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146B1 - 거품축출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거품축출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146B1
KR910005146B1 KR1019830004397A KR830004397A KR910005146B1 KR 910005146 B1 KR910005146 B1 KR 910005146B1 KR 1019830004397 A KR1019830004397 A KR 1019830004397A KR 830004397 A KR830004397 A KR 830004397A KR 910005146 B1 KR910005146 B1 KR 910005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khead
rolls
drive
forming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4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6151A (ko
Inventor
알.씨저 제임스
케이. 멘델 킬리언
Original Assignee
콘덱 코포레이션
리챠드 에스. 샤플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덱 코포레이션, 리챠드 에스. 샤플러 filed Critical 콘덱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840006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6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7/00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 B29C67/20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for porous or cellular articles, e.g. of foam plastics, coarse-po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403Foaming under special conditions, e.g. in sub-atmospheric pressure, in or on a liquid
    • B29C44/3407Vacuum extrusion using underwater barometric le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6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C44/46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into an open space or onto moving surfaces, i.e. to make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4/50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into an open space or onto moving surfaces, i.e. to make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using pressure difference, e.g. by extrusion or by spra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56After-treatment of articles, e.g. for altering the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2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3/24Calend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nfectionery (AREA)
  • Executing Machine-Instruc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거품축출장치 및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거품축출장치에 대한 수직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2-2선에서 본 정면도의 일부.
제3도는 제2도의 3-3선으로 절단한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4-4선으로 절단한 단면도.
제5도는 제1도의 5-5선으로 절단한 단면의 학대도.
제6도는 본 발명의 거품축출장치에서 구동전달부를 확대한 단면도.
제7도는 제1도의 7-7선으로 절단한 단면의 확대도.
제8도는 직류 구동모터의 속도와 토오크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판넬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기압 버팀대 21, 23 : 벌크헤드
24 : 축출기 26 : 다이
28 : 형성로울 29 : 상부로울
30 : 하부로울 36-40 : 전기모터
52-56 : 타이밍 벨트 72, 73 : 허브
74, 75 : 로울핀 78, 79 : 고무링
80, 81 : 평탄밀폐링 86 : O-링
88, 89 : 유지펠트면 밀폐 90, 91 : 부싱
106-111 : 양면 타이밍 벨트 121 : 고정쇠
142, 143 : 유니버설 조인트 및 신축성 축
146 : 스터드 보울트 148 : 가동성 지지편
152 : 유니버설 조인트 156 : 긴 소켓
171 : 지주 173 : 구동체인
183, 184 : 어깨 192 : 플래스틱 웨이퍼
199 : 지주 200 : 피스톤 실린더 장치
본 발명은 거품축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미합중국 특허, 제 4, 234, 529호에 발표된 거품축출장치 및 방법에서 형성로울과 구동장치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종전의 미합중국 특허, 제 4, 234, 529호에서는 발포성 축출물이 축출되어 들어가는 진공실에 댐퍼용 모터를 설치하여 다이의 아랫쪽에 위치한 아아치형 형성로울의 속도를 조절하였다.
종전 기술에서는 내부에 설치된 열 개의 댐퍼용 모터가 형성로울을 구동시키며, 형성로울은 진공실 내부의 다이의 아아치형 오리피스 양쪽에 쌍으로 되어 있는 아아치형 구동로울이다. 진공실 내부의 공간의 분위기가 격렬하고 혼잡하기 때문에, 감속 댐퍼용 모터가 가장 적절한 장치로서 고려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진공실 내부에서 공기의 공급과 배기가 수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진공실의 격렬한 분위기로 인해 구동로울의 속도 및 토오크의 조절이 어렵고 불확실하다. 정학한 속도와 토오크 조절에 더하여, 아아치형 로울은 조절상태에서 자유롭게 상하운동할 수 있어야 하며, 구동을 더욱 복잡하게 만드는 혼잡이나 긴급상태에서는 자유롭게 폭이 넓어지고 또는 최대로 확장될 수 있어야 한다.
어떠한 경우에도 진공실 내부의 격렬한 상태에 의해 진공실 내부에 위치하여 있는 댐퍼용 모터의 토오크와 속도를 조절하기가 어렵다. 더구나 진공실 내부의 구동부를 수리 및 검사할 경우에는 진공실을 개방하여야 한다. 진공실을 개방하기 전에 전장치 또는 생산라인을 정지시켜야 하며, 진공실이 개방되어 있는 동안 계속 정지시켜야 한다. 또한 진공실의 분위기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오랜시간이 요구되므로 진공실을 밀폐시켜 다시 작업을 시작할 때까지의 긴 가동중지 기간은 종래장치의 큰 단점이다.
본 발명에서 진공실 내부의 다이 아랫쪽에 위치한 형성로울의 제1차 구동원은 진공실 외부에 설치되며, 실제로 진공실의 상단부를 밀폐시키고 있는 벌크헤드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장치의 가동을 중지시킬 필요없이 로울의 제1차 구동원을 수리 및 교환시켜줄 수 있다. 더구나, 구동원이 외부에 있음으로 진공실의 기압상태나 진공실 내부의 격렬한 분위기 또는 공간적 제한 및 수선공의 위험 등에 따르는 문제점이 해결된다.
본 발명에서는 설정점으로부터 변화되는 토오크와 속도의 실제값을 판독할 수 있는 변속 및 가변 토오크 직류모터를 사용하였다. 설정점의 토오크와 속도를 계속적으로 판독하기 위해서는 직류모터가 바람직하지만 유압모터와 변속 교류모터 및 댐퍼용 모터와 같이 진공실의 외부에 설치되어 진공실의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일어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장치이며 어떤 것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첫째, 거품축출 과정에서 다이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토오크와 속도가 조절될 수 있는 변속 및 가변토오크 직류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형성로울을 제작하기 위한 것이며 둘째, 진공실의 한쪽 끝을 막고 잇는 벌크헤드를 갖춘 밀폐된 진공실과 축출기와 진공실에 발포성 수지를 축출하는 벌크헤드의 양쪽에 위치한 다이와 벌크헤드 외부의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다이 아랫쪽의 수지를 형성시키는 형성로울로 구성되는 축출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고, 셋째, 토오크와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직류모터에 의해 구동되며 다이를 빠져나오는 축출물을 형성시키는 형성로울을 포함하고 있는 축출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며 넷째, 기압버팀대의 상단을 막고 있는 벌크헤드와 축출기와 기압버팀대의 상단으로 발포성 수지가 축출되는 벌크헤드 양쪽에 위치한 다이 및 벌크헤드 외부의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다이 아랫쪽의 수지를 형성시키는 형성로울로 구성된 거품축출장치를 제작하기 위한 것이고 다섯째, 발포성 수지의 형성로울과 진공실 내부의 로울구동모터와 구동모터와 진공실에 걸쳐 뻗어있는 변속장치를 포함하고 있어 발포성수지가 축출되어 들어가는 진공실을 제작하기 위한 것이며 여섯째, 형성로울의 구동장치는 벌크헤드 외부에 설치되어 있지만 진공실 내부의 다이 아래쪽에 있는 형성로울이 그 끝부분을 막아주는 벌크헤드를 통해 수지가 진공실로 축출되는 거품축출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첨부된 도면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와 제2도를 참조하여 보면, 기압버팀대(20)의 상단은 미합중국 특허 제 4, 199, 310호에 발표된 것과 같이 서로 연결된 콘크리트 파이프와 같은 형태일 수도 있다. 기압버팀대(20)의 상단은 대형판 또는 벌크헤드(21)로 덮여있고, 벌크헤드(21)는 조금 작은 벌크헤드(23)로 덮여있는 구멍(22)을 갖추고 있다. 벌크헤드(23)의 외부에는 축출기(24) 또는 최소한 축출기(24)의 연결부가 있고, 벌크헤드(23)의 내부에는 아아치형 오리피스 모양의 다이(26)가 있다. 다이(26)의 하류측에는 한쌍의 분할된 구동로울(28)이 있으며, 하부로울(29)은 공통면에서 수직 조절되며, 상부로울(30)은 독립적으로 조절되어 조정된 압력하에서 발포성 축출물을 부유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각 로울은 아아치형 오피피스 모양의 다이(26)를 떠난 축출물의 생성과 형성을 조절하도록 구동되며, 로울은 다이의 입술에 동심인 반경에 굴곡되어 있다.
각 로울은 브래킷(33)에 의해 벌크헤드(21)의 내부에 지지되어 수직으로 뻗어있는 가이드(32)상에서 수직조절 운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구조상 벌크헤드(23)는 벌크헤드(21)와는 독립적으로 움직여 다이(26)는 구동 및 형성로울(28)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것이 설치 및 제거시에 다이를 더 쉽게 접근시킬 수 있도록 해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벌크헤드의 구조 및 설치와 형성로울의 구조 및 작동과 다이에 관한 보다 완벽한 설명에 대해서는 미합중국 특허 제 4, 247, 276호와 제 4, 234, 529호 및 제 4, 201, 534호를 각각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주로 로울(28)의 구동과 변속에 관한 것으로서, 제2도에서와 같이 한쌍의 로울(28)에 대한 단 한계의 전기모터(36, 37, 38, 39, 40)가 벌크헤드(21)의 내부 꼭대기에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제2도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듯이, 벌크헤드의 한쪽에 두개, 다른쪽에 세개의 모터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두쌍의 로울이 제2도의 왼쪽에서 구동되고, 세쌍의 로울이 오른쪽에서 구동된다. 모터(36, 37)는 박스 모양의 하우징(42)의 내부상단에 설치되어 있고, 세 개의 모터(38, 39, 40)는 보다 큰 하우징(43)에 마찬가지로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 내부에서의 1차 변속은 조금 큰 구동시이브 또는 스프로켓(57, 58, 59, 60, 61)을 구동시키는 타이밍 벨트(52, 53, 54, 56)에 의한 속도감속을 포함한다. 스프로켓(57 - 61)의 크기와 그 축간격 때문에 인접한 스프로켓은 축방향 서로 다른 위치에서 설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하우징(42, 43)은 두 개의 나란한 타이밍 벨트를 수용하기에 충분한 깊이로 되어 있다. 조금 큰 구동시이브 또는 스프로켓(57 - 61)이 축방향으로 오프셋 되어 있고, 구동 스프로켓(46 - 51)도 마찬가지다. 어떠한 경우에도 구동모터(36 - 40)와 변속기의 감속부는 벌크헤드(21)의 내부에 설치된다.
기압 버팀대의 내외부의 압력차에 의해 스프로켓(57 - 61)이 설치되어 있는 길이가 다른 축 (64 - 68)은 제3도와 제4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특수하게 밀봉되어 있는 벌크헤드를 통과하여 뻗어있다.
제3도와 제4도에 나타난 두 개의 나란한 축(66, 67)에 대한 축밀폐와 그 지지구조는 짧은 축(67)에 대한 허브(73)에 반하여 긴 축(66)은 벌크헤드(21)를 뻗어있는 긴 허브(72)를 갖추고 잇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근본적으로 같다. 허브는 로울핀(74, 75)와 같은 적당한 죔쇠를 이용하여 벌크헤드(21)의 표면에 고정시키고, 사각단면 고무링(78, 79)은 축슬리이브 또는 하우징(76, 77) 주위를 밀폐시킨다. 밀폐는 사각단면 고무링(78, 79)을 이용할 수도 있고 축하우징을 따라 벌크헤드면에서 허브의 내부를 밀폐시킬 수도 있다. 허브의 외부에 로울핀(82, 83)으로 각 허브에 고정된 오일제품의 평판밀폐링(80, 81)이 설치되어 있다. 각 밀폐링의 내측수명의 축방향 외측 모서리(85)는 비스듬히 경사져 있고, 각 축에는 O -링(86)이 둘러싸고 있다. 각 허브에는 유지펠트면 밀폐(88, 89)가 부착되어 있고, 밀폐면은 축하우징면쪽과 축의 외측끝이 저널되어 있는 부싱(90, 91)에 부착되어 있다. 각 축의 외측끝에는 축저널을 윤활시키기 위한 적당한 통로(94)에 유지 및 핏팅(93)되어 있다. 각 허브는 각각의 축에 쐐기고정(95)되어 있다. 벌크헤드의 내외부간의 압력차가 존재하지만 제3도와 제4도에 나타난 밀폐구조는 벌크헤드의 내외부간의 변속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제1도와 제2도 및 제5도를 참조하면, 벌크헤드 내부의 변속부에는 비교적 작은 스프로켓(100, 102, 101, 103, 104)을 구동시키는 축(64 - 68)을 이용한 또다른 감속구동이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각각의 양면 타이밍 벨트는 크기가 같은 두 개의 큰 스프로켓에 걸려 있으며, 벨트(106)에 대한 스프로켓은 (113, 114)이고, 벨트(107)에 대한 스프로켓은 (115, 116)이다. 상부 스프로켓(115, 113)에는 벨트(106, 107)가 일부 걸려 있고, 이러한 목적으로 제5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벨트(106, 107)에 작은 스프로켓(118, 119)이 설치되어 있다. 각 벨트는 상부의 작은 구동 스프로켓에 걸리며 일부는 상부의 큰 구동 스프로켓에 걸려 있으며 그 다음에 작은 스프로켓에 마지막으로 하부의 구동 스프로켓 주위에 걸리게 된다.
제5도에 보다 상세히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부에서 벌크헤드의 좌측에 두 개의 벨트 변속부가 적당한 고정쇠(121)에 의해 벌크헤드에 고정되어 있는 핀(120)에 설치되어 있다. 제2도에서 우측의 세 개의 구동벨트는 약간 큰 판(123)에 마찬가지 방법으로 설치된다. 작은 스프로켓(118, 119)은 판의 하단부에 피벗팅(126, 127)된 판(124, 125)의 상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판은 아아치형 슬로트(128, 129)가 형성되어 있고 클램프 고정쇠(130, 131)을 이용하여 적당한 회전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스프로켓(118, 119)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부 스프로켓과 벨트의 양호한 접촉을 유지시킴은 물론 타이밍 벨트에 적정한 인장력을 유지시켜준다.
제2도의 우측에서 타이밍 벨트는 상부 구동 스프로켓(133, 134, 135)과 하부 구동 스프로켓(136, 137, 138)은 유사한 방법으로 구동시킨다. 이와 같이 벌크헤드 외부의 구동모터가 벌크헤드 내부의 상하부 구동 스프로켓을 양쪽 모두 같은 속도 반대방향으로 감속구동시켜준다.
각 세트에서 상하부 구동스프로켓은 고정되어 있고 형성로울(29,, 30)은 수직으로 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스프로켓은 제1도의 유니버설 조인트 및 신축성 축(142, 143)에 의해 각각의 형성로울에 구동연결된다. 각 스프로켓은 (1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터드 보올트(146)에 저널된 허부(145)에 설치된다. 허브는 부싱(149)의 뒷면에서 움직이는 가동성 지지편(148)에 의해 위치 고정된다. 허브는 유니버설 조인트(152)의 한쪽(151)을 포함하고 있고, 다른 한쪽은 핀(154)에 의해 슬리이브(155)에 연결되어 있다. 슬리이브(155) 내부에 긴 소켓(156)이 고정되어 있으며, 소켓(156) 내부에 소켓의 내표면과 같이 비원형 외부형상을 한 축(157)이 안치되어 있다. 축(157)의 끝은 핀(158)에 의해 유니버설 조인트(160)의 한쪽 끝(159)에 연결되어 있으며, 유니버설 조인트(160)의 다른쪽 끝 (161)은 핀(162)에서 축(163)의 돌출 끝에 고정되어 있고, 축(163)의 양 끝부분(164, 165)은 죔쇠(168)에 의해 하부로울(29)의 수직 이동성 지주(170)에 고정된 허브 (167)에 저널되어 있다. 제7도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부로울 (29)의 끝에서 스프로켓(172)과 허브 스프로켓(174) 사이에 걸쳐 뻗어 있는 구동체인(173)과 축(163)의 끝에 스프로켓(172)이 설치되어 있다.
형성로울은 다이의 양쪽에 걸쳐 뻗은 아아치형 축(176)을 구성한다. 이 축(176)에 슬리이브(179)의 플렌지(178)를 밀어주고 있는 클램프 링(177)이 설치되어 있다. 슬리이브에 저널된 허브는 두 부분(181, 182)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은 경사진 환상형 어깨(183, 184)를 를 포함하고 있다. 허브의 한쪽(181)의 내측부(185)는 허브의 다른쪽(182)의 내측부(186)에 대해 신축하게 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 체인 스프로켓(187)이 설치된다. 여러 부품이 용접되어 허브를 형성하고 조립된 허브는 슬리이브(179)에 저널(188, 189)된다. 허브(182)에는 축방향으로 뻗어 한쪽이 막힌 여러 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플래스틱 웨이퍼(192)에 축방향으로 뻗어 있는 핀(191)을 받아들이게 된다. 각 웨이퍼는 인접한 웨이퍼를 관통하고 있는 한세트의 구동핀을 포함하고 있다. 형성로울과 웨이퍼 구조에 대해서 미합중국 특허 제 4, 234, 529호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어떠한 경우에도 구동체인(173)은 구동 스프로켓(172) 반대쪽 롤의 원주를 벗어나지 않음으로써 롤은 구동체인의 간섭없이 인접하여 작용할 수 있다.
제1도에 구동 스프로켓(195)이 약간 근접해 있어 형성로울(28)의 구동체인(194)은 조금 짧다. 이러한 구동 스프로켓은 허브(197)의 축(196)에 설치되며, 허브(197)는 톰슨축인 수직가이드(32)에 설치되어 수직으로 뻗어 있는 지주(199)에 고정되어 있다. 물론 상부로울 신축성 축과 유니버설 조인트(142)에 의해 구동되며, 전 조립체는 피스톤 실린더장치(200)에 의한 부유운동에 따라 조절되어 톰슨축(32)을 따라 상하 운동하게 된다. 상부형성로울의 설치와 조정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미합중국 특허 제 4, 234, 529호에 발표되어 있다.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섯세트의 형성로울에서 세 세트의 로울은 도면의 우측에서 구동되고, 두 세트의 로울은 도면의 좌측에서 구동된다. 벌크헤드 내부의 양쪽에 양면벨트 또는 이중 구동 변속기는 서로 경대칭되어 있다. 왜냐하면 모든 변속기가 형성로울을 구동시켜 다이의 아래쪽으로 축출물을 이동시키기 때문이다. 제2도의 모든 원동기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지만, 제 2도의 좌측에서 구동되는 형성로울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로울은 진공실 외부의 공통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며, 변속기가 각 쌍의 형성로울을 같은 속도로 구동시켜 준다. 이러한 사실이 형성로울의 각 구동에 대한 현저한 개선점이며 특히 구동부가 진공실의 내부에 있거나 구동부가 균일하고 같은 속도와 토오크를 제공해 주지 못한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본 발명의 변속부에는 유압모터, 변속 직류모터 또는 댐퍼용 모터등도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제8도에서와 같이 속도와 토오크를 정확히 판독하기 위해서는 변속 및 가변토오크 직류 모터가 바람직하다.
제8도는 한 세트의 형성로울에 대한 대표적인 조정판넬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면의 우측에 설정점의 속도와 토오크를 선택하는 선택스위치 또는 다이알(202, 203)이 도시되어 있다. 조절부는 스위치(204)와 토오크 수치 판독기(205) 및 속도 수치 판독기(206)를 포함하고 있다. 두 수치 판독기 사이의 선택스위치(207)가 토오크 및 속도를 선택하며, 스위치(208)는 단지 자동 및 수동을 선택하는 것이다. 수동에서는 설정점의 토오크와 속도를 선택조절하여야 하며, 자동에서는 변속 및 가변토오크 구동부가 설정점의 속도와 토오크를 계속 조절하여 준다. 이러한 변속 직류모터는 속도조절과 토오크 조절이 둘 다 가능하다.

Claims (51)

  1. 거품이 축출되는 밀폐실을 포함하고 있는 거품축출방법으로서, 밀폐실 내부에서 축출물의 형성로울을 구동시키며, 밀폐실 외부에서 그 형성로울을 구동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 축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벌크헤드로서 밀폐실을 밀폐시켜, 벌크헤드의 외부에서 형성로울을 구동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축출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로울은 짝을 지어 있으며, 각 쌍의 로울은 벌크헤드 외부의 한 개의 원동기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축출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각 쌍의 로울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일정속도를 가지고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축출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각 쌍의 로울은 일정한 토오크를 받으며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거품축출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원동기기 직류변속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축출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직류 가변토오크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축출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밀폐실의 외부에서 내부로 구동력이 전달되며, 밀폐실 내부의 변속기 일부가 로울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축출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벌크헤드의 밀폐실을 밀폐시키며, 변속부가 벌크헤드를 통과하고, 벌크헤드상의 변속기가 밀폐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축출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여러 세트의 형성로울과 각 세트의 형성로울에 변속기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축출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한 세트의 각 로울이 반대방향으로 일정속도를 가지고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축출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각각의 변속기에 단 한 개의 원동기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축출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원동기는 직류변속 및 가변토오크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축출방법.
  14. 다이를 빠져나오는 축출물을 형성시키는 다이의 아랫쪽에 쌍으로된 형성로울을 포함하는 거품축출방법으로서, 각 쌍의 로울을 구동시키는 공동 구동장치를 갖추고 있으며, 구동장치의 토오크와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각 쌍의 로울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축출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각 쌍의 로울에 대해 단 한 개의 원동기가 갖추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축출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원동기의 변속부가 각 쌍의 로울에 구동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축출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각 쌍의 로울을 반대방향 같은 속도로 구동시키는 장치가 변속기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축출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원동기가 변속 및 가변토오크 직류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축출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형성로울은 밀폐실의 내부에 각 쌍의 로울을 구동시키는 원동기는 밀폐실의 외부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축출방법.
  20. 거품축출장치에 있어서, 밀폐실과 밀폐실의 한쪽에 닫혀있는 벌크헤드와 축출기와 벌크헤드의 양쪽에서 발포성 수지를 밀폐실로 축출시키는 다이와 다이의 아래쪽에서 수지를 형성시키는 형성로울 및 벌크헤드의 외부에서 형성로울을 구동시키는 구동장치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축출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형성로울은 쌍으로 되어 있으며, 각 쌍의 로울의 각각은 축출물의 양쪽에 위치하고, 형성로울의 구동장치가 벌크헤드의 외부에 위치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축출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각 원동기의 변속부가 벌크헤드를 통하여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축출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서로 반대쪽에서 서로 반대쪽에서 구동되고 있는 최소한 두 세트의 인접한 쌍의 형성로울을 포함하고 있으며, 인접한 세트의 변속기는 서로 경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축출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각 변속기에 벌크헤드를 관통하고 있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있으며, 축의 밀폐부가 밀폐부의 밀폐상태를 유지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축출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축에 설치된 스프로켓과 축을 둘러싼 벌크헤드에 고정되며 벌크헤드에 밀폐되어 있는 허브 및 스프로켓에 고정되어 허브의 돌출된 끝에서 회전하는 환상형 표면 밀폐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축출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표면밀폐와 스프로켓 및 축 사이에 O -링 밀폐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축출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튜우브형 하우징에 축이 저널되어 있으며, 허브의 내측 끝부분은 벌크헤드와 하우징에 밀폐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축출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끝부분이 허브에 돌출되어 있으며, 허브와 하우징 사이의 축주위가 고정표면 밀폐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축출장치.
  29. 제22항에 있어서, 변속기의 일부분에 단 한 개의 구동 스프로켓과 반대방향으로 구동되는 같은 크기의 두 개의 구동스프로켓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축출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두 개의 구동 스프로켓은 수직공간에 일정간격 떨어져 있으며 벌크헤드 내부에 위치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축출장치.
  31. 제29항에 있어서, 두 개의 구동 스프로켓은 양면 타이밍 벨트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축출장치.
  32. 제29항에 있어서, 축출물의 경로에서 왕복운동하는 형성로울의 설치부와 각 구동스프로켓 및 형성로울을 상호 연결하는 가연성 구동장치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축출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가연성 구동장치는 신축구동하는 유니버설 조인트와 그 사이의 구동축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축출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가연성 구동장치의 끝에 형성로울과 함께 운동하기 위한 저널축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축출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형성로울의 끝부분에 저널축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허브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축출장치.
  36. 제 35항에 있어서, 저널축과 허브의 스프로켓과 스프로켓 사이에 가연성 연속 구동장치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축출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형성로울은 하나의 코아를 포함하고 있으며, 허브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코아에 상호연결된 다수의 웨이퍼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축출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허브는 코아에 저널되어 있으며, 스프로켓이 안치되어 있는 환상형 V자형 홈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축출장치.
  39. 거품축출장치에 있어서, 경사진 기압 버팀대와 버팀대의 상단부에 닫혀있는 벌크헤드와 축출기와 벌크헤드의 양쪽에서 발포성 수지를 기압 버팀대의 상단부로 축출시키는 다이 및 벌크헤드 내부의 형성로울 구동장치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축출장치.
  40. 제39항에 있어서, 기압 버팀대를 개방시키거나 축출작업을 중단하지 않고서도 벌크헤드의 외부에 설치제거 및 대치시킬 수 있는 모터가 구동장치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축출장치.
  41. 제40항에 있어서, 형성로울은 축출물의 양쪽에 짝을 지어 있으며, 각 쌍의 형성로울에 한 개의 모터가 있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같은 속도와 토오크를 가지고 로울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축출장치.
  42. 제41항에 있어서, 구동장치는 벌크헤드를 관통하는 변속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각각의 모터와 각 쌍의 형성로울에 대한 한 개의 변속기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축출장치.
  43. 제42항에 있어서, 각 변속기의 일부는 각 쌍의 로울이 움직일 수 있는 가연성 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축출장치.
  44. 제42항에 있어서, 다이의 아랫쪽에 뻗어있는 쌍으로 된 다수의 로울을 포함하고 있으며, 다음 쌍의 로울과는 반대쪽 끝에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축출장치.
  45. 제44항에 있어서, 연속된 쌍의 로울에 대한 변속기는 서로 경대칭인 부분이 포함된 것을 제외하고는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축출장치.
  46. 거품축출장치에 있어서, 발포성 수지가 축출되어 들어가는 진공실과 진공실 내부의 발포성 수지에 대해 동력구동되는 형성로울과 형성로울 구동을 위한 진공실 외부의 직류모터 및 진공실 내부에서 외부로 뻗어 있는 형성로울과 직류모터를 상호연결하는 구동장치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축출장치.
  47. 제46항에 있어서, 직류 구동모터는 변속 및 가변토오크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축출장치.
  48. 제47항에 있어서, 서로 종속된 각각의 모터에 바람직한 속도 및 토오크를 설정해주는 조절장치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축출장치.
  49. 제 48항에 있어서, 각 모터의 속도와 토오크를 나타내주는 표시장치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축출장치.
  50. 제46항에 있어서, 진공실을 개방시키지 않고서도 각 모터를 신속하게 교환할 수 있는 설치장치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축출장치.
  51. 제46항에 있어서, 쌍으로된 형성로울의 하나는 축출물 위에 다른 하나는 축출물 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축출장치.
KR1019830004397A 1982-09-20 1983-09-19 거품축출장치 및 방법 KR9100051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20.262 1982-09-20
US06/420,262 US4469652A (en) 1982-09-20 1982-09-20 Foam extrusion apparatus and method
US420262 1982-09-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151A KR840006151A (ko) 1984-11-22
KR910005146B1 true KR910005146B1 (ko) 1991-07-23

Family

ID=23665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4397A KR910005146B1 (ko) 1982-09-20 1983-09-19 거품축출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4469652A (ko)
EP (1) EP0106520B1 (ko)
JP (1) JPS5978821A (ko)
KR (1) KR910005146B1 (ko)
AT (1) ATE29242T1 (ko)
CA (1) CA1220313A (ko)
DE (1) DE3373292D1 (ko)
DK (1) DK155581C (ko)
FI (1) FI76523C (ko)
NO (1) NO833363L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6468A (en) 1997-08-21 2000-03-14 Owens Corning Fiberglas Technology, Inc. Vacuum extrusion system
US6093350A (en) * 1996-08-14 2000-07-25 Owens Corning Fiberglas Technology, Inc. Sealable chamber extrusion apparatus and method with process controls
US6116882A (en) * 1996-08-14 2000-09-12 Owens Corning Fiberglas Technology, Inc. Sealable chamber extrusion apparatus with seal controls
US5753161A (en) * 1996-08-14 1998-05-19 Owens-Corning Fiberglas Technology, Inc. Vacuum extrusion system and method
DE69818786T2 (de) 1997-12-26 2004-07-29 Sumitomo Chemical Co., Lt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thermoplastischer Schaumfolie
US8557884B2 (en) * 2002-05-31 2013-10-15 Owens Corning Intellectual Capital, Llc To enhance the thermal insulation of polymeric foam by reducing cell anisotropic ratio and the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JP5457077B2 (ja) * 2009-06-04 2014-04-02 日本ポリプロ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積層発泡シートの押出成形による製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90434A (en) * 1928-12-12 1935-02-05 Kohler Conrad Insulating material
US2906367A (en) * 1956-11-08 1959-09-29 American Viscose Corp De-gasifying liquids
BR6911030D0 (pt) * 1968-08-03 1973-01-25 Reifenhaeuser Kg Processo para fabricar em prensas de extrusao objetos por meio de materiais sinteticos termoplasticos espumados bem como dispositivo para executar este processo
US4044084A (en) * 1975-08-11 1977-08-23 Phipps Arthur L Method of removing an article from a chamber having a reduced pressure therein
JPS52123460A (en) * 1976-04-09 1977-10-17 Sekisui Chemical Co Ltd Device for continuously producing foamed sheet material
US4100239A (en) * 1977-05-23 1978-07-11 Daniels Jr Lonnie E Method for making hollow panels
US4201534A (en) * 1978-06-14 1980-05-06 Condec Corporation Foam extrusion die assembly
JPS5829328B2 (ja) * 1978-06-22 1983-06-22 帝人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押出発泡体の製造方法
US4211739A (en) * 1978-07-10 1980-07-08 Condec Corporation Foam extrusion apparatus and method
US4199310A (en) * 1978-07-10 1980-04-22 Condec Corporation Extrusion apparatus
US4234529A (en) * 1978-12-18 1980-11-18 Conde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ping plastic foams
US4247276A (en) * 1979-08-27 1981-01-27 Condec Corporation Vacuum extrusion apparatus for forming foamed plastic products
US4271107A (en) * 1979-11-05 1981-06-02 Condec Corporation Foam extrusion apparatus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106520A3 (en) 1984-07-04
US4469652A (en) 1984-09-04
DK425483A (da) 1984-03-21
FI833362A (fi) 1984-03-21
EP0106520B1 (en) 1987-09-02
DK155581C (da) 1989-09-18
FI833362A0 (fi) 1983-09-20
CA1220313A (en) 1987-04-14
DE3373292D1 (en) 1987-10-08
EP0106520A2 (en) 1984-04-25
DK155581B (da) 1989-04-24
FI76523B (fi) 1988-07-29
NO833363L (no) 1984-03-21
DK425483D0 (da) 1983-09-19
JPS5978821A (ja) 1984-05-07
ATE29242T1 (de) 1987-09-15
KR840006151A (ko) 1984-11-22
FI76523C (fi) 1988-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5146B1 (ko) 거품축출장치 및 방법
KR900004260A (ko) 반죽물 조각을 말아서 반죽물 롤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S2042171T3 (es) Bobinadora para material en bandas.
KR20040078677A (ko) 무한궤도 견인 장치
US4514998A (en) Metal forming machine
CN109911513B (zh) 一种防卡链板输送机
CN218220990U (zh) 一种体育健身用拉伸器
KR20000005324A (ko) 회전성형 장치 및 회전성형 방법
CN108589815A (zh) 一种排污管铺设用挖沟设备
SU1219211A1 (ru) Каретка к устройству дл вырубки заготовок из плоского материала
CN220284748U (zh) 一种水利工程用升降式水利闸门
CN218189801U (zh) 一种颚式破碎机支撑座结构
CN219216973U (zh) 一种具有拉纸辊的凹版印刷机构
CN213081807U (zh) 一种自动切条机
KR860003334Y1 (ko) 브이벨트를 이용한 변속장치
JPS55122658A (en) Continuous casting device
JP3650670B2 (ja) シャッタ開閉装置
SU928028A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изменени направлени воздушной струи вентил ционных установок
SU235599A1 (ru) Многоприводной ленточный конвейер
KR20020031210A (ko) 높이 가변형 압연유 부유물 제거장치
CN117020289A (zh) 一种冷轧线防窜式圆盘剪切机构
KR920004284Y1 (ko) 폐열 회수기의 나선형 전열판 성형용 철권기
SU1735163A1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KR980008074U (ko) 가역 벨트콘베어의 자동착탈식 크리너
CN115464713A (zh) 一种鞋面打孔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7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