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2517B1 - 실크 또는 함실크 혼방물의 염색방법 - Google Patents

실크 또는 함실크 혼방물의 염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2517B1
KR910002517B1 KR1019840002129A KR840002129A KR910002517B1 KR 910002517 B1 KR910002517 B1 KR 910002517B1 KR 1019840002129 A KR1019840002129 A KR 1019840002129A KR 840002129 A KR840002129 A KR 840002129A KR 910002517 B1 KR910002517 B1 KR 910002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ive
amino
dye
acid
sil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2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8404A (ko
Inventor
로터 루돌프
Original Assignee
시바-가이기 아크티엔 게젤샤프트
아르놀트 자일러, 에른스트 알테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바-가이기 아크티엔 게젤샤프트, 아르놀트 자일러, 에른스트 알테르 filed Critical 시바-가이기 아크티엔 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840008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8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2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5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3/00Speci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terial treated
    • D06P3/02Material containing basic nitrogen
    • D06P3/04Material containing basic nitrogen containing amide groups
    • D06P3/10Material containing basic nitrogen containing amide groups using reactive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2/00Reactive dyes, i.e. dyes which form covalent bonds with the substrates or which polymerise with themselves
    • C09B62/44Reactive dyes, i.e. dyes which form covalent bonds with the substrates or which polymerise with themselves with the reactive group not directly attached to a heterocyclic ring
    • C09B62/4401Reactive dyes, i.e. dyes which form covalent bonds with the substrates or which polymerise with themselves with the reactive group not directly attached to a heterocyclic ring with two or more reactive groups at least one of them being directly attached to a heterocyclic system and at least one of them being directly attached to a non-heterocyclic syste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2/00Reactive dyes, i.e. dyes which form covalent bonds with the substrates or which polymerise with themselves
    • C09B62/44Reactive dyes, i.e. dyes which form covalent bonds with the substrates or which polymerise with themselves with the reactive group not directly attached to a heterocyclic ring
    • C09B62/443Reactive dyes, i.e. dyes which form covalent bonds with the substrates or which polymerise with themselves with the reactive group not directly attached to a heterocyclic ring the reactive group being alternatively specifi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00Bleaching and dyeing; fluid treatment and chemical modification of textiles and fibers
    • Y10S8/916Natural fiber dyeing
    • Y10S8/917Wool or silk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loring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실크 또는 함실크 혼방물의 염색방법
본 발명은 반응성 염료를 사용하여 실크 또는 함실크 혼방물을 염색 또는 날염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경우에 따라, 견직물 또는 순견과 양모의 혼방물은 여러 종류의 염료로 염색시킬 수 있다. 실제로, 양모를 염색시키는데 적합한 산성 염료 및 금속 착염 염료를 주로 사용한다. 최근에는, 습윤 견뢰도에 대해 증가되는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반응성 염료를 사용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현재까지 문헌에 제시된 염색방법으로는 만족스러운 결과를 수득하지 못했다. 이와 같이, 종전의 염색 방법으로는 낮은 고착율이 수득될 뿐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반응성 염료를 사용하여, 실크 또는 함실크 혼방물을 염색 또는 날염시켜, 견뢰도가 우수한 염색물 또는 날염물을 습득하는 개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발명의 방법으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함으로써 목적하는 요구를 충족시킨다.
본 발명의 방법은 실크 또는 함실크 혼방물을, 8 이상의 pH이하에 수성 매질 중에서 분산제 및 팽윤제를 가하지 않고 일반식(1)의 반응성 염료를 사용하여 20°내지 40℃의 온도에서 6 내지 48시간 동안 염색 또는 함침시키고, 함침된 제품을 20°내지 60℃에서 6 내지 48시간 동안 습윤상태로 저장함을 특징으로 한다 :
Figure kpo00001
상기식에서, D는 모노- 또는 폴리-아조, 금속 착염 아조, 안트라퀴논, 프탈로시아닌, 포르마잔, 아조메틴, 디옥사진, 페나진, 스틸벤, 트리페닐메탄, 크산텐, 티오크산톤, 니트로아릴, 나프토퀴논, 피렌퀴논 또는 패릴렌테트라카브이미드계 설포그룹-함유 염료의 래디칼이며, n은 1 내지 4이고, Y는 2,4-디플루오로-5-클로로피리미딘-6-일이다.
본 발명에 방법에서, 실크 또는 함실크 혼방물을 8 이상의 pH, 바람직하게는 9 내지 10의 pH하에서 패딩 수용액에 함침시키고, 함침된 제품을습윤상태로 6 내지 48시간, 바람직하게는 24시간 동안 20°내지 60℃에서 저장하거나, 실크 또는 함실크 혼방물을 8 이상의 pH, 바람직하게는 9 내지 10의 pH하에 20°내지 40℃에서 6 내지 48시간, 바람직하게는 24시간 수용액에 함침시킨다. 분산제 또는 팽윤제는 통상의 우레아, 티오우레아 또는 나트룸 시아노아세테이트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것은 다음과 같다 :
(a) D가 모노- 또는 디-아조염료의 래디칼인 일반식(1)의 반응성 염료 : (b) D가 중금속착염 아조염료의 래디칼인 일반식(1)의 반응성 염료 : (c) D가 안트라퀴논 염료의 래디칼인 일반식(1)의 반응성 염료 : (d) D가 동 또는 니켈 프탈로시아닌, 동-포르마잔 착염 또는 트리펜디옥사진의 래디칼인 일반식(1)의 반응성염료, (e) D가 벤젠 또는 나프탈렌계 1 : 2 크롬 또는 1 : 2 코발트 착염 아조 염료의 래디칼이며 크롬 또는 코볼트 원자가 아조결합의 오르토 위치에서 각각의 경우에 금속화 그룹과 결합한 일반식(1)의 반응성 염료 : (f) 하기 일반식(2)의 반응성 염료 :
Figure kpo00002
상기식에서, D1은 벤젠 또는 나프탈렌계 디아조성분의 래디칼이고, K는 벤젠, 나프탈렌 또는 헤테로사이클릭계 커플링 성분의 래디칼이며, Q는 일반식 -N(R)- (여기에서, R은 수소, 또는 비치환되거나 치환된 C1-C4알킬이다)의 가교결합원이고, Y 및 n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데, 여기서 반응성 래디칼 Y는 Q를 통해 디아조 성분 또는 커플링 성분에 결합되어 있거나, 디아조 성분 및 커플링 성분 모두가 각각 하나 또는 두개의 반응성 래디칼을 수반하거나, 두개의 반응성 래디칼이 커플링 성분 또는 디아조 성분에 결합되어 있거나, 두개의 반응성 래디칼이 디아조 성분 또는 커플링 성분에 결합되어 있고, 하나의 반응성 래디칼은 커플링 성분 또는 디아조 성분에 결합되어 있다.
(g) R이 수소 또는 메틸인 상기 일반식(2)의 반응성 염료.
일반식(1)중의 래디칼 D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치환될 수 있는데, 하나 이상의 설폰산 그룹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래디칼 D에서의 대표적인 치환체의 예에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및 부틸 같은 C1-C4알킬그룹 :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및 부톡시 같은 C1-C4알콕시 그룹 : 아세틸아미노 및 프로피온아미노 같은 C1-C6아실아미노, 벤조일아미노, 아미노, C1-C4알킬아미노, 페닐아미노, C1-C4알콕시카보닐, 니트로, 시아노, 트리플루오로메틸, 불소, 염소 및 브롬 같은 할로겐, 설파모일, 카바모일, 우레이도, 카복시, 하이드록시, 설포메틸 및 설포가 있다.
D가 아조염료의 래디칼인 반응성 염료중에 존재하는 치환제로는 메틸, 에틸, 메톡시, 에톡시, 벤조일아미노, 아미노, 아세틸아미노, 우레이도, 설포메틸, 하이드록시, 카복시, 할로겐, 또는 설포가 특히 바람직하다.
일반식(2)중의 C1-C4알킬 래디칼 R은 또한 예를들어 할로겐, 하이드록시, 시아노, 알콕시, 카복시 또는 설포에 의해 치환시킬 수 있다.
R의 예에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2급-부틸, 3급-부틸, 카복시메틸, β-카복스에틸, β-카복스프로필, 메톡시카보닐메틸, 에톡시카보닐메틸, β-메톡시에틸, β-에톡시에틸, β-메톡시프로필, β-클로로에틸, γ-클로로프로필, γ-브로모프로필, β-하이드록시 에틸, β-하이드록시부틸, β-시아노에틸, 설포메틸, β-설포에틸, 아미노설포닐메틸 및 β-설파토에틸이 있다.
일반식(1)의 염료는 하나 이상의 섬유 반응성 래디칼을 함유한다. 섬유 반응성 화합물은 셀룰로오즈의 하이드록실 그룹, 또는 천연 또는 합성 폴리아미드의 아미노, 하이드록시 또는 티올 그룹과 반응하여 공유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Y가 비닐설포닐, 설파토에틸설포닐, α-브로모아크릴로일, α,β-디브로모프로피오닐, 할로피리미디닐 또는 할로트리아지닐인 일반식(1) 또는 (2)의 반응성 염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Y가 2,4-디플루오로-5-클로로피리미드-6-일, 2-메틸페닐아미노-, 2-설포페닐아미노- 또는 2-클로로페닐아미노-4-플루오로-1,3,5-트리아진-6-일, 2-[N-메틸-N-(메틸페닐- 또는 클로로페닐- 또는 설포페닐-)아미노]-4-플루오로-1,3,5-트리아진-6-일, 2-[N-에틸-N(메틸페닐- 또는 클로로페닐 또는 설포페닐)아미노]-4-플루오로-1,3,5-트리아진-6-일, αβ-디브로모프로피오닐, α-브로모아크릴로일, 2-(β-클로로에틸설포닐에틸아미노)-4-플루오로-1,3,5-트리아진-6-일, 2,4-디클로로피리미디닐-5-카보닐, 2-클로로-4-이소프로폭시-1,3,5-트리아진-6-일 또는-2-메톡시-4-플루오로-1,3,5-트리아진-6-일인 일반식(1) 또는 (2)의 반응성 염료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α,β-디브로모프로피오닐기 및 α-브로모아크릴로일 래디칼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식(1)의 반응성 염료는 공지되어 있다. 이는 래디칼 D를 함유하는 염료 또는 염료 전구체에 공지된 방법으로 반응성래디칼 Y를 도입시키고, 염료 전구체를 사용할 경우 이를 목적하는 최종 염료로 전환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일반식(1)의 염료 래디칼 D에 섬유 반응성 그룹 Y를 도입시키는 것은, 상기한 염료 래디칼을, 래디칼 Y를 도입 또는 형성하는 하나이상의 화합물과 공지된 방법으로 반응시킴으로써 수행하며, 일반식(1)중의 래디칼 D는 섬유반응성 그룹 Y를 래디칼 D에 결합시키기에 적합한 작용성 그룹을 함유해야 한다. 그룹 Y를 래디칼 D에 결합시키는데 적합한 그룹의 예에는 -NH2, -N(CH3)H 또는 -N(C2H5)H과 같은 유리 또는 모노알킬화된 아미노그룹, 예를들면 β-옥시에틸설포닐그룹이 있다.
섬유 반응성 아실화제를 사용하여 아실화시킴으로써 반응성 래디칼을 하나 또는 두개의 유리아미노 그룹을 함유하는 염료에 도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래디칼 D에 직접 결합되는 섬유 반응성 그룹(예 : β-설파토에틸설포닐 그룹)은 예를 들어 β-옥시에틸설포닐 그룹의 황산화에 의해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한다.
염료 전구체가 출발물질로 사용되는 방법은 D가 두개 이상의 성분으로 구성되는 염료의 래디칼인 일반식(1)의 반응성 염료를 수득하기에 적합하다. 두개 이상의 성분으로 구성되는 염료의 예에는 모노아조, 디아조, 금속착염아조, 포르마잔 및 아조메틴 염료가 있다.
염료가 예를 들어 아조염료일 경우, 디아조화되는 아미노 그룹을 함유하는 것외에, -Nㆍ(R)H 그룹 또는 아미노벤조일아미노 그룹을 함유하는 디아조 성분, 또는 -N(R)H 그룹 또는 아미노벤조일아미노 그룹을 함유하는 커플링 성분을 아실할라이드와 반응시키고, 이어서 생성물을 다른 성분과 커플링시켜 목적하는 아조염료로 전환시킨 후 추가의 전환반응을 임의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각각의 N(R)H 그룹 및/또는 아미노벤조일아미노 그룹을 함유하는 디아조 성분 및 커플링 성분을 사용하여 커플링 전 또는 후에 아실화시킴으로써 두개의 반응성 래디칼을 함유하는 일반식(1)의 반응성 염료를 제조할 수 있다.
두개의 반응성 래디칼을 함유하는 일반식(1)의 반응성 염료는 또한 래디칼 D중에 반응성 래디칼을 이미 함유하거나 두개의 아실화가능한 -N(R)H 그룹을 함유하는 염료를 사용하고 이들을 함께 아실화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반응성 염료가 금속 착염화 가능한 그룹을 함유할 경우에는, 상기 반응성 염료는 또한 금속화될 수도 있다.
두개 이상의 반응성 래디칼을 함유하는 일반식(1)의 염료는, 예를들어 래디칼 D중에 하나 또는 두개의 반응성 래디칼을 이미 함유하는 염료를 사용하고, 이 염료를, 반응성 래디칼을 함유하거나 반응성 래디칼로 전환될 수 있는 추가의 성분과 반응시키고, 추가의 전환반응을 임의로 수행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원칙적으로, 모든 염료 종류중 일반식(1)의 반응성 염료는, 공지의 방법 또는 공지의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섬유 반응성 래디칼을 함유하는 염료의 전구체 또는 중간 생성물로 부터 출발하거나, 이러한 섬유 반응성 래디칼을 본 발명의 목적에 적합한 특성을 갖는 염료의 중간체에 도입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아실할라이드를 사용하여 아미노 염료 또는 염료 전구체를 아실화시키는 반응은 공지된 방법으로, 바람직하게는 알칼리성 산 수용체(예 : 수성 알칼리금속, 수산화물, 탄산염 또는 중탄산염) 존재하에 수용액 또는 현탁액중에서 수행한다.
때때로, 합성직후 수행할 수 있는 추가의 전환반응에는 α,β-디브로모프로피오닐아미노 래디칼을 함유하는 일반식(1)의 반응성 염료를 수산화나트륨과 같은 탈할로겐화수소 반응제로 처리하여 α,β-디브로모프로피오닐 그룹을 α-브로모아크릴로일 그룹으로 전환시키는 방법이 포함된다.
일반식(1)의 반응성 염료의 제조시 사용가능한 출발물질은 하기에 나타내었다. 적합한 아미노 염료는 특히 하기 구조식의 염료들이다 :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4
상기식에서, 아실은 예를들어 아세틸 또는 비치환되거나 치환된 벤조일이다. 염료의 금속 착염을 나타내는 일반식
Figure kpo00006
Figure kpo00007
바람직한 금속원자는 구리(1 : 1 착염) 또는 크롬 및 코발트(1 : 2 착염)이다. 크롬 및 코발트 착염은 상기식의 아조화합물을 1배 또는 2배로 함유할 수 있다. 즉, 이들은 임의의 다른 리간드 그룹과 대칭구조 또는 비대칭구조를 이룰 수 있다.
Figure kpo00008
점선으로 나타낸 축합된 환은 가능한 교호 나프탈렌계를 뜻한다.
Figure kpo00009
Figure kpo00010
상기식에서, PC는 구리- 또는 니켈-프탈로시아닌 래디칼이다.
PC핵에서의 치환체수는 4개이다.
Figure kpo00011
Figure kpo00012
상기 일반식의 염료는 알킬 또는 아릴부위에서, 특히 일반식(1)의 D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치환체에 의해서 추가로 치환될 수 있다.
일반식(2)의 특히 중요한 아조염료는 다음과 같다 :
Figure kpo00013
Figure kpo00014
상기식에서, K는 벤젤, 나프탈렌 또는 헤테로사이클릭계 커플링성분의 래디칼이고, 아실은 3개이하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저분자의 지방족 아실 래디칼이며, 8개이하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방향족 래디칼이고, R은 일반식(2)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금속 착염 아조염료의 일반식은 다음과 같다 :
Figure kpo00015
상기식에서, R 및 아실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고, Me는 구리, 크롬 또는 코발트이다.
Figure kpo00016
Figure kpo00017
비대칭의 1 : 2 크롬 또는 1 : 2 코발트착염.
D가 아조염료의 래디칼인 목적하는 일반식(1)의 반응성 염료를 수득하기 위해 사용되는 출발물질이 최종 아미노 염료, 예를 들어 상기한 염료가 아니고, 염료 전구체, 즉 디아조 및 커플링 성분일 경우, 디아조 및 커플링 성분의 예는 하기와 같다 :
디아조 성분
아미노벤젠, 1-아미노-2-, -3- 또는 -4-메틸벤젠, 1-아미노-2-, -3- 또는 -4-메톡시벤젠, 1-아미노-2-, -3- 또는 -4-클로로벤젠, 1-아미노-2,5-디클로로벤젠, 1-아미노-2,5-디메틸벤젠, 1-아미노-3-메틸-6-메톡시벤젠, 1-아미노-2-메톡시-4-니트로벤젠, 4-아미노디페닐, 1-아미노벤젠-2-, -3- 또는 -4- 카복실산, 2-아미노디페닐에테르, 1-아미노벤젠-2-, -3- 또는 4-설폰아미드, -N-메틸아미드, -N-에틸아미드, -N,N-디메틸아미드 또는 -N,N-디에틸아미드, 데하이드로티오-p-톨루이딘-설폰산, 1-아미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6-설폰산, 1-아미노-3- 또는 -4-니트로벤젠, 1-아미노-3- 또는 -4-아세틸아미노벤젠, 1-아미노벤젠-2-, -3- 또는 -4-설폰산, 1-아미노벤젠-2, 4- 및 -2,5-디설폰산, 1-아미노-4-메틸벤젠-2-설폰산, 1-아미노-3-메틸벤젠-6-설폰산, 1-아미노-6-메틸벤젠-3- 또는 -4-설폰산, 1-아미노-2-카복시벤젠-4-설폰산, 1-아미노-4-카복시벤젠-2-설폰산, 1-아미노-4- 또는 -5-클로로벤젠-2-설폰산, 1-아미노-6-클로로벤젠-3- 또는 -4-설폰산, 1-아미노-3,4-디클로로벤젠-6-설폰산, 1-아미노-2,5-디클로벤젠-6-설폰산, 1-아미노-2,5-디클로로벤젠-4-설폰산, 1-아미노-4-메틸-5-클로로벤젠-2-설폰산, 1-아미노-5-메틸-4-클로로벤젠-2-설폰산, 1-아미노-4- 또는 5-메톡시벤젠-2-설폰산, 1-아미노-6-메톡시벤젠-3- 또는 -4-설폰산, 1-아미노-6-에톡시벤젠-3- 또는 -4-설폰산, 1-아미노-2,4-디메톡시벤젠-6-설폰산, 1-아미노-2,5-디메톡시벤젠-4-설폰산, 1-아미노-3-아세틸아미노벤젠-6-설폰산, 1-아미노-4-아세틸아미노벤젠-2-설폰산, 1-아미노-3-아세틸아미노-4-메틸벤젠-6-설폰산, 2-아미노-1-메틸벤젠-3,5-디설폰산, 1-아미노-4-메톡시벤젠-2,5-디설폰산, 1,3-디아미노벤젠-4-설폰산, 1,4-디아미노벤젠-3-설폰산, 1,4-디아미노벤젠-3-설폰산, 1,4-디아미노벤젠-2,5-디설폰산, 1-아미노-3- 또는 -4-니트로벤젠-6-설폰산, 1-아미노나프탈렌, 2-아미노나프탈렌, 1-아미노나프탈렌-2, -4-, -5-, -6-, -7-, 또는 -8-설폰산, 2-아미노나프탈렌-1-, -3-, -4-, -5-, -6-, -7-, 또는 -8-설폰산, 1-아미노나프탈렌-3,6- 또는 -5,7-디설폰산, 2-아미노나프탈렌-1,5-, -1,7-, -3,6-, -5,7-, -4,8- 또는 -6,8- 디설폰산, 1-아미노-나프탈렌-2,5,7-트리설폰산, 2-아미노나프탈렌-1,5,7-, -3,6,8- 또는 -4,6,8-트리설폰산, 1-하이드록시-2-아미노벤젠-4-설폰산, 1-하이드록시-2-아미노벤젠-5-설폰산, 1-하이드록시-2-아미노벤젠-4,6-디설폰산, 1-하이드록시-2-아미노-4-아세틸아미노벤젠-6-설폰산, 1-하이드록시-2-아미노-6-아세틸아미노벤젠-4-설폰산, 1-하이드록시-2-아미노-4-클로로벤젠-5-설폰산, 1-하이드록시-2-아미노-4-메틸설포닐벤젠, 1-아미노-2-하이드록시-6-니트로나프탈렌-4-설폰산, 2-아미노-1-하이드록시나프탈렌-4,8-디설폰산, 4-아미노아조벤젠-3,4'-디설폰산, 3-메톡시-4-아미노-6-메틸아조벤젠-2',4'-디설폰산 및 3-메톡시-4-아미노-6-메틸아조벤젠-2',5'-디설폰산.
커플링 성분
페놀, 1-하이드록시-3- 또는 -4-메틸벤젠, 1-하이드록시벤젠-4-설폰산, 1-하이드록시나프탈렌, 2-하이드록시나프탈렌, 2-하이드록시나프탈렌-6- 또는 -7-설폰산, 2-하이드록시나프탈렌-3, 6-또는 -6,8-디설폰산, 1-하이드록시나프탈렌-4-설폰산, 1-하이드록시나프탈렌-4, 6- 또는 -4,7-디설폰산, 1-아미노-3-메틸벤젠, 1-아미노-2-메톡시-5-메틸벤젠-, 1-아미노-2,5-디메틸벤젠, 3-아미노페닐우레야, 1-아미노-3-아세틸아미노벤젠, 1-아미노-3-하이드록시아세틸아미노벤젠, 1,3-디아미노벤젠-4-설폰산, 1-아미노나프타렌-6- 또는 8-설폰산, 1-아미노-2-메톡시나프탈렌-6-설폰산, 2-아미노나프탈렌-5,7-디설폰산, 1-아미노-8-하이드록시나프탈렌-6-설폰산, 1-아미노-8-하이드록시나프탈렌-2,4-디설폰산, 2-하이드록시-3-아미노나프탈렌-5,7-디설폰산, 1-아미노-8-하이드록시나프탈렌-2,4,6-트리설폰산, 1-하이드록시-8-아세틸아미노나프탈렌-3-설폰산, 1-벤조일아미노-8-하이드록시 나프탈렌-3,6- 또는 -4,6-디설폰산, 2-벤조일아미노-5-하이드록시나프탈렌-7-설폰산, 2-아미노-5-하이드록시나프탈렌-7-설폰산, 2-메틸- 또는 2-에틸-아미노-5-하이드록시나프탈렌-7-설폰산, 2-(N-아세틸-N-메틸아미노)-5-하이드록시나프탈렌-7-설폰산, 2-아세틸아미노-5-하이드록시나프탈렌-7설폰산, 2-아미노-5-하이드록시나프탈렌-1,7-디설폰산, 2-아미노-5-하이드록시나프탈렌-1,7-디설폰산, 2-아미노-8-하이드록시나프탈렌-6-설폰산, 2-메틸-또는 -에틸아미노-8-하이드록시나프탈렌-6-설폰산, 2-(N-아세틸-N-메틸아미노)-8-하이드록시나프탈렌-6-설폰산, 2-아세틸아미노-8-하이드록시나프탈렌-6-설폰산, 2-아미노-8-하이드록시나프탈렌-3,6-디설폰산, 2-아세틸아미노-8-하이드록시나프탈렌-3,6-디설폰산, 1-아미노-5-하이드록시나프탈렌-7-설폰산, 1-아미노-8-하이드록시나프탈렌-3,6- 또는 -4,6 디설폰산, 1-아세틸아미노-8-하이드록시나프탈렌-3,6- 또는 -4,6-디설폰산, 1-(4'-아미노벤조일아미노)-8-하이드록시나프탈렌-3,6- 또는 -4,6- 디설폰산, 1-(3'-아미노벤조일아미노)-8-하이드록시나프탈렌-3,6- 또는 -4,6-디설폰산, 1-(3'-니트로벤조일아미노)-8-하이드록시나프탈렌-3,6- 또는 -4,6-디설폰산, 2-(4'-아미노-3'-설포페닐아미노)-5-하이드록시나프탈렌-7-설폰산, 3-메틸피라졸-5-온, 1-페닐-3-메틸피라졸-5-온, 1-(4'-설포페닐)-3-메틸피라졸-5-온, 1-(4'-설포페닐)-피라졸-5-온-3-카복실산, 1-(3'-아미노페닐)-3-메틸피라졸-5-온, 1-(2',5'-디설포페닐)-3-메틸피라졸-5-온, 1-(2'-메틸-4'-설포페닐)-피라졸-5-온-3-카복실산, 1-(4',8'-디설포나프탈리-[2']-3-메틸피라졸-5-온, 1-(5',7'-디설포나프틸-[2']-3-메틸피라졸-5-온, 1-(2',5'-디클로로-4'-설포페닐)-3-메틸피라졸-5-온, 3-아미노카보닐-4-메틸-6-하이드록시피리드-2-온, 1-에틸-3-시아노- 또는 -3-클로로-4-메틸-6-하이드록시피리드-2-온, 1-에틸-3-설포메틸-4-메틸-6-하이드록시피리드-2-온, 2,4,6-트리아미노-3-시아노피리딘, 2-(3'-설포페닐아미노)-4,6-디아미노-3-시아노피리딘, 2-(2'-하이드록시에틸아미노)-3-시아노-4-메틸-6-아미노피리딘, 2,6-비스-(2'-하이드록시에틸아미노)-3-시아노-4-메틸피리딘, 1-에틸-3-카바모일-4-메틸-6-하이드록시피리드-2-온, 1-에틸-3-설포메틸-4-메틸-5-카바모일-6-하이드록시피리드-2-온, N-아세토아세틸아미노벤젠, 1-(N-아세토아세틸아미노)-2-메톡시벤젠-5-설폰산, 4-하이드록시퀴놀-2-온, 1-아미노-8-하이드록시-2-(페닐아조)-나프탈렌-3,6-디설폰산, 1-아미노-8-하이드록시-2-(4'-설포페닐아조)-나프탈렌-3,6-디설폰산 및 1-아미노-8-하이드록시-2-(2',5'-디설포페닐아조)-나프탈렌-3,6-디설폰산.
출발 물질로서 염료 전구체를 사용할 경우, 두성분(디아조 성분 또는 커플링 성분)중 적어도 하나는 아실화성 아미노 그룹을 함유해야 한다. 디아조성 아미노그룹을 함유하는 중간생성물의 디아조화는 저온하에 통상의 무기산 수용액 중에서 질산으로 처리함으로써 수행하며, 카플링은 약산, 중성 또는 약알칼리성의 pH하에서 수행한다.
아실화 위치 이외에 또한 실크와 공유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반응성 래디칼을 함유하는 적합한 아실화제는 특히 쉽게 치환될 수 있는 원자 또는 원자단을 함유하는 유기산의 할라이드 또는 무수물이다.
이러한 아실화제의 예인 클로로- 또는 브로모- 아세틸클로라이드, β-클로로- 또는 β-브로모-프로피오닐 클로라이드, α,β-디클로로- 또는 β,β-디브로모-프로피오닐 클로라이드, 클로로 말레산무수물, 카르빌 설페이트,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 β-클로로- 또는 β-브로모-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 α-클로로- 또는 α-브로모-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 α,β-디클로로- 또는 α,β-디브로모-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 트리클로로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 클로로크로토닐 클로라이드, 프로피올릴 클로라이드, 3,5-디니트로-4-클로로벤젠설포클로라이드 또는 3,5-디니트로-4-클로로벤젠 카복실산 클로라이드, 3-니트로-4-클로로벤젠설포클로라이드 또는 3-니트로-4-클로로벤젠 카복실산 클로라이드, 2,2,3,3-테트라플루오로사이클로부탄-1-카복실산 클로라이드, 2,2,3,3-테트라플루오로사이클로부틸-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 β-클로로에틸설포닐-엔도 메틸렌사이클로헥산카복실산 클로라이드, 아크릴 설포닐-엔도 메틸렌 사이클로헥산 카복실산 클로라이드, 2-클로로벤즈옥사졸카복실산 클로라이드, 2-클로로벤즈티아졸 카복실산 클로라이드, 2-클로로벤즈티아졸 설폰산 클로라이드, 4,5-디클로로-1-페닐피리다존 카복실산 클로라이드 또는 4,5-디클로로페닐피리다존 설포클로라이드, 4,5-디클로로피리다졸프로피오닐 클로라이드, 1,4-디클로로프탈라진 카복실산 클로라이드 또는 1,4-디클로로프탈라진 설포클로라이드, 2,3-디클로로퀴녹살린 카복실산 클로라이드 또는 2,3-디클로로퀴녹살린-설포클로라이드, 2,4-디클로로퀴나졸린 카복실산 클로라이드 또는 2,4-디클로로퀴나졸린 설포클로라이드, 2-메탄설포닐-4-클로로-6-메틸피리미딘, 2,4-비스-메탄설포닐-6-메틸피리미딘, 2,4,6-트리- 또는 2,4,5,6-테트라-클로로 피리미딘, 2,4,6-트리-또는 2,4,5,6-테트라-브로모피리미딘, 2-메탄설포닐-4,5-디클로로-6-메틸피리디민, 2,4-디클로로피리미딘-5-설폰산, 5-니트로- 또는 5-시아노-2,4,6-트리클로로피리미딘, 2,6-비스-메탄설포닐피리딘-4-카복실산 클로라이드, 2,4-디클로로-5-클로로메틸-6-메틸피리미딘, 2,4-디브로모-5-브로모메틸-6-메틸피리미딘, 2,4-디클로로-5-클로로 메틸피리미딘, 2,4-디브로모-5-브로모메틸 피리미딘, 2,5,6-트리클로로-4-메틸 피리미딘, 2,6-디클로로-5-트리클로로메틸피리미딘, 2,4-비스 메틸 설포닐-5-클로로-6-메틸피리미딘, 2,4,6-트리메틸설포닐-1,3,5-트리아진, 2,4-디클로로피리미딘, 3,6-디클로로피리다진, 3,6-디클로로피리다진-5-카복실산 클로라이드, 2,6-디클로로- 또는 2,6-디브로모-4-카보에톡시 피리미딘, 2,4,5-트리클로로피리미딘, 2,4-디클로로피리미딘-6-카복실산 클로라이드-2,4-디클로로피리미딘-5-카복실산클로라이드, 2,6-디클로로- 또는 2,6-디브로모피리미딘-4-또는 -5-카복사미드 또는 -설폰아미드 또는 -4- 또는 -5-설포 클로라이드, 2,4,5,6-테트라클로로피리다진, 5-브로모-2,4,6-트리클로로피리미딘, 5-아세틸-2,4,6-트리클로로피리미딘, 5-니트로-6-메틸-2,4-디클로로피리미딘, 2-클로로벤즈티아졸-6-카복실산 클로라이드, 2-클로로벤즈티아졸-6-설포클로라이드, 5-니트로-6-메틸-2,4-디클로로피리미딘, 2,4,6-트리클로로-5-브로모피리미딘, 2,4,5,6-테트라풀루오로 피리미딘, 4,6-디플루오로-5-클로로 피리미딘, 2,4,6-트리플로오로-5-클로로 피리미딘, 2,4,5-트리플루오로 피리미딘, 2,4,6-트리클로로-(트리브로모 또는 트리플루오로)-S-트리아진, 및 4,6-디클로로(-디브로모 또는 -디플루오로)-S-트리아진은 2-위치에서 아릴 또는 알킬 래디칼(예 : 페닐, 메틸 또는 에틸 래디칼)에 의해, 또는 황 또는 산소를 통해 결합한 지방족 또는 방향족 화합물의 래디칼에 의해, 특히 -NH2그룹 또는 질소원자를 통해 결합한 지방족, 헤테로사이클릭 또는 방향족 아미노화합물의 래디칼에 의해 치환된다.
2-위치에서 치환되는 4,6-디할로-S-트리아진은 예를 들어 트리할로-S-트리아진을 상기의 아미노, 하이드록실 또는 머캅토화합물과 반응시킴으로써 수득한다. 4,6-디할로-S-트리아진의 2-위치에서의 치환체는 예를 들어 하기의 아미노, 하이드록시 및 머캅토화합물들 중의 하나의 래디칼일 수 있다 : 암모니아, 메틸아민, 디메틸아민, 에틸아민, 디에틸아민, 프로필아민, 이소프로필아민, 부틸아민, 디부틸아민, 이소부틸아민, 2급-부틸아민, 3급-부틸아민, 헥실아민, 메톡시에틸아민, 에톡시에틸아민, 메톡시프로필아민, 클로로에틸아민, 하이드록시에틸아민, 디하이드록시에틸아민, 하이드록시프로필아민, 아미노에탄설폰산, β-설파토에틸아민, 벤질아민, 사이클로헥실아민, 아닐린, o-, m- 및 p톨루이딘, 2,3-, 2,4-, 2,5-, 2,6-, 3,4- 및 3,5-디메틸 아닐린, o-, m- 및 p-클로로아닐린, N-메틸아닐린, N-에틸아닐린, 3- 또는 4-아세틸아미노아닐린, 2,5-디메톡시아닐린, o-, m-, 및 p-아니시딘, o-, m- 및 p-페네티딘, 1-나프틸아민, 2-나프틸아민, 2-아미노-1-하이드록시 나프탈렌, 1-아미노-4-하이드록시-나프탈렌, 1-아미노-8-하이드록시-나프탈렌, 1-아미노-2-하이드록시-나프탈렌, 1-아미노-7-하이드록시-나프탈렌, 오르타닐산, 메타닐산, 살파닐산, 아닐린-2,4-디설폰산, 아닐린-2,5-디설폰산, 안트라닐산, m- 및 p-아미노벤조산, 2-아미노톨루엔-4-설폰산, 2-아미노톨루엔-5-설폰산, p-아미노살리사이클릭산, 1-아미노-4-카복시벤젠-3-설폰산, 1-아미노-2-카복시벤젠-5-설폰산, 1-아미노-5카복시벤젠-2-설폰산, 1-나프틸아민-2-, -3-, -4-, -5-, -6-, -7 및 -8-설폰산, 2-나프틸아미노-1-, -3-, -4-, -5-, -6-, -7 및 -8-설폰산, 1-나프틸아민-2,4-, -2,5-, -2,7-, -2,8, -3,5-, -3,6-, -3,7-, -3,8-, -4,6-, -4,7-, -4,8- 및 -5,8-디설폰산, 2-나프틸아민-1,5-, -1,6-, -1,7-, -3,6-, -3,7-, -4,7-, -4,8-, -5,7- 및 -6,8-디설폰산, 1-나프틸아민-2,4,6-, 2,4,7-, -2,5,7-, -3,5,7-, -3,6,8- 및 -4,6,8-트리설폰산, 2-나프틸아미노-1,3,7-, -1,5,7-, -3,5,7-, -3,6,7-, -3,6,8- 및 -4,6,8-트리설폰산, 2-, 3- 및 4-아미노피리딘, 2-아미노벤즈티아졸, 5-, 6- 및 8-아미노퀴놀린, 2-아미노피리미딘, 모르폴리노, 피페리딘, 피페라진,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이소부탄올, 2급-부탄올, 3급-부탄올, 헥산올, 사이클로헥사올, β-메톡시에탄올, β-에톡시에탄올, γ-메톡시프로판올, γ-에톡시프로판올, β-에톡시-β-에톡시에탄올, 글리콜산, 페놀, o-, m- 및 p-클로로페놀, o-, m- 및 p-니트로페놀, o-, m- 및 -하이드록시벤조산, o-, m- 및 p-페놀설폰산, 페놀-2,4-디설폰산, α-나프톨, β-나프톨, 1-하이드록시나프탈렌-8-설폰산, 2-하이드록시나프탈렌-1-설폰산, 1-하이드록시나프탈렌-5-설폰산, 1-하이드록시나프탈렌-4-설폰산, 1-하이드록시나프탈렌-6- 또는 -7-설폰산, 2-하이드록시나프탈렌-6-, -7- 또는 -8-설폰산, 2-하이드록시나프탈렌-4-설폰산, 2-하이드록시나프탈렌-4,8- 또는 -6,8-디설폰산, 1-하이드록시나프탈렌-4,8-디설폰산, 2-하이드록시나프탈렌-3,6-디설폰산, 메탄티올, 에탄티올, 프로판티올, 이소프로판티올, n-부탄티올티오글리콜산, 티오우레아, 티오페놀, α-티오 나프톨, β-티오나프톨, β-설파토에틸아미노에틸아민.
보다 바람직한 화합물은 염료특성을 가진 화합물에는 예를 들어 4-니트로-4'-아미노스틸벤디설폰산, 2-니트로-4'-아미노-디페닐아미노-4,3'-스틸벤디설폰산, 2-니트로-4'-아미노디페닐아미노-4,3'-디설폰산이 있으며, 특히 바람직한 화합물로는 아미노 아조염료 또는 하나 이상의 반응성 아미노그룹을 함유하는 아미노 안트라퀴논 또는 프탈로시아닌이 있다.
트리아진 래디칼의 2-위치에의 치환체의 도입은 또한 커플링 또는 금속화 후에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아미노, 하이드록시 또는 머캅토 화합물중의 하나는 아조염료에 이미 결합되어 있는 디할로-S-트리아진 래디칼과 축합 반응시킬 수 있다.
아실화에 대해 도입될 수 있는 반응성 래디칼외에, 다른 적합한 반응성 래디칼들은 비닐설폰, β-설파토에틸설폰, 또는 티오설파토에틸설폰, β-티오설파토프로피오닐아미드, β-티오설파토에틸 설포닐아미드 또는 설폰산, N-β-설파토에틸아미드 그룹이고, 이들은 기타의 방법, 예를 들어 에스테르 또는 티오 에스테르 생성 반응에 의해서 디아조성분에 도입시킨다.
추가의 반응성 래디칼을 아실화에 의해 도입시킬 수 있는 염료의 예에는 하기 구조식의 화합물들이 있다 :
Figure kpo00018
Figure kpo00019
Figure kpo00020
Figure kpo00021
Figure kpo00022
Figure kpo00023
Figure kpo00024
유리아미노 그룹을 함유하는 추가의 단일 반응성 염료의 예는 다음과 같다 :
Figure kpo00025
Figure kpo00026
상기에서, 아실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아인혼(Einhorn)의 방법에 의해 적합한 메틸롤화합물을 통하여 수득될 수 있는 반응성 화합물들(예 : 1-아미노-3-클로로아세틸아미노메틸벤젠-6-설폰산)에 대해 또한 언급할 수 있다.
섬유 반응성 아실화제에 의한 아실화 반응은 탄산나트륨 또는 수산화나트륨 같은 산 수용체를 사용하여, 치환성 할로겐원자, 불포화 결합등이 반응성 래디칼중에 잔존하는 조건하에서, 즉 예를 들어 유기용매중에서 또는 비교적 저온의 수성매질중에서 수행하는 유리하다.
실크 또는 함실크 혼합물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서 염색 또는 날염시킨다. 적합한 실크에는 천연 또는 인조 실크(양잠견, Bombyx mori)뿐만 아니라, 다른 야잠사(wild silk), 특히 작잠사(tussah silk), 및 에리아(eria) 및 파라가(fagara)실크, 네스터(nester)실크, 세네갈(senegal)실크, 무가(muga)실크, 셀(shell) 실크 및 스펀(spun) 실크도 포함된다. 함실크 직물은 특히는 폴레에스테르 섬유, 아크릴 섬유, 셀룰로오스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또는 양모를 함유하는 실크 혼방물이다. 직물 재료는 예를 들어, 섬유, 사, 직물 또는 편물과 같은 광범위한 가공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염색은 8이상의 pH, 바람직하게는 9 내지 10의 pH하에 수성 매질중에서 수행한다. 염색방법은 염색 재료를 1 : 50 내지 1 : 150, 바람직하게는 1 : 80 내지 1 : 120의 용액 : 제품비율하에 상온, 바람직하게는 20°내지 40℃에서 염욕시키고, 자주 교반시키면서 6 내지 48시간, 바람직하게는 24시간동안 염욕상태에 있게 하거나, 바람직하게는 용액 비율 1 :0.7 내지 1 : 1.3의 패딩 용액중에 함침시키고, 20 내지 60℃하에서 습윤상태로 6 내지 48시간, 바람직하게는 24시간동안 저장하는 방법이다. 염색이 가장 양호하게 수행되는 온도 범위는 재료, 반응성 염료의 특성, 및 목적하는 정도의 쉐이드(shade)에 의존한다.
알카리성 pH의 범위에서 본 발명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알칼리성 산 수용체의 예에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인산(3)나트륨, 인산 1수소(2)나트륨 및, 특히는, 탄산나트륨 또는 탄산나트륨 및 중탄산나트륨과 임의로 염화나트륨과 같은 중성 염과의 혼합물이 있다.
본 발명의 냉각 패드-배치(pad-batch)염색 방법에 있어서, 염욕은 하나이상의 상기한 바 있는 알칼리, 및 습윤제(예 : 디옥틸설포석시네이트) 및 증점제(예 : 알기산 증점제)와 같은 임의의 추가보조제 알칼리 금속 염화물 또는 알칼리금속 황화물과 같은 중성 무기염을 함유한다.
실크 또는 함실크 직물상에 염료를 고착시키는데 중요한 패드 방법은 큰통 권취 방법 또는 그의 변형인 냉각 패드-배치 염색 방법이다. 이 방법에 있어서, 섬유재료를 통해 권취시켜 저장하고, 상기 권취 재료를 밀폐시켜 건조를 방지하고, 감긴 섬유중에 존재하는 알카리와 대기중의 CO2가 반응함으로써 염료가 불충분하게 고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목적하는 쉐이드도에 따라, 염료를 0.1 내지 15%의 농도로 사용한다.
고착시킨후, 염색물 또는 날염물을, 분산제로서 작용하고, 비고착 염료의 확산을 촉진시키는 제제를 임의로 첨가한 냉수 및 온수로 충분히 세척한다.
바람직한 방법의 양태에는 8.5 내지 9의 pH 및 상승온도, 바람직하게는 70°내지80℃의 세척액중에서, 임의로 비온성 세제의 존재하에 세척하는 것이 포함된다.
본 발명 방법에 사용되는 반응성 염료에 의한 염색물의 특징은 투명한 쉐이드이다. 고착도가 높아지고 형성도가 개선되며, 염색물은 우수한 일광 견뢰도 및 매우 우수한 습윤견뢰도를 갖는다.
다음 실시예를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별도의 지시가 없는한 %는 중량%이다.
[실시예 1]
Figure kpo00027
Figure kpo00028
30g의 일반식(A)의 염료, 500g의 일반식(B)의 염료 및 80g의 일반식(C)의 염료를 1l의 물로 냉각상태에서 교반시켜 페이스트가 되게 한 후 6l의 온수를 가하여 용해시킨다. 그후, 10g의 디옥틸 설포석시네이트를 가한다. 용액을 25℃로 냉각시킨 후, 200g의 탄산나트륨 및 2kg의 6% 알긴산 증점제를 가하고 물을 가하여 용적을 10l로 만든다. 패딩액의 pH는 10이다. 단위면적당 무게가 80g/㎡인 실크섬유 110m를 패더상에서 상기액에 함침시키고 90%로 픽업한다. 함침된 석유를 배치-업(batch-up) 롤러상에서 플라스틱내에 밀폐시키고 25°내지 27℃에서 48시간동안 저장한다. 염색된 섬유를 광폭세정기내에서 40°내지 50℃하에 10분간 세척한 후, 경우에 따라 탄산나트륨을 가하여 세척액의 pH를 8.5 내지 9로 조절하면서 80℃에서 15분간 비이온성 세척제(파라-노닐페놀에 10당량의 에틸렌옥사이드를 가하여 수득함) 2g/1로 세척하여 비고착된 염료를 제거한다. 그후, 섬유를 40℃의 물로 5분간 세척한 후, 20℃의 물로 5분간 세척하고, 이어서 1g/l의 아세트산을 가한다. 섬유를 통상적인 방법으로 냉각 및 건조시킨다. 이와 같이 수득되는 암청색의 균일한 염색물은 매우 우수한 습윤견뢰도를 가지며, 다음 공정에서 발염물의 기재로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2]
Figure kpo00029
일반식(D-1) 및 (D-2)의 각각의 염료 분자를 함유하는 1 : 2 크롬착염 2kg을 15l의 온수에 용해시킨다. 그후, 20g의 디옥틸 설포석시네이트를 용액에 가하고 25℃로 냉각시킨다. 400g의 탄산나트륨을 용액에 각하고 교반시켜 균일하게 한다. 4kg의 6% 알긴산 증점제를 가하고, 용액에 물을 가하여 용적을 20l로 만든다. 상기 패딩액의 pH는 10이다. 단위면적당 중량이 80g/㎡인 실크섬유 18kg의 작잠사를 패더상에서 상기 패딩액에 함침시키고 100%로 픽업한다. 침지된 섬유를 스팀-가열 챔버내에서 60℃하에 예비건조시키고 배치를 60℃에서 24시간 동안 서서히 회전시킨다. 염색 섬유를 확폭 세정기상에서 40℃에서 50℃하에 10분간 세척한 후, 경우에 따라 탄산나트륨을 가하여 세척액의 pH를 8.5 내지 9로 조절하면서, 파라-노닐페놀에 10당량의 에틸렌옥사이드를 가하여 수득한 2g/l의 비이온성 세제로 세척하여 비고착염료를 제거한다. 섬유를 40℃의 물로 5분간 및 20℃의 물로 5분간 세척하고, 1g/l의 아세트산을 가한다. 그후, 섬유를 스퀴징(squeezing)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건조시킨다. 이렇게 수득된 암흑색의 균일한 염색물은 습윤견뢰도가 매우 우수하다.
[실시예 3]
Figure kpo00030
1kg의 일반식(E)의 염료를 14l의 온수에 용해시킨다. 그리고 나서 20g의 디옥틸 설포석시네이트를 용액에 가하고 25℃로 냉각시킨다. 400g의 탄산나트륨을 용액에 가하고 교반시켜 균질하게 한다. 그후, 4kg의 6% 알긴산 증점제를 가하고 물을 가하여 용액의 용적을 20l로 만든다. 상기 패딩액의 pH는 10이다. 단위면적당 중량이 80g/㎡인 18kg의 실크섬유를 패더상에서 상기 패딩액에 함침시키고 100%로 픽업한다. 침지된 섬유를 스팀-가열 챔버내에서 60℃에서 예비건조시키고, 배치를 24시간 동안 60℃에서 서서히 회전시킨다. 염색된 섬유를 확폭 세정기상에서 40°내지 50℃에서 10분간 세척시킨 후, 경우에 따라 탄산나트륨을 가하여 세척액의 pH를 8.5 내지 9로 조절하면서, 파라-노닐페놀에 에틸레옥사이드 10당량을 가함으로써 수득된 2g/l의 비이온성 세제로 세척하여 비고착 염료를 제거한다. 섬유를 40℃의 물로 5분간 및 20℃의 물로 5분간 세척하고, 1g/l의 아세트산을 가한다. 그후, 섬유를 스퀴징하고 통상적인 방법으로 건조시킨다.
이렇게 수득된 담청색의 균일한 염색물은 습윤견뢰도가 매우 우수하다.
[실시예 4]
Figure kpo00031
일반식(F)의 염료90g을 12l의 온수에 용해시킨 후, 20g의 디옥틸 설포석시네이트를 상기 용액에 가하고 25℃로 냉각시킨다. 400g의 탄산나트륨을 용액에 가하고 교반시켜 균질하게 한다. 그리고 나서 5kg의 6% 알긴산 증점제를 가하고, 용액에 물을 가하여 용적을 20l로 만든다. 상기 패딩액의 pH는 10이다. 단위 면적당 중량이 100g/m2인 18kg의 실크섬유를 패더상에서 상기 패딩액에 함침시키고 90%로 픽업한다. 함침된 섬유를 롤러상에서 25℃에서 예비건조시키고, 플라스틱내에서 밀폐시켜 25°내지 27℃하에 6시간 동안 저장한다. 그후, 염색 섬유를 광폭세정기상에서, 40°내지 50℃하에 10분간 세척하고, 경우에 따라 탄산나트륨을 가하여 세척액의 pH를 8.5 내지 9로 조절하면서, 2g/l의 비이온성 세제(파라-노닐 페놀에 10당량의 에틸렌옥사이드를 첨가하여 수득됨)로 80℃에서 15분간 세척하여 비고착 염료를 제거한다. 섬유를 40℃의 물로 5분간 및 20℃의 물로 5분간 세척하고, 1g/l의 아세트산을 가한다. 그후, 섬유를 스퀴징하고 통상의 방법으로 건조시킨다. 이렇게 수득된 담청색의 균일한 염색물은 습윤견뢰도가 매우 우수하다.
[실시예 5]
납염방지제가 적용된 실크섬유 200g을, 25℃ 내지 30℃에서 하기 일반식(G)의 염료 3g,일반식(H)의 염료 4g, 일반식(Ⅰ)의 염료 3g, 탄산나트륨 400g 및 염화나트륨 1200g을 함유하는 20l의 수용액중에 가한다.
Figure kpo00032
Figure kpo00033
섬유를, 자주 교반시키면서, 25℃ 내지 30℃에서 24시간 동안 상기 용액중에 방치시킨다.
그후, 섬유를, 2g/l의 비이온성 세제 (파라-노닐 페놀에 10당량의 에틸렌 옥사이드를 가하여 수득됨)를 함유하는 세척 배드중에서 80℃에서 20분간 세척하여 납염방지제 및 비고착염료를 제거한 후 세척하고 건조한다. 습윤 견뢰도가 매우 우수하고 완전방염된 갈색 염색물이 수득된다.
[실시예 6]
납염 방지제가 적용된 200g의 실크섬유를, 일반식(K)의 염료 10g, 400g의 탄산나트륨 및 1200g의 염화나트륨을 함유하는 20l의 수용액중에 가하고, 자주 교반시키면서, 25°내지 30℃에서 12시간 동안 상기 용액중에 섬유를 방치시킨다.
Figure kpo00034
그후, 섬유를 2g/l의 비이온성 세제(파라-노닐 페놀에 10당량의 에틸렌옥사이드를 가하여 수득함)를 함유하는 세척 베드중에서 80℃에서 20분간 세척하여 납염 방지제 및 비고착염료를 제거한 후 린싱시키고 건조시킨다. 습윤 견뢰도가 매우 우수하고 완전방염된 적색염색물이 수득된다.
매우 우수한 습윤 견뢰도를 갖는 염색물은 하기 표의 칼럼 2에 실려 있는 염료의 동몰량을 사용하여 실시예 1 내지 6에 기술된 방법을 수행함으로써 수득된다. 쉐이드는 컬럼 3에 나타내었다 :
실시예 1 내지 10을 비교하는 내구성 데이타
[표]
Figure kpo00035
Figure kpo00036
Figure kpo00037
Figure kpo00038
Figure kpo00039
Figure kpo00040
Figure kpo00041
Figure kpo00042
Figure kpo00043
Figure kpo00044
Figure kpo00045
Figure kpo00046
Figure kpo00047
Figure kpo00048
Figure kpo00049
Figure kpo00050
Figure kpo00051
Figure kpo00052
Figure kpo00053
Figure kpo00054
Figure kpo00055
Figure kpo00056
Figure kpo00057
Figure kpo00058
Figure kpo00059
Figure kpo00060
Figure kpo00061
Figure kpo00062

Claims (11)

  1. 실크 또는 함실크 혼방물을, 8이상의 pH하에 수성 매질중에서 분산제 또는 팽윤제를 첨가시키지 않고, 하기 일반식(1)의 반응성 염료를 사용하여, 20 내지 40℃의 온도에서 6 내지 48시간 동안을 염색시키거나, 제품을 함침시킨 후 함침된 제품을 20 내지 60℃의 온도에서 습윤 상태로 6내지 48시간 동안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여,실크 또는 함실크 혼합물을 염색시키는 방법.
    Figure kpo00063
    상기식에서, D는 모노- 또는 폴리-아조, 금속 착염 아조, 안트라퀴논, 프탈로시아닌, 포르마잔, 아조메틴, 디옥사진, 페나진, 스틸벤, 트리페닐메탄, 크산텐, 티오크산톤, 니트로아릴, 나프토퀴논, 피렌퀴논 또는 페닐렌테트라카이미드계 설포그룹-함유 염료의 래디칼이며, n은 1 내지 4이고, Y는 2,4-디플루오로-5-클로로피리미딘-6-일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실크 또는 함실크 혼방물을, 8이상의 pH하에 패딩 수용액중에서, 일반식(1)의 반응성 염료에 함침시키고, 함침된 제품을 20 내지 60℃하에 습윤 상태에서 6 내지 48시간, 바람직하게는 24시간 동안 저장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실크 또는 함실크 혼방물을, 8이상의 pH 및 20 내지 40℃의 온도하에 염료 수용액 중에서 6 내지 48시간, 바람직하게는 24시간 동안 일반식(1)의 반응성 염료로 염색시키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D가 모노아조 또는 디스아조 염료의 래디칼인 일반식(1)의 반응성 염료를 사용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하기 일반식(2)의 반응성 염료를 사용하는 방법.
    Figure kpo00064
    상기식에서, D1은 벤젠 또는 나프탈렌계 디아조 성분의 래디칼이고, K는 벤젠, 나프탈렌 또는 헤테로사이클릭계 커플링 성분의 래디칼이며, Q는 일반식-N(R)-(여기에서, R은 수소, 또는 비치환되거나 치환된 C1-C4알킬이다)의 가교결합원이고, Y 및 n은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데, 여기서 반응성 래디칼 Y는 Q를 통해 디아조 성분 또는 커플링 성분에 결합되어 있거나, 디아조 성분 및 커플링 성분 모두가 각각 하나 또는 두개의 반응성 래디칼을 수반하거나, 두개의 반응성 래디칼이 커플링 성분 또는 디아조 성분에 결합되어 있거나, 두개의 반응성 래디칼이 디아조 성분또는 디아조 성분에 결합되고 있고 하나의 반응성 래디칼은 커플링 성분 또는 디아조 성분에 결합되어 있다.
  6. 제5항에 있어서, R이 수소 또는 메틸인 일반식(2)의 반응성 염료를 사용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8이상의 pH를 9 내지 10으로 조절하는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제품을 증점제, 바람직하게는 알긴산 증점제의 존재하에서 함침시키는 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제품에 대한 패딩액의 사용 비율이 0.7 : 1 내지 1.3 : 1인 방법.
  10. 제3항에 있어서, 제품에 대한 염료액의 사용 비율이 50 : 1 내지 150 : 1인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8.5 내지 9의 pH 및 승온,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85℃의 온도하에 임의로는 비이온성 세척제의 존재하에서 세척 수용액으로 염색 제품을 세척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방법.
KR1019840002129A 1983-04-20 1984-04-20 실크 또는 함실크 혼방물의 염색방법 KR9100025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2125/83-1 1983-04-20
CH212583 1983-04-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8404A KR840008404A (ko) 1984-12-14
KR910002517B1 true KR910002517B1 (ko) 1991-04-23

Family

ID=4226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2129A KR910002517B1 (ko) 1983-04-20 1984-04-20 실크 또는 함실크 혼방물의 염색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568350A (ko)
EP (1) EP0126026B1 (ko)
JP (1) JPS59199761A (ko)
KR (1) KR910002517B1 (ko)
DE (1) DE3467907D1 (ko)
HK (1) HK78090A (ko)
IN (1) IN16118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60767A1 (de) * 1984-04-12 1985-11-13 Sicpa Holding S.A. Verfahren zum Bedrucken von Naturseide-Substraten im Transferdruck
JPS61126175A (ja) * 1984-11-22 1986-06-13 Sumitomo Chem Co Ltd フタロシアニン化合物およびそれを用いて染色または捺染する方法
DE3502960A1 (de) * 1985-01-30 1986-07-31 Hoechst Ag, 6230 Frankfurt Klotz-faerbeverfahren fuer wolle
DE3502961A1 (de) 1985-01-30 1986-07-31 Hoechst Ag, 6230 Frankfurt Klotz-faerbeverfahren fuer wolle
DE3536688A1 (de) * 1985-10-15 1987-04-16 Hoechst Ag Wasserloesliche disazoverbindungen,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als farbstoffe
DE3539475A1 (de) * 1985-11-07 1987-05-14 Hoechst Ag Verfahren zum faerben von wollstueckware
DE3544796A1 (de) * 1985-12-18 1987-06-19 Hoechst Ag Verfahren zum faerben von wolle
JPS62238881A (ja) * 1986-04-08 1987-10-19 鐘紡株式会社 絹繊維構造物の連続染色方法
JPS62238882A (ja) * 1986-04-08 1987-10-19 鐘紡株式会社 絹繊維構造物の連続染色方法
JPH0772255B2 (ja) * 1986-10-27 1995-08-02 三菱化学株式会社 水溶性フタロシアニン色素
CH673465A5 (ko) * 1986-12-10 1990-03-15 Sandoz Ag
JPH0788476B2 (ja) * 1987-02-24 1995-09-27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ジオキサジン化合物及びそれを用いて繊維材料を染色または捺染する方法
EP0309405B1 (de) * 1987-09-21 1994-06-01 Ciba-Geigy Ag Verfahren zum Färben oder Bedrucken von Fasermaterial aus natürlichen oder synthetischen Polyamiden mit Reaktivfarbstoffen
DE3734528A1 (de) * 1987-10-13 1989-05-03 Hoechst Ag Verwendung von farbmitteln fuer aufzeichnungsfluessigkeiten
DE3829781A1 (de) * 1988-09-02 1990-03-15 Hoechst Ag Wasserloesliche azoverbindung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als farbstoffe
EP0419413A1 (de) * 1989-09-22 1991-03-27 Ciba-Geigy Ag Verfahren zum Färben oder Bedrucken von Mischfasern aus cellulosehaltigen Fasermaterialien und Seide
DE4318620A1 (de) * 1993-06-04 1994-12-08 Bayer Ag Reaktivfarbstoffe
DE4320632A1 (de) * 1993-06-22 1995-01-05 Bayer Ag Bifunktionelle Reaktivfarbstoffmischung
JP2799346B2 (ja) * 1993-08-09 1998-09-17 艶金興業株式会社 蛋白繊維製品の染色法
CN115262253B (zh) * 2022-04-15 2023-10-17 苏州大学 一种基于多巴胺和活性染料的棉织物轧堆染色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50165A (en) * 1960-08-23 New dyeing process
US2895785A (en) * 1959-07-21 Naoas
BE625803A (ko) * 1961-12-08
NL300987A (ko) * 1962-11-27
CH400995A (de) * 1963-01-25 1965-05-31 Ciba Geigy Verfahren zum Färben und Bedrucken nach dem Vigoureuxdruckverfahren von natürlichen, stickstoffhaltigen textilen Materialien
CH398499A (de) * 1963-08-29 1966-03-15 Ciba Geigy Verfahren zum Färben oder Bedrucken von Textilfasern aus natürlichem, stickstoffhaltigem Material faseriger Struktur
GB1420316A (en) * 1972-02-04 1976-01-07 Bsg Designs Pattern dyeing
EP0036838B1 (de) * 1980-03-18 1984-09-26 Ciba-Geigy Ag Azofarbstoffe,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3019960A1 (de) * 1980-05-24 1981-12-03 Hoechst Ag, 6000 Frankfurt Verfahren zum faerben und bedrucken von hydroxy- und/oder carbonamidgruppen enthaltenden fasermaterialien
DE3023855A1 (de) * 1980-06-25 1982-01-14 Bayer Ag, 5090 Leverkusen Reaktivfarbstoff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zum faerben und bedrucken hydroxylgruppenhaltiger oder stickstoffhaltiger fasermaterialien
DE3126081A1 (de) * 1981-07-02 1983-01-20 Hoechst Ag, 6000 Frankfurt Fluessige reaktivfarbstoffzubereitungen und ihre verwendung
EP0074928A3 (de) * 1981-09-16 1983-04-20 Ciba-Geigy Ag Reaktivfarbstoffe,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US4560388A (en) * 1983-04-20 1985-12-24 Ciba-Geigy Corporation Process for dyeing silk or fibre blends containing sil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568350A (en) 1986-02-04
EP0126026A1 (de) 1984-11-21
HK78090A (en) 1990-10-05
KR840008404A (ko) 1984-12-14
DE3467907D1 (en) 1988-01-14
IN161181B (ko) 1987-10-17
EP0126026B1 (de) 1987-12-02
JPS59199761A (ja) 1984-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2517B1 (ko) 실크 또는 함실크 혼방물의 염색방법
KR910002516B1 (ko) 실크 또는 함실크 혼방직물의 염색방법
US4746732A (en) Reactive disazo dyes containing halopyrimidyl and sulfonyl groups
EP0167219B1 (en) Fiber-reactive compound having both pyridiniotriazinyl and vinylsulfone type groups
JPS6017457B2 (ja) 反応性染料およびその製法
JPH0693198A (ja) 反応性染料、製法及び用途
CS195316B2 (en) Process for preparing dyes reactive with fibres
JPH0830152B2 (ja) 反応染料,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S61264062A (ja) 反応染料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使用方法
US4908436A (en) Fibre-reactive azo dyes containing vinylsulfonyl groups and further aliphatic fibre-reactive radicals
JPH07113089B2 (ja) 水溶性の繊維反応性染料、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用途
US4283331A (en) Azo dyes, their preparation and use
EP0036838B1 (de) Azofarbstoffe,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US5047514A (en) Bireactive primary disazo dyes containing 1-amino-8-hydroxynaphthalene-3,6 Disulfonic acid as coupling component
JP2565510B2 (ja) 反応染料とその製造方法と使用
GB2029850A (en) Reactive dyes their preparation and use
JPS58142940A (ja) 反応染料と,その製造法および用法
JPH0578588B2 (ko)
JPS6011559A (ja) 反応染料およびその製造法と用法
JP2668247B2 (ja) 反応染料、その製造方法および使用
JPH0369948B2 (ko)
JPS61123671A (ja) 反応染料、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使用
US4129736A (en) Triazinyl-antraquinone dyestuffs
JPS62215661A (ja) 反応染料、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H09165525A (ja) 繊維反応性染料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