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521B1 - 전자제품용 기판에 삽입하는 부품의 자동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제품용 기판에 삽입하는 부품의 자동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521B1
KR910000521B1 KR1019880003533A KR880003533A KR910000521B1 KR 910000521 B1 KR910000521 B1 KR 910000521B1 KR 1019880003533 A KR1019880003533 A KR 1019880003533A KR 880003533 A KR880003533 A KR 880003533A KR 910000521 B1 KR910000521 B1 KR 910000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duct
rail
loading
dro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3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4352A (ko
Inventor
이인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80003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0521B1/ko
Publication of KR890014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4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1/00Mechanical throwing machines for articles or solid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제품용 기판에 삽입하는 부품의 자동공급장치
제1도는 본 발명 장치의 동작상태 일부 절취 측면도.
제2도는 본 발명 장치중 덕트적재틀과 이 틀내에 서치된 낙하수단의 발췌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 장치중 덕트회송수단의 동력전달부분 발췌 일부 절취 확대도.
제4도는 본 발명 장치중 부품 공급수단측의 발췌 평면도.
제5도는 본 발명 장치중 부품공급수단의 동작 상태를 보인 확대 측면도.
제6도는 본 발명 장치중 덕트낙하수단의 동작상태를 보인 일부 절취 확대 배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적재틀 2 : 덕트
6 : 레일 8 : 브러쉬
9 : 실린더 11 : 적재실
61 : 센서 92 : 멈춤대
94 : 레버 95 : 받침대
111 : 블럭 112 : 지지판
113 : 실린더 114 : 안내틀
115 : 센서
본 발명은 각종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릴레이등과 같은 부품을 로보트를 이용하여 기판에 자동 삽입토록 하기 위해 부품을 로보트가 잡기 용이하게 하나씩 자동으로 공급시켜 주도록 한 기판에 삽입하는 부품의 자동공급장치에 대한 것이다.
종래에는 릴레이등과 같은 부품을 수작업으로 기판에 삽입하였기 때문에 많은 인력 및 시간의 낭비는 물론 생산성이 저하되었고, 인건비가 상승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부품을 로보트가 자동으로 기판에 삽입토록 하되 부품을 하나씩 삽입할 수 있게 부품을 정렬시켜 로보트에게 하나씩 자동으로 공급시켜 주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동상태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일부 절취 측면도로서, 다수의 부품(A)들을 일렬로 내장시킨 덕트(2)를 수직으로 수개적재할 수 있게 된 적재틀(1)을 전면이 하향되게 지지대(3)로 기대(4) 상부에 적정각도로 경사지게 설치하고, 상기 적재틀(1)내에는 덕트(2)를 차례로 낙하시켜 주는 낙하수단을, 그 하부의 기대(4)상에는 빈 덕트(2)를 회송시켜주는 회송수단을 각각 부설하며, 상기 적재틀(1)의 전면에 뚫어 설치한 출구(5)측에는 부품(A)의 이동을 위한 레일(6)을 경사지게 연설하고, 이 레일의 아래부분은 수평으로 되게 형성함과 동시에 그 끝위치에는 부품(A)을 로보트에게 하나씩 공급시켜 주는 공급수단을 부설하며, 또 상기 레일(6)의 수평부분 상측에는 모우터(7)에 의해 회전되는 부품이송용 브러쉬(8)를 착설하여 부품(a)을 공급수단측으로 이동시켜 주도록 구성하였다.
한편, 제2도 및 제6도는 적재틀(1)과 이 적재틀내에 설치된 낙하수단을 보인 것으로, 이 낙하수단은 덕트(2)를 다수 적재하는 적재실(11)의 하부양쪽에 부설하였으며, 또 이 낙하수단은 브라켓트(91)로 적재틀(1)내에 고정 착설한 실린더(9)의 동작으로 전후진되는 멈춤대(92)와 이 멈춤대(92)의 중간에 상부끝을 핀으로 축착 연결하고 중간은 축(93)으로 브라켓트(91)에 회전 자재토록 착설한 레버(94) 및 이 레버의 하부끝에 핀으로 축착 연결한 받침대(95)로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멈춤대(92)와 받침대(95)의 앞쪽끝은 각각 적재실(11) 측면 상하에 뚫은 관통공(12)(12')을 각기 관통하도록 하여 받침대(95)가 전진된 상태에서는 이에 의해 적재실(11)에 적재되어 있는 제일 아래쪽의 덕트(2)가 받쳐지게 되므로 덕트들은 낙하되지 않게 되며, 이때 멈춤대(92)는 후진된 상태로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덕트(2)는 부품(A)의 양측 리드선(a)이 양측면에 걸쳐지게 내장되도록 레일부(21)를 바닥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하고, 또 덕트(2)의 회송수단은 전후의 로울러(101)에 의해 회동되는 회송콘베이어(102), 모우터(103) 및 이 모우터의 구동력을 상기 로울러(101)에 전달하여 주는 커플링(104)으로 구성하는 것으로, 낙하수단의 작동에 의해 적재실(11)에서 낙하되는 덕트(2)를 재사용하기 위해 별도의 수집통측으로 회송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한편, 이동레일(6)의 측벽 소정위치에는 부품의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61)를 설치하며, 레일(6)의 끝에 부설하는 공급수단은 이동되는 부품(A)이 안착되는 블럭(111)과 그 지지판(112), 이들을 승강시켜 주는 실린더(113), 승강시 지지판(112)을 안내하여주는 안내틀(114)로 구성하고, 상기 지지판(112)의 적정위치에는 센서(115)를 설치하여 블럭(111)내에 부품의 유무를 감지토록 하였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장치는, 다수의 부품(A)을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부(21)에 일렬로 내장한 수개의 덕트(2)들을 적재틀(1)의 적재실(1)내에 수직으로 적재시키면 제6a도에서 보는 바와같은 상태로 적재되는데, 이때 제일 아래쪽의 덕트(2)는 받침대(95)에 의해 받쳐지게 됨과 동시에 제1도에서와 같이 경사지게 설치된 적재틀(1)내에 경사진 상태로 내장되므로 레일부(21)의 앞쪽은 출구(5)를 통해 이동레일(6)의 상단과 연결된다.
이렇게 되면 덕트(2)내의 부품(A)들은 레일부(21)를 따라 차례로 미끄러져 내려가서 레일(6)을 타고 내려가게 되기 때문에 덕트(2)는 비게되며, 내려가던 선두의 부품이 브러쉬(8)에 걸리게 되면 계속 내려오는 부품들이 레일(6)상에 정렬하게 되고 동시에 센서(61)가 부품(A)의 유무를 감지하게 되어 모우터(7)를 구동시켜 주게 되므로 브러쉬(8)가 회전되어 정렬된 부품(A)들을 하나씩 밀어 통과시켜 주기 때문에 부품(A)들은 레일(6)의 수평부분을 지나 블럭(111)의 상부내로 들어가게 이동시켜준다.
이와같은 작동에 의해 하나의 부품이 블럭(111)내로 들어오게 되면 지지판(112)에 설치된 센서(115)가 이를 감지하여 실린더(113)를 동작시켜주므로 제5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블럭(111)이 지지판(112)과 함께 상승되어 부품(A')을 로보트가 잡기 용이하도록 들어올려준 다음 정지되고 이렇게 되면 브러쉬(8)가 회전을 계속하여도 상승된 블럭(111)의 하부에 의해 레일(6)의 끝부분에 있는 다음 부품(A")이 전진되지 못하고 받쳐지게 되기 때문에 부품들의 이동이 잠시 중지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로보트가 올려진 부품(A')을 들어내어 기판에 삽입하게 되면 블럭(111) 내부가 비게되므로 센서(115)가 이를 감지하여 실린더(113)를 역동작시켜 주어 블럭(111)을 다시 원위치로 하강시켜 주게 됨에 따라 다음 부품(A")이 블럭(111)내로 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동의 반복으로 레일(6)상에 정렬되어 있는 부품들이 로보트에게 차례로 공급되어 줄어들게 되어 센서(61)가 설치된 위치에 부품이 없어지게 되면 센서(61)가 이를 감지하여 낙하수단의 실린더(9)를 작동시켜 준다.
이렇게 되면, 제6a도에서와 같은 상태에서 멈춤대(92)가 전진하게 되어 제6b도에서와 같이 그 앞쪽이 관통공(12)을 통과하여 적재실(11)내에 적재되어 있는 아래서 두번째의 덕트(2a)의 하부를 눌러주게 되므로 이 덕트(2a)는 그 위치에서 멈춰있게 되며, 동시에 전진되는 멈춤대(92)에 의해 레버(94)가 축(93)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받침대(95)는 반대로 후진하게 되어 그 앞쪽이 관통공(12')을 빠져나오게 되기 때문에 이 받침대에 의해 받쳐져 있던 제일 아래쪽의 빈 덕트(2)는 받침상태에서 해제됨과 동시에 자중에 의해 아래로 낙하되어 회송 콘베이어벨트(102) 위로 떨어져 이 콘베이어벨트에 의해 별도의 회수통측으로 보내져 다시 부품을 내장시켜 재사용할 수 있게 회송되는 것이다.
한편, 덕트(2)가 낙하된 다음에는 실린더(9)가 역작동되어 이번에는 멈춤대(92)를 후진시켜 주므로 레버(9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받침대(95)는 다시 전진되고, 이에따라 멈춤대(92)에 의해 눌러져 있던 덕트(2a)는 눌림상태에서 해제됨과 동시에 자중에 의해 하락되어 전진된 받침대(95)위에 얹혀져 더 이상 낙하되지 않게 받쳐지게 되므로 다시 제6a도와 같은 상태가 되며, 이렇게 되면 덕트(2a)의 레일부(21) 앞쪽이 출구(5)측의 레일(6)상단과 연결되어 이 덕트(2a)내의 부품들이 미끄러져 내려가게되고, 이들 부품을 레일(6)상의 센서(61)가 감지하게 되면 다시 부품을 로보트에게 공급시켜 주는 작동이 진행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작동의 반복으로 부품을 로보트에게 하나씩 공급하여 로보트가 기판에 자동 삽입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본 발명 장치는 부품을 정렬시켜 계속 로보트가 잡기 용이하게 하나씩 공급하여 주기 때문에 생산성이 향상되고, 이에따라 작업인력 및 시간의 대폭감소와 인건비의 절감효과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기대의 상부에 앞쪽이 하향되게 적정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다수의 부품을 일렬로 내장한 덕트(2)를 수개 적재할 수 있는 적재실(11)을 갖는 적재틀(1), 이 적재틀내에 부설되어 적재된 덕트(2)들이 차례로 낙하되게 하여주는 낙하수단, 이 낙하수단의 작동으로 낙하되는 빈 덕트(2)를 재사용하기 위해 수집통측으로 회송시켜 주도록 상기 적재틀(1) 하부에 위치하게 기대상에 설치하는 회송 콘베이어벨트(102), 상기 적재틀(1)내에 적재된 덕트(2)로부터 미끄러져 나오는 부품들의 이동을 위해 기대의 앞쪽에 설치한 레일(6), 이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부품의 유무를 감지하도록 소정위치에 착설한 센서(61)와 부품이송용 브러쉬(8), 이 브러쉬에 의해 이동되는 부품을 차례로 하나씩 로보트가 잡을 수 있게 공급시켜 주는 공급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전자제품용 기판에 삽입하는 부품의 자동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덕트(2)의 낙하수단은 실린더(9)에 의해 전후진되는 멈춤대(92), 이 멈춤대(92)가 동작되면 연동되게 레버(94)로 축착 연결시킨 받침대(95)로 구성함과 동시에 이 낙하수단은 적재실(11)의 하부 양쪽에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용 기판에 삽입하는 부품의 자동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레일(6)을 따라 이동되는 부품을 로보트가 잡기 용이하게 하나씩 공급하여 주는 공급수단은 블럭(111)과 지지판(112), 이들을 승강시켜 주는 실린더(113), 상기 지지판(112)의 승강을 안내하여 주는 안내틀(114)로 구성하며, 지지판(112)의 적정위치에는 센서(115)를 설치하여 블럭(111)내에 부품의 유무를 감지토록 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용 기판에 삽입하는 부품의 자동공급장치.
KR1019880003533A 1988-03-30 1988-03-30 전자제품용 기판에 삽입하는 부품의 자동공급장치 KR910000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3533A KR910000521B1 (ko) 1988-03-30 1988-03-30 전자제품용 기판에 삽입하는 부품의 자동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3533A KR910000521B1 (ko) 1988-03-30 1988-03-30 전자제품용 기판에 삽입하는 부품의 자동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352A KR890014352A (ko) 1989-10-23
KR910000521B1 true KR910000521B1 (ko) 1991-01-26

Family

ID=19273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3533A KR910000521B1 (ko) 1988-03-30 1988-03-30 전자제품용 기판에 삽입하는 부품의 자동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052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352A (ko) 1989-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13875B2 (ja) パレツト供給装置
CN115196230B (zh) 一种传送上料装置及基于高速分拣的智能仓储系统
EP059407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ying trays
KR910000521B1 (ko) 전자제품용 기판에 삽입하는 부품의 자동공급장치
KR19990035554A (ko) 스토커 설비 구조
JPH0134886B2 (ko)
KR960004056B1 (ko) 타이어용 자동 적재장치
JP2597391B2 (ja) 自動保管検索装置およびその搬入機構ならびに搬出機構
KR960006764B1 (ko) 핸들러의 튜브 자동공급장치
JPS591127A (ja) 部品収容装置
EP0410732B1 (en) Lithographic plate storing system
KR20030013926A (ko) 스태커 크레인용 파렛트 피킹장치
CN218706452U (zh) 一种移载车送板测试流水线
CN213737445U (zh) 一种斜度运送自动上料机
JP2502916B2 (ja) 物品搬送用のボックスマガジン
CN219601717U (zh) 下料机构及供料装置
CN217807172U (zh) 一种pcb板自动上料机
JPH0636026Y2 (ja) 刷版移送機
JPH08143159A (ja) 苗箱供給装置
JP3642131B2 (ja) マガジン装置
KR100403828B1 (ko) 엘이디용 전자부품 케이스 자동정렬장치 및 그 방법
JPH0638817Y2 (ja) シートパレタイザ
JPH06171702A (ja) ゴミの分別搬送装置
JPH0365660B2 (ko)
KR920003148Y1 (ko) 부품소자가 입식된 회로인쇄기판의 공급 및 인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