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7930B1 - 혼합효율이 향상된 하폐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혼합효율이 향상된 하폐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7930B1
KR101847930B1 KR1020170117689A KR20170117689A KR101847930B1 KR 101847930 B1 KR101847930 B1 KR 101847930B1 KR 1020170117689 A KR1020170117689 A KR 1020170117689A KR 20170117689 A KR20170117689 A KR 20170117689A KR 101847930 B1 KR101847930 B1 KR 101847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housing
scum
space
discharge
oxyg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7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현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현이엔씨
Priority to KR1020170117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79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7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7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3Sedimentation tank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mpartments separated by a partition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33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44Discharge mechanisms for the classified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Abstract

본 발명은 혼합효율이 향상된 하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처리공간부를 갖는 몸체하우징,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유입공간부를 갖고, 상기 몸체하우징의 내부 중앙부에 구비되는 내부몸체하우징, 상기 내부몸체하우징의 하단부와 몸체하우징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처리공간부를 침전공간부와 산기공간부로 구획하는 격판, 상기 내부몸체하우징의 유입공간부로 폐수를 공급하기 위한 폐수유입부, 상기 몸체하우징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필처링된 처리수가 배수되기 위한 처리수배출부, 상기 내부몸체하우징의 하측인 상기 몸체하우징의 침전공간부에 침전된 침전물을 배출하기 위한 침전물배출부, 상기 침전공간부에서 침전물이 분리된 처리수를 산기공간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처리수공급부, 상기 산기공간부로 산소 기포를 분사하기 위한 산소공급부, 상기 내부몸체하우징을 기준으로 상기 처리수공급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산소공급회전부, 및 상기 산기공간부의 처리수에 부유하도록 구비되어 스컴을 분리배출시키기 위한 스컴배출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유입된 폐수에서 침전물을 분리 후, 공급되는 산소에 의해 부유물 역시, 제거함은 물론, 발생되는 스컴을 제거할 수 있어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혼합효율이 향상된 하폐수처리장치{Wastewater treatment system with improved mixing efficiency}
본 발명은 하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입된 폐수에서 침전물을 먼저 분리 후, 공급되는 산소기포에 의해 부유물을 제거하며, 스컴 역시, 효과적으로 분리배출시킴에 따라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혼합효율이 향상된 하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국내에 혐기성 소화조가 설치된 하수처리장은 57개소가 있다. 대부분의 하수처리장은 일 처리용량이 20만톤의 중형하수처리장으로 소화반류수에 의한 질소부하가 설계 질소부하의 86%정도로 안정적인 질소제거를 위해서는 별도의 반류수 처리가 필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록 하수처리장 슬러지 처리계통에서 발생하는 반류수의 양은 유입유량의 1% 미만이지만 질소부하는 유입부하의 15-40%이며, 인의 경우에는 50%에 달한다.
이에 따라 에너지 자립화 및 슬러지 감량화 사업의 지속 추진으로 하수처리시설 소화조 개선, 증설, 신설이 증가하는 추세로, 특히 소화슬러지 탈리액에 의한 오염물 유입부하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기술 개발 및 실증의 필요성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고농도의 반류수는 별도의 처리 없이 유입부로 반송되어 급격한 부하변동을 발생시켜 하수처리장 운영을 어렵게 하고 방류수질의 악화를 초래하고 있다. 특히 수온이 저하되는 동절기에 수질악화 현상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나아가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에 따른 고액분리 후 배출, 주방용 오물분쇄기 허용 및 확대로 하수처리시설로 유입되는 음식물폐수 오염물 부하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더해 동절기 수온저하에 따른 질소제거효율의 저하가 발생하는데 이때 반류수에 의한 질소부하의 영향은 가중되어 큰 문제가 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국내에서 이에 대한 제반 문제를 일소에 해결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지는 않은 상황이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국내공개특허 제10-2017-0009155호 (2017.01.25)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내부에 처리공간부를 갖는 몸체하우징,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유입공간부를 갖고, 상기 몸체하우징의 내부 중앙부에 구비되는 내부몸체하우징, 복수의 통공을 갖고, 상기 내부몸체하우징의 하단부와 몸체하우징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처리공간부를 침전공간부와 산기공간부로 구획하는 다공격판, 상기 내부몸체하우징의 유입공간부로 폐수를 공급하기 위한 폐수유입부, 상기 몸체하우징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필처링된 처리수가 배수되기 위한 처리수배출부, 상기 내부몸체하우징의 하측인 상기 몸체하우징의 침전공간부에 침전된 침전물을 배출하기 위한 침전물배출부, 상기 산기공간부로 산소 기포를 분사하기 위한 산소공급부, 및 상기 산기공간부의 처리수에 부유하도록 구비되어 스컴을 분리배출시키기 위한 스컴배출부,를 포함하여 유입된 폐수에서 침전물을 분리 후, 공급되는 산소에 의해 부유물 역시, 제거함은 물론, 발생되는 스컴을 제거할 수 있어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혼합효율이 향상된 하폐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처리공간부를 갖는 몸체하우징,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유입공간부를 갖고, 상기 몸체하우징의 내부 중앙부에 구비되는 내부몸체하우징, 상기 내부몸체하우징의 하단부와 몸체하우징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처리공간부를 침전공간부와 산기공간부로 구획하는 격판, 상기 내부몸체하우징의 유입공간부로 폐수를 공급하기 위한 폐수유입부, 상기 몸체하우징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필처링된 처리수가 배수되기 위한 처리수배출부, 상기 내부몸체하우징의 하측인 상기 몸체하우징의 침전공간부에 침전된 침전물을 배출하기 위한 침전물배출부, 상기 침전공간부에서 침전물이 분리된 처리수를 산기공간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처리수공급부, 상기 격판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산기공간부로 산소 기포를 분사하기 위한 산소공급부, 상기 내부몸체하우징을 기준으로 상기 처리수공급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산소공급회전부, 및 상기 산기공간부의 처리수에 부유하도록 구비되어 스컴을 분리배출시키기 위한 스컴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폐수유입부에 의해 공급된 폐수는, 상기 내부몸체하우징의 유입공간부를 따라 침전공간부로 유입되어 침전물이 침전된 후, 상기 처리수공급부에 의해 산기공간부로 이동된 다음, 상기 산소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산소 기포와 혼합되어 부유물이 분리되며, 부유물이 제거된 처리수는 상기 처리수배출부로 배출되고, 스컴은 상기 스컴배출부에 의해 분리배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몸체하우징은, 하단부가 하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진 확산부,가 더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처리수배출부는, 내부에 상측으로 개방된 처리수배출공간부를 갖고, 상기 몸체하우징의 상단부 외주를 따라 구비되는 처리수배출관로, 및 상기 처리수배출관로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구비되어 상기 처리수배출공간부로 유입된 처리수를 배출하기 위한 처리수배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산기공간부의 처리수가 상기 처리수배출공간부로 넘쳐 이동된 후, 각 처리수배출관을 통해 배수된다.
또한, 상기 처리수배출관로의 처리수배출공간부를 일정 사이즈로 구획하도록 복수의 배출격판,이 더 구비되고, 상기 각 처리수배출공간부는 상기 처리수배출관이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격판을 상기 처리수배출관로를 따라 이동시켜 구획된 각 처리수배출공간부의 사이즈를 조절하기 위한 배출공간조절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배출공간조절부는, 일정 넓이를 갖고, 상기 처리수배출공간부의 내측면과 닿는 상기 배출격판의 해당 단부를 따라 구비되는 격판테두리, 상기 격판테두리와 처리수배출관로의 사이에 구비되는 격판패킹, 상기 격판테두리에 연장 형성되되, 외주방향으로 일정 호를 갖는 이동판, 상기 이동판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피동기어부, 상기 피동기어부에 치합되는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하우징의 저면은, 중심점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침전물배출부는, 상기 몸체하우징의 저면 외주를 따라 형성되는 침전물배출관로, 상기 몸체하우징의 저면을 스크레이핑하여 침전된 침전물을 상기 침전물배출관로로 이동시키기 위한 스크레이퍼, 상기 몸체하우징의 저면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기 스크레이퍼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크레이퍼구동부, 및 상기 침전물배출관로에 침전된 침전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침전물출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처리수공급부는, 하단부가 상기 침전공간부와 연통되고, 상단부가 상기 산기공간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몸체하우징의 외주를 따라 복수 개 구비되는 처리수공급관, 및 상기 각 처리수공급관을 개폐하기 위한 처리수공급밸브,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산소공급부는, 상기 격판과의 사이에 산소공급공간부를 갖고, 상기 내부몸체하우징의 하단부 외측에 구비되는 산소공급판, 상기 산소공급판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된 산소분사노즐, 및 상기 산소공급판의 산소공급공간부로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산소공급펌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산소공급판은, 상기 내부몸체하우징에 인접한 내측단부에서 외측단부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산소공급회전부는, 상기 산소공급판와 연결되도록 상기 내부몸체하우징의 유입공간부에 위치되는 회전프레임, 상기 회전프레임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동부, 및 상기 회전구동부를 상기 내부몸체하우징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프레임,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스컴배출부는, 스컴프레임, 스컴배출구를 갖고, 상기 스컴프레임에 구비되어 스컴이 배출되기 위한 스컴배출헤드, 상기 스컴프레임을 부상시키기 위한 스컴부표,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일단부가 상기 스컴배출구와 연통되고, 타단부는 상기 몸체하우징의 외측에 위치되어 스컴이 배출되는 스컴배출튜브, 및 흡입력을 발생시켜 상기 스컴배출구와 스컴배출튜브를 통해 스컴을 배출시키는 스컴배출펌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산기공간부에 위치되어 침전물이 제거된 폐수와 산소기포의 상측 이동을 지연시켜 혼합율을 향상시키는 지연부,가 더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지연부는, 외측단부가 상기 몸체하우징의 내측면을 따라 구비되고, 내측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되, 내측단부가 상기 내부몸체하우징의 외주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이동로를 형성하는 제1지연판, 및 내측단부가 상기 내부몸체하우징의 외측면을 따라 구비되고,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되, 외측단부가 상기 몸체하우징의 내주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이동로를 형성하는 제2지연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지연판과 제2지연판은 적어도 각각 하나 이상 구비되되, 상하방향으로 교번 위치된다.
또한, 상기 제1지연판과 제2지연판은, 복수의 연통공이 더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폐수에 포함된 기체가 배출되기 위한 기체배출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체배출부는, 상기 몸체하우징의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측으로 갈수록 협소하게 형성되는 기체배출하우징, 상기 내부몸체하우징의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기체배출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측으로 갈수록 협소하게 형성되는 내부기체배출하우징, 상기 기체배출하우징과 내부기체배출하우징 사이에 구비되어 기체와 액체를 분리시키기 위한 제1기액필터, 상기 제1기액필터를 거친 기체를 필터링하는 제1건식필터, 상기 내부기체배출하우징에 구비되어 기체와 액체를 분리시키기 위한 제2기액필터, 및 상기 제2기액필터를 거친 기체를 필터링하는 제2건식필터,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산기공간부의 처리수를 상기 유입공간부로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부,가 상기 내부몸체하우징에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순환부는, 상기 내부몸체하우징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되는 순환공, 상기 각 순환공에 대응되는 연통공을 갖고, 상기 내부몸체하우징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순환링, 및 상기 순환링을 회전시켜 각 연통공과 해당 순환공의 개폐정도를 조절하는 순환개폐구동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순환부는, 상기 내부몸체하우징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되는 순환공, 상기 내부몸체하우징을 감싸도록 구비되되, 내부몸체하우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순환개폐링, 및 상기 순환개폐링을 내부몸체하우징을 따라 이동시켜 순환공의 개폐정도를 조절하는 순환개폐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혼합효율이 향상된 하폐수처리장치에 의하면, 유입된 폐수에서 침전물을 분리 후, 공급되는 산소에 의해 부유물 역시, 제거함은 물론, 발생되는 스컴을 제거하고, 기체를 처리할 수 있어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혼합효율이 향상된 하폐수처리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수배출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침전물배출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산소공급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컴배출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체배출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혼합효율이 향상된 하폐수처리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수배출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침전물배출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산소공급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컴배출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체배출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혼합효율이 향상된 폐수처리장치(10)는 몸체하우징(100)과 내부몸체하우징(200), 격판(300), 폐수유입부(400), 처리수배출부(500), 침전물배출부(600), 산소공급부(700), 스컴배출부(800), 처리수공급부(1000) 및 산소공급회전부(1100)를 포함한다.
몸체하우징(100)은 내부에 처리공간부(110)가 형성되는 것으로, 직경을 갖는 원형통이나 사각 및 다각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내부몸체하우징(200)은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유입공간부(202)를 갖고, 몸체하우징(100)의 내부 중앙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격판(300)은 복수의 통공(310)을 갖고, 내부몸체하우징(200)의 하단부와 몸체하우징(100) 사이에 구비되어 처리공간부(110)를 침전공간부(112)와 산기공간부(114)로 구획한다.
여기서, 내부몸체하우징(200)은 하단부가 하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진 확산부(210)가 더 포함되어 침전공간부(112)로 유입되는 폐수의 속도를 감소시키면서 확산시켜 침전물의 침전율을 증가시킨다.
또한 폐수유입부(400)는 내부몸체하우징(200)의 유입공간부(210)로 폐수를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처리수배출부(500)는 몸체하우징(100)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필처링된 처리수가 배수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침전물배출부(600)는 내부몸체하우징(200)의 하측인 몸체하우징(100)의 침전공간부(112)에 침전된 침전물을 배출하기 위해 구비된다.
처리수공급부(1000)는 침전공간부(112)에서 침전물이 분리된 처리수를 산기공간부(114)로 유입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산소공급부(700)는 격판(300)의 상측에 구비되어 산기공간부(114)로 산소 기포를 분사하기 위해 구비된다.
스컴배출부(800)는 산기공간부(114)의 처리수에 부유하도록 구비되어 스컴을 분리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와 같은, 혼합효율이 향상된 폐수처리장치(1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폐수가 폐수유입부(400)에 의해 내부몸체하우징(200)의 유입공간부(210)로 공급된 후, 침전공간부(112)로 유입되어 침전물이 침전된다.
그리고 침전물이 분리된 폐수는 처리수공급부(1000)에 의해 산기공간부(114)로 이동된 다음, 산소공급부(700)에 의해 공급된 산소 기포와 혼합되어 부유물이 분리된다.
부유물이 제거된 처리수는 처리수배출부(500)로 배출되고, 스컴은 스컴배출부(800)에 의해 분리배출된다.
이에, 폐수에서 침전물과 부유물 및 스컴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한, 처리수배출부(50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처리수배출관로(510)와 처리수배출관(520)으로 구성된다.
처리수배출관로(510)는 내부에 상측으로 개방된 처리수배출공간부(512)를 갖고, 몸체하우징(100)의 상단부 외주를 따라 구비된다.
그리고 처리수배출관(520)은 처리수배출관로(510)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구비되어 처리수배출공간부(512)로 유입된 처리수를 배출하기 위해 구비된다.
산기공간부(114)의 처리수가 처리수배출공간부(512)로 넘쳐 이동된 후, 각 처리수배출관(520)을 통해 배수된다.
이에, 복수의 방향으로 처리수가 배출되어 배출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처리수배출관로(510)의 처리수배출공간부(512)를 일정 사이즈로 구획하도록 복수의 배출격판(530)이 더 구비된다.
이 배출격판(530)에 의해 구획된 각 처리수배출공간부(512)는 처리수배출관(520)이 각각 구비되어 해당 처리수배출공간부(512)의 처리수를 신속하게 배출시킨다.
그리고 처리수배출부(500)는 배출격판(530)을 처리수배출관로(510)를 따라 이동시켜 구획된 각 처리수배출공간부(512)의 사이즈를 조절하기 위한 배출공간조절부(540)를 더 포함한다.
이 배출공간조절부(540)는 격판테두리(541)와 격판패킹(542), 이동판(543), 피동기어부(544), 구동기어(545) 및 구동모터(546)로 구성된다.
격판테두리(541)는 일정 넓이를 갖고, 처리수배출공간부(512)의 내측면과 닿는 배출격판(530)의 해당 단부를 따라 구비된다.
또한 격판패킹(542)은 격판테두리(541)와 처리수배출관로(510)의 사이에 구비되어 각 처리수배출공간부(512)를 상호 구획한다.
이동판(543)은 격판테두리(541)에 연장 형성되되, 외주방향으로 일정 호로 형성되는 것으로, 처리수배출관로(510)의 외주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피동기어부(544)는 이동판(543)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구동기어(545)는 피동기어부(544)에 치합되고, 구동모터(546)는 구동기어(545)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하우징(100)의 저면은 중심점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침전물배출부(600)는 침전물배출관로(610)와 스크레이퍼(620), 스크레이퍼구동부(630) 및 침전물출관(640)으로 구성된다.
침전물배출관로(610)는 몸체하우징(100)의 저면 외주를 따라 형성된다.
또한 스크레이퍼(620)는 몸체하우징(100)의 저면을 스크레이핑하여 침전된 침전물을 침전물배출관로(610)로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스크레이퍼구동부(630)는 몸체하우징(100)의 저면 중심점을 기준으로 스크레이퍼(620)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침전물출관(640)은 침전물배출관로(610)에 침전된 침전물을 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처리수공급부(1000)는 처리수공급관(1010)과 처리수공급밸브(1020)로 구성된다.
처리수공급관(1010)은 하단부가 침전공간부(112)와 연통되고, 상단부가 산기공간부(114)와 연통되도록 몸체하우징(100)의 외주를 따라 복수 개 구비된다.
그리고 처리수공급밸브(1020)는 각 처리수공급관(1010)을 개폐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각 처리수공급관(1010)을 통해 침전공간부(112)의 폐수가 산기공간부(114)로 공급할 수 있다.
물론, 각 처리수공급밸브(1020)를 조작하여 해당 처리수공급관(1010)을 개폐시킴에 따라, 폐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산소공급부(700)는 산소공급판(710)과 산소분사노즐(720) 및 산소공급펌프(730)로 구성된다.
산소공급판(710)은 격판(300)과의 사이에 산소공급공간부(712)를 갖고, 내부몸체하우징(200)의 하단부 외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산소분사노즐(720)은 산소공급관(710)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되며, 산소공급펌프(730)는 산소공급판(710)의 산소공급공간부(712)로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산소공급판(710)은 내부몸체하우징(200)에 인접한 내측단부에서 외측단부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산소공급판(710)에 복수 개 구비된 산소분사노즐(720)에 의해 산소 기포가 상향 외측으로 경사지게 분사하여 처리수와의 혼합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산소공급회전부(1100)는 회전프레임(1110)과 회전구동부(1120) 및 고정프레임(1130)으로 구성된다.
회전프레임(1110)은 산소공급판(710)과 연결되도록 내부몸체하우징(200)의 유입공간부(202)에 위치된다.
이 회전프레임(1110)은 중심부를 기준으로 외측으로 복수 개 분기되어 단부가 형성된다.
물론, 내부몸체하우징(200)의 하단부에는 회전프레임(1110)의 단부가 산소공급판(710)에 연결되도록 관통설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절개부(미 도시)가 형성됨이 당연하다.
또한 회전구동부(1120)는 회전프레임(1110)을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되고, 고정프레임(1130)은 회전구동부(1120)를 내부몸체하우징(200)에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 고정프레임(1130) 역시, 중심부를 기준으로, 외측으로 복수 개 분기되는 것으로, 유입된 폐수가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음이 당연하다.
또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스컴배출부(800)는 스컴프레임(810)과 스컴배출헤드(820), 스컴부표(830), 스컴배출튜브(840) 및 스컴배출펌프(850)로 구성된다.
스컴배출헤드(820)는 스컴배출구(822)를 갖고, 스컴프레임(810)에 구비되어 스컴이 배출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스컴부표(830)는 스컴프레임(810)을 부상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복수 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스컴배출튜브(840)는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일단부가 스컴배출헤드(820)의 스컴배출구(822)와 연통되고, 타단부는 몸체하우징(100)의 외측에 위치되어 스컴이 배출된다.
또한 스컴배출펌프(850)는 흡입력을 발생시켜 스컴배출구(822)와 스컴배출튜브(840)를 통해 스컴을 배출시킨다.
여기서, 스컴배출헤드(820)를 승강시키기 위한 헤드승강부(860)이 스컴프레임(810)에 더 구비된다.
이 헤드승강부(860)에 의해 스컴배출헤드(820)를 이동시켜 스컴배출구(822)의 위치를 조절함에 따라, 발생된 스컴의 높이에 대응하여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몸체하우징(100)에는 산기공간부(114)에 위치되어 침전물이 제거된 폐수와 산소기포의 상측 이동을 지연시켜 혼합율을 향상시키는 지연부(120)가 더 포함된다.
이 지연부(120)는 제1지연판(122)과 제2지연판(124)으로 구성된다.
제1지연판(122)은 외측단부가 몸체하우징(100)의 내측면을 따라 구비되고, 내측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되, 내측단부가 내부몸체하우징(200)의 외주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이동로를 형성한다.
또한 제2지연판(124)은 내측단부가 내부몸체하우징(200)의 외측면을 따라 구비되고,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되, 외측단부가 몸체하우징(100)의 내주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이동로를 형성한다.
이러한 제1지연판(122)과 제2지연판(124)은 적어도 각각 하나 이상 구비되되, 상하방향으로 교번 위치되어 침전물이 제거된 폐수와 산소기포의 혼합률을 향상시켜 부유물을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지연판(122)과 제2지연판(124)은 복수의 연통공(126)이 더 형성되어 폐수와 산소기포의 일부가 통과된다.
또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폐수에 포함된 기체를 배출되기 위한 기체배출부(900)를 더 포함한다.
이 기체배출부(900)는 기체배출하우징(910)과 내부기체배출하우징(920), 제1기액필터(930), 제1건식필터(940), 제2기액필터(950) 및 제2건식필터(960)로 구성된다.
기체배출하우징(910)은 몸체하우징(100)의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측으로 갈수록 협소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내부기체배출하우징(920)은 내부몸체하우징(200)의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기체배출하우징(9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측으로 갈수록 협소하게 형성된다.
제1기액필터(930)는 기체배출하우징(910)과 내부기체배출하우징(920) 사이에 구비되어 기체와 액체를 분리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제1건식필터(940)는 제1기액필터(930)를 거친 기체를 필터링한다.
제2기액필터(950)는 내부기체배출하우징(920)에 구비되어 기체와 액체를 분리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제2건식필터(960)는 제2기액필터(950)를 거친 기체를 필터링한다.
이러한 기체배출부(900)에 의해 유입된 폐수와 처리수에 포함된 기체를 처리함에 따라 기체에 포함된 독성물질과 악취 등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산기공간부(114)의 처리수를 유입공간부(210)로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부(220)가 내부몸체하우징(200)에 더 구비된다.
이 순환부(220)는 순환공(222)과 순환링(224) 및 순환개폐구동부(226)로 구성된다.
순환공(222)은 내부몸체하우징(200)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된다.
그리고 순환링(224)은 각 순환공(222)에 대응되는 연통공(225)을 갖고, 내부몸체하우징(200)을 감싸도록 구비된다.
순환개폐구동부(226)는 순환링(224)을 회전시켜 각 연통공(225)과 해당 순환공(222)의 개폐정도를 조절하여 순환되는 량을 조절한다.
한편,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의 순환부(220')는 순환공(222')과 순환개폐링(224') 및 순환개폐구동부(226')로 구성된다.
순환공(222')은 내부몸체하우징(200)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된다.
그리고 순환개폐링(224')은 내부몸체하우징(200)을 감싸도록 구비되되, 내부몸체하우징(20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순환개폐구동부(226')는 순환개폐링(224')을 이동시켜 순환공(222')의 개폐정도를 조절하여 순환되는 량을 조절한다.
10 : 폐수처리장치 100 : 몸체하우징
20 : 내부몸체하우징 300 : 격판
400 : 폐수유입부 500 : 처리수배출부
600 : 침전물배출부 700 : 산소공급부
800 : 스컴배출부 900 : 기체배출부
1000 : 처리수공급부 1100 : 산소공급회전부

Claims (10)

  1. 내부에 처리공간부를 갖는 몸체하우징;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유입공간부를 갖고, 상기 몸체하우징의 내부 중앙부에 구비되는 내부몸체하우징;
    상기 내부몸체하우징의 하단부와 몸체하우징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처리공간부를 침전공간부와 산기공간부로 구획하는 격판;
    상기 내부몸체하우징의 유입공간부로 폐수를 공급하기 위한 폐수유입부;
    상기 몸체하우징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필처링된 처리수가 배수되기 위한 처리수배출부;
    상기 내부몸체하우징의 하측인 상기 몸체하우징의 침전공간부에 침전된 침전물을 배출하기 위한 침전물배출부;
    상기 침전공간부에서 침전물이 분리된 처리수를 산기공간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처리수공급부;
    상기 산기공간부로 산소 기포를 분사하기 위한 산소공급부;
    상기 내부몸체하우징을 기준으로 상기 산소공급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산소공급회전부; 및
    상기 산기공간부의 처리수에 부유하도록 구비되어 스컴을 분리배출시키기 위한 스컴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폐수유입부에 의해 공급된 폐수는,
    상기 내부몸체하우징의 유입공간부를 따라 침전공간부로 유입되어 침전물이 침전된 후, 상기 처리수공급부에 의해 산기공간부로 이동된 다음, 상기 산소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산소 기포와 혼합되어 부유물이 분리되며,
    부유물이 제거된 처리수는 상기 처리수배출부로 배출되고, 스컴은 상기 스컴배출부에 의해 분리배출되며,
    상기 처리수공급부는,
    하단부가 상기 침전공간부와 연통되고, 상단부가 상기 산기공간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몸체하우징의 외주를 따라 복수 개 구비되는 처리수공급관; 및
    상기 각 처리수공급관을 개폐하기 위한 처리수공급밸브;를 포함하는 혼합효율이 향상된 하폐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수배출부는,
    내부에 상측으로 개방된 처리수배출공간부를 갖고, 상기 몸체하우징의 상단부 외주를 따라 구비되는 처리수배출관로; 및
    상기 처리수배출관로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구비되어 상기 처리수배출공간부로 유입된 처리수를 배출하기 위한 처리수배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산기공간부의 처리수가 상기 처리수배출공간부로 넘쳐 이동된 후, 각 처리수배출관을 통해 배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효율이 향상된 하폐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수배출관로의 처리수배출공간부를 일정 사이즈로 구획하도록 복수의 배출격판;이 더 구비되고,
    상기 각 처리수배출공간부는 상기 처리수배출관이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효율이 향상된 하폐수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하우징의 저면은,
    중심점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침전물배출부는,
    상기 몸체하우징의 저면 외주를 따라 형성되는 침전물배출관로;
    상기 몸체하우징의 저면을 스크레이핑하여 침전된 침전물을 상기 침전물배출관로로 이동시키기 위한 스크레이퍼;
    상기 몸체하우징의 저면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기 스크레이퍼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크레이퍼구동부; 및
    상기 침전물배출관로에 침전된 침전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침전물출관;을 포함하는 혼합효율이 향상된 하폐수처리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공급부는,
    상기 격판과의 사이에 산소공급공간부를 갖고, 상기 내부몸체하우징의 하단부 외측에 구비되는 산소공급판;
    상기 산소공급판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된 산소분사노즐; 및
    상기 산소공급판의 산소공급공간부로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산소공급펌프;를 포함하는 혼합효율이 향상된 하폐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공급회전부는,
    상기 산소공급판와 연결되도록 상기 내부몸체하우징의 유입공간부에 위치되는 회전프레임;
    상기 회전프레임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동부; 및
    상기 회전구동부를 상기 내부몸체하우징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프레임;을 포함하는 혼합효율이 향상된 하폐수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컴배출부는,
    스컴프레임;
    스컴배출구를 갖고, 상기 스컴프레임에 구비되어 스컴이 배출되기 위한 스컴배출헤드;
    상기 스컴프레임을 부상시키기 위한 스컴부표;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일단부가 상기 스컴배출구와 연통되고, 타단부는 상기 몸체하우징의 외측에 위치되어 스컴이 배출되는 스컴배출튜브; 및
    흡입력을 발생시켜 상기 스컴배출구와 스컴배출튜브를 통해 스컴을 배출시키는 스컴배출펌프;를 포함하는 혼합효율이 향상된 하폐수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기공간부에 위치되어 침전물이 제거된 폐수와 산소기포의 상측 이동을 지연시켜 혼합율을 향상시키는 지연부;가 더 포함되는 혼합효율이 향상된 하폐수처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수에 포함된 기체가 배출되기 위한 기체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혼합효율이 향상된 하폐수처리장치.
KR1020170117689A 2017-09-14 2017-09-14 혼합효율이 향상된 하폐수처리장치 KR101847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689A KR101847930B1 (ko) 2017-09-14 2017-09-14 혼합효율이 향상된 하폐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689A KR101847930B1 (ko) 2017-09-14 2017-09-14 혼합효율이 향상된 하폐수처리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5972A Division KR102086902B1 (ko) 2018-02-08 2018-02-08 개선된 부유물 및 스컴제거 효율을 갖는 회전가능한 산소공급판을 포함하는 혼합효율이 향상된 하폐수처리장치
KR1020180015974A Division KR101993675B1 (ko) 2018-02-08 2018-02-08 산소기포를 이용한 개선된 혼합효율을 갖는 하폐수처리장치
KR1020180015975A Division KR101993676B1 (ko) 2018-02-08 2018-02-08 고농도 질소함유 반류수의 처리를 위한 혼합효율이 향상된 하폐수처리장치
KR1020180015970A Division KR102086901B1 (ko) 2018-02-08 2018-02-08 회전가능한 산소공급판을 포함하는 혼합효율이 향상된 하폐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7930B1 true KR101847930B1 (ko) 2018-04-11

Family

ID=61976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7689A KR101847930B1 (ko) 2017-09-14 2017-09-14 혼합효율이 향상된 하폐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79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832B1 (ko) * 2018-08-23 2019-04-02 이에스피 주식회사 부상분리 수처리장치
KR101964828B1 (ko) * 2018-08-23 2019-04-02 이에스피 주식회사 부상분리 수처리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344B1 (ko) * 2009-03-24 2009-08-14 정삼규 수조내의 부유물질과 유기물 제거장치
KR101373302B1 (ko) * 2013-11-18 2014-03-11 이동철 고액분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344B1 (ko) * 2009-03-24 2009-08-14 정삼규 수조내의 부유물질과 유기물 제거장치
KR101373302B1 (ko) * 2013-11-18 2014-03-11 이동철 고액분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832B1 (ko) * 2018-08-23 2019-04-02 이에스피 주식회사 부상분리 수처리장치
KR101964828B1 (ko) * 2018-08-23 2019-04-02 이에스피 주식회사 부상분리 수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3675B1 (ko) 산소기포를 이용한 개선된 혼합효율을 갖는 하폐수처리장치
KR102153224B1 (ko)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US9150441B2 (en) Waste water treatment equipment
EP288906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vertical lift decanter system in a water treatment system
KR101362858B1 (ko) 미세버블을 이용한 다단 격벽식 부상분리장치
KR101847930B1 (ko) 혼합효율이 향상된 하폐수처리장치
KR101917080B1 (ko) 하폐수처리장치
KR102397619B1 (ko) 침전물 및 부유물의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KR101847927B1 (ko) 처리효율이 향상된 하폐수처리장치
KR101991812B1 (ko) 처리수 배출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다공격판을 갖는 하폐수처리장치
KR101991810B1 (ko) 부유물 및 스컴제거 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KR101993676B1 (ko) 고농도 질소함유 반류수의 처리를 위한 혼합효율이 향상된 하폐수처리장치
RU1836301C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KR101993666B1 (ko) 산소기포를 이용한 개선된 처리효율을 갖는 하폐수처리장치
KR101992386B1 (ko) 침전물의 분리 및 부유물과 스컴제거 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KR101993672B1 (ko) 음식물 폐수처리를 위한 처리효율이 향상된 하폐수처리장치
KR102354522B1 (ko) 스컴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KR101992389B1 (ko) 고농도 질소함유 반류수의 처리를 위한 처리효율이 향상된 하폐수처리장치
KR101847926B1 (ko) 다공격판을 이용한 하폐수처리장치
KR101991816B1 (ko) 개선된 처리수 배출효율을 갖는 다공격판을 이용한 하폐수처리장치
KR101991808B1 (ko) 처리효율이 향상된 다공격판을 이용한 하폐수처리장치
KR20190030559A (ko) 개선된 부유물 및 스컴제거 효율을 갖는 회전가능한 산소공급판을 포함하는 혼합효율이 향상된 하폐수처리장치
KR20190030558A (ko) 회전가능한 산소공급판을 포함하는 혼합효율이 향상된 하폐수처리장치
KR100960643B1 (ko) 오염수 처리장치
KR102397626B1 (ko) 부유물질의 제거효율이 높은 하폐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