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3447B1 - 전자중량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중량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3447B1
KR910003447B1 KR1019860010729A KR860010729A KR910003447B1 KR 910003447 B1 KR910003447 B1 KR 910003447B1 KR 1019860010729 A KR1019860010729 A KR 1019860010729A KR 860010729 A KR860010729 A KR 860010729A KR 910003447 B1 KR910003447 B1 KR 910003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tored
zero
span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10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6395A (ko
Inventor
쯔도무 마스야마
Original Assignee
도교 뎅기 가부시기가이샤
고바야시 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교 뎅기 가부시기가이샤, 고바야시 즁 filed Critical 도교 뎅기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6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6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3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22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apportioning materials by weighing prior to mixing them
    • G01G19/38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apportioning materials by weighing prior to mixing them programme controlled, e.g. by perforated tap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14Devices for determining tare weight or for cancelling out the tare by zeroising, e.g. mechanically operated
    • G01G23/16Devices for determining tare weight or for cancelling out the tare by zeroising, e.g. mechanically operated electrically or magnetically operated
    • G01G23/163Devices for determining tare weight or for cancelling out the tare by zeroising, e.g. mechanically operated electrically or magnetically operated involving digital coun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01Testing or calibrating of weighing apparatu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dication And Recording Devices For Special Purposes And Tariff Metering Devices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중량 측정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시 블럭도.
제 2 도는 표시부의 평면도.
제 3 도는 동 플로우 챠아트.
제 4 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시 플로우 챠아트.
제 5 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시 플로우 챠아트.
제 6 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시 플로우 챠아트.
제 7 도는 종래 예의 플로우 챠아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CPU 2 : ROM
3 : RAM 4 : 로오드셀 저울
5 : A/D 컨버터 6 : 키
7 : 불휘발성 RAM 8 : 표시부
본 발명은 전자중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중량 측정장치에 있어서는 측정량을 정확하게 하기 위하여, 그 중량 측정장치의 영점과 스팬(Span)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종래는 영점설정모드용 키와 스팬 설정모드용 키의 2개의 키를 형성하여 각각 설정모드를 실행하도록 되어있다.
제 7 도는 그 설정모드의 개략을 표시한 플로우 챠아트이며, 테스트 모드에 있어서는 제 1 키가 눌리우면 영점설정모드로서, 영점설정처리가 실행되고, 제 2 키가 눌리우면 스팬 설정모드로서 스팬 설정 처리가 실행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종래 방식에서는, 영점 설정시의 측정치와 스팬 설정시의 측정치가 불휘발성 RAM에 격납된다. 예를들면 스팬데이터가 적정한지 아닌지를 검사하기 위하여, 성격하중의 분동을 저울에 놓은 상태에서 얻어지는 측정치를 표시할 때에는, 이 측정치에 대하여 스팬데이터 및 스팬 카운트에서 산출된 스팬계수를 곱하여 표시하고 있다.
따라서 이 표시된 측정치가 미리 정해진 스팬 카우트와 일치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보는 것만으로 불휘발성 RAM에 격납된 스팬데이터가 적정한 것인지 아닌지를 검사함이 가능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방식의 경우, 영점설정, 스팬 설정을 위하여 2개의 키를 사용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전자중량 측정장치의 소형화, 저렴가화의 요망에 부응하지 못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1개의 키를 겸용하여 사용하며, 영점설정과 스팬설정을 할수 있는 전자중량 측정장치를 얻고저 함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해진 중량에 대응하는 중량데이터를 발생하는 데이터 발생수단과 ; 영점설정모드를 표시하는 제 1 모드 데이터와, 스팬 설정모드를 표시하는 제 2 모드 데이터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저장하는 제 1 메모리수단과 ; 전자중량 측정장치용 영점을 결정하기 위한 영점 데이터와, 스팬을 결정하기 위한 스팬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제 2 메모리수단과, 데이터 설정키를 가지는 키보드와 ; 상기 데이터 설정키의 작동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메모리수단을 체크하며, 영점설정모드를 표시하는 제 1 모드 데이터가 제 1 메모리수단에 저장된 것이 검출된 때, 상기 데이터 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된 중량데이터가 상기 제 2 메모리수단에 상기 영점데이터로서 저장되며, 또한 제 2 모드 데이터가 상기 제 1 메모리수단에 저장될 수 있게하며, 스팬 설정모드를 표시하는 제 2 모드 데이터가 상기 제 1 메모리수단에 저장된 것이 검출된때, 상기 데이터 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된 중량데이터와 영점데이터 사이의 차를 상기 제 2 메모리수단에 상기 스팬데이터로서 저장되게하며, 또한 제 1 모드 데이터가 상기 제 1 메모리수단에 저장될 수 있게 하는 데이터 처리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제 1 도 내지 제 3 도에 따라 설명하면, 먼저 제어주체가 되는 CPU(1)에는 ROM(2)이나 RAM(3)이 접속되어 있음과 동시에, 로오드셀 저울(4)이 A/D 컨버터(ADC)(5)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 이 CPU(1)에는 영점 설정모드와 스팬 설정모드를 선택하는 1개의 선택키(데이터 설정키)(6)가 접속되어 있다(기타 각종 키가 있으나, 생략한다). 또 CPU(데이터 처리수단)(1)에는 영점 설정치, 스팬 설정치등을 격납하는 불휘발성 RAM(제 2 메모리수단)(7) 및 표시부(표시수단)(8)도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영점 설정 및 스팬 설정을 제 3 도에 표시한 플로우 챠아트에 따라서 실행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영점을 3000카운트, 스팬을 4000카운트로서 설명한다. 먼저, 이 처리는 영점 또는 스팬을 설정하기 위한 테스트 모드에 있어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계량, 테스트 모드등을 설정하기 위한 모드설정 스위치(도시없음)가 테스트 모드로 설정된다. 모오드셀 저울(4)의 접시위에 아무것도 놓여지지 않는 상태에서 키(6)를 누르면, 이때에는 영점 설정모드 플래그(데이터)가 세트되고 있지 않으므로 영점 설정모드임을 판단하여 이때의 A/D 컨버터(5)에서의 측정 데이터를 영점데이터로서 불휘발성 RAM(7)에 격납한다. 그리고 영점 설정모드 플래그를 세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플래그를 판별수단으로 사용하였다. 다음에, 로오드셀 저울(5)의 접시위에 측정할 물건을 놓은 상태에서 다시 키(6)를 누르면, 영점 설정모드 플래그가 서 있음으로서 영점 설정핀 임을 확인하고, 이번에는 스팬 설정모드임을 판단한다. 여기서 그때의 측정 데이터에서 영점데이터를 뺀 값을 스팬데이터로서 불휘발성 RAM(7)에 기입한다. 그리고, 영점 설정모드 플래그를 0으로 크리어 한다. 따라서 다음 키(6)를 조작할때에는 영점 설정모드로 된다. 이하, 동일하게 키(6)를 조작할때마다, 영점 설정모드와 스팬 설정모드가 반복설정되게 된다.
이와같이 하여 영점 설정과 스팬 설정이 1개의 키(6)의 조작에 따라 실행된다. 그리고 이와같이 하여 얻어진 영점데이터와 스팬데이터를 기본으로 하여, (측정데이터)×(4000)÷(스팬데이터)의 식에 의하여, 표시기에 A/D 컨버터(5)에서 얻어지는 카운트와 영점데이터의 차를 나타내는 측정데이터가 스팬 측정치를 4000으로 했을때의 측정치로 변환되게 된다. 또 표시부(8)에서는 이러한 영점데이터나 스팬데이터의 설정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조작자에 알리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영점 설정후에는 표시부(8)에 있어서 그 소수점 표시등(9)을 점등시킴으로서 현재 어떤 동작이 진행되고 있는지를 알게 한다. 이 처리는, 예를들면, 제 3 도에 표시한 플로우 챠아트에 있어서, 영점 설정모드 플래그가 세트하고 있음을 검출했을 때에는, 소수점 표시등(9)을 점등하고, 이 플래그가 리세트 되었음을 검지했을 때에는, 소수점 표시등(9)을 소등함으로서 실행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제 4 도에 따라 설명한다. 상술한 영점 설정 및 스팬 설정에 있어서, 불휘발성 RAM(7)에 격납되는 데이터가 안정한 데이터가 아니면, 영점데이터나 스팬데이터를 설정한 경우에도, 실제로는 전혀 관계없는 값이 설정되고 말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실제값을 나타내는 처리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얻어진 복수의 샐플링 데이터를 불휘발성 RAM 안에 확보하게 되나, 예를들면 이들 샘플링 데이터는 완전히 동일치일때에 안정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영점데이터의 격납 및 스팬데이터의 격납을 실행시키는 것이다.
이와같이 데이터가 안정되고 있지않을 때에는 영점 설정모드 및 스팬 설정모드의 처리를 하지않게 하므로서 신뢰성이 높은 영점설정 및 스팬 설정을 하게 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제 5 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영점 설정모드의 처리에 있어서, 로오드셀 저울(4)의 접시위에 물건을 놓은 상태에서의 데이터의 불휘발성 RAM(7)에의 기입을 방지하는 것이다. 영점 설정모드시에 있어서의 카운트치가 3000±500 이내의 값이 아니면, 무하중 상태는 아니라고 판단하여 즉 로오드셀 저울(4)의 접시위에 물건이 놓은 상태임을 판단하여 불휘발성 RAM(7)에 데이터를 격납시키지 않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제 6 도에 따라 설명하면, 상술한 제 1 실시예등에 의하면, 로오드셀 저울(4)의 접시위에 아무 물건이 놓이지 않은 상태에서 키(6)를 눌러 영점 설정모드를 실행코져 할때에 무심히 키(6)를 2번 누르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키(6)의 최초의 압압조작에 의하여 영점 설정모드로 판단하여 영점데이터를 불휘발성 RAM(7)에 격납하고 그 직후의 2번째의 키(6)의 조작으로 이번에는 스팬 설정모드로 판단하여 물건이 놓이지 않은 상태의 카운트치를 스팬데이터로서 불휘발성 RAM(7)에 기입하게 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키(6)를 2번 누르는 경우가 있다해도 측정데이터에서 영점데이터를 뺀 값이 4000카운트 이상이 아니면 정격하중 상태는 아니라는 판단을 하여, 즉 로오드셀 저울(4)의 접시위에 물건이 놓이지 않은 상태의 데이터라고 판단하여 불휘발성 RAM(7)에의 기입을 방지하는 것이다. 여기서 예를들면 4000카운트 이상을 하고 있으므로 데이터 값은 로오드셀 저울(4)의 분해등을 고려하고 설정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같이 1개의 키 조작에 따라 영점 설정모드이거나, 스팬 설정모드 인가를 판별하는 판별수단을 형성함으로서, 영점 설정 실행과, 스팬 설정의 실행을 1개의 키 조작으로 선택적으로 할 수 있으므로 따라서 전자중량 측정장치의 소형화, 저가격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 중량 안정시만 이들 설정모드가 실행하게 되므로 전혀 관계없는 데이터를 영점데이터나 스팬데이터로서 설정하지는 않는다.
영점 설정모드에 있어서는 저울위에 물건이 놓여지면 그 설정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할수도 있으므로 잘못된 데이터를 영점데이터로서 설정하지 않는다. 또 영점 설정모드를 설정하기 위하여 키를 조작할때에 2번 눌러서 스팬 설정모드로 판정하는 경우가 있다해도 그때의 영점데이터를 스팬데이터로서 설정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저울위에 아무것도 놓이지 않은 상태에서의 잘못은 스팬 설정을 방지할 수도 있는 것이다.

Claims (7)

  1. 가해진 중량에 대응하는 중량데이터를 발생하는 데이터 발생수단(4, 5)과 ; 영점 설정모드를 표시하는 제 1 모드 데이터와, 스팬 설정모드를 표시하는 제 2 모드 데이터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저장하는 제 1 메모리수단(3)과 ; 전자중량 측정장치용 영점을 결정하기 위한 영점데이터와, 스팬을 결정하기 위한 스팬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제 2 메모리수단(7)과 ; 데이터 설정키(6)를 가지는 키보드와 ; 상기 데이터 설정키(6)의 작동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메모리수단(3)을 체크하며, 영점 설정모드를 표시하는 제 1 모드 데이터가 제 1 메모리수단(3)에 저장된 것이 검출된때, 상기 데이터 발생수단(4,5)에 의해 발생된 중량데이터가 상기 제 2 메모리수단(7)에 상기 영점데이터로서 저장되며, 또한 제 2 모드 데이터가 제1메모리수단(3)에 저장될 수 있게하며, 스팬 설정모드를 표시하는 제 2 모드 데이터가 상기 제1메모리수단(3)에 저장된 것이 검출된때, 상기 데이터 발생수단(4, 5)에 의해 발생된 중량데이터와 영점데이터 사이의 차를 상기 제 2 메모리수단(7)에 상기 스팬데이터로서 저장되게 하며, 또한, 제 1 모드 데이터가 상기 제 1 메모리수단(3)에 저장될 수 있게 하는 데이터 처리수단(1, 2)을 구비하는 전자중량 측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수단(1, 2)은 또한, 상기 데이터 발생수단(4, 5)에 의해 반복적으로 발생된 중량데이터 요소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중량데이터 중에서 정해진 데이터 요소가 동일치인 것을 검출하며, 그 데이터를 상기 제 2 메모리수단(7)에 영점데이터로서 저장하거나, 그 데이터와 영점데이터 간의 차이를 상기 제 2 메모리수단(7)에 스팬데이터로서 저장될 수 있게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전자중량 측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수단(1, 2)은 또한, 상기 데이터 발생수단(4, 5)으로부터의 중량데이터가 정해진 범위를 벗어나는 것을 검출하며, 범위를 벗어난 데이터가 상기 제 2 메모리수단(7)에 영점데이터로서 저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전자중량 측정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수단(1, 2)은 또한, 상기 데이터 발생수단(4, 5)으로부터의 데이터가 정해진 범위를 벗어나는 것을 검출하며, 범위를 벗어난 데이터와 영점데이터 사이의 차가 상기 제 2 메모리수단(7)에 스팬데이터로서 저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전자중량 측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수단을 또한, 상기 데이터 발생수단으로부터의 데이터가 정해진 범위를 벗어나는 것을 검출하며, 범위를 벗어난 데이터가 상기 제 2 메모리수단에 영점데이터로서 저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전자중량 측정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또한 복수의 표시유닛을 가지는 표시수단(8)을 포함하며 ; 상기 데이터 처리수단은 상기 제 1 모드 데이터가 상기 제 1 메모리수단(3)에 저장된때 상기 표시수단(8)의 정해진 표시유닛을 점등하며, 상기 제 2 모드 데이터가 상기 제 1 메모리수단(3)에 저장된때 상기 정해진 표시유닛을 소등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전자중량 측정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메모리수단(7)은 또한 상기 스팬데이터에 대한 주어진 비 스팬값의 비율을 표시하는 스팬계수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영역을 포함하는 전자중량 측정장치.
KR1019860010729A 1985-12-24 1986-12-15 전자중량 측정장치 KR9100034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291729A JPS62150126A (ja) 1985-12-24 1985-12-24 電子料金秤
JP85-291729 1985-12-24
JP291729 1985-1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6395A KR870006395A (ko) 1987-07-11
KR910003447B1 true KR910003447B1 (ko) 1991-05-31

Family

ID=17772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10729A KR910003447B1 (ko) 1985-12-24 1986-12-15 전자중량 측정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774683A (ko)
JP (1) JPS62150126A (ko)
KR (1) KR9100034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32322A1 (ko) * 2018-08-08 2020-02-13 주식회사 올트 전자저울 및 이를 포함하는 재고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71101A5 (ko) * 1986-12-16 1989-07-31 Mettler Instrumente Ag
US7752129B2 (en) * 1998-10-21 2010-07-06 Island Intellectual Property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client accounts
JP4940026B2 (ja) * 2007-06-15 2012-05-30 株式会社タニタ 生体測定装置
JP5248073B2 (ja) * 2007-09-28 2013-07-31 株式会社タニタ 生体測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49839A5 (de) * 1981-02-06 1985-06-14 Mettler Instrumente Ag Verfahren zum waehlen eines von mehreren moeglichen betriebsparametern einer elektrischen waage.
US4535854A (en) * 1982-11-16 1985-08-20 Pennsylvania Scale Company Calib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electronic weight indicator
US4545022A (en) * 1983-02-10 1985-10-01 Hughins James T Fractional calculator
JPS59200923A (ja) * 1983-04-28 1984-11-14 Ishida Scales Mfg Co Ltd スパン調整方法
DE3530170C2 (de) * 1985-08-23 1994-03-10 Sartorius Gmbh Zählwaage
US4660663A (en) * 1986-05-27 1987-04-28 Ncr Corporation Method of calibrating a weighing apparatus within an enclosu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32322A1 (ko) * 2018-08-08 2020-02-13 주식회사 올트 전자저울 및 이를 포함하는 재고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6395A (ko) 1987-07-11
JPS62150126A (ja) 1987-07-04
US4774683A (en) 1988-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60160A (en) Electronic weighing device having label printer with data stability check
US4690230A (en) Multi-range load cell weighing instrument
US4656600A (en) Mixing of printing inks
US4864512A (en) Measurement apparatus with plural displays of measured parameter and selectable function thereof
JP2501596B2 (ja) 電子秤
KR910003447B1 (ko) 전자중량 측정장치
US4325441A (en) Error alarm system in a combined electronic weighing scale and electronic cash register
US4509608A (en) Method of selecting electronic scale operating mode, and electronic scale using said method
US5994908A (en) Multi-lingual portable grain moisture meter
JP2016148532A (ja) 計量装置
JPH08304151A (ja) 電子天びん
US556791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itiating a weighing operation
KR200177655Y1 (ko) 이중형 전자저울
JPS62188914A (ja) 電子秤の自動風袋引装置
JPS6110728A (ja) 電子天びん
JP2537218Y2 (ja) 体重計
JP2738105B2 (ja) 電子天びん
JPS5855821A (ja) 電子計数はかり
JPS6027821A (ja) 電子天びん
KR900005455B1 (ko) 영양가 측정기
WO1987003085A1 (en) Weighing dynamic loads
JPH0640020B2 (ja) 電子天びん
JPS61122525A (ja) 計数装置
JPH0121448B2 (ko)
KR920008209B1 (ko) 계량계측기기의 영점 자동 회귀방법(prs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