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4522B1 - 스컴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스컴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4522B1
KR102354522B1 KR1020200105582A KR20200105582A KR102354522B1 KR 102354522 B1 KR102354522 B1 KR 102354522B1 KR 1020200105582 A KR1020200105582 A KR 1020200105582A KR 20200105582 A KR20200105582 A KR 20200105582A KR 102354522 B1 KR102354522 B1 KR 102354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housing
wastewater
space
woven fabric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5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2060A (ko
Inventor
박철근
Original Assignee
(주)천마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7668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53224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천마기술단 filed Critical (주)천마기술단
Priority to KR1020200105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4522B1/ko
Publication of KR20210002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4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4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33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 B01D21/2438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provided with scrapers on the liquid surface for removing floating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44Discharge mechanisms for the classified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Abstract

본 발명은 1차전처리조, 2차전처리조 및 상기 1차전처리조와 2차전처리조의 사이에 부상여재를 포함하는 흡착공간부가 형성된 전처리조 및 하폐수처리조를 포함하는 하폐수처리장치로써,
상기 1차전초리조는 인입구, 상기 인입구의 후방에 설치되고 제1분산공이 형성된 제1분산패널, 상기 제1분산패널의 후방에 설치되고 제1수평고정대에 다단으로 나란하게 수직으로 장착된 부직포로 이루어진 제1수직다단흡착부, 상부에 제1부직포가 재치된 제1걸림부, 상기 제1걸림부 상에 설치되고 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가이드되며 제2분산공이 형성된 제2분산패널, 상기 제2분산패널과 일체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하방으로 설치된 부직포가 장착된 제1부직포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제1부직포지지대의 상단과 제1스토퍼 사이에 제1탄성스프링을 매개하여 폐수에 의해 압축되면서 상기 제1부직포지지대의 말단이 제1스토퍼에 닿을 때까지 압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흡착공간부는 저면에 부상여재가 재치되고, 그 하부에 장착된 산소공급노즐을 통해 공급되는 산소에 의해 부상여재는 상부로 부상하면서 잔류하는 입자성 물질을 흡착제거하며,
2차전처리조는 전단에 상부에 제2부직포가 재치된 제2걸림부, 상기 제2걸림부 상에 설치되고 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가이드되며 제3분산공이 형성된 제3분산패널, 상기 제3분산패널과 일체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하방으로 설치된 부직포가 장착된 제2부직포지지대, 상기 제2부직포지지대에 후방에 제2수평고정대에 다단으로 나란하게 수직으로 장착되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제2수직다단흡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부직포지지대의 상단과 제2스토퍼 사이에 제2탄성스프링을 매개하여 폐수에 의해 압축되면서 상기 제2부직포지지대의 말단이 제2스토퍼에 닿을 때까지 압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컴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Wastewater treatment system with improved treating efficiency}
본 발명은 하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입된 하폐수에서 침전물을 먼저 분리 후, 공급되는 산소기포에 의해 부유물을 제거하며, 스컴 역시, 효과적으로 분리배출시킴에 따라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국내에 혐기성 소화조가 설치된 하수처리장은 57개소가 있다. 대부분의 하수처리장은 일 처리용량이 20만톤의 중형하수처리장으로 소화반류수에 의한 질소부하가 설계 질소부하의 86%정도로 안정적인 질소제거를 위해서는 별도의 반류수 처리가 필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록 하수처리장 슬러지 처리계통에서 발생하는 반류수의 양은 유입유량의 1% 미만이지만 질소부하는 유입부하의 15-40%이며, 인의 경우에는 50%에 달한다.
이에 따라 에너지 자립화 및 슬러지 감량화 사업의 지속 추진으로 하수처리시설 소화조 개선, 증설, 신설이 증가하는 추세로, 특히 소화슬러지 탈리액에 의한 오염물 유입부하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기술 개발 및 실증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고농도의 반류수는 별도의 처리 없이 유입부로 반송되어 급격한 부하변동을 발생시켜 하수처리장 운영을 어렵게 하고 방류수질의 악화를 초래하고 있다. 특히 수온이 저하되는 동절기에 수질악화 현상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나아가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에 따른 고액분리 후 배출, 주방용 오물분쇄기 허용 및 확대로 하수처리시설로 유입되는 음식물폐수 오염물 부하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더해 동절기 수온저하에 따른 질소제거효율의 저하가 발생하는데 이때 반류수에 의한 질소부하의 영향은 가중되어 큰 문제가 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국내에서 이에 대한 제반 문제를 일소에 해결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지는 않은 상황이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국내공개특허 제10-2017-0009155호 (2017.01.25)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1차전처리조, 2차전처리조 및 상기 1차전처리조와 2차전처리조의 사이에 부상여재를 포함하는 흡착공간부가 형성된 전처리조 및 하폐수처리조를 포함하는 하폐수처리장치로써,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1차전처리조, 2차전처리조 및 상기 1차전처리조와 2차전처리조의 사이에 부상여재를 포함하는 흡착공간부가 형성된 전처리조 및 하폐수처리조를 포함하는 하폐수처리장치로써,
상기 1차전처리조는 인입구, 상기 인입구의 후방에 설치되고 제1분산공이 형성된 제1분산패널, 상기 제1분산패널의 후방에 설치되고 제1수평고정대에 다단으로 나란하게 수직으로 장착된 부직포로 이루어진 제1수직다단흡착부, 상부에 제1부직포가 재치된 제1걸림부, 상기 제1걸림부 상에 설치되고 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가이드되며 제2분산공이 형성된 제2분산패널, 상기 제2분산패널과 일체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하방으로 설치된 부직포가 장착된 제1부직포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제1부직포지지대의 상단과 제1스토퍼 사이에 제1탄성스프링을 매개하여 폐수에 의해 압축되면서 상기 제1부직포지지대의 말단이 제1스토퍼에 닿을 때까지 압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흡착공간부는 저면에 부상여재가 재치되고, 그 하부에 장착된 산소공급노즐을 통해 공급되는 산소에 의해 부상여재는 상부로 부상하면서 잔류하는 입자성 물질을 흡착제거하며,
2차전처리조는 전단에 상부에 제2부직포가 재치된 제2걸림부, 상기 제2걸림부 상에 설치되고 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가이드되며 제3분산공이 형성된 제3분산패널, 상기 제3분산패널과 일체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하방으로 설치된 부직포가 장착된 제2부직포지지대, 상기 제2부직포지지대에 후방에 제2수평고정대에 다단으로 나란하게 수직으로 장착되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제2수직다단흡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부직포지지대의 상단과 제2스토퍼 사이에 제2탄성스프링을 매개하여 폐수에 의해 압축되면서 상기 제2부직포지지대의 말단이 제2스토퍼에 닿을 때까지 압축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하폐수처리조는 내부에 처리공간부를 갖는 몸체하우징,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유입공간부를 갖고, 상기 몸체하우징의 내부 중앙부에 구비되는 내부몸체하우징, 상기 내부몸체하우징의 하단부와 몸체하우징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처리공간부를 침전공간부와 산기공간부로 구획하는 격판, 상기 내부몸체하우징의 유입공간부로 하폐수를 공급하기 위한 하폐수유입부, 상기 몸체하우징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필처링된 처리수가 배수되기 위한 처리수배출부, 상기 내부몸체하우징의 하측인 상기 몸체하우징의 침전공간부에 침전된 침전물을 배출하기 위한 침전물배출부, 상기 침전공간부에서 침전물이 분리된 처리수를 산기공간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처리수공급부, 상기 산기공간부로 산소 기포를 분사하기 위한 산소공급부, 상기 내부몸체하우징을 기준으로 상기 처리수공급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산소공급회전부, 상기 산기공간부의 처리수에 부유하도록 구비되어 스컴을 분리배출시키기 위한 스컴배출부, 및 상기 침전물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침전물에 포함된 하폐수를 분리시켜 상기 몸체하우징의 처리공간부로 순환시키기 위한 하폐수순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폐수유입부에 의해 공급된 하폐수는, 상기 내부몸체하우징의 유입공간부를 따라 침전공간부로 유입되어 침전물이 침전된 후, 상기 처리수공급부에 의해 산기공간부로 이동된 다음, 상기 산소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산소 기포와 혼합되어 부유물이 분리되며, 부유물이 제거된 처리수는 상기 처리수배출부로 배출되고, 스컴은 상기 스컴배출부에 의해 분리배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몸체하우징은, 하단부가 하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진 확산부,가 더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처리수배출부는, 내부에 상측으로 개방된 처리수배출공간부를 갖고, 상기 몸체하우징의 상단부 외주를 따라 구비되는 처리수배출관로, 및 상기 처리수배출관로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구비되어 상기 처리수배출공간부로 유입된 처리수를 배출하기 위한 처리수배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산기공간부의 처리수가 상기 처리수배출공간부로 넘쳐 이동된 후, 각 처리수배출관을 통해 배수된다.
또한, 상기 처리수배출관로의 처리수배출공간부를 일정 사이즈로 구획하도록 복수의 배출격판,이 더 구비되고, 상기 각 처리수배출공간부는 상기 처리수배출관이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격판을 상기 처리수배출관로를 따라 이동시켜 구획된 각 처리수배출공간부의 사이즈를 조절하기 위한 배출공간조절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배출공간조절부는, 일정 넓이를 갖고, 상기 처리수배출공간부의 내측면과 닿는 상기 배출격판의 해당 단부를 따라 구비되는 격판테두리, 상기 격판테두리와 처리수배출관로의 사이에 구비되는 격판패킹, 상기 격판테두리에 연장 형성되되, 외주방향으로 일정 호를 갖는 이동판, 상기 이동판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피동기어부, 상기 피동기어부에 치합되는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하우징의 저면은, 중심점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침전물배출부는, 상기 몸체하우징의 저면 외주를 따라 형성되는 침전물배출관로, 상기 몸체하우징의 저면을 스크레이핑하여 침전된 침전물을 상기 침전물배출관로로 이동시키기 위한 스크레이퍼, 상기 몸체하우징의 저면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기 스크레이퍼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크레이퍼구동부, 및 상기 침전물배출관로에 침전된 침전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침전물배출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폐수순환부는, 내부에 탈수공간부를 갖고, 상기 침전물배출관에 구비되는 탈수하우징, 상기 탈수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탈수스크류, 상기 탈수스크류를 회전시키기 위한 탈수모터, 상기 탈수하우징에서 탈수된 침전 고형물이 배출되기 위한 고형물배출부, 및 상기 탈수하우징에서 탈수된 하폐수를 상기 몸체하우징의 처리공간부로 공급하기 위한 순환공급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순환공급부는, 상기 탈수하우징과 상기 몸체하우징을 연결하여 탈수된 하폐수가 공급되기 위한 순환공급관, 상기 순환공급관에 연통되어 탈수된 하폐수를 저장하기 위한 순환공급탱크, 상기 순환공급탱크에 저장된 하폐수를 상기 순환공급관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제2순환공급관, 및 상기 순환공급관과 제2순환공급관을 각각 개폐시키되, 공급되는 하폐수를 순환공급관을 따라 몸체하우징으로 공급하거나 순환공급탱크로 공급하여 추후 제2순환공급관을 통해 저수된 하폐수를 몸체하우징으로 공급하기 위한 순환공급밸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몸체하우징의 처리공간부로 유입되는 하폐수의 량을 측정하기 위한 제1센서, 및 상기 제1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순환공급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순환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처리수공급부는, 하단부가 상기 침전공간부와 연통되고, 상단부가 상기 산기공간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몸체하우징의 외주를 따라 복수 개 구비되는 처리수공급관, 및 상기 각 처리수공급관을 개폐하기 위한 처리수공급밸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산소공급부는, 상기 격판과의 사이에 산소공급공간부를 갖고, 상기 내부몸체하우징의 하단부 외측에 구비되는 산소공급판, 상기 산소공급판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된 산소분사노즐, 및 상기 산소공급판의 산소공급공간부로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산소공급펌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산소공급판은, 상기 내부몸체하우징에 인접한 내측단부에서 외측단부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산소공급회전부는, 상기 산소공급판와 연결되도록 상기 내부몸체하우징의 유입공간부에 위치되는 회전프레임, 상기 회전프레임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동부, 및 상기 회전구동부를 상기 내부몸체하우징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프레임,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스컴배출부는, 스컴프레임, 스컴배출구를 갖고, 상기 스컴프레임에 구비되어 스컴이 배출되기 위한 스컴배출헤드, 상기 스컴프레임을 부상시키기 위한 스컴부표,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일단부가 상기 스컴배출구와 연통되고, 타단부는 상기 몸체하우징의 외측에 위치되어 스컴이 배출되는 스컴배출튜브, 및 흡입력을 발생시켜 상기 스컴배출구와 스컴배출튜브를 통해 스컴을 배출시키는 스컴배출펌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산기공간부에 위치되어 침전물이 제거된 하폐수와 산소기포의 상측 이동을 지연시켜 혼합율을 향상시키는 지연부,가 더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지연부는, 외측단부가 상기 몸체하우징의 내측면을 따라 구비되고, 내측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되, 내측단부가 상기 내부몸체하우징의 외주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이동로를 형성하는 제1지연판, 및 내측단부가 상기 내부몸체하우징의 외측면을 따라 구비되고,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되, 외측단부가 상기 몸체하우징의 내주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이동로를 형성하는 제2지연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지연판과 제2지연판은 적어도 각각 하나 이상 구비되되, 상하방향으로 교번 위치된다.
또한, 상기 제1지연판과 제2지연판은, 복수의 연통공이 더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폐수에 포함된 기체가 배출되기 위한 기체배출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체배출부는, 상기 몸체하우징의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측으로 갈수록 협소하게 형성되는 기체배출하우징, 상기 내부몸체하우징의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기체배출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측으로 갈수록 협소하게 형성되는 내부기체배출하우징, 상기 기체배출하우징과 내부기체배출하우징 사이에 구비되어 기체와 액체를 분리시키기 위한 제1기액필터, 상기 제1기액필터를 거친 기체를 필터링하는 제1건식필터, 상기 내부기체배출하우징에 구비되어 기체와 액체를 분리시키기 위한 제2기액필터, 및 상기 제2기액필터를 거친 기체를 필터링하는 제2건식필터,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산기공간부의 처리수를 상기 유입공간부로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부,가 상기 내부몸체하우징에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순환부는, 상기 내부몸체하우징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되는 순환공, 상기 각 순환공에 대응되는 연통공을 갖고, 상기 내부몸체하우징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순환링, 및 상기 순환링을 회전시켜 각 연통공과 해당 순환공의 개폐정도를 조절하는 순환개폐구동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순환부는, 상기 내부몸체하우징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되는 순환공, 상기 내부몸체하우징을 감싸도록 구비되되, 내부몸체하우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순환개폐링, 및 상기 순환개폐링을 내부몸체하우징을 따라 이동시켜 순환공의 개폐정도를 조절하는 순환개폐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하폐수처리장치에 의하면, 유입된 하폐수에서 침전물을 분리 후, 공급되는 산소에 의해 부유물 역시, 제거함은 물론, 발생되는 스컴을 제거하고, 기체를 처리할 수 있어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처리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폐수처리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처리수배출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침전물배출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폐수순환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산소공급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컴배출부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체배출부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순환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처리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폐수처리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처리수배출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침전물배출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산소공급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컴배출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체배출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순환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실시된 전처리조의 구성도로서, 상기 전처리조를 1차전처리조(L)와 2차전처리조(R)의 직렬 구조로 연결하여 형성하되 인입구(11)를 통해 폐수가 유입되는 1차전처리조(L) 내부에는 다수의 분산공(13)이 형성된 제1분산패널(14)을 낱개 또는 복수개로 설치한다.
1차전처리조(L)에서는 제1분산패널(14)에 의해 폐수의 흐름을 상하좌우로 고르게 분산시켜 후속하는 제1수직다단흡착부(15)로 전달한다. 상기 제1수직다단흡착부(15)는 제1수평고정대(17)에 다단으로 나란하게 수직으로 장착되는 부직포(16)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 부직포는 수류의 흐름에 따라 내부에서 움직여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제1수직고정대(18)에 의해 고정설치된다.
상기 제1수직다단흡착부(15)는 폐수내 각종 부유물질 내지 고형분을 흡착하여 1차적으로 제거한다. 이때, 슬러지는 중력에 의해 침강되어 하방으로 배출되어진다.
상기 인입구(11)를 통해 유입된 폐수가 제1분산패널(14)에 부딪히면서 다수의 분산공(13)을 통과하므로 폐수는 상하 좌우로 고르게 흐르게 되며, 분산패널(4)에 부딪히면서 다수의 분산공(13)을 통과하는 과정에 의해 1차전처리조(L) 내부에 미세한 기포가 다량으로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1차전처리조(L) 내로 유입된 폐수의 이물질들은 비중차에 의해 부상되거나 침전되는데, 이때 상기와 같이 발생된 기포가 부유고형물에 부착되어 물보다 비중을 가볍게 함에 따라 부유고형물들은 쉽게 수면 위로 떠오르게 되어 제1수직다단흡착부(15)에 의한 분리 제거가 용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1차전처리조(L)는 공기의 부력을 이용하기 때문에 슬러지의 침전속도는 매우 느리다고 할 수 있지만 부상 가능한 이물질들을 보다 빠른 시간내에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의 부력을 이용하는 상기 1차전처리조(L)에서도 비중이 큰 이물질들은 하부에 구비된 깔때기형의 슬러지 집하부로 침전되어 모이게 되며, 침전된 이물질들은 이송스크류(미도시)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폐수의 진행방향으로 상기 1차전처리조(L)의 단부에는 제2분산패널(20)이 추가로 설치된다. 상기 제2분산패널(20)은 제1걸림부(B) 선상에 설치되어 1차전처리조(L)와 후술하는 흡착공간부(C)가 제1걸림부(B) 상에 설치된 제2분산패널(20)에 의해 서로 격리된다.
제2분산패널(20)의 제2분산공(21)을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의 이물질들은 1차전처리조(L) 내에서 부상되거나 침전되어 제거되고, 제2분산패널(20)의 제2분산공(21)을 통과하는 작은 크기의 부유물이나 침전물질들만이 폐수와 함께 흡착공간부(C)에 유입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걸림부(B) 상에 설치된 제2분산패널(20)은 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상단이 가이드되며, 그 다음에는 부직포가 장착된 제1부직포지지대(22)가 상기 제2분산패널(20)과 일체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하방으로 설치된다. 또한, 제1부직포지지대(22)의 상단과 제1스토퍼(23) 사이에 제1탄성스프링(25)을 매개하여 폐수에 의해 압축되면서 상기 제1부직포지지대(22)의 말단이 제1스토퍼(23)에 닿을 때까지 압축되도록 한다.
제1부직포지지대(22)는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정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부직포를 고정하여 장착한 형태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제2분산패널(20)의 제2분산공(21)을 통과한 폐수내 함유된 입자성물질은 후단에 설치된 제1부직포지지대(22)에 장착된 부직포에 걸러지고, 상등액은 아래로 형성된 수로를 통해 흡착공간부(C)로 유입된다.
이와 동시에, 제2분산패널(20)이 수압에 의해 그 하단은 제1걸림부(B)의 상단에 V자 형으로 고정지지된 제1부직포(24)를 압착하면서 수로를 막게 된다. 따라서, 폐수 중 부유되는 입자성물질은 제1부직포(24)에 걸러지고, 상등액만이 부직포를 통해 흐르게 되어 흡착공간부(C)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입자성 물질의 함량이 많은 다량의 폐수가 한꺼번에 1차전처리조(L)에 유입되더라도 제2분산패널(20)의 제2분산공(21)과 제1걸림부(B)에 설치된 제1부직포(24)를 통해서만 수류가 형성되므로 입자성물질이 상당량 제거되어진 상태의 일정한 유량의 폐수만을 흡착공간부(C)로 보내게 된다.
흡착공간부(C)는 저면에 부상여재(30)(예로 폴리우레탄 재질)이 장착되고, 그 하부에 장착된 산소공급노즐(26)을 통해 공급되는 산소에 의해 부상여재는 상부로 부상하면서 잔류하는 입자성 물질을 제거한다. 상기 산소공급노즐(26)은 후술하는 산소공급펌프(730)와 연결되어 산소가 공급된다.
흡착공간부(C)의 후단에는 폐수의 진행방향으로 제3분산패널(20′)이 추가로 설치된다. 상기 제3분산패널(20′)은 제2걸림부(B′) 선상에 설치되어 흡착공간부(C)와 후술하는 2차전처리조(R)가 제2걸림부(B′) 상에 설치된 제3분산패널(20′)에 의해 서로 격리된다.
제3분산패널(20′)의 제3분산공(21′)을 통과한 미세 크기의 부유물은 폐수와 함께 2차전처리조(R)에 유입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걸림부(B′) 상에 설치된 제3분산패널(20′)은 마찬가지로 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상단이 가이드되며, 그 다음에는 부직포가 장착된 제2부직포지지대(22′)가 상기 제3분산패널(20′)과 일체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하방으로 설치된다. 또한, 제2부직포지지대(22′)의 상단과 제2스토퍼(23′) 사이에 제2탄성스프링(25′)을 매개하여 폐수에 의해 압축되면서 상기 제2부직포지지대(22′)의 말단이 제2스토퍼(23′)에 닿을 때까지 압축되도록 한다.
제2부직포지지대(22′)는 마찬가지로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정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부직포를 고정하여 장착한 형태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제3분산패널(20′)의 제3분산공(21′)을 통과한 폐수내 함유된 미세입자성 물질은 후단에 설치된 제2부직포지지대(22′)에 장착된 부직포에 걸러지고, 상등액은 아래로 형성된 수로를 통해 2차전처리조(R)로 유입된다.
이와 동시에, 제3분산패널(20′)이 수압에 의해 그 하단은 제2걸림부(B′)의 상단에 V자 형으로 고정지지된 제2부직포(24′)를 압착하면서 수로를 막게 된다. 따라서, 폐수 중 미세입자성 물질은 제2부직포(24′)에 걸러지고, 상등액만이 부직포를 통해 흐르게 되어 2차전처리조(R)로 유입될 수 있다.
2차전처리조(R)에서는 내부에 제2수직다단흡착부(15′)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2수직다단흡착부(15′)는 제2수평고정대(17′)에 다단으로 나란하게 수직으로 장착되는 부직포(16′)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 부직포는 수류의 흐름에 따라 내부에서 움직여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제2수직고정대(18′)에 의해 고정설치된다.
상기 제2수직다단흡착부(15′)는 폐수내 있을 수 있는 미세한 부유물질 내지 고형분을 흡착하여 추가적으로 제거한다. 이때, 여분의 슬러지는 중력에 의해 침강되어 하방으로 배출되어진다.
폐수의 진행방향으로 상기 2차전처리조(R)의 단부에는 제4분산공(14′)이 형성된 제4분산패널(13′)이 추가로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각종 오염원인 부유물질들이 상당량 전처리되어진 상태로 폐수는 본 발명의 하폐수처리장치의 하폐수 유입부(400)로 유입되어 후속절차에서의 부하를 크게 경감할 수 있게 된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폐수처리장치는 몸체하우징(100)과 내부몸체하우징(200), 격판(300), 하폐수유입부(400), 처리수배출부(500), 침전물배출부(600), 산소공급부(700), 스컴배출부(800), 처리수공급부(1000), 산소공급회전부(1100) 및 하폐수순환부(1200)를 포함한다.
몸체하우징(100)은 내부에 처리공간부(110)가 형성되는 것으로, 직경을 갖는 원형통이나 사각 및 다각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내부몸체하우징(200)은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유입공간부(202)를 갖고, 몸체하우징(100)의 내부 중앙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격판(300)은 복수의 통공(310)을 갖고, 내부몸체하우징(200)의 하단부와 몸체하우징(100) 사이에 구비되어 처리공간부(110)를 침전공간부(112)와 산기공간부(114)로 구획한다.
여기서, 내부몸체하우징(200)은 하단부가 하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진 확산부(210)가 더 포함되어 침전공간부(112)로 유입되는 하폐수의 속도를 감소시키면서 확산시켜 침전물의 침전율을 증가시킨다.
또한 하폐수유입부(400)는 내부몸체하우징(200)의 유입공간부(210)로 하폐수를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처리수배출부(500)는 몸체하우징(100)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필처링된 처리수가 배수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침전물배출부(600)는 내부몸체하우징(200)의 하측인 몸체하우징(100)의 침전공간부(112)에 침전된 침전물을 배출하기 위해 구비된다.
처리수공급부(1000)는 침전공간부(112)에서 침전물이 분리된 처리수를 산기공간부(114)로 유입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산소공급부(700)는 격판(300)의 상측에 구비되어 산기공간부(114)로 산소 기포를 분사하기 위해 구비된다.
스컴배출부(800)는 산기공간부(114)의 처리수에 부유하도록 구비되어 스컴을 분리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와 같은, 하폐수처리장치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하폐수가 하폐수유입부(400)에 의해 내부몸체하우징(200)의 유입공간부(210)로 공급된 후, 침전공간부(112)로 유입되어 침전물이 침전된다.
그리고 침전물이 분리된 하폐수는 처리수공급부(1000)에 의해 산기공간부(114)로 이동된 다음, 산소공급부(700)에 의해 공급된 산소 기포와 혼합되어 부유물이 분리된다.
부유물이 제거된 처리수는 처리수배출부(500)로 배출되고, 스컴은 스컴배출부(800)에 의해 분리배출된다.
이에, 하폐수에서 침전물과 부유물 및 스컴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산소공급회전부(1100)는 내부몸체하우징(200)을 기준으로 처리수공급부(1000)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하폐수순환부(1200)는 침전물배출부(600)를 통해 배출되는 침전물에 포함된 하폐수를 분리시켜 몸체하우징(100)의 처리공간부(110)로 순환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한, 처리수배출부(500)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처리수배출관로(510)와 처리수배출관(520)으로 구성된다.
처리수배출관로(510)는 내부에 상측으로 개방된 처리수배출공간부(512)를 갖고, 몸체하우징(100)의 상단부 외주를 따라 구비된다.
그리고 처리수배출관(520)은 처리수배출관로(510)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구비되어 처리수배출공간부(512)로 유입된 처리수를 배출하기 위해 구비된다.
산기공간부(114)의 처리수가 처리수배출공간부(512)로 넘쳐 이동된 후, 각 처리수배출관(520)을 통해 배수된다.
이에, 복수의 방향으로 처리수가 배출되어 배출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처리수배출관로(510)의 처리수배출공간부(512)를 일정 사이즈로 구획하도록 복수의 배출격판(530)이 더 구비된다.
이 배출격판(530)에 의해 구획된 각 처리수배출공간부(512)는 처리수배출관(520)이 각각 구비되어 해당 처리수배출공간부(512)의 처리수를 신속하게 배출시킨다.
그리고 처리수배출부(500)는 배출격판(530)을 처리수배출관로(510)를 따라 이동시켜 구획된 각 처리수배출공간부(512)의 사이즈를 조절하기 위한 배출공간조절부(540)를 더 포함한다.
이 배출공간조절부(540)는 격판테두리(541)와 격판패킹(542), 이동판(543), 피동기어부(544), 구동기어(545) 및 구동모터(546)로 구성된다.
격판테두리(541)는 일정 넓이를 갖고, 처리수배출공간부(512)의 내측면과 닿는 배출격판(530)의 해당 단부를 따라 구비된다.
또한 격판패킹(542)은 격판테두리(541)와 처리수배출관로(510)의 사이에 구비되어 각 처리수배출공간부(512)를 상호 구획한다.
이동판(543)은 격판테두리(541)에 연장 형성되되, 외주방향으로 일정 호로 형성되는 것으로, 처리수배출관로(510)의 외주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피동기어부(544)는 이동판(543)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구동기어(545)는 피동기어부(544)에 치합되고, 구동모터(546)는 구동기어(545)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하우징(100)의 저면은 중심점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침전물배출부(600)는 침전물배출관로(610)와 스크레이퍼(620), 스크레이퍼구동부(630) 및 침전물배출관(640)으로 구성된다.
침전물배출관로(610)는 몸체하우징(100)의 저면 외주를 따라 형성된다.
또한 스크레이퍼(620)는 몸체하우징(100)의 저면을 스크레이핑하여 침전된 침전물을 침전물배출관로(610)로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스크레이퍼구동부(630)는 몸체하우징(100)의 저면 중심점을 기준으로 스크레이퍼(620)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침전물배출관(640)은 침전물배출관로(610)에 침전된 침전물을 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폐수순환부(1200)는 탈수하우징(1210)과 탈수스크류(1220), 탈수모터(1230), 고형물배출부(1240) 및 순환공급부(1250)를 포함한다.
탈수하우징(1210)은 내부에 탈수공간부(1212)를 갖고, 침전물배출관(640)에 구비된다.
그리고 탈수스크류(1220)는 탈수하우징(12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탈수모터(1230)는 탈수스크류(1220)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고형물배출부(1240)는 탈수하우징(1210)에서 탈수된 침전 고형물이 배출되기 위해 구비된다.
순환공급부(1250)는 탈수하우징(1210)에서 탈수된 하폐수를 몸체하우징(100)의 처리공간부(110)로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하폐수순환부(1200)에 의하면, 배출되는 침전물에 포함된 하폐수를 회수하여 다시 몸체하우징(100)으로 순환시킴에 따라, 몸체하우징(100)에서의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배출되는 침전 고형물의 추후 처리과정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순환공급부(1250)는 순환공급관(1252)과 순환공급탱크(1254), 제2순환공급관(1256) 및 순환공급밸브(1258)를 포함한다.
순환공급관(1252)은 탈수하우징(1210)과 몸체하우징(100)을 연결하여 탈수된 하폐수가 공급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순환공급탱크(1254)는 순환공급관(1252)에 연통되어 탈수된 하폐수를 저장하기 위해 구비된다.
제2순환공급관(1256)은 순환공급탱크(1254)에 저장된 하폐수를 순환공급관(1254)으로 유입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순환공급밸브(1258)는 순환공급관(1252)과 제2순환공급관(1256)을 각각 개폐시키되, 공급되는 하폐수를 순환공급관(1252)을 따라 몸체하우징(100)으로 공급하거나 순환공급탱크(1254)로 공급하여 추후 제2순환공급관(1256)을 통해 저수된 하폐수를 몸체하우징(100)으로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하폐수순환부(1200)는 제1센서(1260)와 순환제어부(1270)가 더 포함된다.
제1센서(1260)는 몸체하우징(100)의 처리공간부(110)로 유입되는 하폐수의 량을 측정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순환제어부(1270)는 제1센서(1260)의 신호를 수신하여 순환공급관(1252)과 제2순환공급관(1256)에 각각 구비된 순환공급밸브(1258)를 제어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순환제어부(1270)에 의해 몸체하우징(100)으로 하폐수가 과도하게 공급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탈수된 하폐수를 순환공급탱크(1254)에 저장하여 공급량을 자동으로 조절시킬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처리수공급부(1000)는 처리수공급관(1010)과 처리수공급밸브(1020)로 구성된다.
처리수공급관(1010)은 하단부가 침전공간부(112)와 연통되고, 상단부가 산기공간부(114)와 연통되도록 몸체하우징(100)의 외주를 따라 복수 개 구비된다.
그리고 처리수공급밸브(1020)는 각 처리수공급관(1010)을 개폐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각 처리수공급관(1010)을 통해 침전공간부(112)의 하폐수가 산기공간부(114)로 공급할 수 있다.
물론, 각 처리수공급밸브(1020)를 조작하여 해당 처리수공급관(1010)을 개폐시킴에 따라, 하폐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산소공급부(700)는 산소공급판(710)과 산소분사노즐(720) 및 산소공급펌프(730)로 구성된다.
산소공급판(710)은 내부에 산소공급공간부(712)를 갖고, 내부몸체하우징(200)의 하단부 외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산소분사노즐(720)은 산소공급관(710)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되며, 산소공급펌프(730)는 산소공급판(710)의 산소공급공간부(712)로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산소공급판(710)은 내부몸체하우징(200)에 인접한 내측단부에서 외측단부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산소공급판(710)에 복수 개 구비된 산소분사노즐(720)에 의해 산소 기포가 상향 외측으로 경사지게 분사하여 처리수와의 혼합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산소공급회전부(1100)는 회전프레임(1110)과 회전구동부(1120) 및 고정프레임(1130)으로 구성된다.
회전프레임(1110)은 산소공급판(710)과 연결되도록 내부몸체하우징(200)의 유입공간부(202)에 위치된다.
이 회전프레임(1110)은 중심부를 기준으로 외측으로 복수 개 분기되어 단부가 형성된다.
물론, 내부몸체하우징(200)의 하단부에는 회전프레임(1110)의 단부가 산소공급판(710)에 연결되도록 관통설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절개부(미 도시)가 형성됨이 당연하다.
또한 회전구동부(1120)는 회전프레임(1110)을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되고, 고정프레임(1130)은 회전구동부(1120)를 내부몸체하우징(200)에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 고정프레임(1130) 역시, 중심부를 기준으로, 외측으로 복수 개 분기되는 것으로, 유입된 하폐수가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음이 당연하다.
또한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스컴배출부(800)는 스컴프레임(810)과 스컴배출헤드(820), 스컴부표(830), 스컴배출튜브(840) 및 스컴배출펌프(850)로 구성된다.
스컴배출헤드(820)는 스컴배출구(822)를 갖고, 스컴프레임(810)에 구비되어 스컴이 배출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스컴부표(830)는 스컴프레임(810)을 부상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복수 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스컴배출튜브(840)는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일단부가 스컴배출헤드(820)의 스컴배출구(822)와 연통되고, 타단부는 몸체하우징(100)의 외측에 위치되어 스컴이 배출된다.
또한 스컴배출펌프(850)는 흡입력을 발생시켜 스컴배출구(822)와 스컴배출튜브(840)를 통해 스컴을 배출시킨다.
여기서, 스컴배출헤드(820)를 승강시키기 위한 헤드승강부(860)이 스컴프레임(810)에 더 구비된다.
이 헤드승강부(860)에 의해 스컴배출헤드(820)를 이동시켜 스컴배출구(822)의 위치를 조절함에 따라, 발생된 스컴의 높이에 대응하여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몸체하우징(100)에는 산기공간부(114)에 위치되어 침전물이 제거된 하폐수와 산소기포의 상측 이동을 지연시켜 혼합율을 향상시키는 지연부(120)가 더 포함된다.
이 지연부(120)는 제1지연판(122)과 제2지연판(124)으로 구성된다.
제1지연판(122)은 외측단부가 몸체하우징(100)의 내측면을 따라 구비되고, 내측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되, 내측단부가 내부몸체하우징(200)의 외주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이동로를 형성한다.
또한 제2지연판(124)은 내측단부가 내부몸체하우징(200)의 외측면을 따라 구비되고,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되, 외측단부가 몸체하우징(100)의 내주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이동로를 형성한다.
이러한 제1지연판(122)과 제2지연판(124)은 적어도 각각 하나 이상 구비되되, 상하방향으로 교번 위치되어 침전물이 제거된 하폐수와 산소기포의 혼합률을 향상시켜 부유물을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지연판(122)과 제2지연판(124)은 복수의 연통공(126)이 더 형성되어 하폐수와 산소기포의 일부가 통과된다.
또한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폐수에 포함된 기체를 배출되기 위한 기체배출부(900)를 더 포함한다.
이 기체배출부(900)는 기체배출하우징(910)과 내부기체배출하우징(920), 제1기액필터(930), 제1건식필터(940), 제2기액필터(950) 및 제2건식필터(960)로 구성된다.
기체배출하우징(910)은 몸체하우징(100)의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측으로 갈수록 협소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내부기체배출하우징(920)은 내부몸체하우징(200)의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기체배출하우징(9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측으로 갈수록 협소하게 형성된다.
제1기액필터(930)는 기체배출하우징(910)과 내부기체배출하우징(920) 사이에 구비되어 기체와 액체를 분리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제1건식필터(940)는 제1기액필터(930)를 거친 기체를 필터링한다.
제2기액필터(950)는 내부기체배출하우징(920)에 구비되어 기체와 액체를 분리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제2건식필터(960)는 제2기액필터(950)를 거친 기체를 필터링한다.
이러한 기체배출부(900)에 의해 유입된 하폐수와 처리수에 포함된 기체를 처리함에 따라 기체에 포함된 독성물질과 악취 등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산기공간부(114)의 처리수를 유입공간부(210)로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부(220)가 내부몸체하우징(200)에 더 구비된다.
이 순환부(220)는 순환공(222)과 순환링(224) 및 순환개폐구동부(226)로 구성된다.
순환공(222)은 내부몸체하우징(200)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된다.
그리고 순환링(224)은 각 순환공(222)에 대응되는 연통공(225)을 갖고, 내부몸체하우징(200)을 감싸도록 구비된다.
순환개폐구동부(226)는 순환링(224)을 회전시켜 각 연통공(225)과 해당 순환공(222)의 개폐정도를 조절하여 순환되는 량을 조절한다.
한편,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의 순환부(220')는 순환공(222')과 순환개폐링(224') 및 순환개폐구동부(226')로 구성된다.
순환공(222')은 내부몸체하우징(200)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된다.
그리고 순환개폐링(224')은 내부몸체하우징(200)을 감싸도록 구비되되, 내부몸체하우징(20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순환개폐구동부(226')는 순환개폐링(224')을 이동시켜 순환공(222')의 개폐정도를 조절하여 순환되는 량을 조절한다.
100 : 몸체하우징
200 : 내부몸체하우징
300 : 다공격판
400 : 하폐수유입부
500 : 처리수배출부
600 : 침전물배출부
700 : 산소공급부
800 : 스컴배출부
900 : 기체배출부
1000 : 처리수공급부
1100 : 산소공급회전부

Claims (1)

1차전처리조, 2차전처리조 및 상기 1차전처리조와 2차전처리조의 사이에 부상여재를 포함하는 흡착공간부가 형성된 전처리조 및 하폐수처리조를 포함하는 하폐수처리장치로써,
상기 1차전처리조는 인입구, 상기 인입구의 후방에 설치되고 제1분산공이 형성된 제1분산패널, 상기 제1분산패널의 후방에 설치되고 제1수평고정대에 다단으로 나란하게 수직으로 장착된 부직포로 이루어진 제1수직다단흡착부, 상부에 제1부직포가 재치된 제1걸림부, 상기 제1걸림부 상에 설치되고 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가이드되며 제2분산공이 형성된 제2분산패널, 상기 제2분산패널과 일체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하방으로 설치된 부직포가 장착된 제1부직포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제1부직포지지대의 상단과 제1스토퍼 사이에 제1탄성스프링을 매개하여 폐수에 의해 압축되면서 상기 제1부직포지지대의 말단이 제1스토퍼에 닿을 때까지 압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흡착공간부는 저면에 부상여재가 재치되고, 그 하부에 장착된 산소공급노즐을 통해 공급되는 산소에 의해 부상여재는 상부로 부상하면서 잔류하는 입자성 물질을 흡착제거하며,
2차전처리조는 전단에 상부에 제2부직포가 재치된 제2걸림부, 상기 제2걸림부 상에 설치되고 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가이드되며 제3분산공이 형성된 제3분산패널, 상기 제3분산패널과 일체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하방으로 설치된 부직포가 장착된 제2부직포지지대, 상기 제2부직포지지대에 후방에 제2수평고정대에 다단으로 나란하게 수직으로 장착되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제2수직다단흡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부직포지지대의 상단과 제2스토퍼 사이에 제2탄성스프링을 매개하여 폐수에 의해 압축되면서 상기 제2부직포지지대의 말단이 제2스토퍼에 닿을 때까지 압축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폐수처리조는,
내부에 처리공간부를 갖는 몸체하우징;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유입공간부를 갖고, 상기 몸체하우징의 내부 중앙부에 구비되는 내부몸체하우징;
상기 내부몸체하우징의 하단부와 몸체하우징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처리공간부를 침전공간부와 산기공간부로 구획하는 격판;
상기 내부몸체하우징의 유입공간부로 하폐수를 공급하기 위한 하폐수유입부;
상기 몸체하우징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필처링된 처리수가 배수되기 위한 처리수배출부;
상기 내부몸체하우징의 하측인 상기 몸체하우징의 침전공간부에 침전된 침전물을 배출하기 위한 침전물배출부;
상기 침전공간부에서 침전물이 분리된 처리수를 산기공간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처리수공급부;
상기 산기공간부로 산소 기포를 분사하기 위한 산소공급부;
상기 내부몸체하우징을 기준으로 상기 처리수공급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산소공급회전부;
상기 산기공간부의 처리수에 부유하도록 구비되어 스컴을 분리배출시키기 위한 스컴배출부; 및
상기 침전물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침전물에 포함된 하폐수를 분리시켜 상기 몸체하우징의 처리공간부로 순환시키기 위한 하폐수순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폐수유입부에 의해 공급된 하폐수는,
상기 내부몸체하우징의 유입공간부를 따라 침전공간부로 유입되어 침전물이 침전된 후, 상기 처리수공급부에 의해 산기공간부로 이동된 다음, 상기 산소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산소 기포와 혼합되어 부유물이 분리되며,
부유물이 제거된 처리수는 상기 처리수배출부로 배출되고, 스컴은 상기 스컴배출부에 의해 분리배출되되,
상기 몸체하우징의 저면은,
중심점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침전물배출부는,
상기 몸체하우징의 저면 외주를 따라 형성되는 침전물배출관로;
상기 몸체하우징의 저면을 스크레이핑하여 침전된 침전물을 상기 침전물배출관로로 이동시키기 위한 스크레이퍼;
상기 몸체하우징의 저면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기 스크레이퍼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크레이퍼구동부; 및
상기 침전물배출관로에 침전된 침전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침전물배출관;을 포함하는 하폐수처리장치.

KR1020200105582A 2019-06-26 2020-08-21 스컴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KR102354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5582A KR102354522B1 (ko) 2019-06-26 2020-08-21 스컴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686A KR102153224B1 (ko) 2019-06-26 2019-06-26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KR1020200105582A KR102354522B1 (ko) 2019-06-26 2020-08-21 스컴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6686A Division KR102153224B1 (ko) 2019-06-26 2019-06-26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060A KR20210002060A (ko) 2021-01-06
KR102354522B1 true KR102354522B1 (ko) 2022-01-21

Family

ID=80050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5582A KR102354522B1 (ko) 2019-06-26 2020-08-21 스컴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45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48296B (zh) * 2021-08-25 2023-10-31 广西先得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一体化水质监测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183B1 (ko) 2006-07-06 2007-11-12 서종열 폐발포합성수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879333B1 (ko) 2008-05-09 2009-01-19 (주)성신엔지니어링 일괄 압착형 중력식 섬유여과기
KR101169697B1 (ko) 2011-12-23 2012-07-30 주식회사 라미나알앤디 다중 구조의 수류 공간흐름을 이용한 경사판 침전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7963A (ko) * 2013-12-17 2014-08-0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폴리우레탄 폼 담체를 포함하는 바이오볼 및 이를 사용하는 하폐수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993675B1 (ko) * 2018-02-08 2019-06-26 주식회사 두현이엔씨 산소기포를 이용한 개선된 혼합효율을 갖는 하폐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183B1 (ko) 2006-07-06 2007-11-12 서종열 폐발포합성수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879333B1 (ko) 2008-05-09 2009-01-19 (주)성신엔지니어링 일괄 압착형 중력식 섬유여과기
KR101169697B1 (ko) 2011-12-23 2012-07-30 주식회사 라미나알앤디 다중 구조의 수류 공간흐름을 이용한 경사판 침전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060A (ko) 202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3224B1 (ko)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KR101455180B1 (ko) 수류 분산형 가압부상조
KR101993675B1 (ko) 산소기포를 이용한 개선된 혼합효율을 갖는 하폐수처리장치
KR102397619B1 (ko) 침전물 및 부유물의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KR102354522B1 (ko) 스컴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KR100894646B1 (ko) 자동연속여과장치 부착형 용존공기 가압부상조
KR101446272B1 (ko) 유수분리기
KR101917080B1 (ko) 하폐수처리장치
KR101847930B1 (ko) 혼합효율이 향상된 하폐수처리장치
KR102397626B1 (ko) 부유물질의 제거효율이 높은 하폐수처리장치
KR102397623B1 (ko) 산소기포를 이용한 부유물의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RU1836301C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KR101307926B1 (ko) 오폐수처리 시스템
KR101847927B1 (ko) 처리효율이 향상된 하폐수처리장치
KR101991812B1 (ko) 처리수 배출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다공격판을 갖는 하폐수처리장치
KR101991810B1 (ko) 부유물 및 스컴제거 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KR20140093378A (ko) 화력발전소 회사장 폐수처리장치
US3335865A (en) System for sewage treatment
KR102086902B1 (ko) 개선된 부유물 및 스컴제거 효율을 갖는 회전가능한 산소공급판을 포함하는 혼합효율이 향상된 하폐수처리장치
KR102086901B1 (ko) 회전가능한 산소공급판을 포함하는 혼합효율이 향상된 하폐수처리장치
KR101992389B1 (ko) 고농도 질소함유 반류수의 처리를 위한 처리효율이 향상된 하폐수처리장치
KR101992386B1 (ko) 침전물의 분리 및 부유물과 스컴제거 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KR101993676B1 (ko) 고농도 질소함유 반류수의 처리를 위한 혼합효율이 향상된 하폐수처리장치
KR101993672B1 (ko) 음식물 폐수처리를 위한 처리효율이 향상된 하폐수처리장치
KR101847926B1 (ko) 다공격판을 이용한 하폐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