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624Y1 - 잭(jack) - Google Patents

잭(ja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624Y1
KR910001624Y1 KR2019880000300U KR880000300U KR910001624Y1 KR 910001624 Y1 KR910001624 Y1 KR 910001624Y1 KR 2019880000300 U KR2019880000300 U KR 2019880000300U KR 880000300 U KR880000300 U KR 880000300U KR 910001624 Y1 KR910001624 Y1 KR 9100016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ck
shaft
gear
worm
reduction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03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6328U (ko
Inventor
김병희
Original Assignee
김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희 filed Critical 김병희
Priority to KR20198800003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1624Y1/ko
Publication of KR8900163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63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6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6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08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screw operated
    • B66F3/1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screw operated with telescopic slee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08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screw operated
    • B66F3/18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screw operated actuated through worm gear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잭(JACK)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종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1차축 2 : 2차축
3 : 회전축 4 : 수평기어
5 : 워엄기어 6 : DC 모터
7 : 외부커버 8 : 주축커버
9,9A,9A',9B,9B' : 브라켓베어링 10 : 중감속기어
11 : 지지판 12 : 잭몸체
13 : 감속기어 14 : 장축
15 : 코드선 16 : 스위치
17 : 코드 18 : 접지편
본 고안은 차량에 필수적으로 휴대하고 다녀야 하는 잭에 관한 것으로, 타이어가 펑크났을때 잭의 사용에 대한 전문 지식이 없어도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차량 자체에 장착된 밧데리 전원을 이용하여 작동되도록 DC 모터와, 힘을 배가시키는 감속기어를 잭에 결합시켜 줌으로써 잭의 상승과 하강이 용이하게되도록 한 잭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량용 잭은 유압에 의하여 승강작동시키는 유압식과 스크류에 의하여 승강시키는 스크류식으로 대별되며, 이들 종래의 잭은 모두가 사용자가 래버등을 조작하는 수동식으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대형차량을 제외한 승용자동차, 소형승합자동차 및 소형화물자동차 이하의 소형 자동차에서는 대다수가 자동차 제조회사의 특징에 따라 막대 스크류식 잭 또는 유압식 잭을 사용고 있는바, 이와 같은 잭을 사용하기 위하여는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하였으며, 잭을 승강시키는데 시간을 많이 소비하게 되고 특히 여성운전자의 경우에는 많은 힘이 요구되기 때문에 사용을 아예 포기하여 타인의 도우을 요청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또한 전문지식이 없이 사용하다가 차량이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잭이 넘어지면서 작업하던 운전자가 차량에 눌리거나 충격을 받아 부상을 입게되는 등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었으며, 이 경우 차량도 손상을 입게 되는등 인명과 물질적 피해를 입게되는 문제점이 있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수동식의 잭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소49-129271호와 같이 자동차에 장착된 밧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모터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잭을 승강시키는 동력식의 것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동력식 잭에 있어서는, 감속기어를 1단으로 설치하였기 때문에 워엄과 워엄기어에 걸리는 부하가 커지게 되어 사용수명이 저하되고 잭의 승강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아니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워엄기어에 의하여 회전승강되는 스크류축이 2단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잭의 승강높이가 낮아서 자동차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작업하는데 지장을 주게 되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감속기어를 2단으로하고, 스크류축을 1차축과 2차축 및 회전축의 3단으로 설치하여 워엄과 워엄기어에 걸리는 부하와 마모를 감소시켜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스크류축을 3단으로 설치하여 잭의 승강높이를 높임으로써 자동차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작업하는데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한 잭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잭을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잭몸체(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한 회전축(3)에 1차축(1)을 스크류식으로 결합하여 승강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회전축(3)에는 워엄기어(5)를 고정설치하여 워엄(5)과 감속기어(13)을 통하여 DC 모터(6)의 구동기어(8)에 연동연결한 통상의 것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어(13)과 구동기어(8) 사이에는 중감속기어(10)를 연동연결하고, 상기 회전축(3)과 1차축(1)을 내외주면에 나선부를 가지는 2차축(2)의 나선결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7은 외부커버, 9,9A,9A',9B,9B'는 브라켓베어링이고, 11은 지지판, 14는 장축이며, 15는 코드선, 16은 스위치, 17은 코드, 18은 18은 접지편, 19는 지지프라켓이며, 20은 센터베어링이고, 21은 차체후레임, 22는 손집이를 도시하는 것이다.
이하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자동자의 타이어가 펑크났을 경우 또는 비상정비를 하기 위한 수단으로 잭으로 사용하여야 할 경우에는 차체의 하체에 잭을 밀어 넣어서 접지편(18)을 가진 1차축(1)을 손으로 돌려서 후레임(21)에 접지편(18)이 접지되도록 하여 잭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잭의 방향에 관계없이 접지편(18)만 후레임(21)과 일치하도록 하고 코드(17)를 차량 실내에 설치된 시거라이터의 콘센트에 꽂아서 모터(6)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 것이며,모터(6)가 회전하면 구동기어(8)는 빠른 속도로 회전하게 되며, 이 회전력은 중감속기어(10)와 감속기어(13)를 통하여 감속되어 워엄(5)이 설치된 장축(14)이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회전되는 워엄(5)는 위엄기어(4)를 회전시키게 되어 결국 워엄기어(4)가 고정설치된 회전축(3)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회전축(3)에는 1차축(1)과 2차축(2)이 나선식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회전축(3)의 회전력은 1차축(1)과 2차축(2)과의 나선작용으로 1차축(1)과 2차축(2)을 상하로 승강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16)를 전환시키면 모터(6)기 정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1차축(1)과 2차축(2)은 승강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작용에서 상기 감속기어(14)와 구동기어(8)사이에는 중 감속기어(10)를 설치하였으므로 모터(6)의 회전수가 적정한 상태로 감속되어 워엄(5)과 워엄기어(4)에 무리하게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워엄과 웜기어의 마모가 방지되어 사용수명이 연장되며, 상기 회전축(3)에는 1차축(1)과 2차축(2)이 나선결합되어 있으므로 잭의 승강작동높이가 높아 자동차를 들어올린 상태에서의 작업에 지장을 주지 않게 되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Claims (1)

  1. 잭몸체(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3)에 1차축(1)을 스크류식으로 결합하여 승강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회전축(3)에는 워엄기어(5)를 고정설치하여 워엄(5)과 감속기어(13)을 통하여 DC모터(6)의 구동기어(8)에 연동연결한 통상의 것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어(13)과 구동기어(8)사에은 중감속기어(10)를 연동연결하고, 상기 회전축(3)과 1차축(1)을 내외주면에 나선부를 가지는 2차축 (2)의 나선결합하여서 된 것을 특징 으로하는 잭.
KR2019880000300U 1988-01-16 1988-01-16 잭(jack) KR9100016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0300U KR910001624Y1 (ko) 1988-01-16 1988-01-16 잭(ja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0300U KR910001624Y1 (ko) 1988-01-16 1988-01-16 잭(ja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6328U KR890016328U (ko) 1989-08-19
KR910001624Y1 true KR910001624Y1 (ko) 1991-03-18

Family

ID=19271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0300U KR910001624Y1 (ko) 1988-01-16 1988-01-16 잭(ja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162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2622B1 (ko) * 2022-12-29 2023-11-14 유복현 모듈형 승강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6328U (ko) 1989-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37953B1 (en) Automatic jack and wheel change system
US6926305B2 (en) Air, electric and hydraulic landing gear jack
CN204701595U (zh) 汽车用多功能底盘
KR880000562B1 (ko) 차량용 자동방향 전환장치
CN109747546B (zh) 车辆用脚踏装置及电动踏板控制方法
KR910001624Y1 (ko) 잭(jack)
US6345868B1 (en) Fluid coupling for dual wheels
CN211890098U (zh) 一种制动摩擦片就车磨削机
US2307611A (en) Wrecking truck
CN110878833B (zh) 专用车行驶锁止装置
KR0183581B1 (ko) 브레이크 드럼의 탈거지그
CN217074292U (zh) 一种汽车救急装置
CN111204173B (zh) 一种便携式汽车换胎装置
KR200287897Y1 (ko) 주차 보조 장치
CN2256840Y (zh) 汽车调头、横移器
CN109130844B (zh) 一种汽车多功能驱动桥
JP2630485B2 (ja) 自動車の車輪のスリップ防止装置
CN2179866Y (zh) 电动千斤顶
KR200177407Y1 (ko) 자동차의 전동식 리프팅장치
CN220199261U (zh) 一种换电装置
KR19980042400U (ko) 전동 자키
KR100396049B1 (ko) 차량용 쟈키 구동장치
CN111266949B (zh) 一种制动摩擦片就车磨削机
CN201525406U (zh) 汽车转向轮电驱动装置
KR200275121Y1 (ko) 차량용예비타이어착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3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