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3923A - 가압부상식 폐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가압부상식 폐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3923A
KR19990023923A KR1019980034778A KR19980034778A KR19990023923A KR 19990023923 A KR19990023923 A KR 19990023923A KR 1019980034778 A KR1019980034778 A KR 1019980034778A KR 19980034778 A KR19980034778 A KR 19980034778A KR 19990023923 A KR19990023923 A KR 19990023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pipe
water
waste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4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1428B1 (ko
Inventor
이영섭
Original Assignee
이영섭
일신기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섭, 일신기계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영섭
Priority to KR1019980034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1428B1/ko
Publication of KR19990023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3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1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14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7/00Aeration of stretches of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기포의 부상하는 원리를 이용한 가압부상식 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미세기포의 부상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폐수와 슬러지를 분리하는 폐수처리장치는 거의 재래식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각각의 부품(반응조, 응집조)등이 필요하게 되고 이에따라 필요이상으로 몸체가 대형화되어 설치면적을 많이 차지할 뿐 아니라 약품반응시간 및 부상속도가 많이 걸려 폐수처리 시간이 장시간 지체 되는 제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압력탱크내에서 공기와 고압으로 용해된 폐수와 슬러지가 부상조내로 유입되면서 미세기포와 함께 슬러지가 수면위로 부상되면 이 슬러지를 스크레이퍼가 걷어 올려 슬러지배출구로 배출시키고, 슬러지가 제거된 처리수는 처리수배출구로 배출되는 일련의 공정이 자동으로 처리되도록 하므로써, 신속하게 폐수처리가 이루어지게 하는 동시에 폐수처리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압부상식 폐수 처리장치
본 발명은 미세기포의 부상하는 원리를 이용한 가압부상식 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압력탱크내에서 공기와 고압으로 용해된 폐수와 슬러지가 부상조내로 유입되면 부상조내에서 폐수와 슬러지를 분리하고, 분리된 폐수와 슬러지가각각 배출되는 일련의 공정을 자동으로 처리되게 하므로써, 신속하게 폐수처리가 이루어지게 하는 동시에 폐수처리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가압부상식 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급속한 산업발전으로 인하여 축산, 화학, 제지, 식품폐수 및 생활하수가 많이 발생하고, 이러한 폐수에 다량 함유된 슬러지(Sludge)는 수질오염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어 폐수와 슬러지를 분리하는 폐수 처리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현실정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감안하여 가압부상식 폐수 처리장치가 안출된 바 있는데, 이러한 폐수 처리장치는 통상 재래식으로 구성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각각의 부품(반응조, 응집조)등이 필요하게 되고 이에따라 필요이상으로 몸체가 대형화되어 설치면적을 많이 차지하였다.
이는 설치공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지 못할뿐 아니라 재래식인 관계로 약품반응시간 및 부상속도가 많이 걸려 폐수처리 시간이 장시간 지체 되었으며 나아가서는 효과적으로 폐수를 처리하지 못하는 제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압력탱크내에서 공기와 고압으로 용해된 폐수와 슬러지가 부상조내로 유입되면 부상조내에서 폐수와 슬러지를 분리하고, 분리된 폐수와 슬러지가 각각 배출되는 일련의 공정이 자동으로 처리될 수 있도록 한 폐수 가압부상식 처리장치를 제공 하는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수 처리장치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상조의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상조의 평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부상조 101 : 레일
102 : 투시창 200 : 프레임
201 : 롤러 202 : 회전모터
203 : 벨트 300 : 스크레이퍼
301 : 회전모터 302 : 벨트
400 : 취수관 401 : 회전관
402 : 분배관 500 : 슬러지배출구
501 : 슬러지관 600 : 처리수배출구
601 : 처리수분리관 602 : 실링벽
603 : 처리수유입구 700 : 수위조절관
701 : 스프링 702 : 이동관
703 : 조절볼트 800 : 압력탱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벽면에는 내부가 투시되는 투시창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레일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부상조와,
상기 부상조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전원이 인가되면 레일을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모터와 벨트 결합되는 롤러가 구비되는 프레임과,
상기 부상조 중간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폐수와 슬러지가 동시에 유입되는 취수관과,
상기 취수관의 상단에 하단이 베어링 결합되는 동시에 프레임에 일체로 결합되는 회전관과,
상기 회전관의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폐수와 슬러지를 부상조 내부로 토출시키는 분배관과,
상기 분배관에서 토출된 폐수와 슬러지가 대기중으로 노출되면서 발생된 미세기포에 의해 슬러지가 표면으로 부상되면 회전하면서 슬러지만을 걷어올릴 수 있도록 회전모터와 벨트 연결되는 스크레이퍼와,
상기 스크레이퍼에서 걷어올려진 슬러지가 슬러지관으로 모아지면 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슬러지배출구와,
상기 분배관에서 토출된 폐수중 슬러지가 제거된 처리수가 유입되게 하는 통로가 하단에 형성된 상태에서 상단은 프레임과 일체로 연결되어 회전하고 하단은 고무재의 실링벽이 구비되는 처리수분리관과,
상기 처리수분리관과 슬러지관 사이에 위치하고 폐수의 수위를 이동관, 스프링, 조절볼트로 조절하는 수위조절관과,
상기 수위조절관을 통해 유입된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처리수배출구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수 처리장치의 사시도 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폐수 처리장치의 단면도 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폐수 처리장치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1 내지 도3에서와 같이 폐수와 슬러지가 유입되는 취수관(400), 회전관(401), 분배관(402)이 마련되고, 이 취수관(400), 회전관(401), 분배관(402)을 통해 부상조(100)내로 투입된 폐수와 슬러지중 슬러지만을 슬러지배출구(500)로 배출되게 작동하는 스크레이퍼(300), 슬러지관(501) 및 슬러지가 제거된 처리수를 폐수배출관((600)으로 배출되게 하는 처리수분리관(601), 수위조절관(700)이 동원되고, 폐수와 슬러지가 용이하게 분리되게 회전관(401), 분배관(402), 처리수분리관(601)을 동시에 회전시키는 프레임(200)등이 기본적으로 구성된다.
부상조(10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데, 벽면에는 내부가 투시되는 투시창(102)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레일(101)이 형성된다.
프레임(200)은 부상조(100)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전원이 인가되면 레일(101)을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모터(202)와 벨트(203) 결합되는 롤러(201)가 구비된다.
취수관(400)은 부상조(100) 중간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폐수와 슬러지가 동시에 유입되는데, 이러한 취수관(400)의 상단에는 하단이 베어링 결합되는 동시에 프레임(200)에 일체로 결합되는 회전관(401)이 설치되고 이 회전관(401)의 하부에는 폐수와 슬러지를 부상조(100) 내부로 토출시키는 분배관(402)이 수직으로 설치된다.
스크레이퍼(300)는 분배관(402)에서 토출된 폐수와 슬러지가 대기중으로 노출되면서 발생된 미세기포에 의해 슬러지가 표면으로 부상되면 회전하면서 슬러지만을 걷어올릴 수 있도록 회전모터(301)와 벨트(302) 연결된 상태로 프레임(200)에 고정 설치된다.
슬러지배출구(500)는 스크레이퍼(300)에서 걷어올려진 슬러지가 슬러지관(501)으로 모아지면 이를 외부로 배출시킬수 있도록 상기 슬러지배출구(500)의 직하방에 형성된다.
처리수분리관(601)은 분배관(402)에서 토출된 폐수중 슬러지가 제거된 처리수만을 유입되게 하는 통로(603)가 하단에 형성된 상태에서 상단은 프레임(200)과 일체로 연결되고, 하단은 처리수분리관(601)이 회전시 처리수가 수위조절관(700)쪽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고무재의 실링벽(602)이 형성된다.
수위조절관(700)은 처리수분리관(601)과 슬러지관(501) 사이에 위치하고 통로(603)를 통해 유입된 처리수와 슬러지의 높이에 따라 수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단에 이동관(702)을 설치하고, 이 이동관(702)과 수위조절관(700)과 사이에 스프링(701) 및 조절볼트(703)를 설치하였다.
처리수배출구(600)는 수위조절관(700)을 통해 유입된 폐수를 외부로 배출시킬수 있도록 상기 처리수배출구(600)의 직하방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수위조절판(700)의 이동관(702)을 상하 이동시켜 폐수의 수위를 조절한다.
즉 폐수의 수위를 낮추고자 할 때에는 조절볼트(703)를 나사조임하여 이동관(702)이 스프링(701)의 장력을 극복하면서 하강하게 하면 되고, 폐수의 수위를 높이고자 할 때에는 상기와는 반대로 조절볼트(703)를 풀어 스프링(701)의 장력에 의해 이동관(702)이 상부로 상승하게 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수위조절판(700)에 의해 적절하게 폐수의 수위가 조절된 상태에서 전원을 인가하면 회전모터(202)가 구동되고 이 구동력을 벨트(203)가 롤러(201)에 전달하면 롤러(201)는 레일(101)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프레임(200)은 부상조(100)상에서 회전하는 상태가 된다.
이는 회전관(401), 분배관(402), 처리수분리관(601) 및 스크레이퍼(300)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러한 스크레이퍼(300)는 선회하면서 회전모터(301), 벨트(302)에 의해 별도로 회전하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폐수와 슬러지가 차례로 취수관(400), 회전관(401), 분배관(402)을 통해 부상조(100) 내부로 토출되는데, 이때 대기중으로 폐수와 슬러지가 토출되는 과정에서 압력탱크(800)내에서 고기압으로 용해되어 있던 공기가 동시에 토출되면서 대기압과 같은 압력이 되어 폐수에 용해되어 있던 공기는 미세기포화 된다.
따라서 분배관(402)으로 토출되는 폐수와 슬러지중 슬러지는 미세기포에 의해 표면으로 부상되고, 표면으로 부상된 슬러지는 회전하는 스크레이퍼(300)에 의해 걷어올려져 슬러지관(501)을 통해 슬러지배출구(500)로 배출되고, 분배관(402)에서 토출된 폐수중 슬러지가 제거된 처리수는 통로(602)를 통해 처리수분리관(601)내부로 유입됨과 동시에 수위조절관(700)을 거쳐 처리수배출구(600)로 배출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압력탱크내에서 공기와 고압으로 용해된 폐수와 슬러지가 부상조내로 유입되면서 미세기포와 함께 슬러지가 수면위로 부상되면 스크레이퍼가 걷어 올려 슬러지배출구로 배출시키고, 슬러지가 제거된 처리수는 처리수배출구로 배출되는 일련의 공정이 자동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신속하게 폐수처리가 이루어질 뿐 아니라 폐수처리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벽면에는 내부가 투시되는 투시창(102)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레일(101)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부상조(100)와; 상기 부상조(100)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전원이 인가되면 레일(101)을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모터(202)와 벨트(203) 결합되는 롤러(201)가 구비되는 프레임(200)과; 상기 부상조(100) 중간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폐수와 슬러지가 동시에 유입되는 취수관(400)과; 상기 취수관(400)의 상단에 하단이 베어링 결합되는 동시에 프레임(200)에 일체로 결합되는 회전관(401)과; 상기 회전관(401)의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폐수와 슬러지를 부상조(100) 내부로 토출시키는 분배관(402)과; 상기 분배관에서 토출된 폐수와 슬러지가 대기중으로 노출되면서 발생된 미세기포에 의해 슬러지가 표면으로 부상되면 회전하면서 슬러지만을 걷어올릴 수 있도록 회전모터(301)와 벨트(302) 연결되는 스크레이퍼(300)와; 상기 스크레이퍼(300)에서 걷어올려진 슬러지가 슬러지관(501)으로 모아지면 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슬러지배출구(500)와; 상기 분배관(402)에서 토출된 폐수중 슬러지가 제거된 처리수가 유입되는 통로(603)가 하단에 형성된 상태에서 상단은 프레임(200)과 일체로 연결되어 회전하고 하단은 고무재의 실링벽(602)이 구비되는 처리수분리관(601)과; 상기 처리수분리관(601)과 슬러지관(501) 사이에 위치하고 폐수의 수위를 이동관(702), 스프링(701), 조절볼트(703)로 조절하는 수위조절관(700)과; 상기 수위조절관(700)을 통해 유입된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처리수배출구(6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부상식 폐수 처리장치.
KR1019980034778A 1998-08-27 1998-08-27 가압부상식 폐수 처리장치 KR100271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4778A KR100271428B1 (ko) 1998-08-27 1998-08-27 가압부상식 폐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4778A KR100271428B1 (ko) 1998-08-27 1998-08-27 가압부상식 폐수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3923A true KR19990023923A (ko) 1999-03-25
KR100271428B1 KR100271428B1 (ko) 2000-11-15

Family

ID=19548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4778A KR100271428B1 (ko) 1998-08-27 1998-08-27 가압부상식 폐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14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6348B1 (ko) * 2004-07-23 2006-05-03 주식회사 기술환경 오폐수 처리용 가압부상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035B1 (ko) 2003-04-08 2010-06-30 주식회사 포스코 부상 슬러지 침전장치
KR100794324B1 (ko) 2005-08-09 2008-01-11 이희권 역 부상 가압 부상조
KR100948807B1 (ko) 2009-12-17 2010-03-24 플러스이앤씨(주) 응집 부상장치를 이용한 하·폐수 고도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6348B1 (ko) * 2004-07-23 2006-05-03 주식회사 기술환경 오폐수 처리용 가압부상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1428B1 (ko) 2000-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3863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solved air flotation and related waste water treatments
US5156745A (en) Induced gas liquid coalescer and flotation separator
KR101281514B1 (ko) 마이크로버블 유닛과 경사판 구조를 갖는 가압 부상식 오염수 처리방법
KR20050045958A (ko) 유동형 처리수 배출장치
KR101910856B1 (ko) 용존공기부상법을 이용한 스컴 슬러지 제거장치
EP0971856B1 (en) Three zone dissolved air flotation clarifier with improved efficiency
KR101654508B1 (ko) 경사판 침전조 겸용 오폐수 가압부상장치
KR101047166B1 (ko) 고농도 유기성 폐수처리를 위한 부상분리장치
US4902429A (en) Gas assisted flotation process
US8173017B2 (en) Single-cell mechanical flotation system
KR101964830B1 (ko) 부상분리 수처리장치
KR100271428B1 (ko) 가압부상식 폐수 처리장치
KR102397619B1 (ko) 침전물 및 부유물의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KR100576348B1 (ko) 오폐수 처리용 가압부상조
KR20120111499A (ko) 가압부상방식을 이용한 녹조류 제거설비
KR102354522B1 (ko) 스컴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KR102397623B1 (ko) 산소기포를 이용한 부유물의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KR200259168Y1 (ko) 부상분리조
JPS5518227A (en) Waste water treating apparatus
KR100707490B1 (ko) 상징수 배출장치
KR20000005304U (ko) 폐수 처리장치용 스크레이퍼
KR20020068311A (ko) 수처리 및 폐수처리용 고액분리기
KR200371017Y1 (ko) 오폐수 처리용 가압부상조
KR102397626B1 (ko) 부유물질의 제거효율이 높은 하폐수처리장치
CN217628016U (zh) 一种印染助剂生产车间用废水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