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232B1 - 수직축 및 마찰형 정미기 - Google Patents

수직축 및 마찰형 정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232B1
KR910001232B1 KR1019880009405A KR880009405A KR910001232B1 KR 910001232 B1 KR910001232 B1 KR 910001232B1 KR 1019880009405 A KR1019880009405 A KR 1019880009405A KR 880009405 A KR880009405 A KR 880009405A KR 910001232 B1 KR910001232 B1 KR 910001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rotor
netting
vertical axis
friction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9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1638A (ko
Inventor
도시히꼬 사다께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사다께세이사꾸쇼
도시히꼬 사다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사다께세이사꾸쇼, 도시히꼬 사다께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사다께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90001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02B3/06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by means of screws or w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Landscapes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직축 및 마찰형 정미기
제1a도는 본 발명의 수직축 및 마찰형 정미기의 측단면도.
제1b도는 저항제어장치의 기어열을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
제2 및 3도는 마찰정미로우터의 정단면도.
제4도는 다른 일 실시예의 측단면도.
제5도는 정미로우터의 다른 일 실시예의 부분 측단면도.
제6, 7 및 8도는 정미로우터의 일부를 나타내는 부분 측면도.
제9 및 10도는 종래기술에 해당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수직관형 부재 3 : 수직주축
4 : 나선형 로우터 5 : 정미로우터
6 : 정미실 7 : 쌀알공급부
8 : 쌀알배출부 9 : 주모터
13 : 자동저항제어장치 14 : 저항판
16 : 랙(rack) 19 : 하류관
20 : 배출관 21 : 공급호퍼
22 : 쌀알공급장치 23 : 나선형 부재
24 : 콘베이어축 29 : 통풍공
30 : 블로우어 303 : 공기방출측단
31 : 공기분사공 32 : 쌀겨제거실
33 : 쌀겨제거관 36 : 돌출교반리지(agitating projection ridge)
36C : 팁부 36D : 베이스부
36E : 볼트
본 발명은 수직 정미실의 일단에서 공급된 쌀알을 정미하고 다른 일단에서 쌀알을 배출하는 수직축 및 마찰형 정미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수직축 및 마찰형 정미기를 제9도 및 제10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부호 37은 관통벽을 갖는 실제로 수직인 정미관형 부재(38) 및 정미관형 부재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주축(39)을 구성하는 수직축 및 마찰형 정미기로서, 주축(39)의 저부에는 나선형 로우터(40)가 구비되어 있고, 상부에는 돌출교반리지(41)를 갖는 정미로우터(42)가 구비되어 있다. 정미전의 쌀알이 쌀알공급관(43)을 지나 기계프레임의 측벽에 배치된 쌀알공급부(45)에서 나선형 로우터(40)로 공급되며 이 나선형 로우터(40)에 의하여 상방으로 이동하여 정밀실(46)로 공급된다. 쌀알은 정미실(46)내에서 정미로우터(42)의 회전에 의해서 정미작업처리를 받으며 정미된 쌀알은 배출구(47)에서 배출관(48)을 통하여 정미기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제10도에서 알수있듯이 종래의 수직축 및 마찰형 정미기에서, 정미로우터(42)는 정미로우터(42)의 중심축선과. 정미로우터 (42)의 회전방향(화살표 방향)으로 고찰하여 돌출교반리지(41)의 전방쪽 정미로우터의 외주면 부분간의 거리 r1가 정미로우터 (42)의 중심축선과 돌출교반리지(41)의 후방쪽 외부 외주면 부분간의 거리 r2보다 더 길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정미실내의 A 부분에 인가되는 정미압은 B 부분에 인가되는 정미압보다 훨씬 크다. A 부분에 인가되는 압력을 적당하게 조절할수 있을지라도, B 부분의 압력이 불필요하게 작아져서 B 부분의 쌀알이 충분히 정미되지 않은 상태로 돌출교반리지를 따라서 빠르게 상승하고 배출되어, 이 결과 쌀알이 불규칙적으로 정미된다. 한편 B 부분에 인가되는 정미압을 적절하게 조절할 경우, A 부분에 초과압력이 인가되어 쌀일이 파괴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정미실내에 적당한 분포의 압력을 인가하고, 쌀알이 불량하게 정미되거나 파괴되는것을 방지할수 있는 수직축 및 마찰형 정미기를 제공함으로써, 전술한 결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정미기는 하기와 같이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관통벽을 갖는 수직관형 부재, 관형 부재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일 단부와 다른 일 단부를 각는 수직 주축, 수직 주축의 일 단부상에 구비된 나선형 로우터, 돌출교반리지가 형성되어있는 외부 외주면을 갖고 정미로우터가 어떤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의 중심이 되는 중심축을 가지며 주축과 다른 일 단부에 구비되는 정미로우터, 및 주로 관형 부재와 정미로우터에 의해 한정되고 일단이 쌀알공급부와 연결되고 다른 일단인 쌀알배출부와 연결되는 상단과 하단을 갖는 정미실을 구성하는 수직축 및 마찰형 정미기가 제공되며, 여기서 정미로우터의 외주면을 정미로우터의 중심축선과, 정미로우터의 중심회전방향으로 고찰하여 돌출교반리지의 전방쪽 정미로우터의 외주면 부분간의 거리가 정미로우터의 중심축선가 돌출교반리지의 후방쪽 외부 외주면 부분간의 거리보다 더 짧도록 형성되어 있다.
수직축 및 마찰형 정미기의 쌀알공급부에서 나선형 로우터로 공급된 쌀알은 나선형 로우터에 의해서 공급되어 관통벽을 갖는 수직관형 부재 및 정미로우터에 의해서 주로 한정되는 정미실내에서 정미된다. 정미된 쌀알은 정미 배출부에서 배출되어 차후의 공정으로 이동하게 된다. 정미실내의 쌀알에 인가되는 압력이 조절되어, 압력이 돌출교반리지의 직전에 그리고 외주면의 잔여부분상에 있는 정미로우터의 외주면의 부분에 적절히 분포되기 때문에 불충분하게 정미된 쌀알이 돌출교반리지를 따라 빠르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수 있으며 초과압력으로 인하여 파괴되는 쌀알이 거의 없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하기 설명한다.
제1a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서 수직축 및 마찰형 정미기를 나타낸다.
제1a도를 참조하면, 도면부호 1은 일반적으로 관통벽을 갖는 수직관형 부재(2)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하부에 나선형 로우터 (4)가 구비되며 상부에 복수의 돌출교반리지 (36)와 함께 외부 외주면에 형성된 정미로우터 (5)가 구비되는 수직축(3)을 갖는 전술한 정미기를 나타낸다. 상기 주축(3)은 축의 두 말단에서 베이스 하우징(1b)에 착설된 기계프레임(1a)에 대해서 베어링(3a, 3b)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저어널링(journalling)된다. 수직관형 부재(2)는 복수의 돌출교반리지 (36)의 수에 공배수인 변을 갖는 다각형의 단면형상을 하고 있으며, 주로 정미로우터와 함께, 쌀알공급부(7)와 연결되어 있는 하단부 및 쌀알배출부(8)와 연결되어 있는 상단부를 갖는 정미실을 한정한다. 주모터(9)에 착설된 모터풀리(motor pulley)와 주축(3)에 착설된 풀리간의 V-벨트가 걸린다. 주모터는 고정 부재(9a)에 의하여 베이스 하우징에 고정된다.
쌀알배출부(8)에서 배출되는 쌀알의 유동을 균일하게 하기 위해서 자동저항제어장치 (13)에 착설된 저항판(14)을 쌀알배출부(8)에 배치한다. 저항판(14)은 탄성재료로 된 레버(15)를 통해 랙(16)과 연결되며 랙(16)은 제1b도에서 알수 있듯이 기어열을 통해 가역적인 서어보모터(17)와 연결되어 결합된다. 랙(16)이 정 및 역방향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서어보모터 (17)에 의하여 수평으로 이동할 경우, 레버 (15)가 저항판(14)의 축선(18)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저항판(14)이 쌀알배출부(8)로 그리고 쌀알배출부(8)로부터 X, Y 방향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배출관(20)이 구비되는 쌀알배출부(8)에 하류관(19)이 구비된다.
공급호퍼(21)가 쌀알공급장치 (22)와 연통하며, 나선형 부재(23)를 갖는 컨베이어축(24)에 칙설된 풀리(25)가 브레킷 (26a)에 의해 베이스 하우징(1b)에 착설된 모터 (26)의 풀리(27)와 V-벨트(28)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쌀알공급장치(22)는 쌀알공급부(7)와 연통한다.
상단이 개구되어 있지만 하단이 밀폐된 공동(空洞) 주축(3)은 외주벽을 갖고 여기에 통풍공(29)이 형성되어 있으며 공동부는 블로우어(30)와 축(3)간에 미세한 간극을 갖는, 블로우어(30)의 공기방출측단(30a)과 연통한다. 도면부호 31은 정미로우터(5)에 형성된 공기분사공이며 관통벽(2)의 외부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쌀겨제거실(32)은 쌀겨제거관(33)을 통하여 사이클론(도시되지 않음)등과 연통한다.
제2도에서 알수 있듯이, 편심적으로 형성된 정미로우터 (5)는 외주면상의 3부분에 형성된 돌출교반리지를 갖는다. 외주면은 정미로우터 (5)의 중심축선 O와, 정미로우터(5)의 회전방향으로 고찰하여 돌출교반리지의 전방쪽 정미로우터 (5)의 외주면 부분간의 거리 r2,가 정미로우터의 중심축선 O와 돌출교반리지의 후방쪽 외부 외주면 부분간의 거리 r1보다 더 짧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배치에 있어서, 정미실(6)은 정미로우터(5)의 돌출교반리지(36)의 수의 정수배인 변을 갖는 다각형의 형상을 한다.
수직축의 상방공급형 정미기에서, 정미실의 저부에 위치한 쌀알은 정미실의 공정길이에 상당하는 쌀알의 정하중에 의하여 형성된 높은 압력을 받는다. 정미기에 의한, 특히 마찰형 정미기에 의한 정미에 있어서,말기단계에서보다 초기단계에서 더 높은 압력을 인가하는 것이 요구되므로 상방공급형 정미기가 실용적이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는 정미시에 상방공급작용이 필요하기 때문에, 제5도에서 알수 있듯이 수직선에 대한 경사각 θ를 돌출교반리지에 부여하여 정미로우터 (5)의 토오크를 리프트력 (life force)로 변환시킨다.
다음에 전술한 배치에서 그 조작을 설명한다. 주모터(9) 및 모터(26)을 구동시켰을때, 쌀알은 공급호퍼(21)를 통해 쌀알공급장치(22)로 공급된다. 다음에 쌀알은 나선형 부채(23)에 의해서 쌀알공급부(7)로 공급되고, 나선형 로우터 (4)에 의해서 정미실(6)로 상승이동된다. 쌀알은 상승이동중에 정미로우터(5)의 회전에 의해서 정미작용처리를 받음으로써 정미된다.
전술한 배치에 있어서, 제2도에서 알수 있듯이 정미로우터 (5)의 외주면이 정미로우터 (5)의 중심축선 O와, 정미로우터 (5)의 회전방향으로 고찰하여 돌출교반리지의 전방쪽 정미로우터 (5)의 외주면 부분간의 거리 r2가 정미로우터의 중심축선 O와 돌출교반리지의 후방쪽 외부 외주면의 부분간의 거리 r1보다 짧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정미실(6)의 A 부분과 B 부분에 인가되는 압력분포를 B 부분의 쌀알이 매우 엉성한 상태로 존재하지 않도록 조절할수 있다. 따라서 불충분하게 정미된 쌀알은 돌출교반리지(36)을 따라 상방으로 거의 이동하지 않아서 정미기 밖으로 배출되지 않으며, 쌀알입자의 교반을 촉진함으로써, 쌀알이 불량하게 정미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3도에서 알수 있듯이, 용량이 작은 정미기는 2부분에 동일기능의 돌출교반리지(36)가 형성되어 있는 외주면을 갖는 정미로우터(5)를 갖는다.
블로우어(30)에 의해서 공급되어 쌀알을 정미하는 중에 공기분사공(31)으로부터 통풍공(29)을 지나 분사되는 쌀겨제거공기를 사용하여 쌀겨제거작업을 수행한다. 정미작업으로 정미실(6)내에 형성된 쌀거등의 먼지는 관통벽을 갖는 수직관형 부재(2)에 형성된 구멍으로부터 쌀겨제거실(32)로 쌀겨제거공기와 함께 방출되며 쌀겨제거관(33)으로부터 사이클론(도시되지 않음)등과 같은 쌀겨수집관으로 공급된다.
다음제 자동저항제어장치(13)의 레버(15)에 의해 저항판(14)에 부여된 탄성력을 극복할 경우 쌀알배출부(8)에 도달한 정미된 쌀알은 배출된다. 정미되는 정도는 서어보모터(17)가 정 및 역방향중 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저항판(14)에 부여되는 탄성력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제어할수 있다. 다음에 저항판(14)의 탄성력을 극복한 쌀겨는 하류관(19) 및 배출관(20)을 통하여 정미기 외부로 배출된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로서 자유낙하 시스템을 적용한 수직축 및 마찰형 정미기를 나타내는데, 여기서 제1도에서와 유사한 부분을 유사한 도면부호로 나타내었으나 불필요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예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주축(3)의 상부에는 나선형 로우터(4)가 구비되어 있으며, 저부에는 정미로우터(5)가 구비되어 있다. 관통벽을 갖는 관형 부재(2)가 나선형 로우터(5)의 주위에 구비됨으로써 로우터(5) 주위에서 정미실(6)로서 기여하는 공간이 형성된다. 정미실(6)은 쌀알공급부(7)에 연결되는 상단 및 쌀알배출실(8)에 연결되는 하단을 갖는다. 주축(3)은 하단에 있는 주모터(9)에 의해서 구동되며, 공기분사용 블로우어(30)가 상단에서 주축(3)에 압축공기를 공급한다. 제1실시예에서와 유사하게 자동저항제어장치(13)는 쌀알배출부를 구비하고 쌀알공급장치(22)는 쌀알공급부(7)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조작을 하기 설명한다. 전술한 유속으로 쌀알공급장치(22)에 의해서 공급된 쌀알은 나선형로우터 (4)에 의한 쌀알공급조작하에서 점차 정미실(6)로 공급되어 쌀알배출부(8)에 도달하며 정미실(6)에서 정미처리를 받은 후에 자동저항제어장치 (13)의 저항판(14)의 탄성력을 극복함으로써 배출된다. 이러한 자유낙하 시스템을 적용한 수직축 및 마찰형 정미기에 있어서, 쌀알이 중력의 영향을 받고 또한 쌀알의 정하중으로 인한 압력이 하단의 배출부 측의 쌀알에 인가되어 이러한 부분에 고압이 부여되기 때문에, 제5도에서 알수 있듯이 수직선에 대하여 θ의 각으로 경사진 돌출교반리지(36)가 전술한 고압을 감소시킬수 있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데, 여기서 단지 정미로우터(5)와 그 부속물만을 도시한다. 정미로우터(5)의 상반부(上半部)에는 돌출교반리지(34A)와 공기분사공(31A)이 구비되어 있고 그리고 하반부에는 다른 돌출교반리지 (36B) 및 공기분사공(31B)이 구비되어 있으며, 돌출교반리지(36A)와 공기분사공(31A)의 원주위치는 다른 돌출교반리지(36B)와 공기분사공(31B)의 원주위치로부터 가능한 한 멀리한다. 이러한 배치에 있어서, 정미로우터 (5)의 외주면에 돌출교반리지가 구비되지 않은 36X 부분이 존재하기 때문에, 나선형 로우터 (4)에 의하여 상방으로 공급되는 쌀알은 먼저 돌출교반리지 (36B)에 의한 정미작업처리를 받은 후에 촉진된 교반 및 혼합작업이 돌출교반리지가 구비되지 않은 36X 부분에서 쌀알을 부여된다. 다음에 쌀알은 돌출교반리지 (36A)에 의한 정미작업처리를 받아 정미되고 정미기 밖으로 배출된다. 돌출교반리지 (36A)와 다른 돌출교반리지 (36B)가 원주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구비되기 때문엔, 돌출교반리지 (36B)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는 쌀알이 돌출교반리지(36B)의 상단을 통과할때, 쌀알은 교반되고 혼합된 후에 돌출교반리지 (36A)에 의해 재정미된다. 이러한 배치에 있어서, 쌀알은 충분히 정미되기 때문에 불충분하게 정미된 쌀알이 정미기 밖으로 배출되는 경향은 방지된다.
제6도 및 제7도는 형상이 다른 돌출교반리지(36) 및 공기분사공(31)을 나타낸다. 제6도는 회전방향에서 후방측에 형성된 층계를 갖는 돌출교반리지(36)를 나타내며, 여기서 공기분사공(31)이 회전방향에서 약간 후방쪽으로 향하고 있다. 제7도는 층계를 갖지 않으며, 여기서 공기분사공은 리트랙트방향(retracted direction)으로 향한다. 제8도는 돌출교반리지(30)의 팁부(36C)가 돌출교반리지(36)의 베이스부(36D)에 착탈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볼트(36E)를 사용하여 베이스부(36D)에 부착하여 이 팁부를 대처할수 있도록 한 돌출교반리지를 나타낸다. 팁부(36C)는 빠르게 마모될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배치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직축 밌 마찰형 정미기에 따르면, 외주면은 정미로우터 (5)의 외주면이 정미로우터(5)의 중심축선 O와, 정미로우터(5)의 회전방향으로 고찰하여 돌출교반리지의 전방쪽 정미로우터(5)의 외주면 부분간의 거리가 정미로우터의 중심축선 O와 돌출교반리지의 후방쪽 외부 외주면의 부분간의 거리보다 짧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압력분포를 원주방향으로 적절차게 조절할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수직축 정미기의 결점에 해당되는 극저압이 인가되는 부분, 즉 쌀알이 극히 엉성한 상태에 있는 부분이 제거됨으로써. 쌀알은 실제로 균일한 속도로 이동하고 활발히 교반되어 쌀알이 불균일하게 정미되는 것이 실질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실질적으로 불균일하게 정미되는 쌀알이 없으므로 안전도 한계내의 최대 정미압을 인가함으로써 종래의 기술로서 수득하기가 매우 어렵게 여겨지는, 단시간의 정미공정에 조차 발아(發牙)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운 정미된 쌀을 수득하는 것이 가능한 다중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관통벽을 갖는 수직관형 부재, 관형 부재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며 일 단부와 다른 일 단부를 갖는 수직주축, 수직축의 일 단부에 구비되는 나선형 로우터, 돌출교반리지가 형성되어 있는 외부 외주면을 갖고 주축의 다른 일 단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정미로우터가 어떤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중심이 되는 중심축선을 갖는 정미로우터, 및 주로 관형 부재와 정미로우터에 의해 한정되고 일단이 쌀알공급부와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쌀알배출부와 연결되는 상단과 하단을 갖는 정미실을 구성하여 수직축 및 마찰형 정미기에 있어서, 정미로우터의 외주면이 정미로우터의 중심축선과, 정미로우터의 중심회전방향으로 고찰하여 돌출교반리지의 전방쪽 정미로우터의 외주면 부분간의 거리가 정미로우터의 중심축선과 돌출교반리지의 후방쪽 외부 외주면 부분간의 거리보다 더 짧도록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축 및 마찰형 정미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미실의 상기 하단이 상기 쌀알공급부와 연결되고, 상기 정미실의 상기 상단이 상기 쌀알배출부와 연결되는 수직축 및 마찰형 정미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교반리지의 대체가 가능한 수직축 및 마찰형 정미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교반리지의 대체가 가능한 수직축 및 마찰형 정미기.
KR1019880009405A 1987-07-27 1988-07-26 수직축 및 마찰형 정미기 KR9100012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88,513/1987 1987-07-27
JP62188513A JPH0822389B2 (ja) 1987-07-27 1987-07-27 竪軸型摩擦切削式精米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1638A KR890001638A (ko) 1989-03-28
KR910001232B1 true KR910001232B1 (ko) 1991-02-26

Family

ID=16225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9405A KR910001232B1 (ko) 1987-07-27 1988-07-26 수직축 및 마찰형 정미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843957A (ko)
JP (1) JPH0822389B2 (ko)
KR (1) KR9100012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7618B2 (ja) * 1988-06-16 1995-08-23 株式会社佐竹製作所 製粉方法及びその装置
US5076157A (en) * 1989-10-27 1991-12-31 Satake Engineering Co., Ltd. Coffee bean polishing apparatus
US5048407A (en) * 1989-11-07 1991-09-17 Salete Garces Felipe Grain husking and polishing machine
US5076156A (en) * 1990-01-23 1991-12-31 Kubota Corporation Grain cleaning machine
US5104671A (en) * 1990-07-24 1992-04-14 Conagra, Inc. Wheat milling process
US5211982A (en) * 1990-07-24 1993-05-18 Conagra, Inc. Wheat milling process and milled wheat product
US5141764A (en) * 1990-07-24 1992-08-25 Conagra, Inc. Wheat milling process
US5194287A (en) * 1990-07-24 1993-03-16 Conagra, Inc. Wheat milling process and milled wheat product
JP3012070B2 (ja) * 1991-12-27 2000-02-21 株式会社山本製作所 精米装置
GB2269735A (en) * 1992-08-21 1994-02-23 Felipe Salete Machine for cleaning and polishing grain
JP3266167B2 (ja) * 1993-08-06 2002-03-18 株式会社サタケ 竪型研削式精穀機の抵抗体調節装置
JPH0775741A (ja) * 1993-09-07 1995-03-20 Satake Eng Co Ltd 研削式竪型精穀機の除糠用多孔性筒状体
JP3344504B2 (ja) * 1993-10-01 2002-11-11 株式会社サタケ 竪型研削式精穀装置
AU660879B1 (en) * 1994-08-22 1995-07-06 Satake Corporation Vertical milling machine
JPH09122510A (ja) * 1995-11-02 1997-05-13 Satake Eng Co Ltd 脱ぷ装置
JP2014039888A (ja) 2011-05-13 2014-03-06 Satake Corp 精穀機の抵抗体調節装置
CN102806112B (zh) * 2011-05-31 2016-02-03 山本电气株式会社 碾白度测定装置及测定方法、碾谷机及碾谷方法
US9427740B2 (en) 2014-01-21 2016-08-30 Satake Usa, Inc. Vertical top-fed grain mill
CN109465051A (zh) * 2018-11-22 2019-03-15 贵州省茂涵农业科技有限公司 大米抛光装置
CN113331342A (zh) * 2021-04-25 2021-09-03 三江县埼玉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螺旋搅拌式炒米机构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7211A (en) * 1901-05-06 1902-08-19 Barnard And Leas Mfg Company Rice-hulling machine.
US3628582A (en) * 1969-12-22 1971-12-21 Toshihiko Satake Grain-polishing machine
JPS5234258A (en) * 1975-06-20 1977-03-16 Satake Eng Co Ltd Eccentric pearling roll
JPS5322063A (en) * 1976-08-09 1978-03-01 Satake Eng Co Ltd Refining device for providing lustered pearling rice
FR2423494A1 (fr) * 1977-06-02 1979-11-16 Parcor Benzo (b) thieno pyridines,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s applications therapeutiques
JPS6244752Y2 (ko) * 1980-06-02 1987-11-27
US4426922A (en) * 1981-06-09 1984-01-24 Soichi Yamamoto Vertical frictionally abrasive roll rice polishing machine
JPS60114347A (ja) * 1983-11-22 1985-06-20 井関農機株式会社 精穀機の精穀ロ−ル
MX159213A (es) * 1984-05-14 1989-04-20 Felipe Salete Garces Ensamble de criba y rotor para maquinas descascaradoras,descortezadoras,pulidoras y blanqueadoras de grano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843957A (en) 1989-07-04
JPS6430654A (en) 1989-02-01
KR890001638A (ko) 1989-03-28
JPH0822389B2 (ja) 1996-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1232B1 (ko) 수직축 및 마찰형 정미기
US4034921A (en) Milling apparatus
US5752664A (en) Vertical grain milling machine
JPH06400A (ja) 竪型精穀機
JP3266167B2 (ja) 竪型研削式精穀機の抵抗体調節装置
KR20100088300A (ko) 쌀 정미 장치
US4811909A (en) Ball mill
JPH0767540B2 (ja) 堅軸型摩擦切削式精穀機
JP2782149B2 (ja) 旋動式破砕機の加水装置
CN216631034U (zh) 用于草本精华茶叶生产的加工胶体磨
JP2001252579A (ja) コンクリート用砕砂製造装置
CN219580683U (zh) 一种砂轮加工用磨粉机
JP2984316B2 (ja) 酒造用竪型研削式精米機
US1769806A (en) Apparatus for disintegrating, mixing, aerating, and ejecting sand or the like
JPH01315350A (ja) 竪軸型摩擦切削式精穀機
JPH0771639B2 (ja) 竪軸型摩擦切削式精穀機
JPH01262949A (ja) 竪軸型摩擦切削式精穀機
WO1981001352A1 (en) Dosing apparatus for granular or powder material
JPH07114970B2 (ja) 堅軸型摩擦切削式精穀機
JPS63287560A (ja) 竪軸型摩擦切削式精穀機
JPS6125862Y2 (ko)
JP2707125B2 (ja) 竪軸型摩擦切削式精穀機
JPH07100398A (ja) 研削式竪型精穀機
JPS63302958A (ja) 竪軸型摩擦切削式精穀機
JP2521484B2 (ja) 籾米の脱ぷ方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20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