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3507B1 - 방염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 Google Patents

방염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3507B1
KR910003507B1 KR1019870012266A KR870012266A KR910003507B1 KR 910003507 B1 KR910003507 B1 KR 910003507B1 KR 1019870012266 A KR1019870012266 A KR 1019870012266A KR 870012266 A KR870012266 A KR 870012266A KR 910003507 B1 KR910003507 B1 KR 910003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end
weight
carbon atoms
flame retardant
polyethylene terephtha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2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7640A (ko
Inventor
에미트 개리슨 쥬니어 윌리엄
Original Assignee
이 아이 듀우판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도늘드 에이 호우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 아이 듀우판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도늘드 에이 호우즈 filed Critical 이 아이 듀우판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Publication of KR880007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7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3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5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1/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1/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polycarboxylic acids
    • C08L31/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polycarboxylic acids of phthalic aci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C08J3/226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using a polymer as a carri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3/00Use of mixtures of ingredients not covered by one singl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08K13/02Organic and inorganic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3/2279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antimon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8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7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방염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성형 블렌드(blend), 특히 개선된 방염성을 갖는 성형 물품을 얻기 위하여 성형될 수 있는 상기 블렌드에 관한 것이다(본 출원은 1986.11.26자 출원 번호 제935,384호의 일부 계속 출원이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값이 싼 중합체이지만 최근까지는 여러가지 이유때문에 우수한 성형 수지로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예를들면, 유기 카르복시의 혹종의 알카리 금속 염 함유 조성물(알카리 금속 유기 카르복실레이트)을 통상적으로 첨가하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핵 생성을 증진시킴으로써 결정화를 촉진시켰다. 더구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할로겐화 유기 화합물과 산화 안티몬상승제와 같은 통상의 방염제를 첨가함으로써 일반적으로 방염된다. 그러나, 산화 안티몬 상승제를 함유한 방염제 시스템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알칼리 금속 유기 카르복실레이트의 블렌드에 첨가할때, 중합체가 분해되어 기계적 성질이 저하되고 용융 점도가 감소된다. 산화 안티몬이 할로겐화 방향족 유기 방염제에 대해 특별히 우수한 상승제 이기 때문에, 산화 안티몬 존재시 이러한 품질 저하는 특히 유감스런 일이다. 그것은 즉시 구입할 수 있고, 저렴하고, 효과가 매우 높다. 반대로, 많은 다른 무기 상승제들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방염제 시스템내에서 단순히 효과적이지 않거나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함께 사용될때 수지를 파괴시키는데, 이들중 몇몇은 산화아연, 황화아연, 붕산아연, 산화 제1주석, 산화몰리브텐, 몰리브덴산염이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알카리 금속 유기 카르복실레이트의 블렌드에 첨가될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열 안정성에 실제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산화 안티몬을 사용하는 방염제 시스템이 바람직하고, 이것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다.
산화 안티몬이 농축물 형태로 폴리아미드내에 첨가된다면, 알카리 금속 유기 카르복실레이트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블렌드내 산화 안티몬이 불안정화 효과가 최소화됨을 알았다. 산화 안티몬이 농축 형태로 다른 유기 중합체 즉 폴리에틸렌과 함께 첨가되거나 또는 순수하게 첨가된 유사 조성물과 비교해 볼때, 이것은 배합되고 연이어 용융 가공 작업, 예컨대 사출 성형하는 동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열안정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특히,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성형 블렌드는 (a) 적어도 0.4의 고유 점도를 갖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블랜드의 20-90중량%, (b) 7-25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히드로카본 모노카르복실산, 7-54 탄소 원자의 히드로카본 디-또는 트리카르복실산 및 유기 카르복실 함유 중합체로 구성된 군으로 부터 선택된 카르복실 함유 유기 조성물의 적어도 하나의 나트륨 및/또는 칼륨 염, b)와 a)의 블렌드의 0.1-20중량%, c) 방염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방향족 고리 탄소에 직접 결합된 충분한 할로겐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고리를 가진 방향족 유기 화합물로 구성되고, 상기 블렌드 내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하여, a)와 c)의 블렌드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5-30중량%의 할로겐을 블렌드에 공급하는 할로겐화된 방염제, d) 폴리아미드내의 농축 형태로 블렌드에 첨가되는, a)와 d)의 중량을 가준으로 한 블렌드의 0.3-8중량%산화 안티몬으로 구성된다. 보통 블렌드는 충전재료 또는 보강재, 블렌드의 0-55중량%까지를 함유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본원에 사용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ASTM D-2857로 측정할때 적어도 0.4의 고유점도를 갖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위 고유점도가 약 1.2이다. 고유 점도는 30℃에서 염화메틸렌과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의 부피비가 3 : 1인 0.50g/100ml의 농도에서 측정된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디에틸렌글리콜, 글루타르 산, 1,4-부탄디올,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시클로헥산 디메탄올과 기타의 디올과 같은 다른 공단량체의 50중량%까지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블렌드의 35 내지 70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보강재 또는 충전재
본원에 사용될 수 있는 보강재 또는 충전재는 유리 섬유, 그라파이트 섬유, 아라미드 섬유, 유리비이드(glass beads),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석면, 운모 등과 그들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이러한 물질은 블렌드의 15 내지 55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칼리 금속 유기 카르복실레이트
유기 카르복실레이트의 대표적인 염은 2-5 탄소 원자를 갖는 알파-올레핀과 카르복실기가 나트륨 및/또는 칼륨 양이온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화된 3-5 탄소 원자의 알파, 베타-에틸렌형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이온성 탄화수소 공중합체(이후로 이오노머 수지라 칭함), 예컨대 에틸렌과 아클리산 또는 메타크릴 산의 공중합체이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공중합체는 에틸렌/메타크릴 산 공중합체의 나트륨 또는 칼륨염이다(바람직하게는 30-95% 중화됨). 대표적인 것에는 또한 스티렌/무수 말레인산 공중합체의 나트륨염이 있다(모두 또는 부분적으로 중화된, 예컨대 적어도 약 30% 중화된 염 둘다 포함). 올레핀 부분은 통상적으로는 공중합체의 50-98중량%, 바람직하게는 80-98중량%를 함유한다. 특히 바람직한 물질은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나트륨염이다. 이 공중합체는 통상적인 고압 중합체화 기술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다.
기타의 종류는 적어도 7,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6 탄소 원자,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4 탄소 원자를 함유하고 약 1500보다 작고, 바람직하게는 450-1000 사이의 분자량을 갖는, 실제적인 지방족 디-또는 트리-카르복실산의 염이다. 이들 염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기준으로, 약 0.1-5중량%, 바람직하게는 0.35-1.1중량%의 양으로 블렌드 내에 존재한다. 포화 및 불포화 폴리카르복실산 모두가 염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어도, 변색 경향이적기 때문에 포화산이 바람직하다. 부가적으로, 산은 예컨대 페닐렌과 같이 지방족 사슬 내에 아릴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염을 만드는데 사용될 수 있는 실질적으로 대표적인 지방족 폴리카르복실산은 이합체산과 삼합체산을 포함한다. 이합체산은 C18지방산의 이합체화에 의해 얻어지는 C36디카르복실산을 의미한다. 삼합체산은 C18지방산의 삼합체화에 의해 얻어지는 C54트리카르복실산을 의미한다.
할로겐화 방염제
할로겐화 방염제는 방향족 고리 또는 고리들에 직접 부착된 할로겐, 바람직하게 브롬 또는 염소원자를 함유하는 방향족 화합물로 구성된다. 브롬이 존재할때. 브롬의 함량은 화합물 중량의 최소한 25%이고 ; 염소가 존재할 시에 염소 함량은 화합물 중량의 적어도 40%이다. 부가적으로, 방염제 화합물은 300℃까지에서 실질적으로 안정해야만 하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분해를 일으켜서는 안된다. 화합물이 브롬을 포함할때, 블렌드내에 존재하는 브롬의 양은 성분 a)와 만의 블렌드의 5-2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합물이 염소를 함유할때 ,존재하는 염소의 양은 성분 a)와 만의 블렌드의 5-2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대표적인 방염제는 데카브로모디페닐 에테르, 옥타브로모디페닐 에테르, 에틸렌 비스-(테트라브로모프탈이미드), 브롬화 폴리스티렌, 폴리(디브로모페닐렌 산화물), 및 유사한 염소화 화합물등을 포함한다. 중합체 방염제는 200,000 또는 그 이상까지의 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산화 안티몬
본원에 사용된 산화 안티몬(Sb2O3또는 Sb2O5)은 폴리아미드 내에 농축물로 첨가한다. 이것은 고체 또는 미립형태로 폴리아미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그것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블렌드 내에, 성분 a)와 만의 블렌드의 0.3 내지 5중량%의 양, 가장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산화 안티몬은 농축물의 20-80%이다.
산화 안티몬에 대한 담체로서 유용한 폴리아미드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이들은 필름을 형성하는 분자량이다. 폴리아미드 수지는 4-12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포화 유기 디카르복실산의 등몰량을 2-13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유기 디아민과 축합시켜 생성될 수 있는데, 여기에서 원한다면, 디아민이 사용될 수 있어서, 폴리아미드내의 카복실 말단 기에 과량의 아민 말단기를 제공한다. 역으로 과량의 산기를 제공하기 위해서 이산(diacid)을 사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들 폴리아미드는 상기 아민과 산의 산-형성 및 아민-형성 유도체로 부터, 예컨대 에스테르, 산 염화물, 아민염 등으로 부터 제조할 수 있다. 폴리아미드 제조에 사용된 대표적인 디카르복실산은 아디프산, 피멜린산, 수베르산, 세바신산과 모데칸디온산을 포함하고, 한편 대표적이 디아민은 헥사메틸렌디아민과 옥타메틸렌디아민을 포함한다. 또한, 폴리아미드는 W-아미노카르복실산 또는 락탐의 자기-축합으로 부터 또한 제조될 수 있다. 폴리아미드의 예에는 폴리(헥사 메틸렌 아디프아미드)(66나일론), 폴리(헥사메틸렌 아재라아미드)(69나일론), 폴리(헥사메멜틸렌 세바스아미드)(610나일론) 및 폴리(헥사메틸렌 도데카노아미드)(612나일론), 폴리(4,4'-메틸렌디시클로헥실렌 도데카노아미드), 또는 락탐의 고리 열림 반응에 의해 생성된 폴리아미드 ; 즉 폴리카프로락탐(6나일론), 폴리라우릴락탐(12나일론) 또는, W-아미노산으로 부터 제조된 폴리-11-아미노운데카노아미드가 포함된다. 상기 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된 산 또는 아민의 적어도 둘을을 중합함으로써 제조된 폴리아미드 공중합체, 예컨대, 아디프산, 이소프탈산과 헥사메틸렌디아민으로 만들어진 중합체 ; 또는 헥사메틸렌디아민, 아디프산과 카프로락탐의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66나일론과 6나일론의 혼합물과 같은 폴리아미드의 블렌드가 또한 포함된다.
기타의 첨가제
상기 성분에 부가하여, 본 발명의 블렌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함께 사용된 통상적 첨가제, 예컨대 착색제, 이형제(mold release agents), 항산화제, 강화제, 핵 생성제, 자외선과 열 안정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첨가제는 에스테르, 케톤, 술폰, 술폭사이드, 니트릴, 아미드 또는 술폰아미드인 저 분자량 유기 가소제 화합물이 선택된다. 이러한 저 분자량 물질이 이온성 탄화수소 공중합체와 함께 또는 핵 생성제와 함께 사용된다면, 양질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물품이 저온, 예컨대 80-100℃ 성형에 의해서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을 최근에 발견하였다. 이들 첨가제 물질은 결정화의 속도를 증가시키고, 상기 물질을 사용할때 주형으로부터 쉽게 제거되는 매끈하고 광택이 있는 표면을 가진 성형된 물품을 얻는다. 사용시 이들 첨가제는 블렌드의 1-12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에 유용한 어떤 핵 생성제라도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들면 무기 산화제 또는 탄산염, 카르복실산의 기타 염 또는 나트륨/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올리고머가 있다.
제조방법
본 발명의 블렌드는 균질 블렌드를 얻기 위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성분들을 같이 용융배합시켜 제조될 수 있다. 온도도 압력도 중요하지 않다. 예를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어떠한 적당한 블렌드 내에서도 건식 혼합하거나 또는 다른 성분과 텀블링하고, 혼합물을 용융 압출시킨다. 압출물을 작게 절단할 수 있다. 원한다면, 강화재 또는 충진재를 제외시키고 최초 용융압출 후에 첨가할 수 있으며, 그리고 나서 결과의 혼합물을 용융 압출할 수 있다.
[실험과 실시예]
하기의 실험과 실시예에서 퍼센트는 다른 표시가 없는 한 총 블렌드를 기준으로한다. 성형 테스트 바(bar)의 성질은 다음의 과정에 의해 측정되었다. 인장강도와 연신율은 사출 성형된 바로 0.508cm(0.2인치)/분의 신장 속도에서 ASTM법 D638에 의해 측정되었다.
비노치 충격강도는 바를 노치하지 않고 ASTM D256에 의해 측정하였다. 모든 샘플의 테스트와 실시예 1과 2의 인장강도 및 연신율을 위하여, 바는 150℃ 질소내에서 16시간 동안 서냉시켰다.
압출된 펠렛의 용융점도를 125Kpa의 전단응력 상수에서 0.775cm(0.0305")직경×1.57cm(0.62")길이의 원통형관을 갖춘 Monsanto Automatic Capillary Rheometer에서 측정하였다. 펠렛은 시험전에 16시간동안 약 110℃ 진공 오븐내에서 질소를 공급하면서 건조시켰다. 실험과 실시예에 있어서, 제조방법과 시험법은 다음과 같다 :
성분을 손으로 건식 블렌딩하고 그리고나서 결과의 혼합물을 285-300℃의 용융온도와 63.5-71.12cm(25-28인치)의 진공도에서 이-단계 5.08-센치(2-인치) 단일 스크루 압출기를 통하여 압출시켰다. 압출된 가닥을 물에서 급냉시키고 펠렛으로 잘라 16시간동안 약 95℃ 건조 공기 오븐내에서 건조시켰다. 건조된 펠렛을 빠른 램 속도와 약 105℃의 성형 캐비티 온도(mold cavity temperature)를 갖는 6oz 반돈 왕복 스크루 기계(Van Dorn reciprocating screw machine)를 사용하여 시험 바로 사출 성형시켰다.
약 307℃의 용융온도에서 표준 주기는 33초 이고, 보압 시간은 3분이었다. 약 312℃의 용융온도에서 엄밀한 작업 주기는 109초이고 보압시간이 10분이었다. 결정화 촉진첨가제를 함유하지 않은 실시예 1과 2는 약 50℃의 캐비티온도에서 성형시켰고 연이어서 서냉하였다.
나일론 6내의 산화 안티몬(70/30)을 M&T 화학사로 부터 얻었다.
다른 나일론 담체 내의 산화 안티몬 농축물은 28mm 워너 앤드 플레이더러 쌍 스크루 압출기(Werner and pfleiderer twin screw exruder)내에서 건식 블렌드를 만듬으로써 제조하였다. 그리고나서 압출된 가락을 물에서 급냉시키고 펠렛으로 절단하고 약 95℃ 건조 공기 오븐에서 16시간동안 건조시켰다.
실험과 실시예에서 사용한 성분들은 다음과 같다 :
PET 1부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과 3부의 디클로로메탄의, 혼합물내에 0.50g/100ml의 농도, 30℃에서 측정시 고유점도 0.6을 갖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단일 중합체 수지, 수지는 사용전에 0.1% 수분함량 이하로 건조시킨다.
"Surlyn" 8920 알칼리 금속 유기 카르복실레이트 즉, 이온성 탄화수소 공중합체, 즉, 나트륨으로 약 60%중화된 15중량% 메타크릴산과 에틸렌의 공중합체.
"Epon" 1009 4000-8000분자량과 약 0.53% 옥시란산소를 갖는 비스페놀 A와 에퍼클로로히드린의 축합생성물 셀 케미칼 캄파니로 부터 입수.
"Irganox" 1010 시바 가이기로 부터 입수한 테트라키스[메틸렌(3,5-디-터트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메탄]
브롬화 폴리스티렌 -68%브롬 함유 브롬화 폴리스티렌(페로 코오포레이션의 "Pyro-chek" 68PB).
산화 안티몬 -Sb2O3(M&T 케미칼스의 "Thermogard" S).
나일론 6내의 70% Sb2O3-M&T 케미칼사의 "T/S" PE 70/30.
폴리에틸렌내의 90% Sb2O3-M&T 케미칼사의 "T/S" N-6 PE 90/10.
유리섬유 -유리섬유를 1/20.32cm로 절단한 PPG 3540.
"Capron" 8200 -알라이드 케이칼사의 나일론 6.
"Ultranox" 620 -보르그 원너 케미칼스의 비스(2,4-디-t-브틸페닐)펜탄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소듐 디머레이트 -수산화나트륨으로 Empol
Figure kpo00001
1010 이합체산을 중화시켜 얻음.
[실시예 1-3과 비교 A-D]
이 실험은 농축물 담체의 차이(나일론 대 폴리에틸렌)가 알카리 금속 카르복실레이트와 PET를 함유하는 조성물내에서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실험은 폴리에틸렌내의 산화 안티몬과 같이, 분말의 산화 안티몬(담체 없이)이 나일론 담체내의 산화 안태몬보다 더 분해됨을 보여준다. 모든 실시예는 1% 삼산화 안티몬을 그 자체로(분물) 또는 중합체성 담체내에 함유한다. 조성물은 표 Ⅰ에, 성질은 표 Ⅱ에 실었다. 실시예 1과 비교 A를 대조하면, 나일론 6내의 삼산화 안티몬이 주는 것보다 폴리에틸렌내의 산화 안티몬이 알킬리 금속 카르복실레이트/PET시스템에 더 낮은 점도와 다소 열등한 기계적 성질을 준다는 것을 보여준다.
유사한 조성물 내에서, 나일론 담체를 사용(실시예 2)함으로써 특히 엄격한 성형 주기후에, 분말의 삼산화 안티몬(비교 B)이 주는 것보다 실질적으로 더 높은 용융점도와 또 우수한 기계적 성질을 준다.
가소제(N-옥타데실 P-톨루엔 술폰아미드)가 부가적으로 존재하며, 나일론내의 삼산화 안티몬(실시예 3)은 폴리에틸렌 담체내의 삼산화 안티몬(비교 C)보다 또는 순수한 분말(비교 D)로서 보다 더 높은 용융점도(따라서 분해)와 월등한 성질을 준다. 엄밀한 작업 주기를 사용하여 바를 성형할대 효과가 가장 좋다.
[표 1]
실시예 1-3과 비교 A-D의 조성
Figure kpo00002
[표 2]
실시예의 성질
Figure kpo00003
[실시예 4-10 비교 E]
이들 실험은 11.9% 브롬화 폴리스티렌, 3.2% N-옥타데실 P-톨루엔술폰아미드, 실시예 1-7에서 사용되는 3.5% 알칼리 금속 카르복실레이트("Surlyn" 8920), 0.65%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스 테아레이트, 0.6% "Epon"100 9F, 0.2% "irganox"1010과 언급한 담체내에서 농축물로서 첨가된% 산화 안티몬을 포함한다. 실시예 4와 5 그리고 비교 E는 % "Ultranox" 626을 또한 포함한다. 조성물의 나머지는 PET이다.
다양한 나일론 담체의 효과에 있어서 상이점이 있게 나타나지만, 비활성 폴리에틸렌 담체에 의해 얻어지는 것보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더 높은 용융 점도와 더 우수한 기계적 성질을 갖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표 3]
실시예 4-6과 비교 E
Figure kpo00004
[실시예 7-10]
Figure kpo00005
[실시예 11-14와 비교 F와 D]
이 실험은 알칼리 금속 카르복실레이트가 나트륨 디머레이트 일때 산화 안티몬/폴리아미드 농축물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모든 실험은 1% 산화 안티몬을 함유한다. 조성물을 용융점도와 함께 표Ⅳ에 나타내었다.
비교 F및 I와 함께 실시예 11과 12는 순수한 Sb2O3에 반해서, 나일론 6내에서 Sb2O3의 효과를 예증해 준다.
비교 G와 H는 알칼리 금속 카르복실레이트가 존재하지 않으면 산화 안티몬에 의해 분해되는 것이 없음을 보여준다.
[표 4]
Figure kpo00006

Claims (7)

  1. a) 적어도 0.4의 고유점도를 갖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블렌드의 35-70중량%, b) 7-25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히드로카본 모노카르복실산, 7-25 탄소 원자의 히드로카본 디-또는 트리카르복실산, 및 유기 카르복실 함유 중합체로 구성된 군으로 부터 선택되는 카르복실 함유 유기 조성물의 적어도 하나의 나트륨 및/또는 칼륨 염, 조성물의 적어도 하나의 나트륨 및/또는 칼륨 염, b)와 a)의 블렌드의 0.1-5중량%, c)방염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방향족 고리 탄소에 직접 결합된 충분한 할로겐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고리를 가진 방향족 유기 화합물로 구성되고, 상기 블렌드내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하여 a)와의 블렌드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5-20중량%의 할로겐을 블렌드에 공급하는 할로겐화된 방염제, d) 폴리아미드 내의 농촉물 형태로 블렌드에 첨가된, 산화 안티몬, a)와의 블렌드의 0.3-1중량%을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성형 블렌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성분 b)가 a)와의 블렌드의 0.1-5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7-54 탄소 원자의 히드로카본 디-또는 트리-카르복실산의 나트륨 또는 칼륨염인 블렌드.
  3. 제 1 항에 있어서, 강화재 또는 충진재 물질을 블렌드의 55중량%까지 함유하는 블렌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성분 b)의 이온성 탄화수소 공중합체가 2-5탄소 원자의 알파-올렌핀과 3-5 탄소 원자의 알파, 베타-올레틴형으로 불포화된 카르복실산의 염인 블렌드.
  5.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할로겐화된 방염제가 데카브로모디페닐 에테르, 옥타브로모디페닐 에테르, 에틸렌 비스(테트라브로모프탈이미드), 브롬화 폴리스티렌, 폴리(산화 디브로모페닐렌) 및 유사한 염소화된 화합물등으로 부터 선택되는 블렌드.
  6.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블렌드가 가소제를 포함하는 블렌드.
  7. 제 1 항에 있어서 펠렛 형태내의 블렌드.
KR1019870012266A 1986-11-26 1987-10-31 방염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KR9100035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3538486A 1986-11-26 1986-11-26
US935384 1986-11-26
US06/941,791 US4708980A (en) 1986-11-26 1986-12-15 Flame retardant polyethylene terephthalate
US941791 2004-09-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7640A KR880007640A (ko) 1988-08-29
KR910003507B1 true KR910003507B1 (ko) 1991-06-03

Family

ID=27130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2266A KR910003507B1 (ko) 1986-11-26 1987-10-31 방염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708980A (ko)
EP (1) EP0268867B1 (ko)
KR (1) KR910003507B1 (ko)
CA (1) CA1276340C (ko)
DE (1) DE3786393T2 (ko)
HK (1) HK6439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86927A1 (en) * 1999-07-23 2002-07-04 De Schryver Daniel A. Flame retardant compositions
US20040072929A1 (en) * 2002-06-27 2004-04-15 De Schryver Daniel A. Flame retardant compositions
CN112300511A (zh) * 2019-07-26 2021-02-02 北京梦之墨科技有限公司 疏金属高分子材料、疏金属部件及基于液态金属的设备
CN115260714B (zh) * 2022-08-22 2023-06-16 滁州杰事杰新材料有限公司 一种阻燃高性能pet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78646A (ko) * 1973-11-15 1975-06-26
JPS5087445A (ko) * 1973-12-07 1975-07-14
JPS5087444A (ko) * 1973-12-07 1975-07-14
JPS50113475A (ko) * 1974-02-18 1975-09-05
DE2608925A1 (de) * 1976-03-04 1977-09-08 Dynamit Nobel Ag Treibmittelkonzentrat
DE2608833A1 (de) * 1976-03-04 1977-09-08 Dynamit Nobel Ag Flammschutzmittelkonzentrate fuer die flammwidrige ausruestung von kunststoffen
GB1585085A (en) * 1976-06-21 1981-02-25 Ici Ltd Polyamide compositions
FR2373575A1 (fr) * 1976-12-09 1978-07-07 Rhone Poulenc Ind Compositions destinees a l'ignifugation de matieres plastiques
JPS6031222B2 (ja) * 1977-05-30 1985-07-20 ユニチカ株式会社 難燃性樹脂組成物
US4325865A (en) * 1977-11-02 1982-04-20 Monsanto Company Flame retardant resin compositions
US4205142A (en) * 1977-11-02 1980-05-27 Monsanto Company Flame retardant resin compositions
US4339556A (en) * 1977-11-02 1982-07-13 Monsanto Company Flame retardant resin compositions
DE2756375A1 (de) * 1977-12-17 1979-07-05 Basf Ag Flammschutzmittelkonzentrat fuer thermoplaste
EP0041315A1 (en) * 1980-05-29 1981-12-09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lyethylene terephthalate molding blends and molded articles thereof
US4524191A (en) * 1980-09-30 1985-06-18 Asahi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Polyester composition and production thereof
US4496681A (en) * 1980-12-31 1985-01-29 Atlantic Richfield Company Fire retardant concentrate
US4429067A (en) * 1982-10-27 1984-01-3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lyethylene terephthalate molding compositions
US4525513A (en) * 1982-12-27 1985-06-25 Allied Corporation Flame retardant polyamide composition
US4546126A (en) * 1983-07-13 1985-10-08 Ciba Geigy Corporation Flame-retarding, reinforced moulding material based on thermoplastic polyesters and the use thereof
GB8431792D0 (en) * 1984-12-17 1985-01-30 Sandoz Ltd Organic compoun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786393D1 (de) 1993-08-05
HK64394A (en) 1994-07-15
EP0268867A3 (en) 1989-07-05
EP0268867A2 (en) 1988-06-01
US4708980A (en) 1987-11-24
EP0268867B1 (en) 1993-06-30
KR880007640A (ko) 1988-08-29
DE3786393T2 (de) 1994-02-03
CA1276340C (en) 1990-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68164B2 (ja) 防炎性熱可塑性成形材料
US4554320A (en) Nylon molding materials having high impact strength
US5034450A (en) Thermoplastic molding materials based on polyamides and polyester elastomers
KR20200104882A (ko) 고 내열성 폴리아미드 성형 배합물
EP1165692B1 (en) Polyester molding composition
DK157455B (da) Flerfasede polyamidbaserede formstoffer med forbedrede slagstyrkeegenskaber og krystallisationsegenskaber
JPH1067932A (ja) 改良された熱安定性を有する難燃性高温ポリフタルアミド類
EP1005502B1 (en) Process for preparing high strength fiber reinforced polymer composites
US4866115A (en) Solid mixture of nucleated and nonnucleated polyamides
EP1068269A1 (en) Improved thermally stable flame retardant polyamides
KR910003507B1 (ko) 방염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EP1629047B1 (en) Flame retardant polyamide composition
NL8004800A (nl) Verbeterde thermoplastische vormhars en werkwijze voor het bereiden van deze hars.
JPS6057464B2 (ja)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EP0339745A2 (en) Polyketone polymer composition
US5015681A (en) Flameproof thermoplastic molding materials based on polyamides and polyester elastomers
US5068274A (en) Secondary amides in polyethylene terephthalate molding compositions
US4525513A (en) Flame retardant polyamide composition
US6288145B1 (en) High-melting polyamide resin compositions and molded articles thereof
CA1124914A (en) Thermoplastic molding compositions
JPS63137952A (ja) 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成形混合物
EP0079061A1 (en) Flame-retardant polyamide compositions
JPH02169666A (ja) 耐火性ポリアミドをベースにした組成物
JPH05506056A (ja) 溶融粘度の高い充填材含有ポリエステル組成物
EP0960161B1 (en) High-melting polyamide resin compositions and molded articles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3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