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4446Y1 - 샤아프 펜슬 필심카트리지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샤아프 펜슬 필심카트리지의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4446Y1
KR900004446Y1 KR2019870016136U KR870016136U KR900004446Y1 KR 900004446 Y1 KR900004446 Y1 KR 900004446Y1 KR 2019870016136 U KR2019870016136 U KR 2019870016136U KR 870016136 U KR870016136 U KR 870016136U KR 900004446 Y1 KR900004446 Y1 KR 9000044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cartridge
cam
opening
out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61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2493U (ko
Inventor
히데헤이 가게야마
노리 야마모토
요시히데 미츠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가게야마 도시히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가게야마 도시히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Publication of KR8900024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4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44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4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03Propelling pencils with lead sections or lead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027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sliding tubelike writing-core gu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16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stepwise feed of writing-core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샤아프펜슬 필심카트리지의 개폐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를 적용한 카세트식 샤아프펜슬의 개략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리이드 가이드가 걸어맞춰질때의 종단면도.
제3a,b,c도는 탄성개폐부의 여러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제4a, b,c도는 본 고안을 적용한 샤아프펜슬의 전체 종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B-B선 단면도.
제6a,b도는 회전캠기구의 설명 사시도.
제7도는 제4도의 B-B선 단면도.
제8도는 캠면의 전개설명도.
제9도는 제4도의 C-C선 단면도.
제10도는 캠과 드라이버의 제2 연결수단을 나타낸 종단면도.
제11도는 캠의 측면도.
제12a도는 제11도의 D-D선 단면도.
(b)도는 제11도의 E-E선 단면도.
제13도는 드라이버의 평면도.
제14a도는 제13도의 F-F선 단면도.
(b)도는 제13도의 G-G선 단면도.
제15도는 제3연결 수단을 나타낸 종단면도.
제16도는 드라이버의 부분 종단면도.
제17도는 캠의 측면도.
제18도는 제4연결수단을 나타낸 종단면도.
제19도는 드라이버의 사시도.
제20도는 캠의 측면도.
제21도는 제5연결수단을 나타낸 종단면도.
제22도는 제1도의 H-H선 단면도.
제23도는 압입걸림부재의 사시도.
제24도는 제6연결수단을 나타낸 종단면도.
제25도는 제24도의 I-I선 단면도.
제26도는 제6연결수단의 단면도.
제27도는 제7연결수단을 나타낸 횡단면도.
제28도는 종래의 필심카트리지의 사시도.
제29도는 종래의 필심카트리지를 사용한 샤아프펜슬의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필심 6 : 리이드가이드
7 : 개폐기구 8 : 개방파이프
9 : 필심카트리지 11 : 탄성개폐부
본 고안은 카세트식 샤아프펜슬 필심카트리지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제2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필기용 필심이 들어 있는 카트리지 전체를 교환시켜지도록 해서 필심을 1개씩 바꾸어 넣어주게 되는 작업이 번거롭지 않게되고 손도 더럽히는 일없이 필심을 교환하고 보충해 줄 수 있는 이른바 카세트식 샤아프펜슬이 제안되어져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카세트식 샤아프펜슬의 필심 카트리지(1101)는 모두 그 앞끝에 캡(1102)이 끼워져 있는 것이어서, 샤아프펜슬에다 필심을 교환하거나 보충해줄 때 먼저 캡(1102)을 뽑아내린 다음 필심카트리지의 앞끝이 열려진 상태로 샤아프펜슬의 외통(1103)내에다 끼워넣어주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캡(1102)을 뽑아낸 다음 필심 카트리지(1101)를 조금이라도 아래쪽으로 기울이게 되면 필심 카트리지(1101)로부터 필심(1104)이 쏟아져 나오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필심을 교환할때에는 항상 필심 카트리지(1101)를 윗쪽으로 향한 상태를 유지해주면서 외통(1103)내부로 끼워넣어 주어야 할 필요가 있었다.
또 외통(1103)에서 필심 카트리지(1101)를 뽑아내려할 경우 필심 카트리지(1101)를 조금이라도 아랫쪽으로 향해 기울어지게 필심(1104)이 필심 카트리지(1101)로부터 쏟아져 외통(1103)의 내부에 남아 있게 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종래의 카세트식 샤아프펜슬에서는, 제2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심(1104)이 여러개 넣어진 필심 카트리지(1101)와, 이 필심 카트리지(1101)를 마음대로 끼웠다 뺄수 있도록 그속에 끼워주게 되는 리이드가이드(1105)가 외통(1103)내부에 끼워넣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외통(1103)내에 남아있는 필심을 필심 카트리지(1101)속으로 줏어담기 위해 그 앞끝내면에 테이퍼면부위(1107)를 형성시켜 놓을 필요가 있게됨과 더불어, 외통(1103)의 내부직경을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차형상으로된 안쪽방향계단벽부(1106)가 되도록 형성시켜놓을 필요가 있어서, 이 안쪽방향계단벽부(1106)에 의해 필심 카트리지(1101)의 내부 직경을 가늘게하는데 제한을 받아 필심수납용량이 적어지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안쪽방향계단벽부(1106)를 갖는 외통(1103)을 압출성형으로 성형시켜주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사출성형으로 성형시켜주어야만 하게되어 금형이 압출성형에 비해 비싸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필심의 교환과 보급을 해주기 위해 필기구에 탄발적으로 걸어 맞춰져 있지 않을때에는 탄성개폐부가 열려지고 걸어맞춰져 있지 않을때에는 탄성개폐부가 막혀져, 필심카트리지를 교환할때 필심이 쏟아지는 일이 없을 뿐만 아니라 폐기부품이 없어지고, 또 필기구의 외통을 압출성형으로 성형시켜줄 수 있기 때문에 필심카트리지의 필심수납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필심카트리지의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필심카트리지의 개폐장치는, 리이드 가이드에 걸어맞춰질때에 열려지고 걸어맞춰져 있지 않을때에는 닫혀지는 탄성개폐부를 갖춘 개폐기구를 필심카트리지 앞끝에다 설치해 놓은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서의 개폐장치는, 리이드 가이드에 걸어맞출때 이 리이드가이드에 고정되어 있는 개방파이프에 의해 열려지고, 걸어맞춰져 있지 않을때에는 닫혀져서 필심이 쏟아지는 일등이 전혀 일어나지 않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서 참조부호 1은 샤아프펜슬의 외통이고, 부호 2는 외통(1)의 앞끝에 나사결합된 선단캡, 부호 3은 외통(1)내에 배치된 필심송출기구의 일부로서 필심(4)을 물어 잡아주는 리이드척(5)이 갖추어져 있고, 이 리이드척(5) 뒷끝에는 리이드 가이드(6)가 끼워맞추어져 있다.
여기서 이 리이드척(5)과 리이드가이드(6) 사이에다 이음부재를 마련해 놓도록 설계하여도 물론 지장이 없다.
상기 리이드가이드(6)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앞끝쪽의 리이드척 끼움구멍(61)과 뒷끝쪽의 카트리지 맞춤구멍(62) 및 상기 양쪽 끼움구멍(61,62)을 연통해서 필심(4)을 리이드척(5)으로 1개씩 송출시켜줄 수 있는 내경을 갖는 필심송출구멍(63)을 갖고 있다.
그리고 상기 필심송출구멍(63)의 뒷끝부위에는 뒤에 설명되는 개폐기구(7)를 열어주는 개방파이프(8)가 끼워 맞추어져 있다. 또 제2도의 부호 64는 이 개방파이프(8)를 보다 확실하게 끼워맞춰지게 하는 리브로서, 이 리브(64)에는 필심송출구멍(63)속에 형성되어져 있다. 또 부호 62a는 필심카트리지(9)의 앞쪽위치를 규제해 주는 계단부이다.
그리고 상기 리이드가이드(6)에 필심카트리지(9)가 개폐기구(7)를 매개로 착탈될 수 있게 끼워 연결되어져 있는 바, 상기 개폐기구(7)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심카트리지(9)의 앞끝에 착탈될 수 있도록 장착된 선단플러그(10)와, 이 선단플러그(10)에 끼워맞춰진 탄성개폐부(11)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필심카트리지(9)에는 리이드가이드(6)에 끼워넣어질때 탄성개폐부(11)를 열어주는 개방파이프(8)가 끼워맞추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개폐부(11)는 고무라던가 합성수지등과 같은 탄성변형부재로 형성되어, 리이드가이드(6)로 끼워넣어지기전에는 예컨대 제3a~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심(4)이 홈(11a)을 통과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리이드가이드(6)에 끼워 넣어질때는 제2도의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홈(11a)이 밀려 넣어져서 1개의 필심(4)이 통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필심이 끼워넣어질때 홈(11a)이 넣여지는 양은 직경이 같은 필심(4)은 물론 직경을 달리하는 필심(4)도 통과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되어 있다. 즉 상기 홈(11a)은, ① 직경이 같은 필심(4)만을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리이드가이드(6)에 끼워넣어질때 예컨대 0.5mm, 0.7mm, 0.9mm 등의 1가지 종류의 필심(4)만이 통과될 수 있게 열려지도록 설계해주고, ② 직경을 달리하는 예컨대 0.5mm와, 0.7mm의 필심(4)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할 경우에는 리이드가이드(6)로 끼워넣어질때 어느쪽 필심(4)도 모두 통과할 수 있도록 필심(4)중 가장 굵은 직경보다 크게 열려지도록 설계해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홈(11a)은 리이드가이드(6)에 빠졌을때에는 당연히 어떤 필심(4)도 통과하지 못하도록 구멍의 크기가 변형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는 상기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필심보급과 필심교환 혹은 필기도중에 필심의 유무상태등을 확인하기 위해 리이드가이드(6)에 끼워맞추어진 필심카트리지(9)를 개폐기구(7)가 뽑아내게 되면, 뽑아져 나올때 상기 탄성개폐부(11)의 홈(11a)이 자동적으로 필심(4)의 직경 이하로 되어 필심(4)이 통과할 수 없게 되도록 닫혀지게 되고, 그 때문에 상기 필심카트리지(9)가 뽑아내질때 필심카트리지(9)속에 있던 필심(4)이 그 앞끝구멍으로부터 빠져나와 외통(1)내에 남아있게 되거나 외통(1)밖으로 흘러나오게 될 염려가 없어지게 된다. 이렇게 필심이 외통내에 남아 있게될 염려가 없어져 필심카트리지(9)의 앞끝내면에다 테이퍼면을 형성시킬 필요도 없어지게 되므로써 필심카트리지(9)를 성형시켜줄 때 그 앞끝벽체가 얇아 금형내에서 수지가 잘 흐르지 않게 된다고 하는 제조상의 문제도 없어지게 되다.
또 종래와 같이 외통(1)내의 안쪽방향계단벽부를 형성시킬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외통(1)을 값싼 압출성형으로 형성시켜주는 것도 가능해지게 되고, 필심카트리지(9)의 직경도 크게 해줄 수가 있어 필심수납량을 크게 증대시켜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리이드가이드(6)의 필심송출구멍(63)과 개폐기구(7)의 탄성개폐부(11)에 걸친 상태로 필심(4)이 남아있게 되는 경우, 이 남아있는 필심(4)이 상기 개폐기구(7)가 뽑아내질때의 탄성개폐부(11)가 탄성적으로 막혀지는 작용에 의해 홈(11a)에 물려진 상태로 뽑아져 나오게 된다. 이렇게 필심카트리지(9)가 뽑아내진 다음 필심(4)을 홈(11a)으로부터 잡아당기거나 필심카트리지(9)에 밀어넣어주던가 하면 필심카트리지(9)를 교환할때 상기 남겨진 필심(4)이 부러진다거나 부러진 필심(4)에 의해 리이드가이드(6)가 막혀질 염려가 없어지게 된다.
그리고 새로운 필심카트리지(9)를 외통(1)의 뒷끝으로부터 밀어넣어주게 되면 리이드가이드(6)에 필심카트리지(9)의 앞끝부위가 눌려 걸어맞춰져 개방파이프(8)에 의해 탄성개폐부(11)의 홈(11a)이 열려 필심(4)을 공급해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필심카트리지(9)를 교환할때에 탄성개폐부(11)의 홈(11a)이 개방파이프(8)에 의해 밀려넣여질때까지는 홈(11a)으로부터는 필심(4)이 관통되어지지 않게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필심카트리지(9)내의 필심(4)이 쏟아져 나올 염려가 없게된다. 또 샤아프펜슬을 거꾸로 세워 필심카트리지(9)가 위쪽을 향한 상태가 되도록 해주면서 교환작업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샤아프펜슬의 방향에 관계없이 필심카트리지(9)의 교환작업없이 지극히 간단하고 쉽게 이루어지도록 해주게 된다. 특히 탄성개폐부(11)는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부재를 가지고 형성시켜져 홈(11a)이 안족방향 탄성력을 가지면서 직경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직경이 같은 것만 담겨진 것은 물론 직경을 달리하는 필심(4)이 수납된 새로운 필심카트리지(9)를 위에 설명된 요령으로 리이드가이드(6)에다 부착시켜 필심(4)을 공급해줄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탄성개폐부(11)는 그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홈(11a)의 개폐정도가 조정되어지게 됨으로써 직경이 모두 같거나 또는 직경을 달리하는 필심(4)을 함께 사용할 수가 있게되는 것이다.
제4도 내지 제27도는 본 고안에 따른 필심카트리지의 개폐장치를 샤아프펜슬에다 적용시킨 실시예를 도시해 놓은 것인바, 이하 본 고안의 제1 실시예를 이들 도면에 의거 설명하기로 한다.
제4a,b,c도에 도시된 샤아프펜슬에 있어서, 외통(1)은 앞쪽외통(1a)과 이 앞쪽외통(1a)에 자유로이 회동될 수 있도록 접속된 뒷쪽외통(1b)으로 이루어져, 이 뒷부분외통(1b)을 회동시켜줌으로써 뒤에 설명되는 바와같이 ① 필심(4)의 필심을 송출시켜주는 동작과, ② 슬라이더(13)를 앞쪽으로 이동시켜주는 동작 및, ③ 리이드척(5)을 개방시키고 슬라이더(13)의 수납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외통(1)내부에는 압입고정된 원통어뎁터(15)와 필심송출기구(16), 개폐기구(7)가 설치된 필심카트리지(9, 일명 필심저장파이프) 및 회전캠기구(19)가 갖추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필심송출기구(16)는 원통어뎁터(15)에 회전이 저지되어 고정된 메카니즘어뎁터(110, 제5도 참조)와, 이 메카니즘어뎁터(110)내에 미끄럼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면서 돌기부(6a)가 이 메카니즘어뎁터(110) 뒷끝으로부터 앞쪽을 향해 형성된 축방향홈(110a)내에 미끄럼이동될 수 있도록 걸어맞추어진 카세트 어뎁터(6, 일명 리이드 가이드로서 제4도 및 제6도 참조), 이 카세트 어뎁터(6)의 앞쪽에 끼워맞추어진 리이드척(5), 상기 리이드척(5) 머리부위에 바깥쪽으로 끼워진 척조임링(112), 이 척조임링(112)의 뒷부위에 맞닿아 메카니즘어뎁터(110)내에 미끄럼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된 슬리이브(113), 이 슬리이브(113)와 메카니즘어뎁터(110)의 계단부(110b) 사이에 장착된 쿠션용 제1스프링(114) 및, 상기 슬리이브(113)와 카세트 어뎁터(6)사이에 장착된 척조임용 제2스프링(115)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 상기 메카니즘어뎁터(110)의 앞끝쪽에는 선단캡(2)이 자유로이 착탈될 수 있도록 끼워맞춰지고, 뒷끝쪽에는 원통형상의 상부원통체(116)가 끼워맞춰져 있다.
그리고 상기 선단캡(2)내에는 슬라이더(13)가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져 있는바, 이 슬라이더(13)는 본 출원인이 기히 일본국에 출원한 일본국 실용신안출원 소61-114277호등에 상세히 설명되어져 있다.
그리고 이 슬라이더(13)는 필심안내부재(13a)와, 이 필심안내부재(13a)의 뒷끝에 고정되면서 그 내주면에서 필심(4)을 일정한 마찰저항으로 지지해주게 되는 슬라이더 부재(13b)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선단캡(2)의 앞끝부위 내벽에는 상기 슬라이더 부재(13b)의 필심마찰저항보다 큰 마찰력으로 필심안내부재(13a)를 미끄럼접촉시켜주는 마찰부여부재(117)가 고정되어져 있는데, 여기서 상기 슬라이더 부재(13b)는 ABS수지나 폴리아세탈 같은 재질로 일체로 형성되어져 있다.
한편, 상기 회전캠기구(19)는 제4도 내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버(118)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강고하게 연결고정되면서 캠면(119)을 상기 상부원통체(116)내에 끼워넣어진 캠(120)과 캠베어링(121) 및 캠(12)의 캠면(119)에 맞닿게 되는 미끄럼이동부재(122a)를 갖추어, 캠(120)이 회동하게 되면 축방향으로 미끄럼이동해서 필심(4)의 송출 동작을 이루게되는 종동캠(122)을 갖추고 있다. 여기서 이 종동캠(122)과 메카니즘어뎁터(110)사이에는 복귀용 제3스프링(123)이 장착되어 종동캠(122)의 미끄럼이동부재(122a)를 항시 뒷쪽캠면(119)에 눌러 맞닿게 해주면서 종동캠(122)의 축회전방향으로의 회동을 막아주도록 되어 있다.
또 이 종동캠(122)의 앞끝쪽에는 카세트 어뎁터(=리이드가이드, 6)뒷끝을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수납해서 걸어맞춰주게 되는 어뎁터구멍(122b)이 형성되어져 있는데, 이 어뎁터구멍(122b)에는 제4도,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어뎁터(6)의 회전방지돌기(6c)와 걸어맞추어져 이 카세트어뎁터(6)가 축회전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규제해줌으로써 캠(120)과 일체로 회동시켜주도록 해주는 어뎁터 회동방지홈(122c)이 축방향으로 파여져 있다.
여기서 제4도중 카세트 어뎁터(6)의 뒷끝과 종동캠(122)의 내벽계단부(122d)사이의 거리(a)는 쿠션간격으로 되는 거리가 되는바, 즉 뒤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필심(4)에 과대한 필기압력이 작용할때의 리이드척(5)과 카세트어뎁터(6)등이 후퇴이동되어지도록 해주기 위한 간격으로서의 후퇴허용량이 되는 것이다.
다음에는 캠(120)의 캠면(119) 및 종동캠(122)의 미끄럼이동부재(122a)의 구조에 대해 제6도 및 제8도를 참조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미끄럼이동부재(122a)는 캠(120)의 한쪽방향으로의 회동을 규제해주기 위한 축방향에 따른 스톱퍼면(122a)을 갖고 있다.
한편 상기 캠면(119)는 X점을 경계로해서 ① 리이드척(5)을 개방시켜주기 위한 개방캠면 영역(Y)과, ② 슬라이더(13)이 전진이동과 필심송출동작이 행해지도록 하기 위한 녹크캠면영역(z)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X점에 미끄럼이동부재(122a)가 위치하게 되는 상태는 필기할때와, 샤아프펜슬을 사용하지 않을때, 필심송출동작, 슬라이더(13) 이동 동작 및, 리이드척(5) 개방동작이외의 통상적인 상태에 있는 경우에서이다.
상기 개방캠면영역(Y)은 X점에서 한쪽방향으로 만곡상태로 연장된 개방만곡캠면(119a1)과, 이 개방만캠곡면(119a1)의 끝에 형성된 미끄럼이동부재정지부(119a2) 및 상기 미끄럼이동부재(122a)의 스톱퍼면(122a1)과 맞닿게 되는 개방스톱퍼면(119a3)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제6도에 도시된 화살표(가)방향으로 캠(120)을 회동시켜주게되면, 미끄럼이동부재(122a)가 X점으로부터 만곡캠편(119a1)을 제8도에 도시된 화살표(다)방향으로 이동시켜주게 됨으로써 상기 리이드척(5)이 서서히 개방시켜져서 미끄럼이동부재정지부(119a2)에서 후술하는 바와같이 슬라이더(13)를 수납할때의 척개방체결위치가 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녹크캠면영역(z)은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점으로부터 다른방향으로 연장된 노크만곡캠면(119b1)을 갖고 있는데, 이 녹크캠면(119b1)은 필심송출동작과 슬라이더(13) 전진이동을 겸하는 캠면으로 되어 있다.
즉 제6도의 화살표(나)와 같이 캠(120)을 회동시켜 주게되면, 녹크만곡캠면(119b1)에 의해 미끄럼이동부재(122a)가 제8도의 화살표(라)와 같이 이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종동캠(122)과 리이드가이드(6) 및 리이드척(5)등으로된 필심송출기구(16)가 전진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캠(120)의 회동이 적을 경우(녹크를 작게할 경우)에는 필심송출동작만이 이루어지게 되고, 캠(120)의 회동을 크게할 경우(녹크를 크게할 경우)에는 필심송출기구(16)가 보다 더 전진하게 되므로서 필심송출동작에 이어 슬라이더(13)의 압압전진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캠(120)에는 뒷쪽외통(1b)이 끼워맞추어져 고정된 드라이버(118)가 각종 수단에 의해 연결고정되 있다. 제4도 및 제6도의 도면중 참조부호 124는 드라이버 베어링이다.
제4도 및 제9도는 캠(120)과 드라이버(118)를 연결시켜주는 제1연결고정수단을 도시해 놓은 것으로, 이 실시예에서는 캠(120)의 캠봉(120a) 외주면에 드라이버멈춤계단부(120b)와 회전방지홈(120c)이 형성되어져 있다.
한편, 상기 드라이버(18)의 끼워맞춤부(118a)는 캠봉(120a)의 바깥쪽에서 끼워지도록 된 대략 원통형상을 이루면서, 그 안쪽방향계단부(118b)를 상기 드라이버 맞춤계단부(120b)에, 또 안쪽방향돌출편(118c)을 상기 회전방지홈(120c)에 각각 걸어맞춰주도록 함으로써 양자를 강고하게 끼워맞춰지도록 해준다.
제6도와 제10도 내지 제14도는 제2연결수단을 도시해 놓은 것인바, 이 실시예에서는 캠봉(120a)에는 회전방지홀(120c)과 바깥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면서 직경방향으로 들고날 수 있도록 된 걸림돌출편(120d)등이 형성되어 있는 한편, 상기 드라이버(118)의 원통형상 끼워맞춤부(118a)에는 상기 회전방지홈(120c)에 걸어맞춰지는 안쪽방향돌출편(118c)과, 상기 걸림돌출편(120d)을 사이에 끼워 눌러 넣어주는 오목부(118d)가 형성되어 상기 끼워맞춤부(118a)가 캠봉(120a)에 눌러넣어지게 되어 양자는 견고하게 끼워맞춰지게 된다.
그리고 제10도의 화살표(바)방향으로부터 캠(120)을 상부원통체(116)내에다 끼워넣어 캠봉(120a)의 걸림돌기편(120d)이 드라이버베어링(124)을 통과하게되면, 상기 걸림돌기편(120d)이 직경방향으로 뻗혀져 드라이버베어링(124)에서 빠지지 않게되도록 형성되어져 있다. 또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편(120d)의 홈(120d1)에다 쐐기등을 눌러끼워넣어 보다 확실하게 뻗혀지게 해주어도 좋고, 또 상기 드라이버베어링(124)을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략해주어도 좋다.
제15도와 제16도는 제3연결수단을 도시해 놓은 것으로, 드라이버(118)의 끼워맞춤부(118a)에 여러개의 안쪽방향계단부(118e)를 형성시켜 이를 캠(120)의 캠봉(120a)에 형성된 절곡홈(120e)에다 끼워넣어 비틀어 걸려지게 끼워 맞추어 놓은 것이다.
제18도 내지 제20도는 제4연결수단을 도시해 놓은 것으로, 캠(120)의 캠봉(120a)에 돌기부(120f)를 형성시켜 이를 드라이버(118)의 끼워맞춤부(118a)의 절곡홈(118f)에다 끼워넣어 비틀어 끼워맞춰 놓은 것이다.
제21도 내지 제23도는 제5연결수단을 도시해 놓은 것으로, 캠(120)의 캠봉(120a)에다 드라이버(118)의 끼워맞춤부(118a)를 눌러끼워줌에 있어 이들 양자에 삽입홈(118g,120g)을 형성시켜 놓은 것인데, 이들 양 삽입홈(118g,120g)을 합치시켜 여기에 가로방향으로 압압력을 가해주는 압입걸림부재(125)를 압입해서 캠봉(120a)과 끼워맞춤부(118a)가 견고하게 끼워맞춰 고정시켜지도록 해놓은 것이다.
여기서 상기 압입걸림부재(125)는 캠봉(120)과 끼워맞춤부(118a)를 끼워맞춰주는 가로방향으로 밀려져 끼워맞춰지는 힘이 생겨나는 것이라는 어떠한 형상으로된 것이라도 좋은데, 그 예로서는 제23a~c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것을 들수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압입걸림부재(125)를 2곳에다 끼워놓았으나 이를 1곳 또는 3곳 이상이 되게 하여도 좋다.
제24도 제26도는 제6연결수단을 도시해 놓은 것으로, 이는 캠봉(120a)에 압입된 드라이버(118)의 끼워맞춤부(118a) 바깥족에서 약 3/4 원호형상으로된 멈춤원통(126)을 바깥쪽으로 끼워놓은 것으로, 이 멈춤원통(126)은 안쪽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126a)가 갖춰서 이 절곡부(126a)가 드라이버(118)와 캠봉(120a)의 삽입홈(118g,120g)에 끼워져 상기 드라이버(118)의 끼워맞춤부(118a)에 반지름방향으로 압축력을 부여해줌으로써 상기 끼워맞춤이 강고하게 이루어지도록 된 것이다.
제27도는 제7연결수단을 도시해 놓은 것으로, 위에 설명된 제6연결수단과 마찬가지로 드라이버(118)의 끼워맞춤부(118a)와 캠봉(120a)을 멈춤원통(126)으로 강고하게 끼워맞춰놓은 것인바, 여기서 상기 제6연결수단의 멈춤원통과 다른점은 그 형상이 대략 1/2 원호상으로 되면서 양끝에 절곡부(126a,126a)가 형성되어 삽입홈(118g,120g)에 끼워넣어져 있다고 하는 점만이 다르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필심카트리지(9)로서는 본 실시예에서는 카세트어뎁터(6)에 자유로이 착탈될 수 있게 끼워맞춰진 이른바 카세트식으로 된 것이 쓰여지면서 그 앞끝에는 개폐기구(7)가 장착되고, 그 뒷끝에는 착탈될 수 있는 지우개고무(127)가 장착되어져 있다.
또 상기 앞쪽 및 뒷쪽외통(1a,1b)내에는 뒷쪽으로부터 끼워넣어 각각 떨어지게 조립될 수 있는 크기로 메카니즘어뎁터(110)와, 상부원통체(116) 및 드라이버(118)등의 외경이 형성되어져 있다.
다음에는 샤아프펜슬의 조립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상부원통체(116)의 앞끝쪽으로부터 캠베어링(121)과 캠(120) 및 종동캠(122)을 끼워넣은 다음 제3스프링(123) 및 미리 유니트화시켜놓은 필심송출기구(16)의 카세트어뎁터(6)를 마찬가지로 상부원통체(16)의 앞끝쪽으로부터 넣어주고나서, 드라이버(118)의 앞끝조임부위(118)를 메카니즘어뎁터(110)에다 억지끼워맞춤으로 고정되게 장착시킨다.
한편, 상기 상부원통체(116)내에 끼워넣어진 캠(120)은 그 캠봉(120a)이 뒷쪽으로 돌출시켜져 있는바, 이 캠봉(120a)에는 드라이버베어링(124)을 매개로 드라이버(118)가 상술한 수단으로 끼워맞춰 고정되게 장착되어져 있다.
또 상기 드라이버(118)에는 뒷쪽외통(1b)이 압입되어 고정장착되어져 있다.
이와같이하여 유니트화된 필심송출기구(16)와 회전캠기구(19), 필심파이프(18), 뒷쪽외통(1b)을 앞쪽외통(1a)의 뒷쪽으로부터 각기 떨어져 끼워넣어지게 되는바, 이때 메카니즘어뎁터(110)와 리이드가이드(6)등은 앞쪽외통(1a)보다 그 직경이 작기 때문에 원활하게 끼워넣어지게 된다. 이어 선단캡(2)을 메카니즘어뎁터(110)의 앞끝부위(110j)에다 끼워맞춰주게되면 조립이 끝나게 된다.
다음에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4도의 상태는 슬라이더(13)가 체결수납되어져 있는 상태이므로 종동캠(122)의 미끄럼이동부재(122a)가 제8도의 미끄럼이동부재정지부(119a2)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로부터 뒷쪽외통(1b)을 제6도의 화살표(나)방향으로 회동시켜주게되면 이 뒷쪽외통(1b)과 캠(120)이 일체로 회동하기 때문에 미끄럼이동부재(122a)상대적으로 캠면(119)위를 제8도의 화살표(마,라)방향으로 이동해서 개방캠면영역(Y)으로부터 X점을 지나 녹크캠면영역(Z)으로 나아가게 된다.
이에 수반되어 필심송출기구(16)도 전진하게 되는바, 이렇게 전진하는 과정에서 필심송출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어 보다 큰 전진이 이루어지게 되면 리이드척(5)의 앞끝이 슬라이더(13)를 눌러 전진시켜 필심가이드(13a)가 제1도의 2점쇄선위치까지 전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뒷쪽외통(1b)에서 손을 떼게되면 복귀용 제3스프링(123)에 의해 회전캠기구(19)가 뒷쪽으로 눌러지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미끄럼이동부재(122a)가 캠면(119)을 되돌려 이동시켜 X점 위치에서 정지하게 되는바, 이 상태에서 필기를 할 수가 있게되는 것이다.
그리고 필심(4)이 마모되었을 경우 뒷쪽외통(1b)을 제6도의 화살표(가)방향으로 조금 회동시켜 필심송출동작을 해주면 된다. 또 상기 슬라이더(13)는 필심안내부재(113a)를 선단캡(2)으로부터 돌출시켜 놓은 위치에 있게해주고 있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 필심안내부재(13a)를 용지면등에다 눌러주게되면 이 필심안내부재(13a) 및 필심(4)을 물어잡고 있는 리이드척(5)과 슬리이브(113)등의 필심송출기구(16) 일부가 상기 누르는 힘에 압축된 쿠션용 제1스프링(114)에 의해 안쪽방향으로 후퇴이동시켜지게 된다.
이어 필심안내부재(13a)의 눌러지는 힘을 해제시켜주게 되면, 필심안내부재(13a)가 필심안내부재마찰부여부(117)에 의해 정지시켜져 있게되나, 필심송출기구(16)에 물어잡혀진 필심(4)은 제2스프링(115)의 탄발력에 의해 필심송출기구(16)와 함께 원위치로 되돌려져, 결과적으로 필심안내부재(13a)의 앞끝으로 부터 필심(4)이 돌출된 것처럼 되어 필기를 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렇게하여 필심안내부재(13a)의 이동영역분만큼 필심(4)이 소비되는 동안 녹크조작으로 필심을 송출시켜줄 필요가 없어지게 되고, 그에 따라 샤아프펜슬을 고쳐잡지 않고서 필기를 계속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또 슬라이더(13)를 이동선단위치로 되돌릴려면 뒷쪽외통(1b)을 회동시키고 노크동작을 해주게되면, 리이드척(샤아프펜슬)의 앞끝이 슬라이더(13)를 눌러 전진시켜주게 되므로 이동선단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어 필기가 끝마쳐졌을 경우 그대로의 상태로서 큰 불편은 없으나, 슬라이더(13)를 선단캡(2)내에다 수납시켜 놓는 편이 필심(4)이 부러지거나 의복등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해줄 수가 있게된다.
그리하여 뒷쪽외통(1b)을 제6도의 화살표(가)방향으로 회동시켜주게 되면, 미끄럼이동부재(122a)가 상대적으로 캠면(119)을 X점으로부터 개방캠면영역 Y로 이동되어져 개방스톱퍼면(119a3)에 닿아 정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 위치에서 미끄럼이동부재(122a)의 앞끝이 미끄럼이동부재정지부(119a2)에 걸려지게되므로, 상기 뒷쪽외통(1b)에서 떨어지게 되어도 복귀용제3스프링(123)이 탄발력에 대항해서 그 위치에 유지되어져 있게된다.
이 상태에서 필심안내부재(13a)의 앞끝을 용지면등에다 눌러주게되면 슬라이더(13)가 필심(4)과 함께 선단캡(2)속으로 들어가 수납되어져 제1도와 같은 상태로 되돌려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리이드가이드로 탄발장착되어 걸어맞춰질때 개방파이프에 의해 탄성개폐부가 열려지고 걸어맞춰져 있지 않을때에는 닫혀지도록 탄성변형되는 개폐기구가 갖추어져 있어서 필심카트리지를 교환해주거나 할때 필심이 쏟아져버리게 된다던지 할 염려가 없고, 또 필심카트리지를 교환해주 될때에는 개폐기구가 닫혀지게 됨으로서 남아있는 필심이 부러지게 된다거나 부러진 필심 때문에 필기구가 막혀지게 되는 일이 일어날 염려가 없어져서, 필심카트리지의 교한이 극히 간편하고 쉽게 이루어진다.
또한 특히 상기 개폐기구에 의해 직경이 다른 필심이 함께 담겨진 필심카트리지를 쓸 수 있게됨과 더불어, 종래의 필심카트리지에 갖춰져 있는 캡과 같은 폐기부품을 없이할 수가 있고, 또 외통에다 계단차변부를 갖는 두꺼운 벽체가 필요없게 되므로서 필기구 외통을 압출성형으로 형성시켜줄 수 있게 됨은 물론 필심카트리지의 필심수납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게되는 등 많은 우수한 효과가 얻어지게 된다.

Claims (1)

  1. 리이드가이드(6)에 고정된 개방파이프(8)와, 상기 리이드가이드(6)에 착탈될 수 있도록 끼워맞추어진 필심보급, 교환용 필심카트리지(9) 및, 이 필심카트리지(9)의 앞끝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리이드가이드(6)와 걸어맞춰진 위치에서 개방파이프(8)에 의해 열려지고 걸어맞춰져 있지않은 위치에서는 닫혀지게 되는 탄성개폐부(11)를 갖는 개폐기구(7)가 갖추어진 필심카트리지의 개폐장치.
KR2019870016136U 1987-07-24 1987-09-23 샤아프 펜슬 필심카트리지의 개폐장치 KR90000444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112712 1987-07-24
JP1987112712U JPH0617586Y2 (ja) 1987-07-24 1987-07-24 芯カ−トリツジの開閉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2493U KR890002493U (ko) 1989-04-06
KR900004446Y1 true KR900004446Y1 (ko) 1990-05-21

Family

ID=31351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6136U KR900004446Y1 (ko) 1987-07-24 1987-09-23 샤아프 펜슬 필심카트리지의 개폐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617586Y2 (ko)
KR (1) KR900004446Y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24317A1 (de) * 1977-05-28 1978-12-07 Faber Castell A W Fuellminenstift mit minenvorratsbehaelter
JPS5723186Y2 (ko) * 1978-03-31 1982-05-19
JPH0439029Y2 (ko) * 1985-05-23 1992-09-1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2493U (ko) 1989-04-06
JPH0617586Y2 (ja) 1994-05-11
JPS6417784U (ko) 1989-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74937B (zh) 複合式筆具
KR0120875Y1 (ko) 측방녹크식 샤아프펜슬
JP3885315B2 (ja) シャ−プペンシル
KR900004446Y1 (ko) 샤아프 펜슬 필심카트리지의 개폐장치
US3918819A (en) Writing implement
KR850002099Y1 (ko) 샤아프펜슬용 이중필심파이프식 카트리지
KR100397300B1 (ko) 2중척식 샤프펜슬 및 그 내부필기기구
KR910003018Y1 (ko) 액상체 필기 및 도포기구
EP0287237A1 (en) Mechanical pencil
KR910002705Y1 (ko) 샤아프펜슬
KR200162605Y1 (ko) 2중척식 샤아프펜슬
KR200142258Y1 (ko) 봉상물조출용기가 부착된 필기구
KR900009023Y1 (ko) 샤아프 펜슬
JPS5830714Y2 (ja) 多芯室型筆記具
JP2013014100A (ja) 筆記具
KR890002927Y1 (ko) 샤아프펜슬의 마찰부여부재
JPS635917Y2 (ko)
JPH0245031Y2 (ko)
KR0119113Y1 (ko) 흔들어식 샤아프펜슬
KR890002211B1 (ko) 복합필기구
KR880000974Y1 (ko) 필심 카트릿지의 개폐기구
KR900004447Y1 (ko) 샤아프펜슬
JPS63201792U (ko)
JPS627208Y2 (ko)
JPS632318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4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