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915B1 - 헤어트리트먼트 조성물 - Google Patents

헤어트리트먼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915B1
KR910001915B1 KR1019840005818A KR840005818A KR910001915B1 KR 910001915 B1 KR910001915 B1 KR 910001915B1 KR 1019840005818 A KR1019840005818 A KR 1019840005818A KR 840005818 A KR840005818 A KR 840005818A KR 910001915 B1 KR910001915 B1 KR 910001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pase
hair treatment
hair
treatment composition
scal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5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2396A (ko
Inventor
하지메 요시쥬미
데루오 아마찌
다까아끼 구수미
다까하루 다나까
히로시 이시구까
Original Assignee
산또리 가부시끼가이샤
사지 게이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또리 가부시끼가이샤, 사지 게이조오 filed Critical 산또리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2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2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9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6Antidandruff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4/00Drug, bio-affecting and body treating compositions
    • Y10S424/04Dandruf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 Enzymes And Modification Thereof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헤어트리트먼트 조성물
본 발명은 머리의 비듬생성 및 두피의 소양증을 예방하거나 발모를 촉진시키는데 적합한 신규의 헤어트리트먼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서 리파아제를 함유하는 신규의 헤어트리트먼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일생동안 건강하고 숱이 많은 모발을 지니고 있기를 바란다. 헤어트리트먼트 조성물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헤어 드레싱이 탈모증(즉, 불수의적인 탈모 및 이에 따른 대머리가 되는 현상)의 완화 또는 치료에 사용되어 왔다. 탈모증은, 예를 들면, 내분비계, 자율신경계, 및 혈액순환계의 변화로 인한, 모세혈관, 모낭, 및 표피의 비정상적인 상태와 관련되는 것으로 사려된다. 따라서, 상술한 비정상 상태를 예방 또는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제제, 예를 들면, 여성 호르몬, 비타민, 아미노산, 생약 추출물, 여러가지 살균제, 각질용해제 및 증감염료와 같은 피부기능 항진제, 및 멘톨과 같은 말초신경 자극제가 헤어토닉 조성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현재까지 탈모증을 완화시키고 발모를 촉진시키며, 또한 투피의 비듬생성 및 소양증을 완화 또는 치료하기 위한 효과적인 제제는 실질적으로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두피의 비듬생성 및 소양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발모도 촉진시킬 수 있는 신규의 헤어트리트먼트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유효 성분으로서 리파아제를 함유하는 헤어트리트먼트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이미, 건강한 모발을 가진 사람의 두피의 미생물총(microflora)과 건강하지 못한 모발을 지닌 사람(예를 들면, 두피에 비듬 및 소양증이 생기고 비정상적인 탈모증이 생긴 사람)의 두피의 미생물총을 상세히 비교 연구한 결과, 스타필로코커스 카피티스(Staphylococcus capitis)가 건강한 모발을 가진 사람의 두피에 있는 미생물총의 모두 또는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을 밝혀냈다. 이에 반대, 건강하지 못한 사람의 두피에서는, 미생물총에서 스타필로코커스 카피티스가 거의 발견되지 않았지만,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 및 피리로스포룸 오발레 같은 미생물이 발견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발명자는 스타필로코커스 카피티스의 세포가 라파아제 활성 및 테스토스테론 5α-환원효소(즉, "5α-환원효소") 억제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밝혔다. 용어 "5α-환원효소"는 테스토스테론을 5α-디하이드로 테스토스테론으로 환원시키는 효소를 의미 한다.
이러한 사실을 기초로하여, 본 발명의 발명자는 상기 언급된 활성이 발모효과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주장하였다[참조문헌 : 미합중국 특허원 제505,273호 또는 유럽 특허원 제83303654.4호].
또한, 본 발명의 발명자는, 상기 언급된 리파아제-활성 및 5α-환원효소 억제 활성과 발모와의 관계를 연구한 결과, 주성분으로서 스타필로코커스 카피티스로부터의 리파아제와 유지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얻어진 지방산을 함유하는 생성물이 강력한 5α-환원효소 억제활성을 나타냄을 알았다. 이러한 새로운 사실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발명자는 유지와 스타필로코커스 카피티스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수득된 생성물은 발모에 유효한 작용을 나타내며 또한 비듬 및 소양증을 완화시킨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참조문헌 : 미합중국특허원 제574,132호 또는 유럽 특허원 제84 300 630.5호].
또한, 본 발명의 발명자는, 건강한 모발을 가진 사람의 두피와 건강하지 못한 모발을 가진 사람의 두피에서의 효소활성을 비교한 결과, 건강하지 못한 모발을 가진 사람의 두피에 존재하는 스타필로코커스 카피티스에 의해 생성된 리파아제 활성이 건강한 모발을 가진 사람의 경우보다 낮음을 알았다. 이어서 본 발명의 발명자는, 스타필로코커스 카피티스에 의해 생성된 리파아제의 특성을 연구하여, 리파아제가 두피로부터 분비된 지질을 효과적으로 가수분해시키고 두피 및 모근을 건강하게 하는데 기여함을 밝혀냈고 가수분해의 생성물, 즉, 지방산이 5α-환원효소를 억제시킴을 밝혀냈다.
리파아제(Triacylglycero acylhydrolase El 3.1.1.3)는 생물체에 광범위하게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동물, 식물, 및 미생물로부터 여러 종류의 리파아제의 특성을 연구하여, 이들 리파아제가, 두피 및 두피로부터 분비된 지질에 대한 작용에 있어서, 스타필로코커스 카피티스에 의해 생성된 리파아제의 특성과 유사한 특성을 나타냄을 밝혀냈다. 이 사실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헤어트리트먼트 조성물에 유용한 리파아제는 특정 기원으로부터의 리파아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쌀겨 리파아제와 같은 식물로부터의 리파아제 ; 돼지 췌장 리파아제와 같은 동물로부터의 리파아제 ; 스타필로코커스 카피티스(Staphylococcus capitis ATCC-27840 ; 한국 기탁 번호 KFCC-10075, 기탁일 1984. 4. 17, 기탁기관 한국 종균 협회 ; ATCC-27841 ; 한국 기탁 번호 KFCC-10076, 기탁일 1984. 4. 17, 기탁기관 한국 종균 협회 ; ATCC-27842 ; 한국 기탁 번호 KFCC-10077, 기탁일 1984. 4. 17, 기탁기관 한국 종균 협회 ; ATCC-27843 ; 한국 기탁 번호 KFCC-10078 기탁일 1984. 4. 17, 기탁기관 한국종균 협회], 리조푸스 델레머(Rhyzopus delemer ATCC 34612 : 한국 기탁 번호 KFCC-10080, 기탁일 1984. 5. 1, 기탁기관 한국 종균 협회], 캔디다 실린드라세아(Candida Cylindracea) 등에 의해 생성된 리파아제와 같은 미생물로부터의 리파아제가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식물로부터 수득된 리파아제는 쉽게 불활성이 되어, 용이하게 이용할 수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므로, 실용적인 견지에서, 동물의 리파아제 또는 미생물의 리파아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일 리파아제를 사용하거나 둘 이상의 리파아제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리파아제가 바람직하지 못한 부작용을 미치는 불순물을 함유하지 않는 한, 고도로 정제된 형태 또는 여러 등급으로 부분 정제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기의 효소 생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 동물 조직, 식물, 또는 미생물의 세포로부터의 추출물 ; 또는 무기염(예 : 황산암모늄)을 사용한 염석 또는 유기용매(예 : 아세톤 또는 에탄올)를 사용한 침전과 같은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이들 추출물로부터 수득한 조효소 생성물 ; 또는 예를 들어, 칼럼 크로마토그라피(예를 들면, 디에틸아미노에틸(DEAE) 셀룰로오스상의 칼럼 크로마토그라피)로 정제한 정제된 효소 생성물.
본 발명에 다른 헤어트리트먼트 조성물은 상기-언급된 리파아제 또는 리파아제-함유 생성물일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리파아제 또는 리파아제-함유 생성물 및 헤어트리트먼트 조성물의 통상적인 기본물질로 이루어진다.
헤어트리트먼트 조성물은, 그것이 사용될때까지 리파아제 활성을 보유해야 한다. 이러한 헤어트리트먼트조성물은 액체 또는 고체제제일 수 있다. 액체 제제는 예를 들면, 리파아제를 함유하는 수용액 또는 리파아제-함유 미립자 생성물을 함유하는 현탁 수용액이다. 이러한 액체 제제의 기본물질은, 예를 들면, pH 5 내지 9의 인산염 완충용액과 같은, 리파아제 활성을 유지하는데 적당한 완충용액이다.
고체 제제는 산제, 미세캡슐제, 정제, 입제, 또는 디스크(disk)일 수 있다. 산제는, 정제된 리파아제 분말 또는, 예를 들어, 동결건조에 의해 생성된 리파아제-함유 조분말을 탈크, 솔비톨, 카올린, 또는 탄산마그네슘과 같은 통상적인 기본물질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정제, 입제, 및 미세캡슐제는, 이러한 제제를 제조하기 위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상기-언급된 리파아제 생성물 또는 리파아제-함유 조생성물 및 상기-언급된 기본 물질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디스크는 흡수페이퍼 디스크(paper disk)를 리파아제-함유 수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함침시키고 함침된 디스크를, 저온 진공건조 또는 동결건조와 같은, 리파아제를 불활성화시키지 않는 방법으로 건조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헤어트리트먼트 조성물은 정제-리파아제 또는 조 리파아제 생성물을 헤어트리트먼트 용액제, 헤어로숀, 샴푸, 또는 헤어린스와 같은 통상적인 헤어트리트먼트 조성물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헤어트리트먼트 조성물내 리파아제의 함량은, 리파아제가 실질적으로 무독성이기 때문에 제한되지 않는다. 하지만, 헤어트리트먼트 조성물이 정제 또는 디스크인 경우, 사용에 편의를 위해, 정제 또는 디스크는 리파아제 약 0.001 내지 50국제단위(lU)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헤어트리트먼트 조성물의 리파아제 단위용량은 0.001 내지 50 IU가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발명자는 여러 피검자의 두피상에 있는 트리글리세라이드의 전체량을 측정하여, 개개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그양이 15 내지 30μ몰임을 밝혔다. 본 발명의 헤어트리트먼트 액체-형태 헤어트리트먼트 조성물을 두피에 적용한 다음 단시간경과후 씻어버릴 경우, 리파아제의 단일 용량은 약 1 내지 50 IU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독성 시험을 수행하고, 50 IU로 리파아제를 적용한 경우에 무독성임을 밝혀, 상세하게 후술하였다. 로숀-형 헤어트리트먼트 조성물을 두피에 적용하여, 장시간 동안 방치하는 경우, 리파아제의 단일 용량은 약 0.001 내지 2 IU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액체 제제는, 필요한 경우, 적용전에 물로 희석시킬 수 있다. 산제 또는 정제는 적용하기전에 물에 용해시키기나 현탁시킨다. 디스크 제제의 경우, 디스크에 함침된 리파아제를 물로 용출시키고, 리파아제 -함유 수용액을 수득한다. 이어서, 수용액을 두피에 즉시 적용하거나 머리에 적용하기전에 헤어트리트먼트 액체, 헤어로숀, 샴푸, 또는 헤어린스와 같은 통상적인 헤어트리트먼트 조성물과 혼합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활성 성분의 발모 효과는 명백하게 이해되고 있지는 않지만, 본 발명에 대한 편견 없이, 하기에 설명되어 있다.
탈모, 비듬, 및 소양증의 원인에 대하여 여러 학설들이 제안되어 왔다. 예를 들면, 불균형 호르몬체질설, 영양소 관련설, 지루설 및 유전설이 알려져 있으며, 상기 언급된 비정상적인 상태와 피지선의 발달간에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보여진다[참조 문헌 : Masumi Inaba, "Mainichi Life"November 1981, pages 26 to 35 ; "Saishin Keshohin Kagaku(Recent Cosmetics Science)", pages 130 published by Yakuji NippoSha in 1980 ; Kenji Adachi et, al.,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 41(4), pages 884 to 890(1970) ; Susumu Takayasu et. al.,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74, pages 187 to 191, 1980].
즉, 두부의 피지선이 영양소, 호르몬 등에 의해 발달하게 되면 피지선에 존재하는 5α-환원효소에 의해 테스토스테론이 보다-강력한 5α-디하이드로 데스토스테론으로 전환된다. 이것이 혈관을 통해 모유두로 이동하여 모-매트릭스세포내 존재하는 아데닐 사이클라제 활성을 경감시킨다. 그결과, 모낭의 크기가 점차 감소되어 퇴화를 일으키고, 따라서, 모발은 가늘어지고 솜털화되며 결국은 대머리가 된다.
반면에 비듬은, 피지선의 비대에 의해 두피표면으로 대량의 셀리움(selium)이 분비 삼출되고, 이것이 두피표면에서 벗겨진 각질이나 케라틴과 혼합되기 때문에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비듬은 진피의 피부호흠 및 원섬유(또는 모근) 부위로의 영양소 흡수를 억제시킨다. 이러한 현상도 대머리의 원인이다.
탈모, 및 비듬을 유발시키는 이러한 메카니즘을 기초로 생각하면, 피지선으로부터 분비된 지질을 분해하는 리파아제 활성, 및 5α-환원 효소 억제 활성은 헤어트리트먼트 조성물이 지녀야 할 중요하고 필수적인 특징 및 성질이다. 이러한 활성은 헤어트리트먼트 조성물 또는 헤어 드레싱 조성물의 효과를 과학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표준 또는 기준도 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된 리파아제는 두피로부터 분비되어 두피에 붙어있는 지질을 가수분해하여, 지방산을 생성시키며 피부-호흡에 대한 억제를 제거한다. 가수분해 생성물, 즉, 지방산은 강력한 5α-환원효소 억제 활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헤어트리트먼트 조성물에 있어서, 두피상의 비듬생성 및 소양증의 예방 및 강력한 발모효과는 5α-환원효소 억제 활성으로 인한 상기-언급된 메카니즘 때문인 것으로 믿어진다. 더우기, 본 발명에 따른 헤어트리트먼트 조성물에 의해 지질로부터 유도된 지방산으로 인해, 두피의 미생물총이 건강상태로 유지되거나 건강상태로 회복된다. 이러한 작용 또는 기능이 조합되거나 배가될 경우, 이들은 강력한 발모 촉진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사려된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트리트먼트 조성물을 사람두피 또는 동물 피부에 적용할 경우, 강력한 발모 촉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헤어트리트먼트 조성물을 사람의 두피에 적용할 경우, 탈모를 효과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으며, 솜털같은 모발이 건강해지고, 비듬생성 및 소양증이 예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트리트먼트 조성물이 비-병원성(nonpathogenicity)임이 확인되었다. 즉, 실시예 1에 따라 수득된 스타필로코커스 카피티스로부터의 리파아제 2,500 IU/ml를 함유하는 0.02M 인산염 완충용액(pH 8.0) 20μl 또는 칸디다 실린드라세아로부터의 리파아제 5,000 IU/ml를 함유하는 0.05M 인산염 완충용액(pH 6.0) 20μl로 함침시킨 지름 6mm, 두께 1mm인 셀룰로오스 디스크를 10사람의 팔 안쪽 상단 또는 4마리 토끼의 털을 깎은 등에 놓고 테이프로 고정시켰다. 셀룰로오스 디스크를 3일동안 하루에 1번씩 교체하였다. 리파아제를 함유하지 않는 상기-언급된 완충용액으로 함침시킨 셀룰로오스 디스크를 대조용으로서 사용하였다.
어떠한 경우에도 비정상 상태가 발견되지 않았다.
5α-환원 효소 억제 활성은 하기와 같이 측정한다. 래트의 전립선 세포를 분쇄하고 분쇄된 액체 혼합물로부터 미립체를 분리시켜, 테스토스테론 5α-환원효소의 시편을 제조한다. 상기-제조된 효소 시편을 사용함으로써, 테스토스테론의 5α-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의 전환을 방사성 동위 원소로 표지된 테스토스테론으로 추적한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추출물을 실리카겔 박층 크로마토그라피(용매계, 디클로로메탄 : 시클로헥산 : 아세톤=15 : 4 : 1)로 2회 전개시킨다. 방사능의 강도로부터 5α-디하이드로 테스토스테론의 양을 측정한다.
반응
0.05M인산염 완충용액(pH=6.6) 30μl, 효소시편 10μl, 표지된 테스토스테론 8.5pmrol, 환원형 NADP(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phosphate) 50nmol, 및 시험 샘플 10μl을 혼합한다(최종 용적=50μl) 혼합물을 25℃에서 60분 동안 배양시킨다.
에틸아세테이트 100μl를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강하게 진탕시켜 추출한다. 추출물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전개시키고, 섬광 계수기를 사용하여, 방사능의 강도를 측정한다.
여러 농도의 샘플들을 사용하여, 상기-언급된 측정을 수행한다. 5α-환원효소 억제 활성은 50% 억제농도(IC50)로서 계산한다.
지방산의 5α-환원효소 억제 활성 IC50은, 예를 들면, 하기와 같다 :
[표 1]
Figure kpo00001
[실시예]
본 발명의 헤어트리트먼트 조성물의 제조, 적용, 및 효과가 자세하게 기술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하며, 이로써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스타필로코커스 카피티스로부터의 리파아제 제조
콩펩톤 및 염화나트륨으로 이루어진 배양배지를 담은 38 진탕 플라스크에 순수배양 스타필로코커스 카피티스 ATCC 27840(한국 기탁 번호 KFCC-10075, 기탁일 : 1984. 4. 17, 기탁기관 : 한국 종균 협회)를 접종시킨다. 배양배지를 진탕시키면서 30℃에서 24시간동안 배양한다. 이어서 배양배지를 합하고 원심분리시킨다.
상등액에, 황산암모늄을 75% 포화되게 용해시킨다. 이렇게 수득한 혼합물을, 기포의 생성을 억제시키면서, 5℃에서 밤새 교반기로 교반시키고 30분동안 7000rpm으로 원심분리시켜 침전물을 수집한 다음, 이것을 pH 7.0의 인산염 완충용액 20mM에 용해시킨다. 이 용액을 투석(dialysis) 튜브에 투입하여, 3시간 동안 동일한 완충용액 3ℓ에 대하여 투석한 다음, 다시 3시간동안 동일한 새로운 완충용액 3ℓ에 대하여 투석하고, 최종적으로 동일한 새로운 완충용액 10ℓ에 대하여 밤새 투석한다. 투석 튜브내의 투석된 용액을 빼내고 이 용액을 50분 동안 10,000rpm으로 원심분리시켜, 상등액을 수득한다.
상기-언급된 인산염 완충용액으로 평형시킨 OH형의 DEAE 셀룰로오스에 상등액을 가하고 3.6×21cm의 칼럼에 충진시킨다. 칼럼을 동일한 완충용액으로 세척한 다음, 농도 구배 0 내지 1M의 염화나트륨을 함유한 동일한 완충용액 1ℓ로 용출시켜, 리파아제 활성을 가진 분획 80ml를 수득한다.
한오 여과에 의해, 분획을 8ml로 농축시킨다. 2.5×40cm의 Ultrogel (Trademark of Products of L'industrie Biologique Francaise, France) ACA 34칼럼에 농축된 분획을 적용하고 상기-언급된 인산염 완충용액으로 용출시켜, 활성분획 40ml를 수득한다. 이 분획은 6300 IU를 함유한다. 분획을 투석하여 탈염시키고 동결건조시켜, 조 리파아제 제제 29.5mg을 수득한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따라 수득한 조 리파아제 제제를 1.0IU의 리파아제 농도로 물에 용해시키고, 그 용액 20μl를 지름 6mm, 두께 1mm의 페이퍼 디스크(paper disk)에 함침시킨다. 습윤 페이퍼 디스크를 동결건조시켜, 로숀-형 제제로서 사용되는 리파아제를 함유한 건조-디스크를 수득한다. 이 제제는 물에 침지시켜, 리파아제 활성을 함유하는 용액으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으며, 헤어로숀으로서 사용된다.
[실시예 3]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페이퍼 디스크에 물 3ml를 첨가한다. 생성 용액을, 각각 극심한 소양증, 비듬, 및 탈모 증상이 있는 24 내지 50세의 사람 10명의 두피에 한달동안 하루에 한번씩 적용한다.
그 결과는 하기와 같다 :
[표 2]
Figure kpo00002
[실시예 4]
하기의 성분들을 충분히 혼합한다 :
○ 마그네슘 규산염 35g
○ 리파아제(돼지 췌장 리파아제 ; Signa Chemicals Company,USA) 200 I.U
○ 아라비아 고무 용액(pH 6.5 인산염 완충용액 0.2M중의 아라비아고무 10g)
수득한 덩어리를 No. 16체(JIS Z 8801)에 통과시켜 과립으로 만들고, 공기중에서 건조시킨다. 헤어트리트먼트 액체-형태용 과립 제제 약 45g을 수득한다.
[실시예 5]
실시예 4에서 수득한 과립제제 0.5g에 물 4ml를 가하여, 제제를 용해시킨다. 수득한 용액을, 각각 극심한 소양증, 비듬, 및 탈모 증상이 있는 24 내지 50세의 사람 10명의 머리에 한달동안 매일 문질러 바른다.
그 결과는 하기와 같다 :
[표 3]
Figure kpo00003

Claims (9)

  1. 유효성분으로서 리파아제를 함유하는 헤어트리트먼트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유효성분으로서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제된 리파아제 및 적어도 하나의 통상적인 헤어트리트먼트 조성물용 기본물질을 함유하는 헤어트리트먼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리파아제가 동물, 식물, 및 미생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공급원으로부터 수득한 정제되거나 부분적으로 정제된 제제인 헤어트리트먼트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리파아제가, 스타필로코커스 카피티스(Staphylococcus capitis), 리조푸스 델레머(Rhyzopus delemer) 및 캔디다 실린드라세아(Candida cylindracea)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미생물에 의해 생성된 리파아제인 헤어트리트먼트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리파아제가 돼지 췌장으로부터 수득한 리파아제인 헤어트리트먼트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헤어트리트먼트 조성물이 엑제, 현탁제, 산제, 미세-캡슐제, 정제, 입제, 및 디스크(disk)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형태인 헤어트리트먼트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정제 및 디스크가 단위용량 형인 헤어트리트먼트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정제 및 디스크가 약 0.001 내지 50 I.U의 리파아제를 함유하는 헤어트리트먼트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헤어트리트먼트 액체, 헤어로숀, 샴푸 및 헤어린스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형태인 헤어트리트먼트 조성물.
KR1019840005818A 1983-09-22 1984-09-22 헤어트리트먼트 조성물 KR9100019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174085A JPS6067409A (ja) 1983-09-22 1983-09-22 頭髪用化粧料
JP83-174085 1983-09-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2396A KR850002396A (ko) 1985-05-13
KR910001915B1 true KR910001915B1 (ko) 1991-03-30

Family

ID=15972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5818A KR910001915B1 (ko) 1983-09-22 1984-09-22 헤어트리트먼트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737362A (ko)
EP (1) EP0139468B1 (ko)
JP (1) JPS6067409A (ko)
KR (1) KR910001915B1 (ko)
AT (1) ATE49115T1 (ko)
AU (1) AU571003B2 (ko)
CA (1) CA1245160A (ko)
DE (1) DE3480901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8387A (ja) * 1984-07-20 1986-02-08 Suntory Ltd リパ−ゼの製造法
JPS6128397A (ja) * 1984-07-20 1986-02-08 Suntory Ltd 発酵法による脂肪酸の製造方法
US4935240A (en) * 1987-06-04 1990-06-19 Ono Pharmaceutical Co., Ltd. Benzoylaminophenoxybutanoic acid derivatives
US5127843A (en) * 1990-05-30 1992-07-07 Amp Incorporated Insulated and shielded connector
GR1001424B (el) * 1993-02-04 1993-11-30 Spyros Tsakas Καλλυντικά προιόντα σε μορφή αναβραζόντων ή μη δισκίων.
FR2736261B1 (fr) * 1995-07-07 1997-10-31 Elisabeth Bac Produit d'hygiene capillaire ou de traitement pileux
DE69840426D1 (de) 1997-11-10 2009-02-12 Strakan Int Ltd Penetrationsfördernde und irritationsvermindernde Systeme mit Testosteron
DE19824072A1 (de) * 1998-05-29 1999-12-02 Beiersdorf Ag Kosmetische und dermatologische Zubereitungen mit einem wirksamen Gehalt an immobilisierten oder freien Lipasen, die die Viskosität von Hautfett beeinflussen, und einem Gehalt an mindestens einem mehrwertigen Metallkation
DE19824073A1 (de) * 1998-05-29 1999-12-02 Beiersdorf Ag Kosmetische und dermatologische Zubereitungen mit einem wirksamen Gehalt an immobilisierten oder freien Lipasen, die die Viskosität von Hautfett beeinflussen
DE19824074A1 (de) * 1998-05-29 1999-12-02 Beiersdorf Ag Kosmetische und dermatologische Zubereitungen mit einem wirksamen Gehalt an immobilisierten oder freien Lipasen, die die Viskosität von Hautfett beeinflussen
CN1105550C (zh) * 1998-07-08 2003-04-16 冼炽元 不含表面活性剂的洗发液
US6129918A (en) * 1998-08-13 2000-10-10 Wakunaga Of America Co., Ltd. Method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reducing serum homocysteine concentration
US7098269B2 (en) * 2001-02-08 2006-08-29 Hon Technology Inc. Compression molded inorganic fiber articles, and methods and compositions used in molding same
WO2003028667A2 (en) * 2001-10-04 2003-04-10 Cellegy Pharmaceuticals, Inc. Semisolid topical hormon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ment
JP2008095756A (ja) * 2006-10-09 2008-04-24 Daiwa House Ind Co Ltd ドライブリベット
EP3091961A4 (en) 2013-12-13 2017-11-15 Restorsea, LLC Exfoliative hair retention-promoting formulation
US9433564B2 (en) 2014-05-16 2016-09-06 Restorsea, Llc Biphasic cosmetic
TWI662131B (zh) * 2018-11-27 2019-06-11 台灣中油股份有限公司 一種米糠脂肪酶的製備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42794C2 (de) * 1964-03-03 1974-10-24 Johannes Saphir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Dauerwellen
CH528266A (fr) * 1969-11-26 1972-09-30 Orsymonde Procédé pour la préparation d'une composition lyophilisée à l'usage cosmétique ou hygiénique
JPS5014651B1 (ko) * 1969-12-30 1975-05-29
US4287082A (en) * 1980-02-22 1981-09-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omogeneous enzyme-containing liquid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saturated acids
JPS5711905A (en) * 1980-06-26 1982-01-21 Eiji Suga Comsmetics
AU562915B2 (en) * 1982-01-28 1987-06-25 Suntory Limited Staphylococlus capitis microbial hair tonic composition
IT1151796B (it) * 1982-06-09 1986-12-24 Ravizza Spa Shampoo a base enzimatica
JPS59134710A (ja) * 1983-01-21 1984-08-02 Suntory Ltd 発酵養毛化粧料
JPS59141515A (ja) * 1983-02-02 1984-08-14 Suntory Ltd 発酵養毛化粧料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2396A (ko) 1985-05-13
US4737362A (en) 1988-04-12
EP0139468B1 (en) 1990-01-03
EP0139468A2 (en) 1985-05-02
ATE49115T1 (de) 1990-01-15
AU571003B2 (en) 1988-03-31
DE3480901D1 (de) 1990-02-08
EP0139468A3 (en) 1986-04-23
JPS6067409A (ja) 1985-04-17
AU3277384A (en) 1985-03-28
CA1245160A (en) 1988-11-22
JPH045002B2 (ko) 1992-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1915B1 (ko) 헤어트리트먼트 조성물
WO1999016415A1 (fr) Utilisation de l'acide ellagique et de ses derives en cosmetique et en dermatologie
KR900005821B1 (ko) 양모제 조성물
FR2696075A1 (fr) Utilisation d'un ecdystéroïde pour la préparation de compositions cosmétique ou dermatologiques, ou pour la préparation d'un milieu de culture de cellules de peau, et compositions ainsi obtenues.
US20100189675A1 (en) Cosmetic use of an imidopercarboxylic acid derivative as desquamating agent
JP3696862B2 (ja) 保湿剤および植物抽出物の使用方法ならびに外用剤
WO1998019664A2 (fr) Utilisation d'un extrait de potentilla erecta dans le domaine de la cosmetique et de la pharmacie
KR900005316B1 (ko) 미생물을 함유한 헤어토닉 조성물
KR900004086B1 (ko) 양모제 조성물
EP0948313B1 (fr) Utilisation d'un extrait de resine d'okoume, dans les domaines cosmetique et pharmaceutique, notamment dermatologiques
DE60219008T2 (de) Kosmetische und dermatologische zusammensetzung enthaltend n-acylaminoamid-derivate
JPH0532556A (ja) 皮膚外用剤
JP3101090B2 (ja) 皮膚外用剤
JPH0521085B2 (ko)
JP3105664B2 (ja) 皮膚外用剤
JPH07278001A (ja) 皮膚外用組成物及び浴用剤
JPH1095704A (ja) 外用に適する組成物
RU2096032C1 (ru) Косме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JPH04282320A (ja) 化粧料
EP1009378A1 (fr) Utilisations d'extraits de la plante rhoeo discolor dans le domaine de la cosmetique et de la pharmacie, notamment de la dermatologie
JP2000143527A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及びこれを含有して成る皮膚外用剤
WO1997045099A1 (fr) Utilisation de diterpenoides furanoides de labdane pour la preparation de compositions cosmetiques ou pharmaceutiques et de milieux de culture de cellules de peau
JP2003507405A (ja) シュードモナス科細菌の抽出物の化粧品としての使用
JP2024030965A (ja) 皮膚の脂肪細胞分化と脂肪産生の促進剤及び皮膚外用剤
JPS6016911A (ja) 頭髪育毛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