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3378A - 화력발전소 회사장 폐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화력발전소 회사장 폐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3378A
KR20140093378A KR1020130005143A KR20130005143A KR20140093378A KR 20140093378 A KR20140093378 A KR 20140093378A KR 1020130005143 A KR1020130005143 A KR 1020130005143A KR 20130005143 A KR20130005143 A KR 20130005143A KR 20140093378 A KR20140093378 A KR 20140093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ater
sludge
filtration
a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5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0958B1 (ko
Inventor
최영구
채종근
김치환
Original Assignee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5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0958B1/ko
Publication of KR20140093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3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0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0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001/007Processes including a sedimenta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6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pH

Abstract

본 발명은 화력발전소 회사장 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석탄회를 함유하는 회처리수를 공급받아 슬러지를 침강시켜 분리 배출하는 여과조, 이 여과조에서 슬러지를 제거한 상태의 회처리수에 함유된 부유물을 필터링하는 필터링조, 및 이 필터링조에서 부유물이 제거된 상태의 회처리수를 중성화 처리하는 산도조정조를 포함하고, 여과조와 필터링조와 산도조정조는 회처리수가 순서대로 월류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회사장 내 매립량 증가로 회사장 안정적 운영 및 제방 건전성 확보를 위해 비상 방류용 회처리수 처리설비를 설치하여 집중 호우시 유입수의 안정적 처리와 방류를 통해 발전설비의 안정적 운영이 요구됨에 따라 화력발전소의 연료로 사용하고 처리된 석탄재가 포함된 폐수를 기능성 여과조와 GFF(Gravity Flow Fiber Filter), pH 조정조를 통과하여 SS 및 pH를 법적 기준치 이내로 처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력발전소 회사장 폐수처리장치{APPATUS FOR WASTEWATER OF USED COAL ASH OF COAL THERMO POWER PLANT}
본 발명은 화력발전소 회사장 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회사장 내 매립량 증가로 회사장 안정적 운영 및 제방 건전성 확보를 위해 비상 방류용 회처리수 처리설비를 설치하여 집중 호우시 유입수의 안정적 처리와 방류를 통해 발전설비의 안정적 운영이 요구됨에 따라 화력발전소의 연료로 사용하고 나서 처리된 석탄재가 포함된 폐수를 기능성 여과조와 GFF(Gravity Flow Fiber Filter), pH 조정조를 통과하여 SS 및 pH를 법적 기준치 이내로 처리할 수 있는 화력발전소 회사장 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회사장 폐수처리의 기본은 화학처리 후 필터링 한 상태로 pH를 중성으로 맞추어서 최종 방류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
하지만 물량이 많은 관계로 화학처리 시의 경제적인 문제점과 슬러지 처리비용 등 후차적인 처리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화학처리를 하지 않고 회사장 폐수의 특성을 살려서 부유물질만이라도 충분하게 처리할 수 있다면 2차적인 문제점은 많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하여 부상 펌프식 처리, 원심분리처리, 일반적인 필터처리 등 다양한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62506호(04.12.09)에 개시되어 있다.
기존의 석탄화력발전소용 석탄회 처리장치는 기본적으로 매립장 증축에 따른 넓은 처리공간이 필요한 문제점 및 해수라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화학처리의 단점과 넓은 공간이 필요 없이 기능성 여과조와 GFF(Gravity Flow Fiber Filter) 여과조만 가지고 부유물질 제거 효율을 높이고자 하는 화력발전소 회사장 폐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기능성 여과조로 유입될 시 유속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복수 개 구비되는 격벽과, 미세한 부유물질도 거를 수 있는 타공판 및 격벽을 통과함으로써 GFF의 부하를 최대한 줄이고자 하는 화력발전소 회사장 폐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력발전소 회사장 폐수처리장치는: 석탄회를 함유하는 회처리수를 공급받아 슬러지를 침강시켜 분리 배출하는 여과조, 상기 여과조에서 슬러지를 제거한 상태의 회처리수에 함유된 부유물을 필터링하는 필터링조, 및 상기 필터링조에서 부유물이 제거된 상태의 회처리수를 중성화 처리하는 산도조정조를 포함하고, 상기 여과조, 상기 필터링조 및 상기 산도조정조는 회처리수가 순서대로 월류하도록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여과조는, 최초로 유입되는 회처리수로부터 일차적으로 슬러지를 침강 유도하여 배출하는 제 1여과조, 및 상기 제 1여과조로부터 월류되는 회처리수로부터 이차적으로 슬러지를 침강 유도함으로써 슬러지를 최대한 분리 배출하는 제 2여과조를 포함한다.
상기 여과조는, 회처리수를 공급받기 위해 둘레면 하측에 제 1유입구를 구비하며 침강된 슬러지를 배출하기 위해 일측에 제 1배출구를 갖는 제 1수조탱크, 상기 제 1수조탱크에 구비되어 강제 유입되는 회처리수의 유속을 감소시켜 슬러지의 침강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제 1격벽, 및 상기 제 1수조탱크의 바닥에 구비되어 회처리수를 폭기시킴으로써 슬러지의 뭉침을 방지하는 제 1폭기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1격벽은, 상기 제 1수조탱크에 세워지고 양측이 대응되는 상기 제 1수조탱크의 내측벽과 유격되며 평면상 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호격벽, 및 회처리수의 유속을 한번 더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호격벽의 양측 가장자리에 대응되도록 서로 유격되게 배치되는 평판 형상의 평격벽을 포함한다.
상기 호격벽과 상기 평격벽은 침강된 슬러지가 상기 제 1배출구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제 1이동홀을 통공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폭기부는, 상기 제 1수조탱크에 구비되고 상측으로 개방되며 둘레면 하측에 제 1개방홀을 통공한 제 1폭기탱크, 상기 제 1폭기탱크에 구비되어 회처리수에 에어를 분사하는 제 1폭기노즐, 및 상기 제 1폭기탱크 상측에 위치 고정되고 타공홀을 통공하며 상기 제 1개방홀을 통해 유입되어 상승하려는 슬러지와 부유물을 걸러내는 제 1타공판을 포함한다.
상기 여과조는, 회처리수를 공급받는 제 2수조탱크, 공급된 회처리수의 흐름 방향을 바꿔 유속을 감속시키기 위한 제 2격벽, 및 상기 제 2수조탱크에 구비되어 회처리수를 폭기시킴으로써 슬러지의 뭉침을 방지하는 제 2폭기부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링조는, 상기 여과조로부터 슬러지를 분리한 회처리수를 공급받아 임시 저장함으로써 잔류 슬러지를 침강시키는 유입탱크, 상기 유입탱크에서 월류되는 회처리수로부터 부유물을 걸러내기 위해 복수 개의 GFF필터를 구비하는 필터탱크, 상기 필터탱크로부터 부유물이 제거된 상태로 월류되는 회처리수를 역세하기 위해 역세수를 저장하는 역세수탱크, 및 역세 처리된 상태로 월류되는 회처리수를 임시 저장하며 방류하는 방류탱크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탱크는 상기 GFF필터의 설치 공간을 구획하며 필터처리된 회처리수를 월류시키기 위해 월류턱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도조정조는, 회처리수에 강산성액을 투입하여 중성화 처리하기 위해 상기 필터링조로부터 월류되는 회처리수를 저장하고 중성화된 회처리수의 방류를 단속하는 조정탱크, 및 상기 조정탱크에 회처리수의 유입측에서 방류측 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유속을 줄이는 조정격벽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력발전소 회사장 폐수처리장치는 화학처리의 단점과 넓은 공간이 필요 없이 기능성 여과조와 GFF(Gravity Flow Fiber Filter) 여과조만 가지고 부유물질 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화학처리의 단점과 넓은 공간이 필요 없이 기능성 여과조와 GFF 여과조만 가지고 부유물질 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기능성 여과조로 유입될 시 유속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복수 개 구비되는 격벽과, 미세한 부유물질도 거를 수 있는 타공판 및 격벽을 통과함으로써 GFF의 부하를 최대한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력발전소 회사장 폐수처리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력발전소 회사장 폐수처리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력발전소 회사장 폐수처리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력발전소 회사장 폐수처리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력발전소 회사장 폐수처리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력발전소 회사장 폐수처리장치는 여과조(100), 필터링조(400), 및 산도조정조(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력발전소 회사장 폐수처리장치의 여과조(100), 필터링조(400), 및 산도조정조(500)는 회처리수가 순서대로 월류하도록 연결된다. 이는, 회사장 폐수처리장치의 규모를 줄이기 위함이다.
특히, 여과조(100)는 석탄회를 함유하는 회처리수를 공급받아 슬러지를 침강시켜 분리 배출하는 역할을 하고, 필터링조(400)는 여과조(100)에서 슬러지를 제거한 상태의 회처리수에 함유된 부유물을 필터링하는 역할을 하며, 산도조정조(500)는 필터링조(400)에서 부유물이 제거된 상태의 회처리수를 중성화 처리한 후 방류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여과조(100)는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으나, 슬러지의 침강 정도를 향상시켜 최대한 슬러지를 걸러내기 위해 복수 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편의상, 여과조(100)는 이웃하게 연결되는 2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즉, 여과조(100)는 제 1여과조(200) 및 제 2여과조(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 1여과조(200)는 최초로 유입되는 회처리수로부터 일차적으로 슬러지를 침강 유도하여 배출하고, 제 2여과조(300)는 제 1여과조(200)로부터 월류되는 회처리수로부터 이차적으로 슬러지를 침강 유도함으로써 슬러지를 최대한 분리 배출한다.
아울러, 제 1여과조(200)는 제 1수조탱크(210), 제 1격벽(220) 및 제 1폭기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 1수조탱크(210)는 제 1여과조(200)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회처리수를 공급받기 위해 둘레면 하측에 제 1유입구(212)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 1수조탱크(210)는 침강된 슬러지를 배출하기 위해 일측에 제 1배출구(214)를 형성한다.
물론, 제 1유입구(212)와 제 1배출구(214)는 개수와 제 1수조탱크(210)에 형성되는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물론, 제 1유입구(212)와 제 1배출구(214)는 밸브에 의해 자동 개폐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회처리수는 펌프(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 제 1유입구(212)를 통해 제 1수조탱크(210) 내부로 고속으로 유입된다. 이 경우, 회처리수의 흐름이 빨라 슬러지가 쉽게 침강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제 1수조탱크(210)에는 제 1격벽(220)이 구비된다.
제 1격벽(220)은 제 1수조탱크(210)에 구비되어 강제 유입되는 회처리수의 유속을 감소시켜 슬러지의 침강 속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 1격벽(220)은 제 1수조탱크(210) 내부에 하나 구비될 수 있으나, 회처리수의 유속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복수 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제 1격벽(220)은 평면상 호 궤적을 이루는 호격벽(222), 및 평판 형상인 평격벽(2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호격벽(222)은 제 1유입구(212)로 고속으로 유입되는 회처리수가 최초로 부딪히도록 제 1수조탱크(210)의 바닥에 세워진다. 그리고, 호격벽(222)은 부딪힌 후 운동에너지를 소정 잃은 회처리수가 유동되도록 양측이 대응되는 제 1수조탱크(210)의 내측벽과 유격되게 구비된다. 특히, 호격벽(222)은 부딪힌 회처리수가 제 1유입구(212) 방향으로 역류하며 제 1유입구(212)로 유입되는 회처리수에 부딪히며 에너지를 더욱 줄이기 위해 평면상 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평격벽(224)은 회처리수의 유속을 한번 더 감소시키기 위해 회처리수의 유입 방향에 대해 호격벽(222)의 후측에 구비된다. 이때, 평격벽(224)은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평격벽(224)은 호격벽(222)의 후측으로 소정 유격되도록 제 1수조탱크(210) 내부에 구비되고, 일직선상에 한 쌍 구비된다. 평격벽(224)은 호격벽(222)의 양측 가장자리와 일부 겹쳐지도록 서로 유격되게 배치된다. 즉, 호격벽(222)과 평격벽(224)은 엇갈리게 배치되어 회처리수의 유격을 최대한 줄이는 역할을 한다.
물론, 호격벽(222)과 평격벽(224)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제 1여과조(200)는 호격벽(222)과 평격벽(224)에 의해 바닥에 침강된 슬러지가 제 1배출구(214)로 유동하지 못할 수 있게 된다. 그래서, 호격벽(222)과 평격벽(224)은 침강된 슬러지가 제 1배출구(214)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제 1이동홀(226)을 통공한다. 이때, 제 1이동홀(226)의 크기 및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제 1폭기부(230)는 제 1격벽(220)을 지나면서 감속된 회처리수를 폭기시키기 위해 제 1수조탱크(210)에 구비된다. 그래서, 제 1폭기부(230)는 회처리수를 폭기하여 슬러지의 뭉침을 방지한다.
여기서, 제 1폭기부(230)는 제 1폭기탱크(232), 제 1폭기노즐(234), 및 제 1타공판(23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 1폭기탱크(232)는 제 1수조탱크(210) 내부에 구비되고, 상측으로 개방된다. 그리고, 제 1폭기탱크(232)는 둘레면 하측에 제 1개방홀(233)을 통공한다. 이때, 제 1폭기탱크(23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제 1폭기노즐(234)은 제 1폭기탱크(232) 내부에 구비된다. 이때, 제 1폭기노즐(234)은 제 1수조탱크(210) 바닥면 또는 제 1폭기탱크(232) 바닥면에 구비되어 공급되는 에어를 회처리수에 분사하는 역할을 한다. 제 1폭기노즐(234)의 형상 및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제 1타공판(236)은 제 1폭기탱크(232) 상측에 위치 고정된다. 이때, 제 1타공판(236)은 다양한 결속 방식에 의해 제 1폭기탱크(232)에 결속된다.
아울러, 제 1타공판(236)은 에어와 회처리수의 유동, 및 에어의 부딪힘에 의한 분사력 감소를 위해 타공홀을 통공한다.
그리고, 제 1타공판(236)은 타공홀을 통해 에어와 회처리수를 통과시키지만, 제 1폭기탱크(232)에 형성된 제 1개방홀(233)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슬러지와 부유물이 상승시 걸리게 된다. 이에 따라, 회처리수에 포함된 슬러지와 부유물이 제 1타공판(236)에 부착되어 소정 걸러지게 된다.
이에 따라, 제 1타공판(236)은 주기적 또는 간헐적으로 청소되어야 한다. 물론, 제 1타공판(236)은 세척수 분사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청소될 수 있다.
한편, 제 2여과조(300)는 제 1여과조(200)에 붙어서 이웃하게 배치되고, 제 1여과조(200)에서 슬러지와 부유물이 일부 걸러진 회처리수를 공급받게 된다.
이에 따라, 제 1여과조(200)와 제 2여과조(300)의 연결부위에는 월류홈(110)이 함몰 형성된다.
특히, 제 2여과조(300)는 제 2수조탱크(310), 제 2격벽(320) 및 제 2폭기부(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 2수조탱크(310)는 제 1수조탱크(210)에 연결되어 일체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월류홈(110)은 제 1수조탱크(210)와 제 2수조탱크(310)의 동일한 모서리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 1수조탱크(210)에서 슬러지와 부유물을 일차적으로 걸러낸 회처리수는 월류홈(110)을 통해 제 2수조탱크(310)로 공급된다.
물론, 제 2수조탱크(31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제 2수조탱크(310)는 이차적으로 걸러진 슬러지를 배출하기 위해 제 2배출구(312)를 구비한다. 제 2배출구(312)는 개폐 단속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2격벽(320)은 제 2수조탱크(310) 내부에 세워지게 구비되어 공급된 회처리수의 흐름 방향을 바꿈으로써 유속을 감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 2격벽(320)은 월류홈(110)을 통해 월류된 회처리수가 부딪히도록 제 2수조탱크(310) 내부에 구비되는데, 한 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편의상, 제 2격벽(320)은 한 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물론, 제 2격벽(32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제 2폭기부(330)는 제 2수조탱크(310)의 바닥에 구비되어 제 2격벽(320)에 의해 감속 처리된 회처리수를 폭기시킴으로써 슬러지의 뭉침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제 2폭기부(330)는 제 2폭기탱크(332), 제 2폭기노즐(334), 및 제 2타공판(33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 2폭기탱크(332)는 제 2수조탱크(310) 내부에 구비되고, 상측으로 개방된다. 그리고, 제 2폭기탱크(332)는 둘레면 하측에 제 2개방홀(333)을 통공한다. 이때, 제 2폭기탱크(33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제 2폭기노즐(334)은 제 2폭기탱크(332) 내부에 구비된다. 이때, 제 2폭기노즐(334)은 제 2수조탱크(310) 바닥면 또는 제 2폭기탱크(332) 바닥면에 구비되어 공급되는 에어를 회처리수에 분사하는 역할을 한다. 제 2폭기노즐(334)의 형상 및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제 2타공판(336)은 제 2폭기탱크(332) 상측에 위치 고정된다. 이때, 제 2타공판(336)은 다양한 결속 방식에 의해 제 2폭기탱크(332)에 결속된다.
아울러, 제 2타공판(336)은 에어와 회처리수의 유동, 및 에어의 부딪힘에 의한 분사력 감소를 위해 타공홀을 통공한다.
그리고, 제 2타공판(336)은 타공홀을 통해 에어와 회처리수를 통과시키지만, 제 2폭기탱크(332)에 형성된 제 2개방홀(333)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슬러지와 부유물이 상승시 걸리게 된다. 이에 따라, 회처리수에 포함된 슬러지와 부유물이 제 2타공판(336)에 부착되어 최대한 걸러지게 된다.
이에 따라, 제 2타공판(336)은 주기적 또는 간헐적으로 청소되어야 한다. 물론, 제 2타공판(336)은 세척수 분사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청소될 수 있다.
또한, 필터링조(400)는 제 1여과조(200)와 제 2여과조(300)를 거치면서 슬러지를 제거한 상태의 회처리수로부터 부유하는 부유물을 필터링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필터링조(400)는 GFF필터(Gravity Flow Fiber Filter,422)를 복수 개 구비하여 부유물의 필터링 정도를 향상시킨다. 특히, 회처리수는 최대한 슬러지가 분리 배출된 상태로 GFF필터(422)를 통과함에 따라, GFF필터(422)는 부하가 줄어들게 된다.
필터링조(400)는 유입탱크(410), 필터탱크(420), 역세수탱크(430), 및 방류탱크(4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유입탱크(410)는 제 1여과조(200)와 제 2여과조(300)를 거치면서 슬러지가 분리된 회처리수를 공급받아 임시 저장함으로써 잔류 슬러지를 한번 더 침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 2여과조(300)는 테두리에 월류홈(110)을 함몰 형성함에 따라, 회처리수는 월류홈(110)을 통해 유입탱크(410)로 유동하게 된다. 물론, 유입탱크(41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필터탱크(420)는 유입탱크(410)에서 월류되는 회처리수를 공급받고, 회처리수로부터 부유물을 걸러내기 위해 복수 개의 GFF필터(422)를 구비한다.
또한, 역세수탱크(430)는 필터탱크(420)에서 GFF필터(422)로부터 부유물이 제거된 상태로 월류되는 회처리수를 역세하기 위해 역세수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역세수는 정화수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방류탱크(440)는 역세 처리된 상태로 월류되는 회처리수를 임시 저장하며 함유된 이물질들을 침강시킨 후 정화된 회처리수를 방류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방류'는 방류탱크(440)의 상측을 통해 회처리수가 월류되어 산도조정조(500)로 유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제 2수조탱크(310), 유입탱크(410), 필터탱크(420), 역세수탱크(430), 방류탱크(440)는 순서대로 연결되어 회처리수가 유동하게 된다.
아울러, 필터탱크(420)는 GFF필터(422)의 설치 공간을 구획하며 필터링 처리된 회처리수를 월류시키기 위해 월류턱(424)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회처리수는 최대한 정화 처리된다.
한편, 산도조정조(500)는 필터링조(400)에서 부유물이 제거된 상태의 회처리수를 중성화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산도조정조(500)는 조정탱크(510), 및 조정격벽(520)을 포함한다.
조정탱크(510)는 회처리수에 강산성액을 투입하여 중성화 처리하기 위해 필터링조(400)의 방류탱크(440)로부터 월류되는 회처리수를 저장하고, 중성화된 회처리수의 방류를 단속한다. 조정탱크(510)는 방류구(512)를 개폐 가능하게 구비하여 정화되고 중성화 처리된 회처리수의 방류를 단속한다.
그리고, 조정격벽(520)은 조정탱크(510)에 회처리수의 유입측에서 방류측 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유속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이는, 회처리수의 흐름 속도를 줄여 회처리수가 투입되는 강산성액과 최대한 혼합되어 중성화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조정격벽(520)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여과조 200,300: 제 1,2여과조
210,310: 제 1,2수조탱크 220,320: 제 1,2격벽
230,330: 제 1,2폭기부 400: 필터링조
410: 유입탱크 420: 필터탱크
422: GFF필터 430: 역세수탱크
440: 방류탱크 500: 산도조정조
510: 조정탱크 520: 조정격벽

Claims (10)

  1. 석탄회를 함유하는 회처리수를 공급받아 슬러지를 침강시켜 분리 배출하는 여과조;
    상기 여과조에서 슬러지를 제거한 상태의 회처리수에 함유된 부유물을 필터링하는 필터링조; 및
    상기 필터링조에서 부유물이 제거된 상태의 회처리수를 중성화 처리하는 산도조정조를 포함하고,
    상기 여과조, 상기 필터링조 및 상기 산도조정조는 회처리수가 순서대로 월류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력발전소 회사장 폐수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조는,
    최초로 유입되는 회처리수로부터 일차적으로 슬러지를 침강 유도하여 배출하는 제 1여과조; 및
    상기 제 1여과조로부터 월류되는 회처리수로부터 이차적으로 슬러지를 침강 유도함으로써 슬러지를 최대한 분리 배출하는 제 2여과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력발전소 회사장 폐수처리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조는,
    회처리수를 공급받기 위해 둘레면 하측에 제 1유입구를 구비하며, 침강된 슬러지를 배출하기 위해 일측에 제 1배출구를 갖는 제 1수조탱크;
    상기 제 1수조탱크에 구비되어 강제 유입되는 회처리수의 유속을 감소시켜 슬러지의 침강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제 1격벽; 및
    상기 제 1수조탱크에 구비되어 회처리수를 폭기시킴으로써 슬러지의 뭉침을 방지하는 제 1폭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력발전소 회사장 폐수처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격벽은,
    상기 제 1수조탱크에 세워지고, 양측이 대응되는 상기 제 1수조탱크의 내측벽과 유격되며, 평면상 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호격벽; 및
    회처리수의 유속을 한번 더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호격벽의 양측 가장자리에 대응되도록 서로 유격되게 배치되는 평판 형상의 평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력발전소 회사장 폐수처리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호격벽과 상기 평격벽은 침강된 슬러지가 상기 제 1배출구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제 1이동홀을 통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력발전소 회사장 폐수처리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폭기부는,
    상기 제 1수조탱크에 구비되고, 상측으로 개방되며, 둘레면 하측에 제 1개방홀을 통공한 제 1폭기탱크;
    상기 제 1폭기탱크에 구비되어 회처리수에 에어를 분사하는 제 1폭기노즐; 및
    상기 제 1폭기탱크 상측에 위치 고정되고, 타공홀을 통공하며, 상기 제 1개방홀을 통해 유입되어 상승하려는 슬러지와 부유물을 걸러내는 제 1타공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력발전소 회사장 폐수처리장치.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조는,
    회처리수를 공급받는 제 2수조탱크;
    공급된 회처리수의 흐름 방향을 바꿔 유속을 감속시키기 위한 제 2격벽; 및
    상기 제 2수조탱크에 구비되어 회처리수를 폭기시킴으로써 슬러지의 뭉침을 방지하는 제 2폭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력발전소 회사장 폐수처리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조는,
    상기 여과조로부터 슬러지를 분리한 회처리수를 공급받아 임시 저장함으로써 잔류 슬러지를 침강시키는 유입탱크;
    상기 유입탱크에서 월류되는 회처리수로부터 부유물을 걸러내기 위해 복수 개의 GFF필터를 구비하는 필터탱크;
    상기 필터탱크로부터 부유물이 제거된 상태로 월류되는 회처리수를 역세하기 위해 역세수를 저장하는 역세수탱크; 및
    역세 처리된 상태로 월류되는 회처리수를 임시 저장하며 방류하는 방류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력발전소 회사장 폐수처리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탱크는 상기 GFF필터의 설치 공간을 구획하며 필터처리된 회처리수를 월류시키기 위해 월류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력발전소 회사장 폐수처리장치.
  10. 제 1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산도조정조는,
    회처리수에 강산성액을 투입하여 중성화 처리하기 위해 상기 필터링조로부터 월류되는 회처리수를 저장하고, 중성화된 회처리수의 방류를 단속하는 조정탱크; 및
    상기 조정탱크에 회처리수의 유입측에서 방류측 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유속을 줄이는 조정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력발전소 회사장 폐수처리장치.
KR1020130005143A 2013-01-16 2013-01-16 화력발전소 회사장 폐수처리장치 KR101460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143A KR101460958B1 (ko) 2013-01-16 2013-01-16 화력발전소 회사장 폐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143A KR101460958B1 (ko) 2013-01-16 2013-01-16 화력발전소 회사장 폐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3378A true KR20140093378A (ko) 2014-07-28
KR101460958B1 KR101460958B1 (ko) 2014-11-14

Family

ID=51739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5143A KR101460958B1 (ko) 2013-01-16 2013-01-16 화력발전소 회사장 폐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095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12483A (zh) * 2016-04-26 2016-06-29 北京东方利禾景观设计有限公司 一种湿地净化自流沉淀池
CN106315906A (zh) * 2015-06-19 2017-01-11 中国科学院过程工程研究所 一种煤化工废水中煤灰和油氨酚的脱除方法及装置
CN114451350A (zh) * 2022-02-23 2022-05-10 赵立明 一种水产养殖清底除污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543B1 (ko) 2001-07-06 2004-11-09 엘바이오텍 주식회사 오수 고도처리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KR100462506B1 (ko) * 2002-12-18 2004-12-17 주식회사 진성산업개발 석탄화력발전소용 석탄회 처리장치
JP2007069104A (ja) 2005-09-06 2007-03-22 Ogawa Seisakusho:Kk 濁水処理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15906A (zh) * 2015-06-19 2017-01-11 中国科学院过程工程研究所 一种煤化工废水中煤灰和油氨酚的脱除方法及装置
CN106315906B (zh) * 2015-06-19 2019-09-13 中国科学院过程工程研究所 一种煤化工废水中煤灰和油氨酚的脱除方法及装置
CN105712483A (zh) * 2016-04-26 2016-06-29 北京东方利禾景观设计有限公司 一种湿地净化自流沉淀池
CN114451350A (zh) * 2022-02-23 2022-05-10 赵立明 一种水产养殖清底除污系统
CN114451350B (zh) * 2022-02-23 2023-05-23 滨州市泽恒海洋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水产养殖清底除污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0958B1 (ko) 2014-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46788B1 (en) Settling device, purifier comprising a settling device and methods for anaerobic or aerobic purification of waste water
KR102153224B1 (ko)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KR20160029272A (ko) 다단 기포주입 부상분리조를 이용한 간이 하 폐수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간이 하 폐수 처리 방법
KR20130122744A (ko) 슬러지에서 현탁 물질로부터 액체를 분리하는 방법 그리고 이것을 위한 장치
WO2016147229A1 (ja) 沈殿池
CN205099501U (zh) 水处理系统
JP6316156B2 (ja) 沈殿池
KR101460958B1 (ko) 화력발전소 회사장 폐수처리장치
RU143767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комплексной очистки питьевой воды
KR102397619B1 (ko) 침전물 및 부유물의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KR100894646B1 (ko) 자동연속여과장치 부착형 용존공기 가압부상조
KR101774866B1 (ko) 정수장 조류 유입 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수장 조류 유입 방지 방법
JP2006043626A (ja) 水処理装置
KR101989833B1 (ko) 연속 순환식 육상수조 배출수 처리장치
KR102354522B1 (ko) 스컴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KR100960643B1 (ko) 오염수 처리장치
KR101586628B1 (ko) 상·하수 슬러지 분리침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하수 처리 방법
JP2007000737A (ja) 既存の処理施設を有効利用した合流式下水道の固液分離装置及び下水処理方法
KR100978071B1 (ko) 초고속 여과기능 및 역세기능을 구비한 여과장치
KR101820602B1 (ko) 이동식 수처리 막여과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수처리 방법
JP2006281019A (ja) 浄水処理装置
KR100545746B1 (ko) 슬러지의 침전효율과 수처리효율이 우수한 개선된 구조의침전조
KR102397623B1 (ko) 산소기포를 이용한 부유물의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KR102397626B1 (ko) 부유물질의 제거효율이 높은 하폐수처리장치
CN213327244U (zh) 一种污水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