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192A - 벽 시스템 - Google Patents

벽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192A
KR910001192A KR1019900008239A KR900008239A KR910001192A KR 910001192 A KR910001192 A KR 910001192A KR 1019900008239 A KR1019900008239 A KR 1019900008239A KR 900008239 A KR900008239 A KR 900008239A KR 910001192 A KR910001192 A KR 910001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glide
floor
doo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8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코트 듀고 엘.
맨스필드 앤드류
샐즈맨 마이클
본 후엔 베른하드
본 후엔 에버하드
Original Assignee
원본미기재
크루저 인터내셔널,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본미기재, 크루저 인터내셔널, 인크. filed Critical 원본미기재
Publication of KR910001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192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09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special measures for sound or thermal insulation, including fire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87Partitions with slotted prof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88Details of wi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9Partitions with screw-type jacks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벽 시스템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벽 시스템의 부분 절단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형적인 판넬의 간략한 단부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벽 시스템의 전형적인 판넬을 도시한 것으로 간단히 하기 위해 약간의 부품이 생략된 부분 절단 전면도.

Claims (85)

  1. 플로어 및 천장을 갖고 있는 비교적 큰 공간을 작은 공간으로 간막이하기 위한 벽 시스템에 있어서, 벽 시스템의 윤곽을 정하기 위해 빌딩 플로어에 고정된 플로어 레일장치, 플로어 레일 장치 수직 상부의 천장에 고정된 천장 레일 장치, 및 천장 레일 장치와 플로어 레일 장치 사이의 최소한 1개의 수직 평면에 배열된 다수의 판넬로 구성되고, 각각의 판넬이, 플로어 레일 장치에 의해 안내되기 위해 플로어 상에 지지된 기부 어셈블리 장치, 수직 평면내로 수평축 주위에서 피보트하기 위해 기부 에셈블리 장치상에 피보트 가능하게 지지된 초격자 구조물 장치, 수직 간막이를 발생시키기 위해 초격자 구조물 장치에 어셈블된 덮개 장치, 및 천장 레일 장치에 판넬을 해제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상부 글라이드 어셈블리 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기부 어셈블리 장치가, 플로어 상에 배치되고 플로에 레일 장치에 의해 측방향으로 안내된 기다란 플로어 채널, 초격자 구조물 장치에 접속된 최소한 1개의 기부 글라이드 어셈블리, 및 플로어 채널상에 기부 글라이드 어셈블리를 피보트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클레비스 장치로 구성되므로, 클레비스 장치가 기부 글라이드 어셈블리 및 초격자 구조물 장치가 플로어 채널에 관련해서 피보트 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기부 글라이드 어셈블리가, 클레비스 장치상에 지지되고 초격자 구조물 장치와 정합하는 나삿니를 갖고 있는 기다란 나사, 및 클레비스 장치에 나사를 회전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리벳트 장치로 구성되므로, 초격자 구조물의 높이가 나사를 회전시킴으로써 플로어에 관련해서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기부 어셈블리 장치가, 플로에 레일 장치상에 배치되어 이 레일장치에 의해 안내되는 플로어 조정 채널, 플로어 조정 채널에 고정된 최소한 1개의 제1클레비스, 수평축 주위에서 회전하기 위해 제1클레비스에 장착된 제2클레비스, 초격자 구조물 장치와 결합하는 제2클레비스 및 나삿니에 의해 지지된 헤드를 갖고 있는 기다란 나사, 및 제2클레비스에 나사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리벳트 장치로 구성되므로, 제2클레비스 나사, 리셋트 장치, 및 초격자 구조물 장치가 제1클레비스 및 플로어 조정 채널 주위에서 피보트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기부 어셈블리 장치를 덮기 위해 덮개 장치와 플로어사이에 연장되는 기부 덮개 장치, 및 기부 덮개 장치를 판넬상에 제위치에 보유하기 위해 플로어 채널과 상호동작하기 위해 플로어 채널에 고착된 덮개클립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판넬 초격자 구조물이, 한쌍의 수직 포스트, 서로 선정된 간격을 두고 수직 포스트의 상단부들을 결합시키기 위한 상부 거리 채널 장치, 서로 선정된 간격을 두고 수직 포스트의 하단부들을 결합시키기 위한 하부 거리 채널 장치, 및 기부 어셈블리 장치에 접속시키기 위해 수직 포스트에 고착된 글라이드 블럭 장치로 구성되므로, 수직 포스트 및 상부 거리 채널 장치와 하부 거리 채널 장치가 기부 어셈블리 자치 주위에서 피보트될 수 있는 초격자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해 상호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부 거리 채널 장치가, 선정된 길이의 U형 채널, 및 U형 채널의 각각의 단부내에 끼워져 고착되고, 관련된 수직 포스트와 결합되어 상부거리 채널을 수직 포스트에 결합시키는 최소한 1개의 후크를 형성하고 있는 한쌍의 U형 채널 후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인접 판넬을 해제 가능하게 파지하여 선택된 인접 판넬들을 서로 단단히 상호 접속시키기 위해 선택된 판넬에 장착된 판넬 접속기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제1판넬의 선택딘 수직 포스트에 고착된 최소한 1개의 블럭, 및 판넬 접속기가 제1 및 제2판넬을 서로 상호 접속시키기 위해 제1판넬과 이 제1판넬에 인접한 제2판넬의 수직 포스트들을 파지하는 설치위치와, 판넬 접속기가 제1 및 제2판넬 수직 포스트를 서로 해제시키는 회수 위치사이로 블럭상에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있는, 블럭에 장착된 판넬 접속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판넬 접속기가 장방형 튜브로서 형성되고, 판넬 접속기가 설치 위치에 있을때 제1 및 제2 판넬의 수직 포스트 튜브의 인접 벽들을 파지하기 위한 크기로된 흠이 판넬 접속기에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판넬의 수직 포스트가 각각의 외부 표면을 갖고 있고, 판넬 접속기가 설치 및 회수 위치에 있을때 제1판넬 수직 포스트 외부 표면 너머로 연장되는 외부표면을 판넬 접속기가 갖고 있으며, 판넬 접속기 외부 표면이 제1판넬 수직 포스트 외부표면과 동일 높이에 있는 저장 위치에 판넬 접속기가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시스템.
  12. 제6항에 있어서, 판넬 접속기 장치가, 선택된 판넬의 수직 포스트에 고정된 최소한 1개의 블럭, 슬롯트 및 홈을 내부에 갖고 있는 판넬 접속기, 판넬 접속기를 블럭에 슬라이딩식으로 장착하기 위해 판넬 접속기 슬롯트를 통과하여, 판넬 접속기 홈이 인접 판넬로 부터 원격 배치되는 저장 위치와 판넬 접속기 홈이 근거리에 있는 회수 위치 사이로 판넬 접속기로 슬라이딩할 수 있고, 판넬 접속기 흠이 선택된 인접 판넬들의 상호동작 부분을 파지하여 선택된 인접 판넬들의 상호동작 부분을 파지하여 선택된 인접 판넬들을 서로 상호 접속하는 설치위치로 회수위치로 부터 판넬 접속기를 선택적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인접 판넬을 파지할 수 있는 고정자 장치, 및 판넬 접속기를 설치위치로 부터 회수 위치로 바이어스 시키기 위한 스프링 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시스템.
  13. 제6항에 있어서, 판넬 배열시에 인접 판넬의 수직 포스트를 선택적으로 파지 및 해제시키기 위해 글라이드 블럭 장치에 장착된 판넬 접속기 장치를 포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시스템.
  14. 제6항에 있어서, 하부 거리 채널 장치가 최소한 1개의 외향 연장 선반을 형성하고 있고, 덮개 장치가 하부 거리 채널 장치 선반상에 지지되고 초격자 구조물에 제거가능하게 어셈블리되어 스팬되는 불투명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시스템.
  15. 제6항에 있어서, 덮개 장치가, 제1종방향 연장 공간을 정하기 위해 상부 거리 채널 장치에 부착된 제1덮개장치, 제2종방향 연장 공간을 정하기 위해 하부 거리 채널 장치에 부착된 제2덮개 장치, 제3종방향 연장 공간을 정하기 위해 하부 거리 채널 장치에 부착된 제2덮개 장치, 상부 거리 채널 장치, 하부 거리 채널 장치, 및 수직 포스트 상의 제1, 제2 및 제3종방향 연장 공간에 각각 배치된 밀봉장치, 및 밀봉 장치내에 수용되고 초격자 구조물에 스팬되어 투명 판넬을 발생시키는 유리 페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제1덮개 장치가 초격자 구조물 상부거리 채널 장치에 부착된 한쌍의 기다란 제1성형 클립과, 각각의 제1성형 클립에 보유되고, 제1종방향 연장 공간을 발생시키기 위해 간격을 두고 배치된 각각의 레그를 갖고 있는 한쌍의 제1장식 덮개로 구성되고, 제2덮개 장치가 하부 거리 채널장치에 부착된 한쌍의 기다란 제2채널 장치에 부착된 한쌍의 기다란 제2성형 클립과, 각각의 제2성형 클립에 부착되고, 제2종방향 연장 공간을 발생시키기 위해 간격을 두고 배치된 각각의 레그를 갖고 있는 한쌍의 제2장식 덮개로 구성되며, 한쌍의 기다란 제3성형 클립이 각각의 초격자구조물 수직 포스트에 부착되고, 한쌍의 제3장식 덮개가 각각의 수직 포스트상의 각각의 제3성형 클립에 함유되며, 각각의 수직 포스트상의 한쌍의 제3장식 덮개가 수직 포스트상의 종방향 연장 공간을 발생시키기 위해 분리된 각각의 레그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시스템.
  17. 제1항에 있어서, 상부 글라이드 어셈블리 장치가, 초격자 구조물 장치에 고정된 최소한 1개의 글라이드 블럭, 글라이드 블럭내에 나사식으로 들어온 조정 바렐, 천장 레일 장치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조정 바렐내에 슬라이딩식으로 수용된 글라이드 시트 장치, 및 조정 바렐 외부에 천장 레일 장치와 결합하게 글라이드 시트 장치를 바이어스시키기 위한 스프링 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글라이드 시트 장치가, 조정 바렐내에 슬라이딩식으로 수용되고 이에 선택적으로 나사식으로 조여질 수 있는 로드 장치, 및 로드에 결합되고 천장 레일 장치와 결합하도록 형성된 글라이드 시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시스템.
  19. 제6항에 있어서, 상부 글라이드 어셈블리가, 상부 거리 채널에 인접한 최소한 1개의 초격자 구조물 수직 포스트에 고착된 글라이드 블럭, 글라이드 블럭에 나사식으로 조연진 제1나삿니와, 제2나삿니를 갖고 있는 조정 바렐, 조정 바렐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고 조정 바렐의 제2나삿니와 선택적으로 정합하기 위한 나삿니를 갖고 있는 로드장치, 로드 장치에 결합되고 천장 레일 장치와 결합하도록 형성된 글라이드 시트, 및 조정 바렐로 부터 멀리 천장레일 장치와 결합하게 로드 장치와 글라이드 시트를 바이어스시키기 위한 장치로 구성되고, 조정 바렐과 글라이드 시트가 초격자 구조물 및 천장 레일 장치에 관련해서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시스템.
  20. 제1항에 있어서, 판넬이 천장 레일 장치에 결합될때 상부 글라이드 어셈블리 장치를 조정가능하게 덮기위해 초격자 구조물 장치로 부터 천장까지 연장되는 천장 덮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시스템.
  21. 제17항에 있어서, 판넬 초격자 구조물 장치내에 보유된 덮개 홀더, 글라이드 시트 장치상에 포획된 덮개 클립, 및 덮개 홀더와 덮개 클립 사이에 보유되고, 판넬이 천장 레일장치에 결합될때 상부 글라이드 어셈블리 장치를 덮기 위해 초격자 구조물 장치와 천장 사이로 연장되는 최소한 1개의 천장 덮개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천장 덮개 어셈블리가 덮개 홀더상에 보유된 제1천장 덮개와, 덮개 클립상에 보유된 제2천장 덮개로 구성되고, 제1 및 제2천장 덮개는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질수 있어, 초격자 구조물 장치와 천장 사이의 거리 변화를 허용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시스템.
  23. 제1항에 있어서, 서로 거의 직각으로 선택된 판넬들을 상호접속시키기 위한 포스트 장치를 포함하고, 이 포스트 장치가, 직립 모서리 소프트, 모소리 포스트의 상단부 하단부에 고착된 상부 및 하부 캡 어셈블리, 및 플로어 상에 모서리 포스트를 조정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포스트 안내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포스트 글라이드 장치가, 플로어 플레이트, 플로어 플레이트상에 지지된 헤드를 갖고 있고 하부 캡 어셈블리내에 수용된 나사를 갖고 있는 기다란 글라이드, 및 플로어 플레이트에 기부 글라이드를 회전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리벳트 장치로 구성되므로, 플로어의 모서리 포스트의 높이가 기부 글라이드를 회전시킴으로써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시스템.
  25. 제6항에 있어서, 각각의 판넬 수직 포스트가 각각의 외부 표면을 갖고 있어, 제1판넬 수직 포스트의 선택된 외부 표면이 제1 및 제2판넬이 수직 평면에 배열될때 인접한 제2판넬 수직 포스트의 선택된 외부표면과 코프래너로 되고, 종방향 중심선을 갖고 있는 제3판넬의 제1 및 제2판넬에 거의 수직으로 배열되어, 제3판넬 종방향 중심선이 제1 및 제2판넬의 수직 포스트의 선택된 외부 표면의 평면과 동일하게 되며, 브라켓트가 이것의 수직포스트의 코프래너 선택 외부 표면 근처의 제1 및 제2판넬 중의 최소한 한 판넬에 장착되고, 판넬 접속기 장치가 브라켓트를 해제가능하게 파지하기 위해 제3판넬에 장착되므로, 제3판넬의 판넬들의 수직면에 직각으로 설치될 수 있고 각각의 제3판넬들의 종방향 중심선이 이것의 수직평면내의 판넬들이 각각의 선택된 코프래너 단부와 일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시스템.
  26. 제23항에 있어서, 모서리 포스트에 고착된 상부 및 하부 캡 어셈블리중의 최소한 한 어셈블리를 선택적으로 파지 및 해제하여 선택된 파넬과 모서리 포스트를 서로 단단히 상호 접속시키기 위해 모서리 포스트에 인접한 선택된 파넬에 장착된 판넬 접속기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시스템.
  27. 제1항에 있어서, 직립 모서리 포스트, 모서리 포스트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고착되고 최소한 1개에 최소한 1개의 직립 립이 형성되는 상부 및 하부 캡 어셈블리플 로어상에 모서리 포스트를 조정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포스트 글라이드 장치, 및 형성된 모서리 포스트 캡 어셈블리의 직립 립을 선택적으로 파지 및 해제하여 모서리 포스트와 인접 판넬을 서로 단단히 성호접속 시키기 위해 모서리 포스트에 인접하게 배열된 판넬의 초격자 구조물에 장착된 판넬 접속기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벽 시스템.
  28. 제27항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 캡 어셈블리 중의 최소한 1개의 어셈블리가 최소한 2개의 직립 립을 형성하고 있고, 판넬 접속기 장치가 형성된 모서리 포스트 캡 어셈블리상의 각각의 직립 립을 선택적으로 파지 및 해제시키기 위해 모서리 포스트에 인접하게 배열된 2개의 판넬의 초격자 구조물에 장착되므로, 최소한 2개의 판넬이 모서리 포스트에 단단히 상호접속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시스템.
  29. 제26항에 있어서, 수직 포스트들 중의 최소한 1개의 포스트의 일부분을 중첩시키기 위해 인접한 판넬 초격자 구조물의 수직 포스트들 사이에 삽입된 가스켓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시스템.
  30. 제8항에 있어서, 선택되고 인접한 판넬들 사이에 삽입된 최소한 1개의 가스켓을 포함하고, 이 가스켓이 삽입된 최소한 1개의 가스켓을 포함하고, 이 가스켓이 판넬 접속기 장치가 선택되고 인접한 판넬들과 서로 상호 접속할때 판넬 접속기 장치에 의해 파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시스템.
  31. 제1항에 있어서, 도어 프레임, 도어 상에 도어 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한 제1도어 프레임 글라이드 어셈블리 장치, 플로어 상기 도어 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한 제2도어 프레임 글라이드 어셈블리 장치, 천장 레일 장치에 도어 프레임을 해제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상부 글라이드 어셈블리 장치, 도어, 및 도어 프레임에 도어를 스윙식으로 장작하기 위한 장치로 구성된 도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시스템.
  32. 제31항에 있어서, 도어프레임이, 각각의 슬롯트를 내부에 갖고 있는 제1 및 제22수직 포스트, 및 수직 포스트의 상단부와 결합하는 상부거리 채널 어셈블리로 구성되고, 이 상부 거리 채널 어셈블리가, 선정된 길이의 상부 거리 채널, 및 상부 거리 채널의 각각의 단부에 고착되고, 수직 포스트 내의 슬롯트와 결합하여 상부 거리 채널 어셈블리와 수직 포스트를 3-측면 프레임내에 결합시키는 각각의 후크를 갖고 있는 채널 후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시스템.
  33. 제31항에 있어서, 배열의 인접 판넬을 해제가능하게 파지하여 도어 프레임과 인접 판넬을 서로 단단히 상호 접속시키기 위해 도어 프레임에 장착된 판넬 접속기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시스템.
  34. 제32항에 있어서, 제1도어 프레임 글라이드 어셈블리가 제1수직 포스트에 고착된 글라이드 블럭, 제1수직 포스트 아래의 플로어 상에 지지된 플로어 플레이트, 플로어 플레이트상에 지지되고 제1수직 포스트내에 글라이드 블럭내에 나삿니식으로 수용된 헤드를 갖고 있는 기다란 제1글라이드, 및 플로어 플레이트에 글라이드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시키기 위한 리벳트 장치로 구성되므로, 플로어 위의 도어 프레임 제1수지 포스트의 높이가 제1글라이드를 호전시킴으로써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시스템.
  35. 제32항에 있어서, 제2도어 프레임 글라이드 어셈블리 장치가, 원통 부분과, 이 원통부분에 좌우되고, 플로어와 접촉하고 플로어 위에 원통 부분을 지지하는 각각의 팁에서 종료되는 다수의 돌출부를 갖고 있는 충돌 하부, 충돌 하부상에 지지되고 도어 프레임 제2수직 포스트내의 글라이드 블럭내에 나사식으로 수용된 헤드를 갖고 있는 기다란 제2글라이드, 및 충돌하부에 글라이드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시키기 위한 리벳트 장치로 구성되므로, 플로어 위의 도어프레임 제2수직 포스트의 높이가 제1글라이드를 회전시킴으로써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시스템.
  36. 제31항에 있어서, 상부 글라이드 어셈블리 장치가, 도어 플레임에 고착된 최소한 1개의 글라이드 블럭, 글라이드 블럭내에 나사식으로 조여진 조정 바렐, 중심 레일 장치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조정 바렐내에 슬라이딩식으로 수용된 글라이드 시트 장치, 및 조정 블럭 외부에 천장 레일 장치와 결합하여 글라이드 시트 장치를 바이어스 시키기 위한 스프링 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시스템.
  37. 제31항에 있어서, 도어 프레임에 도어를 스윙식으로 장착하기 위한 장치가, 도어 프레임에 도어의 상부를 탄성적으로 장착하기 위한 상부 피보트 홀더 장치, 및 플로어에 관련해서 도어의 하부 위치를 수평 및 수직적으로 조정하기 위한 하부 피보트 홀더 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벽 시스템.
  38. 제37항에 있어서, 상부 피보트 홀더 장치가, 도어 프레임에 고착된 베어링 장치, 도어의 상부내의 개구에 슬라이딩식으로 삽입된 제1단부와, 도어 프레임내의 베어링 장치내에서 회전하기 위해 수용되고, 관통하여 연장되는 램프식 슬롯트가 형성되어 있는 제2단부를 갖고 있는 상부 핀, 및 도어 외부의 상부핀을 바이어싱시키기 위한 스프링 장치로 구성되므로, 상부핀 제2단부가 슬롯트 램프를 향해 힘을 가함으로써 스프링 장치를 향해 베어링 장치이외로 도어 내부로 슬라이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시스템.
  39. 제38항에 있어서, 상부 핀 제1단부 및 도어의 상부내에 개구가 각각 장방형 단면을 갖고 있으므로, 상부핀이 도어내로 삽입된 후에도 상부 핀 램프식 슬롯트가 선정된 배향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시스템.
  40. 제37항에 있어서, 하부 피보트 홀더 장치가, 플로어 플레이트, 플로어 플레이트를 통과하는 볼트, 볼트상에 나사식으로 조여지고 샤프트 단부를 갖고 있는 피보트 너트 및 피보트 너트 샤프트 단부를 수용하기 위해 도어의 하부에 장착된 베어링 장치로 구성되므로, 플로어 위의 도어의 높이가 볼트상의 피보트 너트를 회전시킴으로써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시스템.
  41. 제37항에 있어서, 하부 피보트 홀더 장치가, 관통하는 수직 배향 슬롯트와 이를 따르는 수평 배향 흠을 갖고 있는 플로어 플레이트, 플레이트 슬롯트를 통해 연장도는 나사와, 볼트에 고착수용되고 플로어 플레이트 흠에 의해 회전하지 못하게 되는 플레이트를 갖고 있는 볼트, 볼트 나사에 나사식으로 조여진 제1단부와, 짧은 샤프트로서 생성된 제2단부를 갖고 있는 피보트 너트, 및 짧은 피보트 너트 샤프트를 수용하기 위해 도어의 하부에 있는 베어링 장치로 구성되므로, 플로어 위의 도어의 높이가 볼트상의 피보트 너트를 회전시킴으로써 조정될 수 있고, 도어의 하부가 플로어 플레이트 슬롯트와 플로어 플레이트 흠내의 볼트 및 플레이트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시스템.
  42. 제6항에 있어서, 판넬 초격자 구조물이 사부 거리 채널 장치 아래의 선정된 위치에 있는 수직 포스트들사이로 연장되고 이 포스트들에 결합된 중심 거리 채널 장치를 포함하고, 덮개 장치가, 수직 포스트와 하부 및 상부 거리 채널 장치 사이의 초격자 구조물에 어셈블되고 이 구조물을 스팬하는 불투명 덮개, 및 수직 포스트와 상부 및 중심거리 채널 장치 사이의 초격자 구조물에 어셈블되고 이 구조물을 스팬하는 투명덮개로 구성되며, 투명덮개가, 제1종방향 연장 공간을 정하기 위해 상부 거리 채널 장치에 부착된 제1장식 덮개 장치, 제2종방향 공간을 정하기 위해 상부 거리 채널 장치에 부착된 제2장식 덮개 장치, 제3종방향 연장 공간을 각각 정하기 위해 상부와 중심 거리 채널 장치 사이의 수직 포스트에 부착된 제3장식 덮개 장치, 제1, 제2 및 제3종방향 연장 공간내에 배치된 밀봉 장치, 및 밀봉 장치내에 수용되고, 수직 포스트와 상부 및 중심 거리 채널 장치사이의 초격자 구조물을 스팬하여 통풍창 판넬을 발생시키는 유리 페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시스템.
  43. 제10항에 있어서, 판넬 초격자 구조물 수직 포스트 튜브가 대향벽내에 다수의 수직 배열된 슬롯트를 형성하고 있고, 판넬 초격자 구조물이 또한 수직 포스트 슬롯트를 통한 광 전송을 차단사키기 위해 수직 포스트내에 삽입된 비밀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시스템.
  44. 초격자 구조물, 간막이를 발생시키기 위해 초격자 구조물을 피보트 식으로 지지하기 우한 기부 장치, 및 천장에 초격자 구조물을 해제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상부 안내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진 벽 판넬.
  45. 제44항에 있어서, 기부장치가, 플로어 상에 배치된 기다란 플로어 채널 초격자 구조물에 접속된 최소한 1개의 기부 글라이드 어셈블리, 및 플로어 채널상에 기부 글라이드 어셈블리를 피보트식으로 지지하기 위한 클레비스 장치로 구성되므로, 초격자 구조물 및 기부 글라이드 어셈블리가 플로어 및 플로어 채널에 관련해서 피보트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판넬.
  46. 제45항에 있어서, 기부 글라이드 어셈블리, 클레비스 장치상에 지지되고, 초격자 구조물과 정합하는 나삿니를 갖고 있는 기다란 나사, 및 클레비스 장치에 나사를 회전식으로 장착하기 위한 리벳트 장치로 구성되므로, 초격자 구조물 장치의 높이가 나사를 회전시킴으로써 플로어에 관련해서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판넬.
  47. 제45항에 있어서, 기부 장치를 덮기 위해 덮개 장치와 플로어 사이로 연장되는 기부 덮개 장치, 및 판넬내의 제위치에 기부 덮개 장치를 보유하도록 상호동작하기 위해 플로어 채널에 고착된 덮개 클립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판넬.
  48. 제44항에 있어서, 판넬 초격자 구조물이, 한쌍의 수직 포스트, 선정된 간격을 두고 수직 포스트들의 상단부들을 결합시키기 위한 상부 거리 채널 장치, 선정된 거리를 두고 수직 포스트의 하단부들을 결합시키기 위한 하부 거리 채널 장치, 및 기부장치에 접속시키기 위해 수직 포스트에 고착된 글라이드 블럭장치로 구성되므로, 수직 포스트와 상부 거리 채널 장치 및 하부 거리 채널 장치가 기부 장치 주위에서 피보트할 수 있는 초격자 구조물을 형성하도록 상호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판넬.
  49. 제48항에 있어서, 상부 거리 채널 장치가 선정된 길이의 제1U형 채널, 및 U형 채널의 각각의 단부내에 끼워져 고착되고, 수직 포스트에 상부거리 채널을 결합시키도록 관련된 수직 포스트와 결합하는 최소한 1개의 후크가 형성된 한쌍의 제1U형 채널 후크로 구성되고, 하부 거리 채널 장치가, 선정된 길이의 제2U형 채널, 및 U형 채널의 각각의 단부내에 끼워져 고착되고 수직 포스트에 하부거리 채널을 결합시키도록 관련된 수직 포스트와 결합하는 최소한 1개의 후크가 형성된 한쌍의 제2U형 채널 후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판넬.
  50. 제44항에 있어서, 초격자 구조물에 고착된 최소한 1개의 블럭, 및 판넬 접속기 장치가 인접 판넬의 선택된 부분을 파지할 수 있는 설치위치와, 판넬 접속기 장치가 인접 판넬의 선택된 부분을 해제시키기 위한 회수 위치사이에 배치되기 위해 블럭에 장착되어, 판넬이 인접 판넬과 선택적으로 인터록크되거나 인접판넬로부터 해제되게 하는 판넬접속기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판넬.
  51. 제48항에 있어서, 최소한 1개의 수직 포스트에 고착된 블럭, 슬롯트 및 흠을 내부에 갖고 있는 판넬 접속기, 판넬 접속기 슬롯트를 통과하고 블럭에 판넬 접속기를 슬라이딩식으로 장착시키는 고정자 장치, 및 판넬 접속기를 설치위치로부터 해제위치에 바이어싱시키기 위한 스프링 장치로 구성되고, 판넬 접속기가 판넬 접속기 흠이 인접 벽 판넬의 수직 포스트로 부터 원격 배치된 저장 위치와, 판넬 접속기 흠에 부근에 있는 회수 위치사이로 할 수 있고, 판넬 접속기 흠이 판넬 및 인접 판넬의 수직 포스트이 상호 동작 부분을 파지하여 수직 포스트의 상호 동작 부분을 파지하여 판넬과 인접 판넬을 서로 상호 접속시키는 설치위치로 회수위치로 부터 판넬 접속기를 선택적으로 유도하기 위해 인접 벽판넬의 수직 포스트를 파지할 수 있으므로, 판넬 및 인접 판넬이 선택적으로 상호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판넬.
  52. 제48항에 있어서, 하부 거리 채널 장치가 최소한 1개의 외향연장 선반을 형성하고 있고, 덮개 장치가 하부 거리 채널 장치선반 상에 지지되고 초격자 구조물에 제거가능하게 어셈블되어 스팬되는 불투명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판넬.
  53. 제48항에 있어서, 덮개 장치가 제1종방향 연장 공간을 정하기 위해 상부 거리 채널 장치에 부착된 제1덮개 장치, 제2종방향 연장 공간을 정하기 위해 하부 거리 채널 장치에 부착된 제2덮개 장치, 제3종방향 연장 공간을 각각 정하기 위해 초격자 구조물의 수직 포스트에 부착된 제3덮개 장치, 상부거리 채널 장치, 하부거리 채널장치, 및 수직 포스트상의 제1, 제2 및 제3종방향 연장 공간에 각각 배치된 밀봉 장치, 및 밀봉 장치에 수용되고 초격자 구조물에 스팬되어 투명 판넬을 발생시키는 유리 페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판넬.
  54. 제44항에 있어서, 상부 글라이드 장치가, 초격자 구조물에 고착된 최소한 1개의 글라이드 블럭, 글라이드 블럭에 나사식으로 조여진 조정 바렐, 천장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조정 바렐내에 슬라이딩식으로 수용하는 글라이드 시트 장치, 및 조정 바렐 외부에 천장과 결합하여 글라이드 시트 장치를 바이어싱시키기 위한 스프링 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판넬.
  55. 제54항에 있어서, 글라이드 시트 장치, 조정 바렐내에 슬라이딩식으로 수용되고, 이에 선택적으로 나사식으로 조여질 수 있는 로드, 및 로드에 결합되고 천장과 결합하도록 형성된 글라이드 시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판넬.
  56. 제48항에 있어서, 상부 글라이드 장치가, 상부 거리 채널 장치에 인접한 최소한 1개의 초격자 구조물 수직 포스트에 고착된 글라이드 블럭, 글라이드 블럭내에 나사식으로 조여진 제1나사와, 제2나사를 갖고 있는 조정 바렐, 조정 바렐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고, 조정 바렐의 제2나사와 독립적으로 정합하기 위한 나사를 갖고 있는 로드 장치, 로드 장치에 결합되고, 천장과 결합하도록 형성된 글라이드 시트, 및 조정 바렐로부터 떨어지고 천장과 결합하여 로드 장치와 글라이드 시트를 바이어스시키기 위한 장치로 구성되므로, 조정바렐과 글라이드 시트가 판넬 초격자 구조물과 천장에 관련해서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판넬.
  57. 제44항에 있어서, 판넬이 천장에 결합될때 상부 글라이드 장치를 조정 가능하게 덮기 위해 초격자 구조물로 부터 천장까지 연장되는 천장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틀징으로 하는 벽 판넬.
  58. 제54항에 있어서, 판넬 초격자 구조물내에 보유된 덮개 홀더, 글라이드 시트 장치상에 포획된 덮개 클립, 및 덮개 홀더와 덮개 클립에 의해 보유되고, 판넬이 천장에 결합될때 상부 글라이드 장치를 덮기 위해 초격자 구조물과 천장사이로 연장되는 최소한 1개의 천장 덮개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판넬.
  59. 제58항에 있어서, 천장 덮개 어셈블리가 덮개 홀더내에 보유된 제1천장 덮개, 및 덮개 클립상에 보유된 제2천장 덮개로 구성되고, 제1 및 제2천장 덮개는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초격자 구조물과 천장 사이의 거리 변화를 허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판넬.
  60. 제48항에 있어서, 판넬 수직 포스트가 장방형 튜브로서 형성되고, 판넬 수직 포스트 튜브가 대향 벽내에 다수의 슬롯트를 형성하고 있으며, 판넬 초격자 구조물이 수직 포스트내의 슬롯트를 통한 광전송을 방지하기 위해 수직 포스트내에 삽입된 비밀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판넬.
  61. 제48항에 있어서, 판넬 초격자 구조물이 상부거리 채널 장치와 하부거리 채널장치 사이의 선정된 위치에 있는 포스트들 사이로 연장되고 이 포스트들에 결합하기 위한 중심거리 채널 장치를 포함하고, 덮개 장치가, 수직 포스트와 하부 및 중심 거리 채널 장치 사이의 초격자 구조물에 어셈블되고 이 구조물을 스팬하는 불투명 덮개, 및 수직 포스트와 상부 및 중심거리 채널 장치사이의 초격자 구조물에 어셈블되고 이 구조물을 스팬하는 투명덮개로 구성되며, 투명 덮개가, 제1종방향 연장 공간을 정하기 위해 상부 거리 채널 장치에 부착된 제1덮개 장치, 제2종방향 연장 공간을 정하기 위해 중심거리 채널 장치에 부착된 제2덮개 장치, 제3종방향 연장 공간을 정하기 위해 수직 포스트에 부착된 제3덮개 장치, 상부 및 중심 거리 채널 장치와 수직 포스트의 종방향 연장 공간에 배치된 밀봉장치, 및 밀봉장치내에 수용되고, 상부 및 중심 거리 채널 장치 사이의 초격자 구조물을 스팬하여 통풍창 판넬을 발생시키는 유리 페닌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판넬.
  62. 비-점진 벽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모서리 포스트가, 직립 포스트, 모서리 포스트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고착된 상부 및 하부 캡 어셈블리, 및 플로어 상에 모서리 포스트에 조정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포스트 글라이드 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포스트.
  63. 제62항에 있어서, 포스트 글라이드 장치가, 플로어 플레이트, 플로어 플레이트상에 지지된 헤드로, 하부 캡 어셈블리내에 수용된 나삿니를 갖고 있는 기다란 기부 글라이드, 및 플로어 플레이트에 기부 글라이드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리벳트장치로 구성되므로, 플로어 위의 모서리 포스트의 높이가 기부 글라이드를 회전시킴으로써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포스트.
  64. 제62항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 캡 어셈블리 중의 최소한 1개의 어셈블리가 다른 2개의 선택된 구성 부품과 모서리 포스트를 인터록크하기 위해 비-점진 벽 시스템의 2개의 선택된 다른 구성부품과 상호동작 하기 위한 2개의 직립 립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포스트.
  65. 제62항에 있어서, 켑어셈블리중의 최소한 1개의 어셈블리가 다른 3개의 구성 부품과 모서리 포스트를 인더록크하도록 비-점진 벽 시스템의 최소한 3개의 선택된 다른 구성부품과 상호 동작하기 위해 최소한 3개의 직립 립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포스트.
  66. 비-점진 벽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도어 모듈에 있어서, 도어 프레임, 플로어 상에 도어 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한 제1도어 프레임 글라이드 장치, 플로어 상에 도어 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한 제2도어 프레임 글라이드 장치, 천장에 도어프레임을 해제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상부 글라이드 장치, 도어, 및 도어 프레임에 도어를 스윙식으로 장착하기 위한 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도어모듈.
  67. 제66항에 있어서, 도어 프레임이, 각각 수직 슬롯트를 갖고 있는 제1 및 제2수직 포스트, 및 수직 단부의 상단부를 결합하는 상부 거리 채널 어셈블리로 구성되고, 이 상부거리 채널 어셈블리가, 선정된 길이의 상부 거리 채널, 및 상부 거리 채널의 각각의 단부에 고정도고, 상부 거리 채널 어셈블리 및 수직 포스트를 3-측면 프레임에 결합시키기 위해 수직 포스트내의 수직 슬롯트와 결합하는 각각의 후크를 갖고 있는 채널 후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모듈.
  68. 제66항에 있어서, 도어 모듈에 인접한 비-점진 벽 시스템의 선택된 구성부품을 해제 가능하게 파지하여, 도어 프레임 및 인접한 선택 구성부품을 단단히 인터 록크시키기 위해 도어 프레임에 장착된 판넬 접속기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모듈.
  69. 제67항에 있어서, 제1도어 프레임 글라이드 장치가, 제1수직 포스트에 고착된 글라이드 블럭, 제1수직 포스트 아래의 플로어상에 지지된 플로어 플레이트, 플로어 플레이트 상에 지지되고 제1수직 포스트내의 글라이드 블럭내에 나사식으로 수용된 헤드를 갖고 있는 기다란 제1글라이드 및 플로어 플레이트에 제1글라이드를 회전식으로 장착시키기 위한 리벳트 장치로 구성되므로, 접지위의 도어 프레임 제1수직 포스트의 높이가 제1글리아드를 회전시킴으로써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모듈.
  70. 제67항에 있어서, 제2도어 프레임 글라이드 장치가, 제2수직 포스트에 고착된 글라이드 블럭, 플로어와 접촉해 있는 충돌 하부, 충돌하부상에 지지되고 제2수직 포스트내의 글라이드 블럭 내에 나사식으로 수용된 헤드를 갖고 있는 기다란 제2글라이드, 및 충돌하부에 제2글라이드를 회전식으로 장착하기 위한 리벳트 장치로 구성되므로, 플로어 위의 도어 프레임 제2수직 포스트의 높이가 제2글라이드를 회전시킴으로써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모듈.
  71. 제70항에 있어서, 충돌 하부가 글라이드 헤드 밑에 있어 이 헤드를 지지하는 원통부분과, 원통 부분에 결합되고 이 원통부분에 좌우되는 다수의 돌출부로 구성되고, 이 다수의 돌출부는 플로어와 접촉하고 플로어 위의 원통부분을 지지하는 각각의 팁 내에서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모듈.
  72. 제67항에 있어서, 상부 글라이드 장치가, 도어 프레임에 고착된 최소한 1개의 글라이드 블럭, 글라이드 블럭에 나사식으로 조여진 조정 바렐, 천장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 조정 바렐내에 슬라이딩식으로 수용된 글라이드 시트 장치, 및 조정 바렐 외부에 천장과 결합하여 글라이드 시트 장치를 바이어싱시키기 위한 스프링 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모듈.
  73. 제67항에 있어서, 도어 프레임에 도어를 스윙식으로 장착하기 위한 장치가, 도어 프레임에 도어의 상부를 탄성적으로 장착하기 위한 상부 피보트 홀더장치, 및 플로어에 관련해서 도어의 하부 위치를 수평 및 수직으로 조정하기 위한 하부 피보트 홀더 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모듈.
  74. 제73항에 있어서, 하부 피보트 홀더 어셈블리 장치가, 도어 프레임에 고정된 베어링 장치, 도어 상부내의 개구내로 슬라이딩식으로 삽입된 제1단부와, 도어 프레임내의 베어링 장치에서 회전하기 위해 수용하고 램프식 슬롯트를 형성하고 있는 제2단부를 갖고 있는 상부 핀, 및 도어 외부에 상부핀을 바이어싱시키기 위한 스프링 장치로 구성되므로, 상부핀 제2단부가 슬롯트램프를 누르는 힘을 인가함으로써 스프링 장치를 대향해 베어링 장치 외부로 도어내로 슬라이드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모듈.
  75. 제74항에 있어서, 상부핀 제1단부와 도어의 상부내의 개구가 장방형 단면을 갖고 있으므로, 상부핀이 도어 개구내로 삽입된 후에 상부핀 램프식 슬롯트가 선정된 배향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모듈.
  76. 제73항에 있어서, 하부 피보트 홀더 장치가, 플로어 플레이트, 플로어 플레이트를 통과하는 볼트, 볼트상에 나사식으로 조여지고 샤프트 단부를 갖고 있는 피보트 너트, 및 피보트 너트 샤프트 단부를 수용하기 위해 도어의 하부에 장착된 베어링 장치로 구성되므로, 플로어 위의 도어의 높이가 볼트상의 피보트 너트를 회전시킴으로써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모듈.
  77. 제73항에 있어서, 하부 피보트 홀더 장치가, 수직으로 배향된 슬롯트와 수평으로 배향된 흠을 갖고 있는 플로어 플레이트, 플레이트 슬롯트를 통해 연장되는 나삿니와, 볼트에 고착되고 플로어 플레이트 흠에 의해 수용되어 회전하지 못하게 하는 플레이트를 갖고 있는 볼트, 볼트 나삿니상에 나사식으로 조여진 제1단부와, 짧은 샤프트로서 형성된 제2단부를 갖고 있는 피보트 너트, 및 짧은 피보트 너트 샤프트를 수용하기 위해 도어의 하부내에 있는 베어링 장치로 구성되므로, 플로어 위의 도어의 높이가 볼트상의 피보트너트를 회전시킴으로써 조정될 수 있고, 도어의 하부가 플로어 플레이트 슬롯트내의 볼트 및 플로어 플레이트 흠내의 볼트 플레이트를 슬라이딩 함으로써 수평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모듈.
  78. 플로어 및 천장을 갖고 있는 빌딩내의 비-점진 벽 시스템의 판넬을 직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빌딩 천장에 천장 레일을 고정시키는 수단, 기부 어셈블리, 수평 축 주위에서 기부 어셈블리에 관련해서 회전하기 위해 기부 어셈블리상에 지지된 초격자 구조물, 및 초격자 구조물에 장착된 최소한 1개의 상부 글라이드 어셈블리를 갖고 있는 판넬을 제공하는 수단, 천장 레일 밑의 빌딩 플로어상에 기부 어셈블리를 배치하는 수단, 기부 어셈블리 주위의 초격자 구조물을 수직 위치로 피보팅하는 수단 및 천장레일에 상부 글라이드 어셈블리를 결합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9. 제78항에 있어서, 상부 글라이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수단이, 초격자 구조물내로 조정가능하게 나사식으로 조여질 수 있는 조정 바렐을 제공하는 단계, 조정 바렐 내에 선택적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고 조정바렐내에 나사식으로 조여질 수 있는 글라이드 시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단계, 및 조정 바렐 외부에 글라이드 시트 어셈블리를 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을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0. 제79항에 있어서, 상부 글라이드 어셈블리를 천장 레일에 결합시키는 수단이, 초격자 구조물내에 부분적으로 조정 바렐을 나사식으로 조이는 수단, 조정 바렐 내에 글라이드 시트 어셈블리를 나사식으로 조이는 수단, 초격자 구조물이 수직위치에 피보트된 후에 천장 레일 밑에 글라이드 시트 어셈블리를 배치시키는 수단, 천장레일 밑에 글라이드 시트 어셈블리를 유지시키고 조정 바렐로 부터 글라이드 시트 어셈블리를 분리시키는 수단, 및 천장 레일과 결합된 접속시에 글라이드 시트 어셈블리를 슬라이딩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1. 제80항에 있어서, 초격자 구조물의 외향으로 조정 바렐을 나사식으로 조이는 수단 및 글라이드 시트 어셈블리를 분리시키어, 천장 레일을 대향해서 조정 바렐 및 글라이드 시트 어셈블리를 록크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2. 제78항에 있어서, 판넬 초격자 구조물상에 최소한 1개의 판넬 접속기를 제공하는 수단, 판넬이 수직 위치로 피보트 되기전에 초격자 구조물이 주변부재에 있는 저장 위치로 판넬 접속기를 슬라이딩 시키는 수단, 초격자 구조물이 수직 위치로 피보트된 후에 판넬 접속기가 부분적으로 초격자 구조물이 주변부 외측에 있는 회수 위치로 판넬 접속기를 슬라이딩시키는 수단, 및 판넬 접속기가 인접 수직 판넬의 초격자 구조물을 파지하여 판넬 및 인접 판넬의 초격자 구조물들을 서로 상호 접속시키는 설치위치에 판넬 접속기를 고정시키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벽 시스템내의 인접 판넬을 인터록킹시키는 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3. 제78항에 있어서, 초격자 구조물에 기부 어셈블리를 나삿니식으로 접속시키는 글라이드를 제공하는 수단, 및 플로워의 초격자 구조물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해 글라이드를 회전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4. 도어 프레임으로 부터 도어를 제거시키는 방법이, 수직축 주위에서 회전시키기 위해 도어의 하부를 스윙식으로 지지하도록 도어 하부 피보트 홀더를 제공하는 수단, 도어 위의 도어 프레임내에 베어링을 제공하는 수단, 도어의 상부에 슬라이딩할 수 있고 램프식 슬롯트를 내부에 갖고 있는 상부핀을 제공하는 수단, 도어프레임내의 베어링내에 회전 장착 관계로 상부핀 램프식 슬롯트를 향해 힘을 인가하는 수단으로 포함하므로, 도어의 상부가 도어 프레임으로부터 떨어져 경사지게 될 수 있고, 상부핀이 도어내로 슬라이드 될때 도어가 하부 피보트 홀더외부로 들어올려지고 도어 프레임으로 부터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5. 도어를 선택된 개방 또는 폐쇄위치에 바이어싱 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플로어 플레이트와, 이 플로어 플레이트내로 슬라이드될 수 있는 피보트 너트를 제공하는 수단, 피보트 너트상에 도어의 하부를 회전식으로 지지하는 수단, 도어가 선택된 개방 또는 폐쇄 위치에 바이어스되는 위치로 플로어 플레이트를 따라 피보트 너트를 슬라이딩시키는 수단, 및 플로어 플레이트에 피보트 너트를 록킹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00008239A 1989-06-02 1990-06-02 벽 시스템 KR9100011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60,861 1989-06-02
US07/360,861 US5159793A (en) 1989-06-02 1989-06-02 Wall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1192A true KR910001192A (ko) 1991-01-30

Family

ID=23419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8239A KR910001192A (ko) 1989-06-02 1990-06-02 벽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159793A (ko)
EP (1) EP0400804B1 (ko)
KR (1) KR910001192A (ko)
CA (1) CA1332864C (ko)
DE (1) DE69013400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1123A (ko) 2018-11-03 2020-05-13 고진건 자동으로 넘어가는 책받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21756A1 (de) * 1990-07-07 1992-01-16 Raymond A Kg Verriegelungselement fuer zwischenwandplatten
CA2089138A1 (en) * 1992-02-10 1993-08-11 Richard Alan Brise Portable shelf
US5417021A (en) * 1993-10-28 1995-05-23 Tavshanjian; B. Armen Portable room divider
US5481840A (en) * 1993-11-29 1996-01-09 Advanced Equipment Corporation Lateral load transfer system for operable walls
US6167665B1 (en) 1996-06-07 2001-01-02 Herman Miller, Inc. Corner post for a wall panel system
US6341457B1 (en) 1996-06-07 2002-01-29 Herman Miller, Inc. Light seal assembly for a wall panel system
US6223485B1 (en) 1996-06-07 2001-05-01 Herman Miller, Inc. Wall panel system
US5870867A (en) * 1996-12-09 1999-02-16 Steelcase Inc. Solid core partition wall
US5822935A (en) * 1996-12-19 1998-10-20 Steelcase Inc. Solid-core wall system
US6155022A (en) * 1997-12-09 2000-12-05 Athletica, Inc. Shielding panel removal and installation system for supportless dasher boards
US6122871A (en) * 1998-11-19 2000-09-26 Steelcase Development Inc. Wall-to-ceiling structure including framework and cover panel
US6279643B1 (en) * 1999-06-03 2001-08-28 Steelcase Inc. Prefabricated furniture
CA2310548A1 (en) 1999-06-04 2000-12-04 Herman Miller, Inc. Stackable wall panel system
GB2353541B (en) 1999-06-04 2003-10-15 Miller Herman Inc Stackable wall panel system
CA2310869C (en) 1999-06-04 2003-08-26 Teknion Furniture Systems Limited Wall system
US6349517B1 (en) * 2000-03-30 2002-02-26 Cubic Corporation Fixed barrier module
CA2329591A1 (en) 2000-12-22 2002-06-22 Eberhard Von Hoyningen Huene Demountable partition system
US6729085B2 (en) 2001-02-09 2004-05-04 Herman Miller, Inc. Wall panel system
US6753618B2 (en) * 2002-03-11 2004-06-22 Micron Technology, Inc. MIM capacitor with metal nitride electrode materials and method of formation
US20030221392A1 (en) * 2002-05-30 2003-12-04 Alexander Furman Paneling system and method of installing
US6848230B2 (en) 2002-12-11 2005-02-01 Krueger International, Inc. Connection arrangement for securing frame members together in a wall system
US20050086067A1 (en) * 2003-10-20 2005-04-21 John Sarver Business method for centrally locating a fitness center behind a translucent partition in a multi-unit structure lobby
DE102004032390A1 (de) * 2004-07-02 2006-02-02 Profloor Technology Gmbh Vorrichtung zum Abtrennen von Raumbereichen eines Raumes
CA2516083C (en) 2004-08-17 2013-03-12 Dirtt Environmental Solutions Ltd. Integrated reconfigurable wall system
USRE47132E1 (en) 2004-08-17 2018-11-20 Dirtt Environmental Solutions, Ltd Integrated reconfigurable wall system
US20060277850A1 (en) * 2005-06-08 2006-12-14 Gravel Donald P Partition panel assembly
WO2007087829A1 (de) * 2006-02-02 2007-08-09 Proverum Ag Vorrichtung zum abtrennen von raumbereichen eines raumes
KR101056706B1 (ko) * 2006-09-01 2011-08-12 (주)엘지하우시스 가변형 건식벽체
US7814711B2 (en) * 2007-05-30 2010-10-19 Tk Canada Limited Interior wall system
DE102007055127A1 (de) 2007-11-17 2009-05-20 Joh. Sprinz Gmbh & Co. Kg Wandsystem zur Teilung eines Raumes
US7861474B2 (en) * 2008-10-21 2011-01-04 Haworth, Inc. Ceiling attachment for full-height panel
US20100242378A1 (en) * 2009-03-31 2010-09-30 Transwall Adjustable floor channel assembly
WO2011100135A1 (en) 2010-02-11 2011-08-18 Herman Miller, Inc. Wall mounted assembly
CN107023096A (zh) * 2010-05-05 2017-08-08 奥斯蒂尔公司 用于对接釉面墙板的可移动且可拆解墙板系统
MX2013003655A (es) * 2010-10-01 2013-06-28 Modernfold Inc Sistema de panel movible de pared con conexiones electricas.
WO2012173930A2 (en) 2011-06-11 2012-12-20 Dirtt Environmental Solutions Inc. Modular wall nesting system
CA2800414C (en) 2011-12-28 2016-08-16 Dirtt Environmental Solutions, Ltd. Modular walls incorporating recessed, extendable furniture
US9309909B2 (en) * 2013-02-05 2016-04-12 Opto International, Inc. Pop-up shelving system
WO2015009496A1 (en) 2013-07-16 2015-01-22 Wickstrom Benjamin D Cleanroom wall panel system, and method
US9920522B2 (en) * 2013-08-19 2018-03-20 Rogers Athletic Company, Inc. Demountable barrier system
USD742652S1 (en) * 2014-02-11 2015-11-10 Bobrick Washroom Equipment, Inc. Pedestal
US9249568B2 (en) * 2014-02-17 2016-02-02 James M. HOEFLER Portable, temporary wall system
SG11201605989QA (en) 2014-02-20 2016-08-30 Dirtt Environmental Solutions Method of configuring walls
US9103134B1 (en) * 2014-04-30 2015-08-11 Neuehouse LLC Adjustable open space office system
GB201505735D0 (en) * 2015-04-02 2015-05-20 Conybeare Nigel P Wall system
FR3039844B1 (fr) * 2015-08-06 2019-04-26 Owwi Piece evolutive comprenant une cloison connectable electriquement a un mur
US10058170B2 (en) 2016-02-10 2018-08-28 Dirtt Environmental Solutions, Ltd Modular walls with embedded furniture and opposing feature
US11093087B2 (en) 2016-06-10 2021-08-17 Dirtt Environmental Solutions Ltd. Glass substrates with touchscreen technology
CA2992856A1 (en) 2016-06-10 2017-12-14 Dirtt Environmental Solutions Inc. Wall system with electronic device mounting assembly
WO2018009936A2 (en) 2016-07-08 2018-01-11 Dirtt Environmental Solutions, Inc. Low-voltage smart glass
CN105971164A (zh) * 2016-07-13 2016-09-28 中国电子系统工程第二建设有限公司 彩钢板墙体调平装置及采用该装置安装彩钢板墙体的方法
AU201713629S (en) * 2017-06-16 2017-06-28 Arb Corp Ltd jack; vehicle jack; hydraulic jack
CN107902368B (zh) * 2017-12-05 2023-11-07 郑州智联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旋转转换式自动下盖器
WO2019152887A1 (en) 2018-02-01 2019-08-08 Oldcastle Building Envelope, Inc. Demountable wall system and method
US10781585B2 (en) 2018-06-11 2020-09-22 Quality Electrical Systems, Inc. Removable wall panel for portable electrical buildings
AU2019337485A1 (en) * 2018-09-10 2021-04-15 T & R Interior Systems Limited A bracket
US11441313B2 (en) 2019-06-07 2022-09-13 Knoll, Inc. Enclosure assembly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same
USD913733S1 (en) 2020-05-18 2021-03-23 Knoll, Inc. Shelving unit
US11746524B2 (en) * 2021-09-30 2023-09-05 Tomas NARBUTAS Portable and removable wall modules for residential living spac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58428A (en) * 1945-11-23 1951-06-26 Johns Manville Partition construction
FR1191915A (fr) * 1958-02-25 1959-10-22 Michon Et Pige Cloisons par éléments
US3453789A (en) * 1965-09-01 1969-07-08 Carl R Stephenson Partition wall construction
US3603049A (en) * 1969-08-18 1971-09-07 William C Pierce Wall panel construction and assembly including improved edge and bottom sealing
US4454690A (en) * 1976-09-28 1984-06-19 Panelfold, Inc. Portable and operable wall system
US4120124A (en) * 1977-06-21 1978-10-17 Hon Industries Inc. Movable wall assembly
US4165588A (en) * 1978-07-10 1979-08-28 Hardwood House Inc. Furniture unit
US4450658A (en) * 1982-01-11 1984-05-29 Hauserman, Inc. Unitized partition wall system
JPS58147801A (ja) * 1982-02-26 1983-09-02 Dainippon Printing Co Ltd 情報記録担体の複製法
US4555880A (en) * 1982-03-15 1985-12-03 Stow & Davis Furniture Company Adjustable base for office landscaping system
DE8318611U1 (de) * 1983-06-28 1983-11-03 Gebrüder Trox, GmbH, 4133 Neukirchen-Vluyn Schallschutzkabine oder -kapsel
FR2552471B1 (fr) * 1983-09-28 1985-11-29 Pogodala Jean Element de paroi porteuse ou non porteuse monobloc pour batiment
EP0147801A3 (en) * 1983-12-27 1985-08-14 Nihon Shuno System Kabushiki Kaisha A partition wall
IT212259Z2 (it) * 1987-07-06 1989-07-04 Coop Operai Mobilieri Parete divisoria particolarmente per uffici
US4936067A (en) * 1988-11-30 1990-06-26 National Gypsum Company Stud extender interlock and method of ere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1123A (ko) 2018-11-03 2020-05-13 고진건 자동으로 넘어가는 책받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00804A2 (en) 1990-12-05
EP0400804B1 (en) 1994-10-19
US5159793A (en) 1992-11-03
CA1332864C (en) 1994-11-08
DE69013400D1 (de) 1994-11-24
DE69013400T2 (de) 1995-03-23
EP0400804A3 (en) 1991-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1192A (ko) 벽 시스템
US4431151A (en) Fixture supporting clip
US4875418A (en) Set of components for constructing furniture pieces
US4712168A (en) Spotlight bracket for a false ceiling or a false wall
US3742671A (en) Holddown fastening clip with grating and sub-support structures
WO2005073628A1 (de) Einbauleuchte
DE3841179A1 (de) Befestigungsvorrichtung fuer plattenfoermige wand- oder deckenelemente
DE4013457C2 (de) Anschluß- und Aufhängevorrichtung für Deckenleuchten
JPS6258803A (ja) 配電盤格納箱内で副構体支持体を固定するための装置
US4328649A (en) Device for mounting plastic sheets
KR200491195Y1 (ko) 조명등용 장착구 어셈블리
KR850000220A (ko) 천장 지지용 장치 및 방법
EP0223903B1 (en) Ensemble of frame holder device
AU600768B2 (en) Demountable panel system
CH695592A5 (de) Einrichtung zum Installieren von Versorgungsleitungen.
WO1998030836A1 (de) Deckensteckdose für deckenleuchten
DE4235335C2 (de) Universalhalter
AU2005101037A4 (en) Frame Assembly For Furniture Structures
CN219587030U (zh) 一种金属格栅安装结构
CN218666807U (zh) 一种便于调节的室外晾晒架
DE10158108A1 (de) Vorrichtung zur Befestigung von Wandverkleidungselementen auf tragenden Wänden
JPH0627744Y2 (ja) 建材取付装置
KR102086449B1 (ko) 조명기구
DE20017551U1 (de) Einbauleuchtenanordnung
JPH043842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