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4444Y1 - 샤아프펜슬의 돌출바아 - Google Patents

샤아프펜슬의 돌출바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4444Y1
KR900004444Y1 KR2019870013631U KR870013631U KR900004444Y1 KR 900004444 Y1 KR900004444 Y1 KR 900004444Y1 KR 2019870013631 U KR2019870013631 U KR 2019870013631U KR 870013631 U KR870013631 U KR 870013631U KR 900004444 Y1 KR900004444 Y1 KR 9000044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sleeve
spring
stopper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36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21635U (ko
Inventor
히데헤이 가게야마
요시히데 미츠야
요우이치 나카사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가게야마 도시히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가게야마 도시히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Publication of KR8800216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216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44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4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16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stepwise feed of writing-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027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sliding tubelike writing-core guide
    • B43K21/033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sliding tubelike writing-core guide with automatic feed by pressure during use of pencil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샤아프펜슬의 돌출바아
제1도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가 작용된 샤아프펜슬의 종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선단캡의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배면도.
제5도는 제2도에 도시된 선단캡의 미끄럼이동홈에 대한 설명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더의 평면도.
제7도는 제6도의 B-B선 단면도.
제8도는 제6도의 배면도.
제9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슬리이브의 평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C-C선 단면도.
제11도는 제9도의 배면도.
제1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원통형링의 중앙종단면도.
제1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돌출바아의 평면도.
제14도는 리이드척의 종단면도.
제15도는 제14도의 평면도.
제16도는 제15도의 D-D선 단면도.
제17도는 제15도의 E-E선 단면도.
제18도는 제14도의 F-F선 단면도.
제19도는 제18도에 도시된 이빨부의 확대평면도.
제20도와 제21도는 상기 이빨부의 확대설명도.
제22도~제24도는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리이드척머리부위의 종단면도.
제25도~제29도는 필심송출동작과 잠금동작을 나타낸 설명도.
제30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외통부분 종단면도.
제31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샤아프펜슬의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통 2 : 선단캡
3 : 슬라이더 4 : 슬리이브
5 : 필심송출기구 6 : 스톱퍼
7 : 연결부 8 : 슬라이더받침부
9 : 원통형링 10 : 돌출바아
11 : 제1스프링 12 : 제3스프링
13 : 필심파이프 14 : 척개폐기구
31 : 슬라이더본체 32: 슬라이더파이프
33 : 마찰부여부재 51 : 리이드척
53 : 보올 56 : 제2스프링
71 : 필심송출구멍 81 : 슬라이더스톱퍼
100 : 바아본체 102 : 필심도통구멍
103 : 걸림부 511a : 이빨부
512 : 필심지지구멍 514 : 필심지지부
본 고안은 샤아프펜슬의 필심송출기구에 장착되어 다목적기능을 수행하는 샤아프펜슬의 돌출바아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필기압이 가해졌을때에는 필심을 물어잡게되고 필기압이 해제되었을때에는 필기구 앞끝쪽으로 슬라이더의 탄발력과 이 슬라이더 내에 끼워진 마찰부여부재에 의해 필심자체를 척으로부터 필기구앞끝쪽으로 옮기려할 경우 척이 필심을 물어잡는 작용이 해제되어져, 필심을 송출시켜줄 수 있도록 된 이른바, 공지의 원웨이식 척장치를 내장시켜놓고서 후단녹크도 필심을 송출시키도록된 자동 샤아프펜슬이 제안되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자동샤아프펜슬은 그 모우가 필심송출기구와 슬라이더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존재하면서 그 사이에는 필심(S)에 대해 아무런 보호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어떠한 외력이 작용하게되면 필심이 부러지게 되어 그 부러진 필심조각이 필심송출기구내부로 들어가 리이드척에 끼워져 이것이 고장의 원인으로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슬라이더의 체결을 해체시키거나 체결시켜 수납시켜주는데에는 극히 복잡한 내부구조가 필요로 하게되어 조립작업상 효율이 좋지않게 될 뿐만아니라 부품수가 많아져야 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해주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슬라이더의 체결을 해제하거나 체결하여 수납시켜줄 수가 있을 뿐만아니라 필심(S)이 부러지는 것을 방지해주고 또 이렇게 부러진 필심이 필심송출기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해주는 샤아프펜슬의 돌출바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샤아프펜슬의 돌출바아는, 슬라이더의 체결을 해제시키거나 체결해서 수납시켜줄 수 있도록 필심송출기구에 장착되면서 필심(S)을 감싸는 형태로 관통시켜주고, 또 슬라이더를 앞쪽방향으로 밀어붙여주게되는 스프링을 걸러지게 해서, 1개의 부품으로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져 있기 때문에, 부품수를 감소시켜 주게됨과 더불어 필심(S)이 부러지는 것을 방지해주고, 또 부러진 필심이 필심송출기구 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해줄 수가 있도록 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관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관한 돌출바아를 적용한 샤아프펜슬의 단면도로서, 외통(1)의 앞 끝에 착탈될 수 있도록 장착된 선단캡(2)과, 이 선단캡(2)내에 축방향으로 미끄럼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넣어진 슬라이더(3), 상기 선단캡(2)내에 축방향으로 미끄럼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된 슬리브(4), 이 슬리브(4)내에 장착된 필심송출기구(5), 상기 슬라이브(4)의 후방쪽 내부를 축방향으로 미끄럼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된 스톱퍼(6) 및, 이 스톱퍼(6)내에 끼워 맞춰져 연결된 연결부(6)가 구비되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선단캡(2)은 제1도 내지 제3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외통(1)과 나사식으로 끼워맞춰지도록 끼워맞춤부(21)와, 이 끼워맞춤부(21)의 뒷 끝에 연장 형성된 뒤쪽원통부(22)를 갖추고 있는데, 이 뒤쪽원통부(22)에는 제1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1쌍의 대칭형상을 한 미끄럼이동홈(23)과 이 뒤쪽원통부(22)의 직경방향으로의 탄성변형이 확실히 이루어지도록 하기위한 슬릿트(24)가 형성되어져 있다.
또 상기 1쌍의 미끄럼이동홈(23)은 제1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크랭크형으로 되면서 축방향을 따라 대칭형상으로 형성되어져, 뒤에 설명되는 슬리이브돌기(41)가 미끄럼왕복이동하게 되는 슬리이브돌기미끄럼이동홈(23a)과, 스톱퍼돌기(61)가 미끄럼왕복이동하게되는 스톱퍼돌기미끄럼이동홈(23b) 및, 상기 슬리이브돌기미끄럼이동홈(23a)의 뒷 끝에 형성된 슬리이브후퇴규제계단부(23c)를 갖추고 있는바, 이 슬라이브후퇴규제계단부(23c)는 뒤에 설명되는 선단녹크와 과대필기압을 완충시켜주는 동작에 의해 후퇴되어져온 슬리이브돌기(41)의 후퇴이동을 규제해주는 기능을 하게된다.
여기서 상기 슬리이브후퇴규제계단부(23c)와 슬리이브돌기(41)의 뒷끝은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제1도를 참조)에서는 일정한 간격거리(a)로 떨어져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스톱퍼돌기미끄럼이동홈(23b)의 뒷 끝에 형성된 스톱퍼돌기걸림벽부(23d)는 스톱퍼돌기(61)를 걸어맞춰 뒤에 설명되는 바와같이 각각 블록화된 선단캡(2)과 슬리이브(4) 및 연결부(7)를 1개의 단일체로 블록화시켜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선단캡(2)의 앞쪽내벽에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환상의 슬라이더받침부(8)가 끼워지고 이 슬라이더받침부(8)의 뒷끝안쪽에는 슬라이더(3)가 착탈될 수 있게 걸어맞춰지는 환상의 슬라이더스톱퍼(81)가 안쪽방향을 향해 돌출형성되어져 있다.
상기 슬라이더(3)는 제1도와 제6도 내지 제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슬라이더본체(31)와, 이 슬라이더본체(31)의 앞끝쪽에 끼워넣어 걸려진 슬라이더파이프(32) 및, 상기 슬라이더본체(31)의 내부에 끼워져 필심(S)에다 소정의 마찰력(예컨대 13~20g)을 부여해주는 방향성을 갖지 않는 좌우대칭형상의 마찰부여부재(33)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본체(31)의 뒤쪽은 상기 슬라이더스톱퍼(81)에 착탈될 수 있도록 걸려지는 그 직경방향으로 신축되는 여러개(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걸림편(34)이 분할형성되어져 있는데, 이 걸림편(34)의 각각에는 상기 슬라이더스톱퍼(81)에 착탈되게 걸려지는 걸림돌기(35)가 바깥방향을 향해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 제1도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3) 및 뒤에 설명되는 돌출바아(10)의 상반부(제1도에서 부호(i)로 도시됨)는 필기를 하지 않는등 특별한 외력이 부여되지 않고 있을때(이하 통상시라함)의 종단면도이고, 하반부(제1도에서 부호(ii)로 도시됨)는 뒤에서 설명되는 체결시의 종단면도이다.
그리고 상기 선단캡(2)내에는 축방향으로 미끄럼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된 슬리이브(4)가 배치되어져 있는바, 이 슬리이브(4)는 제1도와 제9도 및 제1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원통형상으로 되면서 그 앞쪽 바깥둘레에는 상기 선단캡(2)의 슬리이브돌기미끄럼이동홈(23a)내를 미끄럼이동하는 1쌍의 슬리이브돌기(41)가 돌출형성되고, 그 뒤쪽에는 상기 스톱퍼돌기(61)를 그에다 소정의 마찰력을 부여해주면서 미끄럼이동시켜주도록 하는 마찰미끄럼이동홈(42)이 같은 형상으로 1쌍이 형성되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마찰미끄럼이동홈(42)은 제9도 및 제1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톱퍼돌기(61)를 안내하는 안내홈(42a)과 이 안내홈(42a)에 연통된 미끄럼이동홈(42a)으로 구성되면서 이 미끄럼이동홈(42b)의 중간부에는 마찰계단부(43)가 형성되어 있고, 또 이 마찰계단부(43)은 뒤에 설명되는 바와같이 스톱퍼돌기(61)에 마찰력을 부여해서 슬리이브(4) 전체를 스톱퍼(6)와 함께 소정량만큼 전진하도록 하여 필심(S)을 송출시켜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리이브(4)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 앞끝부위에는 원통형링(9)을 매개로 본 고안에 따른 돌출바아(10)가, 그 내부에는 필심송출기구(5)가, 또 그 뒤쪽부위에는 연결부(7)가 걸어맞춰지면서 축방향으로 미끄럼왕복이동할 수 있는 스톱퍼(6)가 각각 배치되어져 있다.
상기 원통형링(9)은 슬리이브(4)의 앞 끝에 끼워맞춰져서 ①돌출바아(10)를 이동할 수 있도록 그 내부를 보유지지해주는 기능과, ②뒷쪽방향계단부(91)로 뒤에 설명되는 보울(53)이 탈락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기능을 하게되는바, 여기서 이 원통형링(9)의 앞끝쪽은 제1도와 제1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돌출바아(10)를 그 내부에 확실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적어도 1개 이상의 축방향으로 형성되어져 있다.
여기서 도면부호 93a, 93b는 돌출바아(10)의 볼록부(104)가 뒤에 설명되어지는 바와같이 소정의 걸어맞춰지는 힘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걸어맞춰지도록 하는 오목부이다.
그리고 상기 원통형링(9)에 보유지지된 돌출바아(10)는 제1도와 제1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바아본체(100)와, 그 중앙내부에 축방향으로 연장된 원통부(101), 이 원통부(101)내에 형성된 필심도통구멍(102), 후술되는 제1스프링(11)의 뒷끝이 걸려지게 되는 걸림부(103) 및, 상기 원통형링(9)의 오목부(93a,93b)에 이동될 수 있도록 걸어 맞춰지는 볼록부(104)를 갖추고 있다.
여기서 상기 원통형링(9)의 앞쪽 오목부(93a)와 볼록부(104)의 걸어맞춰지는 힘을 슬라이더(3)의 걸림돌기(35)와 슬라이더스톱퍼(81)가 걸어맞춰지는 힘(예컨대 100g±50g) 보다 크게(예컨대 300g±50g) 설정시켜놓고 있는바, 이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선단녹크를 할 때 상기 슬라이더스톱퍼(81)와 슬라이더(3)의 체결이 해제되는 것이 상기 슬라이더(3)의 뒷끝이 돌출바아(10)의 볼록부 앞끝부위(104a)에 맞닿게됨으로서 이루어지게 되기 때문이다. 또 통상시에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 슬라이더(3)의 뒷끝 및 슬라이더받침부(8)의 뒷끝과 돌출바아(10)의 볼록부앞끝부위(104a) 사이에는 일정간격의 거리(b)가 마련되어져 있게되는바, 이 거리(b)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① 후단녹크 및 선단녹크의 필심송출량이 되고, 또 ② 이른바 자동필기가 가능한 범위가 된다. (나) 슬라이더(3)의 걸림돌기(35)와 슬라이더스톱퍼(81)가 걸어맞춰지기 위한 후퇴간격으로서 간격거리(C)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바아(10)와 슬라이더(3) 사이에는 제1스프링(11, 예컨대 탄성력 10g~12g인 것)이 설치되게 되는데, 이 제1스프링(11)은 슬라이더(3)의 내부에 돌출바아(10)의 원통부(101) 바깥쪽에 인접되게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3)를 앞쪽방향으로 밀어붙여주게됨과 더불어 돌출바아(10)와 그 뒤쪽에 있는 슬리이브(4)등을 뒤쪽방향으로 밀어붙여주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 돌출바아(10)의 원통부(101)는 축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필심(S)을 가능한한 덮어씌워 필심이 부러지게 되는 것을 방지해줌과 더불어 리이드척(51)내에 필심가루라던가 부러진 필심조각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하고, 또 상기 제1스프링(11)의 뒷끝이 걸려지게 하기로 한다.
다음에는 상기 슬리이브(4)내에 배치되어져 있는 필심송출기구(5)에 대해 설명한다.
필심송출기구(5)는 2개로 분할형성된 리이드척(51)과, 이 리이드척(51) 머리부위에 형성된 보울지지부(52)에 지지된 보울(53)을 끼워안아 지지해주게 되는 그 내면이 테이퍼벽(54a)으로 형성된 금속원통(54) 및, 상기 슬리이브(4)의 내벽계단부(44)와 상기 리이드척(51)의 걸림계단부(55) 사이에 탄성적으로 장착된 척조임용 제2스프링(56)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 상기 리이드척(51)은 단조 또는 프레스, 소결합금, 다이케스트성형등으로 성형된 금속성형품이나, 사출성형, 압축성형에 의해 성형된 합성수지등으로 형성시킨 것이다.
그리고 상기 리이드척(51)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도 및 제13도 내지 제1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필심관통구멍(57)의 축선을 따라 2쪽부분으로 분할형성되어 그 각각의 단면을 반구형상으로 형성한 1쌍의 척부재(51a,51b)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보올지지부(52)와, 뒤쪽부분의 걸림계단부(55), 이 걸림계단부(55)의 뒷끝으로부터 뒤쪽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뒷끝쪽으로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뒤쪽 테이퍼원통부(58), 축중심부의 상기 필심관통구멍(57) 및 걸림오목부(59)와 걸림볼록부(510) 및 개폐지지점볼록부(511)를 갖추고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오목부와 걸림볼록부(59,510)는 한쪽 척부재(51a)의 걸림볼록부(510)가 다른쪽 척부재(51b)의 걸림오목부(59)에, 또 다른쪽 척부재(51b)의 걸림볼록부(510)가 한쪽 척부제(51a)의 걸림오목부(59)에 각각 걸어 맞추어져 척부재(51a,51b)의 상호간의 축방향 어긋남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척부재(51a,51b)의 개폐지지점볼록부(511)를 상호 맞닿아지게 해서 척부재(51a,51b)를 개폐방향으로 지렛대운동시켜주는 지지점으로 가능하도록 함과 더불어 그 지렛대운동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충분한 간극(k)(제1도 참조)을 형성하게되는 스페이서 기능도 갖도록 해 놓았다.
또 상기 필심관통구멍(57)의 직경방향에서의 상기 걸림볼록부(510)의 길이를 개폐지지점볼록부(511)의 길이만큼 길게해줌으로서, 이들의 개폐지지점볼록부(511)를 생략해줄 수가 있는데, 그렇게 해주게되면 상기 간극(K)를 형성시켜주기 위한 스페이서기능이 얻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리이드척(51)의 머리부위 내벽에서의 필심관통구멍(57) 앞끝쪽에는 작은 직경계단 형상으로 된 필심지지구멍(512)이 형성되어져 있는바, 이 필심지지구멍(512)은 각 척부재(51a,51b)에서의 반쪽필심관통구멍(57)의 내주면중심방향을 따라 형성된 반쪽 구멍으로 되면서, 그들의 단면형상이 예컨대 제17도 내지 제2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형성되어져 있다. 즉, 상기 필심지지구멍(512)은 필심(S)의 척쪽이 폭이 점차 넓게 확대되는 그 단면형상이 대체로 U자형상으로 형성되어져 있는데, 이러한 필심지지구멍(512)의 양쪽 내면에는 그 쪽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여러개의 이빨부(511a)가 일체로 형성되어져 있고, 이들 이빨부(511a)는 제18도 내지 제2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앞끝쪽이 점차로 뾰족해지는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되면서 그들 각각의 앞끝면(511b)이 폭이 좁은 평탄면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이빨부(511a)의 각각 이빨홈바닥부위(513)는 평면형상으로 형성되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이빨부(511a)의 각 척부재(51a,51b)에 조합되어 합체되어진 상태에서 필심(S)의 바깥둘레를 4곳에서 지지해주게되는 필심지지부(514)를 형성시켜주도록 되어져 있는데, 이와같이 상기 이빨부(511a)로 형성되어진 필심지지부(514)에 의해 충분히 필심을 물어잡게되는 힘이 얻어져 필심을 적절하게 지지해주게 될뿐만아니라 필심가루등과 같은 먼지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구성되어져 있기 때문에, 필심가루등이 아무데에도 쌓여지는 일이 없어지게 되고 설사 쌓여진다하더라도 필심송출등과 같은 필심의 이동에 따라 자연히 제거되게 된다.
따라서 장기간에 걸친 빈번한 필기에 의해서도 그 필기를 할 때 필심이 미끄러져 들어가게되는 등의 현상이 일어나지 않게되는 뛰어난 효과가 얻어지게 된다.
제22도 내지 제24도는 상기 척부재(51a,51b)의 다른 실시예 도면인바, 그중 제22도의 실시예는 이빨부(511a)를 필심지지부(514) 근방에만 돌출형성시켜 필심이 물려 조여지는 면적을 확대시켜 놓은 것이고, 제23도의 실시예는 제22도 실시예에서의 필심지지구멍(512)의 이빨부(511a)를 제거하고 이 필심지지구멍(512)의 개방쪽끝부위 양쪽을 필심지지부(514)가 되도록 해놓은 것이며, 제24도의 실시예는 제22도의 필심지지구멍(512)의 단면을 V자 형상으로 형성시켜 놓은 것이다.
따라서 제22도 내지 제24도의 필심지지구멍(512)으로된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제18도 내지 제21도에 도시된 경우와 거의 마찬가지의 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각 실시예의 필심지지구멍(512)은 필심(S)을 상술한 바와같이 4점 지지해줄 수 있기만하면 기타 다른 단면형성이 되도록 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리이드척(51)의 머리부위에 보유지지되는 보올(53)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슬리이브(4)의 앞 끝부위에 설치된 금속원통(54)의 내면테이퍼벽(54a) 사이에 끼워져 보유지지되어져 있게되는데, 이 금속원통(54)에 의해 확실하고 내구성 있는 안정된 구름접촉이 이루어지게 될뿐만 아니라 리이드척(51)의 필심지지도 확실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내구성이 증가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금속원통(54)은 반드시 필요하게 되는 것은 아니고, 통상적으로 내면테이퍼벽을 슬리이브(4)의 앞끝내면에 보올(53)이 구름접촉하게되는 형태로 형성시켜 금속원통(54)을 생략해도 상관이 없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리이드척(51)을 2쪽으로 분할형성시켜 놓은 것이 도시되어져 있지만 이를 3쪽이상으로 분할형성시켜도 좋고, 또 그와는 반대로 단일체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 이 리이드척(51)의 축방향으로의 어긋남을 방지해주기 위해 상호접촉되는 부위에 요철걸림부를 형성시켜놓는다거나 기타 어긋남방지용 요철부 같은 것을 형성시켜놓아도 좋다.
또한 리이드척(51)의 직경 일부가 슬리이브(4)의 내경과 거의 같을 뿐만아니라 상기 제2스프링(56)의 뒷끝이 리이드척(51)의 걸림계단부(55)에 의해 확실하게 걸려 장착되어져 있기 때문에, 리이드척(51)이 상하좌우로 요동하거나 어긋나게 되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되게 된다. 그리고 리이드척(51)의 보올지지부(52)는 단지 보올(53)을 지지해주는 구멍으로 하여도 좋으나 이 보올(53)이 탈락되지 않도록 수납되어 보유지지되도록 하여도 좋다. 여기서 상기 보올(53)은 보울지지부(52)내에서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제2스프링(56)은 제1스프링(11)보다 탄발력이 약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슬리이브(4)의 뒷끝쪽에 설치된 스톱퍼(6)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하대칭되는 1쌍의 스톱퍼돌기(61)가 돌출형성되어 상술한 바와같이 연결부(7)의 앞 끝에 관통되어 걸려져 있는데, 이 스톱퍼돌기(61)는 ① 제3스프링(12)의 후퇴방향 밀어부치는 힘에 의해 선단캡(2)의 스톱퍼돌기걸림벽부(23d)에 맞닿아 걸려져, 후술하는 바와같이 각각 블록화된 선단캡(2)과 슬리이브(4) 및 연결부(7)를 한덩어리를 블록화시켜주는 기능과, ② 후단녹크시의 슬리이브(4)의 안내홈(42a)를 마찰계단부(43)와 미끄럼이동으로 걸러지게 해서 상기 슬리이브(4)를 소정량만큼 전진시켜주는 기능 및, ③ 그후의 전진에 따른 스톱퍼(51)와 연결부(7) 및 필심파이프(13)만의 전진으로 리이드척(51)의 뒷끝부위에 압압되게 맞닿게해서 리이드척(51)을 개방시켜주게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통상시에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톱퍼(6)의 앞끝과 리이드척(51)이 맞닿는 부위사이에 일정 간격(d)이 마련되어져 있어서, 이 스톱퍼(6)에 끼워넣어져 걸어 맞춰진 연결부(7)가 리이드가이드로서의 역할과 필심파이프(13)를 자유로이 착탈되게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해서, 필심(S)을 1개만 통과할 수 있는 내경이 되도록 형성된 필심송출구멍(71)과, 이 필심송출구멍(71)의 뒷 끝에 연속 형성된 본 실시예에서는 필심파이프(13)의 앞 끝에 끼워맞추어진 척개폐기구(14)가 착탈될 수 있게 끼워넣어지는 척수납구멍(72), 이 척수납구멍(72)의 뒷 끝에 접속되어 상기 필심파이프(13)의 앞끝쪽이 뽑아내질 수 있게 끼워 맞추어지는 큰직경계단형상의 끼움구멍(74), 이 끼움구멍(74)의 내벽에 돌출형성되어 필심파이프(13)의 연결이 확실히 이루어지도록 해주는 맞춤돌기(75)를 갖추고 있다.
또 상기 필심파이프(13)의 앞끝에는 상술한 바와같이 척개폐기구(14)가 장착되어져 있는바, 이 척개폐기구(14)는 본출원인이 기히 한국에 출원한 바 있는 한국 특허출원 제89-2388호에 상세히 설명해 놓았기 때문에 그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7)와 선단캡(2) 사이에는 스프링 받침부(15)를 매개로 제3스프링(12)이 장착되어져 있는바, 이 제3스프링(12)은 ① 선단녹크를 해줄 때 슬리이브(4)와 필심송출기구(5) 및 돌출바아(10)를 전진방향으로 되돌리는 기능과, ② 후단녹크를 할 때 연결부(7)와 필심파이프(13)를 후방방향으로 되돌리는 기능, ③ 필기할때의 과대한 필기압을 완충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비교적 강한 탄발력(예컨대 370g~400g)을 갖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 이 제3스프링(12)의 앞끝쪽을 받쳐주고 있는 상기 스프링받침부(15)는 그 앞끝쪽에서 선단캡(2)의 뒷끝 및 슬리이브(4)의 뒷끝과 맞닿게 되는데, 이렇게 맞닿게됨으로서 1개의 제3스프링(12)으로 상기 3가지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지게 된다.
또 상기 슬리이브(4)의 뒷 끝에 맞닿게될때에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 스프링받침부(15)가 내벽구멍(15a)으로 슬리이브(4)의 뒷끝을 붙잡고 있기 때문에 슬리이브(4)의 뒷끝을 직경방향으로 좁혀 슬릿트(24)를 갖는 슬리이브(4)의 뒷끝을 극히 강고하게 해주게 된다.
그리고 여기서 상기 제1스프링(11)에 밀어붙여주는 힘(A)과, 마찰부여부재(33)의 필심(S)으로의 마찰력(B), 원통형링(9)의 오목부(93a)가 돌출바아(10)의 볼록부(104)에 걸어맞춰지는 힘(C), 슬라이더(3)가 슬라이더스톱퍼에 걸어맞춰지는 힘(D) 및, 리이드척(51)이 필심(S)을 물어 잡는 힘(E)의 상호관계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게 된다.
① B>A가 되는데, 이는 뒤에 설명되는 선단녹크를 해주게될 때 이러한 관계가 이루어지지 않게되면 마찰부여부재(33)와 필심(S) 사이에서 미끄럼현상이 일어나게 되기 때문이다.
② C>D로 되어 있는바, 이는 상술한 바와같이 슬라이더스톱퍼(81)에 걸어맞춰진 슬라이더(3)의 체결상태의 해제가 돌출바아(10) 앞끝을 압압해제해주므로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③ A>E로 되어 있는바, 이는 후술하는 선단녹크 및 이른바 자동필기를 할 때 슬라이더에 대해 앞에서의 설명과 같이 리이드척(51)으로부터 필심(S)을 앞쪽으로 이끌어낼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술한 거리를 (a~d) 사이에는 d>a>c>d의 관계로 되어 있다.
다음에는 본 고안 샤아프펜슬의 조립에 대해서 설명한다.
즉 척부재(51a,51b)를 상호간을 조합시키고 그 바깥둘레에다 제2스프링(56)을 느슨하게 끼워주는 한편 슬리이브(4)의 앞끝내벽부위에는 미리 금속원통(54)을 억지끼움해 놓는다. 그리고 상기 제2스프링(56)이 느슨히 끼워진 척부재(51a,51b)를 뒷방향에서 누르고 상기 제2스프링(56)을 압축시켜 보올(53)을 척부재(51a,51b)의 보울지지부(52)내에다 끼워넣은 다음, 이 누름을 해제시켜주게되면 보올(53)이 확실하게 보울지지부(52)에 장착되게 된다.
그런후에 상기 원통형링(9)을 슬리이브(4)의 앞끝에다 눌러끼워넣어주게 되는바, 이때 원통형링(9)내에 제1스프링(11)을 걸어맞춘 돌출바아(10)를 미리 넣어놓는다.
이와같은 일련의 조립작업에 따라 슬리이브(4)와 필심송출기구(5), 원통형링(9), 돌출바아(10) 및, 제1스프링(11)이 블록화된다.
한편 상기 선단캡(2)내에는 슬라이더받침부(8)와 슬라이더(3)를 미리 조립해서 세트화시켜 선단캡(2)을 블록화시켜 놓는다. 또 상기 연결부(7)에 제3스프링(12) 및 스프링받침부(15)를 조립하고 이어 마지막으로 스톱퍼(6)를 걸어맞춰 블록화시켜 놓게되는바, 여기서 상기 스톱퍼(6)는 제3스프링(12)이 밀어붙여주는 힘에 의해 관통되어 걸려진 연결부(7) 및 스프링받침부(15)를 거쳐 밀어붙여주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다음에는 상기 외통(1)을 제외한 부분 즉 각각 블록화된 선단캡(2)과 슬리이브(4) 및 연결부(7)를 단일체화시켜주는 작업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렇게 단일체화시켜주는 작업은, 먼저 블록화된 선단캡(2)의 뒷끝에다 블록화된 슬리이브(4)를 끼워넣어주게되는데, 이렇게 끼워넣어주게되면 슬리이브(4)의 슬리이브돌기(41)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캡(2)의 슬리이브돌기미끄럼이동홈(23a)에 걸어맞춰지게 됨으로서, 선단캡(2)의 1쌍의 미끄럼이동홈(23)과 슬리이브(4)의 1쌍의 마찰미끄럼이동홈(42)이 정위치에 놓여지게 된다.
이어 블록화된 연결부(7)를 선단캡(2) 및 슬리이브(4)의 뒤쪽에다 끼워넣어주게 되는데, 이는 연결부(7) 앞끝의 스톱퍼(6)의 스톱퍼돌기(61)를 선단캡(2)의 미끄럼이동홈(23)내 및 슬리이브(4)의 마찰미끄럼이동홈(42)내에다 걸어맞춰줌으로서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톱퍼(6)는 상술한 바와같이 제3스프링(12)에 따라 밀어붙어져 있기 때문에,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톱퍼돌기(61)의 뒤쪽벽(61a)이 선단캡(2)의 미끄럼이동홈(23)의 스톱퍼돌기걸림벽(23d)에 눌러걸러지게 되고, 그에따라 각각 블록화된 선단캡(2)과 슬리이브(4) 및 연결부(7)가 단일체화되어 1개의 단일체블럭으로 취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 단일체블럭을 외통(1)의 앞끝에다 끼워넣어 맞춰주고 또 외통(1)의 뒤끝으로부터 필심파이프(13)를 연결부(7)에다 끼워넣어 장착시켜주게되면 샤아프펜슬의 조립이 완료되게 된다.
다음에는 본 고안의 필심송출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본 고안의 필심송출동작은 다음 3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1) 먼저 제1수단은, 필심파이프(13)의 뒷끝을 녹크동작시켜주므로서 이루어지게 되는 통상적인 방법이다. 즉 제1도와 같은 상태에서 필심파이프(13)의 뒷끝을 녹크해주게되면, 연결부(7)가 제3스프링(12)을 압축시켜주면서 앞으로 나아가게 되는바, 이때 상기 연결부(7) 앞끝의 스톱퍼(6)는 슬리이브(4)의 미끄럼이동홈(42b)의 마찰계단부(43)의 마찰력에 의해 걸러져 있기 때문에, 이 연결부(7)와 함께 블록화된 슬리이브(4) 전체 즉 슬리이브(4)와 필심송출기구(5), 원통형링(9) 및 돌출바아(10)가 전진하게되고, 이들은 상기 원통형링(9)의 앞끝이 슬라이더받침부(8)의 뒷 끝에 맞닿게될때까지 앞으로 나아가게 된다. 즉 이들은 일체가 되어 원통형링(9)의 앞끝과 슬라이더받침부(8) 사이의 간격거리(b)만큼 전진하게 되는바, 이 간격거리(b)가 필심송출량이 된다. 그리고, 상기 필심파이프(13)와 연결부(7) 및 스톱퍼(6)는 다시 앞쪽으로 눌러져 스톱퍼돌기(61)가 슬리이브(4)의 마찰계단부(43)를 타고 넘어 스톱퍼(6)와 연결부(7) 및 필심파이프(13)만이 앞으로 나아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톱퍼(6)의 앞끝이 리이드척(51)의 뒷끝부위를 앞으로 나가도록 눌러줌으로서 필심송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2) 제그수단으로서는 필기를 중단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필심송출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필기는 통상 제2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필심(S)이 슬라이더파이프(32)로부터 소정량(X)이 돌출되어진 상태에서 이루어지게 되고, 또 필기를 해감에 따라 필심(S)이 순차적으로 마모되어져서 제2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슬라이더파이프(32)의 앞끝면과 끝면이 일치되는 상태로 되는바, 이 상태에서도 슬라이더(3)는 뒤쪽에 대해 제1스프링(11)의 밀어붙여주는 힘에 대항해서 후퇴할 수 있게되어 그 후퇴간격거리가 최대한 돌출바아(10)의 볼록부앞끝부위(104a)와 맞닿게 되는 간격거리 즉 제1도 및 제26도에 도시된 후퇴간격거리(b)까지 후퇴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필기에 따른 필심(S)의 마모량이 후퇴간격거리(b)가 되는데에는 매우 긴시간동안 필기를 해야된다. 즉 통상의 성인 필기압으로 농도가 HB이고 필심직경이 0.5mm인 샤아프펜슬로 상질지에 한자1자를 필기하는 경우의 필심마모량은 0.01mm 정도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슬라이더(3)가 후퇴간격거리(b)로 후퇴할때까지 연속적으로 필기를 하는 일은 통상적으로 있을 수 없고, 반드시 필기도중 필기를 중단한다고 생각하여도 좋다. 그런데 예컨대 제27도에 도시된 상태에서 필기를 중단해서 슬라이더파이프(32)의 앞끝을 지면으로부터 이탈시켜주게 되면 슬라이더(3)가 제1스프링(11)의 탄발력에 의해 앞으로 나아가게 됨과 더불어 필심(S)도 마찰부여부재(20)로부터의 소정마찰력으로 슬라이더(3)와 함께 전진방향으로 잡아당겨지게 된다. 한편 필심(S)을 물어잡고 있는 리이드척(51)의 척조임력은 제1스프링(11)보다 약한 제2스프링(56)의 탄성력에 의해 부여되어지기 때문에 위에서 설명된 필심(S)의 전진방향으로 잡아당겨지는 힘에 의해 압축되어 리이드척(51) 전체의 진진을 허용하게 된다. 이렇게 앞으로 나아가게 될 때 리이드척(51)의 머리부위는 보올(53)이 금속원통(54)의 내면테이퍼벽(54a)을 구름접촉하면서 전진하게 됨에 따라 리이드척(51)이 필심을 물어잡는 힘이 약해져서 필심(S)의 송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에 따라 제26도에 도시된 상태를 다시 복귀해서 자동적으로 필심송출동작이 이루어져 필기를 할 수 있는 상태가 되어 최대한 슬라이더(3)의 후퇴간격거리(b)까지의 연속필기가 이루어지게 된다.
(3) 제3수단은, 슬라이더(3)의 앞끝을 지면에다 눌러주는 선단녹크에 따른 필심송출인데, 이 선단녹크에는 다음 2가지 경우가 있어 그 작용이 각기 다르기 때문에 경우를 나누어 설명한다.
(가) 첫 번째의 선단녹크는 제2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슬라이더파이프(32) 앞끝으로부터 필심(S)이 돌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경우로서의 선단녹크를 해주게 되면, 항상 슬라이더파이프(32)로부터 간격거리(b)가 되는 길이의 필심이 돌출되는 제25도 (x=b)의 상태로 되는바, 즉 선단녹크에 의해 ① 슬라이더(3)가 지면으로부터 눌려지는 반력에 의해 후퇴됨과 더불어, ② 상기 블록화된 슬리이브(즉 슬리이브(4)와 필심송출기구(5), 원통형링(9) 및 돌출바아(10) 및 스프링받침부(15)도 제3스프링(12)이 밀어붙여주는 힘 및 스톱퍼돌기(61)와 슬리이브(4)의 마찰계단부(43) 사이에서 생기는 마찰력에 대항하여 후퇴하게 되는바, 이는 리이드척(51)이 필심(S)을 물어잡고 있는 상태에서 후퇴하게 됨에따라 블록화된 슬리이브전체와 스프링받침부(15)가 후퇴방향으로의 외력을 받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더(3)와 블록화된 슬리이브 및 스프링받침부(15)가 후퇴하는 양은 같게되고 간격거리 a<d이기 때문에,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최대한으로 슬리이브(4)의 후퇴가능한 거리는 a(슬리이브돌기(41)가 슬리이브후퇴규제계단부(23c)에 의해 후퇴가 규제되어지는 거리)가 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더(3)가 후퇴하게 될 때 간격거리 d와 a 및 c 사이에는 d>a>c 관계가 성립되기 때문에, 위에서 설명한 최대후퇴거리인 후퇴간격거리 a를 후퇴하는 과정에서, 먼저 슬라이더본체(31)의 걸림돌기(35)가 슬라이더받침부(8)의 슬라이더스톱퍼(81)를 타고넘은후 슬라이더본체(31)의 뒷끝이 제2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슬라이더받침부(8)의 뒷끝으로부터 돌출되어지게 된다.
여기서 슬라이더본체(31)의 뒷끝과 돌출바아(10)의 볼록부앞끝부위(104a) 사이에는 상술한 바와같이 슬라이더(3)와 블록화된 슬리이브(4)가 일체적으로 후퇴하기 때문에 제2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간격거리 b가 유지되어진다.
이어 슬라이더(3)를 누르고 있던 지면으로부터 떼어내면 블록화된 슬리이브(4) 및 스프링받침부(15)가 제3스프링(12)이 밀어붙이는 힘에 의해 스프링받침부(15)의 앞끝이 선단캡(2)의 뒷 끝에 맞닿게될때까지 앞으로 나아가게 되는데, 이렇게 전진할때에는 리이드척(51)이 필심(S)을 물어잡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 이러한 전진동작을 함에 있어 제3스프링(12)이 앞쪽으로 밀어붙여주는 힘이 앞에서 설명된 바와같이 제1스프링(11)의 뒤쪽방향으로의 밀어붙여 주는 힘에 스톱퍼돌기(61)와 마찰계단부(43)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을 더한 것보다 크게 설정되어져 있기 때문에, 이들 반대적인 외력에 대항해서 상기와 같은 전진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슬라이더(3)는 제1스프링(11)의 앞쪽으로의 밀어붙여주는 힘에 의해 전진하게되지만, 제2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슬라이더받침부(8)의 슬라이더스톱퍼(81)와 걸어맞춰진 슬라이더본체(31)의 걸림돌기(35)에 의해 일시 정지하게 되고, 이렇게 슬라이더(3)가 일시 정지해 있는 도중에도 상술한 바와같이 필심송출기구(5)는 필심(S)을 물어잡은 상태에서 전진되어져 오기 때문에, 돌출바아(10)의 볼록부앞끝부위(104a)가 슬라이더본체(31)의 뒷 끝에 맞닿게되어 상기 일시정지 걸림상태가 해제될때까지 필심(S)이 슬라이더(3)에 대해 전진하게 되는바, 그 전진량은 간격거리 b와 같게 된다.
따라서 이 첫 번째의 선단녹크에 의해 제25도 (x=b)에 도시된 상태로 되어 필심(S)이 슬라이더파이프(32) 앞끝보다 b의 길이로 돌출되어져 있게 된다.
(나) 다음 두 번째의 선단녹크는 제2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슬라이더파이프(32) 앞끝으로부터 필심(S)이 돌출되어져 있는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경우인바, 이 경우 필심(S)의 돌출양(X)과 간격거리(a)-간격거리(C) 사이에 X간격거리(a)-간격거리(c) 관계가 있게되는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슬라이더파이프(32)로부터 X+b의 길이로 돌출된 필심(S)이 얻어지게 된다. 여기서 이해를 쉽게하기 위해 그 일예로서 구체적인 수치를 대입해서 설명한다.
예컨대 b=0.8mm, c=1.3mm, a=1.7mm, x=0.3mm (a-d=0.4mm)로 한 상태에서 선단녹크를 해주게되면, 먼저 슬라이더파이프(32) 앞끝으로부터 돌출된 양인 후퇴거리 X까지는 블록화된 슬리이브(4) 및 스프링받침부(15)만 필심(S)과 함께 제3스프링(12)의 밀어붙어주는 힘 및 스톱퍼돌기(61)와 마찰계단부(43) 사이에 마찰력에 대항하여 후퇴하게 된다. 그 다음에는 첫 번째 선단녹크와 마찬가지로 슬라이더(3)가 블록화된 슬리이브(4)와 스프링받침부(15)와 함께 후퇴하게되고, 그에따라 블록화된 슬리이브(4)의 슬라이더(3)에 대한 후퇴량이 X=0.3mm만큼 커지게 된다. 여기서 슬라이더(3)의 후퇴가능거리는 슬리이브후퇴규제계단부(23c)에 의해 그 후퇴량이 규제되어지게 되어 슬리이브(4)와의 관계에서 남게되는 a-x=1.7mm-0.3mm=1.4mm 밖에 후퇴할 수가 없게 된다. 그리고 그 후퇴과정에서 슬라이더(3)의 걸림돌기(35)가 슬라이더받침부(8)의 슬라이더스톱퍼(81)를 타고넘게 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같이 블록화된 슬리이브(4)는 슬라이더(3)보다 그 후퇴되는 량이 x=0.3mm만큼 크기 때문에, 돌출바아(10)의 볼록부 앞끝부위(104a)와 슬라이더본체(31)의 뒷끝과의 이격거리는 b+x가 된다.
이어 슬라이더(3)를 눌러져 있는 지면으로부터 떼어내게되면, 상술한 첫 번째 선단녹크와 마찬가지로 블록화된 슬리이브(4)가 필심(S)을 물어잡은 상태로 전진하게 된다.
한편, 슬라이더(3)는 그 걸림돌기(35)에 걸어맞추어지는 슬라이더스톱퍼(81)에 의해 일단정지되고 난 다음에는, 첫 번 선단녹크와 마찬가지로 슬라이더(3)에 대해 필심(S)을 송출시켜주게된다. 즉 슬라이더(3)가 일시 정지하고 있는 도중에도 필심송출기구(5)는 필심(S)을 물어잡은 상태에서 전진해오기 때문에, 돌출바아(10)의 볼록부앞끝부위(104a)가 슬라이더본체(31)의 뒷 끝에 맞닿아져 상기 일시정지걸림이 해제될때까지 필심(S)이 슬라이더(3)에 대해 전진하게되는데, 그 전진량은 상술한 바와같이 b+x와 같게 된다.
따라서 두 번째 선단녹크에 의해 제25도에 도시된 상태로 되돌려서 필심(S)이 슬라이더파이프(32)의 앞끝으로부터 x+b의 길이로 돌출되게 된다.
한편, x>a-c=0.4mm인 경우에는, 상기 슬라이더(3)가 슬리이브후퇴규제계단부(23c)에 의해 그 후퇴가 규제된 슬리이브(4) 때문에 슬라이더스톱퍼(81)에 걸러질때까지 후퇴할 수 없게 됨에 따라, 슬라이더(3)가 슬라이더받침부(8)의 슬라이더스톱퍼(81)에 걸러져 일시정지하게되는 상태가 일어날 수 없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같은 돌출량의 조정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즉 몇번 선단녹크를 해주어도 필심송출이 수반되지 않는 선단녹크가 반복됨에 그치기 때문에, 항상 변함없는 돌출량(x) 그대로의 상태로 필심(S)이 돌출되어져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샤아프펜슬은 3가지 형태로 필심송출동작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고, 필기도중에 필심(S)을 물어잡고 있는 필심송출기구(5)등이 블록화된 슬리이브(4)와 스프링받침부(15)는 제3스프링(12)djp 의해 앞쪽방향으로 밀어부쳐져 있게됨에 따라, 필기도중 필심(S)에 과대한 필압이 작용되는 경우, 블록화된 슬리이브(4)와 스프링받침부(15)가 제3스프링(12)을 압축해서 후퇴하기 때문에 본 고안 샤아프펜슬은 과대필기압력을 완충시켜 주는 기능을 갖게되는 것이다.
다음에는 본 고안 샤아프펜슬의 슬라이더(3)의 체결수납조작에 대해 제1도와 제29도를 참조로 설명한다.
슬라이더(3)가 체결되어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 필심파이프(13)의 뒷끝을 녹크해주고 (이 경우 상기 리이드척(51)이 이 필심(S)을 개방시켜주고 있기 때문에 블록화될 슬리이브(4)는 상술한 선단녹크와는 달리 뒤쪽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또 슬라이더파이프(32)를 지면에다 눌러주게되면, 슬라이더(3)는 제1스프링(11)을 압축하면서 후퇴하게 되는데, 이 후퇴과정에서 슬라이더(3)의 뒷끝이 돌출바아(10)를 뒤쪽으로 눌러주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더(3)가 지면으로 눌려지는 힘은 돌출바아(10)의 볼록부(104)와 원통형링(9)의 오목부(93a)가 걸어맞춰지는 힘보다 크기 때문에, 돌출바아(10)만 뒤쪽으로 눌러져 이동하게 되어 제2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돌출바아(10)의 볼록부(104)가 원통형링(9)의 오목부(93b)에 걸어 맞춰지게 된다.
따라서 이 돌출바아(10)가 뒤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슬라이더(3)의 체결수납공간이 확보되게되어 상기 슬라이더(3)가 체결수납될 때 선단캡(2)의 앞끝으로부터 극히 슬라이더파이프(32)의 극히 적은 부분만이 돌출되어져 있게 되기 때문에 효율적인 슬라이더(3)의 체결수납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에는 슬라이더(3)의 체결해제와 필심송출조작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체결해제와 필심송출은 후단녹크를 해주는 것만으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렇게 후단녹크를 해주게되면 슬리이브(4)와 필심송출기구(5)가 함께 전진해서 돌출바아(10)의 볼록부앞부위(104a)에 의해 슬라이더(3)의 뒷끝이 강한 힘으로 앞쪽으로 눌러져 슬라이더(3)의 걸림돌기(35)가 슬라이더스톱퍼(81)에 걸어맞춰져 있는 것을 해제시켜주게 됨과 더불어, 후단녹크에 의한 필심송출이 이루어지게 되고, 그후 슬라이더(3)는 제1스프링(11)에 의해 제25도와 같은 상태로 되돌려져 필기를 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또 돌출바아(10)도 리이드척(51)의 앞 끝에 의해 눌러져 전진해서 제2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원통형링(9)의 앞쪽의 오목부(93a)로 이동하게 된다.
제30도는 연결부(7)와 필심파이프(13)를 일체로 형성시켜 놓은 실시예이다.
또 도면에 도시되어져 있지 않지만, 제1 실시예에 있어서 필심파이프(13) 앞 끝에 있는 척개폐기구(14)를 생략하고 필심파이프(13) 앞끝을 직접 연결부(7)에다 착탈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억지끼움으로 끼워넣어주어도 좋다.
제31도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해 놓은 것인바, 즉 선단캡(2)을 선단캡본체(2A)와 연결원통(2B) 2부분으로 분할된 것을 합체시켜 놓은 선단캡으로 형성시켜 놓은 것인데, 여기서 상기 연결원통(2B)은 그 앞끝쪽에 선단캡연결부(21B1) 외통연결부(21B2)를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외통연결부(21B2) 뒷끝에는 뒤쪽원통부(22B)가 연장형성되어져 있으면서 이 뒤쪽원통부(22B)가 제1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뒤쪽원통부(22)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제1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된 1쌍의 미끄럼이동홈(23)과 슬릿트(24)를 갖고, 또 상기 1쌍의 미끄럼이동홈(23)에는 슬리이브돌기미끄럼이동홈(23a)과 스톱퍼돌기 미끄럼이동홈(23b) 및 슬리이브후퇴규제계단부(23c)가 형성되어져 있으며, 또 제1도에 도시된 슬라이더(3)의 슬라이더파이프(32)보다 큰 직경으로 예컨대 계단차지게 형성된 슬라이더파이프(32a)가 슬라이더본체(31)의 앞 끝에 끼워맞춰져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 샤아프펜슬에 의하면, 돌출바아가 필심송출기구의 앞끝쪽에 슬라이더의 체결해제 및 체결수납시켜주도록 이동되게 장착되면서 필심(S)을 둘러싸는 형태로 관통시키고, 또 슬라이더를 앞쪽으로 밀어붙여주는 스프링도 걸려지게 하는등 1개의 부품으로 여러 가지 기능을 하도록 구성되어져 있기 때문에, 부품의 수가 적어지게될 뿐만아니라 필심(S)이 부러지는 것을 방지해주고 또 부러진 필심이 필심송출기구로 끼어들어가게 되는 것을 방지해줄 수가 있게 된다.

Claims (3)

  1. 샤아프펜슬의 필심송출기구(5) 앞끝쪽에 장착되는 바아본체(100)와, 이 바아본체(100) 내부에 축방향으로 연장된 원통부(101), 이 원통부(101)내에 형성되어져 필심(S)을 감싸주는 식으로 관통시켜주게되는 필심도통구멍(102) 및, 슬라이더(3)를 앞쪽으로 밀어붙여주는 제1스프링(11)의 뒷끝을 걸어주는 걸림부(103)를 갖춘 샤아프펜슬의 돌출바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아본체(100)는 필심송출기구(5)에 이동되어질 수 있도록 장착되면서 그 걸어맞춰지는 힘이 슬라이더(3)가 체결될 때 걸려지는 힘보다 크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아프펜슬의 돌출바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아본체(100)는 슬라이더(3)를 앞쪽으로 밀어붙여주는 제1스프링(11)을 상기 슬라이더(3)의 내부위치에서 걸려지도록 해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아프펜슬의 돌출바아.
KR2019870013631U 1987-05-02 1987-08-14 샤아프펜슬의 돌출바아 KR90000444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67102 1987-05-02
JP1987067102U JPS63176685U (ko) 1987-05-02 1987-05-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21635U KR880021635U (ko) 1988-12-24
KR900004444Y1 true KR900004444Y1 (ko) 1990-05-21

Family

ID=13335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3631U KR900004444Y1 (ko) 1987-05-02 1987-08-14 샤아프펜슬의 돌출바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3176685U (ko)
KR (1) KR90000444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71913B2 (ja) * 2010-09-29 2015-02-18 ぺんてる株式会社 シャープペンシル
JP2022175826A (ja) * 2021-05-14 2022-11-25 ミクロ株式会社 芯折れ防止機構付きシャープペンシ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21635U (ko) 1988-12-24
JPS63176685U (ko) 198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87237B1 (en) Mechanical pencil
KR900004444Y1 (ko) 샤아프펜슬의 돌출바아
KR910002705Y1 (ko) 샤아프펜슬
KR900004445Y1 (ko) 샤아프펜슬의 유니트블럭부재
US4729684A (en) Mechanical pencil
KR900005504B1 (ko) 샤아프 펜슬
KR900006766Y1 (ko) 샤아프펜슬의 리이드척
KR900003505B1 (ko) 샤아프 펜슬
KR900004447Y1 (ko) 샤아프펜슬
KR910000328Y1 (ko) 샤아프펜슬
KR910005295Y1 (ko) 샤아프펜슬의 리이드척
KR910007433Y1 (ko) 샤아프펜슬의 리이드척
JPH0617588Y2 (ja) シャープペンシルのリードチャック
KR910005222B1 (ko) 샤아프펜슬의 필심송출기구
JPS63281898A (ja) シヤ−プペンシル
KR890002927Y1 (ko) 샤아프펜슬의 마찰부여부재
KR910004176Y1 (ko) 샤아프 펜슬
KR880002478B1 (ko) 샤아프 펜슬
JPH0453980Y2 (ko)
KR880001939B1 (ko) 샤아프 펜슬
JP3779753B2 (ja) 先端チャック式シャープペンシル
KR870002712Y1 (ko) 샤아프 펜슬
KR880001860B1 (ko) 샤아프 펜슬
JPS62212198A (ja) シヤ−プペンシル
JPH022807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5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