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3944B1 - 멀티라인 기능을 가진 교환기에서의 디렉토리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라인 기능을 가진 교환기에서의 디렉토리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3944B1
KR910003944B1 KR1019880007800A KR880007800A KR910003944B1 KR 910003944 B1 KR910003944 B1 KR 910003944B1 KR 1019880007800 A KR1019880007800 A KR 1019880007800A KR 880007800 A KR880007800 A KR 880007800A KR 910003944 B1 KR910003944 B1 KR 910003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criber
name
port
telephone number
phone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7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1193A (ko
Inventor
안교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80007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3944B1/ko
Publication of KR900001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3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Exchange Systems With Centralized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멀티라인 기능을 가진 교환기에서의 디렉토리 서비스 방법
제 1 도는 교환기 구성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교환기의 구체블럭도.
제 3 도는 멀티라인용 전화기 외형도.
제 4 도는 종래의 흐름도.
제 5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베이스 구성도.
제 6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렉토리 출력 흐름도.
제 7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렉토리 입력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E 및 M타이부 105:파워부
101:유니버셜트렁크 106:입출력 인터페이스부
102:서비스부 107:데이터라인 인터페이스부
103:중앙처리장치 108:데이타 서비스부
104:가입자회로부.
본 발명은 멀티라인(Multi-Line)기능을 제공하는 교환기에서 각 가입자와 전화번호와의 관계를 표시하는 디렉토리(Directory) 기능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렉토리 기능은 멀티라인 기능을 가진 교환기에서 가입자가 어떤 전화번호를 소유하고 있는지 또한 소정 전화번호에 대해 어떤 성명을 가진 가입자가 속해있는지를 알려주는 기능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제 1 도는 싱글 라인전화기(ST1-STn)와 멀티 라인전화기(MT1-MTn)을 동시에 구성한 교환기(1)의 구성도로써, M & A용 터미널(M & A)을 통하여 각 가입자의 전화번호와 성명을 올바르게 알기위한 기능을 실현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한 가입자가 다수의 전화번호를 소유하고 있고, 또 동일한 전화번호가 다수의 가입자와 공유될 때 가입자별 또는 전화번호별로 소유 및 공유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즉 어떤 가입자와 통화하고 싶을 때 그 가입자가 소유하는 전화번호를 모두 알수 있다면 그 번호중 임의의 번호를 택해 통화가 가능하며, 또한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제 1 도와 같은 교환기에서 A라는 가입자가 100,200,300을 전화번호로 소유하고 있고, B라는 가입자가 200,100,400을 소유하고 있다면 100과 200은 A,B양 가입자에 공유된다. 이때 A라는 가입자와 통화하고 싶은 C라는 가입자는 100,200,300중 어느번호를 다이얼링해도 좋으며, 이때 100이라는 전화번호에 링이 울려야하므로 A와 B의 전화기 둘다 링이 울려 먼저 후크오프한 가입자와 C가 연결된다. 만약 이러한 것이 싫으면 C라는 가입자는 300번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함으로써 오직 A만 통화할 수 있게 된다. 이때는 300번 전화번호가 A이외의 가입자와 공유하고 있는가의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 게 된다
제 2 도는 제 1 도의 교환기의 구체블럭도이며, 그 각각 블럭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중앙처리장치부(103) 는 교환기 전체의 제어를 담당하며, E 및 M타이부(100)는 외부 교환기와 연결을 하되 신호전송을 원활히 전송하도록 하고 서비스부(102)는 MFC 식 전화기를 사용하는 가입자를 위한 복합주파수 송수신 및 전체교환기에서 공유되는 기능을 수행하며, 파워부(105)는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고, 입출력 인터페이스부(106)는 M & A용 터미널이나 외부 컴퓨터 혹은 프린터와의 연결을 원활히 하며 데이터서비스부(108)는 디지털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데이터라인 인터페이스부(107) 은 멀티라인용 전화기 (MT1-MTn)를 갖는 가입자를 서비스하고, 가입자회로(104)는 싱글라인용 전화기(ST1-STn)를 갖는 가입자를 제어한다.
제 3 도는 멀티라인용 전화기 외형도로서,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키(PG1,PG2) 및 숫자키(303)가 존재하며,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키(PG1,PG2)에 전화번호를 할당하므로써 여러전화번호를 소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른 멀티라인용 전화기의 키에도 동일한 전화번호들을 할당할 수 있다. 따라서 제 3 도의 전화기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는 한 가입자에 여러 전화번호가 또는 한 전화번호에 여러 가입자를 배정할 수 있다. 이때 한 전화번호가 특정 가입자에 의해 사용되고 있을 때 이 전화번호를 소유하는 다른 가입자는 이 전화번호를 사용할 수 없다. 결국 이 가입자에게 전화를 걸려고 하면 이 가입자가 소유하는 다른 전화번호를 사용해야되고 이 가입자가 소유하는 모든 전화번호를 알 필요성이 생기게 된다.
제 4 도는 종래 흐름도이다.
상기 제 1-4 도를 참조하여 종래의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4a)과정에서 제 1 도의 M & A용 터미널(M & A)에서 명령어를 입력하면, 제 2 도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부(106)를 통해 중앙처리장치(103)에서 데이터를 받게된다. (4b)과정에서는 중앙처리장치(103)가 입력된 데이터가 전화번호인지 성명인지를 판별한다. 입력된 전화번호는 시그템에서 존재하는 전화번호인지 판별하기 위해 메모리에 저장된 시스템의 전화번호 테이블과 비교하며(4c), 상기 (4c)과정에서 존재하는 전화번호가 아닌 경우에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부(106)를 통해 M & A용 터미널(M & A)에 에러 메시지를 출력한다(4d).
존재하는 전화번호인 경우에는 그 번호에 해당되는 포트를 소유하는 가입자의 성명을 메모리에서 찾아 전화번호와 성명을 입출력 인터페이스부(106)를 통해 M & A용 터미널(M & A)에 출력한다(4f). 입력된 데이터가 성명일때는 메모리에 저장된 가입자 성명과 동일할 힌지를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 중앙처리장치(103)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부(106)를 통해 가입자 성명과 전화번호를 M & A용 터미널(M & A)로 출력한다(4e).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멀티라인 기능이 없던 교환기에서는 가입자 포트와 전화번호가 1:1 로 대응되어 있어 가입자 이름과 전화번호가 1:1로 대응되어 문제가 없었으나 새로 멀티라인 기능이 추가된 교환기에 있어서는 가입자 이름과 전화번호와 m:n 으로 각각 다를 수 있어 제 4 도와 같은 종래방법으로는 가입자당 한 대의 전화번호 또는 전화번호당 한명의 가입자만 출력되는 경우밖에 없는 불합리한 점이 많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라인 기능을 가진 교환기에서 가입자와 전화번호와의 소유관계를 표시해주도록 디렉토리 기능을 원활히 써비스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 가입자가 여러 전화번호를 소유하거나 한 전화번호에 여러 가입자가 속해있을 때에도 그 관계를 명확히 하여 사용자가 참고하고자 할 시 정확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5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베이스 구성도로서, 전화번호 관련 테이블(5A)은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모든 전화번호의 성격 및 특성을 정의하는 테이블로서 각 전화번호마다(5A)에 표시된 항목들을 가지고 있다. 이테이블의 주소번지(address)는 각 전화번호의 인덱스를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213번 전화번호는 이 테이블의 최초 주소번지로부터 213×(한 레코드의 크기) 만큼 떨어진 주소번지에 정보가 존재한다. 전화번호 관련 인덱스 테이블(5b)은 전화번호 관련 인덱스를 저장하며 이것은 각 정화번호별 포트테이블(5C)의 레코드의 위치를 가르킨다. 각 전화번호별 테이블(5C)은 한 레코드가 도시한 항목들로 구성되며, 이러한 레코드는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전화번호의 수만큼 존재한다. 포트별 전화번호 테이블(5E)는 주소번지가 가입자 포트번호를 의미;하며, 한 레코드는 시스템에서 공유가 가능한 전화번호들의 최대 갯수만큼의 전화번호를 소유한다. 여기서는 편의상 최대 6개라고 가정하고 도시한 것이다.
디렉토리 테이블 (5D)는 한 레코드가 4개의 항목으로 구성되며 포트번호 1은 시스템에서 사용중인 포트번호중의 하나이다.
제 6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렉토리 출력 흐름도로서, 전화번호 혹은 가입자 성명이 입력될 때 저장된 정보를 찾아 출력하는 단계를 플로우챠트로 스텝별로 도시한 예이다.
제 7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렉토리 입력 흐름도로서, 새로이 디렉토리 테이블에 한 기록 데이터를 추가하는 과정을 플로우챠트로 단계별로 도시한 예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적 일실시 예를 제 1-3 도 및 제 5-7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6a)과정에서는 제 1 도의 M & A용 터미널(M & A)에서 입력을 하면 제 2 도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부(106)를 통해 중앙처리장치(103)에서 데이터를 받게 된다.
(6b)과정에서는 입력된 데이타가 가이비자 성명인지, 전화번호인지를 판별한다.(6c)과정에서는 입력된 전화번호가 존재하는 전화번호인지를 전화번호 관련테이블(5A)의 전화번호 관련 비트를 검사하여 판별한다.
상기 (6c)에서 존재하지 않는 전화번호임이 판명되면 제 2 도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부(106)를 통해 중앙처리장치(103)가 (6e)과정에서 에러 메세지를 M & A 용 터미널(M & A)에 출력한다. 그러나 (6e)과정에서 존재하는 전화번호일 때 (6f)과정에서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가 전화번호 관련 테이블(5A)의 레코드 인덱스와 동일하므로 전화번호 관련 인덱스 테이블(5B)에서 이에 상응하는 위치의 기록으로부터 전화번호 인덱스를 구해 각 전화별 포트테이블(5C)의 기록된 데이터를 얻는다. 상기 기록데이터의 포트번호 각각을 가지고 (6g)과정에서 디렉토리 테이블(5D)의 포트번호 1과 비교하여 동일한 레코드를 모두 찾으며, (6h)과정에서 상기 발견된 기록 데이터의 가입자 성명과 전화번호를 제 2 도의 입출력된 인터페이스부(106)를 통해 M & A용 터미널(M & A)에 출력된다.
한편 상기 (6c)과정에서 인터페이스부(106)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가 성명이면 이를 (6d)과정에서 디렉토리 테이블(5D)의 가입자 성명과 비교한다. 그러나 (6i)과정에서 모든 기록 데이타를 조사해도 발견되지 않으면 (6i)과정에서 존재하는 가입자 성명이면 입력된 성명과 일치하는 가입자 성명을 가진 모든 기록 데이터로부터 포트번호를 가지고 포트별 전화번호 테이블(5E)에서 해당 레코드를 찾아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찾는다.
이렇게 구해낸 모든 전화번호를 (6k)과정에서 가입자 성명과 함께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M & A용 터미널(M & A)에 출력한다.
제 7 도는 새로이 디렉토리 테이블(5D)에 한 기록 데이터를 추가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로서 각각 스텝은 다음과 같다.
M & A용 터미널(M & A)로부터 가입자 성명과 그 가입자가 소유하는 전화번호를 (7a)과정에서 입출력 인터페이스부(106)를 통해 중앙처리장치(103)에 전달된다.
(7b)와 (7d)는 (6c)와 (6e)의 과정과 동일하며, (7b)과정에서 존재하는 전화번호일 때 (7c)과정에서 디렉토리 테이블(5D)로부터 비어있는 기록테이블을 찾게된다. 상기 (7c)과정에서 비어있는 기록테이블이 존재하지 않으면 (7g)과정에서 에러 메시지를 입출력 인터페이스부(106)를 통해 M & A용 터미널(M & A)에 출력하고 상기 (7c)과정에서 비어 있는 기록 데이터가 존재하면 (7e)과정에서 최우선 포트를 각 전화번호별 포트테이블(5C)에서 찾는다. 여기서 최우선 포트는 각 전화번호별 포트테이블(5C)의 포트번호 1항목에 해당되는 포트이며, 멀티라인 방식이 아닌 교환기에서의 포트 개념과 동일한 것이다
상기 (7e)과정에서 찾은 값을 (75)과정에서 발견된 포트번호와 가입자 성명을 디렉토리 테이블(5D)에 기록하고, M & A용 터미널(M & A)에는 다음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롬프트를 주어 입력이 종료되었음을 알린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입자와 전화번호와의 소유관계를 표시해주고 디렉토리 기능을 원활히 서비스하고 한 가입자가 여러 전화번호를 소유하거나 한 전화번호에 여러 가입자가 속해 있을 경우 그 관계를 명확히 하여 사용자의 참조시 정확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멀티라인 기능을 가진 교환기에서의 디렉토리 서비스의 출력방법에 있어서, 상기 교환 터미널의 입력 데이터를 받아 번호인지 이름인지를 검색하는 제1과정(6a,6b)과, 상기 제1과정(6a,6b)의 (6b)에서 전화번호일 때 이미 입력되어 저장된 전화번호가 아니면 에러 메세징 하고, 상기 전화번호 저장된 번호이면 전화번호를 공유하는 찾는 제2과정(6c,6e,6f)과, 상기 제 2 과정(6c,6e,6f)의 (6f)에서 찾은 포트들로부터 포트번화와 일치하는 포트를 갖는 가입자를 찾아 전화번호와 가입자의 성명을 출력하는 제 3 과정(6g,6h)과, 상기 제 1 과정 (6a, 6b)의 (6b)과정에서 성명일 때 가입자성명을 디렉토리 테이블에서 찾아 존재하는 가입자의 성명이면 포트번호를 가지고 해당 포트에 속한 전화번호를 찾아 성명과 소유번호를 출력하고 존재하지 않으면 에러 메시징 하는 제4과정(6i-6l)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라인 기능을 가진 교환기에서 의 디렉토리 서비스 방법.
  2. 멀티라인 기능을 가진 교환기에서의 디렉토리 서비스 입력방법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 터미널에서 전화번호와 가입자성명을 입력받아 존재하는 전화번호 여부를 체킹 하는 제1단계(7a,7b)와, 상기 제 1 단계(7a,7b)의 (7b)에서 존재하는 전화번호가 아닐 때 에러 메세징 하고 존재하는 전화이면 기록할 곳의 존재여부를 확인하는 제2단계(7c,7g)와, 상기 제2단계(7c,7g)의 (7c)에서 기록할 영역이 있을시 포트번호를 얻어 가입자 성명과 포트번호를 빈곳에 기록하고 기록할 영역이 없을 때 에러 메세징 하는 제3단계(7e-7g)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라인 기능을 가진 교환기에서의 디렉토리 서비스 방법.
KR1019880007800A 1988-06-27 1988-06-27 멀티라인 기능을 가진 교환기에서의 디렉토리 서비스 방법 KR910003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7800A KR910003944B1 (ko) 1988-06-27 1988-06-27 멀티라인 기능을 가진 교환기에서의 디렉토리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7800A KR910003944B1 (ko) 1988-06-27 1988-06-27 멀티라인 기능을 가진 교환기에서의 디렉토리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1193A KR900001193A (ko) 1990-01-31
KR910003944B1 true KR910003944B1 (ko) 1991-06-17

Family

ID=19275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7800A KR910003944B1 (ko) 1988-06-27 1988-06-27 멀티라인 기능을 가진 교환기에서의 디렉토리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39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5750A (ko) 2015-08-31 2017-03-08 이지현 휴대용 화재 진압 매트
KR20220036013A (ko) 2020-09-15 2022-03-22 이용권 자중식 소화매트와 이에 수용되는 소화분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1193A (ko) 1990-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00522A (en) Modified abbreviated dialing arrangement
JP2000134309A (ja) 通信端末
KR910003944B1 (ko) 멀티라인 기능을 가진 교환기에서의 디렉토리 서비스 방법
JPH012461A (ja) 通信端末装置
JPH05211563A (ja) 通信方法及び通信装置
JPH0720746U (ja) 多重回線電話機用自動再ダイアリング装置
WO1996002996A1 (en) Telephone number storage device
JPS6292644A (ja) 通信装置
JPH03268656A (ja) 短縮ダイヤル発信装置
JP3098312B2 (ja) 発呼回線選択方式
JPS59134964A (ja) 着信呼転送方式
KR100594069B1 (ko) 교환시스템에서 센트릭스 내선번호 부여에 의한 광역호 처리방법
JPH01200759A (ja) 電子メール送信制御方式
JPS61113353A (ja) 着信呼分配方式
JPS61171267A (ja) 利用者別交換サ−ビス制御方式
JPH07162526A (ja) 自動応答録音装置における制御方式
JPH0335645A (ja) ステップ自動ダイヤル方式
JPH06237296A (ja) 電子交換機システム
JPH01101054A (ja) 着信端末指定方式
JPH06121362A (ja) 分割ダイヤル発呼システム
JPH07250166A (ja) ボイスメールシステム
JPS61113352A (ja) 着信呼分配方式
JPH01222555A (ja) キャンプオン設定情報表示方式
JPH0522430A (ja) システム端末における電話帳検索方式
JPS63294195A (ja) 複数メディア代表選択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13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