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1860B1 - 샤아프 펜슬 - Google Patents

샤아프 펜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1860B1
KR880001860B1 KR1019850009831A KR850009831A KR880001860B1 KR 880001860 B1 KR880001860 B1 KR 880001860B1 KR 1019850009831 A KR1019850009831 A KR 1019850009831A KR 850009831 A KR850009831 A KR 850009831A KR 880001860 B1 KR880001860 B1 KR 880001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tip
slider
sleeve
chu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9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5823A (ko
Inventor
히데헤이 가게야마
요시히데 미쯔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고도부끼
가게야마 도시히꼬
주식회사 수한양행
윤휘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고도부끼, 가게야마 도시히꼬, 주식회사 수한양행, 윤휘정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고도부끼
Priority to KR1019850009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1860B1/ko
Publication of KR870005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5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1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22Writing-cores gripping means, e.g. chuck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샤아프 펜슬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1실시예의 종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절개링의 사시도.
제4(a)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리이브와 선단연결부의 결합 부분단면도.
제4(b)도~제4(g)도는 제4(a)도의 각각 다른 실시예로서의 평면도.
제5도 및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각각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리이드척의 요부단면도.
제7도 및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선단캡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쿠션용 제3스프링의 종단면도.
제10도는 선단캡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더의 확대 종단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걸림부를 안쪽에서 본 내부 평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더본체의 평면도.
제14도~제18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필심송출 작동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제19도~제2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샤아프 펜슬의 각각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통 2 : 선단캡
3 : 필심파이프 4 : 선단연결부
5 : 필심송출기구 6 : 리이드 척(Lead Chuck)
8 : 절개링 9 : 선통
10 : 보올지지부 11 : 보올
12 : 제1스프링 13 : 제2스프링
14 : 필심 15 : 내통
16 : 슬라이더(Slider) 17 : 제3스프링
18 : 슬라이더파이프 19 : 슬라이더본체
20 : 마찰부여부재 21 : 걸림부
22 : 파이프
본 발명은 필기하고 있는 종이로부터 필기를 끝내고 필기구를 떼게되면 자동적으로 필심이 송출되어지도록 한 샤아프 펜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선단캡내에서 자유롭게 미끄럼왕복 이동하게된 슬라이더와 여러개의 스프링들이 어우려져서 상기 슬라이더가 용지면으로 눌러지는 힘을 해제하게되면 자동적으로 필심이 송출되어지도록 된 이른바 자동식 샤아프 펜슬이 여러종류 제안되어져 있다. 그러나 이들은 모두 그가 갖고 있는 필심송출기구의 내부구조가 너무 복잡하여 조립작업의 효율이 나쁠뿐만 아니라 부품의 수도 많아져서 제조 가격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내부구조를 간단하게 하고, 또 필심 송출동작도 3가지로 하여 선단 녹크에 의한 필심송출 동작에서는 필심이 돌출해 있지 않는 경우는 물론, 가령 필심이 약간 돌출해 있더라도 항상 일정한 돌출량이 이루어지는 샤아프 펜슬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외통(1)에는 그 선단에 선단캡(2)이, 그 내부에는 앞쪽 축방향으로 미끄럼이동될 수 있는 필심파이프(3)가 배치되어 있고, 이 필심파이프(3)의 선단에는 선단연결부(4)가 감싸져 결합되어 있으며 이 선단연결부(4)의 선단쪽에는 거리 a의 간격을 두고 필심송출기구(5)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선단연결부(4)에는 후술하는 리이드 척(6)의 후단(6b)을 눌러 걸어 맞추어지는 선단구멍(4a)과, 역시 후술하게되는 슬리이브(7)에 형성된 凹부(7a)와 이동하면서 걸어 맞추어지는 凸부(4b)가 갖추어져 있다.
여기서 선단연결부(4)와 슬리이브(7)의 결합은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슬리이브(7)에 부착된 절개링(8)과 이동하면서 걸어 맞추어지는 축방향의 홈(4c)을 선단결합부(4)에 형성시켜도 좋다. 그리고 제4(a)도에서와 같이 상기 슬리이브(7)의 凹부(7a)와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는 凸부(4b)를 선단결합부(4)에 돌출시켜도 무방하며, 또 상기 슬리이브(7)와 선단결합부(4)의 결합은 슬리이브(7)가 선통(9)에 맞닿을때까지는 일체적으로 양자가 이동하고 그후에는 선단연결부(4)만이 전진할 수 있도록 결합되기만 한다면 어떠한 구조로 하여도 상관이 없다.
또 제4(b)도, 제4(c)도는 슬리이브(7)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선단결합부(4)의 凸부(4d)와 이동하면서 걸어맞추어지는 홈(7b)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홈(7b)에는 돌기(7c)가 형성되되 이 부분의 홈폭(A)은 凸부(4d)의 폭보다 작게 형성하고, 슬리이브(7)가 선통(9)에 맞닿을때까지는 凸부(4d)가 홈(7b)의 돌기(7c)에 걸리게 되며, 일체적으로 양자가 이동한다. 그다음 凸부(4d)가 돌기(7c)를 양쪽으로 밀어붙혀 홈(7b)을 밀면서 전진하고, 선단결합부(4)만이 홈(7b)의 선단까지 전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제4(c)도의 경우에는 홈(7b)의 돌기(7c)에 연설해서 凸부(4d)보다 폭이 좁은 경사부(7d)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철부(4d)가 돌기(7c)를 지나쳤을때도 상기 철부(4d)가 경사부(7d)를 밀어 버리면서 전진하게 된다.
또 제4(d)도 슬리브(7)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홈(7b)의 일부에다 철부(4d)에 일정한 저항을 부여하는 조면(7e)이 형성되어 있고, 이 조면(7e)에 의해 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슬리이브(7)가 선통(9)에 맞닿을때까지는 철부(4d)에 저항을 가하여 선단결합부(4)의 슬리이브(7)가 일체적으로 이동하게 되며, 그다음 상기 선단결합부(4)만이 전진하도록 되어 있다.
제4(e)도, 제4(f)도도 마찬가지로 슬리이브(7)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데, 굴곡형상의 홈(7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리이브(7)와 선단연결부(4)도 마찬가지로 이동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특히 제4(e)도의 홈(7b)의 폭(A)은 철부(4d)의 폭(B)보다 좁고, 상기 철부(4d)에 소정의 저항을 주고, 폭(C)은 반대로 철부(4d)의 폭(B)보다 넓어지면서 슬리이브(7)와 선단연결부(4)가 상술한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제4(f)도의 홈(7b)에도 철부(4d)에 소정의 저항을 주는 조면(7e)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4(g)도 슬리이브(7)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굴곡형상의 홈(7b)이 슬리이브(7)에 형성되어 있고, 이 홈(7b)의 폭(A)은 철부(4d)의 폭(B)보다 좁게 형성되며, 상술한 실시예와 같이 슬리이브(7)가 선통(9)에 맞닿을때까지는 양자가 일체적으로 이동하고, 그 다음에는 선단연결부(4)만이 전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단, 제4(b)도~제4(g)도까지의 실시예에서는 1쌍의 철부(4d)및 홈(7b)이 서로 마주보면서 형성되어 있으며, 또 제1도 및 제2도에서는, 슬리이브(7)의 내면 테이퍼벽(7f)의 선단 또는 금속링(7g)의 선단에는 필요에 따라서 환상돌기(7i)를 형성시켜도 좋다. 이렇게 하므로서 보올(11)의 탈락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단,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슬리이브(7)의 후단과 선단연결부(4)의 턱부(4e)는 거리(b)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또, 필심송출기구(5)는 2개로 분할 형성된 리이드 척(6)의 머리부의 보올지지부(10)에 지지된 보올(11)과, 상기 리이드 척(6)을 내부에 장착하고 후단부를 상술한 선단연결부(4)에 걸어 맞추어서 결합된 슬리이브(7), 이 슬리이브(7)와 리이드 척(6)의 걸림단부(6a)의 사이에 탄발장착 된 척체결용의 제1스프링(12)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리이드 척(6)의 머리부에 지지된 보올(11)은 슬리이브(7)의 선단부의 내면 테이퍼벽(7f)과 회전하도록 접촉되어져 있다. 여기서 슬리이브(7) 선단부의 내면 테이퍼벽(7f)에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테인레스링등의 금속링(7g)으로 감싸아 장착하는 경우에는 확실하고도 내구성있는 안정된 회전접촉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리이드 척(6)의 필심이 확실하게 지지되어 내구성이 높아지게 된다.
또, 리이드 척(6)의 후단부에는 선단연결부(4)의 걸림요부(4f)와 걸어 맞추어지는 걸림철부(6b)가 돌설되어 있으나, 상기 요철부를 반대로 형성하여도 상관이 없다. 이 걸림요철부(4f,6b)에 의해 녹크를 해제할때에 리이드 척(6)과 선단연결부(4)가 순간적으로 이탈하므로서 필심송출이 불충분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녹크동작을 할때 리이드 척(6)은 선단연결부(4)에 압압되어 전진하고 선통(9)에 맞닿게 된 다음 선단 연결부(4)의 선단구멍(4a)과 리이드 척(6)의 후단 결합에 의해 상기 리이드 척(6)이 개방되면서 전진하여 필심을 송출하게 된다.
여기서 녹크 해제직후에 있어서도 걸림요부(4f)와 걸림철부(6b)는 슬리이브(7)의 바깥방향 단부(7h)가 후퇴하고 내통(15)의 안쪽방향단부(15a)에 맞닿을때까지 걸려지게 되며, 그동안 리이드 척(6)이 개방되어 필심이 부드럽게 송출된다.
또 상기 제1의 스프링(12)은 후술하는 제2스프링(13)보다도 약한 탄발력을 가지며, 그 후단의 소직경부(12a)에서 리이드 척(6)의 걸림단부(6a)를 조여붙이고 있다. 따라서 이 제1스프링(12)은 통상의 척체결기능과 함께 2개로 분할 형성된 리이드 척(6)의 조임기능도 겸용하게 된다.
단 제1스프링(12)은 제1도, 제2도,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리이드 척(6)의 바깥둘레에 돌출된 돌기부(6c)에 의해서 걸리게 되어 있다.
또 선통(9)의 후단(9a)과 슬리이브(7)선단은 거리 C만큼 이격되어 있고, 이거리(C)는 후술하는 바와같이 후단녹크에 의한 필심을 송출작동할때에 필심이 송출되는 량에 상당하게 된다. 여기서 선통(9)은 예컨데 고무등의 탄성체나 플라스틱등의 합성수지와 같이 변형되어지는 재질로 형성되며, 필기를 하지 않을때 슬라이더(16)를 선단캡(2)내에 수납하여 걸리게 하는 기능을 한다. 이 선통(9)은 제1도,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링형상으로 형성되면서 내통(15)의 선단에 고정되어 있으며,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내통(15)의 선단에 고정된 빠짐방지구(9b)와, 내통(15)사이에 둘러끼워진 절개링 형상으로 하여도 상관이 없다.
또한 선통(9)은 제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선단쪽에 돌부(9c)를 형성시키므로서 내통(15)에 둘러끼워진 절개링형상으로 할 수 있는데, 이 선통(9)에서는 후술하는 선단녹크등에 의해 필심송출기구(5)가 후퇴하더라도 돌부(9c)에 의해 선통(9)의 이탈등이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제3도 및 제4도의 선통(9)은 절개링 형상이므로 슬라이더(16)가 후퇴할 경우에 직경이 크게 변형되어 슬라이더(16)를 부드럽고 확실하게 끼워 걸리게 한다. 이에 대해서, 제1도 및 제2도의 선통(9)에서는 링형상으로 슬라이더(16)를 부드럽게 하면서 확실하게 걸리게 하기때문에 슬라이더(16)에 직경방향으로의 신축을 가능하게 하도록 도시되지 아니한 슬릿(S)을 형성시켜도 좋다.
단, 이 실시예에서는 리이드 척(6)을 2개로 분할 한것을 도시하였으나 3개 이상으로 분할 형성시켜도 상관이 없으며, 또 그 반대로 단일체로 형성시켜도 무방하다. 그리고 이 리이드 척(6)이 축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호 접촉부에 요철걸림부나 이탈방지용의 오돌도돌한 조면을 형성시켜도 된다. 또, 리이드 척(6)의 직경의 일부는 내통(15)의 내경과 거의 비슷하게 하므로서 제1스프링(12)의 후단이 리이드 척(6)의 돌기부(9c)에 의해 확실히 걸리어 맞추어지게 되어 리이드 척(6)의 상하좌우의 흔들림이나 이탈을 확실하게 방지하게 된다. 또 리이드 척(6)의 보올지지부(10)는 단지 보올(11)을 지지하는 구멍으로 되어 있으나 상기 보올(11)이 이탈하지 않는 어떠한 형상으로 하여도 상관이 없고, 단지 보올(11)이 상기 보올지지부(10)내에서 회전 할 수 있게만 되면 된다.
그리고 상술한 필심송출기구(5)는 내통(15)에 그 대부분이 수납되어 있으며, 이 내통(15)은 외통(1)내에서 축방향으로 미끄럼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내통(15)의 선단에는 후술하는 바와같이 슬라이더(16)를 눌러 밀게함과 동시에 슬리이브(7)의 전진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선통(9)이 끼워 맞추어지는 한편, 내통(15)의 후단과 선단연결부(4)의 사이에는 제3스프링(17)이 탄발설치되어 있다. 또 이 내통(15)의 내벽에는 슬리이브(7)의 바깥방향의 단부(7h)와 걸어맞추어지는 안쪽방향의 단부(15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슬리이브(7)는 필기압력에 의하여 저항하는 제3스프링(17)에 의해 앞쪽방향으로 밀어붙혀진 내통(15)에 의해서 앞쪽방향으로 눌러 밀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제3스프링(17)은 다음과 같은 3가지의 기능을 갖는데; ①필심파이프(3)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기능, ②이 제3스프링(17)을 밀어붙이는 힘은 통상의 필기압력보다 강하나, 만일 필기할때 필심(14)에 과대한 필압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내통(15)을 후퇴시키는 쿠션 기능, ③필심파이프(3)의 후단에 지우개(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를 설치하였을때 상기 지우개의 이용시에 지우개를 지지하는 기능이다.
단, 상기 제3스프링(17)은 후술하는 필심을 송출하는 작용때 선단녹크에 의해 후퇴이동하는 내통(15)에 의해 압축방향의 힘이 작용한다. 여기서 필심파이프(3)를 뒷쪽 방향으로 미는 지우개 지지기능을 소정의 강한 미는 힘으로 밀게하고 또한 선단녹크를 가볍고 부드럽게 하기위하여 내통(15)을 앞쪽방향으로 소정의 약한 미는힘으로 밀게하는 것이좋다. 여기서 제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3스프링(15)의 감긴수를 전방쪽과 후방쪽으로 변화시키고 그 중앙부를 외통(1)의 내벽에 맞닿게 하여 전방쪽으로 미는힘을 약하게하고 후방쪽으로 미는힘을 약하게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제1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선단연결부(4)의 바깥둘레에 일부에 바깥방향으로 벌어지려는 신축편(4g)을 형성시켜, 외통(1) 내벽과의 마찰에 의해 선단연결부(4)의 후방 이동에 소정의 반력을 미치게하는 것도 좋다.
또, 선단캡(2)의 내부에는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슬라이더(16)가 배치되어져 있는데, 이 슬라이더(16)는 슬라이더파이프(18)를 중심부에 장착한 슬라이더본체(19)와, 이 슬라이더본체(19)의 내부에 장착되어 필심(14)에 일정한 마찰압력을 부여하게 되는 마찰부여부재(20)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이 슬라이더(16)는 그 후단이 선단캡(2)에 고정되어 걸림부(21)에 장착된 제2스프링(13)에 의해서 전방으로 밀려지게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마찰부여부재(20)는 필심(14)에 대해서 일정한 마찰력을 발생시키고 후술하는 자동적으로 필심을 송출하는 작동을 할때 제1스프링(12)의 탄발력보다 크고, 제2스프링(13)의 탄발력과 거의 비슷하거나 약간 크게된다. 따라서 후술하는 자동적으로 필심을 송출하는 작동을 할때에 제2스프링(13)에서 앞쪽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더(16)의 마찰부여부재(20)로 부터의 마찰력에 의해 약한 제1스프링(12)을 압축시키고 필심(14)을 앞쪽방향으로 송출시킨다. 그리고 이 슬라이더(16)의 후퇴는 걸림부(21)의 선단에 단부(19a)가 맞닿아 접하는 거리 a까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걸림부(21)의 후단측에는 제1도, 제11도 및 제1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직경방향(화살표 "가" 방향)으로 신축가능한 탄발부(21a)가 본실시예에서는 2개가 신설되어 있으나 여러개로 하여도 상관은 없다.
이 탄발부(21a)의 안쪽둘레 위치에는 슬라이더본체(19)의 돌기(19b)와 걸어 맞추어지는 내벽돌기(21b)가 돌설되고 이들 양자의 걸어맞춤에 의해 슬라이더(16)를 일정한 중간 부분에 정지시킬 수가 있다.
또 슬라이더(16)를 소정의 중간부분에 정지시키는 수단으로서는 제1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슬라이더본체(19)에 직경방향(화살표 "나" 방향)으로 신축가능한 여러개의 가늘고 긴 탄발부(19c)를 신설하고, 이 탄발부(19c)에 걸림부(21)의 내벽돌기(21b)와 걸어 맞추어지는 돌기(19b)를 형성시켜도 좋다. 여기서 제13도에 도시된 슬라이더본체(19)의 측면에는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같이 슬릿(S)이 형성되어 있다.
단, 거리(e)는 도시된 바와같이 슬라이더(16)가 후퇴해있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16)의 후단과 선통(9)사이의 이격거리는 후술하는 바와같이 선단녹크에 의해 필심이 송출되어지는 작동때에 필심의 송출량에 해당한다. 또 내벽돌기(21b)뒷쪽과 돌기(19b)앞쪽의 거리(f, 즉 양자가 걸어맞추어지는 거리)와 거리(e)의 사이에는 f>e의 관계가 성립한다.
그리고 상술한 거리 a와 b사이에는 a<b의 관계가 성립하고, 또 거리 a와 d사이에는 필심(14)의 불균형 상태가 있으므로 리이드 척(6)이 필심(14)을 물고 있는 상태에서 ①a≒d나 ②d가 a보다 통상적 범위에서 약간 큰 2가지 형태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한 바와같이 하므로서 후술하는 제2선단녹크를 할 경우 필심(14)의 돌출량을 일정 또는 일정에 가깝게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①,②이외에 거리(a)가 상식적인 범위에서 거리(d)보다 약간 크더라도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필심(14)의 돌출량이 확보되며 아무런 문제가 없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필심이 송출되는 동작 및 슬라이더(16)의 격납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1)필심송출동작은 3가지가 있다. 우선 제1수단은 필심파이프(3)의 후단을 녹크동작하므로서 이루어지는 통상적인 수단이다. 즉,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요철부(7a,4b)또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절개링(8)을 통해 선단연결부(4)에 걸어 맞추어지는 슬리이브(7)는 녹크동작에 의해 필심파이프(3)등과 함께 전진하지만, 선통(9)의 선단에 맞닿아서 정지하게 된다. 그러나 필심 파이프(3)와 일체로 된 선단연결부(4)는 다시 앞쪽방향으로 밀어 눌러지게 되며 상기 슬리이브(7)의 내벽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전진한다. 그리고 리이드 척(6)의 후단을 앞쪽방향으로 밀어 눌러지게하여 통상적으로 필심이 송출되어지게 한다.
제2수단으로서는 필기도중에 필기를 중단하므로서 자동적으로 필심이 송출되어지는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인데, 즉 필기는 통상적으로 제1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필심(14)이 슬라이더파이프(18)로 부터 일정량(X)을 돌출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이루어지고 필기를 함에 따라서 필심(14)이 순차적으로 마모되어 가면서, 제1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슬라이더파이프(18)의 선단과 필심의 선단면이 동일면에 위치한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도 슬라이더(16)는 뒷쪽방향에 대하여 제2스프링(13)의 미는 힘에 대항하여 후퇴가 가능하므로 다시 최대한으로 제1도, 제2도 및 제15도에 도시된 후퇴거리(e)까지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필기에 의한 필심(14)의 마모량이 후퇴거리(e)가 될려면 상당히 오랜 시간의 필기를 요하게 되는데, 이와 관련하여 통상적인 성인의 필압으로 농도 HB, 필심직경이 0.5㎜의 샤아프 펜슬로 고급용지에 한자 1자를 필기하는 경우의 필심소모량은 0.01㎜정도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슬라이더(16)가 후퇴거리(e)를 후퇴할때까지 연속적으로 필기를 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므로 반드시 필기도중에 잠시 쉬거나 멈추게 된다.
그래서, 예컨데 제16도에 도시된 상태로 필기를 중단하고 슬라이더 파이프(18)의 선단을 필기하고 있는 종이로부터 이탈시키게 된다. 따라서 슬라이더(16)는 제2스프링(13)의 탄발력에 의해 전진함과 더불어 필심(14)도 마찰부여부재(20)로부터 마찰력에 의해 슬라이더(16)와 더불어 전진방향으로 이끌린다.
한편, 필심(14)을 물고 있는 리이드 척(6)의 척체결력은 제2스프링(13)보다 약한 제1스프링(12)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상술한 필심(14)의 전진방향의 이끌리는 힘에 의해서 압축되면서 리이드 척(6)전체를 전진시키게 된다. 이 전진 이동할때 리이드 척(6)의 머리부는 보올(11)이 슬리이브(7)의 테이퍼내벽(7f)에 회전 접촉하여 전진을 하므로 리이드 척(6)의 필심조임력이 약해져서 필심(14)의 송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에 의하여 제15도에 도시된 상태로 다시 복귀하고, 자동적으로 필심이 송출되는 동작이 이루어지어 필기가 가능해지고 최대한으로 슬라이더(16)의 후퇴거리(e)까지의 연속필기를 할 수가 있게된다.
제3수단은 슬라이더(16)의 선단을 필기하고 있는 종이에 누르는 선단녹크에 의해 필심송출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인바, 선단녹크에는 다음 2가지의 경우가 있으나 그 작용이 각각 다르므로 각 경우를 각각 설명한다.
i)제1선단녹크는 제1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슬라이더파이프(18)의 선단으로부터 필심(14)이 돌출해있지 않는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경우이며 항상 슬라이더파이프(18)로 부터 거리(e)의 길이로 필심(14)이 돌출해 있는 제11도 및 제14도(x=e)의 상태가 얻어진다.
즉, 선단 녹크에 의해 리이드 척(6)은 필심(14)을 조여 물고 있는 상태로 후퇴함과 동시에 슬라이더(16)도 후퇴한다. 양자와 후퇴량은 동일량이며 최대한으로 제1도, 제2도에 도시된 후퇴거리(d)까지 후퇴가 가능하다.
상기 리이드 척(6)이 후퇴할때에 제1도, 제2도에 도시된 거리(a)와 (d)사이에는 상술한 바와같은 관계가 있으므로 리이드 척(6)의 후단이 선단연결부(4)에 맞닿는 경우(a<d의 경우)를 제외하고 항상 필심(14)을 조여물고 있는 상태로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리이드 척(6)의 후퇴에 따라 안쪽 및 바깥단부(15a,7h)를 통하여 내통(15)및 선통(9)이 제3스프링(17)의 미는힘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된다.
한편, 슬라이더(16)의 후퇴시에 거리(d),(e),(f)의 사이에는 d>e, d<f의 관계가 성립하므로 최대 후퇴거리(d)로 후퇴하는 과정에서, 우선 슬라이더 본체(19)의 돌기(19b)가 걸림부(21) 내벽돌기(21b)를 지난다음, 슬라이더본체(19)의 후단이 제1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걸림부(21)의 후단으로부터 돌출하게 된다.
여기서, 슬라이더본체(19)의 후단과 선통(9)사이는 제1도, 제2도 및 제17도의 상태에서와 같이 거리(e)가 유지되어 있다. 그다음, 슬라이더(16)를 밀고 있던 필기하고 있는 종이로부터 이탈시키면 슬리이브(7), 리이드 척(6)등의 필심송출기구(5) 및 내통(15)은 주로 제3스프링(17)의 미는힘에 의해서 선통(9)이 선단캡(2)의 단부(2a)에 맞닿을때까지 전진한다.
이러한 전진을 할때 리이드 척(6)은 필심(14)을 조여물고 있는 상태로 지지하고 있게 된다.
한편, 슬라이더(16)는 제2스프링(13)의 미는힘에 의해 전진하지만 제1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내벽돌기(21b)와 걸어맞추어지는 슬라이더본체(19)의 돌기(19b)에 의해 일시 정지하게 된다. 이 슬라이더(16)의 일시정지 중에도 상술한 바와같이 필심송출기구(5)는 필심(14)을 조여물고 있는 상태로 전진하므로 상기 선통(9)이 슬라이더본체(19)의 후단에 맞닿고, 상기 일시정지하여 걸어맞추어지는 것이 끝날때까지 필심(14)은 슬라이더(16)에 대해서 전진하게 된다. 상기 전진량은 거리(e)와 같다.
따라서 이 제1선단녹크에 의해 제11도, 제14도(x=e)에 도시된 상태가 되는데, 필심(14)은 슬라이더파이프(18)선단보다 거리(e)로 돌출해 있다.
ii)다음, 제2선단녹크는 제1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슬라이더파이프(18)선단으로 부터 필심(14)이 돌출해 있는 상태로 이루어지는 경우로서 현재의 필심(14) 돌출량에 관계없이 항상 슬라이더파이프(18)로 부터 일정길이(e)가 돌출된 제11도, 제14도(x=e)에 도시된 상태가 얻어진다.
또한, 제1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필심(14)의 현재 돌출량을 (X)로 하고, 이 상태에서 선단녹크를 행하면 우선 후퇴거리(X)까지는 필심송출기구(5) 및 내통(15)만이 필심(14)과 함께 후퇴한다. 그 다음에는 제1선단녹크와 마찬가지로 필심송출기구(5), 내통(15)과 함께 슬라이더(16)가 후퇴한다. 따라서 리이드 척(6)은 슬라이더(16)에 대해서 후퇴량이 (x)만큼 크게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리이드 척(6)이 후퇴시에 거리(a)와 (d)사이에는 상술한 바와같이 ①~③의 경우가 있는데, ①의 경우 즉 a=d의 경우에는 후퇴량(x)의 증가에 의해 리이드 척(6)의 후단이 선단연결부(4)의 선단구멍(4a)에 맞닿게 된다. 이 맞닿음에 의해 리이드 척(6)의 머리부는 바깥방향으로 벌어지는 힘이 생기므로 필심의 미끄럼운동에 의해 리이드 척(6)에 들어가게 된다.
결국, 필기용지를 누르기전에 필심(14)의 돌출량(x)이 어떤 상태가 되어도 전혀 문제가 되지 않을뿐만 아니라, 제1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필심(14)과 슬라이더(16)의 면이 일치된 상태로 되게 된다.
그리고 그 다음에 슬라이더(16)와 필심송출기구(5)등은 제1선단녹크와 똑같이 동작하고, 제11도, 제14도(x=e)에 도시된 바와같이 슬라이더(16)로 부터 필심(14)이 돌출량 e의 상태로 돌출하게 된다.
또, 상기 ②의 경우 즉 d가 a보다 상식적인 범위로 큰 경우에는, 상기 ①의 경우보다도 필심(14)의 퇴물전에 리이드 척(6)후단과 선단연결부(4)가 맞닿는 것만이 다르다. d>f인 경우 슬라이더(16)가 돌기(19b)와 내벽돌기(21b)의 걸어맞추어짐에 의해 일시적으로 정지되므로 제1의 선단녹크와 마찬가지로 일시정지한 슬라이더(16)에 대해서 필심송출기구(5)가 필심(14)을 길이(e)만큼 전방으로 이동시키므로, 돌출량은 항상 길이(e)가 된다.
다시, ③의 경우 즉(a)가 상식적인 범위로(d)보다 큰 경우에는, ②의 경우와 반대로 리이드 척(6)과 선단연결부(4)가 맞닿는 시기가 늦어지게 되므로 돌출량(x)의 전체를 필심미끄럼에 의해 밀어넣지 않고 미소량 α가 남게 된다. 따라서 선단녹크후에 필심은 (e)+α의 돌출량이 되지만, α는 ③의 조건하에서는 작으므로 필기에는 그다지 문제가 되지 않는다.
(2)다음에 슬라이더 격납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컨데 필기를 하지 않고 주머니 등에 보관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우선 필심파이프(3)의 후단을 녹크한다음 슬라이더(16)의 슬라이더파이프(18)를 필기용지면 등으로 부터 누른다. 이 상태에서는 필심(14)이 리이드 척(6)에 물려 있지 않으므로 필심송출기구(5)등은 후퇴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는 슬라이더(16)와 이 슬라이더 마찰지지된 필심(14)만이 후퇴하고 슬라이더(16)가 걸림부(21)의 내벽돌기(21b)를 지나간뒤, 다시 후퇴해가는 과정에서 선통(9)의 내부에서 끼워져 걸리게 되며 슬라이더파이프(18)의 선단이 선단캡(2)내에 보관되므로서 격납동작은 완료된다.
다음에 격납상태를 해제하고자할 경우에는 필심파이프(3)의 후단을 녹크하면 리이드 척(6)의 선단이 슬라이더(16)를 걸리게 하고 있는 선통(9)을 눌러밀고, 이 걸림을 해제하면, 슬라이더(16)는 제2스프링(13)의 미는힘에 의해 슬라이더파이프(18)가 선단캡(2)으로 부터 돌출하게 된다.
제19도 내지 제20도에 도시된 슬라이더(16)는 격납되어 있지 않지만 그 이외는 상술한 내용과 같은 동작을 하는 샤아프 펜슬로서 제10도는 녹크동작에 의해 확실하게 필심송출동작이 행해지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와는 선통(9), 리이드 척(6)의 후단 및 선단 연결부(4)의 형상이 다를뿐이다.
이 실시예에서의 선단연결부(4)는 리이드 척(6)의 후단과(A)의 간격을 유지하게 하고, 단지 눌러밀어서 이동되기 때문에 선단구멍(4a)이 생략되어 있으며, 또 리이드 척(6)후단의 걸림철부(6b)도 생략되어 있다. 한편, 상기 선통(9)은 그 생략된 중심에 원추형부분(9d)이 형성되어 있는바, 이것은 상기 리이드 척(6)이 선단연결부(4)에 의해 눌러 밀어져 전방이동된 경우 리이드 척(6)을 개방 방향으로 벌리는 것이다. 그리고 리이드 척(6)의 선단과 선통(9)의 원추형부분(9d)과의 거리(B)와, 선통(9)의 아래부(9e)와 슬리이브(7)의 선단의 거리(C)사이에는 B
Figure kpo00001
C의 관계가 있다.
따라서 후단 녹크에 의해 선단연결부(4)가 전진하고 이 전진에 의해 리이드 척(6) 및 슬리이브(7)가 전진한다. 그리고 리이드 척(6)의 선단이 먼저 선통(9)에 맞닿고, 상기 선통(9)의 원추형부분(9d)에 의해 서서히 개방된다. 그 다음에는 후단녹크를 해제하므로서 슬리이브(7)와 리이드 척(6)이 후퇴하여 서서히 리이드 척(6)이 닫혀진다.
이와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필심이 송출되어지는 것이 확실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 선통(9)은 제2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리이드 척(6)의 선단을 둘러싼 형상으로 형성되며, 더구나 상기 리이드 척(6)의 선단을 작은직경으로 할 수 있으므로 제1도,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보올(11)의 탈락방지용돌기(71)를 꼭 설치할 필요는 없고, 물론 이것을 설치하는 자체에도 별지장은 없다.
단, 선단연결부(4)의 선단측에는 선단구멍(4a)이 형성되고 선단녹크를 할때에 필심이 미끄럼운동을 일으켜 상술한 실시예와 같이 필심(14)의 돌출량을 항상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또 리이드 척(6)의 열림은 상술한 바와같이 주로선통(9)의 원추형부분(9c)과 추가적으로 선단연결부(4)의 선단구멍(4a)에서 이루어지므로 상술한 실시예와 같은 걸림요철부(4f,6b)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제21도는 필심송출동작을 부드럽게 행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 실시예에서는 리이드 척(6)의 내벽에 필심(14)을 관통시킨 파이프(22)를 설치한 것이다. 따라서 녹크동작에 의해 상기 파이프(22)의 후단이 선단연결부(4)에 눌러 밀어지게 되면, 이로인해 파이프(22)의 선단이 리이드 척(6)의 선단 내벽경사부(6d)를 열리게 한다. 그리고 녹크해제에 의해 리이드 척(6)이 닫혀지므로 일련의 동작으로 부드럽게 필심이 송출되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리이드 척을 슬리이브로 조여붙이고 이곳에 슬리이브를 내통에서 전방으로 향하게 밀어 지지하는 한편, 선통에서 슬라이더를 일정하게 걸리게하므로 내부구조가 간단해질 뿐만 아니라 필심이 송출되는 동작도 3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선단녹크로 필심이 송출되는 동작에서는 필심이 돌출해 있지 않는 경우도 물론이거니와 가령 일정량 돌출해 있더라도 항상 일정한 돌출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외통(1)내에 축방향으로 쉽게 미끄럼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수납된 필심파이프(3)와, 이 필심파이프(3)의 선단쪽에 배치되어 필심(14)의 전진은 허용하고 후퇴는 저지시키도록 된 리이드 척(6), 이 리이드 척(6)의 머리부를 둘러싼 슬리이브(7), 이 슬리이브(7)와 상기 리이드 척(6)사이에 끼워진 탄성계수가 작은 척체결용 제1스프링(12), 상기 슬리이브(7)와 맞닿는 쿠션용 제3스프링(17), 상기 리이드 척(6) 선단측에 축방향으로 미끄럼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스프링(12)보다 큰 탄발계수의 제2스프링(13)에 의해 전방으로 밀어붙혀진 슬라이더(16)및, 상기 내통(15)에 장착된 선통(9)으로 이루어진 샤아프 펜슬.
KR1019850009831A 1985-12-26 1985-12-26 샤아프 펜슬 KR880001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9831A KR880001860B1 (ko) 1985-12-26 1985-12-26 샤아프 펜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9831A KR880001860B1 (ko) 1985-12-26 1985-12-26 샤아프 펜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5823A KR870005823A (ko) 1987-07-07
KR880001860B1 true KR880001860B1 (ko) 1988-09-23

Family

ID=19244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9831A KR880001860B1 (ko) 1985-12-26 1985-12-26 샤아프 펜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186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5823A (ko) 1987-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82706A (en) Mechanical pencil
US4270870A (en) Mechanical pencil with chuck closing by normal writing grip
US4358210A (en) Mechanical pencil with chuck closing by normal writing grip
EP0806305B1 (en) Side-knock mechanical pencil
US7207738B2 (en) Writing instrument
US4269524A (en) Mechanical pencil
US4218153A (en) Mechanical pencil
US4729684A (en) Mechanical pencil
KR880001860B1 (ko) 샤아프 펜슬
US4362410A (en) Mechanical pencil
US5971644A (en) Side knock-type writing instrument
KR880001939B1 (ko) 샤아프 펜슬
CN2614919Y (zh) 自动铅笔
KR880000427B1 (ko) 샤아프 펜슬
KR870002710Y1 (ko) 샤아프 펜슬
KR930003576Y1 (ko) 플로터용 샤아프펜슬
KR880002478B1 (ko) 샤아프 펜슬
JP2560818Y2 (ja) シャープペンシルのスライダ
KR880001956Y1 (ko) 샤아프펜슬
KR880001955Y1 (ko) 샤아프펜슬
JPH0344549Y2 (ko)
KR870002713Y1 (ko) 샤아프 펜슬
KR880003396Y1 (ko) 샤아프 펜슬
JPH0245031Y2 (ko)
JPS591839Y2 (ja) シヤ−プペンシ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9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