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4284Y1 - 폐열 회수기의 나선형 전열판 성형용 철권기 - Google Patents

폐열 회수기의 나선형 전열판 성형용 철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4284Y1
KR920004284Y1 KR2019890020698U KR890020698U KR920004284Y1 KR 920004284 Y1 KR920004284 Y1 KR 920004284Y1 KR 2019890020698 U KR2019890020698 U KR 2019890020698U KR 890020698 U KR890020698 U KR 890020698U KR 920004284 Y1 KR920004284 Y1 KR 9200042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gears
rollers
horizontal
bevel ge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206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1032U (ko
Inventor
이진교
Original Assignee
이진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교 filed Critical 이진교
Priority to KR20198900206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4284Y1/ko
Publication of KR9100110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10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42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2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1/00Bending not restricted to forms of material mentioned in only one of groups B21D5/00, B21D7/00, B21D9/00; Bend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1D5/00 - B21D9/00; Twisting
    • B21D11/06Bending into helical or spiral form; Forming a succession of return bends, e.g. serpentine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02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 B21D53/04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of sheet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폐열 회수기의 나선형 전열판 성형용 철권기
제 1 도는 본 고안의 개략적인 실시 상태 예시도.
제 2a 도는 구동부 발췌 평면도, (b)도는 구동부의 일측부를 발췌한 분해 사시도.
제 3 도는 수직, 수평 이송 스크류의 발췌 사시도.
제 4a, b, c 도는 작용 상태 예시도.
제 5 도는 완성된 나선형 전열판의 평면도.
제 6 도는 스플라인축과 반원형 로울러의 발췌 분해 사시도.
제 7 도는 요부 발췌 사시도.
제 8 도는 요부 발췌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기체 1 : 원동모터
2, 2 : 풀리 3, a, b, c, d11, 12, 27, 28 : 체인기어
4 : 피동축 5, 6 : 대, 소기어
7, 7' : 반원형 로울러 7" : 고정편
8 : 스플라인축 9, 10 : 수직 스크류우
9", 10" : 나선 13 : 체인
14, 15, 29, 30 : 횡축 16 : 조절 클러시
9', 10', 17', 18,25', 26', 31, 32 : 베벨기어
19, 20 : 압지 로울러 21, 22, 33, 34 : 지지구
23, 23 : 가이드 25, 26 : 수평 스크류우
35 : 작업발판 36, 36' : 삽입 고정공
37, 37' : 보스
본 고안은 본원의 출원인이 선출원한 폐열회수장치(1986년 실용신안등록 출원제 11725호)에 설치되어 청수와 폐수를 상호 역류토록 하여 폐열 회수 역할을 수행하는 나선형 전열판을 기계적으로 성형하는 폐열회수기의 나선형 전열판 성형용 철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본 고안과 같은 철권기는 안출된 바 없었고, 본원의 출원인이 선출원한 폐열회수장치에서 핵심 부위인 나선형 전열판을 성형키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의 요지는 폐수와 청수가 상호 역회류 하는 나선형 전열판을 일정 치수로 절단된 하나의 철판을 본 고안의 철권기로 권회성형코져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예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체(A) 일측에는 원동모터(1)가 설치되고 이는 다수의 풀리(2)(2')와 체인기어(3)를 통해 피동축(4)에 동력을 전달토록 구성되고, 피동축(4)전, 후에는 대, 소기어(5)(6)를 통해 반원형 로울러(7)(7')가 설치되는 스플라인축(8)을 구동토록 하며 동 스플라인축(87) 하측 전, 후에는 다수의 대, 소 체인기어(a)(b)(c)(d)를 굴대 설치하여 상기의 대,소기어(5)(6)와 연결회동 토록하되, 제 2a, b 도에서는 보는 바와같이 전, 후의 (a),(b)체인기어는 전, 후 좌, 우의 수직 스크류우(9)(10)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기체(A)하측 전, 후 좌, 우의 체인기어(11)(12)와 체인(13)으로 연결하고 동체기어(11)(12)가 축설된 횡축(14)(15)에는 수직 스크류우(9)(10)의 동력을 단속하는 조절 클러치(16)를 삽입 설치하며, 횡축(14)(15)의 연장 단부에는 베벨기어(17)(18)를 축설하여 수직스크류우(9)(10)의 베벨기어(9')(10')와 맞물림 하며, 동 수직 스크류우(9)(10)는 중앙부를 기점으로 상호 역방향으로 나선(9")(10")이 형성되어 있고 상, 하에는 압지 로울러(19)(20)가 축삽되는 지지구(21)(22)가 결합되어 가이드(23)(24)를 따라 송강 되도록 하였다.
(c)(d) 체인기어는 기체(A) 전, 후에 횡으로 설치된 수평 스크류우(25)(26) 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기체 전, 후 좌, 우의 체인기어(27)(28)와 체인(13)으로 연결하고 동 체인기어(27)(28)가 축설된 횡축 (29)(30)에는 베벨기어(31)(32)를 축설하여 수평 스크류우 (25)(26)의 베벨기어 (25')(26')와 맞물림하며, 동 수평 스크류우(25)(26)는 중앙부를 기점으로 상호 역방향으로 나선(25")(26")이 형성되어 있고 전, 후 좌, 우에는 가이드 (23)(24)와 연결된 지지구 (33)(34)가 결합되어 있고 좌, 우의 전, 후 지지구(33)(34)는 작업발판(35)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전, 후의 스플라인축(8)은 삽입 고정공(36)(36')이 뚫린 보스(37)(37')가 삽입되어 반원형 로울러(7)(7')의 고정편(7")을 통해 동반원형 로울러 (7)(7')를 삽탈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면중의 미설명 부호 (38)은 나선형 전열판, (39)는 철판, (40)(41)은 이격간, (42)는 ON/OFF스위치, (43)은 간격 고정편, (44)는 물레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작업실시 예를 곁들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철권기로 나선형 전열판(38)을 성형코져 할시는 우선 임의 길이의 철판(39)을 제 1 도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두개의 물레(44)에 양분하여 감은 철판(39)의 중심을 반원형 로울러(7)(7') 중간에 위치하게 한 후 상측은 철판((39) 내부측에 하측은 철판(39) 외측부에 각기 치수가 다른 이격간(40)(41)을 연접시킨후 ON/OFF스위치(42) 를 ON하여 원동모터(1)를 정회전시키면 다수의 풀리(2)(2')와 체인기어(3)가 회동하여 피동축(4)이 회동케 되고, 평축(4) 좌, 우의 대, 소기어(5)(6)가 회동하여 다수의 대, 소 체인기어(a)(b)(c)(d) 및 상부의 스플라인측(8)이 회동하므로 스플라인축(8)의 전, 후 보스(37)(37)에 삽입 고정된 반원형 로울러(7)(7') 및 (a)(b)체인기어와 체인(13)으로 연결된 기체(A) 하측 전, 후 좌, 우의 체인기어(11)(12) 및 횡축(14)(15)에 축설된 베벨기어(17)(18)가 회동하여 수직 스크류우(9)(10)의 베벨기어 (9')(10')가 회동하고, 또한 (c)(d) 체인기어와 체인(13)으로 연결된 체인기어(27)(28) 및 횡축(29)(30)에 축설된 베벨기어(31)(32)가 회동하여 수평스크류우 (25) (26)의 베벨기어(25')(26')가 회동케 된다.
즉, 반원형 로울러(7)(7') 및 수직, 수평 스크류우 (9)(10)(25)(26)의 회동이 시작되는 것이다.
반원형 로울러(7)(7')의 회동이 시작되면, 철판(39)은 제 4a, b , c 도의 작용 상태에서 보는 바와같이 치수가 상이한 이격간 (40)(41)과 함께 양분하여 감겨진 두개의 물레(44)에서 공급되어 권취가 시작되며 압지 로울러(19)(20)는 권취되는 철판(39)의 권취 만곡부를 사방에서 압지하면서 회동케 된다.
철판(39)의 권취가 시간이 경과할수록 많아지면 압지 로울러(19)(20)도 자연히 압지력을 일정케하기 위하여 간격을 넓혀 나가는데 이의 역할을 수직, 수평 스크류우 (9)(10)(25)(26)가 수행케 되는 것이다.
즉, 수직, 수평 스크류우 (9)(10)(25)(26)는 원동모터(1)에서 다수의 풀리(2)(2)와 체인기어(3)를 통해 피동축(4)에 전달된 동력을 대, 소기어(5)(6)를 통해 기체(A) 전, 후의 (a)(b)(c)(d)체인기어가 구동하여 (a)(b)체인기어는 기체(A)하측 전, 후 좌, 우의 체인기어 (11)(12)와 체인(13)을 통해 횡축(14)(15)의 체인기어(11)(12)를 구동시켜 이와 동축에 축설된 베벨기어(17)(18)를 회동시킴으로서 수직 스크류우(9)(10)를 회동시켜 동 수직 스크류우(9)(10)에 결합된 지지구(21)(22)를 상, 하로 이송시켜 압지 로울러(19)(20)가 압지 간격을 넓혀 나가도록 하였으며, (c)(d) 체인기어는 기체 전, 후 좌, 우의 체인기어(27)(28)와 체인(13)을 통해 횡축(29)(30)의 베벨기어(31)(32)를 회동시킴으로서 수평 스크류우(25)(26)를 회동시켜 동 수평 스크류유(25)(26)에 결합된 지지구(33)(34)를 좌, 우로 이송시켜 압지 로울러(19)(20)의 좌, 우 압지간격을 넓혀 나가는 것인데, 상기수직 수평 스크류우(9)(10)(25)(26)의 회동 속도는 다수의 체인기어 (3)(a)(b)(c)(d)(11)(12)(27)(28)와 대,소기어(5)(6)를 통해 감속되어 스플라인측(8)의 반원형 로울러(7)(7')에 권취되는 철판(39)의 권취속도에 비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과정을 거쳐 철판(39)이 제 4c 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만권되면 철판(39)의 양단부를 나선형 전열판(38)에 용접 고정한후 반원형 로울러(7)(7')에 이송 체인을 감설하고 스플라인축(8)의 전, 후 보스(37)(37')를 전, 후로 밀면 반원형 로울러(7)(7')에 삽입 고정공(36)(36')에서 이탈되어 완성된 나선형 전열판(38)과 상측으로 들어올려 기체(A)에서 분리한후 간격 고정편(43)을 나선형 전열판(38)에 방사형으로 용접하고 이격간(40)(41)과 반원형 로울러(7)(7')를 나선형 전열판 (38)으로부터 빼내면 제 5 도 에서 보는 바와 같은 나선형 전열판(39) 완제품이 제작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작업시에는 반원형 로울러(7)(7')를 스플라인축(8)의 전, 후 보스(37)(37')에 끼워 고정한후 원동모터(1)를 역 회동시키면 수직, 수평 스크류우(9)(10(25)(26)가 역 회동하여 압지 로울러(19)(20)가 원복되며 반원형 로울러에 근접하면 원동모터(1)를 정지시킨후 재차 소정 크기의 철판(39)을 반원형 로울러(7)(7') 사이에 삽입하여 전기의 공정으로 작업을 수행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필요시 수평 스크류우(25)(26)만 회동코져 할 시는 횡축(14)(15)에 삽입 고정된 조절 클러치(16)를 풀어서 역으로 삽입 고정시키면 수직 스크류우(9)(10) 에는 동력이 전달되지 않아 수평 스크류우(25)(26)만 회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폐열 회수장치에 설치되는 핵심 부품인 나선형 전열판(38)을 기계적으로 권취 성형할 수 있어 단시간에 적은 노동력으로 양질의 제품을 양산 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기체(A) 일측에 원동모터(1)를 설치하여 다수의 풀리(2)(2')와 체인기어(3)를 통해 피동축(4)이 회동토록 하고, 피동축(4)전, 후에는 대, 소지어(5)(6)를 다수 맞물림하여 반원형 로울러(7)(7')가 축삽되는 스프라인축(8) 및 대, 소 체인기어(a)(b)(c)(d)를 회동토록하되, (a)(b) 체인기어는 체인(13)으로 기체(A)하측 전, 후 좌, 우에 축설된 횡축(14)(15)의 체인기어(11)(12)와 연결하여 횡축(14)(15)의 베벨기어(17)(18)와 맞물린 수직스크류우(9)(10)에 중앙을 기점으로 역으로 형성된 나선(9")(10")에 결합된 지지구(21)(22)가 가이드(23)(24)를 따라 상, 하 승가토록하여 동 지지구(21)(22)에 축삽된 압지 로울러(19)(20)를 승강가능케 하며, (c)(d)체인기어는 기체(A)전, 후 좌, 우에는 축설된 횡축(29)(30)의 체인기어(27)(28)와 연결하여 횡축(29)(30)의 베벨기어(31)(32)와 맞물린 수평 스크루우(25)(26)의 베벨기어(25')(26')를 구동케하여 동 수평 스크류우(25)(26)에 중앙을 기점으로 역으로 형성된 나선(25")(26")에 결합된 지지구(33)(34)를 좌, 우 이송토록하되, 동 지지구(33)(34)는 전, 후로 작업발판(35) 및 가이드(23)(24)와 일체로 연결구성하고, 스플라인축(8)에 삽입고정공(36)(36')이 뚫린 보스(37)(37')를 삽입하여 고정편(7")이 돌출된 반원형 로울러(7)(7')를 삽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폐열회수기의 나선형 전열판 성형용 철권기.
KR2019890020698U 1989-12-27 1989-12-27 폐열 회수기의 나선형 전열판 성형용 철권기 KR9200042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20698U KR920004284Y1 (ko) 1989-12-27 1989-12-27 폐열 회수기의 나선형 전열판 성형용 철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20698U KR920004284Y1 (ko) 1989-12-27 1989-12-27 폐열 회수기의 나선형 전열판 성형용 철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1032U KR910011032U (ko) 1991-07-29
KR920004284Y1 true KR920004284Y1 (ko) 1992-06-25

Family

ID=19294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20698U KR920004284Y1 (ko) 1989-12-27 1989-12-27 폐열 회수기의 나선형 전열판 성형용 철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428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1032U (ko) 1991-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16763A (en) Apparatus for forming slits in tubes
US2363826A (en) Method and machine for forming plastic spirals
CN212497923U (zh) 玻璃纤维卷材裁切装置
US4091651A (en) Drawing, straightening, sectioning and polishing machine
KR920004284Y1 (ko) 폐열 회수기의 나선형 전열판 성형용 철권기
CN209407138U (zh) 一种轧辊宽度能够调节的冷弯成型机
CN114054807B (zh) 一种用于主减速器壳体生产的孔加工装置
KR100314669B1 (ko) 돌망테용 철망테두리 기계장치
CN211806748U (zh) 一种用于纤维板加工的回转式转移设备
JP3746529B2 (ja) 円筒状管材の端縁面取機、および端縁面取された円筒状管材の製造方法
US2723605A (en) Apparatus for making laminated tubes
CN216661913U (zh) 一种干式复合机的上料装置
CN220217129U (zh) 一种纺织品分段裁切装置
CN215625580U (zh) 一种砂带收卷用防磨损间隔缠绕装置
CN213347686U (zh) 一种羽毛球拍拍框滚圈机
CN220179759U (zh) 一种alc板材切槽装置
KR0120146Y1 (ko) 톱밥 제조 장치
KR920010539B1 (ko) 시이트의 절단장치
CN115229895B (zh) 一种服装打孔设备
CN220261198U (zh) 一种纸张生产切割用推纸装置
KR200168121Y1 (ko) 판재 복합 가공장치
KR200185556Y1 (ko) 돌망테용 철망테두리 기계장치
CN216889497U (zh) 一种新型换辊机构
EP0247886A2 (en) Roll forming machine
KR900003971Y1 (ko) 무우 절삭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