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8574B1 - 원심분쇄방법 및 원심분쇄장치 - Google Patents

원심분쇄방법 및 원심분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8574B1
KR900008574B1 KR1019860700168A KR860700168A KR900008574B1 KR 900008574 B1 KR900008574 B1 KR 900008574B1 KR 1019860700168 A KR1019860700168 A KR 1019860700168A KR 860700168 A KR860700168 A KR 860700168A KR 900008574 B1 KR900008574 B1 KR 900008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nding
grinding chamber
chamber
centrifugal
injection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700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700218A (ko
Inventor
존 멕스웰 보이스
윌리암 리차아드 라이너
차알스 하롤드 웨맨
Original Assignee
리써어치 앤드 디벨롭먼트 피이티이와이 리미티드
차알스 하롤드 워맨
보티어, 시드니 데이비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써어치 앤드 디벨롭먼트 피이티이와이 리미티드, 차알스 하롤드 워맨, 보티어, 시드니 데이비드 filed Critical 리써어치 앤드 디벨롭먼트 피이티이와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860700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700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8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14Mills in which the charge to be ground is turned over by movements of the container other than by rotating, e.g. by swinging, vibrating, til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18Details
    • B02C17/183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02C17/1835Discharging devices combined with sorting or separating of material
    • B02C17/1855Discharging devices combined with sorting or separating of material with separator defining termination of crushing zone, e.g. screen denying egress of oversize material

Landscapes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 Grinding Of Cylindrical And Plane Surface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 Combined Devices Of Dampers And Springs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 Glanulating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Inorganic Compounds Of Heavy Metals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 Luminescent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원심분쇄방법 및 원심분쇄장치
본 발명은 유리된 분쇄매체의 작용에 의해서 고형입자의 분쇄를 행하는 유의 분쇄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형입자, 예컨대 광석등을 분쇄하는 종래의 방법은 원통형이나 원통원추형의 분쇄실을 수평축에 대해서 회전토록 배열하여서 이에 유리된 분쇄매체를 일부 주입하여 분쇄실에서 입자가 분쇄실을 통과하는 것에 의해서 분쇄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형식의 장치는 일반적으로 "텀블링 밀"이라 한다. 분쇄매체는 강(steel)의 형태나 타물질이거나 또는 자생분쇄법에 있어서 공급물질과 동종의 굵은 물질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텀블링 밀에 있어서 입력비동력(spedific power input)은 중력가속도에 의해서 근본적으로 제약이 되어서, 분쇄실 용적의 입방 메터당 20킬로 왓트 이하인 것이 특징이다. 단위 분쇄실 용적당 분쇄용량이 결과적으로 저하된다.
텀블링 밀의 성능만 비교한다면 고정축에 대해서 보통 원주상으로 분쇄실을 선회시킴에 의해서 입력 비동력과 분쇄율을 본질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방식에서는, 분쇄실과 장입물이 가속도 W2r
(여기서, W는 가속도이고 r은 선회반경)
상기 관계식에 의해서 중력보다 증대된 가속도에 제약을 받게 되어진다. 상기와 같은 원리에 입각해서 운전되는 분쇄장치는 포괄적인 용어로서 "진동 밀"과 "원심 밀"라고 하고, 진동밀 이라함은, 분쇄실의 직경에 비해서 선회반경이 매우 적을 때에, 일반적으로 적용이 된다. 분쇄실의 직경에 대한 선회반경의 종래의 비에 의하면 진동밀의 경우는 0.05이하이고 원심밀의 경우는 0.15의 범위에 있다.
분쇄실 용적의 입방메터당 입력 비동력을 500킬로 왓트까지 원심밀의 경우 실현되어 왔고, 단위 용적당 분쇄용량을 이에 상응되게 증가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 원심밀은 기계적인, 기하학적인, 주입과/또는 배출의 특성이 사용상의 잠재적인 잇점을 상쇄하기 때문에 산업상 이용이 근원적으로 광범위하게 보급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분쇄장치에 있어서 전술한 단점을 최소한으로 감소시킨 원심분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이 되고 상대적으로 고정축에 대해서 회전시 원추표면을 형성하도록 구속하는 축에 대해서 대체로 대칭적인 분쇄실을 구비하는 원심분쇄장치를 실현한 것이며, 또한 상기 분쇄실의 대칭축에 대한 분쇄실의 모든 수직단면은 대체로 원형이고 그 반경이 투입구(분쇄실 축과 회전축의 교점에 근접되게 위치되어져 있다)로부터 상기 교점에서 떨어져 있는 배출격자쪽으로 갈수록 증대되는 분쇄실을 갖는 원심분쇄장치를 실현한 것이다.
투입구와 배출격자사이의 분쇄실의 측면은, 분쇄실 축과 회전축과의 교점부근에서 정점(vertex)을 갖는 원추형의 절두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배출격자의 내면은 전형적으로 오목하고 분쇄실의 원추표면에 대해서 원주상으로 법선이 된다.
상기한 분쇄실의 운동은, 분쇄실축이 회전축에 평행이 되도록 제한되어 있는 선행기술의 원심밀의 전회운동과는 명백히 반대가 되는 장동(nutation)의 운동이라고 칭하여서 본 명세서상에 기술된다.
장동하는 분쇄장치의 회전축이 수평에서 수직으로 실제상으로 방향전환을 할 수 있다면 회전축이 수직될시에 주입물에 수직하향되게 주입할 수 있어서 분쇄장치로의 주입과 배출에 있어서 주요한 잇점이 발생되는 것으로, 여기에 기술되는 모든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방향전환을 갖는다.
상기한 장동운동은 선회운동보다는 원심분쇄장치에 주요한 잇점을 부여하며, 분쇄실 회전축에 걸쳐 각각의 축상 단면이 변형된 형태를 갖는 첨부도면 제1도-제7도 도시된 여러구성 요소의 기능을 명백히 나타내도록 회전부재는 간격이 좁은 사선으로 표시하고, 장동부재는 간격이 넓은 사선으로 표시하고 고정부재는 교차사선으로 표시한다.
첨부도면에 나타낸 어려형태의 각각은 수직회전축 1, 장동점 3에서 축 1과 교차되는 장동축 2, 축 2에 대해서 대칭적이 장동분쇄실 4와 장동주입통로 5, 배출격자 6, 분쇄장치를 지지토록 그리고/또는 분쇄장치를 안정되게 하고 운전중에 발생된 힘과 모멘트를 소정의 기초로 전달시키도록 한 프레임부재 7 또는 부재를 7로 구성되는 지지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1, 2, 3도에서 나타낸 여러 형태를 각각은 프레임부재 7에 위치하여 수직축 1에 대해서 회전하는 부재 8을 구비하고, 또한 장동축 2에 대해서 대칭적으로 장동부재에 장착된 베어링 10을 통해서 장동부재를 구동시키며, 부호 11로 표시한 베벨기어 및 벨트 구동 중간축과 같은 소정의 장치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의 부재 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2도의 변형된 형태에서는 베어링 9와 연관되어 베어링 10은 역시 장동부에 위치하여, 회전축 1에 대해서 소망의 장동운동을 행하도록 그 축 2을 구속한다.
제1도의 변형된 형태에서 장동부는, 환형의 장동 베어링 표면 12와 13이 이에 대향되는 프레임부재 7의 환형 베어링표면 14와 15에 롤링(rolling)하는 한편 원주 표면 16이 프레임부재 7의 대항면 17에 롤링과 슬라이딩의 쌍방 또는 어느하나를 하므로써, 소망의 장동운동을 행하도록 위치되어지며 구속되어 진다.
제5도의 변형된 형태에 있어서 장동운동의 구속은 토로이덜(toroidal) 장동베어링 표면 18이 대향되는 프레임부재 7의 토로이덜 베어링 표면 19에 롤링하므로써 제공된다.
제3도와 제4도의 변형된 형태에서는, 장동부재의 위치와 장동부재의 장동구속은 장동점 3에 대해 같은 반경으로 배열된 적어도 3개의 볼 20에 의해서 제공되며, 상기 볼 20의 각각은 구형( )적으로 형성된 장동부재 23과 프레임부재 7의 구형표면 27의 볼가이드 요홈 21과 22내에 넣어져 있어, 상기 볼 20이 구름에 따라 소망의 운동을 하게 하고, 장동부재와 프레임부재간에 구속력을 전달시킬 수 있다.
제2, 3, 4, 6, 7도에 나타낸 변형된 형태에 있어서 신축관형부재 25는 장동투입통로 5를 상대적으로 고정된 투입구 26과 연결시켜서 분쇄실내로 주입물질을 향하게 하고 구동부와 베어링부가 장착된 공간으로부터 주입물질을 격리하도록 한다.
제1도에 나타낸 변형된 형태에서는 신축관형부재 25는 고정된 공급관 28로부터 받도록 상향 확대된 원추형 장동투입구 27로 대체되어 있다.
제5도에 나타낸 변형된 형태에서는 신축관형 멤버 25는 강성의 관형부재 27로 대체되어 있고, 상기 강성의 관형부재 27은 그 하단부가 장동 주입통로 5의 입구의 구형의 표면 30과 슬랑이딩 접속되도록 프레임부재 7에 위치된다.
장동부재와 프레임부재를 결합하는 신축관형부재 25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부재 25가 장동베어링 10의 마찰 견인력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토크(torque)에 견딜 수 있도록 충분한 강도를 갖거나 별도로 토르크에 견디는 장치가 프레임부재와 장동부재사이에 장착될 필요가 있다.
제2도에 표시한 일정속도 죠인트 31 또는 제6도 및 7도에 표시한 맞물림 베벨기어 32와 같은 장치가 이러한 목적에 사용될 수 있다. 제3도와 제4도의 볼형식에서는 본질적으로 토크가 억제된다.
제1도와 제5도에서 표시한 변형된 형태에 있어서와 같은 프레임과 장동부재사이에 물리적인 토크억제기구가 없다면 토크억제는 표면 12, 13 및 18과 이에 각각 대향되는 14, 15 및 19간의 롤링 접촉으로 슬라이딩하는 마찰저항에 의해서 제공된다.
상기 대향되는 표면의 원주상의 길이의 근소한 차이는 분쇄장치의 운전중에 장동축 2에 대해서 분쇄실 4의 회전을 느리게 하는 원인이 된다.
큰 원심회전력과 모멘트가 분쇄장치와 이에 장입된 분쇄물의 장동운동에 의해서 발생되고, 이런 원심효과에 대향 또는 균형이 되도록 채용된 장치는 분쇄장치의 능률적인 운전에 결정적으로 중요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제공된 여하한 장치이더라도, 장동질량을 최소로하여 장동점 3에 대해서 모멘트가 최소로 되도록 배열하는 것이 본 발명의 주용한 목적이다.
지면에 견고히 설치되는 한편 분쇄장치의 장동부 질량을 크게 초과하는 질량을 가진 기초에 분쇄장치가 볼트로서 견고하게 설치정착된다면 가장 경제적으로 분쇄장치를 설치한 것으로서, 동역학적 균형장치를 분쇄장치에 장착하지 않어도 원심회전력 및 모멘트가 베어링과 프레임를 통하여 기초에 직접 전달되어 진다.
상기와 같은 장치의 설치는 제1도, 제3도 및 제4도에 표시되었다.
다른 방도로서, 제5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분쇄장치가 비강성 지지체에 설치된다면, 장동부에 의해서 발생된 원심력과 모멘트는 프레임부재 7의 질량을 장동부의 질량보다 매우 크게 하므로써 그 반작용에 의해 대체로 상쇄될 수 있다.
상기한 프레임부재의 질량중심 33은 장동 질량의 진동중심 34의 운동평면과 회전축 1상에 놓이거나 그 부근에 놓인다.
잉여 원심력의 결과로서 분쇄장치의 기초에 관련된 분쇄장치 전체의 진동은 탄성지지부재 35에 의해서 수용되어 진다.
동역학적 균형이 필요하다면 또는 소망한다면 회전장치이나 장동장치을 이용하면 된다.
회전균형장치가 제2도에 나타나 있으며, 제2도에서 베어링 10이 회전균형부재 8의 외측에 장동부재를 위치토록 하여서, 장동질량과 회전질량에 의해 발생되는 원심력이 대체로 같고 반대로 되어서 상호 상쇄가 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장동부재의 진동중심 34와 회전축 1에 대해 회전하는 부재의 질량중심 36이 상기 회전축 1에 직각이 되는 공통평면에 놓이며 또한 상기 회전축 1상의 서로 반대쪽의 반경에 놓이며, 베어링 9는 균형힘의 잔량이나 모멘트, 기어구동의 추력, 중력과 축상의 부하를 프레임부재 7로 전달하는 것만을 필요로 한다.
또다른 장동의 동역학적 균형장치가 제6도와 제7도에 표시되었으며, 회전축 1상의 장동점 3을 통과하는 한편 장동점 3에 대해서 장동하는 축 38에 대해서 대칭되게 장동 균형부재 37이 배열되어 있다.
장동균형부재 37의 질량의 크기와 배열은 장동점 3에서 진동 중심까지의 질량 및 반경과, 분쇄실과 그 지지장치와 장입물(주입된 물질)의 질량 및 반경이 대체로 동일하게 되도록 한 비율을 그러한 크기로 이루어진다.
장동균형부재 37은 제6도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축 38에 대해서 연속적인 환형 단면으로 될 수 있으며, 또는 제7도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하향연장된 공간을 갖는 환형편 39로 분할될 수 있고, 상기 공간에 의해 분쇄실 4와 그 부착 죠인트 40의 교체 또는 수리시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장동균형부재 37에는 플랜지 41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프랜지 41는 장동점 3을 정점으로 하는 환형의 원추표면 42를 구비하여 프레임부재 7의 대향원추표면 43위로 롤링하고 한편 상기의 플랜지 41의 외주의 구형표면 44에 의해 대향 구형표면 45위로 슬라이딩 한다. 플랜지 41는 장동균형축 38에 대해서 직각을 이루며, 대칭으로된 환형의 평면베어링 표면 46을 구비하여 회전캡부재 48의 대향베어링 표면 47과 맞물리는 한편 플랜지 41는 장동점 3을 정점으로 한 환형의 원추형 표면 49를 구비하여 대향되는 환형의 원추형 장동표면 50위로 롤링하게 된다.
회전캠부재 48는 장동축 2에 직각을 이루는 한편 장동체의 플랜지 53에 형성되는 대향장동 베어링 표면 52와 슬라이딩 맞물림하는 상부환형평면 51을 구비함으로써 장동축 2에 대해서 배열되어진 상기 회전캠부재 48이 소망의 장동운동을 하게 된다. 회전캠부재 48은 또한 제6도에 표시한 피니언구동장치 11에 장착된 베벨휘일과 중간축과 같은 구동장치를 구비하거나 또는 제7도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벨트구동풀리 54와 같은 구동장치를 구비한다. 또한 장동플랜지 53에는 장동점 3을 정점으로 하는 환형의 원추표면 55가 제공되어 이에 대향되는 고정 표면 56위로 롤링하는 한편, 상기 장동플랜지 53의 외주의 구형표면 57은 이에 대향되는 구형표면 58위로 슬라이딩 한다. 원추표면으로 롤링하는 것과 구형표면으로 슬라이딩하는 상기 접촉에 의해서 분쇄실과 발란서(balancer)의 대향 장동운동이 결정되며, 잉여의 회전력과 모멘트가 프레임부재 9로 전달된다.
제4도와 제5도는 유압구동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프레임부재 7에 장착된 실린더 60에 슬랑이딩하는 적어도 3개의 피스톤부재 59로 유압구동장치가 구동된다.
제4도의 변형된 형태에서 피스톤부재 59는 스러스트볼 베어링 61에 의해서 자동정열되는 한편 장동부재 23에 연될되어 있다.
실린더로부터 토출되고 인입된 유압 유체는 되시되지 않은 소정의 벨브에 의해서 적적한 순차조절되어서, 가이드요홈 21과 22에서 롤링하는 지지볼 20에 의해서 정해지는 장동운동의 폭으로 부재 23과 분쇄실 4가 소망의 장동운동을 하게 된다.
제5도의 변형된 형태에서는 피스톤 부재 59에는 장동플랜지부재 64의 환형의 평면 베어링 표면 63과 접촉하는 장동정열 미끄럼판 62가 제공되어 있다.
펌프 65로부터 공급되는 유압 유체의 다른 방식의 흐름은, 베어링표면 13과 18이 각각 프레임부재 7의 대향표면 15와 19위로 롤링하므로써 정해지는 장동운동의 폭으로, 부재 64과 분쇄실 4가 소망의 장동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파이핑 66을 통하여 적절한 순차조절방식으로서 실린더 60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사용과 운전을 전형적인 밀폐순환습식 분쇄방법에 관하여 제8도에서 도시하였고 제9도에서는 전형적인 공기분리건식 분쇄방법을 도시하였다.
제8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분쇄장치의 정지시, 분쇄실 4의 용적에 약 50%의 용적으로서 분쇄매체 67을 장입하고, 분쇄장치를 초기속도로 장동을 시켜서 분쇄하여야 할 고형입자의 주입물질 68, 물 69, 그리고 밀폐순환에 의해서 반환된 오버사이즈(oversize)의 물질 70은 정치된 주입관 28에 의해서 장동투입구 27에 인도되어서 중력에 의해서 수직하향 투입되어서 장동주입관통로 5를 통과하여 분쇄실 4로 낙하한다.
상기한 물질들이 분쇄실에 투입되는 유동속도를 조절하여, 분쇄실내의 펄프밀도 또는 슬러리(slury)의 점성 또는 크기를 거의 일정하게 하고 최적조건으로 하여서 분쇄효율을 증진토록 한다. 분쇄실의 장동운동의 효과는 분쇄실의 장입물을 확산시켜서, 분쇄실의 원추형 측면 71에 거의 직각의 텀블링운동을 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회전축 1에 대해서 분쇄실의 원추형 측면 71의 경사에 의해 장입물의 원심력의 결과로서 상기 측면 71에 압력이 생기며, 오목한 배출격자부재 6을 향해서 장입물질이 방사상으로 향하도록 하여 이에 반대편에는 공간적인 여유가 생겨서 분쇄매체의 효과적인 장입이 되게 하고 장입물질의 통과를 증진시켜서 빠른 속도로 분쇄실을 통하여 분쇄토록 한다. 텀블링 작동의 동역학과 집합적으로 장입이되는 분쇄실의 형상과 간결성으로 분쇄성능을 최적의 상태로 증진시켜주며 이때에 분쇄실의 반경에 대한 장동의 비가 약 0.4이다.
원추형 측면 71의 정점이 장동점 3의 부근에 위치될시에 상기한 비(ratio)의 값이 분쇄실의 모든 단면에 대해 거의 일정하고 최적의 분쇄성능을 유효한 분쇄실의 용적을 통하여 얻게 된다.
개구 72를 갖는 오목형의 배출격자부재 6의 기능은 소정규격 이상의 모든 유리된 분쇄매체가 분쇄실내에 보유되도록 하고, 집합적으로 넓은 부위의 개구를 제공하여 분쇄실로부터 분쇄된 재료가 급속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배출격자는 분쇄실의 기면에 위치함으로써, 본 목적에 부합되게 유효 분쇄실 단위의 용적당 최대의 면적을 제공한다.
분쇄실로의 실질적으로 직선의 수직하향 중력식 주입과, 장입물에 작용하는 큰 원심력에 대한 원추형 벽의 반작용의 주요한 하향력과, 분쇄실로부터의 배출을 위한 넓은 격자 개구부위와의 조합에 의해 최초 주입과 순환하는 재료의 가공량을 매우 높은 율로 성취될 수 있으므로 종래의 분쇄장치에서는 중력보다 증대된 가속도에 제한을 받게되어 순환부하 비율이 10대 1이하이거나 본 장치는 이러한 제약을 받지 않으므로 순환부하 비율을 그 이상으로 성취할 수 있어서 이에 상응되는 이익을 초래한다.
배출격자부재 6을 통하여 분쇄장치로부터 배출되어진 분쇄된 재료는 73으로 도식적으로 나타낸 적절한 흡퍼에 집적되어서 펌프 74로 적절한 물과 희석되어 보내지고 다음에 파이프 75를 경유하여 유체원심분리기 76과 같은 분리장치에 보내지고, 상기 분리장치의 구조는 오버플로우(over flow) 77로는 가공물이 나가고 하향유동 70으로 미가공재료가 포함된 순환부하가 고정투입관 28로 인도되어 분쇄장치에 복귀한다.
제9도를 설명하면, 분쇄실 4에는 제8도에 나타낸 분쇄매체 67의 적의 장입되어 있고, 분쇄장치는 소기의 속도로 장동하고 있으며, 본질적으로 건조한 고형입자의 주입재료 68은 고정된 투입구 26으로 인도되어 하향된 신축관부재 25로 주입되어서 장동통로 5를 통과하여 분쇄실 4로 낙하하며, 상기 분쇄실 4는 78로 둘러싸여 있으며 밀폐실 78에는 송풍기 80으로부터 파이프 79를 통하여 흡입된 강제공기가 있다.
분쇄실 4의 기면은 플레이트 81로 밀폐되고, 그 내부 표면은 종단면도상으로 오목하고 원주상으로 분쇄실의 원추형 측면에 대해 직각을 이루고 있고, 상기의 분쇄실은 원추형 표면의 하부 단면에 다수개의 개구 82를 갖으며, 상기 개구 82는 인볼류트곡선이고 장동운동방향으로 하향경사되어서, 밀폐실 78에서 분쇄실 4로 공기유동 83을 흡입되도록 한다.
개구 82와 관통로 5사이에 하강 압력구배의 영향으로 상향공기 유동이 분쇄실 4에서 발생되고 분쇄장치의 작동시 확산된 장입매체의 내부 텀블링 작용의 효과에 의해서 하향하는 거친 주입 입자재료 68과 반대방향의 유동으로 분쇄된 분말입자를 분쇄실 4에서 장동관통로 5로 휩쓸어 올리는 상향공기 유동에 소용돌이가 전해진다.
분쇄된 입자재료의 혼입된 공기흐름 84는 송풍기 80으로부터 간접흡입에 의해서 환형의 유통통로 85를 통하여 퇴출되어, 공기 분리기 87과 같은 적절한 선별장치에 파이프 86을 통하여 인도되고, 원심분리 집적기 88에 의해서 공기흐름으로부터 분말입자를 회수하여 가공물 89를 배출한다.
미가공의 거친입자 90은 투입구 26으로 인도되어서 분쇄장치로 복귀한다.
분쇄공정중에 연마 마모에 의해 영향을 받기 쉬운 부분들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회수 및 교체할 수 있다면 분쇄장치의 사용과 작동은 향상되고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분쇄실의 위치의 외부에 구동장치 지지장치가 별도로 탑재되고 밀봉되어 있고, 장동 주입통로 5에 분쇄실을 착탈이 가능토록 취부된 외부의 효과적인 장치가 부호 40으로서 다양하게 표시되어 있는데, 제3도에서는 볼트체결 플랜지죠인트이고, 제1도 및 제7도에서는 크램프체결 플랜지죠인트이며, 제6도에서는 나사와 쇼울더 체결 죠인트이며, 제4도에서는 나사, 쇼울더 및 쐐기 체결 죠인트이며, 제5도에서는 쇼울더 및 압축 슬리브 체결 죠인트이다.

Claims (18)

  1. 상대적 고정축(1)와 대칭축(2)이 대칭 장동점(3)에서 교차하고, 상대적 고정축(1)에 대해 장동운동을 하도록 구속되는 대칭축(2)에 대해 대체로 원형단면을 이루고 있는, 분쇄장입물을 지니도록 된 분쇄실(4)와, 분쇄실(4)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7)과, 분쇄실(4)와 연통하는 주입통로(5)와, 상대적 고정축(1)에 대해 분쇄실(4)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8, 11, 59, 60)과, 분쇄실(4)의 대칭축(2)의 장동운동의 형태를 결정하기 위한 구속수단(12와 14; 13과 15; 16과 17; 18과 19; 20, 21과 22)과를 포함하며, 분쇄실(4)의 작동중, 분쇄실의 장동운동에 의해 분쇄실내에서 분쇄장입물이 확산되어 텀블링운동을 행하도록 분쇄실(4)에 대응하여 장동점(3)이 배치되고, 분쇄장입물의 확산을 제한하고 분쇄장입물을 효과적으로 수용하는 압력을 분쇄장입물에 가하기 위하여 대칭 장동점(3)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분쇄장입물에 압력을 가하는, 대칭 장동점(3)을 향하여 수렴하는 내면(71)을, 분쇄실(4)가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대적인 고정축(1)은 대체로 수직이고 주입통로(5)는 하향하여 분쇄실(4)로 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분쇄장입물의 확산을 막고, 분쇄장입물의 효과적인 수용을 제공하는 압력을 분쇄장입물에 가하는 분쇄실(4)의 내면(71)이 절두 원추형을 이루며, 절두 원추형의 꼭지점이 대체로 대칭 장동점(3)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주입통로(5)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분쇄실(4) 끝부위에는 분쇄실에서 분쇄된 재료의 배출용으로 구멍(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분쇄실의 배출 끝부위의 안쪽면은 오목하고 상기 배출끝부위의 내면곡선의 곡률중심이 대체로 분쇄실(4)의 꼭지점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쇄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주입통로(5)가 상향으로 확산되어 있는 주입물질을 별도의 고정투입관(28)로부터 받아 들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쇄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주입통로(5)가 신축부분(25)을 형성하고 있어서, 고정투입구(26)와 분쇄실(4)를 유체밀봉 연결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쇄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주입통로(5)가 강체고정관(29)를 형성하고 있고, 강체고정관(29)가 대칭장동점(3)을 중심으로 하는 구형표면(30)에 의하여 주입통로(5)의 입구와 습동밀봉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쇄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분쇄실(4)이 토크구속기어(32) 또는 일정속도 죠인트(31)를 통하여 지지수단(7)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쇄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구동수단은, 상대적인 고정축(1)에 대해서 회전용으로 지지장치(7)에 장착되는 한편 장동축(2)와 동축인 베어링(10)을 구비하는 한편, 분쇄실(4)을 구동시키거나 또는 분쇄실(4)을 위치시켜서 구동시키도록 된 기계적인 구동수단(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쇄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구동수단은, 대칭장동점(3)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소망의 장동운동을 일으키도록 순차적으로 작동이 되는 유체 실린더와 피스톤 조립체의 셋트(59, 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쇄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구동피스톤(59)를 포함하는 실린더(60)이 교번 유동 유체펌프(65)에 유압파이프(66)을 통하여 차례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쇄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구속수단이, 대칭적인 환상의 베어링을 제공하는 지지수단상의 대향하는 베어링 표면(14, 15)과 당접하여 대칭장동점(3)을 형성하며 장동운동으 폭을 제한하도록 된, 분쇄실에 결합된 환상의 베어링 표면(12, 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쇄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대체로 건조된 주입물을 분쇄하기 위한 분쇄실(4)에는 흡입된 유체가 분쇄장입물을 휩쓸어, 분쇄된 물질이 주입재료로부터 분리되어 배출용이하게 되어 있는 통로(86)에, 분쇄된 물질이 주입방향의 역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위치되고 방향이 정해진, 유체를 흡입하기 위한 구멍(8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쇄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분쇄실(4)이 분쇄실의 용이하고 신속한 착탈과 교체를 돕는 죠인트(40)에 의해서 주입통로(5)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쇄장치.
  16. 분쇄장치에 착탈가능한 어태치먼트(attachment)수단을 구비하고, 대칭축(2)와 상대적 고정축(1)이 대칭 장동점에서 교차하고, 대칭축(2)에 대해 대체로 원형 단면을 이루며 주입구멍을 구비하고, 분쇄장치내에 작동하도록 놓여 졌을때 작동중 상대적 고정축(1)에 대해 장동운동하게 대칭축(2)이 구속되도록 설치되는 분쇄실(4)로 분쇄장치의 작동중, 분쇄실(4)의 장동운동에 의해 분쇄실내에서 분쇄장입물이 확산되어 텀블링운동을 행하도록 대칭장동점이 배치되고, 분쇄장입물의 확산을 제한하고 분쇄장입물을 효과적으로 수용하는 압력을 분쇄장입물에 가하기 위하여 대칭장동점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분쇄장입물에 압력을 가하는, 대칭장동점(3)을 향하여 수렴하는 내면(71)을 구비하는 분쇄실(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분쇄장치.
  17. 분쇄실(4)의 한쪽끝과 결합된 주입통로(5)와 주입통로와 결합된 상기 한쪽끝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곳에 구멍(6)을 구비한 배출 끝과를 구비한 분쇄실(4)를 설치하는 단계와, 주입통로(5)를 통해 분쇄실(4)안으로 고형입자를 장입하는 단계와, 구멍(6)를 통해 배출된 분쇄된 입자를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고형입자장입물의 확산을 제한하고 고형입자 장입물을 효과적으로 수용하는 압력을 고형입자 장입물에 가하기 위하여 주입통로(5)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분쇄장입물에 압력을 가하는, 주입통로(5)을 향해 수렴하는 내면(71)를, 구비하는 분쇄실(4)에 분쇄실내에서 고형입자 장입물이 확산되어 텀블링운동을 행하도록 분쇄실(4)에 장동운동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형입자 분쇄방법.
  18. 분쇄실의 한끝과 결합된 주입통로(5)를 구비하고 유체의 유입을 위한 구멍(82)를 구비하는 분쇄실을 설치하는 단계와, 분쇄실(4)안으로 고형입자를 도입하는 단계와, 분쇄실(4)를 휩쓸어 분쇄된 입자를 분쇄실로 도입된 입자와 역방향으로 운송하기 위한 유체를 구멍(82)를 통해 유입하는 단계와, 그렇게 운송된 분쇄된 입자를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분쇄장입물의 확산을 제한하여 분쇄장입물을 효과적으로 수용하는 압력을 분쇄장입물에 가하기 위하여 주입통로(5)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분쇄장입물에 압력을 가하는, 주입통로를 향해 수렴하는 내면(71)를, 구비하는 분쇄실(4)에 분쇄실내에서 고형입자 장입물이 확산되어 텀블링운동을 행하도록 분쇄실(4)에 장동운동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형입자 분쇄방법.
KR1019860700168A 1984-07-24 1985-07-23 원심분쇄방법 및 원심분쇄장치 KR9000085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PG6185 1984-07-24
AUPG618584 1984-07-24
PCT/GB1985/000327 WO1986000825A1 (en) 1984-07-24 1985-07-23 Improvements in centrifugal grinding mil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700218A KR860700218A (ko) 1986-08-01
KR900008574B1 true KR900008574B1 (ko) 1990-11-26

Family

ID=3770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700168A KR900008574B1 (ko) 1984-07-24 1985-07-23 원심분쇄방법 및 원심분쇄장치

Country Status (33)

Country Link
US (1) US4733825A (ko)
EP (1) EP0189466B1 (ko)
JP (1) JPS62501059A (ko)
KR (1) KR900008574B1 (ko)
AT (1) ATE42692T1 (ko)
AU (1) AU568949B2 (ko)
BR (1) BR8506855A (ko)
CA (1) CA1259591A (ko)
CS (1) CS276341B6 (ko)
DD (1) DD242352A5 (ko)
DE (1) DE3569888D1 (ko)
DK (1) DK165577C (ko)
EG (1) EG17430A (ko)
ES (1) ES8608338A1 (ko)
FI (1) FI81730C (ko)
GB (1) GB2176130B (ko)
GR (1) GR851810B (ko)
HR (1) HRP930614A2 (ko)
HU (1) HU201693B (ko)
IL (1) IL75910A (ko)
IN (1) IN165549B (ko)
LV (1) LV5592A3 (ko)
MX (1) MX162857B (ko)
NO (1) NO165987C (ko)
NZ (1) NZ212821A (ko)
PH (1) PH23543A (ko)
PL (1) PL143616B1 (ko)
PT (1) PT80857B (ko)
WO (1) WO1986000825A1 (ko)
YU (1) YU46378B (ko)
ZA (1) ZA855510B (ko)
ZM (1) ZM5285A1 (ko)
ZW (1) ZW120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PO180296A0 (en) * 1996-08-22 1996-09-12 Hicom International Pty Ltd Support bearing for nutating machines
AU725082B2 (en) * 1996-08-22 2000-10-05 Flsmidth A/S Support bearing for nutating machines
US5769339A (en) * 1996-11-22 1998-06-23 Nordberg, Inc. Conical gyratory mill for fine or regrinding
US6065698A (en) 1996-11-22 2000-05-23 Nordberg Incorporated Anti-spi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ical/gyratory crushers
AUPP556298A0 (en) * 1998-08-31 1998-09-17 Hicom International Pty Ltd Improved drive mechanism for centrifugal grinding mills
US6126097A (en) * 1999-08-21 2000-10-03 Nanotek Instruments, Inc. High-energy planetary ball mil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nanometer-sized powders
AUPQ355599A0 (en) * 1999-10-21 1999-11-11 Hicom International Pty Ltd Centrifugal grinding mills
CN102218697B (zh) 2010-04-19 2014-02-26 国际商业机器公司 高速滚筒研磨抛光设备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81600C (de) * 1938-08-16 1953-07-02 Siemens Ag Anordnung zum Hervorrufen einer umlaufenden Bewegung des Gutes in einem Schwingbehaelter
US2500908A (en) * 1947-12-26 1950-03-14 Nordberg Manufacturing Co Gyratory impact ball mill and grinding method
FR1060399A (fr) * 1951-07-19 1954-04-01 Tema Nv Broyeur vibrant ou oscillant avec séparateur pneumatique
US3042322A (en) * 1955-05-27 1962-07-03 Nordberg Manufacturing Co Rotating and gyrating ball mill
US3084876A (en) * 1959-02-24 1963-04-09 Podmore Henry Leveson Vibratory grinding
US3552660A (en) * 1969-06-03 1971-01-05 John D Hanaker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autogenous crushing of stone and the like
US4047672A (en) * 1975-06-10 1977-09-13 Vladimir Vladimirovich Volkov Apparatus for disintegration of materials
US4057191A (en) * 1976-08-23 1977-11-08 Ietatsu Ohno Grind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T40034A (en) 1986-11-28
YU121985A (en) 1987-12-31
IL75910A0 (en) 1985-12-31
DK165577C (da) 1993-05-03
BR8506855A (pt) 1986-09-23
ES545528A0 (es) 1986-06-16
GB2176130A (en) 1986-12-17
MX162857B (es) 1991-06-28
NZ212821A (en) 1987-06-30
PH23543A (en) 1989-08-25
FI861200A (fi) 1986-03-21
ATE42692T1 (de) 1989-05-15
PL254673A1 (en) 1986-06-17
HU201693B (en) 1990-12-28
DD242352A5 (de) 1987-01-28
IL75910A (en) 1988-04-29
YU46378B (sh) 1993-10-20
IN165549B (ko) 1989-11-11
CA1259591A (en) 1989-09-19
EG17430A (en) 1991-08-30
FI81730B (fi) 1990-08-31
DE3569888D1 (en) 1989-06-08
PT80857A (en) 1985-08-01
GB8606773D0 (en) 1986-04-23
DK128586A (da) 1986-05-12
US4733825A (en) 1988-03-29
DK165577B (da) 1992-12-21
AU4631285A (en) 1986-02-25
FI861200A0 (fi) 1986-03-21
CS546185A3 (en) 1992-01-15
ZA855510B (en) 1986-03-26
EP0189466B1 (en) 1989-05-03
JPS62501059A (ja) 1987-04-30
GR851810B (ko) 1985-11-26
HRP930614A2 (en) 1995-10-31
ZM5285A1 (en) 1985-12-23
EP0189466A1 (en) 1986-08-06
FI81730C (fi) 1990-12-10
DK128586D0 (da) 1986-03-20
WO1986000825A1 (en) 1986-02-13
ZW12085A1 (en) 1985-10-11
PT80857B (pt) 1987-06-17
NO165987C (no) 1991-05-15
LV5592A3 (lv) 1994-05-10
GB2176130B (en) 1989-04-12
AU568949B2 (en) 1988-01-14
PL143616B1 (en) 1988-02-29
KR860700218A (ko) 1986-08-01
NO861112L (no) 1986-05-21
ES8608338A1 (es) 1986-06-16
CS276341B6 (en) 1992-05-13
JPH0228376B2 (ko) 1990-06-22
NO165987B (no) 1991-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8574B1 (ko) 원심분쇄방법 및 원심분쇄장치
US6764034B2 (en) Grinding mill
US4966471A (en) Trunnion bearing dust seal
JPS6253748A (ja) 水平旋回型粉砕機
US11944976B2 (en) Vertical ball mill, stator segment for a vertical ball mill and method for maintaining a vertical ball mill
CN207769910U (zh) 一种双级研磨球磨机
CN110465382A (zh) 自分选式行星球磨机
US3042322A (en) Rotating and gyrating ball mill
US2500908A (en) Gyratory impact ball mill and grinding method
WO1997003753A1 (fr) Broyeur sans boulets
CN213914096U (zh) 一种铝硅合金添加剂生产用调节式研磨装置
RU2058821C1 (ru) Мельница
JPH1034000A (ja) 旋回式粉砕装置及び旋回式粉砕方法
CN219168510U (zh) 一种研磨细度分布集中的砂磨装置
CN209109284U (zh) 能够产生轴向作用力的球磨机
RU2008094C1 (ru) Шаровая мельница
RU124U1 (ru) Центробежно-барабанная мельница
RU2040339C1 (ru) Планетарная мельница юрисова
JP2553934B2 (ja) 遠心流動粉砕装置
JPH0365252A (ja) 遠心流動粉砕装置
JPH0736888B2 (ja) 揺動式分散・粉砕装置
JPH0615190A (ja) 遠心流動粉砕装置の運転方法
CN104984804A (zh) 一种双振动筒型搅拌磨
JPS62125869A (ja) 遠心流動粉砕装置
MXPA00001918A (en) Grinding mi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11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