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4086B1 - 양모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양모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4086B1
KR900004086B1 KR1019840000484A KR840000484A KR900004086B1 KR 900004086 B1 KR900004086 B1 KR 900004086B1 KR 1019840000484 A KR1019840000484 A KR 1019840000484A KR 840000484 A KR840000484 A KR 840000484A KR 900004086 B1 KR900004086 B1 KR 900004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product
oils
acid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0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7523A (ko
Inventor
하지메 요시쭈미
테루오 아마찌
타가끼 구수미
다까하루 다나까
히로시 이시고오까
Original Assignee
산또리 가부시끼 가이샤
사지 게이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또리 가부시끼 가이샤, 사지 게이조오 filed Critical 산또리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7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7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4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0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6Antidandruff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양모제 조성율
본 발명은 머리의 비듬생성 및 가려움증을 예방하거나 모발의 생장을 촉진시키는데 유용한 신규의 양모제(Hair tonic)조성율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말하면, 본 발명은 아스퍼길루스(Aspergillus), 리조푸스(Rhizopus), 페니실리움(Penicillium), 게오트리춤(Geotrichum) 및 스크레로티움(sclerotium)에 속하는 진균류(fungi)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진균류(지방분해 효소생성 능력을 가짐)와 적어도 하나의 식물성 또는 동물성 지방 또는 오일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수득된 생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양모제 조성율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일생동안 건강하고 탐스러운 모발을 지니고 싶은 야망을 가지고 있다. 양모제 조성물을 포함한 여러종류의 두발용 화장품이 탈모증(즉, 비자의적인 탈모 및 그에 따라 대머리가 되는 현상)의 완화 또는 치료에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원형탈모증과 같은 여러 종류의 질환이 발견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원인 및 메카니즘은 완전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 또한, 현재까지 탈모증을 완화시키고 발모를 촉진시키며 또한 머리의 비듬생성 및 두피(頭皮)의 가려움증을 완화 또는 치료하는데 실질적으로 효과적인 제제는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머리의 비듬 및 가려움증을 효과적으로 억제해주고 모발의 생장을 실질적으로 현저히 촉진시킬 수 있는 신규의 양모제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이점은 다음의 기술내용에서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스퍼길루스, 리조푸스, 페니실리움, 게오트리춤 및 스크레로티움에 속하는 진균류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진균류(지방 분해 효소 생성능력을 가짐)와 식물성 및 동물성 지방 및 오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과의 상호반응에 의해 수득된 생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양모제 조성율이 제공된다.
본 발명자들은 건강한 모발을 가진 사람의 두피의 미생물상 및 건강하지 못한 사람의 모발(예를들면, 두피에 비듬 및 가려움증이 생기고 비정상적인 탈모증이 생기는 것)을 가진 사람의 두피의 미생물상을 상세히 비교 검토한 후, 스타필로코커스 카피티스(staphylococcus capitis)의 세포(cell) 또는 그의 처리 생성물을 모피에 사용할 경우 현저한 발모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더우기, 본 발명자들은 스타필로코커스 카피티스의 세포가 지방분해 효소활성 및 테스토스테론 5α-환원효소(즉, "5α-환원효소")억제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밝혔다. "5α-환원효소"라는 용어는 테스토스테론을 5α-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 환원시키는 효소를 의미한다. 이러한 사실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자들은 상기 언급된 활성들이 모발의 생장 효과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제안하였다(참조 : 미합중국 특허원 제 505,273호 또는 유럽 특허원 제 83303 654.4호) .
또한 본 발명자들은, 상기 언급된 지방 분해 효소활성 및 5α-환원효소 억제활성과 모발생장 효과와의 상호관계를 상세히 검토한 결과, 스타필로코커스 카피티스로부터의 지방분해 효소와 지방 및 오일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얻어진 지방산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생성물을 강력한 5α-환원효소 억제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상기 언급된 지방산은 본래 모발 생장에 유효한 작용을 나타낸다는 것을 밝혔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상기 언급된 스타필로코커스 카피티스의 세포와 유사한 성질을 갖는 다른 미생물을 발견하려고 상세한 조사를 한 결과, 식물성 및 동물성 지방 및 오일과 아스퍼길루스, 리조푸스, 페니실리움, 케오트리층 및 스크레로티움에 속하는 진균류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수득된 생성물은 모발의 생장에 유효한 활성을 나타내며 또한 비듬 및 가려움증을 완화시킨다는 것을 밝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미생물 또는 진균류는 지방분해 효소활성을 가지며, 아스퍼길루스, 리조푸스, 페니실리움, 게오트리춤 및 스크레로티움에 속하며, 또한 진균류가 지방 및 오일과 상호작용했을 경우 모발 생장에 효과를 갖는 생성물을 생성시킬 수 있다. 이들 진균류는, 그들이 상술된 특성을 갖는 한, 자연 발생미생물로부터 분리되어 저장소에 저장된 것(새로 분리된것), 또는 그들의 인공적 또는 자연적 돌연변이체를 포함하는 종(種)이 될 수 있다. 이들 미생물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미국 NRRL(Agricultural Research Culture Collection)에 기탁된 아스퍼길루스 포에티두스 NRRL-337(한국기탁번호 KFCC-10079, 기탁일 1984. 4. 42, 기탁기관 한국종균협회), 또는 미국 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에 기탁된 리조푸스 델레마 ATCC-34612(한국기탁번호 KFCC-10080, 기탁일 1984. 4. 27, 기탁기관 한국종균협회), 페니실리움 시클로피움 ATCC 34613(한국 기탁번호 KFCC-10081, 기탁일 1984. 4. 27, 기탁기관 한국종균협회), 게오트리춤 칸디둠 ATCC-34614(한국기탁번호 KFCC-10082, 기탁일 1984. 4. 27, 기탁기관 한국종균협회), 및 스크레로티니아 리버티아나 ATCC 20025(한국 기탁번호 KFCC-10083, 기탁일1984. 4. 27, 기탁기관 한국종균협회)을 들 수 있다. 이들 미생물은 NRRL 및 ATCC에서 쉽게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미생물을 새로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당해기술 분야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더우기, 그의 돌연변이체를 얻고자할 경우에는 통상의 돌연변이 데크닉이 본 발명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지방 및 오일은 상술된 진균류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모발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생성물을 생성시킬 수 있다. 이들 지방 및 오일의 예로서는 식물성유 예를들면 올리브유, 피마자유, 면실유, 야자유, 대두유, 팜유, 홍화유, 종자유, 쌀겨오일, 동백유 및 참기름 ; 동물성지방 및 오일 예를들면 우지, 돈지, 양지, 밍크오일 경유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지방 및 오일은 단독으로 또는 그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있다.
지방 및 오일과 상술된 진균류를 상호 작용 시키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실용적인 관점에서 보면 다음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1) 상술된 진균류를 지방 및 오일을 함유하는 배지(培地)중에 배양시킨다 ; (2) 상술된 진균류를 배지중에 배양시킨 후, 진균류의 배양세포를 수성, 배지중에서 지방 및 오일과 접촉시킨다 ; 또는 (3) 상술된 방법(1)과 (2)를 병용한다.
상술된 방법(1)을 사용할 경우에는, 진균류가 잘 생장하는 배양조건은 어느것이나 사용될 수 있다. 진균류에 의해 이용될 수 있는 질소공급원이면 어느것이나 배지중의 질소공급원으로 사용된다. 질소 공급원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유기 질소공급된 예를들면, 카제인 펩톤, 대두펩톤, 트립티케이즈펩톤 및 카스아미노산 및 아미노산과 같은 단백질분해 생성물; 육즙 및 효모추출물과 같은 추출물 ; 대두 케이크 ; 및 암모늄염이나 질산염과 같은 무기질소공급원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질소공급원은 단독으로 또는 그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진균류에 의해 이용될 수 있는 탄소공급원이면 어느것이나 배지중에 탄소공급원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탄소공급원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헥스트린, 갈락토오스, 글루코오스, 프룩토오스, 만노오스, 수크로오스, 럭토오스 및 글리세린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인산염, 염산염, 마그네슘염, 칼륨염 및 나트륨염과 같은 무기염 , 비타민 ; 아미노산 ; 또는 이들 물질을 다량 함유하는 생장인자가 선택되는 질소공급원에 따라 배지중에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술한 질소공급원 및 탄소공급원은 배지중에서 각각 단독으로 필소 및 탄소공급원의 형태에 따라 0.1g/1 내지 100g/1의 농도로 사용한다. 또한, 상술된 무기염 및 생장인자는 일반적으로 무기염 및 생장인자의 형태에 따라 배지중에서 각각 0.01g/1 내지 50g/1의 농도로 사용한다. 배양온도는 일반적으로 20℃ 내지 34℃이며,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28℃이다. 배양은 일반적으로 pH 3.5 내지 8.5에서, 바람직하게는 호기성 조건하에, 예를들면 교반배양 또는 통기교반 배양에 의해 수행한다. 배양시간은 일반적으로 20 내지 45시간이다. 바람직한 배양은 직접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소규모의 예비배양에 의해 수득된 예비 배양 생성물은 배지로 접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양은 상술한 지방 및 오일을 배지에 가하여 수행한다. 상술된 지방 및 오일은 배양전에 배지에 가하거나 또는 배양도중 일정량의 세포가 증식한 후에 배지에 가할 수 있다. 지방 및 오일의 양은 일반적으로 1g/1 내지 250g/l, 바람직하게는 5g/1 내지 50g/1이다.
상술한 방법(2)를 사용할 경우, 상술한 진균류는 지방 및 오일을 배지에 가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방법(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배양시킨다. 배양이 완전히 끝난후, 배양 세포는 상술한 지방 및 오일과 접촉되어 진다. 배양세포와 지방 및 오일과의 접촉은 진균류의 배양세포를 함유하는 배지에 지방 및 오일을 가한 후 적절히 교반함으로써 아주 간단히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배양된 진균류로부터 배지 성분을 제거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배양 혼합물로부터 진균류의 세포를 분리시킨후, 분리된 세포를 적합한 수성배지, 예를들면 인산염 완충액에 현탁시키고, 이어서 지방 및 오일을 가한다. 세포를 지방 및 오일과 접촉시키는 동안의 pH 및 온도조건은 상술한 진균류의 배양시에 사용된 범위내로 한다.
본 발명에 다른 양모제 조성율을 진균류와 상술된 지방 및 오일과의 상호작용 생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상호작용 생성물을 여러가지 실시태양에서 양모제 조성물로 혼입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실시태양의 대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 (a) 상술한 방법(1)에서 수득된 배양생성물, 또는 상술한 방법(2) 또는 (3)에서 수득된 반응 혼합물 ; (b) 상술한 방법(1)의 배양 생성물로부터 배양세포를 제거함으로써 수득된 액체혼합물 또는 상술한 방법(2) 또는 (3)의 반응혼합물 ; (c) 상술한 방법(1)의 배양생성물로부터 분리된(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어느 정도까지 정제된)지방산 또는 지방산 혼합물을 함유하는 혼합물, 상술한 방법(2) 또는 (3)의 반응혼합물, 또는 상술한 액체 혼합물(b).
상술한 실시태양(b)을 실시하는데 있어서는, 세포를 함유하는 배양생성물 또는 반응생성물로부터 세포를 분리하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분리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태양(c)을 실시하는데 있어서는, 수성 배지의 함유된 지방산의 분리 및 회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통상적인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들면, 진균류와 지방 및 오일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수득된 배양혼합물 또는 반응 혼합물을 직접 사용하여 이를로부터 지방산을 회수한다. 그러나, 배양후, 고체물질로서 잔류하는, 주원료물질 대두 케이크 또는 다른 물질로서 함유하는 배지로부터 수득된, 배양혼합물을 사용하는 경우에, 잔유 고체 성분은 배양세포의 전량 또는 부분량과 함께 배양 혼합물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배양혼합물, 반응혼합물, 또는 상기에서 수득한 고체 성분제거 혼합물로부터 지방산의 회수는 추출 방법으로 수행하는 것이 경제적인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목적하는 지방산을 용해시킬 수 있으나 물과는 거의 혼화되지 않는 추출용매이면 어느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추출용매의 예로서는 에틸 아세테이트, 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및 헥산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용매는 추출과정중에 단독으로 또는 그의 혼합물로 사용할 수 있다.
그후, 추출물을 증발시켜 추출용매를 제거한다. 생성된 잔사는 본 발명에 따른 양모제 조성율중에 활성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활성 성분을 더 정제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산 그룹을 함유하는 유기화합물의 정제시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모든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상술한 유기 추출물을 염기성 완충액과 같은 수성 염기성 매질과 혼합하여 목적하는 활성 성분의 염을 형성시킴으로써 염형태의 활성성분을 용해된 형태로 수성상으로 전이시키고, 또 필요하다면, 수성 매질내의 이들 활성 성분을 산성 조건하에 유기 추출용매로 다시 추출시킬 수 있다. 또한,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조생성물은 실리카겔과 같은 흡착제에 흡착시키고 또 흡착된 생성물을 클로로포름 및 벤젠과 같은 용매에 의해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 형태로 사용하여 분리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두피표면에 사용한 양모제 조성율의 지방분해 효소활성 및 5α-환원효소 억제활성과 모발의 생장사이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진균류와 식물성 및 동물성 지방 및 오일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수득된 상호 작용 생성물(즉, 활성 성분)은 5α-환원효소 억제활성을 갖거나, 또는 5α-환원효소 억제활성 및 지방분해 효소활성을 모두 갖고 있다. 즉, 상술한 실시태양(a) 및 (b)의 활성 성분은 5α-환원효소 억제활성 및 지방분해 효소활성을 모두 가지고 있는 반면, 상술한 실시태양(c)의 활성 성분은 지방분해 효소활성을 가지고 있지는 않으나 농축된 지방산이 존재하기 때문에 강력한 5α-환원효소 억제활성을 가지고 있다. 상술한 실시태양(a),(b) 및 (c)의 활성 성분은 양호제 조성율의 기제물질의 특성을 고려하여 이들 특성에 따라 가장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진균류와 지방 및 오일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수득된 생성물(즉, 활성 성분)의 양은 실시태양(a),(b) 및(c)의 활성 성분의 형태, 양모제 조성율의 기제물질의 형태 및 양모제 조성율의 최종 형태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예를들면, 본 발명의 양모제 조성율은 상술한 실시태양(a) 또는 (b)의 경우에 양모제 조성율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활성 성분 0.1중량% 내지 20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실시태양(c)의 활성 성분의 경우에 있어서, 활성 성분은 지방산의 정제도에 따라 양모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01중량% 내지 10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양모제 조성물은 양모제 조성물의 통상적인 기제물질에 함유된 상술한 실시태양(a),(b) 또는 (c)의 활성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기제물질의 예로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I) 물 또는 수용액 ; (II) 주로 알콜로 함유하는 알콜성 수용액 ; (Ⅲ)프로필렌글리콜, 유동피라핀 및 세레신 ; 및 (IV) 목탑, 경화유, 라놀린 유도체, 밀랍 및 바셀린.
상술한 실시태양(a) 또는 (b)의 활성 성분을 양모제 조성물로 혼입하여 그의 지방 분해 효소작용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경우, 상기 언급된 기제물질(I)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한편, 5α-환원효소 억제활성을 이용하려고 할때는 화장용 조성물에 사용하는 기제물질중 어느것이나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언급된 기제물질(I) 내지 (IV)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조합하여(예, 용액, 유제)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활성 성분 이외에, 양모제 조성물 또는 두발용 화장품 조성물의 제제에서 적합하게 사용되는 여러가지 통상적인 성분을 통상의 양으로 본 발명의 양모제 조성물에 혼입시킬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컨타리스 틴크(cantharix tincture), 야보란디(Jaborandi)틴크, 당약(Japanese greengentian ; Swertia Japonica)추출물, 난포 호르몬, 비타민 E, 니고틴산유도체, 비타민 B 그룹과 같은 다른 비타민류, 세린 및 메티오닌과 같은 아미노산, 아세틸콜린 유도체, 세파란틴, 감광성염료, 멘톨, 살리실산, 레조르시놀, 밀납, 세탄올, 트리에탄올아민, 붕사, C14내지 C18포화지방산의 저급 알콜 에스테르, 세탄올아민,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롤,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피마자유, 시트르산, 식물성고무 및 향료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성분은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한, 경우에 따라 ,서는 본 발명의 양모제 조성물에 혼입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양모제 조성물의 최종 형태는 헤어 로숀, 헤어 크림, 헤어 리퀴드, 헤어 오일, 포마드 및 헤어 스틱과 같은 양모제 또는 모발용 화장품 조성물에서의 통상적인 형태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활성 성분의 모발 생장 효과는 명확하게 이해되고 있지는 않지만,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편견없이 이에 대한 설명을 기술한다.
탈모, 비듬 및 가려움증의 원인과 관련된 여러학설이 제기되었다. 예를들어, 선천성 호르몬 불균형 이론, 영양소 관련이론, 지루이론 그리고 유전성 또는 발생학적 이론이 알려져 있으며 위에서 언급한 비정상적 상태와 피지선의 발달이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여진다.[참고 : Masumi Inaba, "Mainichi Life"1981년 11월호, page 26 to 35 ; "최신 화장품 과학(Recent Cosmetics Science)", page 130, 약사일보사 발행,1980년; kenji, Adachi 등, "Biochemica1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 41(4), pages 884 to 890(1970) ; Susumu, Takayasu 등,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74, pages 187 to191(1980) ]
즉 두피의 피지선이 영양소, 호르몬등에 의해 발달하게 되면 피지선에 존재하는 5α-환원 효소의 양은 증가한다. 활성 안드로겐의 양이 많아지면 5α-다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의 양도 많아진다. 이러한 조직활성안드로겐은 혈관을 통하여 모발 유두로 이행되어 모발-매트릭스 세포중의 아데닐 사이클라제 활성을 경감시킨다. 결과적으로 모낭의 크기가 점차 감소됨으로써 모발은 가늘어지고 솜털화되며, 이러한 절차를 반복함에 따라 결국은 대머리가 되는 것이다.
반면에 비듬은, 피지(seban)가 피지선(皮脂線)의 비대에 의해 두피 표면에 대량으로 분비·삼출(渗出)되고 이것이 두피 표면에서 벗겨진 각질이나 케라틴과 혼합되기 때문에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비듬은 원선유(또는 모근)부의의 진피 또는 피부호흡과 영양소의 흡수를 방해하여 대머리의 원인이 되는 것이다.
탈모 및 비듬을 유발시키는 이들 메카니즘을 기초로 생각하면, 지방분해 효소활성 및 5α-환원효소 억제활성은 매우 중요하며 양모제 조성물이 지녀야할 필수적인 특징이며 성질이다. 또한 이들 활성은 양모제 또는 모발용 화장품 조성물의 효과를 과학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표준 내지는 기준이 된다.
상기 언급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된 상술한 진균류는 지방분해 효소 생성 활성 및 5α-환원효소억제활성을 가지며, 또 지방분해 효소를 지질 또는 지방 및 오일과 상호 작용시키면 강력한 5α-환원효소억제활성을 갖는 지방산을 생산한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태양(a)의 배양 생성물 또는 반응생성물, 또는 상술한 실시태양(b)에 있어서의 세포 제거 액체를 본 발명에 따른 양모제 조성물의 활성 성분으로 사용할때, 양모제 조성물은 지방분해 효소 활성 및 강력한 5α-환원효소 억제활성을 가진다. 한편, 배양생성물, 반응혼합물, 또는 그들의 세포 제거 액체로부터 회수한 지방산을 활성 성분으로 사용하는 경우, 생성된 양모제 조성물은 강력한 5α-환원효소 억제활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자들에 의해 채택된 실험시스템에 따르면, 배양 생성물로부터 분리된 지방산을 함유하는 회수 생성물은 5α-환원효소에 대한 50% 억제농도(IC50치)가 0.20mM이다. 이들 지방산은 0.02% 내지 0.04%의 농도에서 5α-환원효소의 활성을 50%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양모제 조성물은 그 활성 성분이 상기 언급된 5α-환원효소 억제활성 또는 상기 언급된 지방분해 효소활성과 5α-환원효소 억제활성 둘다를 가진다는 사실에 기인하여 모발의 생장을 촉진시키고, 두피의 비듬 및 가려움증의 발생을 경감시킬 수 있다. 더우기, 본 발명에 따른 양모제 조성물에 함유된 지방산(이들 지방산은 상술한 진균류와 지방 및 오일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생성된다) 및/또는 본 발명에 따른양모제 조성물에 함유된 지방분해효소에 의해 피지선이 지방이 분해됨으로써 형성된 지방산에 의해, 두피의 미생물상이 유지되거나 또는 건강한 상태로 이행된다. 이러한 작용 또는 기능이 결합 또는 배가될 경우에 본 발명의 양모제 조성물은 강력한 모발 생장 촉진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양모제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같이 5α-환원효소 억제활성, 또는 5α-환원효소 억제활성과 지방분해 효소활성을 모두 가지며, 또 본 발명에 따른 양모제 조성물은 인체의 두피 또는 동물의 피부에 사용하면, 강력한 모발 생장 촉진 효과를 나타낸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양모제 조성물을 인체의 두피에 사용하면 탈모가 효과적으로 경감되며, 솜털양 모발이 건강해지며, 또한 비듬과 가려움증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모제 조성물을 동물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모발(털)의 생장속도가 현저하게 증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양모제 조성물의 비-발병성이 확인 되었다. 즉, 상술한 배양 생성물과 이들로부터 회수한 정제된 지방산을 각각 에탄올에 분산시키고, 3일간 하루에 한번씩 5마리 토끼의 피부에 혼합물을 살포한다. 대조용으로 에탄올을 동일한 방식으로 살포한다. 그 결과, 다음표 1에 나타낸 바와 마찬가지로, 각 경우에 있어서 비정상적인 상태가 발견되지 않았다.
[표1]
Figure kpo00001
본 발명은 다음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 양모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적용 및 효과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되지만 이들 실시예만으로서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활성 성분의 제조]
대두펩톤 100g/ℓ, 글루코오스 20g/ℓ, 질산나트륨 1g/ℓ, KH2PO41g/ℓ 및 MgSO4, 5H2O 0.5g/ℓ를 함유하는 배지 10ℓ를 20ℓ 용(jar)발효기에 넣고 120℃의 온도에서 15분간 멸균시킨다. 리조푸스델레마ATCC 34612(한국 기탁번호 KFCC-10080, 기탁일 1984. 4. 27, 기탁기관 한국종균협회)세포를 상기 배지(1×107포자/ℓ)로 접종시키고 이것을 교반하면서 27℃의 온도에서 4일동안 호기성적으로 예비 배양한다.
상술한 바와 동일한 조성물을 갖는 액체 배지 100ℓ를 100ℓ 용량의 발효기에 넣고 그후 액체 배지에 올리브유 5ℓ를 가한다. 액체 배지를 120℃에서 15분간 멸균시킨 후, 예비 배양 생성물 10ℓ를 멸균된 배지에 가하고 교반하면서 27℃의 온도에서 94시간 호기성적으로 배양한다. 배양 생성물의 일부를 여과보조제로서 셀라이트(celite)를 사용하여 여과시킴으로써 이들로부터 균사(hyphae)가 제거되며, 또한 여과물이 수득된다.
상기에서 수득된 여과물 100ml에 염화나트륨 10g을 용해시키고 여기에 에틸 아세테이트 100ml를 가한다. 혼합물을 철저히 교반시키고 분리된 에틸 아세테이트 충을 회수한다. 에틸 아세테이트 층을 건조하게 농축시킨다. 생성된 잔사를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메탄올 용액을 다시 건조하게 농축시킨다. 생성된 잔사를 벤젠에 용해시킨다. 벤젠 용액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라피로 처리한다. 벤진, 벤젠과 클로로포름(1 : 1 V/V)혼합물, 그리고 클로로포름을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용출을 수행한다. 클로로포름 용출액을 농축시켜 지방산을 함유하는 활성성분을 수득한다.
상기 언급한 배양 생성물 및 회수-정제된 활성 성분의 지방분해효소 활성과 5α-환원효소억제활성은 다음과 같이 측정한다.
[지방분해효소 활성의 측정]
트리스-염산 완충용액(pH=8.0)4.5ml, 1/10M 염화칼슘 용액 1ml, 기질(올리브유 또는 쌀겨오일)1g 및 샘플 1g 또는 1ml를 함께 혼합하여 혼합물을 교반시키면서 30℃의 온도에서 1시간 반응시킨다. 생성된 지방산의 양을 1/20M 수산화칼륨 용액으로 적정한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방분해효소 활성(배양 생성물)
Figure kpo00002
* : 수산화칼륨의 적정량으로 환산하여 배양용액 1ml/분 으로부터 분리된 지방산의 양
5α-환원효소억제활성의 측정
쥐의 전립선 세포를 긁어 떼어내어 이 액체 혼합물로부터 마이크로좀을 분리하여 테스토스테론 5α-환원효소시편을 만든다. 이 효소시편의 사용에 의한 테스토스테론의 5α-디하이드로 테스토스테론으로의 전환은 방사성 물질로 표지된 테스토스테론을 사용하여 모니터한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이 추출물을 실리카겔 박층 크로마토그라피(용매계, 디클로로메탄 : 사이클로헥산 : 아세톤=15 : 4 : 1)로 2회 전개시킨다. 5α-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의 양은 방사능 강도로부터 측정한다.
[반응]
0.1% BSA(소혈청알부민)가 함유되어 있는 0.05M 인산염 완충액(pH=6.6)30μl, 효소시편10μl, 표지된 테스토스테론 8.5pmol, 환원형의 NADP(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타이드 포스페이트)50nmol 및 시험샘플 10μl를 혼합(총량=50μ / )하고, 이 혼합물을 25℃에서 60분간 반응시킨다.
이 반응을 에틸 아세테이트 50㎕를 가하여, 정지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강하게 교반시키면서 추출한다. 추출물을 상술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개시키고 섬광계수기를 사용하여 방사능 강도를 측정한다.
상기 측정은 여러가지 농도의 샘플을 사용하여 수행한다. 5α-환원효소억제활성은 억제율(%) 또는 50% 억제농도(IC50)치로서 계산한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Figure kpo00003
* : 형성된 5α-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의 일부는 아디올(3α-및 3β-17β-안드로스탄디올)로 전환되므로, 아디올의 방사능도 측정한다.
상기 결과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의 배양 생성물은 강한 5α-환원효소억제 활성을 나타낸다. 실시예 1에서 수득된 지방산 혼합물의 50% 억제농도(IC50)은 0.15mM이었다.
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측정된, 실시예 1의 활성 성분의 지방산 조성은 다음과 같다.
[표 2]
Figure kpo00004
이들 지방산중에서, 팔이트산, 팔미톨레산, 올레산 및 리놀산은 특히 강력한 5α-환원효소억제활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들 지방산중 어느 하나를 함유하는 지방 및 오일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2]
밀기울 250g과 물 200g을 함께 혼합하고 혼합물을 접시형 용기중에 넣는다. 이어서 혼합물을 120℃의 온도에서 30분간 멸균시켜 배지를 생성시킨다.
또한 20개의 배지를 준비한다. 아스퍼길루스포에티두스 NRRL337 (한국 기탁번호 KFCC-10079, 기탁일1984. 4. 27, 기탁기관 한국종균협회)세포를 이들 고체 배지로 접종시킨 다음 27℃의 온도에서 5주간 배양한다.
배양이 끝난후, 0.02M 아세트산 완충용액(pH=5.6)을 60℃의 온도에서 배양 혼합물에 가하여 배양 생성물을 추출한다. 수득된 추출 용액의 지방분해효소 활성은 80단위(μmol/분/ml)이다.
밀기울 5kg에 상응하는 추출용액 10ℓ에 쌀겨오일 200g을 가하여 교반하면서 25℃의 온도에서 24시간 반응시킨다. 5α-환원효소억제활성은 다음과 같이 증가한다.
Figure kpo00005
Figure kpo00006
* : 실험조건하에서 5α-환원효소 활성을 50% 억제하는 양을 "1단위"로 정의한다.
염화나트륨 500g을 상기에서 수득된 상청액 약 10ℓ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클로로포름 10ℓ로 추출한다. 클로로포름 추출용액을 진공하에 농축시켜 오일상 생성물을 얻는다.
얻어진 오일상 생성물을 헥산으로 추출한 다음 추출물을 실리카겔 1kg 이 충진되어 있는 흡착칼럼에 흡착시킨다. 용출은, 용출제로서 벤젠, 벤젠과 클로로포름의 혼합물(1 : 1 V/V), 클로로포름, 클로로포름과 메탄올의 혼합물(1 : 1 V/V) 및 메탄올의 순서로 사용하여 수행한다.
각용출 분획의 5α-환원효소는 억제활성은 상술한 방법으로 측정한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3]
Figure kpo00007
[실시예 3]
콩가루 2kg을 물 1ℓ에 가하여 비등한다. 침전후 생성된 상청액을 20ℓ 용쟈 발효기에 넣는다. 또한, 옥수수 침지액 300g 및 유채유 100g을 가하여 pH를 7.0으로 조절한다. 혼합물을 120℃의 온도에서 30분간 멸균시킨다. 페니실리움 시클로피움ATCC34613(한국기탁번호kFCC-10081, 기탁일 1984. 4. 27, 기탁기관 한국종균협회)을 상기 배지로 접종시키고 이것을 교반하면서 27℃의 온도에서 72시간 호기성적으로 배양한다.
배양이 끝난후, 배양생성물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지방산을 함유하는 생성물을 수득한다. 지방산을 함유하는 생성물의 5α-환원효소억제활성(IC50)은 0.19mM이다.
지방산을 함유하는 생성물의 지방산 조성물은 다음과 같다 :
Figure kpo00008
Figure kpo00009
[실시예 4]
쌀겨 40g, 옥수수침지액 30g 및 인산암모늄 2g을 물 10ℓ에 가하고 혼합물을 20ℓ 용자 발효기에 넣는다. 이어서 혼합물을 120℃의 온도에서 30분간 멸균시킨다. 참기름 20g을 혼합물에 가한다. 게오트리춤 칸디듐ATCC34614(한국 기탁번호 KFCC-10082, 기탁일 1984. 4. 27, 기탁기관 한국종균협회)세포를 생성된 배지로 접종시키고 이것을 27℃의 온도에서 70시간 호기성적으로 배양한다.
배양생성물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5α-환원효소억제물질, 지방산 함유 생성물을 수득한다. 지방산 함유 생성물의 5α-환원효소억제활성(IC50)은 0.35mM이다. 지방산 함유 생성물의 지방산 조성물은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10
[실시예 5]
밀기울 250g과 물 200g을 함께 혼합하고 혼합물을 접시형 용기중에 넣는다. 이어서 혼합물을 120℃의 온도에서 30분간 멸균시켜 고체 배지를 수득한다. 20개의 고체 배지를 준비한다.
스크레로티니아 리버티아나 ATCC20025(한국 기탁번호 KFCC-10083, 기탁일 1984. 4. 27, 기탁기관 한국종균협회)세포를 이를 고체 배지로 접종시키고 이 고체를 27℃의 온도에서 7주간 배양한다.
배양후, 배양혼합물을 물로 추출하여 밀기울 5kg에 상응하는 추츨용액 10ℓ을 수득한다. 라아드 500g을 추출용액에 가하고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30℃의 온도에서 24시간 반응시킨다. 지방산을 반응혼합물로부터 추출하여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정제한다.
5α-환원효소억제활성은 다음과 같이 증가한다 :
[표 4]
Figure kpo00011
[실시예 6(제형)]
다음과 같은 양모제 조성물을 제형화한다.
(1) 로션 형태
성분 함량(용적%)
토코페롤 0.1
향료 1.0
보존제(5% 나트륨 살리실레이트 용액) 1.0
배양생성물(실시예 1) 10.0
증류수를 가해 100으로 한다.
(2) 헤어크림 형태
성분 함량(중량%)
유동 파라핀 50.0
폴리에틸렌글리콜 1.0
트윈 20 0.1
트코페롤 0.1
향료 0.2
반응혼합물(실시예 2) 1.0
증류수를 가해 100으로 한다.
(3) 에어로졸 형태
성분 함량(중량%)
폴리옥시에틸렌라놀린 1.0
라놀린 알콜 2.5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0.5
토코페롤 0.1
향료 0.2
지방산(실시예 1) 0.62
변성 알콜(무수) 25.08
분출제 프레온 12/11(40/60) 70
(4) 헤어토닉 형태
성분 함량(중량%)
에틸 알콜 80.0
지방산(실시예 3) 0.2
증류수를 가해 100으로 한다.
(5) 포마드
성분 함량(중량%)
목 랍 12.0
피마자유 84.6
경화유 2.0
토코페롤 0.2
향료 0.2
지방산(실시예 4) 1.0
[실시예 7]
[양모제 조성물의 적용]
(1) 인체의 두피에 대한 헤어토닉 형태의 조성물의 적용
실시예 6(4)에서 제조된 헤어토닉 형태의 조성물을 매우 심한 가려움중, 비듬 및 탈모 증상이 있는 28 내지 40세의 남자 10명의 두피에 1일 2회, 2 내지 4ml씩의 양으로 2개월동안 사용한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5]
Figure kpo00012
(2) 토끼에 대한 헤어토닉 형태의 조성물의 적용
10주된 숫컷 트꺼의 등에서 털을 깍아, 그 부위의 1/2면에 실시예 6(4)에서 제조된 헤어토닉 형태의 조성물을 1일 2회씩, 1주일동안 사용한다. 털을 깍은 부위의 나머지 1/2면에는 대조용으로 실시예 6(4)에서의, 기제 물질을 1일 2회씩, 1주일동안 적용한다. 자라난 털의 길이를 측정한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6]
Figure kpo00013
(주)
a : 대조면의 평균 털생장 길이(mm)±표준편차.
ay시험면의 평균 털생장 길이(mm)±표준편차.
b : 시험면의 평균 털생장 길이-대조면의 평균 털생장 길이(mm).
*1 : 대조면의 평균 생장 길이의 평균값.
*2 : 시험면의 평균 생장 길이의 평균값.

Claims (7)

  1. 아스퍼길루스, 리조푸스, 페니실리움, 게오트리춤 및 스크레로티움에 속하는 진균류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진균류(지방분해 효소 생성능력을 가짐)와 식물성 및 동물성 지방 및 오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수득된 생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양모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물이 식물성 또는 동물성 지방 또는 오일을 함유하는 배지중에서 진균류를 배양시켜 수득되는 양모제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물이 진균류를 배지중에 배양한 후, 배양용액, 그의 추출물, 또는 배양 세포를 수성 배지중에서 식물성 또는 동물성 지방 또는 오일과 접촉시켜 수득되는 양모제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물이 진균류와 식물성 또는 동물성 지방 또는 오일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수득된 반응 혼합물의 배양생성물 또는 세포제거 액체인 양모제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물이 배양 생성물로부터 분리된 지방산 혼합물, 진균류와 식물성 또는 동물성 지방 또는 오일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수득된 반응혼합물, 또는 배양생성물 또는 반응혼합물의 세포제거 액체인 양모제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식물성 및 동물성 지방 및 오일이 올리브유, 피마자유, 면실유, 야자유, 대두유, 팜유, 홍화유, 종자유, 쌀겨오일, 동백유, 호마유, 우지, 돈지, 양지, 밍크오일 및 경유인 양모제 조성물.
  7. 아스퍼길루스, 리조푸스, 페니실리움, 게오트리춤 및 스크레로티움에 속하는 진균류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진균류(지방 분해 효소 생성 능력을 가짐)와 식물성 및 동물성 지방 및 오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수득된 생성물을 양모제 조성물로 혼입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양모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9840000484A 1983-02-02 1984-02-02 양모제 조성물 KR9000040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14556 1983-02-02
JP58014556A JPS59141515A (ja) 1983-02-02 1983-02-02 発酵養毛化粧料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7523A KR840007523A (ko) 1984-12-08
KR900004086B1 true KR900004086B1 (ko) 1990-06-15

Family

ID=11864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0484A KR900004086B1 (ko) 1983-02-02 1984-02-02 양모제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117087B1 (ko)
JP (1) JPS59141515A (ko)
KR (1) KR900004086B1 (ko)
AT (1) ATE27770T1 (ko)
AU (1) AU567126B2 (ko)
CA (1) CA1247011A (ko)
DE (1) DE3464206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7409A (ja) * 1983-09-22 1985-04-17 Suntory Ltd 頭髪用化粧料
JP2640349B2 (ja) * 1987-10-15 1997-08-13 株式会社三光生物科学研究所 養毛料
DK292A (da) * 1991-11-29 1992-01-02 Tanisake Kk Middel
JP3432848B2 (ja) * 1993-01-25 2003-08-04 富山化学工業株式会社 養毛剤
WO1995016431A1 (en) * 1993-12-15 1995-06-22 Kabushiki Kaisya Advance Cosmetic
AU6838996A (en) * 1996-05-27 1998-01-05 Alexei Nikolaevich Parfenov Use of streptococcus faecium strains and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DE19824074A1 (de) * 1998-05-29 1999-12-02 Beiersdorf Ag Kosmetische und dermatologische Zubereitungen mit einem wirksamen Gehalt an immobilisierten oder freien Lipasen, die die Viskosität von Hautfett beeinflussen
GB9909294D0 (en) 1999-04-22 1999-06-16 Unilever Plc Treating hair by targeting enzymes
US20040043084A1 (en) * 2002-05-02 2004-03-04 George Cioca Method of enhancing biological activity of plant extracts
JP2005533275A (ja) 2002-07-15 2005-11-04 ピュアー デプス リミテッド 改善された多層ビデオ画面
AU2003902823A0 (en) 2003-06-04 2003-06-26 Athol Gillies Turner Biologically active oils
JP5780886B2 (ja) * 2010-09-02 2015-09-16 雪印メグミルク株式会社 毛髪用組成物
JP6522278B2 (ja) * 2013-12-02 2019-05-29 共栄化学工業株式会社 毛髪用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692455A (fr) * 1929-06-19 1930-11-06 Ile De France Emplois des extraits de champignons inférieurs pour la fabrication de savons, poudres, crèmes et produits hygiéniqurs de beauté
FR96299E (fr) * 1968-11-07 1972-06-16 Prod S E M F L O R Lab Des Procédé permettant d'exalter l'activité d'une substance active ou de conférer?des propriétés actives a des substances n'en possédant pas.
US4287082A (en) * 1980-02-22 1981-09-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omogeneous enzyme-containing liquid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saturated aci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117087B1 (en) 1987-06-16
ATE27770T1 (de) 1987-07-15
CA1247011A (en) 1988-12-20
JPH0434521B2 (ko) 1992-06-08
DE3464206D1 (en) 1987-07-23
AU567126B2 (en) 1987-11-12
EP0117087A1 (en) 1984-08-29
KR840007523A (ko) 1984-12-08
AU2381284A (en) 1984-08-09
JPS59141515A (ja) 1984-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5821B1 (ko) 양모제 조성물
US5130142A (en) Hair growth regulating composition comprising epithelium cell supernatant-derived growth factor
KR900004086B1 (ko) 양모제 조성물
AU605814B2 (en) Cosmetic composition
JP2002529486A (ja) 皮膚ストレスの処置における末梢ベンゾジアゼピン受容体に結合する物質の使用
EP0088542B1 (en) Skin treatment composition
US4737362A (en) Hair treatment composition
KR900005316B1 (ko) 미생물을 함유한 헤어토닉 조성물
AU652558B2 (en) Composition for the regulation of hair growth
US5653984A (en) Extract of periwinkle seed and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US4107333A (en) Skin care with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oleyl acetate
KR100903654B1 (ko) 하고초 추출물과 아데노신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20100158842A1 (en) Natural skin whitener: 4-hydroxy-oxindole-3-acetic acid
JPS63264513A (ja) 化粧料
JP3101090B2 (ja) 皮膚外用剤
KR0159184B1 (ko) 양모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54094A (ko) 탈모방지 비듬증개선 및 육모용 모발 조성물
JPH06128141A (ja) 皮膚外用剤
JP6289629B2 (ja) 緑茶種子由来の21−o−アンゲロイルテアサポゲノールe3成分を含有する抗老化用皮膚外用剤組成物
JPH0873315A (ja) 化粧料
JP2003321341A (ja) 皮膚外用品
MXPA98002863A (en) Cosmetic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an extract of touch
KR20070031472A (ko) 피부 스트레스 치료를 위한 벤조디아제핀 말초 수용체와결합하는 물질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