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456B1 - 문 혹은 창문용 힌지 - Google Patents

문 혹은 창문용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456B1
KR910001456B1 KR1019870010901A KR870010901A KR910001456B1 KR 910001456 B1 KR910001456 B1 KR 910001456B1 KR 1019870010901 A KR1019870010901 A KR 1019870010901A KR 870010901 A KR870010901 A KR 870010901A KR 910001456 B1 KR910001456 B1 KR 910001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blade
knuckle
hinge
c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0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4195A (ko
Inventor
제라드 프레보
다니엘 비그옥스
Original Assignee
훼르코 엥테르나쇼날 유진 드 훼뤼이르 드 바띠망
쉬나이더 마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933951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1000145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훼르코 엥테르나쇼날 유진 드 훼뤼이르 드 바띠망, 쉬나이더 마틸 filed Critical 훼르코 엥테르나쇼날 유진 드 훼뤼이르 드 바띠망
Publication of KR880004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4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 E05D7/1005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by axially moving free pins, balls or sockets
    • E05D7/1022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by axially moving free pins, balls or sockets with snap-fitted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10Pins, sockets or sleeves; Removable pins
    • E05D5/14Construction of sockets or sleeves
    • E05D2005/145Construction of sockets or sleeves with elastically deformabl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10Pins, sockets or sleeves; Removable pins
    • E05D5/12Securing pins in sockets, movably or not
    • E05D5/128Securing pins in sockets, movably or not the pin having a recess or through-hole engaged by a securing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10Pins, sockets or sleeves; Removable pins
    • E05D5/14Construction of sockets or sleev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28Bearings
    • E05Y2201/632Sleev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2Toolles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Dowels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문 혹은 창문용 힌지
제1도는 문 혹은 창문용 힌지의 종단평면도.
제2도는 핀의 축변위를 막도록 하는 플럭의 하측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선ll-ll를 따라 자른 전면에서 본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으로 핀과 플럭의 맞물림과정을 보인 도면.
제5도는 제4도와 유사한 도면으로 작동위치에서 조립과정의 최종에서의 플럭과 핀을 보여주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힌지 2,3 : 날(blade)
4,5,8 : 너클 6,7,9,31 : 구멍
11 : 하우징 12 : 플럭
13 : 플랜지 14 : 단부면
17 : 핀 19 : 죠오
20 : 캣취 21 : 요홈
22 : 수직축 23 : 외경
24 : 융기부 26 : 절취부
27,29 : 내경 28 : 원
30 : 두께 32 : 길이
33 : 높이 34 : 몸체
36,37 : 측부 40 : 챔퍼 (chamfer)
본 발명은 문 혹은 창문용의 힌지에 관한 것으로, 철물에 정합된 한날과 문 혹은 창문의 케이싱에 견고히 부착된 제2날을 포함하고, 이들 날중의 하나는 다른 날에 견고히 부착된 두 단부너클들 사이의 자유공간사이에 위치된 중앙너클을 구비하고 이러한 너클에 맞물려 있는 핀은 한날이 다른 날에 비해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하며, 또 전술한 중앙너클은 핀을 축 방향으로 잠그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플럭을 구비하고 있음을 포함하는 힌지에 관한 것이다.
케이싱과 비교하여 창문 혹은 문의 철물의 회전이 자유롭고 이 회전이 수직 혹은 수평축을 중심으로 가능하게 만드는 힌지의 사용은 이미 공지되어 있다. 매우 자주, 크기 혹은 용이한 조립을 위해, 핀을 힌지날의 너클에 위쪽이나 아래쪽의 어느 곳으로부터 맞물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단순히 중력때문에 핀이 아래로 미끌어지고 너클이 풀려 철물에 견고히 부착된 날과 케이싱에 부착된 날 사이의 관절의 풀림이 닐어날 위험이 있다. 이런 이유로, 이들 힌지는 핀이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막게 설계된 슬릿트 링 혹은 크립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슬릿트 링 혹은 크립은 대체로 크기가 작고 따라서 조립이 곤란하며 공구의 사용을 필요로 하고 신뢰도가 약하다.
핀을 축방향에서 잠궈두는 또다른 방법은 날의 하나의 너클에 견고히 부착된 볼트에 의해 후자를 고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방법은 상기 언급된 결점, 즉 장시간의 조립시간과 공구의 사용을 요하는 결점외에도 이 볼트는 핀을 축방향으로 잠글뿐 아니라 그의 축을 중심으로한 회전도 막는 결과를 가져온다. 결과적으로 핀은 항상 같은 장소에서 응력을 받게되어 빠르게 마모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철물의 회전축에 수직한 방향에서 자유이동이 발생하고 이는 창문의 문을 닫는데 영향을 미친다. 이 결점은 핀과 날 너클 사이의 빡빡한 맞춤이 구비되어 핀이 아래로 미끄러지지 못하게 하는 데에도 있다. 이런 빡빡한 맞춤은 핀에 일정한 힘을 가하여 힌지의 두날을 맞물게 만들 필요가 있다.
다른 한편, 문 혹은 창문용 힌지는 철물에 정합된 한날과 문 혹은 창문의 케이싱에 견고히 부착된 제2날을 구성하고 이들 날중 하나가 제2날에 견고히 부착된 두 단부너클 사이의 자유공간에 위치된 중앙너클을 구비하며, 하나의 핀이 이들 너클속으로 맞물려 들어가 다른 날에 관해 한날이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한 것이 공지되어 있다. 중앙너클은 하나의 구멍을 가지고 이 속으로 양측에서 너클의 단부면에 대해 놓인 지지브라켓을 구비한 부쉬(bush)를 맞문다. 이들 부쉬는 구멍의 중앙부분에서 만나고 후자를 위한 라이닝을 형성한다. 그러므로, 핀의 안내기능은 이러한 부쉬에 의해 보장된다. 구멍에 맞물리는 부쉬단부에서의 내부주변 융기부는 핀의 주변요홈으로 들어가 축방향으로 후자의 이동을 막는다. 융기부 수준에서의 외주변상의 챔퍼(chamfer)는 핀이 너클속으로 들어갈 때 후자를 밀게 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힌지는 몇가지 결점을 가지고 있다. 핀의 안내가 오직 플라스틱재료의 부쉬에 의해서만 보장되므로, 이들 후자는 쉽게 마모된다. 더구나, 핀이 삽입될 때 내부 융기부가 심한 작력을 받게되어, 힌지를 여러번 조립하고 해체한 후에는 이들의 잠금효과가 심각하게 감소한다. 실제적인 문제로, 큰 직경의 핀이 통과할 때 주변의 융기부의 후퇴는 플라스틱재료의 탄성변형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변형은 융기부에서 일어나고 이는 부쉬상의 외주변 챔퍼를 통한 후자의 내경이 넓혀지는 장소에서만 가능하다. 주변 융기부가 가시같은 불균일한 표면을 지날 때마다 혹은 단순히 핀의 주변요홈을 통하여 지날 때마다 재료는 심각하게 마모된다. 더구나, 핀을 너클로부터 풀려면, 융기부의 내직경을 다시 넓히기 위해 전술한 핀상에 가해지는 작력이 필요하다.
상기 종래의 기술 설명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힌지의 다른 많은 결점이 있다. 실제적인 문제로 부쉬가 중앙너클의 구멍중심에서 연속임을 고려하면, 후자의 직경을 바로 통과되도록 증가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너클은 그에 가해지는 작력에 저항할 수 있는 특정한 기계적 저항을 가져야 한다. 이 저항은 중앙너클의 외경을 크기 보다 크게 하므로서만 얻어질 수 있다. 결과로서 힌지의 크기가 크게되는 것이다. 또다른 해결방법은 핀의 직경을 줄이는 것이다. 이경우, 중앙너클의 강도를 줄이는 결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모든 결점을 고치는 것으로, 특별히 핀과 너클과 또한 축방향으로 핀을 잠글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 곤련된 곳에 힌지의 요소들의 크기를 증가시킬 필요없이 마모에 강한 문이나 창문용 힌지를 구비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조립을 쉽게하여 다른 공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게하는 것이다.
이 관점에서, 본 발명은 철물에 부착되는 하나의 날과 문 혹은 창문의 케이싱에 견고히 부착되는 제2날을 구성하고, 이들 날중 하나는 다른 날에서의 두 단부 너클사이의 자유공간에 위치된 중간너클을 구비하고 있고, 하나 혹은 여러개의 하우징속으로 열린 구멍을 구성하고 있어 이 구멍속으로 여러 너클속으로 정합해 들어가는 핀에 만들어진 주변요홈속으로 들어가는 캣취와 맞추어지는 죠오를 구비하는 플럭이 정합되어 날의 하나가 다른 것에 관해 자유회전할 수 있게 하는 문 혹은 창문용 힌지와 관련된다.
이 발명을 통하여 얻어진 장점은 본질적으로 핀의 안내기능이 후자의 축잠금과 떼어서 생각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이 안내기능은 중앙너클내에 가공된 구멍에 의해 보장되고 이의 직경을 핀의 직경으로 조절된다. 물론 이로부터, 힌지와 하우징에 정합된 플럭의 긴수명의 원인이 되고 상기 하우징속으로는 중앙너클의 이 구멍을 연다. 또다른 장점은 이 발명이 문 흑은 창문의 철물의 조립과 철거를 쉽게 만든다는 것이다. 이는 부분적으로 사용자가 핀을 부분적으로 힌지의 너클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반면, 전술한 핀의 축방향 잠금을 보장한다는 사실에 연유한다. 사실, 너클속으로 핀을 삽입하는 방향과 마주치는 제1플럭의캣취만이 전술한 핀에 만들어진 주변요홈과 상호 작동하여 정합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만일 여러조정이 필요하다면, 즉 날이 케이싱에 맞추어질 필요가 있다면 너클로부터의 핀의 꺼냄은 매우 쉽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이 첨부된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지금부터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1도를 참조한다.
본 발명은 두개의 날(2)와 (3)을 포함하고 이중의 하나는 문 혹은 창문의 케이싱에 맞추어지고 다른 하나는 철물에 견고히 부착되어 있는 문 혹은 창문용 힌지(1)에 관련된다.
극히 자주, 이 힌지의 각 사용을 위해 특별히 설계된 형상을 가지며, 이 발명과 관련한 이들의 독립된 성질을 고려하면, 그의 어떤 상세한 설명을 할 필요가 없다. 제1도는 편의를 위해 선택되었으며 이는 이 힌지를 보여주며 이의 날이 그들의 용도에 특별한 형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모든 경우, 이들 날은 이 발명의 구성요소를 표현한다. 따라서 날(2)은 포개어져 배열된 두 단부너클(4)과 (5)를 구비하고 이는 각기 구멍 (6)과 (7)을 가진다. 너클(4)의 구멍 (6)의 축은 너클(5)의 구멍(7)의 축의 수직연장부에 놓인다. 단부너클(4)와 (5)의 외부측정치의 모두는 힌지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크기가 변한다. 이들 크기는 전문가들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다.
이들 두 단부너클(4)와 (5)사이에는 날(3)상에 중앙너클(8)을 장치하도록 하기 위한 공간을 구비하고 있다. 이 중앙너클(8)은 플럭 (12)이 장착된 하우징 (11)속으로 열린 구멍 (9)을 가진다.
또다른 형태의 실시예에 따르면, 중앙너클(8)은 구멍 (9)의 양측에 자리한 두 하우징 (11)을 구성한다. 플럭 (12)은 중앙너클(8)의 단부면(14)에 인접한 플랜지 (13)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날(2)의 두 단부너클(4)와 (5)를 분리하는 거리(15)는 중앙너클(8)의 길이와 플랜지(13)의 두께 (16)의 한배 혹은 두배의 합에 일치하여, 플럭 (12)과 맞추어진 중앙너클(8)이 두 단부너클(4)와 (5)사이에 맞물리도록 한다. 구멍(9)의 축은 이때 구멍(6)과(7)의 축과 동일한 수직연장부에 놓이게 된다.
너클(4) (5)및(8)로는 핀(17)이 맞물리고, 이 핀의 직경은 여러구멍 (6) (7) 및 (9)의 직경보다 약간 작아 후자가, 전술한 핀(17)을 완벽하게 안내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의 한 특별한 특징에 따르면, 하우징에 정합된 클럭(12)은 그의 한단부에서 중앙너클(8)의 한단부면(14)에 인접한 플랜지(13)를 한단부에 구성하며 핀(17)에 만들어진 주변요홈(21)속으로 들어가는 캣취(20)와 맞추어지는 탄성죠오(19)를 다른 단부(18)에 구비하고 있다. 두개의 하우징(11)과 결과적으로 두개의 플럭(12)을 가진 실시예 양식틀안에서 핀(17)은 두 주변요홈(21)을 가진다. 수직축(22)에 수직한 방향으로 플럭(12)을 완벽하게 지지하기 위해 플럭 (12)의 외경 (23)과 하우징 (l1)의 내경사이의 적절한 맞춤을 구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제1실시예를 따르면 죠오(19)는 탄성금속 스트립으로 구성된다
또다른 실시예를 따르면, 이들 죠오(19)는 탄성플라스틱재료로 만들어진다. 만일 필요하다면, 전체플럭(12)이 플라스틱재료로 만들어져도 좋다.
힌지(1)를 쉽게 조립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플럭(12)은 그의 외표면 지역에 위치된 가변수의 수직융기부(24)를 구비해도 좋다. 이들 수직융기부(24)는 하우징(11)과 플럭 (12)사이를 빡빡하게 하고 후자가 조립과정중에 축방향으로 예기치 않게 이동하는 것을 막는다. 더구나, 플럭(12)의 단부(18)에 있는 챔퍼(25)는 후자를 그의 해당하우징(11)속으로 쉽게 맞물리도록 한다.
죠오(19)는 단부(18)에 견고히 부착되고 또 이들은 큰 범위까지 수직절취부(26)로 만들어져 있는 실린더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들 죠오(19)의 4개가 있고, 이들은 플럭 (12)의 수직축(22)과 비교해보면 완전히 대칭이다. 수직절취부(26)의 수를 증가시키므로써 죠오(19)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으나, 후자는 낮은 강도를 가지게될 것임은 명백하다.
죠오(19)의 단부에 위치된 한 캣취(20)는 죠오(19)의 자유단에 위치된 원호형상으로된 융기부를 구성하고 이 캣취 (20)는 플럭(12)의 내측으로 향하고 있다. 캣취(20)모두에 의해 형성된 원(28)의 내경 (27)은 스핀들(17)의 직경보다 작다.
죠오(19)는 플럭(12)의 내경(29)에 일치하는 직경으로 원통형 내부공간의 경계를 정한다. 반면에, 죠오(19)의 외경은 캣취(20)의 두께(30)의 적어도 두배만큼 작은 하우징(11)의 구멍(31)의 내경에 일치한다. 이 방식으로 우리는 하우징(11)의 구멍(31)과 죠오(19)의 외경사이에 빈공간(10)을 얻는다. 그러므로, 죠오(19)는 이들의 탄성때문에 충분히 퍼져 핀이 다들어 왔을 때 캣취(20)가 물러나게 된다.
제4도는 이들이 조립되었을 때에의 핀(17)과 플럭(12)의 위치를 보여준다. 그의 외경을 통하여 핀(17)이 캣취 (20)상에 압력을 가하고 이 압력이 죠오(19)를 재료의 탄성변형을 통하여 플럭(12)의 단부(18)에 이들을 연결하는 수준에서 퍼지도록 한다. 죠오(19)의 길이로부터 연유된 지렛대 효과로, 캣취(20)에 가해진 힘은 충분히 감소된다. 이렇게 하여 마모가 덜 된다.
죠오(19)의 길이는 이들의 탄성때문에 변한다. 그러나 플럭 (12)의 몸체 (34)의 길이 (32)와 높이 (33)의 합은 하우징 (11)의 높이 (35)보다 작거나 같게 된다.
제5도는 힌지(1)에 조립되는 위치에서 핀(17)이 있는 제4도의 요소를 보여준다. 플럭(12)의 캣취 (20)는 그의 축방향에서 후자의 어떠한 변위에 대해 핀(17)을 완전히 지지하는 주변요홈(21)에 들어가기 위한 제위치에 있고 만일 중앙너클(8)이 두개의 플럭(12)을 가지면 후자의 캣취(20)는 각 주변요홈(21)에 들어가게 됨을 이해할 수 있다. 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핀(17)의 지지와 안내는 중앙너클(8)의 구멍 (9)과 단부너클(4)와 (5)의 구멍(6)과 (7)에 의해 보장된다.
핀(17)의 주변요홈(21)의 특별한 실시예에 따르면, 측부(36)와 (37)는 납작한 원추형상을 가져 캣취(20)로부터 핀(17)을 쉽게 후자 혹은 죠오(19)를 손상시킴이 없이 빼낼 수 있게 만든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주변요홈(21)은 반원단면을 가졌다.
또한 본 발명은 두 날을 포함하고 이들이 각각은 오직 하나의 너클만 구비한 힌지에도 관련된다. 이경우,너클의 하나는 하우징(11)만 포함하고, 결과적으로 두 너클이 연결되는 측에 맞추어진 하나의 플럭(12)만을 구성하게 된다. 또한 너클과 동일너클이 두개의 하우징 (11)과 두개의 플럭 (12)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나 이경우, 핀(17)이 장착된 후 제2플럭 (12)을 정합하는 것도 선호적이다.
조립중에 우리는 하기의 방식으로 진행한다. :우리는 날(3)의 중앙너클(8)의 하우징 (11)에 플럭 (12)을 먼저 정합하고, 중앙너클(8)이 플럭(12)의 플랜지(13)에 의해 덮여지고, 구멍(6) (7)과 (9)가 수직연장부에 다른 것의 하나를 놓는 방식으로 날(2)의 단부너클(4) (5)사이에 장착된다. 그리고 우리는 핀(17)을 그의 단부(38)에서 단부너클(5)속으로 또 중앙너클(8)에 이들이 제1플럭 (12)의 캣취 (20)를 만날때까지 정합시킨다. 핀(17)의 단부(39)에 압력을 가하여 죠오(19)가 퍼지고 캣취(20)가 후퇴하게 만든다. 이 조립은 핀(17)의 단부(38)에 구비된 챔퍼(40)에 의해 쉽게 만들어지게 될 것이다.
이들의 각 주변요홈(21)내에 두 플럭 (12)의 캣취 (20)의 들어가는 위치를 확실히 하기 위해 우리는 핀(17)의 단부(39)같은 장소에 위치된 즉, 단부너클(5)의 내표면(41)과 같은 평면에 이들 주변요홈(21)을 가졌다.
문 혹은 창문의 상부 혹은 하부단면에서 똑같이 힌지(1)를 잘 사용하기 위해, 힌지 (1)의 여러요소가 수평중간평면(42)에 관해 대칭이다. 따라서 핀(17)은 상부에서 하부와 마찬가지로 하부에서 상부로도 똑같이 잘맞물려 진다
조립된 상태에서 핀(17)을 풀기 위해서는 챔퍼(40)를 구비한 단부(38)에 압력을 가한다. 이때 핀(17)의 단부(39)에 가까이 위치된 주변요홈(43)은 단부너클(5)로부터 풀리고 이를 끌어내기에 충분하게 당기는 적절한 공구를 사용하여 핀(17)을 쉽게 포착할 수 있다

Claims (4)

  1. 철물에 맞추어진 하나의 날과 문 혹은 창문의 케이싱에 견고히 부착된 제2날을 포함하고, 이들 날중 하나는 다른 날에 견고히 부착된 두 단부너클사이의 자유공간에 위치된 중앙너클을 구비하고 하나의 핀이 이들 너클에 맞물려, 한날이 다른 날에 대해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하고, 전술한 중앙너클은 또 핀(17)의 직경에 맞추어지고 핀(17)을 축방향으로 잠그기 위한 플럭(12)이 맞물려 들어가는 하나 혹은 여러 하우징(11)속으로 열려있는 구멍(9)을 포함하고, 전술한 플럭(12)을 그의 한단부에서 플랜지(13)를 구비하고 있는 원통-형상의 몸체(34)를 나타내고 상기 플랜지는 중앙너클(8)의 단부면(14)중 하나에 인접하고, 핀(17)내에 만들어진 주변요홈(21)속으로 들어가는 캣취(20)를 구비한 죠오(19)와 맞게되며, 이들 죠오(19)는 수직절취부(26)를 구비하고, 캣취(20)의 두께 (30)의 적어도 두배만큼 작은 하우징(11)의 구멍(31)의 내경에 일치하는 외경을 가지는 원통형상을 나타내며, 후자는 핀(17)의 직경보다 작은 내경(27)을 가진 원을 형성하고, 죠오(19)의 자유단부에 위치된 원형 호형상내에 있고 플럭(12)의 내측을 향하여 유도된 융기부(30)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문 혹은 창문용 힌지.
  2. 제1항에 있어서, 핀(17)이 플럭 혹은 두 플럭(12)의 죠오(19)의 캣취(20)와 상호작용하는 하나 혹은 두개의 주변요홈(21)을 구성하는 문 혹은 창문용 힌지.
  3. 제1항에 있어서, 핀(18)이 그의 단부(39)의 하나에 포착요홈(43) 하나와 다른 단부(38)에 챔퍼 (40)를 구성하는 문 혹은 창문용 힌지.
  4. 제1항에 있어서, 주변요홈(21)이 포착요홈(43)을 구비한 핀(17)의 단부(39)같은 장소에 즉, 단부너클(5)의 하부면(41)과 같은 평면의 장소에 위치되는 문 혹은 창문용 힌지.
KR1019870010901A 1986-09-30 1987-09-30 문 혹은 창문용 힌지 KR9100014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8613785A FR2604475A1 (fr) 1986-09-30 1986-09-30 Paumelle a blocage axial de la broche pour porte ou fenetre
FR86.13785 1986-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4195A KR880004195A (ko) 1988-06-02
KR910001456B1 true KR910001456B1 (ko) 1991-03-07

Family

ID=9339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0901A KR910001456B1 (ko) 1986-09-30 1987-09-30 문 혹은 창문용 힌지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4864692A (ko)
EP (1) EP0263769B1 (ko)
JP (1) JPS63156184A (ko)
KR (1) KR910001456B1 (ko)
CN (1) CN1008928B (ko)
AT (1) ATE59083T1 (ko)
DE (1) DE3766683D1 (ko)
ES (1) ES2019967B3 (ko)
FR (1) FR2604475A1 (ko)
GR (1) GR3001591T3 (ko)
HK (1) HK77791A (ko)
SG (1) SG77091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7013B2 (ja) * 1988-03-16 1994-08-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遠隔制御装置
US5711053A (en) * 1996-03-26 1998-01-27 Hafner; Bernhard T. W. Un-lockable hinge pintle lock and method of use
DE19632027A1 (de) * 1996-08-08 1998-02-12 Scharwaechter Gmbh Co Kg Trennbares Kraftwagentürscharnier
CA2237976A1 (en) 1998-06-15 1999-12-15 Christian Guillemette Lockable hinge device
AT409782B (de) * 1998-09-03 2002-11-25 Roto Frank Eisenwaren Ladenbeschlag
BE1014539A3 (nl) * 2001-12-13 2003-12-02 Parys Remi E Van Scharnier en scharnierdeel daarvoor.
US6741472B1 (en) * 2002-11-06 2004-05-25 Walkabout Computers, Inc. Secure hinge mechanism for portable computer
ES2323822B1 (es) * 2005-07-21 2010-06-01 Alutec S.R.L. Bisagra para cerrajeria.
ITPD20050226A1 (it) * 2005-07-21 2007-01-22 Alutec Srl Cerniera per serramenti
CN101169019B (zh) * 2007-11-27 2011-08-31 联程机械(宁波)有限公司 一种门窗铰链
ES2380871T3 (es) * 2008-01-31 2012-05-21 Savio S.P.A. Una bisagra para puertas o ventanas
DE202013002821U1 (de) * 2013-03-25 2014-06-27 Dieter Ramsauer Scharnier
EP3498956B1 (de) 2017-12-15 2024-03-27 MAGNA STEYR Fahrzeugtechnik GmbH & Co KG Scharnier
DE102022121094A1 (de) * 2022-08-19 2024-02-22 HYMER GmbH & Co. KG Freizeitfahrzeug mit einer Nasszelle und einem Schwenkachsenlage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97433A (en) * 1953-09-17 1957-07-02 Hager & Sons Hinge Mfg Door hinges
US3135013A (en) * 1961-03-10 1964-06-02 Stanley Works Hinge with pin retaining means
US3152356A (en) * 1961-08-31 1964-10-13 Stanley Works Hinge with non-rising pin
DE2750310A1 (de) * 1977-11-10 1979-05-17 Dorma Baubeschlag Fuer tueren u.dgl. bestimmtes scharnierband
US4135273A (en) * 1978-01-23 1979-01-23 Holmes Stannard D Hinge with interfitting locking means
DE7914232U1 (de) * 1979-05-17 1979-08-23 Paul Hettich & Co, 4983 Kirchlengern Mit einer glastuer versehener schrank
DE3401245A1 (de) * 1984-01-16 1985-07-18 Lunke & Sohn Gmbh, 5810 Witten Tuerscharnier fuer ein kraftfahrzeug
DE8410106U1 (de) * 1984-04-02 1984-07-19 Rittal-Werk Rudolf Loh Gmbh & Co Kg, 6348 Herborn Schaltschrank mit am Schrankkorpus angelenkter Schranktür
DE8434089U1 (de) * 1984-11-22 1985-02-21 Siegenia-Frank Kg, 5900 Siegen Scharnier fuer fenster und tueren
FR2573808A1 (fr) * 1984-11-29 1986-05-30 Rado Montres Sa Charniere notamment pour bracel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3156184A (ja) 1988-06-29
ATE59083T1 (de) 1990-12-15
FR2604475A1 (fr) 1988-04-01
FR2604475B1 (ko) 1994-07-13
GR3001591T3 (en) 1992-11-23
HK77791A (en) 1991-10-11
DE3766683D1 (de) 1991-01-24
ES2019967B3 (es) 1991-07-16
CN87106636A (zh) 1988-07-13
SG77091G (en) 1992-03-20
EP0263769A1 (fr) 1988-04-13
KR880004195A (ko) 1988-06-02
US4864692A (en) 1989-09-12
CN1008928B (zh) 1990-07-25
EP0263769B1 (fr) 1990-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1456B1 (ko) 문 혹은 창문용 힌지
EP1199020B1 (de) WC-Sitzgelenk
US4437363A (en) Dual camming action jaw assembly and power tong
US5247990A (en) Centralizer
US20050196231A1 (en) Quick-locking connector
JP4291037B2 (ja) スライドヒンジ
DE2900646A1 (de) Kugelventil
EP1746020B1 (de) Gelenkverbindung
JPS63171971A (ja)
EP0794307A1 (en) A hinge for metal doors and windows
CZ2002699A3 (cs) Válečkový řetěz
DE3000477C2 (ko)
DE4317994C1 (de) Schließzylinder
GB1581095A (en) Lock with two key-receiving members
AU611941B2 (en) Device for a screw connection between two pieces with the possibility of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m
US4776400A (en) Oil-well flap-type safety valve
KR102638621B1 (ko) 샤프트장치
EP3511491B1 (de) Schliesszapfen für einen verschluss eines treibstangenbeschlages
DE102004029419B4 (de) WC-Sitzgelenk und WC-Sitzgarnitur
DE102019214252B3 (de) Axial montierbare Gleitringdichtungsanordnung
AU699150B2 (en) Lock cylinder for a safety lock
EP0113361A1 (en) Tumbler locks
JPH0318614Y2 (ko)
KR100410998B1 (ko)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 조립체
GB2204634A (en) Lift-off hinge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