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255Y1 - 리드프레임 자동분리장치 - Google Patents

리드프레임 자동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255Y1
KR910000255Y1 KR2019870008512U KR870008512U KR910000255Y1 KR 910000255 Y1 KR910000255 Y1 KR 910000255Y1 KR 2019870008512 U KR2019870008512 U KR 2019870008512U KR 870008512 U KR870008512 U KR 870008512U KR 910000255 Y1 KR910000255 Y1 KR 9100002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frame
support plate
horizontal
cylind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85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22729U (ko
Inventor
이창배
Original Assignee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신훈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신훈철 filed Critical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700085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0255Y1/ko
Publication of KR8800227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227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2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2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74Apparatus for manufacturing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 H01L24/799Apparatus for disconnec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74Apparatus for manufacturing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 H01L24/75Apparatus for connecting with bump connectors or layer conn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리드프레임 자동분리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프레임스태커(stacker)를 작동시키는 리드프레임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분리프레임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리드프레임 자동분리장치 개략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장치에 의해 리드프레임이 분리되는 과정을 나타낸 작용상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장치에 의해 분리된 리드프레임이 리드프레임 피더로 이송되기전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동지지판 2 : 고정지지판
3 : 프레임스태커 4,14 : 수평이동실린더
11 : 리드프레임정렬이동판 15,16 : 분리프레임
17 : 수직이동실린더 18 : 리드프레임위치부
S1,S3: 수평센서 S4: 수직센서
본 고안은 반도체 제조공정중, 다이본딩을 순차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프레임스태커에 협진된 다수개의 리드프레임을 한 장씩 분리해내는 리드프레임 자동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제조는 리드프레임상에 반도체칩을 고정결합시키는 본딩단계와 이 본딩된 칩과 리이드프레임을 도선으로 연결하는 와이어본딩단계, 그리고 플라스틱 성형 혹은 세라믹을 이용하여 작업 완료된 조립체의 파손방지 및 충격보호를 위하여 행하는 팩킹단계 등 일련의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일련의 작업공정중 본딩단계직전에 행하여지는 작업으로서 리드프레임을 다이본딩단계에 투입하는 작업이 행하여지고 있는데, 종래의 다이본딩 머신에서는 리드프레임 각장을 매거진이라 불리는 상자형지그에 격납하여 다이본딩 공정에 투입하므로써 자동화가 불가능하였으며 공정이 복잡함으로 효율적인 본딩을 행할 수 없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한번에 다수의 리드프레임을 스태커에 협지시키고, 2개의 수평이동실린더와 1개의 수직이동실린더를 설치하여 구동부위의 센서감지신호를 이용한 적정의 시이퀀스로 협지된 리드프레임을 1장씩 분리하여 효율적인 다이본딩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리드프레임 자동분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좀더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판상의 가공지지판(1)에 대향지게 고정지지판(2)를 설치하여 프레임스태커(3)을 형성한다.
전기한 가동지지판(1)은 본체(B)상에 설치된 수평이동실린더(4)에 의해 리니어(LINEAR)가이드(5)를 타고 슬라이드되는 작동판(6)에 고정부착되어 수평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수평이동실린더(4)의 이동을 감지하는 수평센서(S1)이 그 뒤쪽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지지판(2)에 천공된 장공(7)에는 리드프레임(F)의 길이에 따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스톱퍼(8)이 통상의 결착수단에 의해 설치되어 있으며, 후면에는 리드프레임(F)의 유무를 체크하는 금속센서(S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스태커(3)의 하부에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지지판(9)의 일측에는 리드프레임 정렬고정판(10)이 일체로 되어 수직연장부를 이루고 있으며, 이와 대향져 설치되는 리드프레임정렬이동판(11)의 후면에는 리니어가이드(12)을 타고 수평이동되는 작동판(13)이 부착되어 수평이동실린더(14)에 의해 전,후진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수평센서(S3)에 의해 후진이 감지된다.
아울러, 리드프레임정렬고정판(10)과 리드프레임정렬이동판(11)사이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분리프레임(15)와 (16)이 설치되는데 있어, 이 분리프레임(15)와 (16)의 높이는 리드프레임정렬이동판(11)보다 리드프레임(F)두께정도 작게하여 분리프레임위치부(18)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분리프레임위치부(18)의 저면에는 수직이동실린더(17)이 설치되어 지지판(9)를 승강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수직센서(S4)에 의해 분리프레임위치부(18)의 하강이 감지되도록 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9는 분리된 리드프레임(F)를 밀어주는 푸셔이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고정스톱퍼(8)를 리드프레임(F)의 길이에 맞게 조정하여 길이방향으로 리드프레임(F)를 협지한다.
이와같이, 리드프레임(F)가 협지된 상태에서 제2도에 도시된 분리프레임 위치부(18)을 수직이동실린더(17)로 상승시키고, 수직센서(S4)에 의해 그 이동량이 감지도록하여 리드프레임정렬이동판(11)의 상면과 고정지지판(2)의 저면이 접촉되도록 한다.
즉, 제4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고정지지판(2)의 저면과 리드프레임정렬이동판(11)의 상면이 a만큼의 거리를 뛰우고 있는 상태에서 수직이동실린더(17)의 작동으로 분리프레임위치부(18)이 상승되면 제4b도의 도시와같이, 리드프레임(F)가 협지된 상태에서 고정지지판(2)와 리드프레임정렬이동판(11)은 서로 접촉되고 저면에 위치된 리드프레임(F1)과 분리프레임(15)(16)과는 b만큼의 사이를 두게 되는 것이다.
이때 b는 리드프레임(F1)의 두께에 해당하는 거리이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수평이동 실린더(4)를 작동시키면, 가동지지판(1)은 리니어가이드(5)를 타고 후퇴하여 리드프레임(F)를 해지시키므로써, 리드프레임(F)는 하방향으로 떨어져 분리프레임(15)와 (16)상에 위치하게 된다.
즉, 제4c도의 상태가 되어 b에 리이드프레임 1장이 위치되게 되는 것이다. 다음에 후퇴시켰던 가동지지판(1)을 수평이동실린더(4)로써 원위치시켜 리드프레임(f)를 재협지 시킴과 아울러 수평 이동실린더(14)를 작동시켜 리드프레임 정렬이동판(11)이 리니어가이드(12)상을 슬라이드하는 작동판(13)에 밀려 전진되도록 하여 리드프레임을 리드프레임정렬고정판(10)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서 제4d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저면에 위치한 리드프레임(F1)을 정렬시키게 한다.
이때 수평센서(S1)은 가동지지판(1)의 전,후진을 감지하게 되며 또하나의 수평센서(S3)는 리드프레임정렬이동판(11)의 전진을 감지하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수직이동실린더(17)을 하강시켜 제4e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저면에 위치한 리드프레임(F1)경사를 이루게 함과 동시에 제4f도의 도시와 같이 수평이동실린더(14)를 후진시켜 저면에 위치한 리드프레임(F1)이 수평상태로 분리프레임(15)와 (16)상에 놓이게 한다.
이때에 수직센서(S4)는 수직이동실린더(17)의 하강을 그리고 수평센서(S3)은 수평이동실린더(13)의 후진을 감지한다.
이와같은 작용으로 저면에 위치한 리드프레임(F1)이 리드프레임(F)로부터 분리되어 분리프레임(15)와 (16)상에 높이게 되면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푸셔(19)로 밀어 프레임피더(20)으로 보내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이 연속되어 협지된 리드프레임(F)가 줄어들게되면 고정지지판(2)에 설치된 금속센서(S2)가 리드프레임(F)의 유무를 감지하여 연속작업이 가능케 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한 장치는 구동부위의 센서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적정의 시이퀀스로 2개의 수평이동실린더와 1개의 수평이동실린더를 구동시켜 각각의 리니어가이드를 통한 가동지지판을 구동하여 매거진의 사용없이 프레임스태커로부터 자동으로 리드프레임을 1장씩 분리하므로써 공정을 간략화하여 효율적인 다이본딩을 행하도록 함과 아울러 생산성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가동지지판(1)과 고정지지판(2)를 대향설치하여 프레임스태커(3)를 형성하고, 전기한 가동지지판(1)의 후면에 수평이동실린더(4)를 설치하여 가동지지판(1)이 전,후진가능케함과 아울러, 분리프레임(15)와 (16)이 대향설치된 지지판(9)의 일측면상에는 리드프레임정렬이동판(11)을 전,후진 가능케하는 수평이동실린더(14)를 설치하고, 그 하부에는 지지판(9)를 승강이동시키는 수직이동실린더(17)를 설치하여 리드프레임위치부(18)를 구성하며, 수평이동실린더(4),(14)와 나란히 수평센서(S1)(S3)를 각각 설치하고, 수직이동실린더(17)과 수직센서(S4)를 나란히 설치하여 이들센서(S1)(S3)(S4)에 의해 전기한 수평이동실린더(4),(14)와 수직이동실린더(17)이 제어되도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프레임 자동 분리장치.
KR2019870008512U 1987-05-29 1987-05-29 리드프레임 자동분리장치 KR9100002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8512U KR910000255Y1 (ko) 1987-05-29 1987-05-29 리드프레임 자동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8512U KR910000255Y1 (ko) 1987-05-29 1987-05-29 리드프레임 자동분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22729U KR880022729U (ko) 1988-12-27
KR910000255Y1 true KR910000255Y1 (ko) 1991-01-18

Family

ID=19263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8512U KR910000255Y1 (ko) 1987-05-29 1987-05-29 리드프레임 자동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025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2581B1 (ko) * 2002-12-13 2005-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먼지흡입구를 구비한 자동 주행 청소기의 바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2581B1 (ko) * 2002-12-13 2005-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먼지흡입구를 구비한 자동 주행 청소기의 바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22729U (ko) 1988-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2761B1 (ko) 와이어 본딩 방법 및 장치
CN112440100A (zh) 一种门挡治具转动装置和门挡组装机
KR910000255Y1 (ko) 리드프레임 자동분리장치
KR100847574B1 (ko) 매거진 이송장치
KR100795965B1 (ko) 반도체 패키지 싱귤레이션장치
KR100478599B1 (ko) 배터리 셀 니켈단자 자동커팅장치
CN221008917U (zh) 一种引线框架排料装置
JP3330913B2 (ja) リードフレーム供給機構
CN213801843U (zh) 一种上料装置
CN219054892U (zh) 一种退料组件
CN220392626U (zh) 一种混凝土砌块用托盘回收装置
KR19980063429A (ko) 리드프레임의 분리이송장치
JPS61206233A (ja) 半導体製造装置のリ−ドフレ−ムフイ−ド機構
JPH0534821Y2 (ko)
CN112693081B (zh) 用于注塑件的切割分离系统及其切割分离方法
CN214558855U (zh) 一种前叉压合组件
KR970000968B1 (ko) 반도체 팩키지의 분리장치
KR890005203Y1 (ko) 리드 후레임(lead frame)정열장치
KR900005992B1 (ko) 상지구 부착장치
CN210192825U (zh) 自动装片机的抽拉式上料机构
JPS6381961A (ja) 半導体装置の組立装置
KR100439955B1 (ko) 반도체 패키지 이송용 안내장치
KR100259874B1 (ko) 반도체 패키지용 스트립을 이송하는 장치
KR0119242Y1 (ko) 몰딩완료된 리드프레임의 이송장치
KR20230015122A (ko) 봉지포장제품 적층 공정에 사용되는 흡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1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