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618B1 - 포말 파쇄장치 - Google Patents

포말 파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618B1
KR910001618B1 KR1019880011859A KR880011859A KR910001618B1 KR 910001618 B1 KR910001618 B1 KR 910001618B1 KR 1019880011859 A KR1019880011859 A KR 1019880011859A KR 880011859 A KR880011859 A KR 880011859A KR 910001618 B1 KR910001618 B1 KR 910001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wall
foam
chamber
reaction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1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6522A (ko
Inventor
오르델하이데 롤프
투르게이 휴다이
Original Assignee
보르지히 게엠베하
슐쯔, 라타이트쇄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르지히 게엠베하, 슐쯔, 라타이트쇄크 filed Critical 보르지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890006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6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01D19/02Foam dispersion or pre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4Surface aer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4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free-fall aeration or spray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 Degasification And Air Bubble Elimination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Nozzles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포말 파쇄장치
제1도는 포말 파쇄장치가 있는 반응조의 약시도이고,
제2도는 다른형의 포말 파쇄장치가 있는 반응조의 약시도이고,
제3도는 제1도 또는 제2도에 있는 영역 Z의 확대 상세 종단면도이고,
제4도는 화살표 A로 표시된 방향으로 본 제3도에 있는 물체의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반응조 7 : 판
9 : 챔버 12 : 노즐
13, 14 : 측벽 16, 17 : 상하벽
19 : 한지막 25 : 스프링
본 발명은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의 서두부분에 기재된 특징을 갖고 있는 반응조 내 하수-활성슬러지-현탁물의 표면에 쌓이는 포말을 파쇄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형의 반응조는 독일 특허공개공보 DE-OS 31 51 153으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반응조내에 취입되고 그의 산소성분이 세균반응을 위해 요구되는 공기는 다공판에 의해 분산된다. 이 설계의 결과로, 사공간이 없는 철저히 혼합된 반응체적이 얻어질 수 있다.
다공판의 운동 및 폭기로 인해 소망스럽지 않은 방식으로 포말이 현탁물의 표면에 발생한다. 포말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해 현탁물에 소포제가 가해질 수 있다는 것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약제들은 세균반응에 방해적 영향을 줄수있다 또한 포말을 파쇄하기위해 섬유성 물질로 구성된 층을 통해 발포현탁물이 통과될 수 있다는 것도 알려져 있다(EP-OS 231 158).
위에서 인용된 DE-OS 31 51 153에 따라 인양-분사 원리로 작동되는 반응기는 그의 특정구조로 인하여 격렬 발포 현탁물을 산생하여, 이의 발포 및 탈가스문제는 종래 공지된 방법에 의해서는 적절히 제어될 수 없고 따라서 이 반응기는 그의 효율이 제한된다.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될 문제는 격렬한 포말 생성시에도 포말을 효과적으로 파쇄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방법이다.
이 문제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주어진 특징을 채용함으로써 일반적 형의 장치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개발면모는 종속 청구의 범위에 주어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해, 하수-활성슬러지-현탁물은 높이가 조정가능한 배출 슬롯을 통해 파쇄날을 넘어 강송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포말의 기포는 파열하게되고 현탁물은 기상과 액상으로 분리된다. 큰 체적의 포말이 형성되기 전에 최소의 기포도 파쇄날 위에서 파열된다. 그래서 포말의 확대가 그것이 형성되는 바로 그 자리에서 억제된다.
첨부도면을 참고로 몇가지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활성슬러지의 도움으로 하수를 처리하는 인양-분사 반응기는 반응조(1)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반응조의 바닥에는 하수용 유입관 연결부(2) 및 활성슬러지 농축액용 유입관 연결부(3)가 있다. 반응조(1)의 바닥에는 공기도입을 위한 관연결부(4)가 또한 배설되어 있다.
반응조(1)내에는 인양장치(표시 안됨)에 의해 왕복동작으로 승강될 수 있는 다공판(5)의 퇴적물이 있다. 하수, 활성슬러지 및 공기는 승강운동을 하는 동안 다공판내 구멍들을 통과함으로써 서로 강 혼합된다. 이렇게 처리된 현탁물은 관(6)을 통해 연속배출된다.
반응조(1)의 상부는 판(7)에 의해 폐쇄되어 있는데 이 판에는 하나 또는 둘이상의 구멍이 천설되어 있다. 뚜껑(8)이 판(7)위 조의 정부에 위치해 있는데 이 뚜껑은 반응조(1)의 벽의 상부부분과 함께 챔버(9)를 에워싼다. 챔버(9)에는 처리된 현탁물용 배출관(6)과 배출공기용 배기관(10)이 있다. 판(7)에 있는 유통공은 챔버(9)내의 관(11)에 의해, 현탁물의 표면에서 형성되는 포말을 파쇄하는 역할릉 하는 노즐(12)에 연결되어 있다.
제2도에 의하면, 노즐(12)에는 접근이 보다 용이하도록 챔버(9)는 반응조(1)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반응조는 판(7)에 의해 정부가 폐쇄되어 있고 조는 외부배관(11)에 의해 챔버(9)내의 노즐(12)에 연결되어 있다. 배출관(6)과 배기관(10)은 반응조(1) 외부에 있는 챔버(9)에 연결되어 있다.
노즐(12)은 두 측벽(13,14), 배관(11)용 개구가 있는 후벽(15) 및 상호간에 예간으로 배치된 상하벽(16,17)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벽(16,17)은, 상기벽(16,17)의 인접하는 가장자리에 의해 한계지어지는 유출개구(18)쪽으로 현탁물을 안내하는 표면을 형성한다(제3도).
하부 경사벽(16)은 측벽(13,14) 및 후벽(15)에 강고하게 부착되어 있고, 이들벽은 노즐(12)의 고정체를 형성한다. 상부경사벽(17)은 한지막(19)에 의해 노즐(12)의 고정체에 연결되어 있다. 막(19)은 가동벽(17)에 부착되어 있고 지지판(20,21)에 의해 노즐(12)의 고정부에 부착되어 있다. 횡 각철(angle-iron)은 피봇벽(17)의 정부에 있는 횡홈에 끼워지는 지지가장자리를 제공한다. 피봇벽(17)위 노즐(12)의 정부를 횡으로 가로질러 뻗는 봉(24)을 가진 브래켓(23)은 측벽(13,14)에 볼트 고정되어 있다. 원통상 안내슬리브(26)내에 에워싸져 있는 나선상 압축스프링(25)은 횡봉(24)의 하면과 벽(17)의 정부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그리하여 노즐(12)의 고정부에 맞서, 여기에 스프링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반응조(1)로부터 노즐(12)내로 연속 유출하는 현탁물은 노즐(12)의 출구 슬롯(18)을 통해 압출된다. 현탁물의 운반 및 요구되는 압력증가는 반응조(14)에 있어서의 약간의 압력증가에 의해 달성된다. 이 압력은 노즐(12)로 부터 출구슬롯(18)의 크기를 감소시키에 의해 증가한다. 형성되었던 기포는 슬롯(18)을 통과할때 파열된다. 챔버(9)내에서는 현탁물은 탈기된 액상과 기상으로 분리되는데, 액상물은 배출관(6)을 통해 제거되고 기상물은 배기관(10)을 통해 배출된다. 이 방식으로 달성되는 의심할여지없이 양호한 탈기, 그리고 포말형성의 억제는 세균집괴의 양호한 침강 거동을 위한 선행조건인데, 이 세균집괴는 반응조 후방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침강조(표시안됨)내 현탁물중에 내포되어 있다. 노즐(12)의 도움에 의해 세균반응의 과정에 유리하고 다공판(5)의 왕복운동에 요구되는 에너지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압력이 반응조(1)내에 유지될 수 있다. 스프링(25)으로 인한 압축력의 변경에 의해 노즐에서의 압력을 변경시킬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어떤 특정순간에 있어서의 상황에 적합하도록 탈기 조작을 바로 적합화시키고 조정할 수 있다.

Claims (6)

  1. 그 내부에서는 다공판(5)의 승강될 수 있으며 미처리하수용 유입관 연결부(2)와 처리된 현탁물용 배출관(6)을 구비하고 있는 반응조(1)내 하수-활성슬러지-현탁물의 표면에서 성장하는 포말을 파쇄하는 장치에 있어서, 반응조(1)의 상부는 적어도 하나의 유통개구가 천설되어 있는 판(7)으로 폐쇄되어 있으며, 거기에 있어 유통개구는 노즐(12)에 연결되어 있으며, 노즐(12)은 챔버(9)내에 위치해 있고 상부와 하부벽(16,17)을 갖고 있으며 상부와 하부벽(16,17)은 상호간에 예각으로 배치되어 있고 거기에 있어 상기 벽들(16,17)의 인접하는 가장자리는 유출구(18)를 한계짓고 노즐(12)의 한 벽(17)은 다른벽(16)에 대해 선회적으로 가동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말 파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선회적으로 가동적인 벽(17)은 가요성 한지막(19)에 의해 노즐(12)의 고정부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선회적으로 가동적인 벽(17)은 스프링(25)에 의해 노즐의 고정부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 내지 3항중의 어느하나에 있어서, 챔버(9)에는 처리된 현탁물용 배출구(6)와 배출공기용 배기관(10)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챔버(9)는 반응조(1) 외부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챔버(9)는 반응조(1)의 상부 부분내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880011859A 1987-10-16 1988-09-14 포말 파쇄장치 KR9100016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3735080A DE3735080C1 (de) 1987-10-16 1987-10-16 Vorrichtung zum Zerstoeren von Schaum
DEP3735080.3 1987-10-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6522A KR890006522A (ko) 1989-06-14
KR910001618B1 true KR910001618B1 (ko) 1991-03-16

Family

ID=6338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1859A KR910001618B1 (ko) 1987-10-16 1988-09-14 포말 파쇄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4846969A (ko)
EP (1) EP0311765B1 (ko)
JP (1) JPH01115415A (ko)
KR (1) KR910001618B1 (ko)
CN (1) CN1019793B (ko)
AT (1) ATE89762T1 (ko)
AU (1) AU600426B2 (ko)
BR (1) BR8805302A (ko)
DD (1) DD283127A5 (ko)
DE (2) DE3735080C1 (ko)
MY (1) MY103159A (ko)
NZ (1) NZ22658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03263C2 (de) * 1988-02-04 1995-11-30 Tuchenhagen Otto Gmbh Verfahren zur Zerstörung von Schaum
DE3900170C2 (de) * 1989-01-05 1994-02-17 Kammerer F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erminderung des Schaumvolumens über einer Flüssigeit in einem Behälter
JP2562146Y2 (ja) * 1992-05-11 1998-02-10 オート株式会社 化粧液の押し出し塗布具
DE4314521C2 (de) * 1993-05-03 1996-05-30 Eisenmann Kg Maschbau Verfahren zur Reinigung von organisch belasteten Industrieabwässern
JP3081834B2 (ja) * 1998-03-20 2000-08-28 三菱鉛筆株式会社 液体塗布具
DE10041941B4 (de) * 2000-08-25 2006-05-04 Henkell & Söhnlein Sektkellereien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Beeinflussung des Schaumverhaltens von Flüssigkeiten, insbesondere kohlendioxidhaltiger Getränke
CN101537268B (zh) * 2009-04-24 2010-12-29 东莞宏威数码机械有限公司 胶水除泡装置
US10035979B2 (en) 2015-07-23 2018-07-31 Picobrew, Inc. Beer making machine with direct steam injection
US11678760B2 (en) 2011-03-03 2023-06-20 PB Funding Group, LLC Multifunctional brewing system for coffee, beer, and other beverages
US11753610B2 (en) 2011-03-03 2023-09-12 PB Funding Group, LLC Self healing controller for beer brewing system
CN102179070B (zh) * 2011-04-12 2013-11-20 陕西衡伟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水质在线监测的连续快速脱泡装置
CN103638694B (zh) * 2013-12-12 2015-06-03 中国水产科学研究院淡水渔业研究中心 一种水产品运输厢上使用的消除泡沫装置
CN103691161B (zh) * 2013-12-16 2015-09-09 浙江大学 机械消泡器
CN103645291B (zh) * 2013-12-19 2015-05-13 重庆市渝西水务有限公司 一种接触池出水指标检测方法
US10308903B2 (en) * 2014-09-17 2019-06-04 Picobrew, Inc. Foam reducing device
US10377981B2 (en) 2015-03-17 2019-08-13 Picobrew, Inc. Software tuning of recipes for beer brewing system
US10590015B2 (en) * 2015-03-23 2020-03-17 Conopco Inc. Device and a process for recovering clean water and surfactant concentrate from grey water
US9932547B2 (en) 2015-07-31 2018-04-03 Picobrew, Inc. Fermentation monitoring and management
US10161533B2 (en) 2016-05-09 2018-12-25 Picobrew, Inc. Bi-stable electrically actuated valve
US10463983B2 (en) 2017-03-31 2019-11-05 Picobrew, Inc. Distillation and essence extractor insert for beer brew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48351A (en) * 1958-09-22 1960-08-09 Ca Nat Research Council Foam breaking device
SU617559A1 (ru) * 1975-03-07 1978-07-30 Ermolaev Sergej P Сопло дл нанесени штукатурного раствора
NL8004724A (nl) * 1980-08-20 1982-03-16 Bastiaan Bernard Boele Eertink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reinigen van afvalwater.
US4431531A (en) * 1981-06-08 1984-02-14 The Deister Concentrator Company, Inc. Concentration of minerals by flotation apparatus
DE3151153A1 (de) * 1981-12-23 1983-06-30 Heinz Prof. Dr.-Ing. 1000 Berlin Braue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stoffwechselprodukten unter verwendung von mikroorganismen
FR2573320B1 (fr) * 1984-11-20 1989-06-30 Delas Weir Sa Dispositif de degazage d'un fluide liquide
EP0225526B1 (de) * 1985-12-05 1993-02-24 ABS International S.A. Vorrichtung zur Begasung von Flüssigkeiten oder zur Mischung von Flüssigkeiten
DK112486A (da) * 1986-03-11 1987-09-12 On Computer Electronics A S Dyseenh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6522A (ko) 1989-06-14
AU2092888A (en) 1989-04-20
AU600426B2 (en) 1990-08-09
DD283127A5 (de) 1990-10-03
BR8805302A (pt) 1989-05-30
MY103159A (en) 1993-04-30
EP0311765A3 (en) 1989-12-06
US4846969A (en) 1989-07-11
DE3881323D1 (de) 1993-07-01
NZ226580A (en) 1990-03-27
JPH01115415A (ja) 1989-05-08
EP0311765B1 (de) 1993-05-26
EP0311765A2 (de) 1989-04-19
ATE89762T1 (de) 1993-06-15
CN1033612A (zh) 1989-07-05
CN1019793B (zh) 1992-12-30
DE3735080C1 (de) 1988-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1618B1 (ko) 포말 파쇄장치
US572830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solved air flotation and related waste treatments
US7766121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ditioning and degassing liquids and gases in suspension
US4428757A (en) Sonic energy fluid degassing unit
CA104554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solving gas in liquid
US5605653A (en) Liquid circulation apparatus
JP2015083302A (ja) 排出ノズル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排出ノズル装置を用いた流体の分配方法および処理方法
EP004088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ment and hygienisation of sewage sludge and other organic sludges
JP2002159990A (ja) 嫌気性処理槽
US3744637A (en) Baffle waste treatment tank baffle waste treatment tank
CN100351460C (zh) 一种脱墨机
CA2030420A1 (en) Froth flotation apparatus and method
CN2540206Y (zh) 三级溶气浮选沉降分离器
KR100315903B1 (ko) 미세기포발생장치를 이용한 폐수처리시스템
RU2190028C2 (ru) Карбонизатор
FI3802441T3 (fi) Käsittelymenetelmä ja -laite orgaanisten lietteiden vedenpoistoon
JPH09299995A (ja) 下水汚泥処理における消泡装置
JP3297631B2 (ja) 生ゴミ分解処理装置
KR100481821B1 (ko) 기체용해 및 물질분리에 의한 수처리 장치
US4963252A (en) Decanter device
RU2056162C1 (ru) Аппарат для обработки алюминатных растворов газами
JPH09103607A (ja) 深層曝気槽の消泡装置
SU109622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RU2036853C1 (ru) Способ аэрирования жидкости
KR19990023923A (ko) 가압부상식 폐수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