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8121Y1 - 판재 복합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판재 복합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8121Y1
KR200168121Y1 KR2019990016779U KR19990016779U KR200168121Y1 KR 200168121 Y1 KR200168121 Y1 KR 200168121Y1 KR 2019990016779 U KR2019990016779 U KR 2019990016779U KR 19990016779 U KR19990016779 U KR 19990016779U KR 200168121 Y1 KR200168121 Y1 KR 2001681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upport plate
wood
saw blade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67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육
Original Assignee
이병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육 filed Critical 이병육
Priority to KR20199900167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81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81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81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CPLANING, DRILLING, MILLING, TURNING OR UNIVERSAL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C9/00Multi-purpose machines; Universal machines; Equipment therefor
    • B27C9/04Multi-purpose machines; Universal machines; Equipment therefor with a plurality of working spi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5/00Sawing machines work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 blades; Components or equipment therefor
    • B27B5/16Saw benches
    • B27B5/22Saw benches with non-feedable circular saw blade
    • B27B5/222Saw benches with non-feedable circular saw blade the saw blade being arranged underneath the work-table; Guiding arrangements for the work-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DWORKING VENEER OR PLYWOOD
    • B27D5/00Other working of veneer or plywood specially adapted to veneer or plywood
    • B27D5/006Trimming, chamfering or bevelling edgings, e.g. li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FDOVETAILED WORK; TENONS; SLOTTING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 B27F1/00Dovetailed work; Tenons; Making tongues or grooves; Groove- and- tongue jointed work; Finger- joints
    • B27F1/02Making tongues or grooves, of indefinite length
    • B27F1/04Making tongues or grooves, of indefinite length along only one edge of a boar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목 판재를 재단, 면취기, 홈파기, 센딩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아울러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판재 복합 가공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판재 복합 가공장치{APPARATUS FOR PROCESSING WOOD}
본 고안은 판재 복합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목 판재를 재단, 면취기, 홈파기, 센딩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아울러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판재 복합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목재 재질로 이루어진 책상의 서랍은 밑판과 좌우 측벽판 및 전후 측벽판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들이 결합되는 구조를 설명하면, 좌우 측벽판에 각각 길이 방향으로 소정 깊이의 홈부를 형성하고, 좌우 측벽판의 홈부에 밑판의 양측을 삽입 결합하여 단면이 디귿자(ㄷ)로 조립한 후에 전후 측벽판을 좌우 측벽판의 단부 내측에 삽입하여 고정못을 박아 평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되도록 조립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책상의 서랍을 구성하는 좌우 측벽판을 가공하는 데 있어서, 종래에는 대략 3단계의 가공 공정을 수행하여 제작하였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서랍을 구성하는 좌우 측벽판의 크기에 맞게 절단하는 제1 단계와, 제1 단계의 과정을 거쳐 서랍을 구성하는 밑판의 양측이 삽입되는 홈부를 형성하는 제2 단계와, 제2 단계의 과정을 거쳐 좌우 측벽판의 장변측의 단부를 라운딩지게 가공하여 다듬질하는 제3 단계로 이루어졌다.
그런데, 상기 제1 단계, 제2 단계, 제3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즉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는 절단장치, 홈을 형성하는 홈파는 장치, 라운딩하는 면취장치들이 별로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 소요 시간이 길어지는 등 작업성의 저하로 인해 생산 수율이 감소되었으며, 더욱이 빠른 시간안에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세가지의 장치에 작업자가 각각 있어야 하는 등 작업 인부의 증가로 인한 노동력이 손실되는 측면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원목 판재를 재단, 면취기, 홈파기, 센딩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아울러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판재 복합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판재 복합 가공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판재 복합 가공장치의 작업대 상부에 도시된
구성요소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위치 조정수단의 외관을 도시한 평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위치 조정수단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판재 복합 가공장치에 따라 판상 목재가 가공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판재 복합 가공장치에 따라 판상 목재가 가공되는
상태를 나타낸 일측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작업대 11 : 상부 지지판
12 : 지지봉 13 : 하부 지지판
4 : 이송 레일 7 : 제1 구동 수단
3,31,32,33 : 제1, 제2, 제3, 제4 유도 부재
6,94,95 : 제1, 제2, 제3 톱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판재 복합 가공장치는, 하부 지지판과, 하부 지지판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된 상부 지지판과, 하부 지지판과 상부 지지판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지지봉으로 이루어진 직육면체 형상의 작업대와; 상부 지지판을 관통하여 그 상면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게 설치되어 판상 목재를 이송시키는 무한 궤도형 이송 레일과; 이송 레일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제1 구동 수단과; 이송 레일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일직선이 되도록 배치되되, 각각이 소정 간격 이격되게 상부 지지판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판상 목재를 일직선으로 진행되도록 유도하기 위한 제1, 제2, 제3, 제4 유도 부재와; 이송 레일을 중앙으로 하여 어느 한쪽에 해당되는 제1, 제2 유도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부 지지판의 상면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게 설치되며. 판상 목재의 측부를 라운딩지게 가공하는 제1 톱날과; 제1 톱날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제2 구동수단과; 이송 레일에 인접하여 상기 제2, 제3 유도 부재 사이에 배치되되, 제1 톱날로부터 상부 지지판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상기 상부 지지판의 상면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게 설치되며, 제1 톱날에 의해 가공된 판상 목재의 측부를 다듬질하는 제1 다듬질 수단과; 이송 레일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제1 다듬질 수단이 설치된 반대편측에 해당되는 상부 지지판의 상면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판상 목재의 하면에 소정 깊이의 홈을 형성하기 위한 제2 톱날과; 제2 톱날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판상 목재를 절단하는 제3 톱날과; 제2, 제3 톱날을 동시에 회전 구동시키는 제3 구동수단과; 이송 레일에 의해 이송되는 판상 목재를 제1 이송 레일의 직상부에서 소정의 압력으로 눌러주는 누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판재 복합 가공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1)는 대략 직사각 형상을 갖는 하부 지지판(13)과, 이 하부 지지판(13)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된 대략 직사각 형상의 상부 지지판(11)과, 상부 지지판(11)과 하부 지지판(13)의 가장자리 네지점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지지봉(1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작업대(1)를 구성하는 상부 지지판(11)의 상면에는 장변측과 평행하게 판상 목재의 일측면을 가이드하여 일직선으로 진행되도록 유도하는 네개의 제1, 제2, 제3, 제4 유도 부재(3,31,32,33)가 고정 설치되는 바, 이 유도 부재(3,31,32,33) 각각은 소정 간격 이격되게 일직선이 되게 배치되어 고정 설치된다.
상기 작업대(1)를 구성하는 상부 지지판(11)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 부재(3)와 평행하게 소정 길이를 갖는 장공(111)과, 제1 유도 부재(3)와 제2 유도 부재(32) 사이에서 관통형성되는 소정 크기의 제1 통공(111a)과, 제2 유도 부재(32)와 제3 유도 부재(33) 사이에서 관통형성되는 소정 크기의 제2 통공(111b)과, 상기 장공(111)을 기준으로 하여 제2 통공(111b)의 반대편에 해당되는 지점에 형성되는 소정 크기의 제3 통공(111c)과, 제4 유도 부재(33)와 제4 유도 부재(34) 사이에서 관통형성되는 소정 크기의 제4 통공(111d)이 구비된다.
상기 작업대(1)를 구성하는 상부 지지판(11)의 장공(111)에는 무한 궤도형의 이송 레일(4)의 일부가 삽입되어 별도의 제1 구동수단(5)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이 이송 레일(4)의 상세한 배치 및 설치 구조를 설명하면, 작업대(1)의 내부에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스프롯켓(5a)을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체인 형상을 하는 이송 레일(4)을 스프롯켓(5a)에 권취하면, 이송 레일(4)은 대략 직사각형 형성으로 배치되며, 이송 레일(4)의 일부가 상부 지지판(11)에 형성된 장공(111)에 노출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배치되는 이송 레일(4)을 회전 구동시키는 제1 구동수단(5)은 하부 지지판(13)의 상면 소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모터(51)와, 이 모터(51)의 모터축(51a)에 고정 설치되는 구동 풀리(52)와, 스프롯켓(5a)를 적절하게 회전시키도록 하는 감속부(56)와, 이 감속부(56)의 회전축(55)에 고정 설치되는 종동 풀리(54)와, 구동 풀리(52)와 종동 풀리(54)를 연결하는 벨트(53)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구동수단(5)의 작동은, 먼저 모터(5)에 전원을 인가하면 모터(5)의 구동력은 구동 풀리(52)과 벨트(53) 및 종동 풀리(54)를 통해서 감속기(56)를 회전시키게 되며, 이 감속기(56)의 회전력은 네개의 스프롯켓(5a)를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동 레일(4)이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 지지판(11)에 형성된 제1 통공(111a)에는 판상 목재의 일측부를 라운딩지게 가공하는 제1 톱날(6)이 배치되는 바, 이 제1 톱날(6)은 하부 지지판(13)에 배치 설치된 제2 구동수단(61)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이 제2 구동수단(61)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터(미도시)로서, 이 모터의 회전축에 제1 톱날(6)이 고정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제2 구동수단(61)을 구성하는 모터는 도 1 및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위치 조정수단(7)에 의해 상하 및 전후로 이동하게 된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위치 조정수단(7)은 상하 위치 조정부와, 전후 위치 조정부로 크게 두가지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하 위치 조정부의 구성을 설명하면, 하부 지지판(11)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케이스(71)와, 이 케이스(71) 내부 하부측에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 설치되는 제1 회전축(72)과, 케이스(71)의 외부에서 제1 회전축(72)을 회전시키는 제1 손잡이(73)과, 케이스(71)의 내부에 해당되는 제1 회전축(72)상에 고정 설치되는 워엄(74)과, 제1 회전축(72)과 직각이 되게 케이스(71)의 내부에 배치되되 하단부가 베어링(75a)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 설치되는 제2 회전축(75)과, 이 제2 회전축(75)상에 고정 설치되어 워엄(74)에 치차 결합되는 워엄휘일(76)과, 이 워엄휘일(76)로부터 소정 높은 지점의 제2 회전축(75)에 고정 설치되는 워엄(77)과, 제2 회전축(75)의 워엄(77)이 나사 결합되며 케이스(71)의 상부 측부에 대해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 설치되는 승하강 부재(78)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전후 위치 조정부의 구성을 설명하면, 상하 위치 조정부를 구성하는 승하강 부재(78)의 외측면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설치되는 전후 이동부재(79)와, 승하강 부재(78)의 내부에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 설치되는 제3 회전축(80)과, 승하강 부재(78)의 외측으로 제3 회전축(8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제2 손잡이(81)와, 승하강 부재(78)의 내부측에 해당되는 제3 회전축(80)에 고정 설치되며 전후 이동부재(79)의 내부로 나사 결합되는 워엄(8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하 위치 조정부 및 전후 위치 조정부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 손잡이(73)를 소정의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제1 회전축(72)이 소정의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 제1 회전축(72)이 회동함에 따라 워엄(73)과 워엄휘일(76)의 치합 관계에 의해 제2 회전축(75)이 소정의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2 회전축(75)이 소정의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승하강 부재(78)는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데, 여기서 승하강 부재(78)가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이유는 승하강 부재(78)와 제2 회전축(75)이 상호 나사 결합되어 있음과 동시에 승하강 부재(78)가 케이스(7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제2 손잡이(81)를 소정의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제3 회전축(80)이 소정의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 제3 회전축(80)이 소정의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워엄(82)에 치차 결합된 전후 이동부재(79)는 전방향 또는 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3 회전축(80)이 소정의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전후 이동부재(79)가 전방향 또는 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이유는 제3 회전축(80)의 워엄(82)과 전후 이동부재(79)가 상호 나사 결하보디어 있음과 동시에 승하강 부재(78)에 전후 이동부재(79)가 슬라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1 톱날(6)은 위치 조정수단(7)의 작용에 의해 상부 지지판(11)에 형성된 제1 통공(111a)로 돌출됨과 아울러 전후로 이동되어 판상 목재의 측부에 맞게 위치가 조정되는 것이다.
한편, 상부 지지판(11)에 형성된 제2 통공(111b)에는 상기 제1 톱날(6)에 의해 라운딩지게 가공된 판상 목재의 일측부 또는 면취부를 다듬질하는 제1 다듬질 수단(9)이 구비되는 바, 이 제1 다듬질 수단(9)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벨트형 사포(91)를 이용하게 된다.
이 사포(91)는 대략 삼각형상을 배치된 세개의 로울러(92)에 권취되고, 이 세개의 로울러(92)중의 어느 하나는 하부 지지판(13)의 하부에 고정 설치된 모터(미도시)의 모터축(93)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따라 상기 모터에 전원을 인가하면, 모터축(93)은 회전하게 되면서 세개의 로울러(92)중의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후, 벨트형 사포(91)의 견인력에 의해 세개의 로울러(92)는 동시에 회전하면서 사포(91)도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판상 목재의 라운딩지게 가공된 면취부를 다듬질하여 거침정도를 줄여주게 된다.
한편, 상부 지지판(11)에 형성된 제3 통공(111c)에는 제1 다듬질 수단(6)의 구동과 거의 동시에 판상 목재를 일정한 크기로 커팅하고, 판상 목재의 하면에 길이 방향으로 홈을 형성하기 위한 제2 톱날(94)과 제3 톱날(95)을 설치한다.
이 제2 톱날(94)와 제3 톱날(95)는 상부 지지판(11)의 하면에 구비된 모터(미도시)의 회전축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고정 설치되고, 각각의 형성은 원형의 형상을 하고 있다.
상기 제2, 제3 톱날(94,95)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모터는 자체가 승하강되며, 전후진되는 제3 구동수단(96)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바, 이에 대한 구성은 도 $ 내지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톱날(6)을 승하강 또는 전후진시키는 구성과 동일하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부 지지판(11)에 형성된 제4 통공(111d)에는 제1 다듬질 수단(6)과 제2, 제3 톱날(94,95)에 가공된 판상 목재의 면취부중 제1 다듬질 수단(6)에 의해 가공된 판상 목재의 면취부를 최종적으로 가공하는 제2 다듬질 수단이 구비된다.
이 제2 다듬질 수단은 목재 재질의 표면을 가공하는 연삭 숫돌(98)과, 이 연삭 숫돌(98)을 소정의 속도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99)로 이루어진다.
한편, 이송 레일(4)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판상 목재를 이송 레일(4)의 직상부에서 소정의 압력으로 눌러주는 누름수단(100)이 구비된다.
누름수단(100)은 상기 제1, 제2, 제3, 제3 유도 부재(3,31,32,33)의 길이 방향으로의 일측면중에서 이송 레일(4)의 반대편 측면에 이송 레일(4) 전체 길이에 걸쳐 소정 높이 돌출 설치되는 한쌍의 지지 파이프(101)와, 이 지지 파이프(101)의 내부에 각각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하단부가 상기 지지 파이프(101)의 내벽면과 나사 결합되는 한쌍의 슬라이드 부재(102)와, 이 슬라이드 부재(102)의 외측에 각각 수평으로 고정 설치되는 한쌍의 지지대(103)와, 상기 슬라이드 부재(102)의 상단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한쌍의 워엄휘일과, 상기 워엄휘일의 상측에서 상기 지지 파이프(101)와 직각이 되게 수평으로 배치되는 회전축(104)와, 이 회전축(104)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쌍의 케이스(105)와, 이 케이스(105)의 내부에 해당되는 회전축(104)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워엄휘일과 치차 결합되는 워엄과, 상기 회전축(104)의 어느 한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회전축(104)을 회동시키는 손잡이(105)와, 상기 지지대(103)의 단부에 수직 하방으로 고정 설치되되 상기상부 지지판(11)에 형성된 장공(111)과 수직으로 일직선이 되도록 고정 설치되는 수직 판상체(107)와, 이 수직 판상체(107)의 측면에 이송 레일(4)에 의해 이송되는 판상 목재의 상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가압롤러(108)로 이루어진다.
한편, 수직 판상체(107)의 상면에는 제2, 제3 톱날(94,95)에 의해 가공되는 판상 목재가 누름수단(100)을 구성하는 가압롤러(108)에 의해 치우쳐지게 눌려져 있기 때문에, 제2, 제3 톱날(94,95)에 의해 판상 목재가 상하로 떨리거나 흔리게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정밀하게 판상 목재에 홈이 가공되지 않을 뿐더러 절단되지 않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수직 판상체(107)의 상면중 제2, 제3 톱날(94,95)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판상 목재 흔들림 방지수단이 구비된다.
이 판상 목재 흔들림 방지수단은, 수직 판상체(107)의 상면에 소정 간격 이격되되, 수직 판상체(107)와 직각이되게 슬라이드공 및 이 슬라이드공에 수직으로 연통된 나사공을 갖는 한쌍의 지지구(120)와, 이 지지구(120)의 슬라이드공에 각각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한쌍의 원형봉(121)과, 지지구(120)의 나사공에 나사 결합되어 원형봉(121)의 외측에 접촉 및 해제됨으로써 원형봉(121)을 지지구(120)에 고정 및 해제하는 조절구(123)와, 원형봉(121)의 각각의 단부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수직봉(124)과, 이 수직봉(124)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는 보조 판상체(125)와, 이 보조 판상체(125)의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보조 가압롤러(12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목재 가공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 목재를 A방향에서 투입하면, 제1 구동 수단(5)을 구성하는 모터(51)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 이송 레일(4)의 이송력에 의해 B방향으로 전진하게 된다.
여기서, 판상 목재가 전진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판상 목재는 이송 레일(4)과 가압 롤러(108) 사이를 통과하면서, 가압롤러(108)에 의해 소정의 압력으로 눌려진 상태로 이송되며, 아울러 제1 유도 부재(3)에 의해 직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송되는 판상 목재의 선단부가 제1 톱날(6)을 통과하면서, 제1 톱날(6)에 의해 판상 목재(200)의 측면이 라운딩지게 가공된다.(도 7참조)
이후, 판상 목재(200)는 계속 B방향으로 진행되면서, 그 선단부가 제1 다듬질 수단 및 제2, 제3 톱날(94,95)에 도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 다듬질 수단 및 제2, 제3 톱날(94,95)에 도달된 판상 목재(200)의 선단부는 다듬질 수단을 구성하는 사포(91)에 의해 라운딩된 면취부가 매끄럽게 다듬질된다.
한편, 판상 목재(200)는 제3 톱날(95)에 의해 그 하부면에 소정 깊이의 홈(201)이 가공되고, 제 2 톱날(94)에 의해 일정한 규격에 맞게 재단된다.
부호 202는 제2 톱날(94)에 의해 판상 목재(200)가 절단된 재단선을 나타낸다.
이후, 판상 목재(200)는 계속 B방향으로 진행되면서, 그 선단부가 제2 다듬질 수단에 도달하게 된다.
이렇게 제2 다듬질 수단에 도달하게된 판상 목재(200)의 일측면, 즉 라운딩지게 가공된 측면은 제2 다듬질 수단을 구성하는 연삭숫돌(98)에 의해 더욱 다듬질이 가해져 표면이 매끄럽게 된다.
이후, 판상 목재(200)는 최종적으로 B 방향으로 인출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원목 판재를 재단, 면취기, 홈파기, 센딩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아울러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하부 지지판과, 상기 하부 지지판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된 상부 지지판과, 상기 하부 지지판과 상부 지지판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지지봉으로 이루어진 직육면체 형상의 작업대와;
    상기 상부 지지판을 관통하여 그 상면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게 설치되어 판상 목재를 이송시키는 무한 궤도형 이송 레일과;
    상기 이송 레일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제1 구동 수단과;
    상기 이송 레일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일직선이 되도록 배치되되, 각각이 소정 간격 이격되게 상기 상부 지지판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판상 목재를 일직선으로 진행되도록 유도하기 위한 제1, 제2, 제3, 제4 유도 부재와;
    상기 이송 레일을 중앙으로 하여 어느 한쪽에 해당되는 상기 제1, 제2 유도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판의 상면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판상 목재의 측부를 라운딩지게 가공하는 제1 톱날과;
    상기 제1 톱날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제2 구동수단과;
    상기 이송 레일에 인접하여 상기 제2, 제3 유도 부재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제1 톱날로부터 상기 상부 지지판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상기 상부 지지판의 상면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톱날에 의해 가공된 판상 목재의 측부를 다듬질하는 다듬질 수단과;
    상기 이송 레일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다듬질 수단이 설치된 반대편측에 해당되는 상기 상부 지지판의 상면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판상 목재의 하면에 소정 깊이의 홈을 형성하기 위한 제2 톱날과;
    상기 제2 톱날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판상 목재를 절단하는 제3 톱날과;
    상기 제2, 제3 톱날을 동시에 회전 구동시키는 제3 구동수단과;
    상기 이송 레일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판상 목재를 상기 이송 레일의 직상부에서 소정의 압력으로 눌러주는 누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복합 가공장치.
KR2019990016779U 1999-08-14 1999-08-14 판재 복합 가공장치 KR2001681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779U KR200168121Y1 (ko) 1999-08-14 1999-08-14 판재 복합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779U KR200168121Y1 (ko) 1999-08-14 1999-08-14 판재 복합 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8121Y1 true KR200168121Y1 (ko) 2000-02-15

Family

ID=19584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6779U KR200168121Y1 (ko) 1999-08-14 1999-08-14 판재 복합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812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462B1 (ko) * 2008-06-20 2013-03-13 (주)엘지하우시스 보드 재단 및 면치 장치
KR101394945B1 (ko) * 2014-02-18 2014-05-14 주식회사 경신 모서리 라운딩 가공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462B1 (ko) * 2008-06-20 2013-03-13 (주)엘지하우시스 보드 재단 및 면치 장치
KR101394945B1 (ko) * 2014-02-18 2014-05-14 주식회사 경신 모서리 라운딩 가공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1064B1 (ko) 프로파일의 펀칭 및 노칭 자동가공장치
KR100821991B1 (ko) 곡면 형성기
KR200168121Y1 (ko) 판재 복합 가공장치
CN117283394A (zh) 一种瓦楞纸箱生产的裁切毛边处理装置及毛边处理方法
KR20190124577A (ko) 목재도어의 측면 가공장치
KR20030024418A (ko) 석재가공장치
CN215903649U (zh) 一种木工锯床
KR200424635Y1 (ko) 판재 절단용 원형톱기계의 동력전달장치
CN206795054U (zh) 激光切割机移动工作台
KR200229032Y1 (ko) 고속 파이프 절단기
EP0768144A1 (en) Part cutting machine
KR101966771B1 (ko) 밀링커터를 이용한 양방향 개선가공기
KR200334115Y1 (ko) 파이프 겸용 절단기
US3841367A (en) Planing and grooving machine
CN213827300U (zh) 一种高效锯床
CN219684140U (zh) 一种具备多段切割功能的带锯床
CN215247890U (zh) 片材横竖开槽机
CN216370226U (zh) 一种金属板加工用打孔装置
CN218192086U (zh) 一种渗碳钢丸冲压模具
CN211104452U (zh) 一种木工锯台
CN218429211U (zh) 一种玻璃钻孔机
CN212919798U (zh) 一种门框切割机自动送料装置
CN216229962U (zh) 一种子母床加工用木板开槽装置
CN220613372U (zh) 一种石板边缘圆弧倒边装置
CN212420837U (zh) 一种板材自动加筋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