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2705Y1 - 샤아프펜슬 - Google Patents

샤아프펜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2705Y1
KR910002705Y1 KR2019880021005U KR880021005U KR910002705Y1 KR 910002705 Y1 KR910002705 Y1 KR 910002705Y1 KR 2019880021005 U KR2019880021005 U KR 2019880021005U KR 880021005 U KR880021005 U KR 880021005U KR 910002705 Y1 KR910002705 Y1 KR 9100027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slider
chuck
sleeve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210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22754U (ko
Inventor
히데헤이 가게야마
요우이치 나카자토
요시히테 미츠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가게야마 도시히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가게야마 도시히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Publication of KR8900227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227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27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7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16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stepwise feed of writing-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22Writing-cores gripping means, e.g. ch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03Propelling pencils with lead sections or lead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027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sliding tubelike writing-core gu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027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sliding tubelike writing-core guide
    • B43K21/033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sliding tubelike writing-core guide with automatic feed by pressure during use of pencil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샤아프펜슬
제1도(a)는 본 고안의 1실시예를 적용한 샤아프펜슬의 종단면도, (b)는 제1도(a)의 부분종단면도, (c)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종단면도, (d)는 리이드척이 개방되었을 때의 확대종단면도.
제2도는 선단캡의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배면도.
제5도는 선단캡의 미끄럼이동홈의 설명사시도.
제6도는 슬라이더의 평면도.
제7도는 제6도의 B-B선 단면도.
제8도는 제6도의 배면도.
제9도는 슬리이브의 평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C-C선 단면도.
제11도는 제9도의 배면도.
제12도는 (a)는 원통링의 정면도, (b)는 제2도(a)의 D-D선 단면도.
제13도는 (a)는 돌출레바의 평면도, (b)는 제13도(a)의 E-E선 단면도.
제14도는 리이드척부재의 종단면도.
제15도는 제14도의 평면도.
제16도는 제14도의 측면도.
제17도는 리이드척의 측면도.
제18도는 보올보유지지부의 설명사시도.
제19도는 제17도의 F-F선 단면도.
제20도는 제17도의 G-G선 단면도.
제21도는 리이드척부재의 실시예 저면도.
제22도는 내지 제27도는 본 고안 샤아프펜슬의 필심송출동작때 체결동작을 설명한 부분종단면도들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통 2 : 선단캡
3 : 슬라이더 4 : 슬리이브
5 : 필심송출기구 6 : 스톱퍼
9 : 원통링 10 : 돌출레버
11 : 제1스프링 12 : 제3스프링
51 : 리이드척 11 : 보올보유지지부
55 : 걸림계단부 55a : 스프링걸림돌출부
55b : 스톱퍼닿음계단부 15 : 제2스프링
131 : 필심안내파이프 141 : 파이프지지부
본 고안은 용지면등으로 부터 슬라이더를 떼어 필기상태를 해제시키면 자동적으로 필심송출이 이루어지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슬라이더가 내부위치에서 체결수납시켜지도록 된 샤아프펜슬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필기압이 가해졌을 때는 필심을 잡고 있다가, 필기압을 해제시키면 필기구앞끝쪽으로 슬라이더가 탄발되는 힘이 슬라이더에 끼워져 있는 마찰부 여부재에 의해 필심이 척으로 부터 필기구앞끝쪽으로 옮겨갈 때 척이 필심을 물어잡는 작용이 해제되져, 필심을 송출시켜 주게 되는 이른바 원웨이(One Way)식 척장치가 내장된 후단녹크가 가능한 자동식샤아프펜슬이 제안되어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샤아프펜슬은 모두 필심송출기구등 그 내부구조가 너무 복잡하고 조립작업의 효율도 나쁠 뿐만 아니라 부품수가 많고, 사용할 때 필심이 리이드척에 끼이게 되어 고장이 잦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기능을 할 수 있는 독자적인 샤아프펜슬구조로서 기히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87-10308호와 같은 샤아프펜슬을 제안한바 있다.
이 샤아프펜슬에서는 내부구조를 비교적 단순화시켜 필심송출동작이 3가지(자동필기, 선단녹크, 후단녹크)로 이루어지게 도리 뿐만 아니라 슬라이더를 체결 수납시킬 수도 있고, 또 선단녹크에 따른 필심송출 동작에서는 필심이 돌출되어져 있지 않은 경우에는 물론 필심이 송출시켜지게 되나, 필심이 일정량이상 과다히 돌출되어져 있는 경우에는 필심이 송출시켜지지 않고 단지 쿠션효과만이 얻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 녹크에 의해 필심송출동작이 이루어지도록된 일반적인 녹크식 샤아프펜슬에서는, 필심을 물어잡아 필심을 송출시키게 되는 리이드척과 선단캡사이에 필심을 에워싸고 있지 않게 되는 공간이 반드시 존재하게 되고, 이 공간의 존재에 따라 필심에 소정치이상의 외력이 작용하게 되는 경우 필심이 전혀 보호되지 않기 때문에, 필심이 부러진다던지 부러진 필심에 의해 필심관통구멍이 막히게 되는 일이 생긴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슬라이더와 돌출레버 및 필심안내파이프에 의해 선단캡의 앞끝 또는 슬라이더에서 리이척사이의 필심이 에워싸여 보호되어져, 필심이 부러진다거나 부러진 필심이 필심관통구멍에 끼이게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샤아플펜슬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샤아프펜슬은, 선단캡 또는 슬라이더와 돌출레버사이에 필심을 에워싸는 필심안내파이프를 배치해놓은 구조로 되어 있어서, 이 필심안파이프가 선단캡 또는 슬라이더와 돌출레버와 함께 리이드척에서 선단켑 또는 슬라이더앞끝 사이의 필심을 보호해서, 필심이 부러진다거나 부러진 필심이 필심관통구멍에 끼이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예사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적용된 샤아프펜슬의 단면도로서, 외통(1)의 앞끝에 착탈될 수 있도록 장착된 선단캡(2)과 이 선단캡(2)내에 축방향으로 미끄럽이동할 수 있도록 끼워넣어진 슬라이더(3), 상기 선단캡(2)내에 축방향으로 미끄럼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된 슬리이브(4), 이슬리이브(4)내에 장착된 필심 송출기구(5), 상기 슬리이브(4)의 뒷쪽내부를 축방향으로 미끄럽이동하게 되는 스톱퍼(6)및, 이 스톱퍼(6)내에 끼워맞춰 연결된 연결부재(7)가 갖추져 있다.
그리고 상기 선단캡(2)은 제1도 내지 제3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통(1)과 끼워맞춰지는 끼움맞춤부(21)와 이 끼움맞춤부(21) 뒷끝에 연결된 뒷쪽원통부(22)로 이루어지는데, 이 뒷쪽원통부(22)에는 제1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쌍의 대칭형상으로 된 미끄럼이도이홈(23)과 이 뒷쪽원통부(22)가 직경방향으로의 확실히 탄성변형이 되도록 해주는 슬릿(24)이 형성되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1쌍의 미끄럼이동홈(23)은 제1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랭크형상을 하고서 축방향을 따라 대칭형상으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슬리이브돌기(41)가 미끄럼이동하는 슬리이브돌기미끄럼이동홈(23a)과 스톱퍼돌기(61)가 미끄럼이동하는 스톱퍼돌기미끄럼이동홈(23b) 및 상기 슬리이브돌기미끄럼이동홈(23a)의 뒷끝에 형성된 슬리이브후퇴규제계단부(23c)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이 슬리이브후퇴규제계단부(23c)는 후술하는 선단녹크 작용이나 또는 과대필기압완충동작에 의해 후퇴되어져 온 슬리이브돌기(41)의 후퇴이동을 규제하는 기능을 하게된다.
여기서 이 슬리이브후퇴규제계단부(23c)와 슬리이브돌기(41)뒤끝 사이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제1도참조)에서는 간격거리 a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스톱퍼돌기미끄럼이동홈(23b)의 뒷끝에 형성된 스톱퍼돌기걸림벽부(23d)는 스톱퍼돌기(61)를 걸려지도록 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각 블록화된 선단캡(2)과 슬리이브(4) 및 연결부재(7)를 1개의 유니트블럭화시켜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선단캡(2)의 앞쪽내벽에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상의 슬라이더받침부(8)가 끼워장착되고, 이 슬라이더받침부(8)의 뒤끝안쪽에는 슬라이더(3)를 착탈될 수 있게 걸어맞춰주는 환상의 슬라이더스톱퍼(81)가 안쪽을 향해 돌출형성 되어져 있다.
상기 슬라이더(3)는 제1도와 제6도 내지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본체(31)와, 이 슬라이더본체(31)의 앞끝쪽에 삽입되어 끼워맞춰진 슬라이더팁(32)및, 상기 슬라이더본체(31)의 내부에 장착되어 필심(S)에 소정의 마찰력(예컨대13∼20g)을 부여하는 마찰부여부재(33) 갖추고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본체(31)의 뒤쪽에는 상기 슬라이더스톱퍼(81)에 걸렀다 벗겨졌다할 수 있도록 직경방향으로 탄성변형되어지는 여러개(본실시예에서는 4개)의 걸림편(34)이 분할형성되어져있고, 이 걸림편(34)각각에는 사기 슬라이더스톱퍼(81)에 걸렸다. 벗겨졌다하는 걸림돌기(35)와, 체결되어 수납되어졌을 때 원통링(9)의 앞끝걸림부(96)와 걸어맞춰지는 걸림오목부(36) 및, 경사면부(36a)가 형성되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3)내부에는 필심(S)의 부러짐을 방지해 주기 위한 필심안내파이프(131)가 고정되어 있는 바, 이 필심안내파이프(131)는 제1도(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걸림턱(141a)을 가진 금속제의 파이프지지부(141)가 압입되어 끼워져, 이 파이프지지부(141)가 슬라이더(3)의 끼움내벽부(37)에 견고하게 끼워맞춰 지지되어져 있다.
또 상기 필심안내파이프(131)는 마찰부여부재(33)의 내경중 큰지경부(33a)에 압착되어 끼워 맞춰있다.
따라서 필심안내파이프(131)가 슬라이더(3)에 견고히 고정된 상태로 된다.
또한 필심안내파이프(131)의 내경은 예컨대 0.5mm 필심용의 샤아프펜슬에서는 0.65mm 정도로 형성되고, 또 후술하는 돌출레버(10)의 내경이 0.9mm정도로 형성되어져 있기 때문에, 필심안내파이프(131)와 돌출레버(10)사이에 서로 자유로히 미끄럼이동할 수 있게 되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어져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샤아프펜슬에서는, 슬라이더(3)와 돌출레버(10)사이에 필심(S)을 에워싸는 필심안내파이프(131)가 배치되어져 있기 때문에, 슬라이더(3)와 필심안내파이프(131) 및 돌출레버(10)에 의해 리이드척(51)과 슬라이더(3)의 슬라이더팁(32) 앞끝까지 사이의 필심이 에워싸여질 수가 있게 되어, 필심(S)에 소정이상의 외력이 작용하게 되어도 필심의 부러짐이 방지될 수 있게 됨과 더불어, 부러진 필심에 의해 필심에 의해관통구멍이 막혀지는 것이 확실히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파이프지지부(141)가 금속제로 된 것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필심안내파이프(131)를 슬라이더(3)에 견고하고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만 있다면 어떤 재질이라도 상관이 없다.
제1도(C)는 필심안내파이프(131) 지지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해 놓은 것의로, 이 실시예는 앞에서 설명된 파이프지지부(141)가 생략되고 마찰부여부재(33)로 필심안내파이프(131)가 견고히 끼워 맞춰 지지시켜진 것이다. 여기서 필심안내파이프(131)의 앞끝과 마찰부여부재(33)의 마찰부여부(33b)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마련되어 마찰부여부(33b)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않고 필심(S)에 소정의 마찰력을 부여해 줄 수 있되록 형성되어져 있다.
또 제1도에서 상기 슬라이더(3) 및 후술하는 돌출레버(10)의 상반부부분(제1도(a)에서(i), 제1도(b)에서(i)로 도시됨)은 필기를 하지 않느 경우등 특별히 외력을 부여받지 않을 때(이하 통상시라함)의 종단면이고, 하반부부분(제1도(a)에서(ii)로, 제1도(b)에서(ii)로 도시됨)은 후술하는 체결시의 종단면도이다.
그리고 상기 선단캡(2)내에는 축방향으로 미끄럼이동하도록 슬리이브(4)가 배치되어 있는데, 이 슬리이브(4)는 제1도와 제9도 및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을 이루면서 그 앞쪽외주에는 상기 선단캡(2)의 슬리이브돌기미끄럼이동홈(23a)내를 미끄럼이동하는 1쌍의 슬리이브돌기(41)가 돌출형서되는 한편, 뒤쪽에는 상기 스톱퍼돌기(61)를 소정의 마찰력을 부여해주면서 미끄럼이동을 허용해주는 같은 형상으로 된 1쌍의 마찰미끄럼이동홈(42)이 마주보도록 형성되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마찰미끄럼이동홈(42)은 제9도와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톱퍼돌기(61)를 안내하는 안내홈(42a)과 이 안내홈(42a)에 연통된 미끄럼이동홈(42b)을 갖고 있는데, 이 미끄럼이동홈(42b)의 중간부 위에는 마찰계단부(43)가 형성되어져 있다.
그리고 이 마찰계단부(43)가 형성되어져 있다.
그리고 이 마찰계단부(43)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톱퍼돌기(61)에 마찰력을 부여해서, 슬리이브(4)전체를 스톱퍼(6)와 함께 일정량만큼 전지시켜 필심(S)을 송출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리이브(4)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앞끝부위에는 원통링(9)을 매개로 돌출 레버(10)가, 내부에는 필심송출기구(5)가 또 뒷끝부위에는 연결부재(7)를 걸어맞춰 축방향으로 미끄럼이동하도록 하는 스톱퍼(6)가 각각 배치되어져 있다.
상기 원통링(9)은 슬리이브(4)의 앞끝에 끼워맞추어져서, ①상기 돌출레버(10)를 이동할 수 있게 그 내부에 보유지지해 주는 기능과, ②슬라이더(3)가 체결수납될 때 임 슬라이더(3)의 뒷끝부위근방을 수납함과 더불어 걸림오목부(36)를 매개로 걸어 맞춰지도록 하는 기능 및, ③뒷쪽계단부(91)에서 후술하는 보올(53)의 탈락을 방지해 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원통링(9)의 앞끝쪽은 제1도 및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레버(10)의 내부수납 및 슬라이더(3)의 뒷끝부위근방의 수납을 확실하게 해주기 위해, 적어도 1개이상의 축방향으로 뻗친 슬릿(92,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이 형성되어져 있다.
그리고 참조부호 93은 돌출레버(10)를 일정범위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수납해 주는 안쪽벽부이고, 참조부호94는 안쪽벽계단부로서 돌출레버(10)의 후퇴이동을 규제해 주기 위한 것이며, 또 참조부호 95는 앞끝벽부로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①선단녹크를 해 주었을 때 슬라이더(3)의 뒷끝에 닿아 눌러짐으로서 체결상태를 해제시켜 주는 기능과, ②슬라이더(3)의 체결수납을 해제시켜 주는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 참조부호 96은 앞에서 설명한 앞끝걸림부 이다.
한편, 상기 원통링(9)의 앞끝(즉 앞끝벽부, 95)과 슬라이더받침부(8)의 뒷끝사이에는 간격거리(b)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 간격거리(b)는 후단녹크 및 선단녹크를 했을 때의 필심송출량 및 자동필기 연속가능거리가 된다.
그리고 상기 원통링(9)에 보유지지된 돌출레버(10)는 제1도와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앙내부에 축방향으로 뻗은 원통링(101)와, 이 원통링(101)내에 형성된 필심관통구멍(102), 후술하는 제1 스프링(11)의 뒷끝을 걸려지게 하는 걸림부(103), 상기 원통링(9)의 내벽부(93)에 이동할 수 있도록 수납시켜진 외주벽부(104) 및, 이 외주벽부(104)의 뒷쪽에 위치해서 상기 원통링(9)의 내벽계단부(94)와 닿아 후퇴이동을 규제해 주는 뒷쪽계단부(105)를 갖추고 있다. 참조부호 106은 앞끝벽부이다.
또, 앞에서 설명된 통상시에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슬라이더(3)의 뒷끝 및 슬라이더받침부(8)의 뒤끝과 원통링(9)의 앞끝벽부(95)사이에 간격거리(b)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 간격거리(b)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①후단녹크 및 선단녹크시의 필심임 송출되는 양이되고, 또 ② 이른바 자동필기가 가능한 범위로 된다. (나)상기 슬라이더(3)의 걸림돌기(35)와 슬라이더스톱퍼(81)가 걸어맞추어지기 위한 후퇴거리로서 간격거리(c)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돌출레버(10)와 슬라이더(3)사이에는 제 1스프링(11, 예컨데 일정거리로 압축시켰을 때 탄발력이 10g∼12g)이 설치되어 있는 바, 이 제 1스프링(11)은 슬라이더(3)의 내부이고 돌출레버(10)의 원통부(101)에는 바깥에 가깝게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3)를 앞쪽방향으로 밀어부쳐줌과 더불어 돌출레버(10)와 그 뒷쪽에 있는 슬리이브(4)등을 뒷쪽으로 밀어주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돌출레버(10)의 원통부(101)는 축방향으로 길게 뻗어 필심(S)을 가능한한 덮어줌으로서 필심이 부러지는 것을 방지해 줌과 더불어 리이트척(51)내에 필심찌꺼기라던가 부러진 필심등이 침입하지 않되록 해주고, 또 제 1스프링(11)의 뒷끝이 걸려지게 해 주기도 한다.
여기서상기 필심(S)을 둘러싸는 돌출레버(1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3)와 돌출레버(10)사이에 필심(S)을 보호하는 필심안내파이프(131)가 부가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필심이 부러져 끼이게 된다거나 리이드척내로 필심가루가 부러진 필심조각이 침입하는 것이 확실히 방지되게 된다.
상기 필심송풀기구(5)는, 2쪽으로 분할형성된 리이드척(51)과, 이 리이드척(51)의 머리부위에 형성된 보올 보유지지부(52)에 보유지지된 보올(53), 상기 슬리이브(4)의 앞끝내부에 필요한 경우 끼워져 상기 보올보유지지부(52)와의 사이에서 상기 보올(53)을 끼워 보유지지해주게 되는 내면테이퍼벽부(54a)가 형성된 금속원통(54) 및, 상기 슬리이브(4)의 내벽계단부(44)와 상기 리이드척(51)의 걸림계단부(55)사이에 탄착된 척조임용 제 2스프링(56)등을 갖추고 있다.
여기서 상기 리이드척(51)은 단조라던가 프레스, 소결합금 및 다이캐스팅성형등으로 형성시켜진 금속성형품, 또는 사출성형이나 압축성형으로 형성시켜진 합송수지등으로 형성되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리이드척(51)은 본 실시예에서는 제1도 및 제14도 내지 제1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심삽통구멍(57)의 축선을 따라 2쪽으로 분할형성되어, 그 각각이 단면이 반구상으로 형성된 1쌍의 척부재(51a, 51b)로 이루어지면서, 척부재(51a, 51b)의 외주부에 각각 패어 형성된 보올보유지지부(52) 및 돌출형성된 걸림계단부(55)와 이 걸림계단부(55)의 앞쪽일부에 앞쪽을 향해 돌출형성된 스프링걸림용 스프링걸림돌출부(55a), 상기 걸림계단부(55)의 뒷쪽일부에 뒷쪽을 향해 돌출형성된 스톱퍼닿옴돌추부(55b), 상기 걸림계단부(55) 뒷끝에서 뒤쪽으로 연장되어 그 뒷끝쪽이 점차로 직경이 가늘어 지도록 된 뒷쪽테이퍼원통부(58), 축중심부의 필심삽통구멍(57), 걸림오목부(59) 및 걸림볼록부(510)를 갖고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오목부(59)와 걸림볼록부(510)는, 한쪽 척부재(51a)의 걸림볼록부(510)가 다른쪽척부재(51b)의 걸림오목부(59)에 또 다른쪽 척부재(51b)의 걸림볼록부(510)가 한쪽 처부재(51a)의 걸림오목부(59)에 각각 걸어맞춰져, 이들 척부재(51a, 51b)가 상호 축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걸림볼록부(510)의 길이는 걸림오목부(59)의 깊이보다 약간 길게 형서되고, 제1도(a)와 제1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이드척부재(51a, 51b) 상호간에는 간격(K)이 확보되어 있는 바, 이 간격(K)이 리이드척부재(51a, 51b)를 개폐방향으로 지렛대운동시켜주는 지지점으로서 가능하게 되고, 또 지렛대운동이 원할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페이서기능도 하게 된다.
이어 상기 보올보유지지부(52)는 제1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둘레부에 제방모양으로 된 융기부(52a)가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되어져 있는 보올(53)이 쉽게 바깥쪽옆으로 빠져 나가지 않도록 형성되어져 있다.
또 상기 스프링걸림돌출부(55a)는 상기 제 2스프링(56)의 뒷끝을 걸려지게 하는 것으로, 각 척부(51a, 51b)의 등부분위치에 있는 걸림계단부(55)에 돌출향성되어져 있다.
한편, 상기 스톱퍼닿음계단부(55b)는 전진되어져 욘 스톱퍼(6) 앞끝에 닿아 리이드척이 개방되도록 힘을 부여해주는 기능을 갖는 바, 이 실시예에서는 각 척부재(51a, 51b)의 양쪽에 위치하는 걸림계단부(55)에 1쌍이 마주보고 돌출형성되어져 있다.
그리고 이 스톱퍼닿음계단부(55b)와 스프링걸림돌림부(55a)는, 본 실시예에서는 필심삽통구멍(57)의 중심축으로 부터 약 90°각도 정도 떨어진 위치에 각각 돌출형성되어져 있는 바, 이러한 위치관계가 있기 때문에 후단녹크시에 전진되어져 온 스톱퍼(6)로 부터 앞쪽방향으로의 압력을 받는 스톱퍼닿음계단부(55b)와 그에 의해 압축되어진 제 2스프링(56)으로 부터의 반대방향외력인 뒷쪽으로 미는 힘을 받게되는 스프링걸림돌출부(55b)에 의해, 상기 리이드척(51)이 걸림오목부(59)및 걸림볼록부(510)를 지지점으로 해서 제1도(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지렛대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리이드척부재(51a, 51b)의 뒷끝에 형성된 테이퍼수단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리이드척(51)의 개방동작이 이루어지게 되고, 또 이 리이드척(51a,51b)의 머리부가 어긋날 염려가 없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스톱퍼닿음계단부(55b)와 스프링걸림돌출부(55a)가 떨어지게 되는 거리와 위치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술한 리이드척(51)의 개방지렛대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는 힘을 발생시키기만 한다면 어떠한 이격위치에 있어도 좋다.
그리고 상기 리이드척(51)의 머리부위내벽에서의 필심삽통구멍(57)의 앞끝쪽에는 작은직경계단형상의 필심보유지지구멍부(512)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필심보유지지구멍부(512)가 각 척부재(51a,51b)에서의 반쪽필심삽통구멍(57)의 내주면 중심선방향을 따라 형성된 반쪽구멍으로 이루어져, 그들의 단면형상이 예컨대 제19도와 제2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되어져 있다. 즉 상기 필심보유지지구멍부(512)는 필심(S)의 척쪽이 점차 폭이 넓어져 벌려지는 단면이 대략 U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필심보유지지구멍부(512)의 양쪽내면이 필심보유지지부(513)로 되어 있는바, 이 필심보유지지부(513)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1도에 도시된 4점지지형 이빨부(511a)로서 4점으로 되어 있다.
한편 제20도에 도시된 6점지지형 이빨부(511b)에서는 처음에는 동일한 위치의 4점으로 되어 있지만 필심(S)이 가늘어짐에 따라 필심보유지지구멍부(512)의 바닥부(512a)도 필심지지부로 되어 6점이 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19도와 제2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심보유지지부(513)에는 그 폭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여러개의 이빨부(511)가 일체로 형성되어져 있다.
제21도는 척부재(51a, 51b)의 이빨부(511)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해 놓은 것으로, 이실시예는 상기 이빨부(511)가 제20도에 도시된 4점지지형 이빨부(511a)로만 형성시켜 놓은 것이다.
여기서 상기 4점지지형이빨부(511a)는 제20도와 제2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심보유지지구멍부(512)의 바닥부(512a)를 제외한 척부재(51a, 51b)의 평면부 (51a1, 51b1)로 부터 필심보유지지구멍부(512)의 측벽(512b)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512a)에서 이빨이 형성되어져 있지 않은 부분이 필심찌꺼기 배출부(512c)가 형성되어져 있다.
따라서 필심(S)이 제1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4점지지형으로 형성된 필심보유지지부(513)위치의 이빨부(511a)에서 4점지지되어지가 때문에 필심이 미끄러지게 될 염려가 없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의 필심보유지지구멍부(512)는 필심(S)을 상술한 바와 같이 4점지지해 줄 수만있다면 기타 다른 단면형상이어도 좋다.
한편, 상기 리이드척(51)의 머리부에 보유지지된 보올(53)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이브(4)의 앞끝부위에 설치된 금속원통(54a)의 내면테이퍼벽(54a)과의 사이에 끼워져 보유지지되게 됨으로서, 이 금속원통(54)에 의해 확실하고 내구성있는 안정된 구름접촉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리이드척(51)의 필심보유지지가 확실하게 이루어져 내구성이 더욱 커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금속원통(54)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고, 통상적인 사용에 있어서는 내면테이퍼벽(54a)을 슬리이브(4)의 앞끝내면에 보올(53)이 구름접촉하는 형태로 형성시켜, 상기금속원통(54)을 생략해도 좋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리이드척(51)을 2쪽으로 분할형성시켜 놓은 것을 사용하는 것을 도시해 놓았으나, 3쪽 이상으로 분할형성시킨다던지 또는 반대로 단일체로 형성시켜도 좋다.
또 상기 리이드척(51)이 축방향으로 어긋나는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호 접촉되는 부위에다 오목볼록걸림부나 어긋남방지용 거친면등을 형성시켜도 좋다. 또 상기 리이드척(51)의 상하 및 좌우로 흔들린다거나 어긋나는 것이 확실히 방지되게 된다.
또 상기 리이드척(51)의 보올보유지지부(52)는 단순히 보올(53)을 보유지지해 주기만 하는 구멍으로 하여도 좋으나, 상기 보올(53)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수납해서 보유지지해 주는 형태로 되어도 좋다. 여기서 이 보올(53)은 보올보유지지부(52)내에서 자유로히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제 2스프링(56)은 제 1스프링(11)보다도 약한 탄발력을 갖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슬리이브(4)의 뒷끝쪽에 설치된 스톱퍼(6)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대칭되는 1쌍의 스톱퍼돌기(61)가 돌출성형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부재(7)의 앞끝에 관통되게 걸려장착 되어져 있는바. 이 스톱퍼돌기(61),① 제 3스프링(12)이 후퇴방향으로 밀어부쳐지는 힘에 의해 선단캡(2)의 스톱퍼돌기걸립벽부(23d)에 닿아 걸려져,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각 블록화된 선단캡(2)과 슬리이브(4) 및 연결부재(7)를 1개의 단일체로 블럭화시켜 주는 기능과, ② 후단녹크를 했을 때 슬리이브(4)의 미끄럼이동홈(42a) 및 마찰계단부(43)에 미끄럼이동해서 걸어맞춰져 슬리이브(4)를 소정량만 전진시켜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
또 이 스톱퍼(6)의 앞끝쪽에는 제1도(a),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끝을 향해 축방향으로 앞끝원통부(62)가 연장형성되어, 이 앞끝원통부(62)의 앞끝부위가 후단녹크시에 상기 스톱퍼닿음돌추부(55b)에 눌려져 닿아 제2스프링(56)에 의해 뒤쪽으로 밀어부쳐진 스프링걸림계단부(55a)와 함께 작용해서 리이드 척(51)을 개방시키게 된다. 또 상기 앞끝원통부(62)는 후단녹크시에 제 1도(D)에 되시된 바와 같이리이드척(51)의 뒷끝을 둘러싸듯이 해서 스톱퍼닿음돌출부(55b)를 눌러주기 때문에, 리이드척(51)의 뒷끝부위의 이동을 정위치로 규제해 주게됨으로서 이 리이드척(51)의 앞끝이 어긋나지 않게 된다.
또한, 앞에서 설명된 통상시에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톱퍼(6)의 앞끝과 리이드척(51)의 스톱퍼닿음 돌출부(55b)사이 간격거리(b)가 마련되어져 있다. 이 스톱퍼(6)에 끼워넣어져 갈려진 연결부재(7)는, 리이드가이드로서의 역할 및 필심저장파이프(13)가 쉽게 착탈시켜지도록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하도록, 필심(S)을 1개만 통과시킬 수 있는 내경으로 형성된 필심 송출구멍(71)과, 이 필심송출구멍(71) 뒷끝에 연속형성되어 이 실시예에서는 필심저장파이프(13)의 앞끝에 끼워맞춰진 척개폐기구(14)가 착탈될 수 있도록 끼워넣어지게 되는 척수납구멍(72), 이 척수납구멍(72)뒷끝에 접속되어 상기 필심저장파이프(13)의 앞끝쪽이 뽑아내질 수 있게 끼워맞춰지는 큰 직경계단형상의 끼움구멍(74) 및, 이 끼움구멍(74)내벽에 돌출형성되어 필심저장파이프(13)의 연결을 확실하게 해주는 걸림돌기(75)를 갖추고 있다.
여기서 상기 필심저장파이프(13)의 앞끝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척개폐기구(14)가 장착되어 있는데, 이 척개폐기구(14)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이 기히 출원한 바 있는 일본국 특허출원 소61-204692호등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7)와 선단캡(2)사이에는 받침부(15)를 매개로 제 3스프링(12)이 탄착되어 있는데, 이 제 3스프링(12)은, ① 선단녹크를 했을때 슬리이브(12)와 필심송출기구(5) 및 돌출레버(10)를 전진방향으로 되돌리는 기능과, ② 후단녹크를 했을때 연결부재(7)와 필심저장파이프(13)를 후퇴방향으로 되돌리는 기능 및, ③ 필기를 할 때 과대한 필기압력을 완충시켜주는 기능을 하게 되는, 비교적 강한 탄발력(예컨대 370g∼400g)을 갖는다.
여기서 이 제 3스프링(12)의 앞끝쪽을 받치고 있는 상기 받침부(15)는, 그 앞끝쪽에서 선단캡(2)의 뒷끝 및 슬리이브(4)의 뒷끝에 닿게 되고, 이렇게 닿게됨으로서 1개의 제3 스프링(12)으로 상기 3가지 기능을 하는 것이 가능해 지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받침부(15)가 슬리이브(4) 뒷끝에 닿을 때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15)가 내벽구멍(15a)에서 슬리이브(4)의 뒷끝을 끼워조여주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슬리이브(4)의 뒷끝을 직경방향으로 좁혀주게 됨으로서 슬릿(24)을 갖춘 슬리이브(4)의 뒷끝을 극히 견고하게 만들어 주게 된다.
여기서 제1스프링(11)이 밀어부쳐주는 힘 A와, 마찰부여부재(33)가 필심(S)에 마찰작용하는 마찰력 B 및, 리이드척(51)이 필심(S)을 물어잡는 힘 C사이의 역학관계를 종합해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가)먼저 제1스프링(11)의 탄성계수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하도록 설정되어져 있다.
선단켑(2)내로 슬라이더(3)가 후퇴거리는 ① 소정거리 f(예컨대 0.5㎜) 이하인 경우에는 AC(관계식①)②소정거리 f(예컨대 0.5㎜) 이하인 경우에는 AC(관계식②) (나) BA(관계식③)으로 되어 있다.
이는 후술하는 선단노크를 해줄 때로서 이 관계를 만족시키지 않게 되면 마찰부여부재(33)와 필심(S)의 사이에서 필심이 미끄러지게 되는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거리 a, b, c 사이에는 dac의 관계가 있다.
다음에는 본 발명에 따른 샤아프펜슬의 조립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슬리이브(4)에다 필심송출기구(5)를 조립해 넣어 준다. 즉 척부재(51a, 51b)를 상호 조합해서 그 외주에다 제2스프링(56)을 느슨히 끼운다.
한편 슬리이브(4)의 앞끝내벽부에다 미리 금속원통(54)을 압입시켜 놓은 다음, 상기 제2스프링(56)이 느슨하게 끼워진 척부재(51a, 51b)를 슬리이브(4)의 뒷쪽으로 부터 끼워넣는다. 이어 상기 척부재(51a, 51b)를 뒷쪽으로 부터 압압해서 제2스프링(56)을 압축시켜 보올(53)을 척부재(51a, 51b)의 보올보유지지부(52)내에다 끼운후, 압입을 해제시키게 되면 보올(53)이 보올보유지지부(52)에 세트시켜지게 된다.
그런 다음, 원통링(9)을 슬리이브의 앞끝에 눌러 끼워넣게 되는데, 이때 상기 원통링(9)내에는 미리 제1스프링(11)을 걸어맞춰 놓은 돌출레버(10)를 수납시켜 둔다.
이와 같은 일련의 조립작업에 의해 슬리이브(4)와 필심송출기구(5), 원통링(9), 돌출레버(10) 및 제1스프링(11)이 블럭화된다.
한편, 상기 선단캡(2)내에 슬라이더받침부(8)와 슬라이더(3)를 미리 조립해서 세트화시켜 선단캡(2)을 블럭화시켜 놓는다.
또 상기 연결부재(7)에 제3스프링 및 스프링받침부(15)를 세트시키고, 마지막으로 스톱퍼(6)를 걸어맞춰 블럭화시켜 놓는다. 여기서 상기 스톱퍼(6)는 제3스프링(12)이 밀어부쳐주는 힘에 의해, 관통되게 걸어장착시켜진 연결부재(7)및 받침부(15)를 매개로 밀어부치는 힘이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는 외통(1)을 제외한 부분 즉 각각 블럭화된 선단캡(2)과 슬리이브(4)및 연결부재(7)를 단일체화시켜주는 작업에 대해 설명한다.
이 블럭화작업은 먼저 블럭화된 선단캡(2)의 뒷끝으로 부터 블럭화된 슬리이브(4)를 끼워넣게 되면, 슬리이브(4)의 슬리이브돌기(41)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캡(2)의 슬리이브돌기미끄럼이동홈(23a)에 걸어 맞춰지면서, 선단캡(2)의 1쌍의 미끄럼이동홈(23)과 슬리이브(4)의 1쌍의 마찰미끄럼이동홈(42)이 정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어 블럭화된 연결부재(7)를 선단캡(2) 및 슬리이브(4)의 뒷끝으로 부터 끼워넣는데, 이는 연결부재(7)앞끝스톱퍼(6)의 스톱퍼돌기(61)를 선단캡(2)의 미끄럼이동홈(23)내 및 슬리이브(4)의 마찰미끄럼이동홈(42)내에 걸어맞춰지도록 끼워준다.
여기서 상기 스톱퍼(6)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3스프링(12)에 의해 밀어부쳐져 있기 때문에,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톱퍼돌기(61)의 뒷쪽벽부(61a)가 선단캡(2)의 미끄럼이동홈(23)의 스톱퍼돌기걸림벽부(23d)에 눌러져 걸려지게 되고, 그에 따라 각각 블럭화된 선단캡(2)과 슬리이브(4) 및 연결부재(7)가 단일체화되어져 1개의 유니트블럭으로 취급되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 유니트블럭을 외통(1)의 앞끝으로 부터 끼워넣어 맞추고, 또 외통(1)의 뒷끝으로 부터 필심저장파이프(13)를 연결부재(7)에다 끼워 장착시키게 되면 샤아프펜슬의 조립이 완료되게 된다.
다음에는 본 고안 샤아프펜슬의 필심송출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 필심송출동작은 ①후단녹크(제1수단)와 ②자동필기(제2수단) 및 ③선단녹크(제3수단)의 3가지수단을 통해 이루어지게 되나,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2수단으로서의 자동필기의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1) 제2수단으로서의 자동필기는 필기를 중단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필심송출동작인바, 즉 필기가 통상 제2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심(S)이 슬라이드팁(32)으로 부터 소정량(x)이 돌출시켜진 상태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필기를 함에 따라 점차 마모되어 가서 제2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팁(32)의 앞끝과 면일치상태가 되는데, 계속 최대한 원통링(9)의 앞끝벽부(95)와 닿게 되는 거리 즉 제1도 및 제23도에 도시된 후퇴간격거리(b)까지 후퇴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필기에 따라 필심(S)의 마모량이 후퇴간격거리(b)까지 되기에는 매우 긴시간의 필기가 필요하게되는 바, 즉 보통성인의 필기압력으로 농도가 HB이고 필심직경이 0.5㎜인 샤아프펜슬로, 고급용지에다 한자 1자를 필기하는 경우의 필심마모량 0.01㎜정도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슬라이더(3)가 후퇴간격거리(b)로 후퇴할 때까지 연속적으로 필기를 하게 되는 경우는 통상적으로 있을 수 없고, 반드시 도중에 필기를 중단하게 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래서 예컨대 제2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3)의 후퇴거리가 f1 (f1f)의 상태에서 필기를 중단하고 슬라이더팁(32)의 앞끝을 용지면으로 부터 떼어내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관계식 ①로 부터 AE로 되면서 상기 관계식 ③으로 부터 BA가 성립하고 있기 때문에, 슬라이더(3)는 아무런 작용을 행하지 않고 그 위치에서 정지하게 된다. 그다음 슬라이드팁(32A)을 용지면에 닿게해서 필기동작을 재개하게 되면, 마찬가지로 필심(S)이 마모됨과 더불어 슬라이더(3)가 후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더(3)의 후퇴거리가 f2 (f1+f2f)로 되어 있으면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관계식 ①, ②가 성립하게 되므로 슬라이더(3)는 또 그 위치에서 정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슬라이더(3)의 후퇴거리의 총합계가 상기 f보다 커지게 된 (f1+f2f)인 경우에는 관계식 ②가 성립되어, 제1스프링(11)의 밀어부치는 힘(a)이 리이드척(51)이 필심을 물어잡는 힘보다 커지게 되어, 리이드척(51)으로 부터 필심(S)을 앞쪽으로 잡아당길 수 있는 크기가 된다. 따라서, 제1스프링(11)이 슬라이더(3)를 전진시켜줌과 더불어 마찰부여부재로 부터의 소정의 마찰력을 매개로 슬라이더(3)와 함께 필심(S)을 전진시켜 필심을 송출시키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에 의해 제23도에 도시된 상태로 다시 되돌려져 자동적으로 필심송출동작이 이루어져 필기를 할 수 있게 됨으로서, 최대한 슬라이더(3)의 후퇴간격거리(b)까지의 연속필기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필심의 송출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미세동작까지 상세히 설명하면, 제1스프링(11)에 의해 필심(S)이 전진방향으로 잡아당겨지게 되면, 먼저 필심(S)을 물어잡고 있는 리이드척(51)의 머리부는 보올(53)이 금속원통(54)의 내면테이퍼벽(54a)을 구름접촉하면서 전진하게 된다. 이러한 전진에 수반해서 리이드척(51)의 머리부가 바같쪽으로 넓혀져 가면서 필심을 물어잡는 힘이 서서히 약해지게 되면서 필심송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필심송출이 끝난 다음에는 상기 리이드척(51)의 머리부가 제2스프링(56)이 밀어부쳐주는 힘에 의해 필심(S)을 가볍게 물어잡는 상태로 까지 미소한 거리를 후퇴하게 된다. 이 후퇴거리는 미소해서 제23도에 도시된 리이드척(51)의 머리부위치보다 약간 앞쪽에 있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에 따라 자동적으로 필심송출동작이 이루어져 필기가 가능해지게 됨으로서, 최대한 제2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3)의 후퇴거리(B)까지의 연속필기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제1스프링(11)의 밀어부치는 힘(A)과 리이드척(51)이 필심을 물어잡는 힘(C)사이에는 항상 A=C(관계식 1)의 관계가 성립되어 있으면 자동필기가 중단되어져 제1스프링(11)이 슬라이더(3) 및 필심(S)을 항상 전진시켜 주게 됨으로서 항상 필심송출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생기게 되었다.
즉 필심송출동작이 끝마쳐진 다음에는 앞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리이드척(51)의 머리부가 제23도에서의 머리부 위치보다 약간 앞쪽에 있게 된다. 따라서 필기를 재개해서 필심(S)에 후퇴방향으로 필기압이 작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필심(S)을 당겨나오게 하는 것과는 전혀 반대의 작용을 하게 된다. 즉 필심(S)에 필기압이 작용하게 되면 필심(S)을 물어잡고 있던 리이드척(51)이 내면테이퍼벽(54a)을 굴러 후퇴해서 안쪽방향으로 좁혀짐에 따라 필심을 물어잡는 힘이 서서히 증가되어, 다시 제23도의 위치로 되돌아가 완전한 필심물어잡음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자동필기가 재개될 때에는 리이드척(51)이 후퇴하기 때문에 필기자의 일부는 이러한 후퇴동작에 따라 위화감 내지 불쾌감을 느낄 수도 있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이러한 리이드척(51)의 후퇴동작은 자동필기를 시작할 때 항상 일어나는 현상이기도 하다. 그리고 제1수단으로서의 후단녹크와, 제3수단으로서의 선단녹크에도 마찬가지 현상에 따른 문제가 생기게 된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샤아프펜슬에 의하면, 필기를 시작할 때 리이드척(51)의 후퇴동작이 최소한으로 일어나게 해서, 필기를 시작할때의 위화감 내지 불쾌감이 가능한 한 적어지게 할 수가 있게 된다.
(2) 다음에는 제1수단으로서의 후단녹크는, 필심저장파이프(13)의 뒷끝부위를 녹크동작해줌으로서 이루어지는 통상적인 필심송출동작수단아다.
즉 제1도와 같은 상태에서 필심저장파이프(13)의 뒷끝부위를 녹크해 주게 되면, 연결부재(7)가 제3스프링(12)을 압축하면서 전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7)앞끝의 스톱퍼(6)는 슬리이브(4)의 미끄럼이동홈(42b)의 마찰계단부(43)의 마찰력으로 걸려져 있기 때문에, 연결부재(7)와 함께 블럭화된 슬리이브(4) 전체 즉 슬리이브(4)와 필심송출기구(5), 원통링(9) 및 돌출레버(10)가 전진해서, 원통링(9)의 앞끝이 슬라이더 받침부(8)의 뒷끝에 닿을 때 까지 전진하게 된다. 즉 이들이 일체로 되어 원통링(9)의 앞끝과 슬라이더받침부(8) 사이의 거리(b)만큼 전진하게 되는 바, 이 거리(b)가 필심송출량으로 된다.
그리고 필심저장파이프(13)와 연결부재(7) 및 스톱퍼(6)는 다시 앞쪽으로 눌러져 스톱퍼돌기(61)가 슬리이브(4)의 마찰계단부(43)를 타고넘어 스톱퍼(6)와 연결부재(7) 및 필심저장파이프(13)만 전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톱퍼(6)의 앞끝이 리이드척(51)의 스톱퍼닿음돌출부(55b)에 닿아 걸려져 스프링걸림돌출부(55a)에 걸려진 제2스프링(56)의 밀어부치는 힘에 대항해서 리이드척(51)을 앞쪽으로 밀어주게 된다.
이러한 전진과정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간격 위치에 형성된 스톱퍼닿음돌출부(55b)와 스프링걸림돌출부(55a)에는 반대방향의 압압력이 각각 작용하기 때문에, 리이드척(51)은 걸림오목부(59) 및 걸림볼록부(510)를 지지점으로 해서 제1도(D)에 되시된 바와 같이 개방지렛대동작을 하게 됨으로서 필심(S)의 보유 지지상태를 개방시켜주게 되고, 상기와 같은 동작이 되풀이됨에 따라 통상적인 필심송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리이드척(51)의 개방을 방향이 반대로 된 2개의 상호작용력을 이용해서 이루어지도록 하고, 또 리이드척(51)의 외주부위에 돌출형성된 걸림계단부(55)에 상기 상호작용력을 작용시켜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리이드척(51)의 뒷끝을 조이는 형태로 리이드척(51)을 개방시키는 경우에 일어나게 되는 리이드척(51) 앞끝부위가 어긋나게 될 염려가 없어지게 된다.
그런데 상기 필심이 송출되는 과정을 미세한 동작까지 살펴보게 되면, 상기 제2수단으로서의 자동필기동작과 완전히 마찬가지로, 즉 리이드척(51)의 머리부가 내면테이퍼벽(54a)을 굴러 전진하게 되고, 필심송출이 끝난 후에는 이 리이드척(51)의 머리부가 제22도에 도시된 머리부 위치보다 약간 앞쪽에 있게 된다.
따라서 필기를 재개할 때(첫번째)에는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필심(S)으로 가해지는 필기압의 작용으로 필심(S)을 물어잡고 있던 리이드척(51)이 필심을 물어잡은 상태로 내면테이퍼벽(54a)을 거리(fx)만큼 굴러 후퇴해서 완벽하게 필심을 물어잡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일부 필기자는 상술한 위화감 내지 불쾌감을 느끼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이실시예에서도 방지될 수 없음).
여기서 상기 리이드척(51)의 후퇴간격거리는 필심(S)의 후퇴량과 동일한 거리(fx)가 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관계식③이 성립되고 있기 때문에 필심(S)과 마찰력(B)으로 닿아져 있는 마찰부여부재(33)를 매개로 슬라이더(3)가 동일간 거리(fx)를 후퇴하게 된다.
따라서 필기를 중단하고 필심(S)을 용지면으로 부터 떼어내게 되면, 상기 슬라이더(3)가 제1스프링(11)의 밀어부치는 힘에 의해 거리(fx)를 전진하게 되는 바, 이러한 전진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리이드척(51)을 다시 전진시키게 되고, 이어 이 리이드척(51)을 다시 전진시키게 되고, 이어 이 리이드척(51)은 그후에도 미세한 간격거리로 후퇴하지만 제22도의 머리부 위치보다 약간 앞쪽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하여 다음번의 필기재개에 따라 다시 리이드척(51)이 후퇴하게 됨으로서 부필기자는 상술한 위화감 내지 불쾌감을 느끼게 된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샤아프펜슬에 의하면, 슬라이더(3)의 후퇴거리가 일정량이상 되지 않느다면 상기 슬라이더(3)의 전진이 일어나지 않게 되므로, 제 두 번째 이후의 필기재기시에는 위화감 내지 불쾌감이 해소시켜질 수 있게 된다.
(3) 제3의 필심송출수단은, 슬라이더(3)의 앞끝을 지면에다 눌러주는 선단녹크에 의한 필심송출인바, 이선단 녹크에는 다음과 같은 2가지 경우가 있어 그 작용이 각기 다르기 때문에 각 경우를 나누어 설명하기로 한다.
(가) 그 첫 번째의 선단녹크는 제2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팁(32) 앞 끝에 필심(S)이 돌출되어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경우로서, 선단녹크를 해 주게 되면 항상 스라이더팁(32)으로 부터 간격거리(b) 만큼의 길이로 필심(S)이 돌출된 제22도 (x=b)의 상태가 얻어지게 된다.
즉 선단녹크에 의해 ①슬라이더(3)가 용지면으로 부터의 누름반력에 의해 후퇴하게 됨과 더불어, ②상기 블럭화된 슬리이브(즉 슬리이드(4)와 필심송출기구(5), 원통링(9) 및 돌출레버(10) 및 맏침부(15)도 제3스프링이 밀어부쳐주는 힘 및 스톱퍼돌기(61)와 슬리이브(4)의 마찰계단부(43) 사이에서 일어나는 마찰력에 대항해서 후퇴하게 된다. 이는 리이드척(51)이 필심(S)을 물어잡고 있는 상태로 후퇴하게 됨으로서 블럭화된 슬리이브전체와 받침부(15)가 후퇴방향외력을 받기 때문인 것이다.
여기서 슬라이더(3)와 블럭화된 슬리이브 및 받침부(15)의 후퇴량이 같은량이고, 간격거리가 ad이기 때문에,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한 슬리이브(4)가 후퇴할 수 있는 거리는 간격거리 a(슬리이브돌기(41)가 슬리이브후퇴규제계단부(23c)에 의해 후퇴규제되어지는 거리)가 된다.
한편 슬라이더(3)가 후퇴할 때 간격 d, a, c사이에는 dac의 관계가 성립되고 있기 때문에, 상술한 최대후퇴간격거리인 후퇴간격거리 a로 후퇴하는 과정에서, 먼저 슬라이더본체(31)의 걸림돌기(35)가 슬라이더받침부(8)의 슬라이더스톱퍼(81)를 타고 넘은, 다음 슬라이더본체(31)의 뒷끝이 제2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받침부(8)의 뒷끝으로 부터 돌출시켜지게 된다. 여기서 슬라이더본체(31)의 뒷끝과 원통링(9)의 앞끝인 앞끝벽부(95)사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3)와 블럭화된 슬리이브(4)가 일체적으로 후퇴하기 때문에, 제2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거리 b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어 상기 슬라이더(3)을 누르고 있던 용지면으로 부터 떼어내게 되면 블럭화된 슬리이브(4) 및 맏침부(15)가 제3스프링(12)이 밀어부쳐주는 힘에 받침부(15)의 앞끝이 선단캡(2)의 뒷끝에 닿을 때까지 전진하게 된다. 이렇게 전진하게 될때 리이드척(51)은 필심(S)을 물어잡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된다. 또 이러한 전진동작을 함에 있어, 제3스프링(12)이 앞쪽으로 밀어부쳐주는 힘이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스프링(11)이 뒷쪽으로 밀어부쳐주는 힘이 스톱퍼돌기(61)와 마찰계단부(43)사이에 일어나는 마찰력보다 크게 설정시켜져 있기 때문에. 이들 반대방향외력에 대항해서 상기와 같은 전진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슬라이더(3)는 제1스프링(11)이 앞쪽으로 밀어부쳐주는 힘에 의해 전진하게 되나, 제2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받침부(8)의 슬라이더스톱퍼(81)와 걸어맞춰진 슬라이더본체(31)의 걸림돌기(35)에 의해 일시정지 시켜지게 된다. 이렇게 슬라이더(3)가 일시정지하고 있는 중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심송출기구(5)는 필심(S)을 물어잡은 상태로 전진해 오기 때문에, 원통링(9)의 앞끝벽부(95)가 슬라이더본체(31)의 뒷끝에 닿아 상기 일시정지 걸어 맞춤상태를 해제시켜줄 때까지 필심(S)이 슬라이더(3)에 대해 전진하게 되는 바, 이 필심전진량은 간격거리 b와 같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선단녹크에 의헤 제22도(x=b)에 도시된 상태로 되어 필심(S)이 슬라이드팁(32) 앞끝에서 b길이만치 돌출하게 된다.
(나) 다음 두번째의 선단녹크는 제2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팁(32) 앞끝에서 필심(S)이 돌출되어져 있는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경우이다.
이 경우 돌출량x와 간격거리 a-간격거리 c사이에 x=a-c의 관계가 있게 되는 경우에는 필심이 항상 슬라이드팁(32)으로 부터 x+b 길이만큼 돌출되어진 상태가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이해하기 쉽되록, 일예로서 구체적인 수치를 대입해서 설며하기로 한다. 예컨대 b=0.8㎜, c=1.3㎜, a=1.7㎜(a-c=0.4㎜)라 하자, 이 상태에서 녹크를 해주게되면, 먼저 슬라이더팁(32) 끝에서 돌출된 양인 후퇴간격거리 x까지는 블럭화된 슬리이브(4) 및 받침부(15)만 필심(S)과 함께 제3스프링(12)의 밀어부쳐주는 힘 및 스톱퍼돌기(61)와 마찰계단부(43) 사이의 마찰력에 대항해서 후퇴하게 된다.
그 다음에는 첫번재 선단녹크때와 마찬가지로 블럭화된 슬라이더(3)에 대해 그 후퇴량이 x=0.3㎜만큼 커지게 된다. 그 때문에 상기 슬라이더(3)가 후퇴할 수 있는 거리는, 슬라이브후퇴규제계단부(23c)에 그 후퇴량을 구제당하도록 된 슬리이브(4)와의 관계에서 남게되는 a-x=1.7㎜-0.3㎜=1.4㎜ 밖에 후퇴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그 후퇴과정에서 슬라이더(3) 걸림돌기(35)가 슬라이더받침부(8)의 슬라이더스톱퍼(81)를 타고넘어가게 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블럭화된 슬리이브(4)는 슬라이더(3)보다 그 후퇴량이 x=0.3㎜만큼 크기 때문에 원통링(9) 앞끝벽부(95)와 슬라이더본체(31) 뒷끝과의 간격거리는 b+x가 된다.
이어 슬라이더(3)를 누르고 있던 용지면으로 부터 떼게 되면 상기 제1선단녹크시와 마찬가지로 불럭화된 슬리이브(4)가 필심(S)을 물어잡은 상태로 전진해 가게 된다.
한편, 슬라이더(3)는 걸림돌기(35)를 걸어맞춰주고 있는 슬라이더스톱퍼(81)에 의해 일단 정지시켜지게 된다.
여기서 그 다음 부터는 제1선단녹크시와 마찬가지로 슬라이더(3)에 대해 필심(S)을 송출시켜 주게 되는바, 즉 슬라이더(3)가 일단정지하고 있는 중에도 필심송출기구(5)가 필심(S)을 물어잡은 상태에서 전진해 가게되므로, 원통링(9)의 앞끝벽부(95)가 슬라이더본체(31)의 뒷끝에 닿아 상기 일단정지 걸어맞춤상태를 해제시켜줄 때까지 필심(S)이 슬라이더(3)에 대해 전진하게 되는데, 이때의 전진량은 상술한 바와 같이 b+x와 같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두번째의 선단녹크에 의해 제22도에 도시된 상태로 되돌려져, 필심(S)이 슬라이드팁(32) 앞끝보다 x+b 길이 만큼 돌출되어진 상태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xa-c = 0.4㎜인 경우에는 슬라이더(3)가 슬리이브후퇴규제계단부(23c)에 의해 후퇴가 규제되어지는 슬리이브(4)에 의해 슬라이더 스톱퍼(81)에 걸어맞추어질때까지 후퇴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슬라이더(3)가 슬라이더받침부(8)의 슬라이더 스톱퍼(81)에 걸어맞춰져 일시정지하게 되는 상태가 되지 않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필심돌출량의 조정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즉 아무리 선단을 녹크해주더라도 필심송출을 수반하지 않는 선단녹크만 되풀이 되기 때문에, 항상 변화없는 돌출량(x) 그대로의 상태로 필심(S)이 돌출되어져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슬라이더(3)의 전진에 의해 필심이 송출되는 과정을 미세한 작동까지 살펴보면 제2수단으로서의 자동필기과정과 전혀 마찬가지로 작동하게 됨을 알수 있는 바, 즉 리이드척(51)의 머리부가 내면테이퍼벽(54a)을 굴러 전진하게 되고, 필심송출이 끝난 후에는 리이드척(51)의 머리부가 제22도에 도시한 머리부 위치보다 약간 앞쪽에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수단에서 설명한 작동과 전혀 마찬가지로 슬라이더(3)가 동작해서, 두번째 녹크후에 필기를 재개할 때의 위화감 내지 불쾌감이 해소시켜질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이 실시예에 의하면, 제1스프링(11)의 탄성계수를 조정해서 슬라이더(3)의 후퇴간격거리가 소정치 이상에 도달했을 경우에 비로소 필심송출이 이루어지게 되도록 하므로서, 필기를 시작할 때 리이드척(51)이 후퇴이동하는 것을 최소한이 되도록하여, 필기를 시작할 때의 위화감 내지 불쾌감을 될수있는 한 적게 할 수가 있다. 특히 일본문자동을 필기할 경우에는 간격거리(f)이하로 슬라이더(3)가 후퇴하는 일이 많기 때문에 특히 유효하다.
한편, 이 실시예에서는 필심송출이 개시되는 소정거리(f)를 한 예로서 0.5mm로 했었지만, 간격거리(f)이내라면 전혀 한정될 필요가 없고, 또 자동필기를 할 때 필기를 2회 이상 중단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1 또 이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더(3)와 슬라이더받침부(8)의 걸림상태가 해제시키는 것이 원통링(9)의 앞끝벽부(95)가 눌러져 맞닿게되므로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팁(32)이 선단캡(2)에서 돌출되어져 있게 되면 확실한 선단녹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필기도중에는 필심(S)을 물어잡고 있는 필심송출기구(5)등 블럭화된 슬리이브(4)와 받침부(15)가 제3스프링(12)에 의해 앞쪽으로 밀어부쳐져 있게 되므로서, 필기도중 필심(S)에 과대한 필기압력이 작용하게 되면 블럭화된 슬리이브(4)와 받침부(15)가 제3스프링(12)을 압축시켜 후퇴하게 되므로, 본 고안 샤아프펜슬은 과대필기압을 완충시켜주는 기능을 갖게 되는 것이다.
다음에는 본 고안에 따른 샤아프펜슬의 슬라이더(3)를 체결수납시키는 조작에 대해 제1도와 제27도를 참조로 설명한다.
슬라이더(3)가 체결되어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 필심저장파이프(13)의 뒷끝을 녹크(후단녹크)해 주고 (이 경우 리이드척(51)이 필심(S)을 개방시켜 주고 있어서, 블럭화된 슬리이브(4)가 상술한 선단녹크시와는 달리 뒷쪽으로 이동되어지지 않는다.), 슬라이드팁(32)을 용지면등에다 눌러주게 되면, 슬라이더(3)가 제1스프링(11)을 압축하면서 후퇴하게 된다.
이러한 후퇴과정에서 ① 슬라이더(3)가 슬라이더스톱퍼(81)에 걸어맞춰짐과 더불어, ② 그 뒷끝부위근방이 원통링(9)내에 수납되어지면서, ③ 원통링(9)의 앞끝걸림부(96)에 걸어맞춰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후단녹크에 따라 상술한 통상의 필심송출이 이루어지게 되나. 그 최종 단계에서 리이드척(51)의 앞끝이 돌출레버(10)를 앞쪽으로 눌러 이동시키게 되고, 이 돌출레버(10)의 앞쪽이동에 따라 원통링(9)의 슬릿(92)이 눌려 넓혀지게 되어 상기 원통링(9)의 앞끝부위의 개구면적이 넓혀지기 때문에, 후퇴되어져온 슬라이더(3)의 뒷끝부위근방이 원통링(9)내에 원활히 수납시켜지게 된다. 따라서, 이렇게 슬라이더(3)의 체결수납 공간이 확보되어 슬라이더(3)가 체결수납되어졌을 때 선단캡(2)의 앞끝으로 부터 슬라이드팁(32)이 극히 적은 부분만이 돌출시켜져 있씨게 됨으로서 효율적인 슬라이더(3)의 체결수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상기 슬라이더(3)의 체결해제와 필심송출조작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체결해제와 필심송출은 후단녹크를 해 주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바, 측 후단녹크를 해 주게 되면 슬리이브(4)와 필심송출기구(5)가 함께 간격거리(b)만큼 전진하게 된다. 이 전진과정에서 제1도(a)와 제1도(b)에서 각기(ii)로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링(9)의 앞끝벽부(95)가 슬라이더(3)의 걸림오목부(36)의 경사면부(36a)를 눌러주는 형태로 되고, 또 제1스프링(11)도 그 압축탄발력으로 슬라이더(3)를 앞쪽으로 밀어부쳐주는 형태로 되기 때문에, 상기 슬라이더(3)의 걸림돌기(35)와 슬라이더스톱퍼(81)의 걸어맞춤상태 및 원통링(9)의 앞끝걸림부(96)와 슬라이더(3)의 걸림오목부의 걸어맞춤상태가 해제시켜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걸어맞춤을 해제시켜 주는 수단으로서 돌출레버(10)의 앞끝벽부(106)를 다시 부가시켜도 좋다.
이어 후단녹크에 의한 통상의 필심송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 다음에는 상기 슬라이더(3)가 제 1스프링(11)에 의해 제22도와 같은 상태로 되돌려서 필기를 할 수가 있는 상태로 된다.
또 제1도에 도시된 슬라이더(B)의 슬라이드팁(32)보다 직경이 작고 또 예컨대 압축파이프로 형성된 슬라이더파이프를 슬라이더본체(31)의 앞끝에다 끼워맞춰 제도용등으로 쓰여지는 샤아프펜슬로서 사용할 수 있게 할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자동샤아프펜슬에 대해설명하였지만, 그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예컨대 외통의 앞끝에 끼워맞추어진 선단캡과, 상기 외통내에 미끄럼이도이하도록 배치된 필심저장파이프 및 필심저장파이프의 앞끝에 장착되는 필심송출기구를 갖는 녹크식 샤아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선단캡과 필심송출기구의 리이드척 사이에 필심안내파이프를 설치하여 상기 선단캡으로 부터 리이드척 까지의 사이에서 필심을 둘러싸 보호하도록 해서, 필심이 부러지거나 부러진 필심이 리이드척에 끼이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도 좋은데, 이 경우 필심안내파이프는 선단캡에 고정되어져 있다.
또한 녹크실 샤아프펜슬에서 슬라이더를 갖추고 있는 것에서는, 슬라이더에 필심안내파이프를 고정시켜 슬라이더와 리이드척까지의 사이에 위치하는 필심을 둘러싸서 보호하도록 하여 필심의 부러지거나 부러진 필심이 끼이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슬라이드척과 선단캡 또는 슬라이더사이에 형성된 공간이 필심안내파이프에 의해 없어지게 되고, 또 선단캡 또는 슬라이더와 리이드척 사이에서 필심이 둘러싸 보호되어지게 되어, 필심의 부러지거나 부러진 필심이 끼이게 되는 것이 방지됨과 더불어 필심찌꺼기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된다.

Claims (2)

  1. 외통(1)의 앞끝에 끼워진 선탄캡(2)과, 상기 외통(1)내에 미끄럼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된 필심파이프(13), 이 필심파이프(13) 앞끝에 장착된 필심송출기구(5)등을 구비한 샤아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선다캡(2)과 필시미송출기구(5)사이에서 필심(S)을 둘러싸 보호해 주도록 된 필심안내파이프(13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아프펜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심안내파이프(131)는 슬라이더(3)에 고정되면서 그 뒷끝쪽이 돌출레버(10)내에 미끄럼이동할 수 있도록 삽입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아프펜슬.
KR2019880021005U 1988-05-15 1988-12-19 샤아프펜슬 KR91000270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8063545U JPH077197Y2 (ja) 1988-05-15 1988-05-15 シヤープペンシル
JP63-63545 1988-05-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2754U KR890022754U (ko) 1989-12-01
KR910002705Y1 true KR910002705Y1 (ko) 1991-04-26

Family

ID=13232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21005U KR910002705Y1 (ko) 1988-05-15 1988-12-19 샤아프펜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957384A (ko)
JP (1) JPH077197Y2 (ko)
KR (1) KR910002705Y1 (ko)
DE (1) DE39153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2376A (en) * 1994-02-16 1995-10-31 Kotobuki & Co., Ltd. Mechanical pencil with improved slider mechanism
JPH10166783A (ja) * 1996-10-07 1998-06-23 Kotobuki Kk ダブルチャック式シャープペンシル
US6039484A (en) * 1998-06-22 2000-03-21 Kotobuki & Co., Ltd. Writing instrument
KR100707156B1 (ko) * 2000-03-30 2007-04-16 펜텔 가부시기가이샤 샤프 펜슬
DE102007009684B4 (de) * 2006-10-31 2008-08-21 Faber-Castell Ag Mechanischer Bleistift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00246A (en) * 1923-03-14 1929-01-29 Pencil Mechanism Corp Step-by-step lead pencil
US1803794A (en) * 1924-05-08 1931-05-05 Pencil Mechanism Corp Mechanical pencil
US2056143A (en) * 1932-10-29 1936-09-29 Stylofede Corp Pencil
US2222295A (en) * 1939-01-19 1940-11-19 Spencerian Pen Company Mechanical pencil
US2210845A (en) * 1939-06-19 1940-08-06 John C Wahl Pencil
US3664753A (en) * 1969-07-18 1972-05-23 Tatsuzo Minagawa Pushbutton type mechanical pencil
JPS57162884U (ko) * 1981-04-04 1982-10-14
JPS58185480U (ja) * 1982-06-03 1983-12-09 アンコス株式会社 シヤ−プペンシル
DE8222369U1 (de) * 1982-08-07 1983-10-27 Fa. J.S. Staedtler, 8500 Nürnberg Schreibstift mit minenvorschub
JPS60138780U (ja) * 1984-02-27 1985-09-13 三菱鉛筆株式会社 シヤ−プペンシル
JPS60260396A (ja) * 1984-06-08 1985-12-23 株式会社 寿 シヤ−プペンシルの組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957384A (en) 1990-09-18
KR890022754U (ko) 1989-12-01
DE3915331C2 (ko) 1991-11-28
JPH01166575U (ko) 1989-11-22
DE3915331A1 (de) 1989-11-23
JPH077197Y2 (ja) 1995-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0875Y1 (ko) 측방녹크식 샤아프펜슬
KR910002705Y1 (ko) 샤아프펜슬
EP0287237B1 (en) Mechanical pencil
US4729684A (en) Mechanical pencil
EP0315337A1 (en) Mechanical pencil
KR900004444Y1 (ko) 샤아프펜슬의 돌출바아
KR900004445Y1 (ko) 샤아프펜슬의 유니트블럭부재
KR900005504B1 (ko) 샤아프 펜슬
KR910005222B1 (ko) 샤아프펜슬의 필심송출기구
KR900003505B1 (ko) 샤아프 펜슬
KR910000328Y1 (ko) 샤아프펜슬
KR910005295Y1 (ko) 샤아프펜슬의 리이드척
KR900006766Y1 (ko) 샤아프펜슬의 리이드척
KR900008079B1 (ko) 복합필기구
JPH0617588Y2 (ja) シャープペンシルのリードチャック
KR900004447Y1 (ko) 샤아프펜슬
KR19990007819U (ko) 2중척식 샤프펜슬
JPS63281898A (ja) シヤ−プペンシル
JPH02122996A (ja) シャープペンシルの芯送出機構およびその組立方法
JPS5837667Y2 (ja) ノツク式シヤ−プペンシル
KR900007187B1 (ko) 샤아프펜슬
KR910004176Y1 (ko) 샤아프 펜슬
KR910007433Y1 (ko) 샤아프펜슬의 리이드척
KR900004446Y1 (ko) 샤아프 펜슬 필심카트리지의 개폐장치
KR880002478B1 (ko) 샤아프 펜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