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8997B1 - 전자커넥터 - Google Patents

전자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8997B1
KR900008997B1 KR1019870010023A KR870010023A KR900008997B1 KR 900008997 B1 KR900008997 B1 KR 900008997B1 KR 1019870010023 A KR1019870010023 A KR 1019870010023A KR 870010023 A KR870010023 A KR 870010023A KR 900008997 B1 KR900008997 B1 KR 900008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hape memory
spring
memory spring
electronic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0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4606A (ko
Inventor
토시야 히가미
코지 요시다
유이찌 오바라
케니찌 푸세
Original Assignee
후루까와덴끼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쿠사카베 에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1211491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69169A/ja
Priority claimed from JP6121906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2819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2018652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713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2043947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211582A/ja
Priority claimed from JP62046766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216275A/ja
Priority claimed from JP62052173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221570A/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7071774U external-priority patent/JPS63182084U/ja
Priority claimed from JP62138936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304583A/ja
Priority claimed from JP62150228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314785A/ja
Application filed by 후루까와덴끼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쿠사카베 에쭈지 filed Critical 후루까와덴끼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4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4606A/ko
Publication of KR900008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9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커넥터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제1실시예의 횡단면도.
제3도는 제1실시예의 콘택트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4도, 제5도는 제1실시예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6도, 제7도는 제1실시예의 응용예를 나타내는 일부 횡단면도.
제8도, 제9도는 제1실시예의 다른 응용예에 사용되는 형상기억스프링의 일부 사시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11도, 제12도는 제2실시예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횡단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응용예를 나타내는 요부 횡단면도.
제16도, 제17도는 제15도의 부착부재의 부착방향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18도는 부착부재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19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제20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1도, 제22도는 제6실시예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23도는 제6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도.
제24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5도는 제24도에 나타나는 스토퍼부재의 사시도.
제26도, 제27도는 제7실시예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28도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의 나타내는 횡단면도.
제29도는 제8실시예에 사용되는 콘택트의 정면도.
제30도는 제8실시예의 응용예에 사용되는 콘택트의 정면도.
제31도, 제32도는 제30도에 나타난 콘택트를 사용한 경우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33도, 제34도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횡단면도.
제35-37도는 제9실시예에 있는 콘택트의 스프링압의 발생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38도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횡단면도.
제39도는 제10실시예의 요부 횡단면도.
제40도는 제10실시예의 콘택트 사시도.
제41도 및 제42도는 제10실시예의 응용예를 나타내는 요부 평면도 및 콘택트의 사시도.
제43도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커넥터하우징 2 : 콘택트수용실
3 : 콘택트 5 : 형상기억스프링
8 : 가이드 9 : 동작전달부재
10 : 상대콘택트 11, 12 : 홈
13 : 스토퍼부재 14 : 부착부재
20 : 격벽 23 : 슬릿트
24 : 보조스프링부 30 : 제1의 규제부
31 : 제2의 규제부 35 : 탄성제
41 : 절연피복 42 : 자세보지구
본 발명은 커넥터(Connector)에 대하여 형상기억용수철을 액튜에이터(Actuator)로 짜넣어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무삽발력(無揷拔力)으로 또는 저삽발력(低揷拔力)에 가까운 상태로 상대커넥터의 삽발(揷拔)을 가능하게 하는 전자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집적회로(IC, LSI등) 진전과 동시에 전자기기도 점점 고밀도화, 다기능화로 발전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커넥터의 콘택트핏치(Conntact pitch)가 협소한 방향으로, 그래서 커넥터수가 다극화로 진행되고 있다. 이에 필연적으로 문제가 되어오는 것이 전자부품이나 배선기판등의 삽발시에 삽발력이 다극화와 함께 증대하고 무리한 힘으로 삽발을 수행하여야 하는 점이다.
즉, 1쌍의 콘택트삽발력이 기껏 수 10g이어도 콘택트의 수가 수백, 수천에 이르면 그 삽발력은 수 ㎏-수십 ㎏에 달한다. 이같은 경우, 무리한 힘으로 삽발하면 삽입하는 배선기판의 단자나 배선기판 그것이 변형한다거나 손상한다거나 혹은 커넥터측의 콘택트접촉부에 손상을 초래한다거나 최악의 경우에는 콘택트가 잘라지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즉 삽발력을 적게하기 위하여 형상기억스프링을 콘택트의 액튜에이터로서 짜넣은 무삽발력타입의 전자커넥터(미합중국 특허출원 797652호, 1985년 11월 13일 출원)가 제안되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전자커넥터는 통상의 스프링을 바이어스스프링으로 사용한다거나, 캠기구를 사용하거나 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며 부품갯수도 많기 때문에 고밀도화나 낮은 코스트화의 점에서 문제가 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에 즈음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무삽발력으로 또는 거의 무삽발력으로 콘택트류의 장착, 탈착이 될 수 있고 더구나 구조가 간단하여 부품갯수가 적은 전자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자커넥터는 커넥터하우징내에서 열을 지어서 짜넣어진 복수의 콘택트와 상기한 커넥터하우징에 짜넣어 상기한 콘택트를 구동하는 형상기억스프링을 지녔고, 상기한 형상기억스프링이 변태(變態)온도 또는 그 이상으로 될 때 기억하고 있는 형상을 회복하면서 이때에 발생하는 회복력을 상기한 콘택트에 전달시켜 변태온도 이하로 되었을 때는 상기한 콘택트의 스프링 압력으로 기억형상회복전의 형상으로 되돌아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서 제3도까지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들 도면의 보여주듯이 본 실시예의 전자커넥터는 절연재로 되는 커넥터하우징(1)을 구비하였고, 이 커넥터하우징(1)에는 그 정면에 열린 상태로 2열로 콘택트수용실(2)이 형성되어져 있다. 각각의 콘택트수용실(2)내에는 가로방향으로 열을 지어서 복수의 콘택트(2)가 정열상태로 수용되며, 그 각부(脚部)(3A)는 커넥터하우징(1)의 저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도출되어져 있다. 각각의 콘택트(3)는 콘택트기부(3P)와 콘택트기부(3P)에 대하여 거의 U자상을 이루도록 형성된 콘택트스프링부(3C)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콘택트스프링부(3C)에는 제3도에 나타나듯이 잘라 올리는 것에 의하여 형상기억스프링파지부(3D)가 설치되어 있어서 후술하는 형상기억스프링(5)의 일단을 이 형상기억스프링파지부(3D)에 삽입하여 양자를 연결한다. 형상기억스프링(5)부는 각각의 콘택트(3)에 대하여 별개로 설치되며, 이 콘택트(3)를 개별로 구동하도록 위치 결정되어 있다. 이 형상기억스프링(5)은 예를 들면 Ni-Ti 합금등으로 되며 이 단면은 거의 U자상 또는 V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일단을 전술하였듯이 콘택트스프링부(3C)의 형상기억스프링파지부(3D)에 삽입되어 연결되고, 다른쪽단은 커넥터하우징(1)의 중앙에 경사지게 잘라진 부분(1B)에 편을 갖는 지지용 지금(止金)(40)으로 지지되어 있다.
또한, 부호 7은 커넥터하우징(1)의 1B의 면에 장착된 면상의 히터로 상기한 형상기억스프링(5)을 가열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형상기억스프링(5)의 변태온도는 80℃에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상온에서는 마르텐사이트상이며 연질이고, 겉보기상 소성(塑性)변형하기 쉽도록 되어 있다.
한편, 80℃ 또는 그 이상으로 되면 형상기억스프링(5)은 오스테나이트상으로 되며 이미 기억하고 있는 형상을 회복하도록 하여 이 경우에 큰 힘을 발생한다.
제4도, 제5도는 본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히터(7)에 통전하여 형성기억스프링(5)을 80℃이상으로 가열하면, 형상기억스프링(5)은 오스테나이트상으로 되며 제4도에 나타나듯이 이미 기억하고 있는 형상(이 경우에는 그 양 연부가 폐색되는 형상을 기억하고 있다)을 회복하도록 하여서 이 경우 발생하는 힘이 콘택트스프링부(3C)의 스프링압을 이겨내서 이 콘택트스프링부(3C)를 끌어당긴다.
즉, 콘택트기부(3P)와 콘택트스프링(3C)의 사이가 열린다. 이 상태에서는 상대콘택트(10)을 무삽발력으로 삽발할 수 있다. 다음에 히터(7)에의 통전을 멈추어 형상기억스프링(5)의 온도가 상온으로 내려가면 형상기억스프링(5)이 마르텐사이트상으로 되어 연하게 된다.
그 결과 제5도에 나타나듯이 콘택트스프링부(3C)의 스프링압이 형상기억스프링(5)의 스프링압을 이겨내어 콘택트기부(3P)와 콘택트스프링부(3)의 사이가 좁아져서 상대콘택트(10)를 소정의 스프링압으로 끼우게 된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와 달리, 형상기억스프링(5)을 가열하면 이 형상기억스프링(5)의 양연부가 넓어지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온에서는 제4도와 같이 콘택트스프링부(3C)의 스프링압이 형상기억스프링(5)의 스프링압을 이겨내므로 형상기억스프링(5)을 1B측에 눌러 붙어지게 된다.
이때에 콘택트기부(3P)와 콘택트스프링부(3C)의 사이간격이 넓어지기 때문에 상대콘택트(10)는 무삽발력으로 삽발할 수 있다. 다음에 히터(7)에서 형상기억스프링(5)을 80℃이상으로 가열하면 제5도와 같이 형상기억스프링(5)은 미리 기억하고 있는 형상(이 경우, 양연부가 넓어지는 형상을 기억하고 있다)을 회복하도록 하여서 이 경우 발생하는 회복력으로 콘택트스프링부(3C)를 상대콘택트(10)에 소정의 접촉압으로 눌러 붙인다. 이 경우 상기한 형상기억스프링파지부(3D)는 없어도 좋다.
제6도, 제7도는 본 실시예의 응용예를 나타낸다. 어느곳에서도 각각의 콘택트(3)와 형상기억스프링(5)의 형상이 전술한 실시예와 상위하지만 그것이외의 점에서는 거의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2가지 응용예는 형상기억스프링(5)이 어느곳에서도 상온으로 도시한 무삽발력상태이어서 이 상태에서 형상기억스프링(5)을 가열하면 기억된 상태를 회복하여 콘택트스프링부(3C)를 밀어내서 상대콘택트(10)에 접촉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제1도에 나타나는 제1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콘택트(3)에 대하여 별개로 형상기억스프링(5)을 설치하고 있지만 개별로서 부품개수가 많게 되거나 각각의 콘택트(3)에 미치는 형상기억스프링(5)의 힘이 일정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형상기억스프링(5)과 콘택트(3)의 사이를 절연제로 절연하고, 형상기억스프링(5)이 적어도 2개 이상의 콘택트(3)에 대하여 공통이고 이 콘택트(3)의 정열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구조로 하였다. 이같이 하면 형상기억스프링(5)의 수가 대폭으로 감소하는 동시에 각각의 콘택트(3)에 대하여 가해지는 형상기억스프링(5)의 스프링압이 일정하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그 하나의 예를 제8도에 나타낸다.
제8도는 형상기억스프링(5)만 도시하고 있지만 그것 이상의 부분이 제1도와 동일하게 되어서 이곳에서는 생략한다. 제8도에 나타나듯이 본 응용예에 있는 형상기억스프링(5)이 적어도 2개 이상의 콘택트(3)에 대하여 공통이고 콘택트(3)의 정열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덧붙여서 이 형상기억스프링(3)의 표면은 후술하듯이 절연피복(41)으로 덮어져 있다. 이곳에서 형상기억스프링(5)의 표면을 절연피복(41)으로 덮는 방법으로서는 형상기억스프링(5)의 표면에 예를 들면 불소계 분체도료나 에폭시수지계 분체도료를 정전도장등에 의하여 부착하여 소성하는 것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형상기억스프링(5)에 대하여 절연체,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 불소수지 혹은 비닐수지를 압출피복하여도 좋으며, 형상기억스프링(5)의 표면을 상기한 수지로 되는 필름이나 유리섬유등의 내면에 실리콘계의 접착제를 부착시켜 덮어도 좋다. 이것에서 접착제로서는 상기한 실리콘계 접착제외의 SBR(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NBR(니트릴 부타디엔 고무)등의 고무계 접착제나 에폭시우레탄등의 수지계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제8도에서 형상기억스프링(5)의 전체표면을 절연피복(41)으로 덮었지만 제9도에 나타나듯이 콘택트(3)와 접촉하는 부분만 절연피복(41)으로 덮어도 좋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콘택트(3)층의 형상기억스프링(5)과 접촉하는 부분을 전술한 각종 방법으로 절연피복(41)으로 덮어도 좋다.
이같이 형상기억스프링(5)을 각각의 콘택트(3)에 대하여 공통이어서 각각의 콘택트(3)의 정열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구조로 되며 형상기억스프링(5)과 콘택트(3)의 사이를 절연한 것에 의하여 각각의 콘택트(3)에 부여한 형상기억스프링(5)의 형상회복에 의하여 발생하는 스프링압을 일정하게 갖을 수 있다.
또한, 부품갯수도 대폭 감소할 수 있다. 덧붙여서 이같은 전자커넥터를 조립하는 경우, 형상기억스프링(5)이 복수의 콘택트(3)에 대하여 공통이며 커넥터의 일측단으로부터 타측단으로 향하여 형상기억스프링(5)을 슬라이드시켜 삽입장착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제10도에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2열의 콘택트(3)의 중앙에 적어도 2이상의 콘택트(3)에 공통으로 하면서 콘택트(3)의 정열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형상기억스프링(5)을 배치시키며, 형상기억스프링(5)에서 양열의 콘택트(3)를 동시에 구동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제10도에 도시하듯이 제2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콘택트(3)가 2열로 짜넣어져 있어서 이 2열의 콘택트(3)의 중앙에 단면 U자상의 형상기억스프링(5)이 배치되어 있다. 형상기억스프링(5)은 양 연부를 각각의 콘택트(3)의 도중에 설치한 형상기억스프링파지부(3D)에 삽입되며, 각각의 콘택트(3)에 연결되어 있다. 이곳에서 부호(41)은 콘택트(3)와 형상기억스프링(5)의 절연을 취하기 위하여 형상기억스프링(5)의 콘택트(3)와의 접촉부(3)에 설치된 절연피복이고, 이것은 제9도에 나타난 것과 동일하다. 또한 부호(20)은 각열의 인접하는 콘택트(3)등을 절연하기 위한 격벽이고, 이것은 콘택트하우징(1)에서 돌설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형상기억스프링(5)의 요부내에는 자세유지구(42)가 놓여있고, 형상기억스프링(5)의 자세를 안정되도록 균형있는 스프링압을 양측의 콘택트(3)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자세유지구(42)는 콘택트하우징(1)의 측면에서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형상기억스프링(5)의 변태온도 80℃로 설정되어 있다. 이 경우의 형상기억스프링(5)의 동작을 제11도, 제12도에서 설명한다.
제11도에 나타나듯이 상온에서는 양 콘택트(3)의 스프링압이 형상기억스프링(5)의 스프링압에 견디어 내서 양콘택트(3)의 간격이 넓혀진 상태로 되어 있다. 이때 상대콘택트(10)는 무삽발력으로 삽발할 수 있다.
다음에 히터(7)에서 형상기억스프링(5)을 가열하여 그 온도를 80℃ 이상으로 하면 형상기억스프링(5)은 제12도에 나타나듯이 미리 기억하고 있는 형상(이 경우 U자상의 양 연부가 닫힌 형상)을 회복하도록 하여 상기한 양측의 콘택트(3)를 내측에 끌어들이며 그 결과 양 콘택트(3)의 접점(3B)을 소정의 스프링압으로 상대콘택트(10)에 접촉된다.
이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중앙에 배치시킨 1개의 형상기억스프링(5)으로 그 양측의 2열의 콘택트(3)를 동시에 구동할 수 있어서 형상기억스프링(5)의 개수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전자커넥터는 절연재로 되는 커넥터하우징(1)을 구비하여, 이 커넥터하우징(1)에는 그 정면에 개구하여 콘택트수용실(2)이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수용실(2)내에는 서로 향하여 복수의 콘택트(3)가 정열한 상태로 수용되며 그 각부(3A)는 커넥터하우징(1)을 관통하여 저면에서 외부로 도출되어 있다. 각각의 콘택트(3)의 선단에 인접하여 커텍터하우징(1)내에는 구동실(4)이 형성되며, 이 구동실(4)내에는 U자상 또는 V자상의 형상기억스프링(5)이 위치결정돌기(6)에 의하여 위치결정되어 수용되고 있다.
상기한 위치결정돌기(6)는 상기한 커넥터하우징(1)에서 돌설되어 있다. 구동실(4)과 콘텍터수용실(2)은 공(孔) 또는 슬리드로 되는 가이드(8)에 연통되어 있다. 형상기억스프링(5)과 콘택트(3)의 사이에는 형상기억스프링(5)의 온도가 변태온도 또는 그 이상이 되어 스프링(5)이 미리 기억하고 있는 형상으로 회복하는 경우 발생하는 회복력을 콘택트(3)에 전달하는 T자상의 동작전달부재(9)가 개재되어 있다. 이 동작전달부재(9)는 가이드(8)를 통하며, 이 가이드(8)에 의하여 이동방향의 규제, 즉 올바른 방향으로 힘이 콘택트(3)에 전달되는 규제를 받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부품이나 실장기판등의 신뢰성시험기로서 온도부하를 가하는 방임시험시에 사용하는 전자커넥터로서 최적한 예이다. 본 예에서는 예를 들면 Ni-Ti 합금으로 되는 형상기억스프링(5)은 그 변태온도를 100℃로 설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이 전자커넥터는 상온에서는 형상기억스프링(5)이 마르텐사이트상으로 연질이고 겉보기상 소성변형하기 쉬우며, 따라서 콘택트(3)의 스프링압이 형상기억스프링(5)의 스프링압에 견디어내서 제13도의 좌측에 나타나듯이 되어 있다.
즉, 콘택트(3)가 스프링정압으로 동작전달부재(9)를 구동실(4)측에 밀어 넣으며, 이 콘택트(3)가 콘택트실(2)의 내벽에 기댄 자세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상대콘택트(10)를 무삽발력으로 삽발할 수 있다. 다음에 상대콘택트(10)를 삽입한 상태로 방임시험기내에서 이 전자커넥트를 넣어 시험분위기가 100℃ 또는 그 이상으로 되면 상기한 형상기억스프링(5)이 오스테나이트상으로 되며 미리 기억되어 있는 형상을 회복하도록 하여서 이 경우 발생하는 회복력으로 콘택트(3)의 스프링압에 견디어내서 제13도의 우측에 나타나듯이 동작전달부재(9)를 가이드(8)의 방향규제를 기본으로 압출하고 이 동작전달부재(9)에서 콘택트(3)를 콘택트실(2)의 중앙에 밀어낸다. 이에 따라서 콘택트(3)는 상대콘택트(10)에 일정의 스프링압으로 압접된다.
상기한 제3실시예에 있어서 스프링(5) 및 동작전달부재(9)는 각각 콘택트(3)에 대응하여 별개로 설치되어도 좋다. 이 경우, 동작전달부재(9)는 도전성의 재료를 이용하여도 좋다.
한편, 부품갯수를 줄여서 구조를 보다 간단하게 하며 동작을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형상기억스프링(5)을 적어도 2이상의 콘택트(3)에 대하여 공통이고 콘택트(3)의 정열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구조로 하는 편이 적당하다. 이 경우는 당연하므로 전술한 제3실시예와 같이 동작전달부재(9)를 절연재로 구성하여야 한다. 또한 이것은 후술하는 이하의 실시예에 관하여 이미 언급한 것이다. 덧붙여서 상기한 제3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콘택트(3)를 정열상태로 2열로 배열한 것만 도시하였지만 편측 1열의 경우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것 까지는 언급할 필요가 없다. 이점은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 관해서도 동일하다.
제14도에 본 발명의 전자커넥터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좌우대칭을 위해 좌측은 생략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각각의 콘택트(3)의 선단측에 인접하여 커넥터하우징(1)내에 커넥터수용실(2)에 연통하는 구동실(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동실(4)내에는 상기한 콘택트(3)의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공통이다. 즉, 콘택트(3)의 정열방향에 있는 길이를 갖는 U자상 또는 V자상의 형상기억스프링(5)이 각각 수용되어 있다. 이곳에서 형상기억스프링(5)은 동작전달부재(9)에 그 일단에 매입되어 연결되며, 그 다른쪽단은 커넥터하우징(1)에 설치된 홈(11)에 끼워지며, 예를 들면 밀어넣어져 커넥터하우징(1)과 연결되어 있다. 이 같이 그 일단을 커넥터하우징(1)의 홈(11)내에 밀어넣는 것에 의하여 동작시의 지지단이 고정되며, 콘텍트(3)에의 형상기억스프링(5)의 힘의 전달이 확실하게 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상기한 홈(11)을 커넥터하우징(1)의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으면 커넥터하우징(1)에 콘택트(3)를 미리 짜넣은 후 동작전달부재(9)가 연결되어서 되는 형상기억스프링(5)을 커넥터(1)의 단에서 슬라이드시켜 장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제4실시예에 있어서는 분위기 온도가 형상기억스프링(5)의 변태온도 이하의 경우는 콘택트(3)의 스프링압의 형상기억스프링(5)의 스프링압에 견디어 내서 형상기억스프링(5)을 구동실(4)의 벽측에 눌러붙인다. 즉, 콘택트(3)는 콘택트수용실(2)의 벽측에 기댄 상태로 되며 이에 따라서 상대콘택트(10)가 무삽발력의 상태로 삽입할 수 있다.
그런후 분위기온도가 형상기억스프링(5)의 변태온도 또는 그것 이상으로 되면 형상기억스프링(5)은 미리 기억하고 있는 형상을 회복하도록 하여서 그 경우 발생하는 회복력을 그 일단을 홈(11)에서 지지하면서 동작전달부재(9)를 매개로 콘택트(3)에 전달하고, 그 결과 콘택트(3)는 콘택트수용실(2)의 중앙으로 밀려 나와져서 접점(3B)에서 상대콘택트(10)에 일정스프링압으로 접촉된다. 이 제4실시예에 있어서 형상기억스프링(5) 및 동작전달부재(9)를 적어도 2개 이상의 콘택트(3)로 공통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한 동작전달부재(9)는 각각 콘택트(3)등의 절연재로서의 역할과 함께 형상기억스프링(5)의 스프링압을 콘택트(3)에서 안정하게 전달하는 역할을 얻는다.
또한, 제14도에 있어서 동작전달부재(9)와 형상기억스프링(5)의 연결은 형상기억스프링(5)과 커넥터하우징(1)의 연결과 같이 동작전달부재(9)에 형상기억스프링(5)의 일단을 삽입하는 홈을 설치하고, 이 홈에 형상기억스프링(5)의 일단을 밀어넣어도 좋다. 또한, 동작전달부재(9)가 예를 들면 열가소성수지등으로 되는 경우에는 동작전달부재(9)에 설치된 홈에 형상기억스프링(5)의 일단을 삽입후 상기한 열가소성수지로 되는 동작전달부재(9)의 홈부를 열로 고정하여도 좋다. 이렇게 하면 형상기억스프링(5)과 동작전달부재(9)의 연결이 보다 확실하게 될 수 있다.
또한, 형상기억스프링(5)의 일단을 커넥터하우징(1)에 설치된 홈(11)에 삽입하는 경우, 이홈(11)의 폭은 삽입된 형상기억스프링(5)의 고정을 위하여 형상기억스프링(5)의 판두께 0.2-0.3㎜에 맞도록 하여야 하며 이 때문에 너무 좁게 할 수 없다. 그 결과 홈(11)의 가공이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역으로 홈(11)의 가공이 될 수 있어도 판두께가 얇은 형상기억스프링(5)을 홈(11)에 무리하게 밀어넣으려하면 최악의 경우 형상기억스프링(5)을 한 개를 초월하여 변형시켜버릴 염려도 있다. 그래서 제15도에 나타나듯이 홈(11)에 삽입하는 형상기억스프링(5)의 일단에 예를 들면 단면이 T자상의 부착부재(14)를 부착한다. 당연한 것이지만 이 경우 부착되는 상대의 홈(11)의 형상은 T자상으로 되어 있다. 제15도에 있어서 부호 9A는 동작전달부재(9)에 설치될 돌기로 이 돌기(9A)를 설치한 것에 의하여 형상기억스프링(5)의 힘을 콘택트(3)에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부착되는 부재(14)의 형상기억스프링(5)의 일단에의 부착은 예를 들면 제16도에 나타나듯이 부재(14)를 둘로 나누어 부착되는 부재편(14A), (14B)로 형성되어 있고, 한쪽의 부착되는 부재(14B)의 돌기(15)를 형상기억스프링(8)의 절결(16)을 통하여 상대의 부착되는 부재편(14A)의 공(17)에 감싸서 맞추는 것에 의하여 제17도와 같이 일체화 한다. 이 경우 부착되는 부재편(14A), (14B)은 필요에 따라서 접착재로 접착하여도 좋다. 더 나아가서 부재(14)는 인몰드성형에 의하여 직접성형으로 형상기억스프링(5)에 설치할 수도 있다.
제18도는 부재(14)의 다른예로서 이 경우는 부재(14)를 부분적으로 설치하는 것이다.
이같이 형상기억스프링(5)에 부재(14)를 설치하면 커넥터하우징(1)의 홈(11)의 폭을 넓힐 수 있고, 그 결과 홈(11)의 가공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이 홈(11)의 형상기억스프링(5)의 부착부재(14)를 매개로 행하므로서 종래와 같이 무리하게 삽입하여 고정할 필요가 없게 되고 삽입시에 형상기억스프링(5)을 한 개 이상으로 구부려 버릴 우려가 없게 된다.
또한, 제15도에 나타나듯이 부착부재(14)의 단면을 예를 들면 T자상으로 하면 형상기억스프링(5)의 홈(11)으로부터 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제15도에 있어서 커넥터하우징(1)측의 홈(11)에 대해서만 서술하였지만 형상기억스프링(5)을 동작전달부재(9)에 설치한 홈에 삽입하는 경우도 상기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9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전자커넥터의 특징은 상기한 제13도에 나타난것과 달리 콘택트(3)와 동작전달부재(9)가 연결되어 있는 점이다. 여기서 부호 6은 U자상 또는 V자상의 형상기억스프링(5)을 거꾸로 매달아 놓는 위치결정돌기로서 이것은 커넥터하우징(1)으로부터 돌설되어 있다.
또한, 부호 7은 형상기억스프링(5)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이다. 형상기억스프링(5)의 힘은 콘택트(3)에 연결된 L자상의 동작전달부재(9)를 매개로 하며 공 또는 슬리드로 되는 가이드(8)에 의하여 그 방향을 규제하여 확실하게 콘택트(3)에 전달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형상기억스프링(5)의 변태온도 80℃로 설정되어 있다.
이같은 형상기억스프링(5)을 히터(7)로 80℃ 이상 가열하면 형상기억스프링(5)은 오스테나이트상으로 되며 미리 기억하고 있는 형상을 회복하도록하여 콘택트(3)의 스프링압을 견디어 내서, 제19도의 우측상태로 된다. 즉, 형상기억스프링(5)의 스프링압으로 동작전달부재(9)가 가이드(8)로 규제된 방향으로 구동실(4)내에 끌여들여지고, 이것에 의하여 콘택트(3)의 구동실(4)측에 가까이 끌어들여진다. 이에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상태의 콘택트(10)를 무삽발력으로 삽발할 수 있다.
다음에 히터(7)에의 통전을 막으며, 가동실(4)내의 온도가 상온도로 되던 형상기억스프링(5)은 마르덴사이트상으로 되어 연화하고, 겉보기상 소성변형되기 쉽게 된다. 이렇게 되면 콘택트(3)의 스프링압이 형상기억스프링(5)의 스프링압에 견디어서 콘택트(3)가 콘택트수용실(2)의 중앙측에 밀어내며, 접점(B)에서 콘택트수용실(2)에 삽입되어 있는 상대콘택트(10)에 소정의 스프링압으로 접촉된다.
여기서 동작전달부재(9)를 플라스틱등의 절연재로 형성하면 가공도 용이하며 형상기억스프링(5)과 콘택트(3)의 절연도 확실하게 된다.
제20도는 본 발명의 전자커넥터의 제6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전자커넥터는 절연재로 되는 커넥터하우징(1)의 정면에 콘택트수용실(2)이 열려서 설치되어 있다. 콘택트수용실(2)내에는 복수의 콘택트(3)가 길이방향으로 평행 2열로 짜넣어져 있다. 2열의 각 콘택트(3)는 접점(3B)을 대향되게 배열되며, 2열의 콘택트 사이에는 이들 콘택트(3)를 구동하는 단면 U자상 또는 V자상의 형상기억스프링(5)이 배설되어 있다.
또한, 이 형상기억스프링(5)이 양측의 각 콘택트(3)에 대하여 공통으로 그 열을 따라 설치되면, 만곡요부의 양측의 양 연부가 절연재로 되는 동작전달부재(9)에 설치된 홈(12)에 삽입되어져 있고, 이 동작전달부재(9)를 매개로 2열의 콘택트(3)에 대하여 동시에 힘을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콘택트(3)의 일부는 예를들면, 몰드성형시에 동작전달부재(9)에 매입되어 있고, 각각의 콘택트(3)의 도중에 동작전달부재(9)가 지지된 구조로 되어 있다. 동작전달부재(9)에 각각의 콘택트(3)를 매입하는 수단으로서는 전술한 몰드성형외에 미리 동작전달부재(9)에 구멍을 내어놓고 이것에 각각의 콘택트(3)를 눌러넣은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도 좋다. 어느것에 있어서도 형상기억스프링(5)의 힘을 확실하게 콘택트(3)에 전달하기 위해서는 콘택트(3)와 동작전달부재(9)의 사이에 노는 현상이 없도록 할 필요가 있다.
동작전달부재(9)의 재질로서는 예를들면 사용조건으로 충분한 강도를 갖는 내열성수지, 예를들면 폴리트로필렌술파미드, 폴리에테르아미드등이 적당하다. 또한 동작전달부재(9)에 형상기억스프링(5)을 연결하는 홈(12)을 동작전달부재(9)의 일단에서 다른단까지 연속하여 설치하면 콘택트(3)를 커넥터하우징(1)에 짜넣은 후 한쪽단에서 형상기억스프링(5)을 슬라이드시켜 동작전달부재(9)에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도 좋다. 형상기억스프링(5)을 동작전달부재(9)의 홈(12)에 삽입후 접착제로 양자를 고정하여도 좋다. 본 실시예의 형상기억스프링(5)의 변태온도는 80℃로 설정되어 있고, 분위기온도가 80℃ 이상으로 되면 오스테나이트상으로 변화하여 큰 회복력을 발생한다.
제21도, 제22도는 본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제21도는 상온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형상기억스프링(5)이 마르텐사이트상이고 연질로 겉보기상 소성 변형하기 쉽게 되어 있어서 콘택트(3)의 스프링압에 따라서 동작전달부재(9)를 매개로 콘택트(3)의 스프링압에 의하여 외측에 닫힌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상대콘택트(10)가 무삽발력으로 삽발할 수 있다. 다음에 제22도는 분위기온도가 80℃이상으로 되고 형상기억스프링(5)이 오스테나이트상으로 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형상기억스프링(5)이 미리 기억하고 있는 형상을 회복하면서 즉, U자상 또는 V자상의 양단이 닫혀진 형상으로 회복하면서 동작전달부재(9)를 매개로 2열로 설치된 각각의 콘택트(3)를 내측에 끌어넣으며, 상대콘택트(10)에 대하여 접점(3B)에서 소정의 접촉압을 발생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온시에 접촉압이 얻어지도록 설계되어 있지만 형상기억스프링(5)의 기억형상을 변하는 것에 의하여(예를들면 U자의 양단을 연 형상으로 기억) 상온에서 콘택트(3)의 스프링압이 형상기억스프링(5)의 스프링압에 견디어서 콘택트(3)가 닫혀진 소정의 접촉압이 발생하며 변태온도 이상에서 형상기억스프링(5)이 기억하고 있는 형상을 회복하도록 하여서 외측을 열고, 상대콘택트(10)를 무삽발력으로 삽발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2열의 콘택트(3)를 지니는 전자커넥터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지만 어느것이나 한쪽의 열의 콘택트(3)를 생략하여도 좋다. 이 경우 형상기억스프링(5)의 다른단은 예를들면 제14도나 제15도에 나타나듯이 커넥터하우징(1)에 설치된 홈(11)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형상기억스프링(5)을 동작전달부재(9)의 홈(12)에 부착하는 방법으로서 제23도에 나타나듯이 부착부재(14)를 개입하여도 좋다. 이것은 제15도에 나타나는 방법으로 응용한 것으로서, 이같이 하면 동작전달부재(9)의 홈에서 형상기억스프링(5)이 뽑혀 떨어지지 않고 삽입시에도 형상기억스프링(5)의 삽입단을 너무 구부리게 할 염려도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를 제24도에 나타낸다. 이것은 상기한 제20도-제22도에 나타난 제6실시예를 개량한 것으로서 제6실시예에서는 형상기억스프링(5) 및 콘택트(3)의 동작범위가 바이어스스프링인 콘택트(3)와 형상기억스프링(5)의 힘의 조화만으로 결정되어버리며, 콘택트(3)의 정확한 위치관리가 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즉, 형상기억스프링(5) 및 콘택트(3)의 반복피로나 일정변형량에서의 장시간의 구속을 생각한 경우 벗어나는 양을 정확하게 관리하며 벗어나는 양의 일정치를 넘지 않는 범위로 사용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제24도에 나타나듯이 형상기억스프링(5)으로 구동되는 동작전달부재(9) 동작방향(제24도에 있는 좌우방향)의 한쪽측에는 동작전달부재(9)의 외향 동작범위를 규제하는 커넥터하우징(1)의 내벽(1A)을 설치하고 다른쪽 내향의 동작범위를 규제하기 위하여 스토퍼부재(13)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토퍼(13)와 각 격벽(20)이 제20도에 나타나듯이 연결부(13A)로 연결되어 콘택트수용실(2)내에 위치결정되어 수용되어 있다.
이러한 스토퍼부재(13), 연결부(13A) 및 격벽(20)은 커넥터하우징(1)과 일체성형하여도 좋으며, 스토퍼부재(13)는 커넥터하우징(1)의 길이방향측면부에 직접 연결하여도 좋다. 제26도, 제27도는 본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제26도는 상기한 제20도의 경우와 달리 고온시에 무삽발력으로 상대콘택트(10)를 삽발할 수 있는 전자커넥터의 경우의 상온에서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형상기억스프링(5)은 마르텐사이트상으로 되어 있어서 연질로 겉보기상 소성변형이 되기 쉽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형상기억스프링(5)은 콘택트(3)의 스프링압에 따라서 동작전달부재(9)를 매개로 내향하여 눌러져 있다. 이 때 동작전달부재(9)는 스토퍼부재(13)에 대하여 내향이동이 정지된다. 본도는 상대콘택트(10)를 생략하고 있지만 이 상태에서 콘택트(3)와 상대콘택트(10)가 접촉한 상태로 되어 있다. 다음에 커넥터하우징(1)과 형상기억스프링(5)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히터(7)에 통전하고 형상기억스프링(5)을 변태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면 형상기억스프링(5)은 오스테나이트상으로 변이하고, 미리 기억하고 있는(이경우는 U자상의 양단 연부가 닫혀진 형상을 기억)형상을 회복하도록 제27도와 같이 동작전달부재(9)를 매개로 콘택트(3)를 눌러 넓힌다. 이때 동작전달부재(9)는 커넥터하우징(1)의 내벽(1A)에 대하여 외향이동이 정지된다. 따라서 이때 형상기억스프링(5)에 필요 이상이 힘이 발생하여도 콘택트(3)에 큰 외곡이 더해지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상대콘택트(10)는 무삽발력으로 삽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형상기억스프링(5)에 미리 변태온도 이상으로 된다면 그 양단연부가 닫힌 형상을 기억하도록하면 제26도 및 제27도와는 역의 동작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더우기 본 실시예에서도 제6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어느 것 한쪽의 열의 콘택트(3)를 생략하여도 좋다. 이 경우 형상기억스프링(5)의 다른단은 예를들면 제14도나 제15도에 나타나듯이 커넥터하우징(1)에 설치된 홈(11)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본 발명의 제8실시예를 제28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제20도에 나타난 제6실시예나 제24도에 나타난 제7실시예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즉, 제6실시예의 것에서는 형상기억스프링(5)이 고온분위기에 닿고, 변태온도 이상으로 되면 수십초 시간이 걸리며 그 사이 상대콘택트(10)측의 간단한 도통체크조차 될 수 없다. 또한 제7실시예의 것에 있어서는 히터(7)의 통전을 막아도 형상기억스프링(5)의 온도가 변태온도 이하로 내려가 제26도와 같이 2열로 정열된 양측의 각각의 콘택트(3)의 간격이 좁혀져 상대콘택트(10)의 사이에 접촉압을 발생시켜서 약간 시간이 걸리며 이 경우도 전술한 것 같은 도통체크 조차 할 수 없다. 즉, 이제까지의 실시예에서는 형상기억스프링(5)이 변태하는 것에 수 10초라는 시간이 걸리며 그 사이 간단한 초기 체크조차도 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제8실시예의 것은 형상기억스프링(5)이 소망의 상태로 변태하기까지의 사이에 도통체크정도의 초기체크를 할 수 있다는 것에 특징이 있다.
제28도에 나타나듯이 이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콘택트(3)가 강스프링압주접점부(3B)가 상대콘택트(10)에 접촉하기 전에 접촉할 수 있는 위치로 대기하고 있는 약스프링압보조접점(3E)를 지니고 있다. 이 약스프링압보조접점(3E)은 제29도에 나타나듯이 폭이 좁은 보조스프링부(24)를 형성하며 이것을 제28도와 같이 콘택트수용실(2)의 중앙부에 길게 나오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고 있다. 이 같은 전자커넥터에 있어서는 예를들면 형상기억스프링(5)이 마르텐사이트상으로 되어 있을때는 약스프링압보조접점(3E)이 내측에 길게 나와져 대기하고 있어서 상대콘택트(10)는 강스프링압주접점부(3B)에 접촉하기 전에 약스프링압보조접점(3E)에 접촉할 수 있고, 형상기억스프링(5)이 오스테나이트상으로 변태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즉, 가열되지 아니하여도 초기체크가 될 수 있다. 형상기억스프링(5)이 가열되어 오스테나이트상으로 변태한 때에는 이 형상기억스프링(5)의 힘으로 동작전달부재(9)를 매개로 콘택트(3)를 콘택트수용실(2)의 중앙에 이동되도록하며, 강스프링압주접점부(3B)도 상대콘택트(10)에 접촉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28도에 있어서, 상온상태에서는 형상기억스프링(5)이 마르텐사이트상으로 콘택트(3)와 맞물려지는 것이 될 때 정지하고 있다.
이때 강스프링압주접점부(3B)는 약스프링압보조접점(3E)보다 상대콘택트(10)에 대하여 후퇴한 경우 정지하고 있어서 상대콘택트(10)의 삽입시에는 약스프링압보조접점(3E)만이 접촉한다. 이 때문에 극히 약한 힘으로 상대콘택트(10)의 삽입이 가능한 것으로 된다. 이때에 초기체크를 하는 것에 필요한 최소의 접촉압이 발생한다. 초기체크가 완료후 사용상태인 고온에 달하면 형상기억스프링(5)은 오스테나이트상으로 변하며, 기억하고 있는 형상, 즉 제28도에 파선표시와 같은 상태로 된다.
그 결과 강스프링압주접점부(3B)가 큰 접촉압으로 상대콘택트(10)에 접촉하고 고온하에서의 연속사용에 있어서도 높은 신뢰성이 얻어진다. 다시 상온으로 하면 형상기억스프링(5)이 제28도의 실선위치로 정지하고 상대콘택트(10)와 콘택트(3)는 약스프링압보조접점(3E)만이 접촉한 상태로 된다.
상온하에서 사용되는 전자커넥터의 경우에는 이같은 콘택트(3)를 적용하면 히터(7)의 통전을 막은 직후에 초기체크가 가능하게 되고 온도가 형상기억스프링(5)의 변태온도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높은 접촉압이 얻어지게 된다.
제30도는 본 실시예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콘택트(3)는 상기한 제29도의 것과 달리 콘택트(3)의 상부에서 하부로 향하여 슬릿트(23)가 들어가서 보조스프링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7도의 것과 달라서 약스프링압보조접점(3E)이 형상기억스프링(5)으로 구동되는 강스프링압주접점부(3B)의 동작에 거의 무관계로 일정의 위치에 멈춘다. 이 콘택트(3)를 사용한 것의 한예를 제31도 및 제32도에 나타낸다.
이것은 상온하에서 사용되는 전자커넥터로 이 예에 있어서 제31도와 같이 히터(7)에 의하여 가열되고 오스테나이트상태로 있는 형상기억스프링(5)의 외향으로 뻗히는 힘이 동작전달부재(9)를 매개로 콘택트(3)에 전달되고, 콘택트(3)의 강스프링압주접점부(3B)가 커넥터하우징(1)의 내벽측에 잡아당겨진다. 이 상태에서는 약스프링압보조접점(3E)만 커넥터수용실(2)의 중앙에 남겨져 대기하고 있어서 상대콘택트(10)는 약한 접촉압으로 약스프링압보조접점(3E)에 접촉된다. 이에 따라서, 히터(7)를 막아서 형상기억스프링(5)이 마르텐사이트상으로 돌아가기 전의 수 10초간에 약스프링압보조접점(3E)에 의하여 초기체크가 가능하다. 수 10초후 형상기억스프링(5)이 마르텐사이트상태로 돌아가면 제32도에 나타나듯이 콘택트(3)의 스프링압이 형상기억스프링(5)의 스프링압에 견디어서 콘택트수용실(2)의 중앙에 돌아가고, 그 결과 스프링압보조접점(3E)의 접촉압으로 강스프링압주접점부(3B)의 접촉압이 가해지며, 큰 접촉압이 상대콘택트(10)에 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9실시예를 제33도-제37도에 나타낸다. 이것은 제28도에 나타나는 제8실시예가 콘택트(3)에 슬릿트(23)를 넣어 보조스프링(24)을 형성하고 있는 것에 대하여 1본의 콘택트(3)로 제8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기 위하여 고안한 것이다. 콘택트(3)이외의 부분은 기본적으로는 제20도에 나타나는 제6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것으로서 제9실시예의 특징을 나타내는 부분만을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있어서, 콘택트(3)는 콘택트하우징(1)의 저면에서 콘택트수용실(2)내에 세워서 상단측이 하향으로 소정의 곡(曲)반경으로 접혀진 콘택트약스프링(3F)과 이 콘택트약스프링(3F)의 선단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있고 V자상으로 절곡된 콘택트강스프링부(3G)로 구성되어 있다. 접점(3B)은 콘택트약스프링부(3F)와 콘택트강스프링부(3G)의 경계에 설치되어 있다.
콘택트강스프링부(3G)와 대응하여 콘택트약스프링부(3F)의 도중에는 블록상의 동작전달부재(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동작전달부재(9)의 홈(12)에는 형상기억스프링(5)의 일단이 눌러들어가 있다. 콘택트강스프링부(3G)의 선단에는 계합굴곡부(3K)가 거의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계합굴곡부(3K)는 동작전달부재(9)의 상면에 놓여져 있다.
이같은 전자커넥터에 있어서, 분위기온도가 상온으로 형상기억스프링(5)이 마르텐사이트상태의 경우는 제33도에 나타나듯이 접점(3B)이 상대콘택트(10)의 삽입시에 접촉할 수 있는 위치에 정지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제35도에 검게 칠해져 있는 콘택트약스프링부(3F)의 하중작용점(3H)에 있는 스프링압과 형상기억스프링(5)의 힘이 맞물여진 상태로 되어 있다. 다음에 상대콘택트(10)를 제26도와 같이 삽입한 경우에는 접점(3B)이 상태콘택트(10)의 표면라인까지 되돌려지며, 소정의 약접촉압이 발생하고, 초기체크가 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때에 접촉압에 영향주는 콘택트(3)의 스프링압은 제36도에 검게 칠한 콘택트약스프링부(3F)의 부분에서 발생하고 있다. 그래서 이때의 스티프니스는 콘택트약스프링부(3F)가 발생하는 스티프니스이며, 후술하는 제37도의 상태의 스티프니스에 비교하여 대단히 약하고, 접점(3B)의 위치가 다소 엇갈려도 접촉압이 크게 변하지는 않는다.
상대콘택트(10)의 삽입후에 사용상태인 고압하, 즉 형상기억스프링(5)의 변태온도 이상의 온도에 이 전자 커넥터를 노출시키면 형상기억스프링(5)은 오스테나이트상으로 되며 콘택트(3)의 스프링압에 견뎌서, 기억하고 있는 형상으로 회복되어서 제34도의 상태로 정지한다. 그 결과, 접점(3B)은 큰 접촉압으로 상대콘택트(10)에 접촉하며, 고온하에서의 연속 사용에 있어서, 높은 신뢰성이 얻어진다. 이때에 접촉압에 영향을 주는 콘택트(3)의 스프링압은 최초 제36도에서 검게칠한 콘택트약스프링부(3F)에 의하여 발생하고 있지만 형상기억스프링(5)의 형상회복에 따라서 동작전달부재(9)가 콘택트강스프링부(3G)의 경사면에 접촉한 시점이어서 제37도의 검게칠한 부분과 앳칭부분의 양쪽에서 발생하게 된다. 이 때에 하중작용점은 제37도의 (3H)와 (3M)의 2점으로 되며, 특기 검게칠한 부분은 콘택트강스프링부(3G)이어서 스티프니스가 크고, 이에 따라서 형상기억스프링(5)의 형상회복력이 거의 그대로 접점(3B)에 전달된다.
이 종류의 전자커넥터에서는 형상기억스프링(5)의 힘을 접촉압으로 발생하기에는 콘택트(3)가 가능한한 변형하지 않고 즉, 스티프니스가 큰편이 좋지만 역으로 초기체크의 목적으로 상대콘택트(10)를 콘택트(3)에 약스프링압으로 접촉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콘택트(3)의 스티프니스가 적은 편이 좋다. 제9실시예에서는 상대콘택트(10)의 삽입후부터 온도상승에 따른 콘택트(3)와 형상기억스프링(5)의 동작완료까지의 사이에 콘택트(3)의 하중작용점에 있는 스티프니스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전술한 요구를 실현할 것이다.
또한, 상태콘택트(10)는 이것이 최초에 삽입되는때 콘택트(3)의 접점(3B)에 의하여 그표면을 위핑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콘택트(3)와 형상기억스프링(5)의 일련의 동작의 사이에 접점(3B)과 상대콘택트(10)의 접촉점이 시종일정하고 변화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전기적 관점에서 신뢰성이 극히 높은 접촉이 얻어진다.
상온에서 사용하는 경우 형상기억스프링(5)의 변태온도를 낮추며, 예를들면 0℃에 설정하여놓고, 상대콘택트(10)의 삽입시에 이 전자커넥터를 냉각하여 놓으면 전술한 것과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것은 콘택트(3)의 일련의 경우에도 2열의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이제까지 설명한 실시예와 같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8실시예의 것과 달리 하나의 콘택트(3)에 연속하여 설치된 콘택트약스프링부(3F)와 콘택트강스프링부(3G) 및 콘택트(3)를 구성하며, 약 스프링부의 경계에 접점(3B)을 설치하며 상기한 콘택트강스프링부에 동작전달부재(9)를 매개로 형상기억스프링(5)의 기억회복력이 작용하도록 구성하는 동시에 대기시에는 접점(3B)이 상대콘택트(10)의 삽입시에 접촉할 수 있는 위치로 존재하도록 한것으로서 콘택트(3)에 상대콘택트(10)를 접촉시켜서 초기 체크시에는 이 상대콘택트(10)의 삽입통로에 길게 나와있는 접점(3B)이 콘택트약스프링부(3F)에 지지되어 있어서 눌려지면 약한 힘으로 이동하게되며 극히 약한 삽발력에서 초기체크를 행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형상기억스프링(5)의 작동시에는 형상기억스프링(5)의 힘이 동작전달부재(9)를 매개로 콘택트(3)의 콘택트강스프링부(3G)에 작용하여서 콘택트약스프링부(3F)와 달리 형상기억스프링(5)의 힘의 삼쇠를 최소한으로 하여 접점(3B)에 이 형상기억스프링(5)의 힘을 전달하여서 필요한 접촉압을 얻을 수 있다.
더욱이 이제까지 나타난 실시예의 것과 달리 상대콘택트(10)의 삽입시에 이 상대콘택트(10)의 표면을 위핑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10실시예를 제38도-제40도에 나타낸다. 이것은 제9실시예에 있는 콘택트(3)의 동작범위를 정확히 위치관리할 수 있도록 개량한 것으로서 형상기억스프링(5) 및 콘택트(3)의 왜곡이 일정량을 벗어나지 않도록하여서 피로특성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제38도-제40도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10실시예를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전자커넥터는 좌우대칭의 경우에 대하여 서술하고 있어서 도면의 생략화를 위하여 좌측반은 생략하고 있다. 또한, 주요부는 상기한 제33도-제37도에 나타낸 제9실시예와 동일하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38도-제40도에 있어서, 각각의 콘택트(3)의 콘택트약스프링부(3F)의 되짚어 꺽는 부(3N)의 측면에는 이 콘택부(3)의 동작범위를 규제하기 위한 돌기에 의하여 되는 제1의 규제부(30)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대응하여 각열의 콘택트(3)의 사이의 격벽(20)에는 제1의 규제부(30)와 협동하여 콘택트(3)의 동작범위를 규제하는 요부에 의해 되는 제2의 규제부(31)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제1의 규제부(30), 제2의 규제부(31)는 상호 감싸져서 콘택트(3)의 동작범위를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이같은 전자커넥터에 있어서는 상온하에서 상대콘택트(10)를 삽입한 때에는 제1의 규제부(30)가 제2의 규제부(31)의 스토퍼(31B)로 멈춰지며, 항상 일정의 접촉압으로 된다. 그래서 고온시, 즉 형상기억스프링(5)의 변태온도 이상에서는 형상기억스프링(5)이 내측에 축소하는 방향으로 형상회복한다. 이 경우 필요이상의 힘을 형상기억스프링(5)이 나와도 콘택트(3)는 제1의 규제부(30)가 제2의 규제부(31)의 스토퍼(31A)에 대하여 규제되기 때문에 콘택트(3)는 그 한계 왜곡을 초월하지는 않는다.
제41도, 제42도는 이 제10실시예의 응용예이다. 이것은 상기한 제38도-제40도에 나타난 것과 달리 제1의 규제부(30)을 요형으로 하여 그 양단을 스토퍼(30A), (30B)로 하고, 제2의 규제부(31)를 철형으로 한 것이다.
이러한 전자커넥터에는 상온시 콘택트(3)가 형상기억스프링(5)의 스프링압에 견디어서, 외측에서 열리지만, 제2의 규제부(31)에 스토퍼(30A)가 맞닿아서 멈추며, 상대콘택트(10)의 삽입시에 일정의 접촉압으로 된다. 분위기온도가 형상기억스프링(5)의 변태온도 이상으로 되어 형상기억스프링(5)의 스프링압이 콘택트(3)의 스프링압에 견디어 내측에서 축소되는 방향으로 형상회복한다면 상대콘택트(10)가 삽입되지 아니하여도 콘택트(3)에 설치된 제1의 규제부(30)의 스토퍼(30B)가 격벽(20)에 설치된 제2의 규제부(31)에서 멈춰지며, 콘택트(3)의 한계왜곡을 초월하는 것이 없다.
또한 대향한 콘택트(3)가 있는 경우, 즉 콘택트(3)가 서로 향하도록 2열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대향하는 콘택트(3)등의 접촉도 방지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고온하에서 사용하는 전자커넥터에 관하여 서술하였지만 상온하에서 사용하는 전자커넥터의 경우는 예를들면 형상기억스프링(5)의 변태온도는 0℃로 설정하여 있으며, 상대콘택트(10) 삽입시에 이 전자커넥터를 냉각하여 놓고, 상대콘택트(10)를 삽압한다면 상온에 접촉되도록하면 좋다. 혹은 커넥터하우징(1)의 커넥터수용실(2)내에 히터를 꾸며넣어 상대콘택트(10)를 삽입한 경우 이것에 통전하고 미리 U자상의 양단연부가 열리도록 형상기억시켜서 놓은 형상기억스프링(5)에서 콘택트(3)를 외측에서 열리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무삽발력 혹은 저삽발력으로 상대콘택트(10)를 삽입하여 삽입후에 히터에의 통전을 막는다면 상온하에서 충분한 접촉압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1실시예를 제43도에 나타낸다. 이것은 형상기억스프링(5)의 U자상으로 열린 연부에 동작전달부재(9)에 설치된 홈(12)에 눌려넣은 타입의 전자커넥터에 있어서, 상기한 형상기억스프링(5)이 동작전달부재(9)의 홈(12)에서 떨어지지 않는 노력을 주는 것이다.
즉, 형상기억스프링(5)과 커넥터하우징(1)의 사이에 탄성제(35)를 설치하고, 이 탄성제(35)에서 형상기억스프링(5)을 동작전달부재(9)의 홈(12)의 방향으로 밀도록 하고 있다. 그 결과, 형상기억스프링(5)은 동작전달부재(9)의 홈(12)에서의 탈락이 방지될 수 있는 동시에 형상기억스프링(5)의 작용점을 안정시키는 효과도 일으킨다. 이 탄성제(35)를 제31도에 나타나는 구조의 전자커넥터이며, 히터(7)가 없는 구조의 것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구동실(4)내에 수용되어 있는 형상기억스프링(5)과 구동실(4)의 저면의 사이에 탄성제(35)를 삽입하고, 이 탄성제(35)에서 형상기억스프링(5)을 홈(12)에 밀어부치도록 민다면 좋다.
이상과 같이 하여되는 본 발명의 전자커넥터에 의하면 무삽발력 또는 저삽발력으로 상대커넥터 장착, 탈착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커넥터는 종래의 것에 비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신뢰성도 높다. 더우기 필요에 따라서 초기체크도 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고 있다.

Claims (12)

  1. 커넥터하우징내에 열을 지어 조입된 탄성을 가진 복수의 콘택트와,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조입되고 그 일단에 전기적 절연성재료로 된 동작전달부재가 연결되고 이 동작전달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콘택트를 구동하는 형상기억스프링과를 가지며 상기 형상기억스프링은 이 형상기억스프링이 변태온도 또는 그 이상이 되었을 때 기억하고 있는 형상을 회복하면서 그때 발생하는 회복력을 상기 콘택트에 전달하며, 변태온도이하가 되었을 때는 상기 콘택트의 탄력으로 형상기억회복전의 형상으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형상기억스프링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콘택트에 대하여 공통이며 상기 콘택트의 정열 방향에 길이로 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커넥터.
  2. 제1항 기재의 전자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형상기억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커넥터하우징에 설치된 홈에 삽입되어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 기재의 전자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형상기억스프링과 상기 동작전달부재와는 형상기억스프링의 일단이 동작전달부재에 설치된 홈에 삽입되어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커넥터.
  4. 제2항 기재의 전자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형상기억스프링은 그 타단에 착설부재를 가지며 이 착설부재를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홈에 삽입하므로서 상기 형상기억스프링과 상기 커넥터하우징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커넥터.
  5. 제1항 기재의 전자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동작전달부재와 상기 콘택트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커넥터.
  6. 제1항 또는 제5항 기재의 전자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는 상기 동작전달부재를 관통하여 상호 연결되고, 상기 동작전달부재와 상기 형상기억스프링과는 동작전달부재에 설치된 홈에 형상기억스프링의 일단이 삽입되어서 상호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커넥터.
  7. 제6항 기재의 전자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형상기억스프링은 일단에 가진 착설부재를 상기 동작전달부재에 설치된 홈에 삽입하므로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카넥터.
  8. 제6항에 있어서, 동작전달부재의 동작방향의 한쪽측에는 동작전달부재의 일방향에의 동작범위를 규제하기 위하여 상기한 커넥터하우징의 내벽에 설치되고, 이 동작전달부재의 다른방향에의 동작범위를 규제하는 스토퍼부재가 설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콘택트가 상대콘택트에 접촉하는 강스프링압주접점부와 이 강스프링압주접점부가 상대콘택트에 접촉하기 전에 접촉할 수 있는 위치에 대기하고 있는 약스프링압보조접점을 지님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콘택트가 상대콘택트에 접촉하는 접점부를 지니며 커넥터하우징에 편이 지지되어 접점부가 상대콘택트의 삽입시에 접촉할 수 있는 위치에 존재하도록 위치결정되어 있는 콘택트약스프링부, 콘택트약스프링부의 선단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콘택트강스프링을 지니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커넥터.
  11. 제10항 기재의 전자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에는 이 콘택트의 동작범위를 규제하기 위한 제1의 규제부가 설치되고 상기 각 콘택트간의 격벽에는 상기 제1의 규제부와 공동하며, 상기 콘택트의 동작범위를 규제하기 위한 제2의 규제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제2의 규제부는 일방의 요입부이며 타방이 돌설부로하여 끼워맞추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커넥터.
  12. 제1항 기재의 전자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형상기억스프링의 형상이 U자 또는 V자형이며, 그 절첩부와 상기 커넥터하우징과의 사이에는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홈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형상기억스프링의 일단을 상기 기억동작전달부재의 상기 홈에 압착하는 방향으로 가세하는 탄성재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커넥터.
KR1019870010023A 1986-09-10 1987-09-10 전자커넥터 KR9000089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211491A JPS6369169A (ja) 1986-09-10 1986-09-10 電子コネクタ
JP21493 1986-09-10
JP61-211491 1986-09-10
JP61-211493 1986-09-10
JP211491 1986-09-10
JP61-219060 1986-09-17
JP219060 1986-09-17
JP61219060A JPH0628198B2 (ja) 1986-09-17 1986-09-17 カ−ドエツジコネクタ装置
JP18652 1987-01-30
JP62-18652 1987-01-30
JP62018652A JPH067136B2 (ja) 1986-09-10 1987-01-30 電子コネクタ
JP62-43947 1987-02-26
JP43947 1987-02-26
JP62-43948 1987-02-26
JP43948 1987-02-26
JP62043947A JPS63211582A (ja) 1987-02-26 1987-02-26 電子コネクタ
JP62-46766 1987-03-03
JP46766 1987-03-03
JP62046766A JPS63216275A (ja) 1987-03-03 1987-03-03 電子コネクタ
JP62052173A JPS63221570A (ja) 1987-03-09 1987-03-09 電子コネクタ
JP62-52173 1987-03-09
JP52173 1987-03-09
JP71774 1987-05-15
JP62-71774 1987-05-15
JP1987071774U JPS63182084U (ko) 1987-05-15 1987-05-15
JP62-138936 1987-06-04
JP138936 1987-06-04
JP62138936A JPS63304583A (ja) 1987-06-04 1987-06-04 電子コネクタ
JP150228 1987-06-18
JP62150228A JPS63314785A (ja) 1987-06-18 1987-06-18 電子コネクタ
JP62-150228 1987-06-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4606A KR880004606A (ko) 1988-06-07
KR900008997B1 true KR900008997B1 (ko) 1990-12-17

Family

ID=68425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0023A KR900008997B1 (ko) 1986-09-10 1987-09-10 전자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89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1537B1 (ko) * 1997-09-17 2005-09-26 에프씨아이 접지 차폐부를 갖는 3개 열의 플러그 및 리셉터클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4606A (ko) 1988-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59133A (en) Zero insertion force connector actuated by a stored shape member
KR101032285B1 (ko)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EP0338717A2 (en) A connector assembly
US5236372A (en) No-insertion force connector assembly
JPS62190670A (ja) ヘツダ組立体
US4713020A (en) Connector unit
KR20100112506A (ko) 커넥터
US4077693A (en) Panel-mountable connector block assembly
GB2226712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a printed circuit board unit
EP0379219B1 (en) Electrical connector
KR900008997B1 (ko) 전자커넥터
EP0379365B1 (en) Low insertion force connector and electrical contact therefor
KR101057301B1 (ko) 릴레이 커넥터
US20200127417A1 (en) Movable Connector
US5478247A (en) Electrical connector
US4089581A (en)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or
US5672072A (en)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JP3682824B2 (ja) コネクタ
JP3989696B2 (ja) コネクタ
US4772210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keying, torsion restraint and latching features
EP1158615B1 (en) Connector for a circuit board
US5162003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constant radius of curvature beam
JP2800168B2 (ja) 零挿入力コネクタ
JP2717381B2 (ja) コネクタ
JPH067136B2 (ja) 電子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12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