(2a) 및 하단부분(2b)의 서로 맞닿는 면쪽에서 소정의 깊이로 설치한 분할홈이며, 이 분할홈(11a)(11b)(11c)에 의해 공동부(5)(5')를 형성하는 부분을 분할하여, 이 공동부(5)(5')를 형성하는 부분에 소정의 탄성을 부여한다. 기타 공동부(5)(5'), 고리모서리부(6)(6'), 투공(4a)(4a')(4b)(4b'), 카세트 갑(2)등은 상술하는 제 1 도 및 제 2 도에 나타내는 마이크로 테이프 카세트와 꼭같이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자기테이프의 상태에 따라서 조작간(10a)(10a')(10b)(10b')을 누르므로서 이동자(8)(8')를 소정의 공동부(5a)(5a')(5b)(5b')내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공동부(5)(5')를 구성하는 부분에 분할홈(11a)(11b)(11c)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동자(8)(8')의 고리 모서리부(6)(6')를 넘어서 감합위치의 이동이 크리크감을 수반해서 비교적 원활히 된다. 또한, 이동자(8)(8')의 감합위치의 이동을 카세트 갑(2)의 외표면에 대해서 거의 늘어선 위치에 위치하는 조작간(10a)(10a')(10b)(10b')을 비교적 얕은 삽입깊이로 누르므로서 기능하므로, 자기 테이프의 상태의 기억을 위한 조작을 볼펜, 샤프 펜슬 등의 펜끝과 같이 가늘기는 하나 비교적 짧은 신변 가까이의 물건에 의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동자(8)(8')가 제 5 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아래 하아프 (2b)측의 공동부(5b)(5b')내에 감합위치 시켜지면, 하단부분(2b)측의 투공(4b)(4b')를 거쳐서 조각간(10b)(10b')의 하단부분(2b)의 외표면측에 노정되어 가시상태로 되어, 상단부분(2a)측이 투공(4a)(4a')내에 조작간(10a)(10a')이 몰해서 가시할 수 없는 상태로 된다. 따라서 조작간(10a)(10a')(10b)(10b')이 출몰에 따라서 자기테이프의 상태가 기억되어, 자기테이프의 상태를 눈으로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가 있다. 또다시, 메카니즘으로 자기테이프의 상태를 검출할때는 검출부재가 투공(4a)(4a')(4b)(4b')으로 향해서 맞대어져, 검출부재의 조작간(10a)(10a')(10b)(10b')에 의한 투공(4a)(4a')(4b)(4b')의 삽입깊이의 상이에 의해 자기테이프의 상태가 검출된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예에 의하면 카세트 갑체(2)의 상하 양면의 소정위치에 투공(4a)(4a')(4b)(4b')를 천설함과 동시에 이 양 투공(4a)(4a')(4b)(4b')간에 공동부(5)(5')를 형성하여, 공동부(5)(5')내에 이동자(8)(8')를 이동가능하게 감합하여, 이 이동자(8)(8')의 공동부(5)(5')내에 있어서 감합위치에 의해 수용 기록 메체로서의 자기테이프의 상태를 기록하도록 한 기록 매체 수용카세트에 있어서, 이동자(8)(8')의 한쪽 및 다른쪽에 각각 조작간(10a)(10a') 및 (10b)(10b')을 설치해, 이 조작간(10a)(10a')(10b)(10b')이 눌려지면 공동부(5)(5')의 양쪽의 투공(4a)(4a') 및 (4b)(4b')내에 위치시켜, 조작간(10a)(10a')(10b)(10b')이 눌려지면 공동부(5)(5')내에 있어서 이동자(8)(8')의 감합위치가 변환되도록 하였으므로, 볼펜, 샤프 펜슬 등의 펜촉과 같이 가늘기는 할지라도 비교적 짧은 신변 가까이의 물건에 의해 기록매체로서의 자기테이프의 상태의 기억을 위한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익이 있다.
또한, 제 7 도 내지 제 9 도에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제 7 도 내지 제 9 도에 나타내는 것은 상단부분(2a)측에 설치하는 투공(4a)(4a') 및 공동부(5a)(5a')의 위치와 아래 하아프(2b)측에 설치하는 투공 (4b)(4b') 및 공동부(5b)(5b')의 위치를 카세트 갑체(2)의 후단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빗겨, 공동부(5)(5')의 형상을 고리 모서리부(6)(6')가 없는 원주형을 이룬다. 이 경우, 상단부분(2a)측이 투공(4a)(4a')의 위치와 하단부분(2b)측의 투공(4b)(4b')의 위치를 카세트 갑(2)을 뒤집었을 때 서로 그 위치가 서로 바뀌는 위치관계를 이룬다. 그외는 상술하는 제 3 도 내지 제 6 도에 나타내는 실시예와 같이 구성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도, 비교적 얕은 삽입깊이로 조작간(10a)(10a')(10b)(10b')을 누르므로서 이동자(8)(8')의 감합위치를 한쪽의 공동부 예컨데 공동부(5a)(5a')에서 다른쪽의 공동부(5b)(5b')에 크리크감을 수반하여 변환할 수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술하는 실시예와 같이, 볼펜, 샤프 펜슬 등의 펜촉과 같이 가늘기는 할지라도 비교적 신변에 가까운 물건에 의해 기록 매체로서의 자기테이프의 상태의 기억을 위한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익이 있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단부분(2a) 및 하단부분(2b)을 사출성형할 때, 공동부(5a)(5a')(5b)(5b')의 모서리부에 고리 모서리부(6)(6')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금형을 단순한 구조로 할 수 있는 이익이 있다.
또한, 상술하는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동자(8)(8')를 구체모양으로한 경우에 대해서 기술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면체형상으로 하여도 상술하는 실시예와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술하는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고안의 요지를 이탈하는 일이 없이 기타의 여러가지의 구성을 취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본 고안의 효과로서 기록 매체 수용 카세트에 의하면, 카세트 갑의 상하 양면의 소정위치에 투공을 천설함과 동시에 이 양 투공간에 공동부를 형성하여, 공동부내에 이동자를 이동 가능하게 감합하여, 이 이동자의 공동부내에 있어서 감합위치에 의해 수용기록 매체의 상태를 기억하도록 한 기록 매체 수용카세트에 있어서, 이동자의 한쪽 및 다른쪽에 각각 조작간을 설치해, 이 조작간을 공동부의 양쪽에 투공내에 위치시켜, 조작간이 눌려지면 공동부내에 있어서 이동자의 감합위치가 변환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기록 매체의 상태의 기억의 변환을 위한 조작이 신변에 가까운 물건으로 용이하게 가능한 이익이 있다.

Claims (1)

  1. 카세트 갑의 상하 양면의 소정위치에 투공을 천설함과 동시에 이 양 투공간에 공동부를 형성하여, 상기 공동부내에 이동자를 이동가능하게 감합하여, 이 이동자의 상기 공동부내에 있어서 감합위치에 의해 수용 기록 매체의 상태를 기억하도록 한 기록 매체 수용 카세트에 있어서, 상기 이동자의 한쪽 및 다른쪽에 각각 조작간을 설치해, 이 조작간을 상기 공동부의 양쪽의 투공내에 위치시켜, 상기 조작간이 눌려지면 상기 공동부내에 있어서 상기 이동자의 감합위치가 변환되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수용 카세트.
KR2019850009654U 1984-07-28 1985-07-26 기록 매체 수용 카세트 KR91000521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4115639U JPS6133290U (ja) 1984-07-28 1984-07-28 記録媒体収容カセツト
JP115639 1984-07-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2007U KR860002007U (ko) 1986-03-15
KR910005215Y1 true KR910005215Y1 (ko) 1991-07-22

Family

ID=14667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9654U KR910005215Y1 (ko) 1984-07-28 1985-07-26 기록 매체 수용 카세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769732A (ko)
JP (1) JPS6133290U (ko)
KR (1) KR910005215Y1 (ko)
AU (1) AU586978B2 (ko)
CA (1) CA1244938A (ko)
FR (1) FR2568398B1 (ko)
GB (1) GB216340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505795U1 (de) * 1985-03-01 1985-05-15 Basf Ag, 6700 Ludwigshafen Aufzeichnungsträger mit Hülle
US4665456A (en) * 1985-04-29 1987-05-1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Reusable record tab for videotape cassette
JPS6391884U (ko) * 1986-12-04 1988-06-14
US5184255A (en) * 1987-01-16 1993-02-02 Shape Inc. Video tape cassette with a reusable recording enable/disable slide tab
US4875109A (en) * 1988-05-09 1989-10-1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Record/not record latch for recording cassette
US5786967A (en) * 1989-03-13 1998-07-28 Imation Corp. Tape cartridge including an indication device to distinguish between cartridges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but nearly identical physical characteristics
JP2730228B2 (ja) * 1989-12-06 1998-03-25 ソニー株式会社 テープカセット
EP0455209A3 (en) * 1990-05-02 1992-03-04 Konica Corporation Tape cassette
JP2979613B2 (ja) * 1990-09-20 1999-11-15 ソニー株式会社 テープカセット
EP0773547B1 (en) * 1990-11-30 1999-06-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Tape cassette
US5132862A (en) * 1990-12-03 1992-07-2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Erasure preventing button with a planar surface to control inadvertent sliding for tape cassettes
US5189582A (en) * 1991-01-11 1993-02-2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Recording latch
US5239437A (en) * 1991-08-12 1993-08-2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elf identifying universal data storage element
US5325255A (en) * 1991-08-12 1994-06-28 Storage Technology Corporation Self identifying universal data storage element
US5335875A (en) * 1992-12-10 1994-08-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Tape cassette structure
DE69409517T2 (de) * 1993-06-08 1998-11-12 Imation Corp Mechanisch nichtkompatible aufzeichnungsbandkassetten mit demselben formfaktor
US5793573A (en) * 1995-06-07 1998-08-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ybrid actuator servo actuated tape drive having a pivotally mounted motion transmission member
US5710681A (en) * 1995-06-07 1998-01-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ivot bearing having no moving parts for use in a high density data tape drive
US5677806A (en) * 1995-06-07 1997-10-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ead locking apparatus in a servo system so that the head can read and write data on a tape without servo trucks
WO2003034431A1 (en) * 2001-10-15 2003-04-24 Quantum Corporation Tape cartridge write protect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19862Y1 (ko) * 1969-07-22 1974-05-28
US3686470A (en) * 1970-11-27 1972-08-22 Ibm Two shell magnetic tape cartridge
DE2547136B2 (de) * 1974-10-21 1978-05-24 Olympus Optical Co., Ltd., Tokio Magnetband-Kassette
JPS5540624Y2 (ko) * 1975-04-17 1980-09-22
DE2604172B2 (de) * 1976-02-04 1979-05-17 Dieter 4000 Duesseldorf Grimm Für Kassettenrekorder vorgesehene Compactcassette
AT356921B (de) * 1978-07-13 1980-06-10 Philips Nv Magnetbandkassette
JPS5860475A (ja) * 1981-10-07 1983-04-09 Sony Corp テ−プカセツト
JPS58218085A (ja) * 1982-06-10 1983-12-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プカセツト
JPH0630184B2 (ja) * 1982-11-22 1994-04-20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磁気テープカセット及び該カセットの操作方法
JPS6132285A (ja) * 1984-07-23 1986-02-14 Sony Corp 磁気テ−プカセツ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19658Y2 (ko) 1992-05-06
GB8517995D0 (en) 1985-08-21
JPS6133290U (ja) 1986-02-28
GB2163409B (en) 1987-05-20
AU4512785A (en) 1986-01-30
CA1244938A (en) 1988-11-15
FR2568398A1 (fr) 1986-01-31
AU586978B2 (en) 1989-08-03
US4769732A (en) 1988-09-06
GB2163409A (en) 1986-02-26
FR2568398B1 (fr) 1993-01-08
KR860002007U (ko) 198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5215Y1 (ko) 기록 매체 수용 카세트
EP0691650A2 (en) Disk cartridge
US5218502A (en) Tape cassette
US5196978A (en) Cartridge case
JPH0772987B2 (ja) デイスクカートリツジ
KR970008082A (ko) 디스크 카트리지
JP2543311Y2 (ja) テープカセット
US4969060A (en) Floppy disk write protector and method of providing same
JPH0548318Y2 (ko)
JP3601741B2 (ja) カートリッジ収納ケース
JPS60163287A (ja) 記録再生装置の誤消去防止装置
JPH0514390Y2 (ko)
EP1078362A1 (en) Erasure prevention in disc cartridge
JPH037348Y2 (ko)
JPS60209987A (ja) 記録体カセツト
EP0939404B1 (en) Cartridge and storage case for cartridge
JPH0138794Y2 (ko)
JPH0814955B2 (ja) デイスクカ−トリツジ
JP2621836B2 (ja) ディスクジャケット
JPS6317108Y2 (ko)
JP2632546B2 (ja) 磁気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H0755721Y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のシャッタの取付構造
JPH0416307Y2 (ko)
JPH0648622Y2 (ja) ディスクカセット
JPH03183084A (ja) テープカートリッ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630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