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070B1 - 다층 필름 구조물 및 이를 삽입한 전기 케이블 - Google Patents

다층 필름 구조물 및 이를 삽입한 전기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070B1
KR910000070B1 KR1019870008820A KR870008820A KR910000070B1 KR 910000070 B1 KR910000070 B1 KR 910000070B1 KR 1019870008820 A KR1019870008820 A KR 1019870008820A KR 870008820 A KR870008820 A KR 870008820A KR 910000070 B1 KR910000070 B1 KR 910000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ethylene
vinyl chloride
carbon monoxide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8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3348A (ko
Inventor
아킬레 펠릭스
지. 피큘라 다니엘
비. 렝 패트리샤
Original Assignee
더 다우 케미칼 캄파니
리챠드 지. 워터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다우 케미칼 캄파니, 리챠드 지. 워터맨 filed Critical 더 다우 케미칼 캄파니
Publication of KR880003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3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01B9/02Power cables with screens or conductive layers, e.g. for avoiding large potential gradi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29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remes of temperature or by flame
    • H01B7/295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remes of temperature or by flame using material resistant to flam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1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without c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4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 H01B3/441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from alke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4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 H01B3/443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from vinylhalogenides or other halogenoethylenic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2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moisture, corrosion, chemical attack or weather
    • H01B7/282Preventing penetration of fluid, e.g. water or humidity, into conductor or cable
    • H01B7/285Preventing penetration of fluid, e.g. water or humidity, into conductor or cable by completely or partially filling interstices in the cable
    • H01B7/288Preventing penetration of fluid, e.g. water or humidity, into conductor or cable by completely or partially filling interstices in the cable using hygroscopic material or material swelling in the presence of liqui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42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heat dissipation or condu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14Extreme weather resilient electric power supply systems, e.g. strengthening power lines or underground power cab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 Y10T428/294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including metal or compound thereof [excluding glass, ceramic and asbestos]
    • Y10T428/2942Plural coatings
    • Y10T428/2947Synthetic resin or polymer in plural coatings, each of different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36Including interfacial reaction product of adjacent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09Next to secon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13Monoolefin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09Next to secon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13Monoolefin polymer
    • Y10T428/3192Next to vinyl or vinylidene chloride polym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층 필름 구조물 및 이를 삽입한 전기 케이블
제1도는 금속성 기재와 비닐 클로라이드 중합체 기재에 접착된 본 발명의 다층 피복물을 도시한 것이고,
제2도는 금속성 외장에 비닐 클로라이드 중합체 재킷용수지를 접착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다층 접착성 구조물을 이용하는 케이블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금속성 기재와 이에 이어서 적용된 비닐 클로라이드 중합체층 사이를 접착시키기 위해 선택된 중합체의 다중층 피복물을 갖는 금속성 기재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또한 본 발명의 외장(sheath)시스템 형태의 다층 피복된 금속성 기재로 이루어지고, 또한 임의로 그 내부에 물 흡수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전기 케이블, 특히 통신용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단독중합체 또는 비닐 클로라이드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다른 공중합가능 단량체와의 공중합체와 같은 비닐 클로라이드의 중합체는 고유의 내화성, 편리한 유용성, 및 저렴한 비용 때문에 통신용 케이블 및 기타 전선에서 사용할 절연 재킷용 수지를 제조하는데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적합한 수지는 또한, 그러한 수지에 바람직한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다량의 공지된 가소화 화합물을 함유한다. 다량의 이러한 가소화 화합물 때문에, 비닐 클로라이드 중합체 재킷용 수지는 다른 기재, 특히 금속성 기재에 접착시키기가 특히 어렵다.
통신용 케이블은 바람직하게는, 중심에 배치된 전도체 둘레 원주에 감기고 겹쳐지거나, 그렇지 않으면 다른식으로 적절하게 연결되어 거의 원통형 구조를 형성하는, 보통 금속 스트립 형태로 제공되는 외장을 그들의 구조내에 포함한다. 외장은 주름이 잡혀 더 큰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 외장은 내부의 전선을 전자기적으로 보호하고 물리적으로 보호하며, 점화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점지와 결합할 뿐아니라 생성되는 케이블에 기계적인 완전성을 제공한다. 그러한 외장에 접한 금속으로는 알루미늄, 구리, 강철, 납, 스테인레스강, 및 구리 또는 크롬 피복된 스테인레스강과 같은 다양한 피복 스테인레스강이 포함된다.
케이블 구조물에서 사용할 외장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해, 피복된 금속 기재, 특히 하나 이상의 중합체층으로 피복된 금속 스트립을 제조하는 것은 당해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다. 에틸렌과 에틸렌성 불포화 카복실산(예:아크릴산)의 공중합체 피복물이 미합중국 특허 제3,681,515호에 기술되어 있다. 또한, 에틸렌과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균일한 고분자량 랜덤 공중합체를 포함한 금속을 피복시키기에 적합한 중합체가 미합중국 특허 제4,351,931호에 기재되어 있다.
결합된 외장 함유 케이블에서 사용하기 위한 다중중합체 피복물이 미합중국 특히 제4,487,641호에 기재되어 있다. 참조 문헌에서는 금속층에 접착할 수 있는 제1접착성 물질, 및 압출된 재킷용 수지에 결합할 수 있는 제2접착성 물질로 이루어진 피복물을 사용한다. 유사한 구조물이 미합중국 특허 제4,449,014호에 기술되어 있다.
에틸렌과 일산화탄소, 및 임의로 비닐 아세테이트와 같은 추가의 공중합가능 공단량체의 공중합체가 또한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유럽 공개 특허원 제85 1294호에는, 가열할 수 있는 고주파 전자선 수용체로서 사용하기 위한 이러한 올레핀 중합체가 기재되어 있고,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및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중합체에 대한 이러한 중합체의 접착성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국 공개공보 제57-165,427호에는 에틸렌, 일산화탄소, 및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가 기재되어 있으며, 이들은 고도로 가소화된 기재, 예를 들어, 디옥틸프탈레이트를 포함한 라미네이트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기재에 유용한 접착제이다.
이와 같이, 한편으로는 금속에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폴리올레핀 재킷용 수지에 접착시키기에 유용한 2층 접착성 라미네이트를 제조하는 것이 당해 분야에 이미 공지되어 있다. 또한 에틸렌과 일산화탄소의 공중합체를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수지에 접착시킬 수 있음이 이미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아직 당해 분야에서 금속기재에 유용하게 접착되는 단일층 또는 다층 접착성 라미네이트와 비닐 클로라이드 중합체 수지에 유용하게 집착되는 에틸렌 일산화탄소 함유 공중합체 사이를 접착시키는데 있어서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구조물에서 추가로 다량의 가소화제를 함유하는 비닐 클로라이드 중합체 수지에 대한 접착력을 얻는데에는 특히 문제가 있다. 따라서, 당해 분야에는 고도로 가소화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재킷용 수지와 결합된 금속성 외장으로 이루어진 케이블 구조물을 수득하는데 어려움이 남아있다.
통신용 케이블 분야에서 직면하게 되는 또다른 문제는 접지 접속기를 설치하기 위해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케이블 재킷층이, 운반하고 설치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마찰력 또는 연신력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재킷용 수지의 탈라미네이트화를 유발하여 케이블 구조물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하층 보호용 테이프 조립품에 대해 아직 충분한 접착성을 보유할 필요 또는 요구이다.
마지막으로, 습한 환경 및 고여있는 물에 대해서 조차 통신용 케이블이 노출되기 때문에, 향상된 내수침 투성을 갖고, 재킷용 및/또는 보호용 외장 조립품이 마모되거나 손상되어 내부의 전도체 장치가 물에 노출되는 경우, 특히 내부의 전도체 장치가 상승된 수력압에 노출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케이블 내에 수직적으로 물이 침투하는 것에 대해 향상된 저항성을 갖는 통신용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이르러 금속성 기재를 비닐 클로라이드의 중합체에 접착시키는데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금속성 기재에 적용하기 위한 다층 접착성 피복물이 제공된다. 더욱 특히, 본 발명의 다층 접착성 피복물은 이러한 금속성 기재와 고도로 가소화된 비닐 클로라이드의 중합체 사이를 접착시키는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다층 접착성 피복물은 금속 접착층, 중간층, 및 비닐클로라이드 중합체 접착층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다층 피복물은, 금속 접착층이 금속 기재에 인접하고 비닐 클로라이드 중합체 접착층이 비닐 클로라이드 중합체층에 인접하도록 금속성 기재와 비닐 클로라이드 중합체층 사이에 본 발명의 다층 피복물을 삽입시켜 금속성 기재와 비닐 클로라이드 중합체를 접착시키는데 사용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에 있어서, 비닐 클로라이드 중합체로 이루어진 외부 재킷과 내부의 전도체 장치를 둘러싼 금속성 외장 조립품으로 이루어진 통신용 케이블이 제공되고, 여기에서 금속성 외장 조립품은 금속접착층, 중간층, 및 비닐 클로라이드 중합체 접착층으로 이루어진 다층 피복물을 사용하여 비닐 클로라이드 중합체 외부 재킷에 접착시킨다.
본 발명의 최종적인 양태에 있어서, 내부 전도체 장치는, 각각 절연 재킷용 수지, 임의로 올레핀 또는 비닐 클로라이드 중합체 수지로 이루어지는 주변의 내부 재킷, 물 흡수성 기재층, 금속성 외장, 및 비닐 클로라이드 중합체 수지의 외부 재킷을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전도체로 이루어지고, 여기에서, 외장은 금속 접착층, 중간층, 및 비닐 클로라이드 중합체 접착층으로 이루어진 다층 피복물을 사용하여 외부 재킷에 접착시킨다.
제1도에서는 금속성 기재(5)와 비닐 클로라이드 중합체 기재(1)에 접착된 본 발명의 다층 피복물이 도시되어 있다. 다층 피복물은 비닐 클로라이드 중합체 접착층(2), 중간층(3), 및 금속 접착층(4)을 포함한다.
제2도에서는, 금속성 외장에 비닐 클로라이드 중합체 재킷용 수지를 접착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다층 접착성 구조물을 이용하는 케이블 구성을 설명하며, 또한 외장과 내부 전도체 장치사이에 물 흡수층의 사용을 설명한다. 따라서, 비닐 클로라이드 중합체의 외부 재킷(1), 비닐 클로라이드 중합체 접착층(2), 중간층(3), 금속 접착층(4), 수직으로 겹쳐지고 임의로 밀봉되어 중복 접합선(6)을 생성시키는 금속 차폐물(5), 절연층(8)을 갖는 전도체 조립품을 둘러싸는 물 흡수층(7), 및 하나 이상의 전도체(10)를 포함할 수 있는 내부 전도체 장치(9)가 제공된다.
본 발명을 사용하여 금속성 기재에 유용하게 접착되는 비닐 클로라이드 중합체 수지로는 공중합성 공단량체를 약 40중량%이하 함유하는 비닐 클로라이드의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가 포함된다. 적합한 공중합성 공단량체로는 알킬 그룹에 약 6개 이하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 비닐 아세테이트 등이 포함된다. 또한, 추가의 중합체 화합물을 약 40중량% 이하의 양으로 비닐 클로라이드 중합체와 혼합할 수 있다. 비닐 클로라이드 중합체와 유용하게 혼합되는 적합한 중합체 조성물로는 염소화 폴리에틸렌, 불소화중합체, 및 디올레핀의 고무질 중합체와 같은 탄성중합체,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공중합체, 에틸렌, 프로필렌과 공중합성 비공액화 디엔의 공중합체, 및 작용화되거나 그래프트된 이들의 유도체가 포함된다.
재킷용 수지로서의 특별한 용도를 위해, 가소화제를 사용함으로써 비닐 클로라이드 중합체 수지에 더 큰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적합한 가소화제의 예로는 디옥틸 프탈레이트, 디노닐 프탈레이트, 디이소데실 프탈레이트, 및 디부틸 프탈레이트와 같은 프탈레이트; 트리-2-에틸헥실 트리멜리테이트 및 트리이소옥틸 트리멜리테이트와 같은 트리멜리테이트; 트리크레실 포스페이트, 트리옥틸 포스페이트 및 트리페닐 포스페이트와 같은 인산염; 디이소데실 아디페이트 및 디이소옥틸 아디페이트와 같은 아디페이트; 두유, 평지씨유 및 유사한 천연 오일을 에폭사이드화하여 제조한 에폭사이드화 오일; 부틸 올리에이트 또는 메틸 테트라클로로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염소화 지방산 에스테르; 디-n-옥틸 테트라하이드로 프탈레이트 및 디이소데실 테트라하이드로 프탈레이트와 같은 테트라하이드로 프탈레이트 등이 포함된다. 가소화제는 재킷용 수지의 5 내지 40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3중량%의 양으로 적합하게 사용된다.
금속 기재는 구리, 알루미늄, 강철, 납, 스테인레스강, 및 구리 또는 크롬/산화크롬 피복된 스테인레스강 기재와 같은 피복된 스테인레스강으로부터 적합하게 선택한다.
금속 접착층은 에틸렌 및 약 20중량%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10중량% 이하의 공중합성 카복시 치환공단량체의 공중합체로 적합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이러한 공중합체는 공중합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무순물로 약 10중량% 이하의 디카복실산 무수물과 반응시켜 추가로 변형시킬 수 있다. 예로는 널리 공지된 에틸렌과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공중합체, 특히 약 10중량% 이하의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을 함유하는 균일한 공중합체가 포함되며 이러한 공중합체들은 공중합된 형태에 추가로 부틸 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에틸렌성 불포화 카복실산 에스테르를 함유한다. 이러한 접착성 수지는 특히 알루미늄, 강철 또는 스테인레스강기재와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에틸렌과 비닐 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 및 특히, 말레산 무수물과 같은 반응성 디카복실산 무수물과 반응시켜 추가로 변형시킨 상기 공중합체도 사용할 수 있다. 적합하게는, 후자의 공중합체 종류는 특히 구리 도는 구리 피복 스테인레스강 기재에 접착시키는데 적합하다.
중간층은 적합하게 금속 접착층과 비닐 클로라이드 중합체 접착층 모두에 대해 허용되는 접착성 중합체로 이루어진다. 중간층에 대한 적합한 중합체의 예로는 (1) 10 내지 40중량%의 비닐 아세테이트를 함유하는 에틸렌과 비닐 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 (2) 5 내지 20중량%의 에틸 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에틸렌과 에틸 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3) 5 내지 20중량%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에틸렌과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가 포함된다. 또한, 이러한 공중합체를 말레산, 숙신사 및 프탈산 무수물과 같은 반응성 디카복실산 무수물과 반응시켜 추가로 변형시킨, 0.05 내지 10중량%의 무수물을 함유하는 공중합체를 추가의 올레핀 중합체와 이의 혼합물과 마찬가지로 사용할 수 있다. 적합한 수지의 예로는 이.아이.듀퐁드네모어즈 앤드 캄파니로부터 이용할 수 있는 상표명 CXA
Figure kpo00001
및 ELVAX
Figure kpo00002
수지가 포함된다. 추가의 적합한 중합체로는 0.05 내지 10중량%의 무수물을 함유하는 디카복실산 무수물 변형 에틸렌 중합체와 추가의 폴리올레핀 수지와 이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이러한 화합물의 예로는 노르켐 인코포레이티드로부터 이용할 수 있는 플렉사르
Figure kpo00003
(Plexar
Figure kpo00004
)수지로서 공지된 수지의 종류가 포함된다. 에틸렌과 비닐 아세테이트의 바람직한 공중합체는 20 내지 35중량%,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중량%의 비닐 아세테이트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다층 조성물의 비닐 클로라이드 중합체 접착층은 5 내지 20중량%의 일산화탄소를 함유하는 에틸렌과 일산화탄소, 및 임의로, 에틸렌성 불포화 카복시-치환 공단량체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공중합성 공단량체(삼원공중합체인 경우)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다. 임의로 본 발명에서는 또한 기타 폴리올레핀 중합체가 혼합물 총 중량의 5 내지 20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삼원공중합체와 기타 폴리올레핀 중합체와의 혼합물의 사용도 포함된다. 특히 바람직한 비닐 클로라이드 중합체 접착성 공중합체로는 1) 일산화탄소가 공중합체 총 중량의 2 내지 20중량%를 구성하는 에틸렌-일산화탄소 공중합체, 2) 삼원공중합체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의 중합된 아크릴산과 5 내지 20중량%의 일산화탄소를 함유하는 에틸렌-아크릴산-일산화탄소 삼원공중합체, 및 3) 삼원공중합체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35중량%의 중합된 비닐 아세테이트와 2 내지 15중랑%의 일산화탄소를 함유하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일산화탄소 삼원공중합체가 포함된다. 에틸렌성 불포화 카복시 함유 공단량체는 중합체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35% 이하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 접착성 피복물은 특정의 적합한 기술에 의해 제조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3개의 중합체 층을 다-피드블록 주형 동시압출(multi-feedblock cast coextrusion)시켜 제조한다. 다른 방법으로, 압축공기를 사용하는 필름 발포기술 또는 동시압출된 원통형의 얇은 필름을 팽창시키기 위한 기계적 기술에 의해 다층 접착성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원통을 잘라내어 예외적인 균질성을 갖는 생성되는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다층 피복물은 별도로 제조한 다음, 하나 또는 두 개의 기재에 열 밀봉시킬 수 있거나 동시압출 시켜 직접 하나 이상의 금속 및/또는 비닐 중합체 기재와 접착성 접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금속 기재 스트립 양쪽면을 다층 피복물로 피복시켜, 내부전도체 장치가 비닐 클로라이드 중합체로 이루어진 절연층을 갖는 케이블간의 향상된 접착을 제공한다.
임의로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수지로 이루어진 내부 재킷을 포함하는 중심 전도체 장치를 형체화한 통신용 케이블은 콘 성형(cone former)과 같은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한다. 물 흡수층은 임의로 전도체 장치의 외부 피복물상에 적용하고, 상부에 다층 접착성 피복물을 갖는 금속스트립을 형성시키고 임의로 원통형으로 접합하고, 또한 임의로 주름을 잡아 표면에 노출된 접착층을 남기면서 물 흡수층을 안전하게 캡슐화한다. 최종의 장치에서 재킷용 수지를 금속성 외장상에 압출 피복시키고 본 발명의 3개 층 접착성 피복물을 사용하여 접착시킨다.
바람직한 구조물에서, 금속성 외장은 구리 또는 구리 피복 스테인레스강으로 이루어지고, 금속 접착층은 5내지 1%의 비닐 아세테이트를 함유하는 에틸렌과 비닐 아세테이트의 말레산 무수물 변형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며, 중간층은 25 내지 30%의 비닐 아세테이트를 함유하는 에틸렌과 비닐 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고, 비닐 클로라이드 중합체 접착층은 5 내지 15%의 일산화탄소를 함유하는 에틸렌과 일산화탄소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다.
물 흡수층은, 사용되는 경우, 물을 흡수하고 보유할 수 있는 특정의 적합한 조성물일 수 있다. 전형적으로, 그러한 조성물은 아크릴아미드 단량체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함유한다. 이러한 조성물은 분말, 또는 라미네이트화된 직포 또는 부직포 구조와 같은 섬유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적합한 조성물은 죠지아 웨스트 포인트 소재의 웨스트 포인트 팹페렐로부터 이용할 수 있는 피렛
Figure kpo00005
(Firet
Figure kpo00006
) 테이프로서 공지되어 있다.
가장 적합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케이블은 비닐 클로라이드 중합체 층으로 이루어진 가장 바깥부분의 재킷을 가설목적을 위해 제거할 수 있도록 조립된다. 적합하게는, 외부의 비닐 클로라이드 중합체 재킷을 우발적인 탈라미네이트화를 방지하기 위해 충분히 하부의 금속성 외장에 접착시키지만, 여전히 통상의 기술과 연장을 사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80° 피일 테스트 방법[참고;Rural Electrification Authority Test PE-39, bulletin 345-67]에 따라 테스트한 바와 같이 폭의 인치당 1.0 내지 10.0파운드(1.75 내지 17.5N/㎝)의 비닐 클로라이드 중합체 재킷과 하부의 비닐 클로라이드 중합체 접착층 사이의 접착이 바람직하다. 비닐 클로라이드에 대한 접착의 조절은 비닐 클로라이드 중합체 접착층에서 일산화탄소 단량체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비닐 클로라이드 중합체 재킷의 향상된 스트립성은 상술한 바람직한 범위의 일산화탄소를 사용함으로써 수득된다.
통신용 케이블의 금속성 외장으로부터 비교적 두꺼운 재킷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금속성 외장과 비교적 두꺼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재킷 수지층 사이에 삽입된 비교적 얇은 접착층은 제거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가설하는 동안, 접지시키기 위한 하부 금속성 외장과의 전기적 접촉은, 예를 들어, 금속성 기재상에 남아 있는 비교적 얇은 접착층을 통해 구멍을 뚫어 전기적 접촉을 수행하는 것으로 밝혀진 기계적 클램프 또는 기타 장치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다층 접착성 피복물을 비교적 얇고, 두께가 0.1 내지 0.5mm정도이다. 비닐클로라이드 중합체 재킷은 약간 더 두껍고, 0.5 내지 10mm 정도이다. 접지장치, 즉 얇은 피복물을 뚫기 위한 날을 갖춘 클램프 장치는 비교적 얇은 피복물에 쉽게 적응시킬 수 있고 하부의 금속 외장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비닐 클로라이드 중합체 재킷 뿐아니라 다층 피복물을 제거할 필요가 없다.
또한 완성된 통신용 케이블이 물 투과성의 특정 요건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 구조물은 전도체와 동일한 축방향으로 케이블을 통한 물의 투과에 적절하게 저항한다. 바람직하게는, 케이블의 길이가 3피이트인 절단 부분의 손상된 말단을 낙차가 대략 1met인 물에 노출시키면 24시간 후에도 물이 투과되지 않는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의 온도에서 약 30시간에 걸쳐 각 온도에서 1시간씩 머무르면서 총 사이클 시간은 3시간으로 케이블을 반복하여 가열 싸이클링한 후 그러한 테스트 과정에서 물 투과가 관찰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기술하였고, 다음의 실시예로 본 발명을 추가로 설명한다.
[실시예 1]
다우 케미칼 캄파니로부터 이용할 수 있는, 10중량%의 일산화탄소를 갖는 에틸렌/일산화탄소 공중합체의 제1층, 이.앙.듀퐁 드네모어즈 앤드 캄파니로부터 이용할 수 있는 엘박스
Figure kpo00007
(ELVAX
Figure kpo00008
) 3175인, 28중량%의 비닐 아세테이트를 함유하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제2내부층, 및 노르켐으로부터 이용할 수 있는 플렉사르(Plexar
Figure kpo00009
)인 말레산 무수물 융합 변형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제3층(비닐 클로라이드 중합체 접착층)으로 이루어지는 다층 필름을 발포 필름 방법으로 제조한다. 3가지 층의 두께는 각각 0.025mm, 0.01mm, 및 0.027mm이다.
필름을 이미 가열된 금속 테이프(93℃)와 접촉시킴으로써 구리 합금 테이프(두께 0.625mm, 넓이 7.5㎝)의 한쪽 면에 라미네이트시킨다. 2쌍의 통신용 케이블을 물 팽창성 테이프(상표명 피렛
Figure kpo00010
(Firet
Figure kpo00011
)의 테이프)와 2쌍의 케이블 중심주위에 노출된 다층 필름 피복물을 갖는 금속 라미네이트 테이프를 세로 방향으로 감아 제조한다.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재킷용 수지, 즉 테노르 아펙스 캄파니로부터 이용할 수 있는 84GO48A를 구조물의 외부상에 압력 압출시키고 압출열에 의해 접착되게 한다.
생성되는 케이블을 60℃에서 48시간동안 경과시킨다. 재킷 접착력은 6.0lbs/in(1060g/㎝)이고, 이는 충분하나 제거할 수 있는 재킷 접착을 나타낸다. 완성된 케이블을 -40 내지 +60㎝에서 각각의 상한 및 하한 온도에서 1시간씩 머무르면서 각 싸이클에 대해 총 3시간으로 10회 가열 싸이클링한다.
케이블을 손상시키고, 1m 길이 절단 부분의 손상된 말단을 물 1m의 수력압하에서 물에 노출시킨다. 24시간 후에도 반대쪽 말단으로부터의 물의 누출은 없다.

Claims (11)

1) 에틸렌과 약 20중량% 이하의, 하나 이상의 공중합성 카복시-함유 공단량체와의 공중합체의 금속접착층, 2) ⅰ) 10 내지 40중량%의 중합된 비닐 아세테이트를 함유하는 에틸렌과 비닐 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 ⅱ) 5 내지 20중량%의 에틸 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에틸렌과 에틸 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및 ⅲ) 5 내지 20중량%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에틸렌과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중간층, 및 3) 에틸렌과 일산화탄소, 및 임의로 하나 이상의 공중합성 에틸렌성 불포화 카복시 치환 공단량체(삼원 공중합체인 경우)와의 중합체(여기에서 중합체는 2 내지 20중량%의 중합된 일산화탄소를 포함한다)의 비닐 클로라이드 중합체 접착층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기재와 비닐 클로라이드 중합체 수지 사이에 제공되는 다층 접착성 필름.
제1항에 있어서, 금속 접착성이 추가로 약 10중량% 이하의 디카복실산 무수물의 반응 생성물을 함유하는 필름.
제1항에 있어서, 비닐 클로라이드 중합체 접착층 1 내지 10중량%의 중합된 아크릴산 아세테이트 및 5 내지 20중량%의 일산화탄소를 함유하는 에틸렌-아크릴산-일산화탄소 삼원공중합체, 및 10 내지 35중량%의 중합된 비닐 아세테이트 및 2 내지 15중량%의 일산화탄소를 함유하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일산화탄소 삼원공중합체(여기서, 중합체는 2 내지 20중량%의 중합된 일산화탄소를 포함한다)로 이루어지는 필름.
제1항에 있어서, 비닐 클로라이드 접착 삼원 공중합체를 5 내지 20중량%의 다른 폴리올레핀 중합체와 혼합한 필름.
제1항에 있어서, 중간 공중합체 층을 0.05 내지 10중량%의 무수물을 함유하는 디카복실산 무수물의 반응 생성물에 의해 변형시킨 필름.
제5항에 있어서, 반응성 디카복실산 무수물을 말레산, 숙신산, 및 프탈산 무수물로부터 선택하는 필름.
제1항,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중간층을 올레핀 중합체와 혼합한 필름.
비닐 클로라이드 중합체 수지의 외부 재킷; 비닐 클로라이드 중합체 접착층, 중간층 및 금속 접착층을 포함하는 다층 접착성 필름; 금속성 차폐물; 및 전도체 조립품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금속성 차폐물(Shield)은 전도체 조립품 주위 둘레에 감겨있으며, 다층 접착성 필름에 의해 재킷에 접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향상된 내화성을 갖는 통신용 케이블.
제8항에 있어서, 금속 접착층은 에틸렌과 약 20중량% 이하의, 하나 이상의 공중합성 카복시-함유공단량체와의 공중합체를 함유하며; 중간층은 ⅰ) 10 내지 40중량%의 중합된 비닐 아세테이트를 함유하는 에틸렌과 비닐 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 ⅱ) 5 내지 20중량%의 에틸 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에틸렌과 에틸 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및 ⅲ) 5 내지 20중량%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에틸렌과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며; 비닐 클로라이드 중합체 접착층은 에틸렌과 일산화탄소, 및 임의로 하나 이상의 공중합성 에틸렌성 불포화 카복시 치환 공단량체(삼원 공중합체인 경우)의 중합체(여기에서 중합체는 2 내지 20중량%의 중합된 일산화탄소를 포함한다)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금속성 차폐물과 전도체 조립품 사이에 배치된 물 흡수층을 포함하는 케이블.
제10항에 있어서, 물 흡수층이 아크릴아미드의 중합체로 이루어진 케이블.
KR1019870008820A 1986-08-13 1987-08-12 다층 필름 구조물 및 이를 삽입한 전기 케이블 KR9100000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895,969 US4731504A (en) 1986-08-13 1986-08-13 Multi-layer film structure and electrical cable incorporating same
US895969 1992-06-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3348A KR880003348A (ko) 1988-05-16
KR910000070B1 true KR910000070B1 (ko) 1991-01-19

Family

ID=25405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8820A KR910000070B1 (ko) 1986-08-13 1987-08-12 다층 필름 구조물 및 이를 삽입한 전기 케이블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731504A (ko)
EP (1) EP0256603B1 (ko)
JP (1) JPS6372539A (ko)
KR (1) KR910000070B1 (ko)
AU (1) AU580918B2 (ko)
BR (1) BR8704558A (ko)
CA (1) CA1290415C (ko)
DE (1) DE3782115T2 (ko)
MX (1) MX1660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1618A (en) * 1987-12-04 1989-10-03 Shell Oil Company Laminar structures prepared with polyketone structural adhesives
US5144098A (en) * 1990-03-08 1992-09-01 W. L. Gore & Associates, Inc. Conductively-jacketed electrical cable
JPH04101314U (ja) * 1991-02-20 1992-09-01 東京特殊電線株式会社 高周波変圧器巻線用多層絶縁電線
US5277947A (en) * 1992-06-26 1994-01-1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Adhesives for laminating vinyl to various substrates
US5719353A (en) * 1995-06-13 1998-02-17 Commscope, Inc. Multi-jacketed coaxial cable and method of making same
GB9620394D0 (en) * 1996-09-30 1996-11-13 Bicc Plc Electric power cables
JP3866809B2 (ja) 1996-12-19 2007-01-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有機膜及びその製造方法
GB9719253D0 (en) 1997-09-11 1997-11-12 Limited Electric power cables
US6049647A (en) * 1997-09-16 2000-04-11 Siecor Operations, Llc Composite fiber optic cable
US6361844B1 (en) 1999-01-27 2002-03-26 David T. Ou-Yang Release article and adhesive article comprising the release article
US6361146B1 (en) * 1999-06-15 2002-03-26 Lexmark International, Inc. Adhesive bonding laminates
US6465091B1 (en) 2000-03-27 2002-10-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lease article and adhesive article containing a polymeric release material
US6370753B1 (en) 2000-07-24 2002-04-16 Arnco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wrapping and installing cable
DE602005009401D1 (ko) * 2004-10-26 2008-10-09 Gates Corp
US7522794B2 (en) * 2005-03-29 2009-04-21 Reynolds Packaging Llc Multi-layered water blocking cable armor laminate containing water swelling fabrics and method of making such
US7536072B2 (en) * 2005-03-29 2009-05-19 Alcoa Inc. Aluminum alloys for armored cables
CN103906817B (zh) * 2011-09-30 2017-04-19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受控剥离的层合物粘合膜
CN103871574A (zh) * 2014-03-07 2014-06-18 安徽新华电缆(集团)有限公司 一种冶金发电用多层防护套软电线
KR102278263B1 (ko) * 2015-05-11 2021-07-1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력 케이블
KR102278264B1 (ko) * 2015-07-03 2021-07-1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력 케이블
KR102278262B1 (ko) * 2015-07-13 2021-07-1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력 케이블
WO2017010051A1 (ja) * 2015-07-16 2017-01-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気ケーブル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51931A (en) * 1961-06-26 1982-09-2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lyethylene copolymers
US3467569A (en) * 1966-06-03 1969-09-16 Dow Chemical Co Resin foam-metal laminate composites
US3681515A (en) * 1971-04-29 1972-08-01 Dow Chemical Co Electric cables and like conductors
US4132857A (en) * 1971-08-12 1979-01-02 Union Carbide Corporation Electrical cable
US4004077A (en) * 1975-03-07 1977-01-18 Northern Electric Company Limited Water blocked electric cables
JPS58385B2 (ja) * 1977-11-29 1983-01-06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剥離可能な接着構造物及びその製造方法
US4292463A (en) * 1977-12-14 1981-09-29 The Dow Chemical Company Cable shielding tape and cable
US4308416A (en) * 1979-07-11 1981-12-29 Nl Industries, Inc. Water-tight electric cable
US4449014A (en) * 1981-01-19 1984-05-15 The Dow Chemical Company Plastic/metal laminates, cable shielding or armoring tapes, and electrical cables made therewith
US4501928A (en) * 1983-05-09 1985-02-26 Dainichi-Nippon Cables, Ltd. Shielding tape and electric cables using same
US4600614A (en) * 1983-09-12 1986-07-15 The Dow Chemical Company High-frequency heatable plastics
CA1243257A (en) * 1983-10-18 1988-10-18 Masakazu Ito Multi-layer film or sheet material
US4487641A (en) * 1983-11-15 1984-12-11 At&T Technologies, Inc. Methods of and apparatus for making a rodent and lighting protective cable sheath system
CA1245145A (en) * 1984-05-14 1988-11-22 Kenji Satoh Heat-laminating composite film and laminated material using the same
US4680234A (en) * 1985-05-13 1987-07-14 The Dow Chemical Company Weatherable coextruded flexible films and laminated structure
ZA866056B (en) * 1985-08-23 1987-03-25 Uniroyal Chem Co Inc Insulating adhesive tape composition and composites thereof
US4810755A (en) * 1986-02-25 1989-03-07 Kuraray Co., Ltd. Adhesive resin composition, laminated material using it and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it
JPH05165427A (ja) * 1991-12-18 1993-07-02 Fuji Electric Co Ltd 走査線駆動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56603B1 (en) 1992-10-07
DE3782115T2 (de) 1993-04-15
CA1290415C (en) 1991-10-08
AU580918B2 (en) 1989-02-02
KR880003348A (ko) 1988-05-16
BR8704558A (pt) 1988-04-26
AU7630087A (en) 1988-03-03
JPH0473706B2 (ko) 1992-11-24
MX166020B (es) 1992-12-16
EP0256603A3 (en) 1989-04-12
JPS6372539A (ja) 1988-04-02
DE3782115D1 (de) 1992-11-12
US4731504A (en) 1988-03-15
EP0256603A2 (en) 1988-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0070B1 (ko) 다층 필름 구조물 및 이를 삽입한 전기 케이블
US4322574A (en) Cable shielding tape and cable
US4292463A (en) Cable shielding tape and cable
EP0051139B1 (en) Composite tubing and shielded electrical cable
US4132857A (en) Electrical cable
JP2859884B2 (ja) 接着剤組成物及びその用途
CA2248654C (en) Ethylene polymer composition for cable applications
CA1180654A (en) Plastic/metal laminates, cable shielding or armoring tapes, and electrical cables made therewith
US4769514A (en) Lead alloy foil for laminated tape
GB1576513A (en) Cable shielding tape and cable
US3935374A (en) Laminated sheathed cable
US5114746A (en) Cable coated with at least two concentric layers of polymeric material and process of making same
US4598127A (en) Compositions based on mixtures of ethylene-ethyl acrylate copolymers and ethylene-vinyl acetate-vinyl chloride terpolymers
KR100378880B1 (ko) 열수축성 슬리브 및 그 보강재
EP0143457A2 (en) Method for covering continuous articles
CA1290879C (en) Compositions based on mixtures of ethylene-ethyl acrylate copolymersand ethylene-vinyl acetate-vinyl chloride terpolymers
EP0122954B1 (en) Shielding tape and electric cables using same
EP0141231A2 (en) Multilayer metal/organic polymer laminate
CA1121303A (en) Cable shielding tape and cable
EP0516444A2 (en) Heat recoverable articles
JPH08185909A (ja) 水密性絶縁接続子
JPS6235213Y2 (ko)
JP2705014B2 (ja) ホットメルト接着剤
KR20160132766A (ko) 전력 케이블
JPH02200434A (ja) 熱収縮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24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